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연구노트 활용을 통한 기술유출 방지 및 기술자료 입증 방안제시

        강정헌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17 한국산업보안연구 Vol.7 No.1

        연구 기술 관련 지식재산 연구노트는 수행하는 연구의 핵심적인 기술을 기록 한 연구자의 노고가 담긴 것이며, 하나의 지식 재산 산물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연구가 완료되어 성과물을 이루기 전에 또는 그 이후에도 연구노트가 외부로 유 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왜냐하면 연구노트가 특허등록 과정에서 하나의 기 술 입증 자료로 사용 되었던 대표적인‘복제양 돌리에 대한 복제기술’관련 사 례와 같이 연구노트가 기술 분쟁에 있어서 법적인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인지 최근 국내외 여러 연구기관들이 과거 서면연구노트보다 한 단계 발전 된 전자연구노트를 실질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크게 늘었다. 특히 정부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 국생명과학연구원 등 국가 핵심기술들을 연구하는 국가 연구기관들뿐만 아니라 국가 R&D 협약을 체결하는 기관에 대해서 연구노트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사항 이 필수 사항으로 포함돼야 한다는 규정을 마련하여 연구 활동 시 연구노트 작 성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였다. 하지만 그 외의 기술연구기관에서 전자연구노트 도입이 활성화 되고 있지 못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는 전자연구노트에 도입에 관한 애로사 항과 보안기능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밝히고, 보다 개선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연구노트 활용을 통한 기술유출 방지 및 기술자료 입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Research not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to research technology is a result of the researcher’s work who recorded the key technology of the processing research, and it is also the result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Thus, researcher should prevent the leak out of the research note before the researcher complete the research and also after make the achievement. The reason is, the research note could be utilized as a legal evidence once the technology dispute begins, for example, on the patent registering process, ‘The cloning technology about the cloned sheep, Dolly’ used as one of the data to improve the technology. Recently, for this reason, the case study on upgraded E-note dramatically increased than the previous in-writing research note at several research institute in internal and external. Especially, the government encouraged to draw up the research note during the research activities while preparing the regulation that writing down and managing the research note should be included as a essential option to those company who research the national core technology like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and others but also the agency that signed the agreement of national R&D. But the attempt to phasing E-note in has not been activated for the rest of the technology research agency. For these reason, this paper reveals the difficulty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existing E-note and the problem in security function, and suggests improved method of preventing the technology leakage and utilizing digital research note based on block chain.

      • KCI등재

        디자인 학습윤리 교육을 위한 디자인 연구노트 활용성 고도화 연구 - 연구노트를 활용해 본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

        이정우,김지인,이지현,김광식,박혜신,윤수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2

        Background Disputes related to indiscriminate design plagiarism in various industries are factors that can weaken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adversely affect national reliabilit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ocial problems, related education is urgently required from the time of attending the College of Design, but related education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o dissemination and proliferation of research notes in the design field, the convenience of many users should be considered, so research on advanced usability is needed.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FGI,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design students with experience using design research notes and narrative observation on the process of using design research notes were conducted. In addition, quant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design research notes, and data on research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view. Result The FGI results showed that opinions on the use effect of design research notes differed according to user type. As a result of the CCA, it was found that it was recognized as a difficulty and additional task in writing design research notes as an upper problem that induces negative emotions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design research notes. Conclusion It repeatedly guides design research notes and provides detailed guidelines in content. It proposes the use of online document programs, a system that can be shared with professor, and the improvement of the timing of organization and submission. 연구배경 산업 각 분야에서 발생하는 무분별한 디자인 표절과 관련된 분쟁은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국가신뢰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위와 같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디자인 대학 재학 시부터 관련 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되나 아직은 관련 교육이 자리 잡지 못하였다. 디자인 분야 연구노트 보급과 확산을 위해서는 다수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활용성 고도화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디자인 연구노트를 활용한 경험이 있는 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인 FGI를 진행하였고 디자인 연구노트의 사용과정에 대한 서술관찰을 병행하였다. 그 외 디자인 연구노트의 사용성 평가를 위한 양적조사를 병행하여 여러 각도에서 연구대상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FGI 결과에서는 디자인 연구노트의 사용효과에 대한 의견이 사용자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연쇄분석 결과, 디자인 연구노트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부정적 감정을 유발하는 상위 문제로 디자인 연구노트를 작성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과 추가과제로 인식된다는 점이 나타났다. 결론 디자인 연구노트에 대한 안내를 반복적으로 시행하고, 내용적으로 세분화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교수자와 공유 가능한 시스템인 온라인 문서 프로그램 활용과 정리 시점 및 제출 시점 개선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인격교육과 융・복합 연구의 발전과제: 연구노트 규정을 중심으로

