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국어 의미 분석을 위한 구문 관계에서 의미 관계로의 규칙 기반 사상 기법

        강신재,박정혜 대구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3 情報通信硏究 Vol.1 No.2

        본 논문은 한국어정보처리 과정에서 구문 관계를 의미역으로 사상시키기 위한 규칙을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의미역의 결정은 의미 분석의 핵심 작업 중 하나이며 자연어처리에서 해결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언어학 지식과 경험만 가지고 의미역 결정 규칙을 기술하는 것은 작업자의 주관에 따라 결과가 많이 달라질 수 있으며, 또 미처 생각지 못한 부분들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규칙의 적용률이 많이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대량의 원시 말뭉치를 분석하여 실제언어의 다양한 사용례를 반영하며, 또 다수의 인어학자들이 심도 있게 구축하고 있는 세종전자사전의 격틀 정보도 함께 고려하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의미역을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구문관계, 의미부류, 형태소 정보, 이중주어의 위치정보 등의 자질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의미부류의 사용으로 인해 규칙의 적용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 of determination rules of thematic roles from syntactic relations in Korean language processing. This process is one of the main core of semantic analysis and an important issue to be solved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t is problematic to describe rules for determining thematic roles by only using general linguistic knowledge and experience, since the final resul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views of researchers, and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rules to cover all cases. However, our method is objective and efficient by considering large corpora and case frames in the Sejong Electronic Lexicon of Korean. To determine thematic roles more correctly, our system uses syntactic relations, semantic classes, morpheme information, position of double subject. Especially by using semantic classes, we can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rules.

      • KCI등재

        종교인 과세 법안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투표행태 분석: 2015년 소득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강신재,한정택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8 韓國 政治 硏究 Vol.27 No.1

        This study aims to show what factors have influenced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Religious Tax Bill by analyzing meeting minutes of the subcommittees and standing committees which inform us of why legislators amended the Bill. We focus on the religious affiliation and the proposal anti-discrimination bill as key variables, along with party and ideology variables known to affect the voting behavior of legislators. The results are threefold. First, committee members appeared to receive considerable pressure from conservative Protestantism, which led them to provide benefits to religious community in the amendment process. Second, the trend that legislators in the ruling party voted ‘Yea’ and Protestant legislators voted ‘Nay’ was derived from the analysis. Third, in contrast with the hypotheses set out in this study, it is appeared that legislators who initiated the anti-discrimination bill opposed to voting for the Bill.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empirically inferred the influence of religious variable that has not been well covered in previous literature of legislators’ voting behavior. With conflicts related with religious beliefs such as homosexuality and abortion issues being intensified, the influence of religious variables on the political process should constantly be explored. 본 연구는 종교인 과세 법안의 입법과정을 위원회 회의록을 통해 분석하고, 법안 표결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국회의원들의 투표행태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법과정에서 소관 위원회 위원들이 보수 개신교계의 압력을 상당히 받고 있다는 점이 나타났고, 이로 인해 법안이 종교계에 여러 차원에서 혜택을 주는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둘째, 본회의 표결에서 여당 소속 의원일수록 찬성표를, 종교가 개신교인 의원일수록 반대표를 던졌을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차별금지법안을 발의한 의원들은 본연구에서 설정한 가설과는 다르게 종교인 과세 법안에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의회정치와 국회의원들의 투표행태 연구 분야에서 중요하게다뤄지지 않았던 종교 변수들의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현재 동성애, 낙태 이슈 등 종교적 신념과 대립되는 갈등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종교 변수가 의회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여성의 권리 확대에 대한 한국 유권자의 태도 상충성: 미투운동과 여성 공천할당제를 중심으로

