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매성과 실패상황에서 판매원의 수치심과 죄책감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김상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4 마케팅관리연구 Vol.19 No.1

        This is a study on relationship of salespersons' guilt, shame, helplessness, and behaviors following failure in sales performance, which aims to examine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reponses due to failure in sales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a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helplessness and adaptive selling by gulit and shame that can experience in case of failure in sales performance. Prior researches have examined some factors that influence salespersons' behaviors primarily in general selling situations but overlooked their psychological responses and behaviors in the situation of failure in sales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so many failure in an actual selling sit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rocess following failure in sales performance in such a situation. As a result, salespersons' guilt was found to decrease helplessness and to increase adaptive selling. Salespersons' shame was found to increase helplessness and to decrease adaptive selling. Salespersons' helplessness reduced adaptive selling to customers. In addition a case of individualism was shown to experience guilt more. On the other hand, a case of collectivism was shown to experience shame more. This suggests that salespersons experienc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reponses in case of failure in sales performance and these responses affect selling behaviors. In particular, all negative emotions do not cause negative results but some types of negative emotion can cause positive responses while other emotion can cause negative responses.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salespersons' behavior, along with strategic suggestions about training and education for maladjusted salespersons following the failure. 본 연구는 판매원의 판매성과실패후 판매원의 감정적, 심리적 반응, 그리고 행동적 반응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판매원이 성과달성에 실패한 상황에서 경험하는 감정적, 심리적 반응의 유형, 이들이 가진 특성, 그리고 이로 인해 서비스접점에서 나타나는 판매원의 행동반응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패상황에서 경험하는 감정적, 심리적 반응으로 죄책감과 수치심, 무기력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러한 반응들이 고객에 대한 적응적 판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판매성과실패시 판매원이 경험하는 죄책감과 수치심은 무기력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죄책감은 무기력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치심은 무기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부정적 감정이라 하더라도 이들이 가지는 현상학적 측면이 다르므로 무기력의 경험이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무기력이 적응적 판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기력이 도전을 회피하게 만들고 성취의지를 감소시키므로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고객에 맞춘 적응적 판매행동을 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죄책감과 수치심이 적응적 판매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죄책감은 적응적 판매에 정(+)의 영향을 수치심은 적응적 판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죄책감의 경험은 이타적 행동을 통해 자신의 도덕성을 확인시키고자 하는 동기를 촉발시키지만 수치심은 자기 자신을 무가치한 존재로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회피행동을 증대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실패상황에서 경험하는 감정적 반응들 중에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감정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며 기업관점에서 이들의 관리방안에 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판매원이 개인주의 성향인가 혹은 집단주의 성향인가에 따라 실패상황에서 경험하는 죄책감과 수치심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주의의 경우 죄책감을, 집단주의의 경우 수치심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주의 성향이 높은 한국과 같은 동양권에서 실패상황시 수치심을 덜 경험하도록 하는 다양한 정서적 지원에 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 SNS상 프라이버시 침해의도 형성 과정 : 보호동기이론을 통한 고찰

        김상희,서동백 한국경영정보학회 2015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정보통신기기 소유가 대중화되 고, 뉴미디어가 등장하여 공유와 소통의 문화가 확산되면서 세계적으로 SNS 사용이 보편화 되었다. SNS 플랫폼의 특성으로 인해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발생하면서 SNS와 프라이버시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프라이버시 침해행위의 피해자를 중심으로 수행된다. 타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 의도를 갖는 이용자는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이용자와 같은 사람일까, 다른 사람일까? 본 연구는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이용자들이 타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침해 의도를 가질 수 있다고 보 고, 보호동기이론을 통해 SNS이용자 사이의 프라이버시 침해의도 형성과정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프라이버시 침해 연구의 범위를 피해자 중심에서 가해자로 확장시키 고, 관련된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서비스실패상황에서 고객침묵이 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상희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7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impact of customers’ silence on relationship quality in case of service failure. The previous research on service failure has discussed customers' complaints. However, the situation in which most of the customers experiencing service failure become silent, instead of making a complaint, means that a company cannot have even a chance of such recovery. Silence is not simply absence of voice but has lots of meanings. Nevertheless,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complaints, not on silence, in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respects. Focusing on customers' silence, this study aimed to divide silence into several types according to its motiv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silence on relationship quality. As a result of research, first, defensive and acquiescent silence influence negatively relationship quality(commitment and trust). Second, prosocial sile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ommitment but negatively affected trust. This results mean that although prosocial silence is positive one induced by positive motives, it cannot reduce all of the negative customer responses. Third, commitment and trust negatively influence switching and negatively word-of-mouth.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take interest in silence, as well as in complaints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pects. In this study, emphasis is placed on the fact that silence is not simply absence of voice but another message of customers, which has lots of meanings.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상황에서 고객침묵, 관계의 질, 그리고 고객행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서비스실패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불평하는 고객에게 관심을 보여 왔으며 불평하는 고객을 회복시키기 위한 회복방안에 관해 논의하여 왔다. 이는 불평하는 고객을 회복시켜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패에도 불구하고 대수의 고객들이 침묵한다는 사실은 기업이 고객불평을 통해 알아야 할 사실을 알지 못하고 반복적인 실수를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수많은 고객들이 말없이 떠나가게 되며 고객과의 장기적이며 지속적인 관계는 어려울 수 있다. 본 연구는 실패상황에서 고객불평이 아닌 고객침묵에 초점을 두고 침묵이 가져올 부정적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침묵은 그 동안 마케팅 관련연구에서 관심을 받지 못했으며 심지어 고객침묵은 ‘만족’으로 이해되기도 했다. 그러나 침묵은 만족이 아니며 단순한 발언의 부재도 아닌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고객침묵은 상황에 대한 포기, 체념, 두려움을 의미하기도 하며 혹은 종업원이나 기업에 대한 배려차원에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침묵은 말없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몰입과 신뢰와 같은 관계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고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결과 침묵은 몰입과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은 몰입과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체념적 침묵은 방어적 침묵보다 몰입과 신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침묵은 몰입에는 유의한 영향도 미치지 않지만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몰입과 신뢰는 고객의 부정적 행동(전환, 부정적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침묵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키고 있으며 이는 중요한 관계속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더 큰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직측면에서 전체의 효과성과 혁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SNS 이용자 사이의 프라이버시 침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상희,서동백 한국경영정보학회 2016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1

