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페셔널리즘과 전문직 윤리 교육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4

        사회 각 부문에서 고도의 성취를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윤리의식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 대가 형성되고 있다. 특히 윤리적 성찰과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에 대한 필요성은 전문직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이와 같이 전문직에 대한 새로운 위상과 역할 정립이 필요한 이 때 본 논문은 전문직 윤리가 소극적 의미에서의 예방윤리(preventive Ethics)의 차원을 넘어서야 함을 강조할 것이다. 변화하는 사회환경에서 전문직의 도덕적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개념적 장치가 바로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이며, 이러한 정체성을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전문직 윤리 교육(Professional Ethics Education)의 핵심이다. 물론 전문직 윤리는 일차적으로 전문직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데 목 적이 있지만, 이것을 넘어서서 ``인간의 이해와 윤리적 삶의 요청``이라는 보다 광범위한 철학적 컨텍스트 안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을 묻는 작업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의 전문직 윤리가 각 영역별로 실무 현장에서 필요한 단편적 논의에 집중되었다면, 이제 전문직 윤리 교육은 장기적 교육과정 속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소명의식과 책임감을 길러내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Professional Ethics means practical Ethics in the profession, and particularly aims to develop moral awareness and ethical competence of professionals and students preparing for major professions(lawyers, health care professionals, educators, business people, public servant, etc.). Professional Ethics encourages teaching and research on ethical issues and dilemmas in professional life. In addition, it reflects the need for active collaborative research as related to law, medicine, engineering, business administration, pedagogy, life science, etc. The basic themes of professional Ethics are professionalism, conflicts between duties of professional roles and those of general morality, the duty of professional authority,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professionals.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have a long history of active management of courses and programs in Professional Ethics, and they have acquired diverse academic results with their own institutes for professional Ethics. However, Korean universities have yet to develop systematic and uniform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programs. What is more, there still is not a single institute for professional Ethics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it proves that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Ethics in Korea.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now implementing a new program for a number of professional schools, such as Law School and Medical School. And at this point it is required to have more interest and to conduct in- depth related research.

      • KCI등재

        한스 요나스 책임 윤리의 응용으로서 생명 공학의 문제

        정결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4

        한스 요나스는 과학 기술 시대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윤리학으로 책임 윤리를 제안한다. 그리고 이런 책임 윤리는 우리 삶의 다양한 실천적 문제에 응용될 수 있는데 생명 공학이 그 대표적 사례이다. 요나스에 따르면 기술 발달 과정의 종착점에서 우리를 기다리는 것이 바로 생명 공학의 단계이다. 생명 공학 기술의 과도한 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유전자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다는 생각이나 우리의 후손을 계획할 수 있다는 생각이 더 이상 환상이 아닌 것이 되어버렸다. 기술 발전의 최종적 단계에 이르러 마침내 인간은 과학 기술 자체의 대상으로 전락하게 된 것이다. 유전자 조작의 문제와 같은 생명 공학 분야 연구에 대한 요나스의 입장은 간결하면서도 단호하다. 오직 불행의 예방만이 허용되고, 새로운 종류의 행복을 위한 어떤 시도도 허용되지 말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불행한 결과 예방 우선의 원칙이라 명명하고, 책임 윤리의 응용으로서 생명 공학의 문제에 적용되는 잠정적 윤리 원칙으로 제안하려 하였다. 이와 같은 요나스의 생명 공학 비판 논의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기술에 의한 인간의 수단화를 경계해야 한다. 둘째, 과학 기술과 윤리에 대한 성찰적 태도가 필요하다. Hans Jonas proposes responsibility ethics as a new ethics to overcome the crisis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ponsibility ethics can be applied to various practical problems in our lives. A case in point is biotechnology. According to Jonas, it is the stage of biotechnology that waits for us at the end of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process. Due to the excessiv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the idea of transforming human genetic structures or planning our descendants is no longer an illusion. By reaching the final stag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humans have finally become obj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itself. Jonas’ position on biotechnology research, such as the problem of genetic manipulation, is concise and determined. Only prevention of misfortune is allowed, and no attempt for a new kind of happiness should be allowed. In this study, this was called the principle of preventing unfortunate consequences and attempted to propose it as a tentative ethical principle applied to the problem of biotechnology as an application of responsibility ethics. The implications of Jonas’ discussion on biotechnology criticism are as follows. First, we must be wary of human means by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 a reflectiv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technology and ethics is needed.

