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파주 普光寺의 역사와 위상

        황인규 대각사상연구원 2009 大覺思想 Vol.12 No.-

        The study analyzes documents concerning the Bokwang-temple in Paju city to define its history and status. Basic collection of the history of Bokwang-temple was accomplished by collecting related documents and finding new documents about the temple. Bokwang-temple was founded by a master monk, Doseon to pray for the prosperity of the country and the temple was called the Goryoung-temple. Later, it was renamed Bokwang-temple.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 of the temple was to manage the royal tomb and pray peace for Sookbin-Choi, the mother of King Youngjo, in the Choseon Dynasty. King Jeongjo constructed Hwaseong Fortress and Yongju-temple to pray for the happiness of his parents. It was inspired by Bokwang-temple, the royal tomb temple of Soryongwon built by his grandfather, King Youngjo. Bokwang-temple had an appearance similar to royal family temple for King Gojong as well as King Youngjo. One of the disciples of Cheongheo-Hyujeong who restored Buddhism in the mid-Choseon Dynasty, Pyeonyang-Eongee served as a head monk at Bokwang-temple. Later, his disciple, Poonggye-Myoungchal reformed Bokwang-temple, while serving as a head monk at the temple. The temple was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However, it was highly respected as a royal tomb temple by King Youngjo and became one of most important temples in the late-Choseon Dynasty, when Buddhist monks were secluded in mountains thanks to the efforts from the highest monks such as Poonggye-Myoungchal. Additionally, at the end of the Choseon Dynasty, Hwangong-Chijo, along with Bokwang-geosa Yuoon, started the Jeongwon-Gyulsa Movement at Bokwang-temple. After that, they held Buddhist service of Amitabha for the two decades after 1896, and a leader of modern Buddhism, Yongseong-Jinjong practiced at the Dosolam, one of the building at Bokwang-temple. Hence, the Bokwang -temple became a base of the Daegaggyo Movement, a enlightenment movement.

      • 프로젝트 관리툴을 활용한 국가연구개발사업 프로젝트 관리방법

        황인규,이영근,남웅찬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부품개발사업단에서 수행하는 국가R&D 철도차량부품개발사업은 총16개 연구과제로 이루어진 대규모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연구사업 관리방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관리툴을 활용하여 연구과제 계획, 실행, 실적분석 그리고 피드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대규모 국가R&D 연구사업 관리통제 프로세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 관리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신뢰성을 인정받은 마이크로소프트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여 연구과제 범위관리, 프로세스 최적화, 진도관리, 변경사항 추적 등을 포함하는 통합 프로젝트 대시보드 운영과 최적의 사업관리 체계 수립 연구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려후기 儒生의 寺刹讀書

