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정치화를 위한 시론

        하정옥 한국보건사회학회 2013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4

        1994년 카이로 국제인구회의와 1995년 북경 세계여성대회에서 제시된 재생산권 개념은 오늘날국제기구의 공식 문서부터 개인들의 일상적 담화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재생산권은 거의 인권과 마찬가지로 보편적 정당성을 획득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인권이 자명한 것으로 이해되듯이 재생산권은 당연해 보이기까지 한다. 한편 재생산권 개념은 상당히 혼란스럽게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늘날 소위 생명권 논자들은 여성의 건강을 위한다는 재생산권 개념을 거론하면서 낙태를 반대한다. 새로운 재생산기술로 빈곤 국가 여성들의 난자와 자궁을 거래하는 것을 구매자의 재생산권 실현으로 정당화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재생산권을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산물로 보고자 한다. 재생산권은 1990년대 국제 정치의장에서 보편인권체제가 확립된 배경에서 출현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종교적 근본주의에 대항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인구 및 개발 담론과 긴장관계를 맺으면서 그 구체적 내용을 확보하였다. 여성에게 재생산권리가 있다는 것이 인정되기란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인권의 역사가 보여주듯이 여성은 어떤 집단보다도 가장 늦게 권리를 획득한 집단이었고 재생산은 공동체의 사활이 걸린 문제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재생산권 개념을 역사적·정치적으로 분석한 결과 도달한 결론은 재생산권은 완결된 성취가 아니라 미완의 과제라는 것이다. 1990년대 중반의 재생산권 정립은 인구 및 개발 프레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다. 재생산권의 구체적 내용이 확장되고 확보되는 것은, 선언이나 비준을 통해서가 아니라 여성의 불평등한 상황을 둘러싼 성별 정치의 투쟁을 통해서였다. 이러한 점에서 재생산권은 여전히 성취의 과정 중에 있으며 현실 정치에서의 구체적 변화만이 재생산권이 목표로 했던 이상을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concept of reproductive rights was confirmed in 1994 at the International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in Cairo, and in 1995 at the FourthWorld Conference on Women held in Beijing. Since then the term has beenwidely used in diverse contexts: we read it in the official documents of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hear it in casual conversations among people. Onthe surface it appears that reproductive rights have gained the universal legitimacyand self-evidence of human rights. The terminology, however, is often used in aconfusing way. For example, the proponents of the so-called “right to life”movement mention reproductive rights in their anti-abortion campaigns, claimingthe term supports their aim to “protect” women's health. The term has even beenused to justify the buying and selling of the ovaries and uteruses of women indeveloping countries, a situation made possible by new reproductive technologiesand the realization of reproductive rights at the buying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amiliarize the terminology “reproductiverights.” That is, instead of being viewed as a natural concept, the term will bedealt with as a historical and political construct. Women's reproductive rightsemerged in the 1990s, when the human rights regime was generally accepted inthe arena of international politics. It has since fought its way against religiousfundamentalism and evolved through interaction with population and developmentdiscourse. The road leading up to the recognition of women's reproductive rightshas been a long, hard one. Firstly, the history of human rights shows that women have always been the last group to win such rights. Secondly, reproductive rightsissues have always been deemed particularly problematic due to their profoundsignificance not just for family units and communities but for whole states. After placing and examining the concept of reproductive rights in the contextsof history and politics, I conclude that the term “reproductive rights” refers not toa completed achievement, but to an unfinished, ongoing task. The notion of theconcept established in the 1990s had its limitations in that it was confined to thepopulation and development framework. What led to and eventually expandedthe concrete contents of “reproductive rights” was not declarations or ratificationsbut constant struggle against unfair gender politics. For this reason, I assert thatreproductive rights are still a “work in progress,” and that their true realization isdependent upon, first and foremost, bringing about significant change in actual,real-world politics.

