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준강간 불능미수 판례에 대한 이해와 오해- 대법원 2019. 3. 28. 선고 2018도16002 판결의 논증 분석 -

        김상오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1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o16002 Decided March 28, 2019, it was discussed whether attempted quasi-rape is established in a case where the Defendant, having the intention of quasi-rape, had sexual intercourse with the victim while there was no proof of the victim’s condition of unconsciousness or inability to resist. There are the Majority Opinion, the Dissenting Opinion and two Concurring Opinions with the Majority Opinion in the decision. Each opinion draws its conclusion from its own premises that are strictly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severe misunderstandings about this Decision presumably because of such differences of the premises. In this article, therefore, I analyze the arguments of every Opinion of the Decision to show what differences in the premises result in such dissent and to sugges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Case overall. Some noteworthy points about the Decision might be that: (a)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Dissenting Opinion consider differently whether there is a result of quasi-rape in this case, (b) the Dissenting Opinion can be interpreted as admitting the completion of the crime, and (c)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with the Majority Opinion is rather supporting the Dissenting Opinion in some aspects. The reason for such different conclusions on the result of quasi-rape is the complex combination of the premis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ctus reus of quasi-rape and the acknowledgment of relevant facts. Thus, a thorough justification for the premises should be achieved first to correctly criticize the Opinions. In the meantime, by analyzing the arguments, some other academic issues are also raised: (a) with respect to Article 27 of the Criminal Code, what is a “result?” (b) In terms of Article 299, what are the object and the protected legal interest of quasi-rape? and finally, (c) in light of the Criminal Procedure Code, can the failure of proving the completion of a crime be automatically regarded as the success of proving an attempt? Especially, the term “result” of Article 27 can be used in many different meanings. It refers to the factual effect on the object, the commission of actus reus, or the violation or imperilment of the legal interest. Until now these uses of the term have not been distinguished clearly, but the necessity to distinguish arises due to this Case. In this article, I ended up raising these topics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arguments made in the Decision. Therefore, they are left to be discussed further. I expect fruitful discussions to be followed later on based on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Decision explained in depth in this article. 대법원 2019. 3. 28. 선고 2018도16002 판결은 준강간의 고의로 간음을 하였으나 피해자의 심신상실 또는 항거불능의 상태가 증명되지 않은 경우에 준강간의 불능미수가 성립되는지 여부가 문제되었다. 이 판결에서는 다수의견, 반대의견, 다수의견에 대한 두 개의 보충의견이 제시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다른 전제로부터 자신의 결론을 논증한다. 하지만 너무나도 다른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는 탓인지 이 판결은 많은 오해를 받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판례의 취지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을 제일의 목표로 판결의 논증을 분석하여 어떠한 전제의 차이가 다른 결론을 가져오는지, 그 함의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기존의 오해를 벗어난 주목할 만한 이해로는 1)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은 이 사건에서 구성요건적 결과의 발생 여부를 다르게 판단한다는 것, 2) 반대의견은 기수의 취지로 읽어낼 수 있다는 것, 3) 다수의견에 대한 대법관 민유숙, 대법관 노정희의 보충의견은 오히려 반대의견을 지지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구성요건적 결과의 발생 여부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준강간 요건의 해석, 이 사건의 사실인정 등 여러 전제들의 복합적인 결합 때문이므로, 이들을 비판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전제에 대한 정당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논증을 분석함으로써 발견한 형법학적 논점으로는 1) 총론적 쟁점으로 형법 제27조에서 말하는 ‘결과’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2) 각론과 관련하여 준강간의 행위 객체와 보호법익은 무엇인지, 3) 소송법과 관련하여 기수의 증명을 실패한 것을 곧 미수의 증명이라 볼 수 있는지의 문제가 제기된다. 특히 형법 제27조의 ‘결과’는 행위 객체에 대한 사실적 작용, 객관적 구성요건요소의 충족, 보호법익의 침해 또는 그 위태화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데, 지금까지는 이들이 혼용되었으나 이번 판결로 인해 결과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는 점이 대두되었다. 이 글의 목표는 판결의 논증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므로 이들 논점을 제기하는 데 그쳤다. 어떤 견해가 타당한지 검토하는 것은 그 이후의 과제이다. 앞으로 판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가 이루어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우수등재