        黃仁奎 한국불교학회 2006 韓國佛敎學 Vol.45 No.-

        Confucian Reading in Buddhist Temples during in the latter Koryo Dynasty Hwing, In-Gyu This study aims to trace Confucian reading books at the Budhist temples during in the latter Koryo Dynasty. But because only a few manuscripts and documents related with buddhist history has been left, I have been very difficulty to find a true history about the Reading at that time. And so, the limits these documents had were so much deep that the understanding about true history of the buddhism itself was very difficulty. Scholar student of Confucianism(儒生) were educated by Sahaks(私學); 12’th -Gongdo(公徒) They took a short lecture course during the summer at tepmples. One more special fact regard the Reading was these students had usually come and gone temples from childhood until Koryo dynasty. This tradition were setting into Choichiwon(崔致遠)’s reading house during Shilla kingdom. It was called Dokseodang(讀書堂) of Haeinsa(海印寺). These tradition had been continued until Koryo dynasty. On conclusion, the writer think, scholar student of Confucianism(儒生) were used to read by temple during Koryo dynasty. These trends were originated theme the dominated Buddhist and it’s society and culture. 사찰에서 독서를 하기 시작한 초유의 모습은 한국 최고의 지식인이라 할 孤雲 崔致遠에서 찾아지는데 그것이 바로 海印寺와 斷俗寺의 讀書堂이다. 그리고 고려말 무인 이성계의 歸州寺의 독서당도 찾아지므로 유생의 사찰독서의 연원은 매우 오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이 땅에 불교가 들어온 이래 불교를 중심으로 하는 儒佛文化의 전통에 기인하는 것이지만 현재 남아 있는 기록들은 대부분 고려후기의 문집류에서 찾아지고 있을 뿐이다. 이에 의하면 의종대의 東山處士 郭輿나 그와 교류했던 淸平居士 李資賢, 원나라 간섭기 動安居士 李承休 같은 居士에게서 사찰이 아닌, 손수 山齋를 짓고 讀書한 것은 오히려 예외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 외의 대부분의 유생은 사찰에 가서 독서를 하였는데, 이는 유생들의 호불적 성향때문이기도 하지만 당시 불교가 정신문화계에서 차지하는 비중때문이라고 하겠다. 특히 무신난 직후 난의 화를 피하여 산중에 은둔한 李仁老林椿 등 江左七賢類의 유생들에서 보듯이 아예 사찰에 가서 독서뿐만 아니라 승려에게 공부를 하였다. 원나라 간섭기 성리학이 수용되면서 자신의 서재를 갖기 시작하였으나 여전히 사찰에서의 독서는 지속되었다. 이는 性理學의 수용에 앞장을 섰던 李穀과 그의 아들 李穡은 曉香會나 契 등의 香徒의 結社體를 결성하여 주도하였고 그들과 어울렸던 吳仝白璘李詹 등 新進士類들도 사찰독서에 참여했다. 특히 고려말 사회개혁에 앞장을 섰던 李崇仁과 吉再 등이나 조선건국에 적극 참여했던 趙浚과 河崙 등의 新進士類의 경우도 사찰에서 독서를 하였다. 이렇듯 사찰에서의 독서하는 전통은 불교가 이 땅에 들어 온 이후 불교를 중심으로 하는 儒佛文化의 단적인 표징이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조선전기 왕실녀의 가계와 비구니 출가-왕자군의 부인과 공주를 중심으로 한 제기록의 검토-

        황인규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7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Buddhist belief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 document that describes the women of a royal family, especially a princess and a wife of prince born of king’s concubine, who became Buddhist nun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was only one case in which a queen became a Buddhist nun, and that was Queen Jeongsun whose family name was Song, the queen of King Danjong. However, she became a Buddhist nun after she was deposed, so we can consider that this was not a case in which a queen of Joseon became a Buddhist nun. Princess Gyeongsun, daughter of King Taejo and Princess Gyeonghye, daughter of King Munjong became Buddhist nuns after they lost their husbands to political upheaval. Among wives of princes born of concubines, the following ladies became Buddhist nuns: Lady Shim, the wife of Grand Prince Uian Bangseok who was a son of King Taejo; Lady Shin, the wife of Grand Prince Gwangpyeong who was a fifth son of King Sejong, and; Prince Youngsun’s Wife Lady Choi, Lady Jeong, the wife of Prince Suchun. Among these, Lady Shim, Grand Prince Uian Bangseok’s wife and Lady Jeong, Prince Suchun’s wife became chief nuns of the Jeongeobwon. Other women in the royal family who became Buddhist nuns seemed to stay at the palace for royal concubines. In general, princesses and the wives of princes do not seem to attain high ranks in Buddhist circles. These nuns stayed at the palace for royal concubines while receiving honorable treatment as women in the royal family and they were buried at a royal tomb or tomb. Those who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to the Jeongeobwon, as a member of the Buddhist circle, stayed at the Jeongeobwon that was authorized by a royal family as a place for practice. Moreover, it is thought that they became chief nuns there to lead the Buddhism of the royal family. The royal nuns seemed to devote themselves to the Buddhism and to become spiritual leaders like king’s advisers or national monks to other Buddhist nuns and bodhisattva. The Jeongeobwon and the palace for royal concubines were a center for the Buddhism of the royal family and the last resort of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This was the biggest obstacle to establish Neo-Confucianism. 본 논문은 조선전기 왕실녀 가운데 왕자군의 부인과 공주의 비구니 출가의 제 기록에 관한 기록을 검토하여 조선전기 불교신행의 실상을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왕후 가운데 비구니로 출가한 사례는 단종의 비 정순왕후 송씨가 유일하다. 하지만 그녀는 폐빈이 되어 출가하였기 때문에 왕후의 신분으로 있으면서 비구니로 출가한 경우는 없다고 하겠다. 공주가 비구니로 출가한 사례는 태조의 딸 경순공주와 문종의 딸 경혜공주가 있다. 정변으로 남편을 잃고 출가한 경우이다. 왕자군의 부인들 가운데 출가한 여성은 태조의 세자 의안대군[소도군]의 부인 심씨와 세종의 5남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 광평대군의 아들 영순군의 부인 최씨, 세종의 아들 수춘군의 부인 정씨 등이 있다. 모두 남편의 죽음 후 비구니로 출가하였다. 그 가운데 의안대군의 부인 심씨와 수춘군의 부인 정씨는 정업원의 주지에 올랐고 그 외에 왕실녀의 비구니는 후궁에 머물렀다. 그들은 후궁에 머무르면서 왕실녀로서 예우를 받았고 죽어서도 왕릉에 묻히거나 묘에 묻혔다. 정업원에 출가한 경우에는 불교계의 일원으로서 비구니도량인 정업원에 머물면서, 혹은 주지를 하면서 왕실불교를 이끌었다. 나아가 억불시책이 전개되는 상황에서도 조선불교를 수호하는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조선초 고승 幸浩와 德源君의 선운사 중창

