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거용 건축물의 리모델링 요구 분석

        김천학,김의식,양극영,Kim, Chun-Hag,Kim, Eui-Sik,Yang, Keek-Yong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3 No.1

        This study has researched upon customers' request in the remodelling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that the research results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data when the remodelling work is under implementation. This study also has collected the residents' upgrading request on their residential buildings, and graded the request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For those purposes, this study classified the problem items through classified analyses and, built the census items, based on the results. Then, the residents' requests on the residential building were presented by importance rates through coupled analysis census. Also, the importance rates have bee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tems which predict the importance of each construction item.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setting up the direction of the remodelling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predicting the customer requests in the future, even though the remodelling of residential building in Korea has not been activated yet.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in the remodelling and construc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 KCI등재

        특집 : 한국 고대 동아시아 사상의 교류 ; 일본불교의 원측에 대한 인식 -나라시대를 중심으로-

        김천학 ( Cheon Hak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본고는 일본 불교에서의 원측 이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첫째, 일본 쇼소인(正倉院) 고문서에 기록되어 있는 원측 저술의 필사 기록을 조사하여 원측 저술의 유통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는 나라시대 법상종 문헌에서의 원측 인용에 대한 한 예를 검토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일본 나라시대에 중국 법상종에 대한 정통의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기존 견해를 방증하는 결론에 이를 것이고, 나아가 일면 신라의 원측이 중국의 기보다 더 중시되었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도출할 것이다. 나라(奈良)시대에는 사경소가 설치되어 많은 불교 저술이 필사된다. 쇼소인에는 이와 같은 8세기의 고문서가 1만여 점 정도 전해진다. 나라시대에 필사되었던 원측의 저술은 총 9종류이다. 원측의 저술은 731년부터 774년까지 44년에 걸쳐 꾸준히 필사기록이 보이는데, 특히, 747년과 751년에 가장 많이 필사된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된 저술은 『성유식론소』로 30여 회 필사기록이 남아 있다. 한편, 나라시대에 필사된 기의 저술은 원측 저술의 2 배인 19여종에 이른다. 그의 저술도 역시 731년부터 필사되기 시작한다. 95여회의 필사기록이 있는 원측보다 30여회 많아 122회에 달한다. 하지만, 필사된 기의 저술 종류가 원측 저술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볼 때, 일본에서 기의 저술을 원측의 저술보다 특별히 더 중시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기의 저술 가운데 가장 많이 필사되는 것이 『법화경소』의 명칭으로 필사된 『법화현찬』 10권이다. 반면에 『성유식론소』는 14회 정도 필사된다. 반면에 원측의 『성유식론소』는 30여회 필사된다. 이 같은 통계로부터 770년대까지는 『성유식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원측의 『성유식론소』가 기의 『성유식론소』보다 더 중시되었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추측도 가능하다. 원측의 제자 도증과 기의 제자 혜소에 대한 필사 기록에도 거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 즉 도증과 혜소의 학파 상승관계를 염두에 두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혜소의 저술로서는 『최승왕경소』가 많이 필사되는데 일본에서 호국경전으로서 중시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나라시대 말 젠주의 저술 『증명기』와 젠주 다음에 활약했던 고묘를 통해 볼 때, 당시, 특별히 원측과 기를 차별하려는 입장이나 신라와 중국을 구별하려는 학문적 태도를 확인할 수 없다. 향후 일본에서의 원측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젠주 뿐 아니라 젠주 이외의 유식문헌과 유식문헌 이외에서의 원측인용의 예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Japanese Buddhism of the Nara period. In this study, firstly, I researched the circulation of Wonchuk`s writings by investigating the recordings on the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presented in the ancient documents of Shosoin(正倉院) in Japan. Secondly, I probed an example of citation of Wonchuk`s writings in the documents of the Hosso school in the Nara period. Thu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supports the existing supposition that there had been no consciousness on the orthodoxness of the Chinese Fashang school in the Nara period, with the possibility that Wonchuk from Silla might have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Chinese Chi. In the Nara period, there have been many transcriptions of Buddhist writings with the establishment of transcription offices in many places. In Shosoin, there remains about ten thousand pieces of such ancient documents from 8th century. In total, 9 kinds of Wonchuk`s writings had been transcribed in the Nara period. From 731 AD to 774 AD, for 44 years, there are recordings on continuous transcription of Wonchuk`s writings, especially in the years of 747 AD and 751 AD. The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30 times, which shows its popularity excelling the other works of Wonchuk. On the other hand, the transcription of Chi`s writings in the Nara period is recorded to have been done in 18 kinds, which are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s writings. His writings also began to be transcribed in the year of 731 AD. The number of times being transcribed in the case of Chi`s writings surpasses the one in the case of Wonchuk`s writings by 34 times, its being 126 times compared to 92 times in the latter case. Considering the kinds of Chi`s writings twice as many as that of Wonchuk, however, I could not come to the conclusion that Chi`s writings have been transcribed saliently more often than Wonchuk`s writings. Among Chi`s writings, the Fahuaxuanzan(法華玄贊) in 10 volumes, in the name of the Fahuajingshu(法華經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most often, while 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is recorded to have been transcribed 17 times. From such statistical analysis, until the decades of 770 A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engweishilun(成惟識論), Japanese Buddhist scholars might be carefully supposed to have focused on Wonchuk`s Seongyusikronso(成惟識論疏) more than on Chi`s Chengweishilunshu(成惟識論疏). Considering the writings of Jenju(善珠) and Gomyo(護明) in the end of the Nara period, I could not ascertain their scholarly attitude to distinguish Wonchuk and Chi or to distinguish Silla and China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eishi(惟識) school. In the future, there remains the necessity to analyze more critically the cases of their understanding of Wonchuk in the Weishi and other docu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more thoroughly the understanding of Wonchuk in Japan.

