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 공주지역 소나무림과 상수리나무림의 지상부와 뿌리에 의한 탄소고정

        강길남 ( Kil Nam Kang ),박관수 ( Gwan Soo Park ),이상진 ( Sang Jin Lee ),이항구 ( Hang Goo Lee ),김연태 ( Yeon Tae Kim ) 한국환경보건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09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2 No.6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contents in an average 37-years-old Pinus densiflora plantations and an average 42-years-old natural Quercus acutissima stands in Gongju, Chungnam Province. Average carbon concentration in stemwood, stembark, branch, foliage, and root were 54.59% in Pinus densiflora and 53.73% in Quercus acutissima stands. Aboveground carbon contents was estimated by the equation model logWt = A + BlogD where Wt is oven-dry weight in kg and D is DBH in cm. Total carbon contents was 79.28tjha in Pinus densiflora stands and 71.52tjha in Quercus acutissima stands. Net primary carbon production was estimated at 9.79tCjhajyr in Pinus densiflora stands and 5.52tC/ha/yr in Quercus acutissima stands.

      • KCI등재후보

        충남 공주지역 잣나무림과 낙엽송림의 지상부와 뿌리에 의한 탄소고정

        강길남(Kil-Nam Kang),박관수(Gwan-Soo Park),이상진(Sang-Jin Lee),이항구(Hang-Goo Lee),김준성(Jun-Sung Kim),김연태(Yeon-Tae Kim)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0 농업과학연구 Vol.37 No.1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contents in an average 40-years-old Pinus koraiensis plantations and an average 37-years-old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in Gongju, Chungnam Province. Average carbon concentration in stemwood, stembark, branches, needles, and root were 54.31% in Pinus koraiensis and 53.49% in Larix leptolepis stands. Carbon contents was estimated by the equation model logWt=A+BlogD where Wt is oven-dry weight in kg and D is DBH in cm. Total carbon contents was 103.38tC/<SUP>ha</SUP> in Pinus koraiensis stands and 96.59tC/㏊ in Larix leptolepis stands. Net primary carbon production was estimated at 8.79tC/㏊/yr in Pinus koraiensis stands and 11.42tC/<SUP>㏊</SUP>/yr in Larix leptolepis stands.

      • KCI등재

        수확 후 산채류의 미생물 제어를 위한 이산화염소수와 유기산 및 Blanching 병합 처리

        강지훈(Ji Hoon Kang),박신민(Shin Min Park),김현규(Hyun Gyu Kim),손현정(Hyun Jung Son),이가연(Ka Yeon Lee),강길남(Kil-Nam Kang),박종태(Jong Tae Park),송경빈(Kyung Bin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2

        수확 후 산채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정된 산채류인 취나물과 곤드레에 이산화염소수와 유기산 용액 병합 처리 및 이산화염소수, 유기산 용액, blanching 병합처리 후 미생물 제어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0.5% citric acid 용액의 병합 처리는 취나물과 곤드레의 총 호기성 세균 수를 2.80~3.64 log CFU/g, 효모 및 곰팡이 수는 2.02~2.67 log CFU/g 감소시켰다. 50 ppm이산화염소수와 0.5% fumaric acid 용액의 병합 처리 후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3.62~3.82 log CFU/g 감소하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의 경우에는 2.47~3.02 log CFU/g 만큼 감소하여 이산화염소수와 citric acid 용액의 병합 처리보다 fumaric acid 용액과의 병합 처리가 더 효과적인 병합 처리 조건이라고 생각된다. 이산화염소수와 fumaric acid 병합 처리 후 blanching 처리된 취나물의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보다 5.12 log CFU/g 더 낮게 검출되었으며,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다. 곤드레의 경우에도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4.59 log CFU/ g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이산화염소수와 유기산 용액 전처리 후 blanching 병합 처리가 산채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To improv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wild vegetables after harvest, Aster scaber and Cirsium setidens Nakai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s of 50 ppm aqueous chlorine dioxide (ClO₂)/0.5% citric acid or fumaric acid, and 50 ppm ClO₂/0.5% fumaric acid/blanching at 90°C for 2 min. Combined treatment of 50 ppm ClO₂ and 0.5% citric acid reduced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s in Aster scaber and Cirsium setidens Nakai by 2.80∼3.64 and 2.02∼2.67 log CFU/g,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Combined treatment of 50 ppm ClO₂ and 0.5% fumaric acid reduced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s populations by 3.62∼3.82 and 2.47∼3.02 log CFU/g,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combined treatment of ClO₂ and fumaric acid was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microorganisms in the wild vegetables than either ClO₂ or citric acid. In addition, combined treatment of ClO₂/fumaric acid/blanching reduced the popul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by 4.59∼5.12 log CFU/g, and populations of yeast and molds were not detected by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bined treatment of ClO₂/fumaric acid/blanching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microbiological safety of wild vegetables after harvest.