        스마트 기기의 보급에 따라, SNS(Social Networking Sites)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4년을 기준으로 국내 인터넷 이용자 10명 중 6명 이상이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통해 프로필 기반의 SNS를 이용하고 있다. 이는 SNS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시간과 장소의 구애 없이 SNS를 쉽게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SNS는 소통, 참여, 자유로운 지식과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지만 동시에 이용자 사이의 사생활 침해, 부정확한 정보의 확산, 개인정보의 악용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SNS 이용자 수와 이용시간의 증가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과연 어떤 요인들이 SNS 이용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행위이론을 통해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SNS상 프라이버시 침해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해결책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정신의학적 증상과 작업수행 간 관계는 왜 모호한가?: 개관방법의 타당성 문제

        김상희 한국재활심리학회 2008 재활심리연구 Vol.15 No.2

        The relation between psychiatric symptoms and vocational performanc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main issues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including disability-identification, disability policy, focus of rehabilit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and prediction of rehabilitation outcomes, and mechanisms underlying rehabilitation success. Review study results as intended to clarify it, however, are inconclusive. Whereas Anthony & Jansen(1984) concluded that little relation was there, Tsang, Lam, Ng, & Leung(2000) reached more positive conclusion. This study assumed that inconsistent results may be due to deficits inherent in traditional review methods relying on reviewer's subjective impressions and vote-counting. Reviewer's judgment may be vulnerable to subjective bias. Vote-counting strategy may lead to high Type II error and to different conclusions depending on sample sizes of individual studies because it is based on statistical significance influenced by individual study sample size. This study attempted to integrate primary studies of Anthony et al.(1984) and Tsang et al.(2000) using quantitative review method(meta-analysis) compensating for deficits in traditional qualitative review methods. Overall mean effect size gained from Anthony et al.(1984) was small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supported vote-counting's vulnerability to Type II error. Moreover, two of overall mean effect sizes obtained from the two review stud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most the same, which means Anthony's conclusion was conservatively biased. The findings suggested a need for meta-analysis on the whole literature dealing with the relation between psychiatric symptoms and vocational performance. Other potential moderators, being able to attenuate their relation and testifiable through meta-analytic method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판매원의 감정부조화가 판매원의 행동, 고객의 서비스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변수에 관한 연구

        김상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08 마케팅논집 Vol.16 No.2

        본 연구는 판매원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판매원의 행위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판매원의 감정부조화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판매원이 고객과의 상호작용속에서 겪게 되는 감정부조화가 판매원의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는 변수로서 규제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감정부조화로 인해 영향 받는 판매원의 행위적 요소가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판매원의 감정부조화가 서비스접점에서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규제초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록 고객과의 상호작용과정에서 감정부조화를 경험하게 되지만 판매원이 향상초점지향적일 경우 감정부조화가 판매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비스제공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경험할 수밖에 없는 감정부조화의 부정적 영향력의 정도가 개인적 특성에 의해 조절가능함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는 판매원 선발의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연구결과 판매원의 적응적 판매가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판매원이 고객과의 상호작용과정에서 고객에 맞춘 적응적 판매를 수행할수록 고객관점에서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판매원의 고객요구에 대한 적응적 판매는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적응적 판매를 위해서는 서비스제공과정에서 경험하는 감정부조화를 잘 조절할 수 있는 요소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즉 판매에 관한 많은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판매원의 부정적 감정경험의 적절한 관리 또한 중요한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판매원의 감정적 능력 및 감정적 현상의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판매원의 선발 및 교육에 있어서의 중요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Unlike the cognitive researches related to salespers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emotional dissonance as an emotional element affecting salespersons behavioral aspects. That is, this study examine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which is conflict between emotion they should experience as a human being and emotion they should express due to organizational norms, on salespersons' adaptive selling behavior, and effect of salespersons' adaptive selling behavior on customers' perceived service quality. This study also is designed to empirically test whether salespersons' regulatory focus moderates the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on salespersons' adaptive selling. As a result, emotional dissonance was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salespersons' adaptive selling, which were moderated by their regulatory focus. And salesperson's adaptive selling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perceived service quality. This means that although salespersons experience emotional dissonance through interaction with a customer in a selling situation, they are very likely to perform their duties and have positive emotion routinely rather than being disappointed or discouraged if they have promotion focus. By examining relationship among salespersons'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in a selling situation,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take interest in salespersons' emotional phenomena and schemes to overcome them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salespersons'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