      • KCI우수등재

        법장의 『화엄교분기』 종성론에 대한 균여의 이해

        김천학(Kim, Cheon-hak)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5 No.-

        본 고는 화엄의 종성론을 테마로 해서, 고려시대 균여의 화엄 종성론의 특징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장이 인도에서 귀국한 이후 발생한 구유식학파와 신유식학파의 논쟁은 종성에 대한 이해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종성논쟁은 본질적으로 유식학파간의 논쟁이었지만, 당시에 종남산에서 거주하던 화엄학자 지엄도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저술에서 피력하게 된다. 지엄의 견해는 수행을 중시한 종성론이다. 이러한 지엄의 견해는 법장을 통해 동아시아 화엄가들의 기본 입장이 된다. 법장의 종성론에 대한 사유는 『화엄교분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균여가 『석화엄교분기원통초』에서 이 부분에 대해 주석한 내용을 검토하면, 균여의 이해 가운데 오해에 의해 구성된 부분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화엄가의 공통적 현상이긴 하지만, 일본 헤이안시대에 쓰여진 『화엄종성의초』와의 비교를통해 균여만의 특정을추출할수 있다. 균여의 종성의는 법장을 답습하기는 하지만, 종교 종성의의 성격 규정에 있어 본각을 여러 각도에서 비춰본다. 또종성이 보불과관련 있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볍장의 『기신별기』를 인용히-여 그 명증성을 기한다 그것은 오히려 법장 사유에 대한 약간의 오해로부터 비롯한 논리였다. 또한 법상유식파를 비판하기 위해 법상종의 논소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는데, 종교에 해당하는 『섭대승론』을 시교와 관련시켜 이해하여 종교의 입장에서 시교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는 방법을 시용하기도 한다. 나아가 종교의 종성론에 대해서도 또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는 결국 완성된 원교의 교리를 도출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점에서도 오해에 근거한 주석을 통해 화엄교리가 심화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ayan theory of zhongxing(種性 gotra, clan or lineage) in Kyunnyo(均如) of the Koryeo dynasty in the history of the Huayan theory of zhongxing. The view of Zhi-yan(智嚴) as the establisher of Huayan studies on Zhongxing was focused on practice. This view became the basic understanding of zhongxing in the Huayan scholars of East Asia through Fazang(法藏) . Fazang’s thought on Zhongxing can be ascertained in the Huayanjiaofenji(華嚴敎分記). Through the analysis of Kyun -nyo’s commentary on it in also be ascertained to have been partly composed of a misunderstanding of it. Although such phenomenaoccur generally among Huayan scholars, Kyun -nyo’s distinctive understanding can be extracted through its comparison with the Kegonshu shushogisho(華嚴宗種性義抄) in the Heian period of Japan. Kyun-nyo’s understanding of zhongxing inherits Fazang’s by and large, his establish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ificance of Zhongxing in the Final teachings is especially based upon the illumination of Benjue(本覺, original awakening) from diverse perspectives. In addition, he clarifies it through the citation of Fazang’s Qixinbieji(起信別記, Additional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n order to prove its relation with the thought of Bao Fu(報佛,Recompensed Buddha), which is a result of his partial misunderstanding of Fazang's thought in its logic. He also thoroughly investigated the commentaries of the Faxiang(法相) school in order to criticize the doctrines of the Faxiang Weishi(法相唯識, understanding the Mahayana-sarngraha belonging to the Final teachings in relation to the Elementary teachings in his critical attitude to the Elementary Teachings on the basis of the Final teachings. Further, he maintain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theory of zhongxing in the Final teachings. These series of steps as preparatory works in order to establish finally the doctrine of Yuanjiao(圖敎) in its perfection can be interpreted to be the deepening of Huayan thought through commentarial works in misunderstanding.