        범죄피해구조금과 손해배상청구권의 관계

        김상오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6

        Article 21 Paragraph 2 of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stipulates that “The State shall vicariously exercise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 which is held by a person who has received the relevant relief fund on account of the criminal injury subject to relief within the scope of the amount of the relief fund paid.” Accordingly, the State pays the criminal injury relief fund to victims and then claims compensation for damages to the perpetrators. However, most of the perpetrators cannot receive appropriate legal assistance, and the State often claims compensation beyond the scope recognized by the substantive law. Therefore, the current practice imposes excessive debt on the perpetrators beyond their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State is obstructing the legitimate exercise of the victim’s right by taking over his claims for damages without legal grounds. In this article, after examining in detail the requirements for the State to exercise vicariously the victim's right to claim damages, I point out the problems that arise in practic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claims that the State can exercise vicariously are limited to the loss of future earnings. Nevertheless, the State often exercises claims to the perpetrators for the part beyond the victim's loss of future earnings. This practice should be improved in such a way that the State proves the amount of the victim’s loss of future earnings in litigation. Meanwhile, the State forcibly takes over the remaining claims of victims, just to win the lawsuit. This should be suspended as soon as possible as it interferes with the legitimate exercise of the victim’s right. 범죄피해자 보호법 제21조 제2항은 “국가는 지급한 구조금의 범위에서 해당 구조금을 받은 사람이 구조대상 범죄피해를 원인으로 하여 가지고 있는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한다”고 규정한다. 이에 따라 국가는 피해자에게 범죄피해구조금을 지급한 후 가해자에게 구상금 청구를 하고 있다. 하지만 가해자들은 대부분 적절한 법적 조력을 받을 수 없고, 국가는 실체법적으로 인정되는 범위를 넘어선 구상금을 청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재 실무는 가해자에게 그의 책임을 넘어선 채무를 부과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국가는 피해자에게 그의 손해배상채권을 법적인 근거 없이 양도받음으로써 피해자의 정당한 권리행사를 방해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국가가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행사할 수 있는 요건을 상세히 검토한 후, 실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자 한다. 범죄피해자 보호법의 해석상 국가가 대위행사할 수 있는 청구권은 소극적 손해에 한정된다. 그럼에도 국가는 피해자의 소극적 손해를 넘어선 부분에 대하여까지 가해자에게 청구하고 있다. 이러한 실무는 국가가 소송에서 피해자의 소극적 손해를 주장·증명하는 것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한편, 국가는 단지 소송에서 승소하기 위하여 피해자의 나머지 채권을 강제로 양도받고 있다. 이는 피해자의 정당한 권리행사를 방해하는 것으로 하루빨리 중단되어야 한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신재생 에너지용 비대칭 구조의 배전압 회로를 지닌 넓은 입력 전압 범위에서 동작하는 공진형 DC-DC 컨버터

        김상오,한병철 전력전자학회 2023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28 No.2

        Recently, the demand for renewable energy generation has increased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nergy depletion. In particular, solar power generation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low maintenance costs and lack of noise. However, given that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hanges its power voltage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and panel conditions, a DC–DC converter operating in a wide input voltage range is required to convert to a constant and high DC voltag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isting secondary symmetric double voltage circuit is asymmetrically configured to reduce switching loss while maintaining a small number of active devices. A constant voltage can also be output through duty ratio control of the secondary switch. Finally, we present a resonant DC–DC converter circuit and modulation technique with high efficiency and high power density in a wide input voltage rang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ircuit and modulation technique is verified through PSIM simulation and 300 [W] test-bed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