        조정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11 인격교육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developmental tasks of Saramdaum Education (人格敎育) and fusion/combination researches with being focused on the research note regulation. Results of this paper are reported as follows: The research note regulation by disregarding fusion/combination researches, Changing of research integrity according to fusion/combination among academic sub-disciplines, Self-regulation and other oriented regulation within researches, and Developmental tasks of the research note regulation according to Saramdaum Education and fusion/combination researches. Results revealed that the current research note regulation does not include self-regulation of fusion/combination researches among academic domains/sub-disciplines regardless of diverse research styles. Also concentrating other oriented regulation of collecting data and research results, the regulation may have a possibility to depress the academic freedom of researchers. Accordingly, considering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note regulation, it may be reasonable both to reexamine the concept of research integrity with including fusion/combination researches and to include self-regulation within research note regulation. 이 글에서는 현대 학문의 주요 추세인 융・복합 연구의 발전과제를 인격교육 측면에서 연구노트 규정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우리 정부가 연구윤리의 제고, 연구실의 지식관리, 연구결과의 법적보호 등을 위해 도입한 연구노트 제도가 인격교육을 비롯하여 각종 융・복합 연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완해야 할 사항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인격교육 연구는 관념적 논의에서 출발하지만 궁극적으로 학교현장에서 교육과학적인 실천에 이르러야만 실효성을 거둘 수 있겠으나, 현행 연구노트 규정은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문화, 예술 등의 학제적 융・복합 연구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글에서는 먼저 법령을 중심으로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문화, 예술 등의 학제적 융・복합 연구를 배제한 연구노트 규정’의 실태를 분석하였고, 이어서 ‘학문의 융・복합 추세에 따른 연구의 진실성 기준의 변화’를 논의하였으며, 또한 ‘연구의 타율적 관리 영역과 자율적 관리 영역’을 살펴보았고,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융・복합 연구 관련 연구노트 제도의 발전과제’를 인격교육 융・복합 연구 분야에서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현행 연구노트 규정은 연구윤리의 타율적, 외면적 관리 이외에 자율적, 내면적 관리 항목이 미비하여,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문화, 예술 등의 학제적 융・복합 연구’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그 보완 사항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연구자의 지적 재산인 연구자료를 연구자가 관리하는 방향이 모색되어 자신의 선행 연구자료를 제약 없이 활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만약에 이러한 보완이 조항들 간에 모순을 일으킬 수 있다면, 적어도 학제적 융・복합 연구를 연구노트 관리 대상에서 배제함을 규정하여야 현대 학문의 추세인 융・복합 연구가 저해 받지 않을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융・복합 연구를 반영한 연구의 진실성 개념의 재정립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미리 圖形化된 노트에서 한자 쓰기가 漢字 正書力 신장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백광호 한국한문교육학회 2005 한문교육논집 Vol.24 No.-