      • KCI등재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김은애 한국법철학회 2009 법철학연구 Vol.12 No.1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bio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ing the egg retrieval by the medical operation and the reproduction of the embryo in vitro, the kind of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has became various, it’s use has been increased according to the medicalization of the process from the conception to the delivery in despite of the several bioethical controversy. The utilization of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should assure the reproductive rights of women, insofar as women is the subject of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because only women can get pregnant by the use of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he reproductive rights of women means that women has the real power to choose and to decide the way and the process of the reproduction. This right should also assure the right to achieve and to maintain the reproductive health(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the right to access the information and the knowledge relevant to the reproduction, and the right to use the bio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ing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Since as the medical treatment includes the prescription for the ovulation, the egg retrieval by the medical operation, the multi-embryo transfer and the selective fetal reduction that may cause a harm or baneful influence, the utilization of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has a direct effect on the reproductive rights of women, particularly the reproductive health right of women. Furthermore, the gamete donation and it’s recipience as a the way to build a family is related to the human rights(above all the reproductive rights) of the women as the donor and the recipient. In particular, this new way divides the motherhood into three parts: the genetic mother who offers the egg that is essential to the fertilization, the surrogate mother who goes through the process from the gestation to the parturition, the sponsor who promises to raise the child. The legal condition including the public system regarding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 Korea is inadequate to ensure the reproductive rights of women who are the primary utilizer of the bio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ing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Particularly, since the gamete donation and recipience is surrounded by various bioethical, social and legal dispute, it is not easy task to secure the reproductive rights of the donor and the recipient. Therefore, we should acknowledge the need of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cluding the third party reproduction using the donated gamete to the domain of bioethics and law. We should take and introduce the gamete donation the legal measure to guarantee the reproductive rights of women as the subject of the medical treatment as well as the subject of the donation and the recipience.

      • KCI등재

        헌법상 모성보호의 한계와 성과 재생산 권리 보장을 위한 헌법 개정 방향

        김정혜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叢 Vol.27 No.1

        The protection of maternity during the process of pregnancy, delivery and breast-feeding or nurture lies at the center of assurance on reproductive rights in Korean Constitution. The ‘maternity protection’ clause adopts the form of ‘protection’ based on the social status and role of a mother rather than to assure the right of free decision along the series of reproductive activities throughout life, and even this protection is evaluated to be weak in the nation’s duties or the degree of the rights. This thesis, based on the definition and content of reproductive rights that has wide currency i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discourse, seeks to confirm the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that the nation should assure and to provide a legal measure to realize it. For this, I have analyzed the definition and content of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 rights (SRHR) reviewed and confirmed by Programme of Action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ICPD PoA) in 1994 and the Nairobi Summit on ICPD25 in 2019(II), looked into the range and limits of the constitutional assurance of reproductive rights centering around maternity protection specified in Article 36,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nd sought to derive imperativeness for assurance of reproductive rights by analyzing the change in the laws concerning reproductive rights and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of the current laws(III). Next, I reviewed the legislation cases of foreign constitutions and the major constitutional amendments proposed until now. I reviewed cases that specified clauses concerning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family planning in constitution as well as cases that defined ‘maternity protection’ or ‘mothers’ rights’, and referred to those cases while arranging my constitutional amendment(IV).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bove, I arrived at a bill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to assure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V). 헌법에서 재생산권 보장은 임신, 출산, 수유 또는 양육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의 ‘모성보호’가 중심이 되고 있다. 모성보호 조항은 모든 사람의 전생애에 걸친 일련의 재생산 활동에서의 자유로운 결정권 보장보다는 어머니라는 지위와 역할을 기반으로 하는 ‘보호’의 방식을 취하고 있고, 보호조차도 국가의 의무나 권리성은 미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 논문은 국제인권론에서 널리 통용되는 재생산권의 정의와 내용을 토대로 하여, 국가가 보장하여야 하는 성과 재생산 권리를 확인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법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4년 ICPD 행동계획과 2019년 ICPD25 나이로비 정상회의를 통해 검토되고 확인된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권리(SRHR)의 정의와 내용을 분석하고(II), 헌법 제36조 2항 모성보호를 중심으로 하여 헌법상 재생산권 보장의 범위와 한계를 살폈으며 재생산권과 관련된 법률들의 변화와 현행법 내용의 의의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재생산권 보장을 위한 헌법 개정의 당위성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III). 다음으로 외국 헌법의 입법례와 그간 제안된 주요 개헌안을 검토하였다. 외국 입법례는 ‘어머니 보호’ 또는 ‘모의 권리’를 정한 사례들과 더불어 헌법에 성과 재생산 건강 및 가족계획의 권리 를 명시한 사례까지 검토하여, 개헌안 마련에 참고하였다(IV). 마지막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성과 재생산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헌법 개정 방안을 도출하였다(V).