        강신재,정민경 한국의정연구회 2020 의정논총 Vol.15 No.1

        This study analyzes that the attitude of Korean voters toward women issues that have recently served as an important social cleavage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we want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the #Metoo movement, which calls for expanding women's rights on a social level, and attitudes toward the quota system for women in local constituencies, which seeks to expand women's rights on an institutional and political level. To analyze statistics, we used data from voter awareness surveys for the 2018 local elections. Ordere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older,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more political knowledge, the more progressive, the higher the SNS usage level, the more likely people are to support the Metoo movement. The voter who is women, the more wealth, the higher the level of political interest and political knowledge, the more satisfied they are with democracy, and the more positive the assessment of the economic situation at home, the more likely they are in favor of the gender candidate quota system. In a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we set a group with a consistent attitude on both issues as the baseline category and focused on groups with ambivalent attitudes on two issues. The voter who has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democracy,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long to group 2, which opposes the Metoo movement and Gender Candidate Quota System is in favor (instead of having a consistent attitude). However, the voter who has lower the political interest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democracy,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long to group 3, which opposes Gender Candidate Quota System and the Metoo movement is in favor (instead of having a uniform attitude).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follow-up research, given that there are few studies that empirically analyze voter attitudes about the Metoo movement and gender candidate quota system in Korea. The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we that political interest and satisfaction with democr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mbivalent attitudes of voters on women’s issues. 본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주요 의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여성 이슈에 대한 한국 유권자들의 태도를 분석한다. 사회적 차원에서 여성의 권리확대를 주장하는 미투운동과 제도적·정치적 차원에서 여성의 권리확대를 도모하는 지역구 여성 공천할당제에 대한 태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한다. 통계분석을 위해 2018년 지방선거 유권자 의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정치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이념이 진보적일수록, SNS 이용정도가 높을수록 미투운동에 찬성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재산이 많을수록, 정치 관심도와 정치 지식 수준이 높을수록, 민주주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정 경제상황 평가가긍정적일수록 여성 공천할당제에 찬성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두 이슈에 일관적인 태도를 지니는 집단을 기준 범주로 설정하고 두 이슈에 상반되는 태도를 지닌 집단에 주목하였다. 유권자의 민주주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일관적인 태도를 지니기보다는) ‘미투운동 반대·여성 공천할당제 찬성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유권자의 정치 관심도가 낮을수록, 민주주의 만족도가 낮을수록, (일관적인 태도를지니기보다는) ‘여성 공천할당제 반대·미투운동 찬성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 이슈에 대한 유권자들의 태도 상충성에 정치 관심도와 민주주의 만족도가중요한 변수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에서 미투운동과 여성 공천할당제에대한 유권자들의 태도를 경험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적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후속 연구의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피드백을 이용한 문제은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강신재,김정미 대구대학교 2005 대구대학교 학술논문집 Vol.1 No.1

        현재 웹상에는 많은 온라인 문제은행이 있고 또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은행들은 회원이나 학습자의 실력향샹을 도모하기 위하여 피드백을 사용한다. 그러나 아직 피드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그 가치를 십분 이용하지 못하고 단순히 반복 학습의 형태로만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피드백의 효용가치를 재고찰하고 이를 발전시켜 기존 문제 은행시스템의 진보를 꾀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피드백보다 좀 더 진보된 형태의 피드백 시스템의 형태로 세분화된 피드백을 제안하였다. 개인피드백과 전체피드백으로 세분화 하고 단순 반복의 학습형태를 탈피하여 문제 출제시 피드백의 일정부분을 재출제하는 형태로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보다 효율적인 것을 규명하였다. There are many on-line problem banks on the web and they are still be created. These problem banks put 'feedback' to practical use. However, we simply use 'feedback' to repeat studying without applying its whole value because the research on 'feedback' can't be accomplished vigorously. Then, the paper shall make an attempt to re-consider utility and value of 'feedback', and progress the existing system of problem banks. Therefore, the paper proposed a much advanced, detailed 'feedback' system than the existing one. The paper proposed an advanced direction of feedback system which is progressed by forms of representing some problems returning from first feedback. Proposed system is segmented into personal-feedback and whole-feedback, and is broken from simple repeating study form.

      • KCI등재

        법안의 특성이 의원들의 와플링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20대 국회의 갈등법안을 중심으로

        강신재,박지영 한국의정연구회 2022 의정논총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국회에서 의원들이 와플링을 결정하는 동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미국과는 다른 한국 국회의 와플링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있다. 이 연구는 기존 국내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회의원들의 와플링 행태를 의원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법안의 특성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 모형을 수립하여 연구의 가설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의자 수가 많은 법안일수록 의원들이 와플링(반대)할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법안에 대표발의한 의원이 공동발의에참여한 의원들보다 전략적 와플링을 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법안이 상임위원회단계에서 수정된 경우에 의원들이 본회의 표결에서 기권표를 던져 와플링을 할 가능성이높게 나타났다. 넷째, 미국 의회와는 다르게 한국 국회에서의 와플링은 다수당 의원들보다는 소수당 의원들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국회에서 나타나는 의원들의 와플링 행태가 미국과는 다르다는 점을 의미하며, 와플링 분석에서 의원개인의 특성과 함께 법안의 특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미국 의회를 넘어 여러 민주주의, 권위주의 국가에서 나타나는 의원들의 와플링 결정에대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