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목 존치 방목지와 주변 활엽수림의 임분 구조와 임목 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강성기(Sung-Kee Kang),양희문(Hee-Moon Yang),김지홍(Ji-Hong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이 연구는 산림확립 기원이 같지만, 수목 존치 후, 방목을 목적으로 목초지 조성을 위해 많은 임목을 벌채한 방목지와 산림이 조성된 후 자연적인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방목지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수종 구성 및 임목 제원을 파악하고, 임목의 생육상태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br/> 1. 임목 존치 방목지와 산림지역에서는 각각 9개의 교목수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 중 7개 수종이 방목지와 산림지역 모두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밀도 및 출현빈도 등 수종구성의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br/> 2. ha당 임목수는 방목지역이 71본, 산림지역이 1,433본으로 큰 차이를 보였고, 임목들의 연륜폭과 생장상태를 고려할 때 1996년의 벌채당시 생장이 좋았던 우량목만을 잔존시켰던 것으로 예측되었다.<br/> 3. 방목지에서 임목의 평균직경과 평균수고 및 흉고단면적은 주변 활엽수림의 임목보다 높았으며, 재적 생장의 경우, 방목지는 높은 평균직경과 평균수고에도 불구하고, ha당 재적이 주변 활엽수림의 15%에도 미치지 못했다. <br/> 4. 방목지는 잔존목들에게 충분한 생육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직경 및 흉고단면적 생장을 양호하게 이끌었지만, 임목들의 계신(繼伸)에 의한 수관폭 확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향후의 연구에서는 ha당 적정 잔존 본 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b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species composition, stand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for two different sites in which silvopastoral system has been taking place. One site was the pasture area where a number of trees were removed and grasses were planted for cattle grazing, and the other site was the deciduous forest that has been established by ecological succ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br/> 1. Nine tree species were present equally in the pasture area and the deciduous forest. Of these species, seven tree species were growing in common for two sites. However, the species composition, including density and frequency, was varied by sites.<br/> 2. The number of stems per hectare in the pasture area was 71, and that in the deciduous forest was 1,433, having shown the big difference. It is estimated that, considering the growth rate, better grown trees were remained at the time of harvesting in 1996. <br/> 3. The growth of diameter, height, and basal area in the pasture area was superior to that in the nearby deciduous forest. In spite of higher values of diameter and height, the timber volume of pasture area per unit area was less than 15% of that in the deciduous forest.<br/> 4. Providing sufficient growing space, the pasture area supported higher values of diameter and height. The wider growing space also had influence on the expansion of crown of trees by the result of deliquescent growth pattern. From this point of view, more research would be needed to establish appropriate number of trees for silvopastoral system.<br/>

      • 향로봉 일대 천연림의 산림 피복형 분류

        정상훈 ( Sang Hoon Chung ),황광모 ( Kwang Mo Hwang ),강성기 ( Sung Kee Kang ),임선미 ( Seon Mi Lim ),김지홍 ( Ji Hong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향로봉 일대는 한국전쟁 당시 격전지로서 식생의 파괴가 매우 심했던 곳이지만, 휴전 후 반세기 동안 인위적인 교란 없이 자연적인 천이과정을 거쳐 현재의 산림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독특한 산림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인위적 교란을 받은 산림의 피복유형을 분류하고, 피복유형 분류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수종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점표본법으로 수집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계층적 군집분석, 지표종분석, 다중판별분석 등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이용하여 식생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를 2~10개의 클러스터로 분류하였고, 지표종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지의 적정클러스터 수는 5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중판별분석을 실시하였고, 91.3%가 정확하게 분류되어, 연구대상지 산림 피복형의 개수는 5개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클러스터 상층의 우점수종 비율에 따라 신갈나무순림, 신갈나무림, 신갈나무-잣나무림, 신갈나무-피나무림, 신갈나무-음나무-거제수나무림으로 산림 피복형을 명명하였으며, 신갈나무의 점유비율이 산림 피복형 명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Hyangnobong area was a battlefield during the Korean War and where the forest vegetation had been severely destroyed. However, this forest has a distinctive forest structure that has been maintaining a current forest condition following the natural succession process for a half century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forest cover types formerly disturbed forest and recognize the species which has a strong influence on classifying forest cover types. The collected vegetation data by point quarter sampling method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indicator species analysis (ISA), and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MDA).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2 to 10 clusters and ISA indicated that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s was five. MDA was taken to test the number of cluster that classified with HCA and ISA. The five clusters were most appropriate to the overall successful classification with the 91.3 % of probability. The classified forest cover types were named by the ratio of the dominant species in the upper layer of each cluster; Quercus mongolica pure forest, Q. mongolica forest, Q. mongolica-Pinus koraiensis, Q. mongolica-Tilia amunensis, and Q. mongolica-Kalopanax septemlobus-Betula costata. The compositional ratio of Q. mongolica had an important effect to designate forest cover types.