        황인규 전북사학회 2022 전북사학 Vol.- No.64

        This thesis deals with the reconstruction of Seonunsa Temple in Gochang under the theme of Haengho Geukyu, a monk at Seonunsa Temple in Gochang, and Deokwon-gun, the son of King Sejo. The founding of Seonunsa Temple was re-established under the auspices of Deokwon-gun, the son of King Sejo, the high priest of Seonunsa Temple. It is a very notable fact that Haengho, a monk who is a descendant of monk Muhak, a great monk of King Seongjong of the Joseon Dynasty, rebuilt Seonunsa Temple. They also particip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Geumsansa Temple in Gimje. Monk Haengho was a descendant of monk Muhak and rebuilt Seonunsa Temple with his disciple Jongsim. In addition, it is noteworthy in Buddh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Geunbin Park, the concubine of King Sejo, and his son Deokwon-gun, particip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Seonunsa Temple. In particular, monk Haengoh was a disciple of a monk in Yeongam, a disciple of a monk Muhak. Jongsim, a disciple of the monk Haengho, also particip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Seonunsa Templ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was passed down to Yeongam Ilok, a disciple of monk Muhak, monk Haengho Geukyu, a disciple of Yeongam, and Jongsim, a disciple of monk Haengho. This fact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 as an example of the great rise of Buddhism by monk Muhak who is the king's teach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본 논문은 고창 선운사의 고승 幸浩 克乳와 세조의 아들 德源君이라는 주제로 선운사의 중창불사를 다룬 연구이다. 선운사의 고승 淸風堂 幸浩 克乳의 등장과 그를 후원한 성종의 숙부이자 세조의 아들인 德源君 李曙의 후원으로 성종대에 중창이 이루어진 것이다. 1483년에 작성된 「德源君別願堂禪雲山禪雲寺 重創山勢事跡形止案」등에 의하면 峨眉山 文殊庵에서 無學大師의 제자인 明師 信山和尙과 神僧 日玉을 스승으로 모시고 道號를 幸浩, 법명은 克乳, 당호를 淸風堂라고 하였다. 이 기문에 의하면 무학은 충남 서산 일대에서 문도 玲巖과 信山 함께 활동하였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玲巖比丘創金剛庵碑片에 “王師無學 門人玲巖玉上人”이라고 하여 玲巖 日玉이며 그의 도반인 信山도 역시 문수암에서 무학에게 출가하였다. 그리고 선운사를 중창한 선운사의 고승 幸浩 克乳는 玲巖 日玉의 무학의 법손이었으며, 從諗은 행호의 제자였다. 이와 같이 고창 선운사에서 무학의 문도 玲巖 日玉과 信山, 법손인 幸浩 克乳 그리고 幸浩의 문도 從諗이 선운사의 중창불사를 하였던 것이다. 고려말 삼화상인 나옹 혜근의 대표적 계승자인 무학의 문도 및 문손에 계승된 사실을 처음으로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즉 ①無學 自超→②玲巖 日玉·信山→·③幸浩 克乳→④從諗 등으로 계승된 것이다. 이는 조선전기 숭유억불시기에 지방인 선운사 뿐만 아니라 금산사에서 무학의 문도 및 문손들이 흥법을 폈던 것은 조선불교사에 있어서 매우 주목되는 사실이다.

