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필터링구간 설정에 따른 환기역치와 EMG 역치의 적합성 평가

        강성기 ( Seoung Ki Kang ),엄한주 ( Han Joo Eo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강성기와 엄한주(2006)의 무산소성 역치시점 추정방안에 대한 연구: 환기역치와 EMG 방법의 실증적 비교에 후속연구로써 구간 설정의 필터링 시간에 따른 환기역치와 EMG 역치의 일치성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EMG를 이용한 역치 추정방법은 환기역치 추정에 적용되고 있는 회귀모형을 이용하였으며, 필터링구간은 9초, 15초, 20초, 25초 30초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총 71명(일반인 36명, 대학운동선수 35명)이었으며, 자료처리는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각각의 필터링구간에 따라 일반인과 운동선수의 환기역치와 EMG 역치시점 시간의 평균차이 검증은 삼원 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G-이론 모형을 이용하여 피험자(p), 추정방법(m), 필터링 시간(t)을 국면으로 설정한 교차설계로 분산성분 추정치를 통해 각 오차원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하였다. 필터링구간별 환기역치와 EMG역치 추정 방법의 타당도 평가를 위해 상관분석 (Pearson`s r)과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였다. 필터링구간별 환기와 EMG 역치시점에 대한 변량분석 결과 모든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며(p>.05), VT와 EMG 방법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분산성분 추정치 결과에서도 전체변량의 대부분이 피험자에 의한 것이었으며, 측정방법 차이에 의한 변량은 일반인 0.18%, 운동선수는 0%였으며, 필터링 시간에 의한 변량도 매우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모든 필터링구간(9초, 15초, 20초, 25초, 30초)에서 환기역치와 EMG역치 시점이 매우 유사하였으나 EMG역치 평균이 환기역치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환기역치와 EMG역치 추정 값의 상관계수는 각 필터링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필터링구간이 짧은 9초와 15초의 상관계수는 다른 구간보다 다소 낮았으며, 특히 환기역치 자료에서 이러한 형태가 뚜렷하여 안정적인 무산소성 역치 추정을 위해서는 필터링구간이 최소 20초 이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EMG에 의한 역치 추정방법은 필터링구간을 다양하게 세분화하여도 추정된 역치시점 결과가 V-slope 방법에 의한 환기역치 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므로 EMG를 이용한 새로운 무산소성 역치 추정방법은 환기역치 방법의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객관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현장 적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valuate the measures of anaerobic threshold(AT) estimated by Ventilatory(VT) and EMG methods, and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of "An alternative determination for Anaerobic Threshold: Empirical comparisons of ventilation threshold and EMG (Kang & Eom, 2006). The estimates of AT was obtained using 5 different filtering intervals (9sec, 15sec, 20sec, 25sec, and 30sec.) from the two methods. Seventy-one subjects in total (36 ordinary people, 35 university athletes 35). Various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a 3-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correlations, a three-faceted crossed design of G-theory model, and Bland-Altman confidence interval approach, were employed to compute the necessary statistics using SPSS 11.0 program. From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overall mean value of the athletes group was significant higher than the ordinary group; however, none of the other effects, including all two-way and a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stimates of AT by VT and EMG methods were fairly comparable and stable across the five filtering intervals. The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T and EMG estim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ubstantially high in size, in general. However, the correlations for the intervals 9 sec. and 15 sec., were relatively a bit smaller, compared to those for the other filtering intervals. And this was especially so when the correlations were computed among the AT estimates of five filtering intervals.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T estimates produced by EMG method at various filtering time intervals were very similar in size with those of VT method, suggesting that the EMG estimate, which is an oxygen-free threshold,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VT threshold estimate, and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and objectively in a research and/or field setting.