      • KCI우수등재

        법상(法上) 『십지론의소』 「가분석」의 전개

        김천학(Kim cheon hak)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8 No.-

        본고는 초기 지론사인 법상 『십지론의소』의 『십지경론』 「가분」에 대한 해석, 즉 「가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그의 해석이 제자인 혜원에게 전승되고 비판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지론사상의 계승 및 전개의 한 단면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십지경론』「가분」은 지론사상 이해의 중요한 근거가 되는 부분이며 여기에는 삼매와 언설, 육상, 삼종의 궁극(盡) 등의 교리가 주축을 이룬다. 본고에서는 『십지경론』「가분」의 과문과 이에 대한 『의소』의 과문, 그리고 혜원과의 관련을 통해 그 해석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의소』의 「가분석」 가운데 후에 설법의 근거로서 중요한 관점을 제공하는 삼매와 언설의 문제를 혜원과의 관련을 염두에 두면서 상세히 논하였다. 『의소』「가분석」에서는 가분에 해당하는 『경』문 일부와 『논』문 전체를 과문을 통해 해석하고 있는데, 『십지경론』을 해석할 때 경문과 과문을 나누어 과목을 설정하는 방식은 혜원에게 이르러서 철저해진다. 다만, 과문의 명목 상에 혜원에게 계승된 부분은 없다. 그런데 「가분석」의 해석을 통해서 볼 때는 혜원의 『십지론의기』에서 『의소』를 참조한 것이 확인되며, 『의소』의 해석을 비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신행지(信行地)’ 보살에 대해서 지전으로 규정하는 『의소』의 해석은 『의기』에 수용될 뿐 아니라 『대승의장』으로 적극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의기』에서는 십종입에 관한 『의소』의 해석을 ‘어떤 사람(有人)’ 으로 명명하며 비판하고 있다. 삼매와 언설의 문제에서 『의소』에서는 부처는 삼매 가운데서도 언설이 가능하고, 보살은 삼매로부터 일어나야 교설이 가능하다고 해석하지만, 『의기』에서는 삼매로부터 일어나서야 설법이 가능하다고 해석을 견지한다. 그러나, 이후 지론종을 계승한 화엄종에서는 삼매와 언설의 문제에서 『의소』의 해석과 궤를 같이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aspects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Dilun thought through Shidi lun yishu on Power Verses by Fashang in early Dilun School. Power Verses of Shidi jinglun is an essential part of understanding the Shidi thought of Dilun school. As Fashang interpreted Power Verses of Shidi jinglun, he used the method of Division of a text which is breaking sentences of sūtra and śāstra. This approach standardized by Huiyuan later. Although he systemized the method, Huiyuan did not succeed the contents on the Division of a text. In details, we can find that Huiyuan used the interpretation on Power Verses by Fashang as a reference and made a critique about it. In the discussion of the nine kinds of entry(入), Huiyuan also criticized Fashang’s interpretation designating Fashang as ‘somebody (有人)’ in his interpret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samādhi, Fashang viewed that language is possible during samādhi for Buddha but it is only possible by awakening from samādhi for Bodhisattva. In the meantime, Huiyuan asserted that sermon can only be possible after awakening from samādhi. Huayan school that succeed Dilun school, however, held identical view with Fashang on the matter of language and samādhi.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화엄사상에서 의상과 법장의 위상