      • KCI등재

        중앙학교 박민오의 독립운동

        황인규 대각사상연구원 2018 大覺思想 Vol.30 No.-

        This study looks at the life and independence movements of Park Min-oh, a Jungang high school. Park Min-oh is from the central school, a predecessor of Chungang High School, but is known to have graduated from Jungang School, a former graduate of Dongguk University. Park Min-oh is from Namhae-Gun and is Park No-young. He appears to have been promoted from Tongdosa to a Buddhist priest who was given the title of “Min-oh.” He graduated from Myongshin Middle School while staying at Tongdosa. Later, he entered the central school with the introduction of Yoon Chi-oh, who was deeply involved in the governorship and Chung-Ang High School. He went to high school with the help of Kim Seong-su, the founder of Chung-Ang High School. However, the hostess room of Jungang High School was the center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He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of the exercise and joined the Tagol Park as a junior high school leader during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at, he also participated in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at took place in Seoul. He joined forces with Shin Sang-wan, a student of Dongguk University, and Baek Seong-wook, to stage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addition, he participated in publishing secret Newspaper “Hyuksibgongbo”, along with Dongguk University student Kim Bong-shin. And he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secret Newspaper “Jayusinjongbo” with students from Paejae High School. As things got worse, he went to Shanghai with students from the same school, Lim Bong-soon and Dongguk University, Kim Bong-shin, to connect with Ahn Chang-ho, the head of the interim government. He went to the United States via Nanjing, China, when that was not allowed. While staying in the U.S., he wrote articles for local newspapers to break the realities of the Buddhist community, most of whom devoted himself to lectures and writing. He entered a famous university in the U.S. and earned his first doctorate from Harvard University as a priest. He was then called Eastern Mark Twain, reincarnating several literature books. 본 논문은 중앙학교 박민오의 생애와 독립운동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박민오는 중앙고 전신인 중앙학교 출신이지만 동국대 전신인 중앙학림 출신으로 착란되어 연구되고 있다. 박민오는 남해군 출신 박노영으로 통도사에서 출가하여 ‘민오’라는 법명을 받은 듯하다. 박민오는 통도사 부속 명신학교를 다니다가 통도사의 주지 구하와 중앙학교와 관련이 깊은 윤치오의 소개로 중앙학교의 실질적인 (재)창립자인 인촌 김성수에게 인도되어 중앙학교에 다녔다. 박민오는 3·1운동의 책원지로 알려진 중앙학교의 숙직실을 중심으로 3·1운동 준비에 참여하였다. 3·1 학생운동 당시 학년 급장으로서 탑골공원에 주도적으로 함께 하였으며, 그 후에 서울 시내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에도 동참하였다. 박민오는 중앙학림의 총참모 신상완과 중앙학림의 백성욱과 함께 중앙 참모가 되어 3·1운동을 진두 지휘를 하였다. 또한 중앙학림의 김봉신 등과 함께 지하신문인 <革新公報>와 배재고보 학생들과 함께 <자유신종보>의 제작 및 배포에 참여하였다. <혁신공보>의 운영이 어려워지자 박민오는 동급생인 임봉순과 중앙학림 김봉신 등과 함께 상해 임시정부 내무총장이었던 안창호와 연계하는 등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나, 사정이 여의치 않게 되자 중국 남경을 거쳐 미국 뉴욕으로 건너갔다. 그 후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에서 신지식인으로 살다가 생을 마감하였다. 이와 같이 박민오는 통도사 승려로서 현 서울 중앙고인 중앙학교에서 수학하였다. 3·1학생운동을 주도하고 독립운동 지하신문을 제작 및 배포하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한 일제강점기 불교계 독립운동가였다.