      • KCI등재

        지구성 운동선수들의 운동수행능력에 적합한 L-carnitine 섭취 기간 평가: 여자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강성기(Seoung Ki Kang),천윤석(Yoon Seok Chun),이근일(Keun Il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1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8주 간의 L-carnitine 섭취를 통해 여자농구선수들의 신체조성, 최대운동수행능력과 근지구력을 비교, 분석하여 가장 합리적인 L-carnitine 섭취기간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엘리트 여자 농구선수 8명씩 2그룹으로 구분 하였으며, 그룹구성은 카르니틴 섭취군 8명과 통제군 8명으로 총 16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체중과 체지방률은 섭취군에서 4주차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산소섭취량의 경우 섭취군에서는 4주 측정 시 증가하였다가 8주 측정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군에서는 8주 측정까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집단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심박수에서는 섭취군에서 4주 측정 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집단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크파워와 평균파워에서는 두 집단 모두 8주 측정 시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크파워에서만 처치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굴근 평균파워 오른쪽·왼쪽과 신근 평균파워 오른쪽·왼쪽의 모든 요인에서는 4주 측정시 높아지는 향상을 보였고, 8주 측정에서도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모든 요인에서 처치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구성 엘리트 운동선수의 카르니틴 및 영양보조제 섭취의 오·남용 방지 및 인식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divided the intake period of L-carnitine into 8 weeks and evaluated the physical development, maximum exercise performance, and endurance of female basketball players in order to not only find out the proper intake period of L-carnitine but prevent the misuse of L-carnitine, which consequently provides experimental data necessar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ideal physical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of test group was decreased in 4th week and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reduc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The Maximum oxygen uptake was increased in 4th week but remained the same till 8th week for the Group 1 (with L-carnitine) whereas the Group 2 (without L-carnitine) also shown increase till 8th week. It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The maximum heart rate was increased in 4th week for Group 1 but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Both test groups had a little increase till 8th week in terms of the peak power and average power, but only peak pow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reatment period. In addition, all factors for the average power of flexor and extensor muscle (right/left) showed a considerable increase in 4th week and still had a little increase in 8th week. They also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y treatment period. The test result concludes that the L-carnitine may help the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and physical refreshment. Also, it is suggested to conduct a further test about the effect of L-carnitine by the intake amount and period with comprehensive blood liquid analysis and treatment period after intensified endurance exercise. It is expected that this evaluation will provide endurance-focused athletes the proper usage guide for L-carnitine and other nutritional supplements as well as prevent from its misuse.

      • KCI등재

        Al7050합금의 단조 시제품 제작에 관한 연구

        강성기(Seong-Ki Kang),이재근(Jea-Kun Lee) 한국기계가공학회 2012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1 No.4

        In this paper, process conditions are investigated for elimination of the grain coarsening and improved material flow during forging process by both of experiments and FEM analysis. Particular interest has been given to understand role of preform shape on the grain coarsening behavior and magnitude of the hammer forging load. As the results of FEM simulation by using DEFORM-3D, the simulated forging loads were 2,200ton in the case of a machined bar which is machined from 65㎜ to 60㎜ diameter, and below 1,900ton in the case of machined preform, respectively. The use of preform has been beneficial for reduction of the forging load and elimination of the grain coarsening. However, in the case of as received bar and the round bar, which was machined to 2.5㎜ thickness in surface layer, some degree of local grain coarsening behavior has been observed. The optimized preform shape could be properly designed by applying the FEM simulation.

      • KCI등재

        초경 엔드밀의 플라즈마 이온 주입과 저온 열처리를 통한 내마멸성 향상

        강성기(Seong-Ki Kang),왕덕현(Duck-Hyun Wang),김원일(Won-Il Kim) 한국생산제조학회 2011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20 No.2

        In this research, nitrogen plasma source ion implantation(PSII) of non-coated tungsten carbide endmill tools was conducted with low heat treatment for increasing wear resistance. After the low heat treatment of PSIIed tools to give a homogeneity of wear resistance, the surface modification of tools was analyzed by hardness test, surface roughness and cutting forces. As for the resultant cutting forces, low heat treatment in temperature of 400℃ and 500℃ is stable because of low cutting resistance. The 20-minutes heat treated tool at spindle speed 25000rpm has superiority of surface roughness, Ra of 0.420㎛ and was found to have good wear resistance. The higher hardness value was obtained by increasing temperature from 300℃ to 600℃ for PSIIed tools with low heat treatment. As the PSIIed tools under 10minutes at temperature of 600℃ have the highest hardness as Hv of 2349.8, It was analyzed that temperature processing give much influences on hardness.