        본 연구는 한자를 배운 지 얼마 되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미리 도형화된 노트에서 한자 쓰기를 지도하고, 이런 지도 방법이 학생들의 한자 정서력을 실제로 신장시킬 수 있을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형화된 노트가 한자 정서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면, 현재의 한자 노트 형식을 향후 개선하여 학생들이 어려운 한자 모양(形)을 비교적 용이하게 습득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한자 정서 능력을 키우기 위한 하나의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본 연구에서 특이한 점은 ‘미리 도형화된 노트’이다. 이런 노트의 고안은 재직 중이던 학교에서 학생들의 바르지 못한 한자 글씨를 교정해주기 위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학생들의 한자 정서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도입해 봤지만 매번 효과를 보지 못했다. 그런 중에 칠판 판서를 통해 한자의 기본 글꼴을 가르친 뒤 한자의 기본 글꼴에 맞는 도형을 노트에 미리 그려놓고 거기에 맞춰서 한자를 쓰도록 했더니, 대부분의 학생들이 글씨를 점차 바르게 쓰기 시작하는 효과를 본 적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도형화된 노트를 활용하여 한자 쓰기 지도를 하면 어떤 효과가 나타날 것인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 과제로 삼았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기존의 한자 노트에 의존하지 않고, 미리 도형화된 한자 노트를 직접 고안하여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첫째, 학생들은 한자를 쓰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둘째, 미리 도형화된 노트에서의 한자 쓰기가 한자 정서력을 신장시키는 데 유용할 것인가?본 연구는 현재의 상태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관찰한 것을 자료로 하여 연구자 자신이 분석을 시도하는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며, 질적 연구의 방법을 사용한다.본 연구는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읽고 쓸 수 있는 한자가 50자 이상 200자 이내의 한자 학습 정도를 가진 학생 가운데 학업 성취도가 비슷한 학생을 남녀 각 2명씩, 총 4명(실험집단 2, 비교집단 2)을 선정하여 2004년 10월 18일부터 2004년 12월 18일까지 2개월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학생들이 한자를 쓰는 과정에 어떤 어려움이 있나 분석해 본 결과, 한자의 모양(形)을 학습할 때는 점과 획이 복잡하게 엮인 한자뿐만 아니라 비교적 쉽고 간단한 모양이라고 판단되는 한자도 글자의 모양에 대해 자세하고 분명하게 설명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모양뿐만 아니라 뜻과 음까지 함께 익히도록 지도해야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또한 한자의 자형이 미리 그려져 있는 노트에 한자 쓰기를 연습했을 경우 한자를 바르게 쓰는 능력이 길러지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미리 도형화된 노트에서의 한자 쓰기는 한자 정서력을 유의미한 정도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본 연구는 단일 연구주제, 단일 자료, 단일 연구자로 이루어졌고 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전체 학생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가 아니기 때문에 연구 기간도 2개월 정도로 제한되어, 보다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산출하기에 시간적으로 부족한 면이 있음을 밝힌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bout writing Chinese character in figured note and students who have just started to learn Chinese character took part in the conduct of this research.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hat if writing in figured note could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I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 that figured note can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or any similar conclusions), current Chinese character note form with improvement will make students easily learn difficult Chinese character and it may be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There are two main aims of this research. First, what kinds of difficulties do students have in writing Chinese character? Second, dose the writing Chinese characters in figured note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The researcher choose two male students and two female students who have more than 50 less than 200 Chinese characters (and they all go to the same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Seoul), research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18th Oct 2004 until 18th Dec 2004. The research tells us those new facts. Researcher analyzed what kinds of difficulties students have when they write Chinese character and results showed that Chinese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more clearly and in detail no matter it is simply one or complicated one with stroke. Moreover, it is effective to learn meanings and pronunciations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the writing Chinese character in figured note will increase emotions about Chinese character.

      • KCI등재

        듣기-쓰기 통합 활동으로서의 ‘강의 듣고 필기하기’ 사례 연구- 국내 학부 외국인 유학생의 노트 필기를 중심으로 -

        이은희 한말연구학회 2019 한말연구 Vol.- No.51

        This study ma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cused on the skill of ‘lecture-listening and note-taking’ in Korean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smooth study performance of undergraduate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Through a case analysis of learners who earn good grades despite their low Korean language skills,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listening and note-taking’ is a skill that can be improved through practic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listening and note-taking’ should be treated as an independent skill and not as one type of writing strategy. This study approached ‘listening and note-taking’ as an integrated activity of ‘listening and writing’ and analysed actual notes from real Korean lectures to investigate specific examples of realization. 12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for in-depth analysis. Five factors affecting note-taking were identified as: “Students’ perception of note-taking, Cognitive errors in the note-taking process, Note-taking methods, Experience in college lecture-taking, Education-cultural background and note-taking experience.” Educational suggestions on ‘listening and note-taking’ were made as followed: First, the learner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note-taking should be promoted. Second, cognitive errors in the note-taking process should be prevented through secondary note-taking. Third, in primary note-taking during class, it is more efficient to transcribe in sentences rather than summarizing with key words. Fourth, ‘listening and note-taking’ is a skill that can be enhanced through practice, regardless of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does not cover all types of learning that take place in universities, but is limited to receptive learning (with the aim of understanding the delivered content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intention) in a conversational descriptive lecture.