      • KCI등재

        여성의 재생산건강권 보장에 관한 소고 : 보조생식술에서의 배아이식 문제를 중심으로

        김은애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0 이화젠더법학 Vol.1 No.1

        여성의 재생산건강권은 여성이 재생산의 기능 및 과정과 관계되는 모든 문제들에 있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보장받을 권리로서 인권에 해당하는 권리임이 국제적 논의를 통해 확인되었다. 이에 채취된 난자와 정자를 이용하여 체외에서 생성된 배아를 자궁 내로 이식 받는 방식의 보조생식술을 통해 임신을 시도하는 여성은 임신·출산을 위해 생명의료과학기술 내지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로서 그 시행의 전 과정에서 재생산건강권을 보장받을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모성 보호를 규정하고 있는「헌법」등에 의해 여성의 재생산건강권이 보장되고 있으나, 보조생식술의 시행에 관한 세부적인 규정을 포함하고 있는「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비롯한 그 어느 법률에도 배아이식술에 관한 직접적인 규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이식되는 배아의 수를 사실상 배아생성의료기관이나 시술을 직접 담당하는 의료인이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이식되는 배아의 수가 과다함으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인 다태임신 때문에 임신 여성이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침해를 겪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태임신으로 인한 위험을 줄이거나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임신된 태아의 수를 감소시키는 선택적태아감수술이 시행되는 경우 임신의 유지와 임신의 중단을 동시에 경험한다거나 결과적으로 잔여 태아도 유산되는 문제 등으로 인해 역시 건강상의 침해를 감당하여야 하는 경우까지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성에게 재생산권리의 보장은 단지 임신·출산이라는 목적의 달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만이 아니라 안전하고 건강하게 재생산능력을 이용하는 전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까지 이르러야 하는 바, 임신을 목적으로 배아이식을 받는 여성을 위해서는 임신의 성공을 기대할 수 있되 다태임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최소한도의 배아가 이식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여성의 재생산건강권은 임신·출산이라는 목적 내지 결과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이의 주체가 되는 자 내지 재생산능력을 이용하는 자로서의 여성이 그 존재가치를 존중받아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살펴져야 한다. The reproductive health rights is the right to guarantee the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in all matters relating to the reproductive system and to its functions and processes, so the reproductive health rights is the one of the human rights. The women who use the assisted eproductive technology must be able to possess and enjoy the reproductive health rights. In Korea, this right has been secured by the constitutional law and so forth. But 「Bioethics and Safety Act」that regulates the assisted reproduction and the embryo producing medical institution does not include the provision to control the embryo transfer. The multi-embryo transfer has caused the multi-fetal pregnancy, so the pregnant has the side effect like a gestosis. And the multi-fetal pregnancy has been settled by the selective fetal reduction, so the pregnant also has the side effect like a premature delivery and an abortive birth. To ensure the women’s reproductive health rights has an object to the secure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women in the whole process of the using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s well as to achieve the final aim(the gestation of the fetus and the birth of the baby). Therefore, the number of the embryo that will be transferred in the uterus of women must be minimized in the necessary need not only to guarantee the reproductive health of women from the side effect of the multi-fetal pregnancy but also to expect the successional pregnancy. From this day forward, we have to respect the woman’s reproductive health rights as the human rights of the all woman to guarantee the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in all matters relating to the reproductive system and to its functions and processes.