      • KCI등재

        미니컵 젤리 사건의 국가배상판결에 대한 음식 윤리 관점에서의 분석

        김석신 ( Suk Shin Kim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4 법과 사회 Vol.0 No.46

        This study analyzes two court rulings on “mini-cup jelly”(a firm jelly containing konjac and packaged in bite-sized plastic cups) from a food ethics perspective. Here only the portion of lawsuits pertain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for damages will be focused. The judgment was criticized either jurisprudentially or ethically.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was not liable for damages in both cases. However, from an absolute and fundamental viewpoint, the jelly was unacceptable, ethically as well as legally, because it was unsafe, unwholesome, and unfit for children`s consumption. The ignoring or sidelining of fundamental principles of food ethics, especially respect for life, was at the core of these cases. If the government had considered and prioritized the principles of food ethics, the choking accidents could have been prevented. It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risks by applying the principles of food ethics before any accidents can occur.

      • KCI등재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Ethical Culture: Analysis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Indonesia

        Lukita TRIPERMATA,Syamsurijal,Tertiarto WAHYUDI,Luk Luk FUADAH 한국유통과학회 2022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13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find empirical evidence and clarity on the phenomenon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fraud prevention through whistleblowing intention. This study also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ethical culture moderating between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fraud prevention.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The samples of this research are 236 respondents consisting of the Head of the Finance Subdivision and Head of the Reporting Planning Subdivision and the finance staff who were determin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s whistleblowing intention. In addi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oes not affect fraud prevention mediated by whistleblowing intention. Furthermore, organizational ethical culture moderates whistleblowing intention and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fraud prev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henomenon of scandal that often occurs on a television is not a habit that must be followed. It requires an active role from the community as a form of concern for whistleblowing. Futher researchers can add other construct variables, such as good corporate governance to asses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al layer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 KCI등재후보

        주도적 성격과 주도적 행동: 윤리적 리더십의 역할

        이동섭,최용득,조예슬 한국윤리경영학회 2017 윤리경영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구성원들의 주도적 성격과 주도적 행동 간 관계에서 작용하는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인간-상황 상호작용론 관점에서 개인의 기질 요인과 상황 요인의 상승작용에 초점을 두었으며, 결과변수로 주도적 행동의 촉진 측면과 예방 측면을 각각 대표할 수 있는 혁신행동과 문제예방행동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기질 활성화 이론에 기대어, 윤리적 리더십 하에서 개인에 내재한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과 문제예방행동으로 더욱 강하게 발현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국내 조직에 근무 중인 구성원 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 윤리적 리더십을 높게 인식할 때 구성원의 주도적 성격이 혁신행동과 문제예방행동으로 표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제예방행동을 예측할 때, 윤리적 리더십은 주도적 성격과 상호작용하는 명확한 패턴을 보였을 뿐 아니라, 직접적인 독립변수로도 기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ethical 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proactive behavior. Based on a person- situation interaction perspective, we focused on leadership as a situational context that facilitates two types of employee proactive behavior: individual innovation and problem prevention. Drawing on trait activation theory, the study proposed a model in which proactive personality is activated and thus more strongly predicts individual innovation and problem prevention under ethical leadership as a condition. We tested the interaction hypotheses using a sample of 161 employees in South Kore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ethical leadership is predictive of both individual innovation and problem prevention.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 patterns are more salient when predicting problem preven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목회자의 성적 비행과 목회 윤리적 과제에 관한 연구

        백광훈(BAEK Kwang-Hu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7 장신논단 Vol.49 No.2