      • 수목 존치 방목지와 주변 활엽수림의 임분 구조와 임목 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강성기(Sung-Kee Kang),양희문(Hee-Moon Yang),김지홍(Ji-Hong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이 연구는 산림확립 기원이 같지만, 수목 존치 후, 방목을 목적으로 목초지 조성을 위해 많은 임목을 벌채한 방목지와 산림이 조성된 후 자연적인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방목지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수종 구성 및 임목 제원을 파악하고, 임목의 생육상태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br/> 1. 임목 존치 방목지와 산림지역에서는 각각 9개의 교목수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 중 7개 수종이 방목지와 산림지역 모두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밀도 및 출현빈도 등 수종구성의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br/> 2. ha당 임목수는 방목지역이 71본, 산림지역이 1,433본으로 큰 차이를 보였고, 임목들의 연륜폭과 생장상태를 고려할 때 1996년의 벌채당시 생장이 좋았던 우량목만을 잔존시켰던 것으로 예측되었다.<br/> 3. 방목지에서 임목의 평균직경과 평균수고 및 흉고단면적은 주변 활엽수림의 임목보다 높았으며, 재적 생장의 경우, 방목지는 높은 평균직경과 평균수고에도 불구하고, ha당 재적이 주변 활엽수림의 15%에도 미치지 못했다. <br/> 4. 방목지는 잔존목들에게 충분한 생육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직경 및 흉고단면적 생장을 양호하게 이끌었지만, 임목들의 계신(繼伸)에 의한 수관폭 확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향후의 연구에서는 ha당 적정 잔존 본 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b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species composition, stand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for two different sites in which silvopastoral system has been taking place. One site was the pasture area where a number of trees were removed and grasses were planted for cattle grazing, and the other site was the deciduous forest that has been established by ecological succ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br/> 1. Nine tree species were present equally in the pasture area and the deciduous forest. Of these species, seven tree species were growing in common for two sites. However, the species composition, including density and frequency, was varied by sites.<br/> 2. The number of stems per hectare in the pasture area was 71, and that in the deciduous forest was 1,433, having shown the big difference. It is estimated that, considering the growth rate, better grown trees were remained at the time of harvesting in 1996. <br/> 3. The growth of diameter, height, and basal area in the pasture area was superior to that in the nearby deciduous forest. In spite of higher values of diameter and height, the timber volume of pasture area per unit area was less than 15% of that in the deciduous forest.<br/> 4. Providing sufficient growing space, the pasture area supported higher values of diameter and height. The wider growing space also had influence on the expansion of crown of trees by the result of deliquescent growth pattern. From this point of view, more research would be needed to establish appropriate number of trees for silvopastoral system.<br/>

      • KCI등재

        Web환경의 편집 방법 중 캘리그래피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강성기(Sung-Gi K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5 No.4

        그 동안 모니터-환경에서의 타이포그래피의 적용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였고, 또 그 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지면출력을 위한 편집디자인이 아닌 Web환경에서의 가상공간의 편집디자인은 그 프로그램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적용되는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였다.<br/>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Web상황에 타이포그래피을 적절히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리서치를 통한 Web상황에서의 바람직한 타이포그래피의 적용방법과 타이포그래피의 적용 한계점을 알아보고 그것에 대한 대체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The research on applying of Typography has been active in a Monitor-environment, and the results have been used in designs. But editing design in imaginary space in the Web environment is still using the applying way in the program's allowed extent instead of editing design for print outs.<br/> In this treatise, we will look into appropriate method to apply typography under the Web environment through research, and limitation of applying typography as a method to apply typography into the Web environment appropriately, and discuss the alternative for it.