        김천학(Cheon Hak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1

        동아시아 화엄학에서 의상과 법장은 후대에 학문적 영향력을 통해 볼 때 신라와 당의 두 거장이다. 신라와 고려에서는 누구보다도 의상 화엄학의 영향력이 가장 지대하다. 반면에, 당과 송에서는 법장 화엄학의 영향력이 지대하다. 지엄의 두 제자 의상과 법장의 사이에는 학파적 계보의식과 사상적인 면에서의 차이가 발생한다. 먼저,학파적 계보의식의 면을 통해 볼 때, 의상의 『법계도』가 신라시대 이래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줄 곧 주석되고 관심의 대상이 된데 반해, 법장의 『화엄일승교의분제장』은 남송시대에 와서 비로소 주석서가 나올 정도로 사상의 연속성이 담보되지 못하였다. 사상적 측면에서는 의상의 사상은 전대의 주류적인 사상들을 흡수하여 독자의 오척신사상을 탄생시켰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성기사상이다. 의상은 성기사상에 근거를 두고 오척신으로서의 인간이 실천의 절박함을 통해 부처의 세계에 들어가는 방법을 제시했다. 반면에 법장은 화엄의 별교적 성격을 두드러지게 강조하면서 연기적세계를 강조한다. 법장은 연기사상에 근거를 두고 이지적으로 실천하게 하는 사상가였다고 할 수 있다. 의상과 법장은 이와 같이 서로의 강조점이 다르지만, 둘 다 실천적이라는 데서는 차이가 없다. 그리고, 화엄사상의 궁극적 원점을 양 사 모두 성기사상에 두고 있다는 점에서도 다르지 않다. Through the influence that Uisang and Fazang in East Asian Huayan Studies gave to the posterity, they have become the two great masters in Shilla and Tang dynasty. Uisang exercised an enormous effect in Shilla and Goryeo dynasty, while Fazang was very influential in Tang and Sung. Differences in academic genealogy and idea have occurred between these two disciples of Zhi-yan(智儼), Uisang and Fazang. First, in the academic genealogical aspect, Uisang`s 『Beobgyedo(法界圖, iconography of the realm of Buddhism)』 has continuously earned interest and has been used as annotations since Shilla dynasty through Goryeo and chosun dynasty. On the other hand, the annotation of Fazang`s 『Huayan yisheng jiaoyi fenzhai zhang(華嚴一乘敎義分齋章)』 has started to appear in Sung dynasty which didn`t come up sequentially. In the idealogical aspect, the idea of Uisang has absorbed the former dominant thoughts and created the thought of ``Ocheokshin``(五尺身, the current body); in other words, the thought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性起). Whereas Fazang emphasizes the world of dependent arising(緣起) by noting the character of Huayan; the distinctive teaching. Nevertheless, the common point of these two is that they were practical theorists. Uisang, based upon ``the thought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and Fazang, based upon ``the thought of dependent arising``, insisted to be theorists of practice. Also, that they have put ``the thought of arising from the original nature`` as the ultimate starting point of Huayan is also another common point between the two theorist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東アジアの華嚴學における定性二乘廻心説