      • KCI등재후보

        농촌마을 민속지식 발굴과 활용의 실제

        정명철(Jeong, Myeong-cheol),유수영(You, Su-young)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1

        이 글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시험연구사업을 기록한 ‘연구노트’를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연구 대상 마을 선정에서부터 조사 방법, 조사 내용, 연구 결과 도출, 현장 적용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가능한 범위에서 상세하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연구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농촌마을 민속지식의 발굴과 활용’ 관련 연구 과제를 공유하고 함께 논의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논의를 집중하기 위해 충남 금산군 평촌마을 사례만을 추출하여 정리하였으며, 간간이 연구자가 고민했던 내용을 덧붙여 추후 논의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평촌마을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수행한 ‘지역 마케팅을 위한 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연구’ 과제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수행한 ‘농촌마을 세시풍속 실태조사 및 활용 콘텐츠 개발’ 과제의 대상 마을이다. 5년 동안 관계를 지속하면서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상호간에 ‘친밀감(rapport)’을 형성하고 있으며, 민속지식 발굴에서부터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결과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마을이다. 연구수행 과정에서 민속의 ‘왜곡’과 ‘재창조’, ‘진짜민속’과 ‘가짜민속’, ‘원형’ 보전 등과 관련된 문제들을 맞닥뜨린 마을이라 연구자에게 성찰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 글이 연구자에게 채찍질로 되돌아오기를 바란다. The research has been written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note, a part of research projects of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It tried to show in detail a research process ranging from a selection of a study site, research method, survey constructs, results to field applications. It lets the researcher reexamine and supplement the project,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folk knowledge in a rural village” done by 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In order to narrow the research down, it only examined the Pyeongchon village in Chungnam province among some cases surveyed. The challenges the researcher faced and the debates for further studies were added at the end of the research. The Pyeongchon village is the target area where two projects were conducted for five years from 2011 to 2015. One project is about the storytelling of the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and the other is about current status and contents development of annual cyclical rituals in rural villages. As the research had lasted for the five years, the researcher could create a close rapport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imate relationship allowed to draw a plenty of data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folk knowledge, storytelling and cultural contents. It also led the researcher to reflect endless issues such as the ‘distortion vs. re-creation’, ‘authentic folk vs. inauthentic folk’, and ‘preservation of prototype’ which have raised in rural villages. The research is also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to go one step forward as a researcher.

      • KCI등재

        「四庫全書總目提要」의 ‘凡例’와 ‘案語’ 연구 - 「凡例二十則」의 譯注를 중심으로 -

        조영래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3 No.-

        This paper is to analyze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the “Notes on the use of a book(「凡例」)” in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四庫全書總目提要」), and al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Comments(案語)”. The ‘Notes on the use of a book’ refer to the words that illustrate the selection standards, presentation style and content scope of the script, in front of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As the important part of “the analysis”, it account as a whole for the stylistic rules of the whole book, which shows its pros and cons. It conduce toward a better in-depth study on “the analysis” to analyse those pros and cons. In this paper, have interpreted the twenty kinds of “Notes on the use of a book” and translate with explanatory notes. “Notes on the use of a book” have a variety of functions, analysis and in many respects it was classified. “The Comments(案語)” illustrates, supplies and researches the departments of cases attached by rules which are not explained in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The Comments” lies here and there attached to in have important contents and valus of style, which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ollowing five aspects: interpreting or supplying “Notes on the use of a book”, and interpreting or supplying “Writing ideas”, and supplying introductions to “Analysis and commentary of the book”, and introducing “Classification of an item proving”, and interpreting to “Scholar of the origin and changes”, and supplying introductions to “authenticity of a document”. “The Comments” had a role, such as blood vessels in the body, and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lso embodying the Comprehensive Bibliography of Sago Collections in systematic in another way. 본고는 「四庫全書總目提要(총목)」의 ‘범례’의 역주와 함께 ‘案語’를 분석하는 것에 있다. 「총목」의 ‘범례’는 권두에 편재되었고, 「四庫全書」에 수록된 도서에 대한 수록의 원칙, 편목의 배열과 저록의 체례 등을 총체적으로 설명했다. 「총목」의 ‘범례’란 「사고전서」의 편찬과 도서 해제의 준거를 제시하는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며 ‘서지통정(Bibliographic control)’의 청사진이다. 본고의 목적은 「총목」의 이해를 심화하고, “체계서지학”의 중국적 특성으로 불리는 “目錄學”의 특성과 핵심을 구성하는 문헌해제의 체례를 ‘범례’와 ‘안어’를 통해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凡例二十則」을 상세한 주석을 통해서 완역하고, 「총목」의 편찬체례와 저록의 수집과 분류 방법, 그리고 서목의 배열방식과 편찬과정의 대강을 밝혔다. 「凡例二十則」은 「총목」 서두에 위치해 「총목」의 전체 체례를 설명하는 일종의 ‘일러두기’에 해당한다. ‘범례’는 전서의 체례를 총괄적으로 설명하면서, 동시에 「총목」에 도서의 저술원칙, 도서의 수록기준, 著錄과 存目, 類目의 배열, 子目의 설치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을 했다. ‘범례’는 중국 목록학 문헌 해제의 특성 외에도 原書의 流傳을 고증하여 善本과 足本 및 通行本을 엄선한 ‘원문서지학’과 ‘형태서지학’적 요소를 모두 보유했고, 이를 통해 종합적 성격의 목록 저술인 「총목」의 성격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안어’는 ‘범례’의 기능 중에 미진한 곳을 보완, 보충하면서 「총목」의 체례를 주석의 형태로 부연 설명했다. ‘범례’를 구성하는 ‘저술사상’․‘도서변위’․‘유례논증’․‘도서해제’․‘학술기원’의 범주를 소통을 통해 긴밀한 관계를 맺도록 기능했던 것이 바로 ‘안어’였다. 중국목록학의 구성 요소 중 ‘안어’의 역할이 다소 과소평가 되었던 원인은 아마도 고정된 체례나 사용 사례가 불규칙하고 정형적인 형식이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篇目․敍錄․解題․總序․小序 등이 커다란 바위로 비유한다면 ‘안어’는 이런 바위들이 더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돕는 모래와 자갈, 혹은 진흙으로 비유할 수 있겠다. 「총목」에서 구현되고 있는 考據學의 학풍은 실은 5가지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안어를 통해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안어’의 연구는 더욱 풍부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피숑(L. Pichon)의 조선 천주교회사 연구