      • KCI등재

        밤나무 종실에 발생하는 탄저병균의 분리 및 친환경적 방제

        김영재,강길남,김종우,김영명,이상현,홍석일,이재준,이현수,김영권,박인서,조용구,Kim, Young-Jae,Kang, Kil-Nam,Kim, Jong-Woo,Kim, Young-Myung,Lee, Sang-Hyeon,Hong, Suk-Il,Lee, Jae-Jun,Lee, Hyun-Su,Kim, Young-Kwon,Park, In-Seo,Cho, Yong-Gu 한국유기농업학회 2013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1 No.4

        본 실험에 사용한 C. gloeosporioides는 밤나무 재배단지에서 탄저병 증상을 보이는 밤나무 종실로부터 분리하였고, ITS 영역 유전자의 염기서열 및 형태하적 분석을 통하여, C. gloeosporioides로 동정하였다. 병원성 검정실험에서, 80% Eucalyptus oil 및 B. subtilis GG95 10배액 처리구가 C. gloeosporioides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였고, 최종배합은 Eucalyptus oil 40%, B. subtilis GG95 40% 외 제제화용 첨가제 20%로 하였다. 2012년도 포장실험에서, 자봉 품종 시제품 500배 4회 처리구의 방제가는 무처리구 대비 60.9%로 조사되었고, 2013년도 포장실험에서, 자봉 품종의 방제가는 250배 처리구가 71.2%로 가장 높았다. 조생종 및 중생종보다 만생종에서의 방제가 69.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착과이후 종실이 작을 때부터 약제 처리를 하면, 방제가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장 500배 4회 처리후 수확물인 조생종 단택에서는 $4^{\circ}C$ 저장에서의 방제효과는 약 61.9%로 조사되었고, $25^{\circ}C$ 저장에서의 방제효과는 63.2%의 방제가로 조사되었고, 실내 단태 품종에 대한 방제가는, 250배에서 81.16%, 500배에서 75.36%로 측정되었으나, 1000배의 효과는 낮은 편이므로, 최소한 500배 이상의 처리가 필요시 된다.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밤나무 종실에 발생하는 탄저병을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착과 이후 개발제품을 500배 희석농도로 4회 경엽처리하고 수확후 250배로 침지 처리한 후 저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acquir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pathogen that causes anthrax to chestnut, anthrax was separate and identified in Gongju, chungnam chestnut plantation. Antagonistic microorganisms and plant extracts were selected for control of anthrax. Medium maturing variety treatment of 250 dilution fold in field was control at 71.2% and treatment of 500 dilution fold was control at 64.4% and treatment of 1000 dilution fold was control at 40.7%. Storage control value of Jabong in $25^{\circ}C$ after treatment in field is 61.7% at 250 dilution fold, 62.8% at 500 dilution fold, 40.9% at 1000 dilution fold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밤 가공 부산물의 반추가축용 사료 가치 평가

        정신용(Sin-Yong Jeong),조현선(Hyeon-Seon Jo),박기수(Gi-Su Park),강길남(Gil-Nam Kang),조남철(Nam-Chul Jo),서성원(Seongwon Seo)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2012 농업과학연구 Vol.39 No.3

