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개질된 폴리이미드 분리막의 특성과 탄화수소 혼합물의 분리

        박윤환,김득주,조민재,남상용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11

        분리막을 이용한 투과증발법은 에너지 소모가 적고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에 분자스케일 액체/액체 분리에 있어서 매우 주목 받고 있는 기술이다. 방향족 화합물과 지방족 화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은 석유정제, 석유화학공정 등에서 특히 중요한 분리공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벤젠에 대한 고선택성을 나타내는 PEG가 함유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1H-NMR 스펙트럼과 FT-IR 스펙트럼에서 PEG 특성 피크의 확인을 통하여 PEG가 도입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혼합물 분리를 위한 투과증발 실험 장치를 제작하여 PEG 함량이 다른 막을 제조하여 벤젠 조성 변화에 따른 투과증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투과유량 및 투과도를 계산하여 투과특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주민의 시민정체성이 계층 정체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윤환 한국테러학회 2017 한국테러학회보 Vol.10 No.4

        The present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determinants of class ident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foreign residents in South Korea that prior literature has failed to pay attention to.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not only measuring civic identity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migrants’ adaptation to Korean mainstream society but also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ivic identity on class ident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To this end,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was utilized for getting the data and analyzing regression models. According to a series of results, most of control variables including marital relationship factor appear to affect foreign residents’ class ident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hereas conflicting results failed to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the claims that reinforcing civic identity may result in enhancing the level of class identification as well as the quality of life. Thu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recognition that the stability of immigration status and assimilation approach could improve the situation related to class identific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foreign residents. In addition,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establishing more improved polic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가 주목하지 않았던 외국인 주민의 계층 정체성과 삶의 질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특히 외국인 주민의 주류 사회 적응을 위하여 그 역할이 기대되는 시민정체성을 측정하고 계층 정체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5년 다문화가정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부 생활 요인을 비롯한 상당수 통제변수들이 외국인 주민의 계층 정체성과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비해서, 시민정체성의 강화가 계층 정체성과 삶의 질 개선을 이끌어 낸다는 주장을 펼치기에는 상반된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일부에서 주장하는 체류신분의 안정이나 동화주의적 접근이 이민자의 계층의식과 삶의 질을 제고시킬 것이라는 인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보다 개선된 다문화지원 정책의 수립을 위해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패턴에 대한 연구

        박윤환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 연구들이 소홀히 했던 외국인주민 후속세대들의 거주지 패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패턴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기법(ESD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2015년 행정자치부 외국인주민 인구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 패턴을 설명해주는 지표들을 선정하고 250개 시군구를 분석단위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 거주 집중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외국인주민 후속세대들의 거주 집중도는 전국적으로 고르기 보다는 호남과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지역에 높게 나타나서 외국인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된 것과는 구별되었다. 또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 집중도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쳐 공간적으로 인접한 지역들과 유사한 공간적 패턴을 갖는 공간적 의존성(spatial dependency)을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지적 공간자기상관 분석결과 이웃한 시군구들과 서로 유사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 거주지 집중도를 갖는 곳들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향후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집중으로 인해 미래에 예측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선제적인 정책적 대안의 마련이 요청된다. 청소년정책 당국은 외국인주민 후속세대 거주지 집중의 공간적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효과적인 정책 대상지역을 선정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idential pattern of foreign residents’ second generation that prior literature has failed to pay attention to. Technically, several Explan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methods within a GIS were employed to capture spatial pattern of foreign residents’ next generation.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foreign residents’next generation based on entire 250 si-gun-gu units in the nation, the present research utilized 2015 Statistics on foreign residents provided by Ministry of The Interior. According to the results,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foreign residents’ next generation appears to be much higher in the rural areas such as Jeolla and Gangwon rather than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this particular spatial pattern tends to be similar between neighboring si-gun-gu units, so there exists a spatial dependency. In the context of local level, many regions holding similar residential pattern with adjacent neighboring si-gun-gu units were extensively distributed. In order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of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foreign residents’ next generation, proactive policy initiatives should be deeply consider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 to youth policy authorities that precisely examine spatial pattern of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their target population and effectively select the policy target area.

      • KCI등재후보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공간적 패턴

        박윤환,임현철 국회입법조사처 2015 입법과 정책 Vol.7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immigrant segregation in Korea that previous literature has failed to pay scholarly attention to so far.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immigrant segregation for entire 252 si-gun-gu units in the nation, the present research utilized 2014 population data including the number of local and foreign residents and then measure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for foreign residents by focusing on the most important indices such as evenness, clustering, and concentration. Technically, we visualized the level of immigrant segregation for si-gun-gu units through mapping skill to explore the spatial variation of immigrant segreg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a significant number of areas are currently struggling with a severe level of immigrant segregation which appears to come close to the level of racial segregation in US. In addition, the areas with high immigrant segregation are spatially clustered in not only Seoul Metropolitan region but also som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while the areas with high percentage of foreign population are highly concentrated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Thus, one-dimensional statistic showing the percentage of foreign population is difficult to pin down the trend of spatial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residential pattern of immigrants in Korea. As a result, this pap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better indices to more accurately measure immigrant segregation which is likely to cause negative socio-economic effects.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가 주목하지 않았던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기준 전국 252개 시군구의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를 하위의 지리적 분석단위인 3488개 읍면동 단위의 내국인과 외국인 주민 인구수를 이용하여 거주지분리의 균일성(evenness), 군집성(clustering), 집중성(concentration) 지표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시군구 단위로 측정한 외국인 거주지분리 수준에 대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지도그리기(mapping)로 시각화시켜서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 현상의 공간적 변이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균일성 차원의 거주지 분리 정도에 있어서 우리나라 상당수 시군구의 외국인 주민 거주지 분리의 수준은 주요 이민 국가의 거주지 분리 수준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민등록인구 대비 외국인 주민 비율이 높은 곳은 수도권에 집중되었던 반면에 외국인 거주지 분리가 높은 지역은 수도권은 물론 영남권 등 일부 지방에도 분포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외국인 주민 인구 비율이라는 지표가 외국인 주민의 거주 패턴에 있어서 중요한 맥락을 지닌 공간적 분리와 집중을 효과적으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이끌 가능성이 높은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활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 술폰화된 SEBS 블록공중합체의 합성과 투과증발을 이용한 방향족/지방족 혼합물의 분리