        김정숙(Kim, Jeong-Sook)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敎會史硏究 Vol.0 No.43

        피숑(Leon Pichon, 宋世興, 1893~1945)은 조선 교회사를 중요한 주제별로 나누어 연구하기 시작한 선구자이며, 그 결과물을 잡지를 통해 일반인과 소통한 저술가였다. 그는 각종 교회 100주년 기념행사에 맞추어 교회사를 완성해가는 동시에 연구하며 행동하는 선교사였다. 그리고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바를 진정으로 고민한 선교사 연구자였다. 본고는 피숑이 주목한 교회사 주제와 내용, 그의 연구 의도, 당대 사회와의 소통 관계를 중심으로 살폈다. 피숑의 연구 결과는 《가톨릭靑年》, Pro Corea-Documenta와 그의 연구노트에 남겨져 있다. 따라서 각 매체가 지닌 특징적 성격과 다룬 내용을 함께 묶어 설명했다. 피숑의 글은 연재글이었다. 장기간의 연재는 분명 교회와 신자의 공감을 얻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의 글은 당대 교회의 생각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브뤼기에르 주교의 공헌, 모방 신부의 활동과 교회상황, 정약용의 신앙생활과 교회 공헌 등에 대하여 연구했다. 또한 피숑은 Pro Corea-Documenta를 출간하여 조선 교회가 김대건 신부에 주목하고 그의 순교 정신을 현양하는 데 불을 붙여 놓았다. 피숑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동시에 조선 교회사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과 답사를 그치지 않았고, 최경환, 정약종과 이승훈의 묘 등을 찾아냈다. 이러한 피숑의 자료 수집 노력들은 오늘날 그의 ‘연구노트’에 담겨있다. 피숑의 연구노트는 4권인데 본고에서는 2, 3권만 분석했다. 이 부분은 주로 조선 교회사 전사(前史)에 대한 메모였다. 피숑은 교회의 역사를 종합적인 견지에서 서술했다. 즉 그는 교회사 서술에 있어서 정치적 영향 일변도의 설명을 거부하고 문화사적 입장까지도 고려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는 세계사적 시각에서 조선 교회를 설명하고자 했다. 이와 아울러 그는 한국 교회의 역사 안에 숨어 있던 희망과 위로를 찾아내려 노력했다. 피숑이 인용했던 사료와 수집한 자료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eon Pichon(1893~1945) was a pioneer who started to categorize the history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nto main subjects for research and a writer who communicated with readers by sharing his works through magazines. He perfected the centenary of various Catholic Events while studying and practicing his faith. He was a missionary researcher truly seeking the direction of church movement. This writing explored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the he treated. Pichon’s research results are preserved in magazine Catholic Youth, the book Pro Corea-Documenta and ‘Research Notes’. Therefore, I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points found in each media all together. The process of Pichon’s study of the Catholic Church history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series of publications. The long-time series was made possible due to the bond formed with the church and believers, so his writings reflect the ideas of the church at that time. Pichon highlighted the contribution of Bishop Bruguiere, activities of Fr. Maubant and religious life of Jeong Yak-yong. And he initiated a movement in Joseon society to reappraise Kim Dae-geon and acknowledge his spirit of martyrdom on a full scale by publishing Pro Corea-Documenta He also ceaselessly collected materials and visited historical sites and he discovered grave sites of Choi Gyung-whan, Jeong Yak-yong and Lee Seung-hoon. etc. All such efforts can be viewed in his ‘Research Notes’ today. The research notes are in four volumes. But I only deal with volumes 2 and 3 which almost consists of memos on the Pre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Pichon narrated the church history from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He rejected the predominant political explanation of the church history and took the account of cultural views as well. He also explained the Catholic Church of Joseon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history. He was dedicated to finding hope and consolation hidden in the Catholic Church history of Korea. His direction of research is maintained till this day. Historical resources cited by Pichon and his collection of materials should be closely examined on a continuous basis.