        이 논문은 한국교회 안에 심각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는 목회자 성적 비행에 대한 문제를 기독교 윤리학적인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목회자의 성 일탈 행위는 목회 윤리적으로 그른 행위일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심각한 파장을 낳는다. 1차적으로 피해자에게 엄청난 고통을 주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목회자 자신의 목회에도 치명적이며 교회 공동체에 대한 신뢰를 심각하게 저하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한국 교회는 목회자의 성적 비행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대응 매뉴얼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점증하는 목회자 성적 비행에 대한 분석과 함께 목회 윤리적 대안과 실천적 과제를 마련하고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전시킬 것이다. 먼저, 논자는 목회자 성적 탈선의 전반적 현황을 다룬 후, 목회자 성적 일탈의 원인에 대해 정서&심리적, 이데올로기로서의 남성 중심의 성차별 문화, 성중독과 판타지 문제, 영적 고갈의 차원에서 다룰 것이다. 또한 목회자의 성적 일탈의 유형에 대해 논의하게 될 터인데, 그랜츠(S. Grenz)와 벨(R. Bell)의 정의를 따라, 포식자 유형, 연인 유형, 방랑자 유형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구분하게 될 것이고, 결과적으로 이 모든 유형들이 목회자에게 부여한 힘과 신뢰를 남용한 것임을 주장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보다 실천적인 대안으로서 목회자 성적 비행을 방지하기 위한 교육과 윤리 강령 및 법제정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또한 목회자 성적 비행 문제가 실제 발생했을 때 교회공동체가 염두 해야 할 자세와 행정적 절차도 함께 제언하였다. 여기에는 피해자 중심의 절차적 정의의 확보, 교회의 공동책임 의식,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 선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성적 비행 목회자의 복귀 방안 등도 포함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포괄적인 접근을 통해 목회윤리로서의 성 일탈 문제를 환기키시고, 동시에 실천적인 차원에서 교회가 지향해야 할 자세와 과제들을 제언함으로 교회 공동체가 점증하는 목회자의 성적 비행에 책임적으로 응답하는 하나의 방향을 제안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concerns the sexual misconduct of clergy that is emerging as a serious problem in Korean church. Sexual misconduct of clergy result in serious consequences. Most of all, clergy’s sexual misconduct is wrong in ministerial ethics. It causes great damage to the victim, clergy himself and the church community. Unfortunately, the Korean church has not responded to this problem until now. Because of this, I explored the reasons of clergy’s sexual deviances. Some of these reasons are dysfunction of family, distorted sense of sex, sexual addiction and fantasy, spiritual depression, and more. Then I analyzed types (lover, wanderer and predator) of sexual misconduct of clergy and concluded that all sexual misconduct of clergy is a misuse of power. That is the essence of clergy’s sexual deviances. First, I will emphasize sex education of clergy and pastoral candidates, enactment of ministerial ethics and construction of specific legal procedures. Second, the church community needs to have procedural justice for victim and a sense of the church’s responsibility on clergy’s sexual misconduct. Finally, the church will also have to prepare restoration plans for clergy who do commit sexual misconducts, uniquely for each case. Through all this work, churches are going to be responsible for the victim, community and God. This paper will be meaningful to suggest a practical way that the church can be accountable for sexual misconduct of clergy and establish ministerial ethics.

      • KCI등재

        사회생물학적 관점으로 본 도덕과 형사법체계 - 인간본성과 예방처분을 중심으로-

        김혜경 ( Kim Hye-kyung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9 비교형사법연구 Vol.21 No.3