        박윤환,남상용,조민재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05

        연료로부터 벤젠 또는 톨루엔과 같은 유독한 방향족 성분의 제거 및 분리는 최대 허용 농도의 감소로 인해 점점 더 많이 주목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솔린의 벤젠 함량은 지금 법률상으로 유럽에서 1% 이하로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분리공정에 있어서 에너지의 소모를 줄이고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투과증발 공정이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벤젠에 대한 고선택성을 나타내는 sulfonated SEBS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1H-NMR과 FT-IR 분석을 통해 술폰화가 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혼합물 분리를 위한 투과증발 실험 장치를 제작하여 sulfonated SEBS막을 제조하여 벤젠 조성 변화에 따른 투과증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투과유량 및 투과도를 계산하여 투과특성을 확인하였다.

      • 문체와 문채 그리고 문체적 공시의 개념과 영역

        박윤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8 外國文化硏究 Vol.21 No.1

        Le but de cette reflexion est d'analyser les concepts, les domaines du style, de la figure, de la connotation stylistique et de leurs relations internes. En bref, le style est la manie`re, et la figure la forme d'expression. La connotation stylistique informe sur l'appartenance du message a` telle langage ou sous-langue particulie`re. Les diffe`rents styles se de´finissent en m^me temps que leur syntaxe et d´une fac¸on ge´ne´rale par les figures. Alors, les figures et les connotations stylistiques, ce sont les e´le´ments de cre´er les styles des e´crivains. Mais leurs concepts, et les limites de leurs domaines peuvent e^tre tre`s vagues a` cause de caracte`res subjectifs et abstraits.

      • KCI등재

        The Effect of Property Value on Crime - A Case Study of the City of Dallas, Texas -

        박윤환 서울연구원 2010 서울도시연구 Vol.11 No.3

        Urban crime undermines the safety of a community and ultimately leads to depressed property values. Consequently crime is seen as a critical determinant of property values. Meanwhile, the causal effect of property values on crime appears to be something of a mystery. Higher property values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a neighborhood and mitigating the occurrence of crime, while at the same time increasing area’s attractiveness as a target to potential criminals. Interestingly, most prior literature has focused merely on the impact of crime on property values and has never clearl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ny reverse causality which may exist between property values and crime.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property values on crime in the City of Dallas, Texas in 2002. Through two stages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s that control endogeneity of property values and crime,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property values influence crime rat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mpact of property values on crime rates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property values. Regardless of the types of crime, higher residential property values lead to lower crime rates whereas higher commercial property values are found to cause higher crime rates.

      • Langage의 Cre'ativite' 考察 : Saussure의 langue, parole과 Chomsky의 compe'tence, performance를 中心으로 Centering on Saussure's langue and Parole and Chomsky's Competnce and Performance

        朴潤桓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84 外國文化硏究 Vol.7 No.1

        Le but de cette dissertation, c'est d'e´claircir la cre´ativite´ du langage humain repre´sente´e dans la langue et la parole de Saussure et dans la compe´tence et la performance de Chomsky. Il y a trois types de cre´ativite´ du langage comme suivants: -cre´ativite´ gouverne´e par les regles, -cre´ativite´ qui change les re`gles, -cre´ativite´ esthe´tique exprime´e par l'imagination personnelle. Le premier type de cre´ativite´ est localise´ dans la parole et la compe´tence, le deuxie´me relevant de la performance et aussi de la parole, consiste en ces multiples de´viations individuelles dont certaines finissant en s'accumulant par changer le system; un exemple en est fourni par les changements par analogie. Le dernier type de cre´ativite´ peut e^tre localise´ dans la parole, crois-je, puisque la parole est un acte individuel de volonte´ et d'intelligence. Un certain linguiste soutient que la cre´ativite´ esthe´tique est exclue de la the´orie chomskienne, mais J. Mounin dit qu'on croit que la cre´ativite´ chomskienne tendrait a` en rendre compte. Je crois qu'il y a pas de cre´ativite´ dans la langue de Saussure, c'est que l'humain n'exite pas dans la conception du syste`me saussurien.

      • Dehydrative pervaporation separation of aqueous isopropanol mixtures using polymeric membrane module

        박윤환,남상용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화학산업에 있어서 종래의 분리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투과증발 공정 기술을 촉진시켜 왔다. 요즘 투과증발의 대부분은 bio-butanol, isopropanol 및 다른 유기 용제류의 탈수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유기용제의 탈수공정은 유기물의 분리공정에 비해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에 대한 고선택성을 나타내는 분리막 모듈을 이용하여 IPA와 물의 공비혼합물을 대상으로 공급액 온도, 투과액의 응축 온도와 같은 투과증발 공정 변수가 IPA 탈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water uptake 및 접촉각을 측정하여 친수화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