      • KCI등재

        듣기-쓰기 통합 활동으로서 메모하기 지도의 가능성 탐색

        김혜연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101

        This study aims to define note-taking as an integrated activity of listening and writing and to look for a possibility of its instruction. Note-taking has been dealt with as a listening activity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t has both orality and literacy in itself and need to be regarded as an integrated language activity, especially, between listening and writing.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has analyzed notes of 31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aking a lecture. The result was presented in terms of three note-taking types:efficient memo group, descriptive memo group, and explicit memo group. Efficient memo group showed the most efficient note-taking by using structuralization and paraphrases, whereas descriptive memo group showed a drop in efficiency by distracted and incoherent note-taking with little change from orality. Explicit memo group just showed note-taking close to direct demands. Thus, both descriptive and explicit memo group have shown problems in the transition between orality and literacy, and in the construction of one’s own meaning. As for descriptive memo group, educational treatments can be implemented by several strategies of emphasizing metacognition. As for explicit memo group, however, instruction can be made by adopting various ways to change orality into literacy. 이 연구는 수업 중 학습 목적 메모하기 행위를 듣기와 쓰기의 통합 활동의 차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메모하기 지도에서는 이해의 속성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적극적인 의미 구성의 차원을 강조할 때 그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1명의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메모하며 듣기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적 메모군, 기술적 메모군, 명시적 메모군의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별로 듣기-쓰기 관계의 어떠한 지점이 문제가 되었는지 알아보았다. 효율적 메모군은 구조화, 재진술 등을 통해 가장 효율적인 메모 방식을 보여주었던 데 반해, 기술적 메모군은 메모 분량은 많아도 산만하고 두서없으며 자신의 언어로 소화해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적절한 학습 효과를 보장할 수 없었다. 명시적 메모군은 판서 이외의 메모 자체가 별로 없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직접적인 요구에 의한 작성에 가까웠다. 그러므로 학습 목적 메모하기 지도의 방향은 ‘듣기 위한 쓰기’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함을 제안하면서, 이에 따른 기술적 메모군과 효율적 메모군의 지도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와 연구윤리

        김종빈 大韓小兒齒科學會 201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1 No.2

        연구윤리는 학문을 탐구하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가장 근본적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많은 선학들의 훌륭한 연구 업적 덕분에 지금의 학문 체계가 마련될 수 있었다. 최근 증가되고 있는 결과 중심의 연구 풍토와 업적을 중시하는 평가 시스템은 일부 학자로서의 양심을 벗어난 연구를 부추기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뉘른베르크 강령과 헬싱키 선언으로 시작된 연구윤리의 개념을 되짚어보고, 이를 강조하는 주체에 대한 각국의 입장과 국내 실정을 소개하며, 최근 개정된「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역할, 심의면제 그리고 심의절차 등에 관해 검토해보고, 향후 연구자가 숙지해야할 내용을 점검해 보았다. 또한 연구 객관성의 확보와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검증 및 대비를 위해 연구노트의 적극적인 활용을 고려해 보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Research ethics is the basic attitude for researchers. Thanks to our predecessors we are able to conductsystematic studies. The current trend of results and the amount of study-oriented assessments make the sideeffect that researchers conduct SCI (Science Citation Index) studies. Since the Declaration of Helsinki, the importance of the right, safety and welfare for human participants haveimproved. In the present study, I looked into other countries’standpoints concerning the subject of the responsibilitiesfor research ethics and compared them with Korean’s standpoint. Recent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vised the laws for bioethics and safety. In the point ofbioethics, I checked out the function, exemption and process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for the futureresearcher. It is suggested to use the research note to verify a study procedure and protect oneself from research miscon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