      • KCI등재
      • KCI등재

        천연활엽수림의 경영대상 수종 선정 및 구성비율 추정

        양희문(Hee Moon Yang),강성기(Sung Kee Kang),김지홍(Ji Hong Kim) 한국산림과학회 200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0 No.4

        Based on the community structural attribute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diameter and height distribution, topographic 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Gari area, this study suggested desirable species and composition ratio to achieve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s so as to maintain forest stability and enhance economical valu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wenty-five tree species were growing in the study forest. Of these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Juglans mandshurica, Quercus serrata, Cornus controversa, Acer mono, Fraxinus rhynchophylla, and Tiha mandshurica were selected for desirable species through the evaluation of dominant and dominant potential. Kalopanax pictus, considered to be highly valuable species, was also included. 2. Taking account of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pattern by topographic positions, we select as desirable species of J. mandshurica, C. controversa, Q. mongolica, A. mono, T. mandshurica, and F. rhynchophylla in the valley area, Q. mongolica, Q. serrata, A. mono, T. mandshurica, F. rhynchophylla, and K. pictus in the mid-slope area, and Q. mongolica, P. densiflora, Q. serrata, and Fraxinus rhynchophylla in the ridge area. 3. Based on the estimation of species diversity index for the overstory components, the reasonable forest stability levels of the indices were estimated at 1.96, 1.68, 1.94, and 1.27 for whole forest, valley, mid-slope, and ridge, respectively. 4. The recommended species composition ratios in the study forest were suggested Q. mongolica to be 30%, A. mono, F. rhynchophylla, Q. serrata, and T. mandshurica to be 10%∼15%, J. mandshurica, P. densiflora, and C. controversa to be 5%∼10% , and K. pictus to be 5%.

      • 추이행렬 모델에 의한 수종 구성 변화를 중심으로 천연활엽수림의 천이 경향 추정에 관한 연구

        황광모 ( Kwang Mo Hwang ),임선미 ( Seon Mi Lim ),강성기 ( Sung Kee Kang ),박고은 ( Go Eun Park ),김지홍 ( Ji Hong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가리왕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수행한 선행 연구에서 분류된 5개의 산림군집에 대하여 미래 수종 구성의 변화를 바탕으로 천이 경향을 추정하였다. 미래의 수종구성 변화의 예측은 Markov chain의 수학적 이론을 응용한 추이행렬모델을 이용하였다. 식생 표본구내에서 상층 우세목의 아래에서 생육하는 하층목에 의해서 세대가 교체될 것이라는 가정적 확률을 바탕으로 수종 구성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각 군집의 미래 수종 구성 변화를 예측한 결과, 신갈나무군집에서는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팥배나무가 상층을 우점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신갈나무-들메나무-물푸레나무군집에서는 고로쇠나무, 피나무, 물푸레나무, 복장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박달나무-신갈나무군집에서는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난티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중생혼합림에서는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복장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거제수나무-난티나무 군집에서는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모든 군집의 중층에서는 당단풍나무의 우점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현재 각 군집에서 상층을 우점하고 있는 신갈나무, 거제수나무, 박달나무의 우점은 줄어들고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등의 수종이 우점하는 군집으로 발달해 갈 것으로 예측된다. For 5 forest communities which were previously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Gariwangsan area, the successional trend was estimated from the change of species composition by transition matrix model. The model was modified from mathematical theory of Markov chain, examining the subsequent process of tree-by-tree replacement by understory saplings for the dominant canopy trees. Dominance of A. pictum subsp. mono, F. rhynchophylla, T. amurensis, and S. alnifolia was predicted to increase in overstory of Q. mongolica community. In Q. mongolica - F. mandshurica - F. rhynchophylla, dominance of A. pictum subsp. mono, T. amurensis, F. rhynchophylla and A. mandshuricum was predicted to increase in overstory. Dominance of A. pictum subsp. mono, F. rhynchophylla, T. amurensis, and U. laciniata was predicted to increase in overstory of B. schmidtii - Q. mongolica community. In Mixed mesophytic community, dominance of A. pictum subsp. mono, F. rhynchophylla, T. amurensis and A. mandshuricum was predicted to increase in overstory. Dominance of A. pictum subsp. mono, F. rhynchophylla and T. amurensis was predicted to increase in overstory of B. costata - U. laciniata community. Dominance of A. pseudosieboldianum was predicted to increase abruptly in midstory of all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