      • KCI등재

        무산소성 역치시점 추정방안에 대한 연구: 환기역치와 EMG 방법의 실증적 비교

        강성기 ( Seoung Ki Kang ),엄한주 ( Han Joo Eo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EMG에서 생성되는 신호의 평균진폭에 대해 최소자승법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기울기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시점을 찾는 방법 (LSEMG), 그리고 평균진폭에 대한 그래프의 곡선상 면적을 적분하여 각 구간의 증가된 면적차이가 크게 증가하는 시점을 찾는 방법 (ICEMG)으로 무산소성 역치를 객관적 기준에 의해 판단하고 EMG를 이용한 방법의 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V-slope 방법에 의한 환기역치(VT)와 비교 분석을 통해 EMG에서 생성되는 전 구간의 신호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무산소성 역치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추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60명(일반인 30명, 대학운동선수 30명)이었으며, 자료처리는 SPSS 11.0 program을 이용하여 모든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일반인과 운동선수의 VT와 LSEMG, 그리고 VT와 ICEMG의 역치시점 시간의 평균차이의 검증은 two-way(2(RG)×3(RM)) ANOVA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G-이론 모형을 이용하여 피험자(p), 추정방법(m)을 국면(facet)으로 설정한 교차설계로 분산성분 추정치를 통해 각 오차원의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하였다. 환기역치와 EMG 역치 추정 방법에 따른 변화시간의 타당도 평가를 위해 상관분석(Pearson`s r)과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환기역치와 LSEMG, ICEMG에 의한 역치 시점이 매우 유사하였고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도 매우 유의하였다. 특히 일반인의 LSEMG 역치 시점은 운동선수들의 역치 시점보다 환기역치와 다소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그리고 Bland-Altman plot 결과에서도 일반인과 운동선수의 모두 신뢰 구간 내에 자료가 포함되어 타당도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분산성분 추정치 결과에서 오차의 대부분이 피험자에 의한 요소였으며, 운동선수의 경우 측정방법에 의한 오차가 8.23%, 일반인은 1.13%로 측정방법에 의한 오차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EMG에 의한 객관적 역치 추정 방법은 V-slope 방법에 의한 환기역치 추정방법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실용적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alternative approaches to estimate anaerobic threshold(AT). In the related literature, ventilation threshold method(VT) has been commonly used to estimate AT, but some authorities and several researches in this field have pointed out the possibility of EMG for the same purpo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arability and validity of EMG results with that of VT in estimating AT. Empirical results obtained by employing the least square and integral calculus algorithms, attached to Matlab (Version 6.5) and MS Excel (Version 2003), were utilized to examine the EMG mean amplitude in order to pin point the steepest slope and a maximum increase in the amount of area under the amplitude, respectively. A total of 60 subjects(30 normal people and 30 university athletes) were volunteered and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mean values of time taken at changing point between the groups and methods using factorial ANOVAs, and the sources of variability were decomposed using the variance component analysis. Furthermore, the correlational analyses and Bland-Altman approach were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btained from different methods of estimation. A similar result was obtained when compared the proportion of variance components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methods in each group(8.23% for university athletes and 1.13% for normal group).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rom the results attained in these analyses. 1. The results of EMG methods were highly comparable with those of VT in general, indicating that the EMG, which is a simple and less-restricted conditions in testing procedure, could be replaced for VT method in estimating AT. 2. The result of least square fitting method was slightly better and more agreeable than the integral calculus method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 of VT, but this result could be limited to the conditions of this study perse.

      • KCI등재

        2012년 런던올림픽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경기기술 내용분석

        강성기(Seoung Ki Kang)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4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스포츠 코드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012년 런던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국가대표 남.여 유도선수 의 경기기술 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2년 런던올림픽에 출전한 국가대표 남.여 유도선수 의 경기(총 35경기)로 선정하였으며, 남자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경우 모든 체급 경기(총 29경기)를 분석하였고, 여자 국가대표 유도선수의 경우 -63kg, -70kg(총 9경기)의 두 체급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국가대표 남자 유도선수 의 체급별 주 사용기술을 살펴보면, -66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26.8%), 허벅다리걸기(16.4%), -73kg선수는 배대뒤치 기(23.7%), 양팔업어치기(11.8%), 한팔업어치기(11.8%)가 주요한 기술로써 손기술과 다리기술을 균형 있게 사용하고 있었다. -81kg선수는 발목받치기(29.3%), 양팔업어치기(19.0%), 안다리후리기(19.0%)를 사용하고 있어 주요기술을 다 리기술과 손기술을 함께 사용했지만 다리기술의 사용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60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50.0%), -90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25.0%)와 외깃업어치기(25.0%), -100kg선수는 양팔업어치기(15.0%)와 외깃업어치기 (15.0%)의 손기술만을 주요 기술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100kg선수는 모두걸기(30.8%)로 다리기술을 주요기술로 사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대표 여자 -63kg선수는 밭다리 걸기(28.2%)의 기술빈도가 가장 높았고, -70kg선수는 모 두걸기(38.2%), 안다리후리기(35.3%)의 기술빈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기술패턴을 분석한 결과 국가대표 남.여 유도 선수 모두 연결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잡기의 상황에서 한 가지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체급별로 선수가 사용하는 주된 기술에는 차이를 보였으며, 남.여 선수 모두 연결기술은 사용하 지 않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a Judoist`s technic frequency and contents using sports code program in KOREA national team who were participated on 2012 London Olympic. Subjects were selected by total thirty-five games, incase of male was analysed twenty-nine games and woman was nine games(-63kg, -70kg). Results as follow; first, male judoist(-66kg) of major technic used both hand and foot in balanced such as, Morote-Seoi-Nage(26.8%), Uchi-Mata(16.4%) and 73kg judoist was Tomoe-Nage(23.7%), Morote-Seoi-Nage(11.8%), Ippon-Seoi-Nage(11.8%). -81kg judoist used Sasae-Tsuri-komi-Ashi(29.3%), Morote-Seoi-Nage(19.0%), Oh-Uchi-Gari(19.0%), using foot techniques showed higher than hand techniques. -60kg judoist used Morote-Seoi-Nage(50%), -90kg judoist used Morote-Seoi-Nage(25%) and Yama-Seoi-Nage(25%), -100kg judoist used mostly hand techniques such as Morote-Seoi-Nage(15%) and Yama-Seoi-Nage(15%). Also, +100kg judoist used mostly foot techniques such as Okuri-Ashi-Harai(30.8%). Whereas in case of woman, -63kg woman was most high frequency on Oh-Soto-Garhi(28.2%) and -70kg woman was high frequency on Oh-Uchi-Gari. There was not used linking technique according to analysis the techniques patten in all judoist, and both male and woman used only one technique during Kumi-Kata. These results means that there was showed difference major techniques according to weight class, all judoist was not used linking technique.