        국가의 강력한 규제수단인 형법과 국가형벌권의 과도한 행사는 늘 경계의 대상이 되어왔다. 계몽주의시대 혁명을 이끌었던 동인에도 국가에 의한 자의적 형벌권의 행사가 한 몫 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우리사회는 극단적인 사회방위론적 형법의 태도와 가중주의 일변도의 형벌의 팽창을 막지 않거나 막을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 죄형법정주의가 과잉금지의 원칙이라는 형법의 한계를 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만으로는 제동이 걸리지 않는 형법과 형벌의 팽창의 한계가 어느 지점인가를 찾고자 하는 도구로서 사회생물학적 접근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사회생물학, 폭력의 기원, 사회적 뇌 가설, 마음이론, 윤리의 진화론적 측면 등 다양한 학제적 접근을 통해 인간본성과 윤리 또는 도덕과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인간의 진화과정에서 어떻게 공동체의식이 생기는지 이론적인 부분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형법의 보호적 기능이 대상으로 하는 사회윤리적 행위가치가 인간의 진화과정 및 공동체의식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사회적 뇌 가설을 통해 인간의 공감능력의 발현으로 공동체의 규범이 형성되고 협력적이고 이타적인 윤리적 행위가 진화과정에서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연상태에서 인간이 상호협력하고 공동체의식을 가질 수 있는 규모보다 훨씬 큰 인위적 조직인 국가에 의하여 통제되는 형법과 형벌은 인간본성을 뛰어넘거나 반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로부터 공동체의 일원이기도 한 범죄인을 영구히 사회로부터 격리하거나 배제하는 응보적인 형벌들은 인간본성에 반한다는 점, 따라서 악의적이고 고통의 부과만을 목적으로 하는 제재가 아닌 또 다른 의미의 처분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고자 한다. It has been criticized that nations administrative justice and retributive criminal justice system are using their power excessively in the name of righteousness ethically. So in these days our society is not able to prevent or forbid aggravated punishment and expanding area of criminal laws, which lead our society to so-called “safety society” in which offender can never enter entirely. So our society solve this problem and pursue the way to promote communal spirit and in this research suggest sociobiology as one of solutions or clues. Sociobiology concerned with human natures and human behavior is the theory to aim to explain all social phenomenons as evolution theory based on biology. Today the question of human nature is closely related to sociobiology what is an field that animal and human social behavior biologically explain the evolution of th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ose explanations, human morality is the result of evolutionary adaptations which were evolved in the process of natural selection because they were useful for our ancestor's survival and reproduction. Moreover, the latest researches about sociobiology find out and advance those theories like that the theory of mind, spontaneous evolution, social brain theory, and so forth. Those theories show the relation of human natures and ethic and communal spirit which has been with human history and reveal that human sympathy is the result of evolution. So criminal law system should not be tightened beyond human nature because if criminal law system wants member of its society to live well and safe, criminal law system as itself respect human nature and communal spirit as the product of human evolution. Finally in this paper will suggest prevention measures instead of security measures.

      • KCI등재후보

        공학윤리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내용과 방법

        이재숭 ( Jae Soong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6

        현대사회는 공학기술이 인류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시대이다. 하지만 공학과 기술이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이 클수록 이들 분야에서의 도덕적 성찰과 함께 공학인들의 윤리적 문제해결 능력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보다 공학윤리 교육이 앞서 있는 외국의 사례들을 검토한 후, 국내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학윤리 교육의 동향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공학윤리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한 내용들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내용들이 효과적으로 학습되기 위해서는 응용윤리로서의 공학윤리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몇 가지 필수적인 윤리이론들에 대한 학습이 선행된 후, 실제적인 그리고 가설적인 공학적 사고 사례들을 중심으로 사례중심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공학윤리 교육은 결국 미래의 공학인들로 하여금 직업적 실천에 있어 그들이 직면하게 될 여러 윤리적 상황들에서 이 상황들에 대한 쟁점들에 관해 비판적이고도 독립적인 판단능력을 배양하고, 더 나아가 이 상황들을 해결할 수 있는 ``도덕적 자율성``(moral autonomy)을 함양하는데 그 목표가 두어져야 할 것이다. The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ke a huge impact on the daily life of mankind today. However, the more technology affects to the world, the more ethical reflection is required to it. In this paper, I re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 of foreign countries which an education of engineering ethics has developed, and then showed the present trend of ours. Through this work I argued the need of education of engineering ethics and made a suggestion a major contents of it``s education; ethical theory, the responsibility of engineer as a profession, codes of ethics etc. And to succeed this education, I think, the case-based approach is most useful. The education of engineering ethics has to aim to build engineering students into moral autonomy.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서의 학교폭력예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향기 ( Jung Hyang Gi ),이학춘 ( Lee Hak Choo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2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입법취지에서 벗어난 예방교육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 그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방교육의 내용상의 문제점과 시행과정에서 그 내용의 불분명성과 해석상의 논란이 될 수 있는 문제와 타당성에 의문이 있는 것들에 대하여 논의와 검토과정을 거쳐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그동안 정부와 시민단체, 지역사회와 학교에서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정과 함께 그 법률의 시행과정에서 교육적 관점,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조치, 학교폭력의 특수성 등을 고려한 예방과 대책이 좋은 평가를 얻지 못하고 있다. 학교폭력예방교육의 실제를 검토해 본 결과, 첫째, 학교폭력예방 및 법률의 입법취지에 입각한 예방교육의 문제점과 책무성이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청소년 범죄예방을 위한 청소년관련법의 보완과 개정이 요구되고 있다. 셋째, 청소년의 윤리의식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학교에 설치된 자치위원회는 학교폭력예방과 대책방안을 위하여 전문성과 공정성, 사법적인 권위에 따른 그 실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현실적으로 자치위원회는 예방과 예방을 위한 조치만을 다루고 실제 발생된 학교폭력사건에 대한 처리는 자치위원회가 아닌 시군구 지역단위에 설치된 위원회에서 담당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preventive education which is out of the legislative intent and to prepare the improvement plans, as clarified in the Act on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for school violence. Specifically, it is to prepare the improvement plans through discussions and review process about subjects such as problem in content of preventive education, ambiguity of the content in process on enforcement, problem that may be controversial in interpretation, and things are doubtful about validity. Despite various efforts for prevention on school violence between government, civic organizations,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in the meantime, they are not well evaluated even in the enactment of the Act on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for school violence and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that take account of educational perspectives, measures toward victims and offenders, and specificity of school violence in process of enforce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ality of preventive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blems and accountability of preventive education based o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Act. Second, the supplementation and reform of juvenile laws have been required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Third, there is a need to reinforce ethics of adolescents. Fourth, the self-governing committees established in the schools need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according to professionalism, fairness, and judicial authority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its countermeasure plans. In reality, it is desirable that the self-governing committees deal only with prevention and measures for prevention, and the actual incidents of school violence should be handled by the committees established at local and regional level.