        밤의 가공과정에서 임업 부산물로 생산되는 율피(밤껍질)는 밤 생산량의 50%를 차지하며, 사료비 저감을 위한 반추동물의 사료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밤의 가공 부산물인 1, 2차 율피의 반추동물용 사료로서의 영양적 가치와 반추위 발효 특성을 분석하기 하기 위해 1, 2차 율피의 영양소를 분석하고, 48시간 동안 in vitro 반추위 발효 실험을 실시하여 율피의 첨가 수준에 따른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 및 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In vitro 실험의 기본 사료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유산양 TMR을 이용했으며, 기본 사료와 1차 율피 및 2차 율피의 비율을 달리하여 13개의 처리구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2차 율피 100%, 1차 율피 100%, 2차 율피와 1차 율피의 1:1 혼합구, TMR 100% 및 TMR을 2차 율피, 1차 율피 또는 1, 2차 율피 혼합으로 각각 5%, 10%, 15% 대체한 처리구이다. 율피의 일반 성분분석에서 1차 율피는 2차 율피에 비해 섬유소(NDF, ADF, 리그닌) 함량이 전체적으로 높고 이에 따라 비섬유소탄수 화물의 함량은 낮으나, 그 외의 영양소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n vitro 반추위 건물 소화율은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71.97%)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42.80%)가 가장 낮았다. 2차 율피의 첨가 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건물 소화율은 변화가 없었으며, 1차 율피의 첨가에 따라서는 소화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스 발생량은 2차 율피처리구에서 48시간 가스 발생량 및 발생 속도가 가장 높았고, 1차 율피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TMR을 율피로 15%까지 대체하였을 때 가스 발생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pH 또한 유의적으로(p<0.05) 2차 율피(6.33)에서 가장 낮았고, 1차 율피(6.50)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2차 율피는 반추동물의 사료 자원으로서 이용가치가 충분히 있으며, 1차 율피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료가치가 떨어지나 조사료를 일부 대체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율피의 사료 가치를 보다 올바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물을 이용한 in vivo 대사, 소화, 성장 및 기호성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hestnut, 50% of biomass is produced as chestnut shell (CS) or chestnut hull (CH), a forestry by-product. Due to its high fiber content and economic benefit, there is a possibility of using chestnut hull as a supplement for a ruminant diet. Few studies, however, have been conducted on evaluating nutritive value of chestnut hull for ruminant anim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hus to analyze chemical composition of CS, a by-product after the first processing of chestnut, and CH, a by-product after the second processing, and access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m. For the in vitro fermentation using strained rumen fluid obtained from a fistulated Hanwoo steer, commercial total mixed ration (TMR) for dairy goat was used as a basal diet and was replaced with different proportions of chestnut shell and hull. A total number of 13 treatment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100% TMR, 100% CS, 100% CH, a mix with 50% CS and 50% of CH (MIX), TMR replaced with 5%, 10%, or 15% of CS, CH, or MIX, respectively. For each treatmen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pH after 48 hours of rumen fermentation were measured. Gas production at 6, 12, 24, 48 hours of incubation was also analyzed. Compared to CH, CS contains higher level of fiber (NDF, ADF, lignin) and consequently has a lower amount of non-fiber carbohydrate,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ther nutrients (i.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IVDMD was significantly (p<0.05) the highest in 100% CH (71.97%) and the lowest in 100% CS (42.80%). Addition of CH by replacing TMR did not affect IVDMD, while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CS tended to decrease IVDMD. The total gas production after 48 hours of incubation and the rate of gas production were also the highest in 100% CH and the lowest in 100% CS (P<0.05). Likewise, the pH after 48 hours of fermentation was significantly (p<0.05) the lowest in 100% CH (6.33) and the highest in 100% CS (6.50),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as production was observed when TMR was replaced with CS or CH up to 15% (P>0.05). In conclusion, CH may successfully be used for a supplement in a ruminant diet. The nutritive value of CS is relative low, but can replace, if not 100%, low quality forage.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nutritive value of CS and CH. An in vivo trials, however, is needed for conclusively accessing the nutritive value of CS and CH.

      • KCI등재

        참취 데치기 최적 공정 확립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변화

        조현선(Hyeon Seon Jo),하유진(Yoo Jin Ha),김연태(Yeon Tae Kim),강길남(Gil Nam Kang),유선균(Sun Kyun Yoo)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참취의 데치기 최적 공정 조건을 확립하고 조건마다 생산된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DPPH를 분석을 수행하여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데치기 최적공정은 시간 과 온도를 요인으로 하여 표면반응분석법으로 수행을 하였다. 데치기 공정 후에 추출물을 제조하여 데치기가 총 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데치기 시간 및 온도 범위에서 총 페놀 함량의 범위는 13.00 - 35.48 mg/g 이고 최대예측 총 페놀함량은 35.48 mg/g, 플라보노이드는 함량의 범위는 2.35 - 8.38 mg/g 이고 최대 예측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38 mg/g, DPPH 라디칼 소거능의 범위는 42.10 - 67.14%이고 최대 예측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7.14%로 측정 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의 변화는 데치기 시간 보다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의 경향을 보면 데치기 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데치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총 항산화능은 데치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aster scaber antioxidative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during the blanching processes. With two parameters such as blanching time and temperatur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study the combined effect of blanching time (90 to 162 sec) and blanching temperature (75 to 99℃). We found that antioxidative activity,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during the blanching processes were influenced by blanching temperature and time. Within process condition,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extracted 3.00 - 35.48 mg/g and 2.35 - 8.38 mg/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42.10 – 67.14%. The change of total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dependent of blanching temperature more than time.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increased as temperature rise, but flavonoids not. Howev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during the blanch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