      • KCI등재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에 대한 연구

        강성기(Kang, Seong-gi),정광중(Jeong, Kwang-Jo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를 사례로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리 밭담은 대부분 외담이면서 곡선형이 많고, 최근에 시멘트 밭담이 출현하고 있 다. 둘째, 밭담의 높이는 입지에 따른 특징이 있고, 밭담의 길이는 현장조사와 수치지적도를 통해서 16.514km(두 농 업 지구)로 산출되었다. 셋째, 하도리 농가들은 현재까지도 밭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데 이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서도 밭담의 지속가능한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밭담의 지속가능한 보전 방안은 밭담 친환경적인 농업환경 개 선, 마을별 밭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밭담의 변형과 축조 시 지정된 조례에 의한 시행, 지역주민에게 밭담의 가치 인 식을 위한 홍보 및 교육 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existing forms and farmers’perception of the agricultural dry stonewalls under agri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case of Hado-ri, Gujwa-eup, Jeju Provi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 Hado-ri are most external walls, many of which are curvy. Concrete walls have recently shown up to enclose fields. Second, the height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var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ir length was calculated 16.514km(two farming region) based on a field survey and numerical cadastral maps. Third, farmers in Hado-ri perceive a great need for agricultural dry stonewalls. This means that agricultural dry stonewalls have a sustainable value despite rapid social change. Fourth, the methods for the sustainable preservation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volve improving eco-friendly agricultural environment for the stonewalls, building database by village about them, carrying out their transformation and building according to promulgated ordinances, promoting the value of the stonewalls to Jeju citizens, and educating them to perceive the value of the stonewalls.

      • KCI등재

        문화경관으로서 제주 밭담의 의미 탐색

        강성기 ( Seong Gi K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3

        문화경관은 인간이 자연을 접하는 과정에서 창출된 의미체로서, 자연 속에서 인간이 생존해 온 자취를 가장 잘 보여주는 특징적인 가치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의 다양한 문화경관 중 밭담을 문화경관으로서의 의미와 가치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밭담은 제주도가 화산섬이라는 지역성과 깊게 연관되어 존재하는 경관요소이다. 둘째로, 밭담은 강한 바람의 영향에 적응한 제주주민들의 지혜와 함께 공동체적 삶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경관요소이다. 셋째로, 밭담은 오랜 세월 동안 이어온 지속가능한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넷째로, 밭담은 그것이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현무암뿐만 아니라 퇴적암(층)과 조면암 등을 활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로, 밭담은 농경지와 농경지 사이를 구분 짓는 경계 기능을 통하여 특정지역의 토지이용의 변화상을 살필 수 있는 지표로 작용한다. 따라서 제주의 밭담은 제주를 대표하는 문화경관으로서 제주의 지역성을 이해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문화 유산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The cultural landscape has been regarded as a characteristics value showing the trace of every human being`s survival in the nature as well as a meaningful object created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beings. This study focuses on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field walls in Jeju Island as the cultural landscape among many 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walls are a type of landscape existing due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as a volcanic island. Second, the field walls show the wisdom and communal living shown by the people living in Jeju Island, who have become accustomed to the influence of the strong wind. Third, the field walls hold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which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Fourth, the field walls show the utilization of basalt, sedimentary rock (layers) and trachyte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field walls are located. Fifth, the field walls work as the indicato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land use pattern of a specific region through the boundary function to devide between farmlands. Therefore, the field walls in Jeju Island possess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bsolutely required for understand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ju Island 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landscape of Jeju Is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