      • KCI등재

        경희궁 숭정전과 조동종 조계사․대학선원

        황인규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5 No.-

        This paper covers the history of Jeonggakwon, a Buddhist sanctuary of Dongguk University. The Jeonggakwon temple was established as a Yungjeongjeon, a previous main sanctum of the Gyeongdeokgung Palace by Gwanghaegun, which changed its name in the 3rdyearofKingInjo. Since then, the Gyeongdeokgung Palace change ditsname to Gyeongheegung Palace during theera of King Yeongjo. The Sungjeongjeon is the main hall of the Gyeongheegung Palace. Since King Gojong by storing daedongmi rice and goods in the pavilion of Sungjeongjeon. In particular, palaces including Gyeongbokgung and Changdeokgung were severely damag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Further, Gyeongseong Middle School was established in 1910 and the Sungjeongjeon was used as a classroom up until 1924. Subsequently, the Muryangsusan Jogyesa Temple was built on the hill of Mt. Namsan, where the university is located, and the royal palace of Gyeongheegung and other buildings were sold and relocated. Sungjeongjeon is the main building of the Jogyesa Temple and was used as an office by the chief Buddhist monk. The Jogyesa Temple was called the Ilhan Seonsa of Jodongjong in 1908; however, it later changed its name to Muryangsusan Jogyesa. Satoh, the master of the faction, came back to Japa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nd transferred ownership of the Jogyesa Temple and Gukhwa Kindergarten to Myeonggi Cho, who was a Buddhism scholar; he also moved to the school building in Pildong. Sungjeongjeon was moved to the current position in 1976 and has been used as a Buddhist sanctuary; yet, the Hwanggeonmun Gate was demolished in order to newly build the students hall and its woods were moved to the Muryangsa Temple in Buyeo. Daehak Seonwon, located in the fields of Hakrimgwan Building in the School of Education at Dongguk University, was the former Jeonggakwon, which was established in 1963 and was a center of educating and distributing Buddhism. 본고는 현재 동국대 불교 법당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각원의 역사를 조명한 연구이다. 정각원은 광해군에 의해 경덕궁의 정전인 융정전으로 창건되어 인조 3년 개명된 것이며, 경덕궁은 영조대 경희궁이라 개명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崇政殿은 경희궁의 정전이었다. 정조대 왕이 경희궁에 한 번도 移御하지 않았으며, 순조 29년(1829) 10월에 화재로 융복전 등이 전소되었다. 戶曹와 선혜청의 대동미를 崇政殿 行閣에 보관하는 등 고종대 이후 점차 궁궐로서의 위상을 잃어갔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경복궁과 창덕궁 등 궁궐이 심하게 철훼되어 갔다. 특히 1910년 경성중학교가 세워지면서 숭정전은 1924년까지 교실로 사용되었다. 그 후 본교가 위치한 남산 기슭에는 일본 조동종 사찰인 無量壽山 曹鷄寺가 들어서면서 경희궁의 전각 등이 매입 이건하였다. 숭정전은 조계사 본당으로 회상전은 주지 법무실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이와 아울러 조계사의 정문은 평양 풍경궁의 문인 황건문을 이건되었으며, 해방후 본교 기숙사로 사용된 박문사의 정문도 숭정전의 정문인 흥화문이었다. 조계사는 1908년 조동종 日韓禪寺라고 하였다가 무량수산 조계사로 개칭되었다. 일본이 패망하자 조동종 관장 사또가 일본으로 귀국하면서 불교학자 조명기에게 조계사와 국화유치원 등을 양도하였다가 본교의 필동교사 신축시 본교의 교사로 이관되었다. 즉, 조계사 본당인 숭정전은 강의실로, 조계사의 정문인 황건문은 본교의 정문으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숭정전은 1976년 에 현 위치로 이건되어 불교법당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황건문은 학생회관 신축시 헐려서 그 목재가 부여 무량사로 이전되었다. 현 동국대 사범대 학림관 터에 있었던 대학선원은 1963년 발족한 현 정각원의 전신으로 본교의 불교 교육 및 포교의 구심점이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순교승 환성지안과 통도사