        金天鶴(Kim Cheon Hak)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4 No.-

          본고는 동아시아 화엄학 중에서 정성이승(定性二?)의 회심설에 대해서 논한다. 현장계의 유식설에 의하면 정성이승은 끝내 성불할 수 없다. 이에 대해 현장의 역장에 참가했던 영윤(靈潤)의 반발이 있은 후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커다란 논쟁거리가 되었다.<BR>  화엄학파에서도 이 문제는 유식설에 대한 대응이라는 면에서 중요한 일면을 차지한다. 당의 법장(法藏)에게는 유식학파의 교리를 넘어 화엄의 별교일승을 선양해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법장은 화엄의 오교판(五敎判) 중 종교(終敎)의 교리를 통해서 유식설을 비판한다. 이러한 방법은 『오교장(五敎章)』에서 『탐현기(探玄記)』까지 견지된다. 한편, 종교의 경론과 유식계 경론의 회통(會通)도 시도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언제나 종교의 경론을 유식계 경론보다 우위에 둔 회통이라는 점이다.<BR>  그런데, 법장은 현장이나 기(基)를 정면으로 비판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법장이 법상종의 기를 비판했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비판되는 것은 익명의 유식인물이다. 『법화경』 화성유품(化城喩品) 중 “멸도의상을 보인다”를 변화성문(變化聲聞)의 화작(化作)이라고 해석해서 비판받고 있는 유식인물은 기가 아니다. 왜냐하면 기도 역시 그런 해석을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장의 비판대상이 되는 유식학자에 대해서는 검토의 여지가 있다.<BR>  원효의 정성이승 회심에 관한 설은 법장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원용된다. 그리고 그런 법장의 설이 다시 동아시아 화엄사상에 영향을 미친다.<BR>  원효는 『법화종요』에서 유식설을 비판하고 있지만, 삼론사(三論師)의 입장에서 정성이승회심설의 타당성을 주장하고, 다음 단계에서 자신의 입장을 드러낸다. 또, 원효는 유식사와 삼론사의 회통을 시도하는데, 결국은 일체개성(一切皆成)설이 오성각별설(五姓各別)설보다 우수함을 인정한다. 법장이 종교를 통해서 유식설을 비판하는 것이나 양 경론의 회통을 시도하는 방법이, 원효의 이러한 방식과 닮았다.<BR>  한편, 원효(元曉)는 정성이승이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들기 위해서, 그리고 열반에서 나와 회심하기 위해서 부처의 동체대비(同體大悲)가 필요함을 특히 강조한다.<BR>  의상(義相)의 강의록인 『화엄경문답』에서는 정성이승의 회심에 성기(性起)의 기능(果藥)을 강조하는데, 이것은 바로 부처의 자비이다. 이러한 의상의 사유는 지엄의 수현기(搜玄記) 「성기품석」에 의거하는 바가 크다.<BR>  한편, 균여(均如)에게는 정성이승의 회심설에 대한 특필할 만한 주장이 없다. 반면에, 균여는 별교일승의 입장에서 본 이승회심에 대해서는 상세히 주석한다.<BR>  다음, 일본에 있어서는, 수령(壽靈)이 열반사 법보(法寶)의 설을 정성이승회심의 중요한 전거로서 인용한다. 그러나, 수령은 유식설과의 사상적인 대립을 강조하지는 않는다. 수령의 시대는 일본에서의 불성 론쟁이 시작되기 이전이기때문일 것이다. 한편 증춘(增春)의 시대가 되면, 화엄종과 법상종과의 논쟁의 형태로서 정성이승의 회심ㆍ불회심의 문제가 다루어진다.<BR>  증춘의 설은 여러 가지 점에서 독특하다. 우선, 변역신(變易身)과 『기신론』의 아라야식의 5의와 관련시키고 있으며, 둘째, 회심한 정성이승이 화엄일승 세계에 직접 들어간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또 회심 할 때에 타력과 자력의 양쪽 모두를 필요로 하지만 마지막에는 자력의 「지(知)」가 강조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Huayan Buddhism originated in China and was mainly constituted by the philosophy of the One Vehicle of Huayan with its distinctive view of doctrin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Huayan thought, it is understood that reaching the world of Huayan is equal to attaining buddhaphala. Then, how we can reach the world of the Huayan One Vehicle. That is possible by conversion.<BR>  Conversion theory in Huayan Buddhism was originated by Zhiyan and succeeded by Fazang. But, that theory was not the main thought in Chinese Huayan Buddhism, but was regarded as of importance in Korean and Japanese. Especially, conversion theor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Huayan Buddhism differ considerably. In this paper, I examine how Conversion theory of Huayan Buddhism was interpreted by East Asian Huayan masters including such a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