      • KCI등재

        윤리교육에서 성희롱 예방교육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2 No.1

        사회가 공동체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해 가면서 개인의 성적자기결정권이 이전에 비해 중시되고 있다. 형법에서 혼인빙자간음죄 조항이나 간통죄 조항이 폐지된 것은 성을 보는 관점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대표적인사례다. 이러한 성적자기결정권의 중시 맥락에서 성희롱 개념도 국가의 법령으로 규정되기에 이르렀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직장 내 성희롱예방교육의 내용은 ① 성희롱관련 법령 ② 성희롱발생시 처리절차와 조치기준 ③ 성희롱 피해 근로자의 고충상담 및 구제절차 ④ 성희롱을 한 자에 대한 징계 등 제재조치가 기본 내용이다. 이런 교육내용으로 공공기관, 학교, 사업장에서의 성희롱예방교육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성희롱 관련 사건들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법령 알리기와 사후 처리 방안에 초점이 맞추어진 현재의 성희롱예방교육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법령을 알리고 사후처리 하는 방법을 알리는 지식중심 성희롱예방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배려하고 공감하며 경계를 존중하는 실천 중심의 윤리교육으로의 질적인 도약을 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성희롱예방교육에서 윤리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한국에서 혼란스럽게 쓰이고 있는 성희롱의 의미를 직장 내의 관점과 일반적인 관점에서 구체화 하고, 성희롱의 유형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의 필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성희롱 예방교육이 예방교육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윤리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논지와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Sexual harassment is one of the most popular issues in contemporary Korea. In the past, sexual harassment is regarded as the expression of intimacy between men and women or sexual play. Society and culture is changing rapidly. Gender equality, human rights, sexual self-determination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community and the company. In this paper, I will find a way for the prevention of sexual harassment in the perspective of Ethics Education. Under the current Korean law, “Act on Sexual Harassment” is defined that sexual harassment is making someone feel sexual humiliation, or giving employment disadvantage. Sexual harassment is a concept that applies only in the workplace organization. Sexual harassment is sex discrimination because the act reinforces the social inequality of women to me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in South Korea has focused on punishment. In general, sexual harassment problems are recognized as illegal. So, we usually believe that the offender must be punished in order to prevent sexual harassment. I think the sexual harassment is unethical behavior. Therefore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should be ethics training. I think that ethical care education and boundary ethics education will be effective to prevent sexual harassment. We are able to refer to MacKinnon``s framework in adopting guidelines prohibiting sexual harassment by prohibiting both quid pro quo harassment and hostile work environment harassment in social ethics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