        황인규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3

        Buddhist monk Hwanseong Jian (1664-1729) was a high priest who lived during the period of the suppression of Buddhism through King Hyeonjong and King Sukjong in the early reign of King Yeongjo. Most of the books he left behind are "The Book of Hwanseong Poetry", "Seonmun Ohjongganggyo", and books written by his student Hamwol Hae-won and inscriptions written by Hong Gye-hee, a literary man. There are few traces of Tongdosa Temple in Hwanseong's official annals, inscriptions, and books. Monk Hwanseong was born in Chuncheon on June 10, 1664, and was killed on July 7, 1729. In 1678, at the age of 15, he became a disciple of Monk Sangbong of Yongmunsan Mountain in Yangpyeong and performed it to Monk Seolje in 1680. According to the book, from July 1686 to January 1687, he was taught by monk Seolje and alumni Unmil at Daeamam Hermitage in Songnisan Mountain. In 1690, under the direction of monk Mowoun, a Buddhist meeting related to Hwaeomjong was held at Jikjisa Temple in Geumje, and in 1704, it was rebuilt while staying at Byeoksongsa Temple in Jirisan Mountain.Monk Hwanseong probably stayed at Daeheungsa Temple. His pen name was called Samyak, and he is enshrined as an important monk of Daeheungsa Temple. Ssanggyesa Temple repaired the Simgyeong Yakso Banquet in 1710, and Cheongpyeongsa Temple in Chuncheon was rebuilt in 1711. He stayed at Songnisan Mountain for a while and headed to Geumgangsan Mountain in 1714. In the spring of 1715, Monk Hwanseong and his disciple Hoam left a record of the building in Tongdosa Temple. According to the annual report, it was annotated at Jeongyangsa Temple in Geumgangsan Mountain in July 1717. In March 1719, Baekryeonam of Tongdosa Temple was annotated, and in 1721, "Suwoldoryang Republican Buddhist Temple Yeo Hwan-bin Jumongdap" was published by Hwaeomsa Temple in Gurye. In October 1724, Donghwasa Temple in Suncheon was rebuilt, and in 1725, the Hwaeomjong Law of Geumsansa Temple in Gimje was held. In August 1728, he spent his last year at Tongdosa Temple and made efforts to reduce the amount of labor imposed on Tongdosa Temple. He was indicted and imprisoned for holding a Buddhist rally at Geumsansa Temple in Gimje, but was exiled to Jeju in 1729 and martyred on July 7. His martyrdom was due to the oppress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1661 (the 2nd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a Buddhist monk in Baekgok (1617-1680) appealed against King Hyeonjong's policy of suppressing Buddhism. In addition, Woljeodoan (1638-1715), a monk who was active during King Sukjong's reign, was also suppressed and involved in Jeongchukoksa Temple in 1697 (23rd year of King Sukjong). The group included monks Doyoung, Pungyeol, and Seolje, who are close to cheers. It is said that the cheers of the monk were revived when Monk Hyeam Yoonjang, a descendant of Monk Sangwol, was released from prison in 1785. In response to the oppression of these monks,Jeong Yak-yong pointed out the case of Monk Hwanseong and his third generation grandchildren. In this way, Haengho, a mon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eo Eung-bo, a monk in the mid-Joseon Dynasty, and Hwanseong, a monk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martyred in Jeju. I want to see them as three martyrs of the Joseon Dynasty. 환성 지안(喚醒 志安,1664-1729)은 청허 휴정의 문도 편양의 계보를 잇는 고승이다. 그의 문중에서 통도사 물론이고 대다수 본산 사찰에서도 주지로 선출되고 있다. 본고에서 새롭게 찾은 환성의 행적은 다음과 같다. 『산중일기』에 의하면 환성은 1686 년(23세) 7월에서 이듬해인 1687년 1월경 설제와 운밀에게 속리산 대암암에서 수행하였다. 1704년(41세) 지리산 벽송사에서 머물면서 전각을 중창하였고 1710년(47세) 쌍계사에 서 『심경략소연주기회편(心經略䟽連珠記會編))』를 교정하는 데에 참여하였다. 1715년(52세) 봄에 통도사에서 환성과 호암이 「근차환성호암양선사유운(謹次喚惺虎岩兩先師遺韻)」 라는 전각 현판을 남기고 있다. 환성은 1719년(56세) 3월경 통도사 백련암에 주석한 후1721년(58세) 구례 화엄사에서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 간행 불사에 시주하였다. 그리고 1724년(61세) 10월 순천 동화사를 중창하고 1725년(62세) 금산 금산사화엄법회를 개최하였다. 환성은 1728년(65세) 6-8월경 통도사 부세를 견감하는 견역을하면서 말년에 통도사에 머물고 있다. 이처럼 환성은 3차례 이상 통도사에 주석하였던것이다. 통도사 견역 불사 후 금산사 화엄법회건으로 무고를 받아 풀려났다가 1729년(66세) 제주에 유배되어 순교하였다. 환성은 1697년(숙종 23) 장길산의 난에 연루된 월저 도안과 도영, 풍열, 설제도 금산사화엄법회건으로 다시 무고를 받았다. 상월의 법손 혜암 윤장도 1785년 선암사에서 무고를 받았는데 윤장은 환성이 되살아난 것이라는 평을 받았다. 환성은 고려말 나옹 이후 조선초 행호, 조선중기 허응으로 이어지는 조선의 3대 순교승이었다.

