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산지역 전통시장의 근린재생 연계방안

        김형균,박상필,황영순,박승제,김미연,우석봉 부산연구원 2016 연구보고서 정책연구 Vol.2016 No.0

        Traditional markets in Busan are recognized as a new key bas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neighboring areas. In this sense, a new recognition of a traditional market isneeded as a venue for communication and condensation between residents as well as medium connecting neighboring areas with commercial 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vercome limits to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polices centered around hardware type support programs and suggest a ‘traditional market-based neighborhood regenerating revitalization model” based on close links and coexistence between markets and neighboring areas. Four areas of study were selected among traditional markets in the vicinity of their residential neighborhoods: Suyeong Paldo Market, Goejeong Golmok Market, Choryang Market, and Dongnae Market. The approach to the spatial concept of a traditional market is to perceive its space as a nodal place of close association among a commercial market, an alley market, a shopping street, and a residential neighborhood, whose scale of each is larger than its previous one. This paper presents five signposts as a market-based urban regeneration policy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market marketing 3.0’, with five suggestions as system improvement such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arket-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types’ accordingly. Based on these, it is expected to make a ‘new traditional market model’ centered on content and communication among residents by associating traditional markets with neighboring areas.

      • KCI등재

        DICOM 영상과 설계 모델링을 융합한 외이도의 형태적 변화 관찰 연구

        김형균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11

        DICOM 영상은 인체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설계모델링은 목적에 따라 형상을 3차원으로 계획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기술을 융합하여 외이도의 형태적 변화에 대한 횡단면, 부피, 표면적의 관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인체의 단면 획득 의료영상기술을 적용하여 19귀의 외이도를 추출한 3차원 형상을 스테레오리소그래피, 3-매틱(matic) 프로그램으로 센터라인 생성 및 분할 기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외이도의 횡단면 구조는 타원형(38.5%), 반원형(28.2%), 혼재형(17.9%), 네모형(10.2%), 주름형(5.1%)등 다양한 형태가 나타났다. 또한 외이도 길이가 길수록 위상별 횡단면 면적은 크게 나타났으며 부피와 표면적은 고막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였지만 그 감소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외이도의 형태가 고막방향으로 갈수록 불규칙한 구조로 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imaging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human body, and design modeling is a technology of planning shapes in three dimens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In this study, we converge these two technologies to observe the relationships of the cross-section, volume, and surface area to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external ear canal. The experiment applied medical imaging technologies to acquire sections of the human body to create and divide centerlines using 3D shapes extracted from 19 external ear canals by applying stereolithography and 3-matic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external ear canal had various shapes, such as oval (38.5%), semicircular (28.2%), mixed (17.9%), square (10.2%), and wrinkled (5.1%).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phase increased as the length of the external ear canal increased, and the volume and surface area decreased towards the direction of the eardrum. However, the surface area reduction rate was relatively low. This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becomes irregular towards the direction of the eardrum.

      • KCI등재후보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생활과 정보’ 단원 비교 분석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 검정 실과 교과서의 ‘생활과 정보’ 단원을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분석 준거는 단원의 배치와 쪽수, 단원 구성 체제, 학습목표제시 유무 및 유형, 학습내용요소, 단원보조 내용 및 활동, 체험활동, 평가이다.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통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결과를 요약해 보면, ‘생활과 정보’ 단원은 1개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6단원에 배치되었고, 쪽수는 거의 비슷하였지만 쪽수가 가장 많은 교과서와 가장 적은 교과서의 차이는 다소 있었다. 내용 측면에서 보면 내용 체제, 내용요소, 내용 제시 방식이 교과서 별로 차이가 있었다. 평가 측면에서 보면 평가하는 수나 유형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과서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한다면 첫째, 검정 교과서의 장점은 보다 창의적인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차별성을 강조하다보면, 자칫 중요한 목표와 내용요소 등이 누락되거나 축소 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교육부나 검정심의위원회에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교과서 개발 업체 간에 심한 불균형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 단원은 습득한 정보 지식과 기능을 일상생활에 활용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하기 때문에,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의해서 개발될 실과 정보 단원은 수렴형 평가 유형이 더 많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실과 검정 교과서의 각 단원 별로 이와 같은 분석 연구가 조속한 시일 내에 후속 연구로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실과 검정 교과서의 분석 연구는 일선 학교에서 교과서를 채택하거나 교재 연구 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학교 현장에서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difference of the units on ‘Life & Information’ in six Practical Arts Textbooks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criteria were decided to be unit structure and page numbers. unit system, learning objectives, unit supporting materials, information quantity & quality, experience activity, contents element, ‘arrangement and evaluation,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 content analysis which is appropriate fo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was used.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number of title was not the same as the component of contents described in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erms of composition of units, there were three stage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wrapping up. The introduction and wrapping up stages were similar in terms of composition. The textbooks are similar external-structurally, but they have distinguishing specific contents with difference in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various kinds of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aspects were discovered from textbooks. This researcher can prepare for the improvement plan in search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y textbooks. More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in the statement and guidelines for object of curriculum so that a verity of textbooks including the differentiated, abundant materials can be written from angl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other units on the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referred to in the following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