      • KCI등재

        제3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정・1종 『고등국사』 고려시대 불교사 서술

        황인규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6

        This essay presents an analysis of the accounts of the Buddhist history during the Koryo Dynasty in the Godeungguksa textbooks from the Third to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hey were practically government issued textbooks. As the curriculum went through several changes, the accounts of the Buddhist history became richer. For instance, Beopsangjong(Housou Order) developing with Hyeonhwasa temple as its center, Hwaomjong(Huayan School) with Heungwangsa temple as its center, the Military Regime and the Jogye Order, Hyeshim’s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one’ idea, the Two Great Association Movements, and Hyangdo were gradually included in the accounts. Thus, it may be said that the government issued textbooks improved the contents by adopting new academic findings and interpretations. However, some of their accounts are inferior to those of the textbooks published prior to the Third Curriculum. This was probably because of the excessive emphasis on uniformity under the government led textbook publication system. Furthermore, it must be rejected to characterize the nature of the Buddhism of the pre modern period as either seeking for present happiness or evoking patriotic spirit. Nor is it accurate to treat the replacement of Buddhism with Confucianism as a matter of course whiling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the temple economy. In writing history textbooks, it is important to have them faithfully reflect current scholarship. At the same time, we need to test and revise the contents of today’s textbooks in light of those of the textbooks from the previous curriculum. 본고는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국사』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 『고등국사』 까지 고려시대 불교사 서술 내용을 검토한 연구이다. 이들 『고등국사』는 국정이거나 1종이었지만 사실상 국정이었다. 제3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기 국정 또는 1종 『고등국사』의 불교사 서술 내용은 시기가 지날수록 충실해지고 있다. 예컨대 고려전기의 현화사 중심의 법상종과 흥왕사 중심의 화엄종 주도, 무신집권과 조계종, 혜심의 유불일치, 양대 결사운동, 향도 등의 서술은 불교사의 흐름이나 내용을 더욱 충족시킨 것으로 고무적이라고 하겠다. 이렇듯 국정 혹은 1종의 교과서 서술편찬은 학계의 연구성과를 수용해 가며 서술 내용의 장점이 강화된 부분이 없지 않으나 제3차 교육과정기 이전의 『고등국사』의 그것보다 오히려 미흡한 불교사 서술 내용도 찾아진다. 국가 주도의 국정 교과서 편찬에서 오는 획일성 때문인 것이다. 이와 아울러 고려불교뿐만 아니라 전근대 불교를 현세구복불교나 호국불교라고 간주하거나 고려말 사원경제를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유불교체가 마치 당연한 듯 기술한 것은 지양해야 것이다. 학계의 연구성과를 잘 수용하여 내용을 충실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난 교육과정기의 검인정 교과서에 실렸던 서술 내용을 재검토하여 교과서 내용을 더욱 충실하고 완성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