      • KCI등재후보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이진규(Lee, Jin-Kyu)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論叢 Vol.17 No.2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이주의 여성화는 이주 여성들의 기본적 자유 및 자율에 관한 권리를 확인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주 여성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하여 이들의 재생산권 보호가 간과됨으로써, 결국 이주여성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해가 가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양산하기도 한다. 현행 국제법체계는 이러한 재생산권의 침해로부터 이주 여성을 보호하고 있다. 특히 일부 국제인권법규는 이주여성의 생명권, 성폭력 및 착취로부터 자유로울 권리, 의학적 치료를 받을 권리, 재생산적 자결권, 비차별의 권리 등을 명시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법상의 규정을 통한 입법적 보호를 바탕으로, 각 국 정부는 상기한 국제법규를 준수하여 이주여성이 자신의 재생산권을 보다 실질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할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각국 정부는 자신이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에 실효성을 기할 수 있는 주요한 주체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각국 정부는 합법적인 이주여성 및 밀입국한 이주여성을 막론하고 그들의 재생산권을 보호할 권리가 있으며 아울러 의무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한 제반 규정 및 정책은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라는 목적에 집중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한 차원에서 이들에게 필요한 주요 정보를 제공하고 수시로 교육하며, 충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신매매 및 성폭력 등 근본적인 공포 및 해악으로부터 이들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각국 정부가 우선적으로 집중해야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각국 정부의 노력만으로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가 실효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관련 국제기구 및 지역적 기구를 비롯한 모든 국제공동체의 구성원들도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 및 그 침해상황 그리고 보호체계를 인정하고 이러한 사항을 문서화ㆍ객관화하는데 우선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현실적 측면에서 재생산권을 침해당한 이주여성들이 법적으로 구제를 받을 수 있고, 이들의 보호를 위한 시설을 마련하기 위한 기금 조성 등의 노력도 간과될 수 없다. 이주여성들의 재생산권을 보호하고 그 침해에 대한 구제수단을 마련해 줄 수 있는 상기한 여러 주체들은 보다 체계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법적인 개혁을 통해 기존 국제법적 보호체계를 보다 강력하고 실효성 있게 이행함으로써, 이주여성들을 위한 제반 여건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can empower migrant women to operate with newfound freedom and autonomy in a globalizing economy. It, however, can also neglect the reproductive rights of migrant women and gravely challenge their health. The international legal framework offers protection for migrant women from reproductive rights violations.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ensures migrant women's right to life, right to be free from sexual violence and exploitation, right to health care, right to reproductive self-determination and right to non-discrimination. Governments also have duties which correspond to international laws and norms to ensure migrant women's access to their reproductive rights. We encourage governments to give substantive effect to the reproductive rights of migrant women. All governments can and should safeguard the reproductive rights of migrant women, whether documented or not. Regulations and policy choices should be made with the goal of protecting migrant women's reproductive rights. Governments do not act alone in these efforts. International and regional organizations and human rights advocates also play a crucial role in recognizing and documenting violations and in funding and advocating legal claims to justice. The various stakeholders can improve the situation for migrant women by implementing programmatic responses, legal reform, and greater enforcement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legal protections.

      • KCI등재

        재생산 건강권과 관련 지표에 대한 고찰

        이소영 ( So-young Lee ),오수영 ( Soo-young Oh ),손인숙 ( In-sook Sohn ) 한국모자보건학회 2021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definitions of reproductive health rights, investigate reproductive health status, and suggest policy strategies to promote reproductive health in Korea. Current laws, the Constitu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ks from Guttmacher-Lancet Commission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the Program of Action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pulation Development, the Nairobi Statement on ICPD25, and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ere reviewed to define reproductive health right s. The reproductive health status focusing on high-risk pregnancy was analyzed. Definitions of reproductive health rights include the right of every person to have lifetime access to the information, resources, services, and support needed to achieve bodily integrity, privacy and personal autonomy regarding their reproductive health. Most indices of reproductive health in Korea analyzed here are and would remain negative. Reproductive health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s of rights. We should continuously monitor the indicators of reproductive health and policies corresponding to low fertility rates in Korea should focus on improving women’s reproductive health. This suggests support for obstetrics and gynecology check-ups and treatments before pregnancy and postpartum care, the provision of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prepregnancy health care for men and women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delivery infrastructure for safe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unify governmental ministrie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 KCI등재

        생식에 대한 책임

        변해철,고재환,김향미,손영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3

        Reproduction is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human members of society through the intercourse, pregnancy, procreation, and bringing up. Among the various rights of the reproduction process, recently the reproductive right is insisted. So we reviewed and argued about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derived from the reproduction process by the three points of view. ; Firstly, it is the individual right and responsibility of the parties immediately interested to the human reproduction. Secondly, it is the family member's right and responsibility to the family reproduction in the family system. Lastly, in the social and national system, it is the society and nation's responsibility to the coming life in the process of reproduction of human resource. We reviewed maternity, fatherhood, reproductive right, and the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by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Maternity has the concept of woman who can be a mother having the reproductive function.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making the family. Socially, it is an important duty for producing the members of nation. The protection for maternity means the woman as a mother with reproduction and also means widely and comprehensively protecting for the psychological function as well as the physiological function including the pregnancy and procreation. Fatherhood and responsibility is also very important on the reproduction. So, preserving the completeness of maternity and fatherhood is a basic and essential premise forming the human beings. The protection of maternity and fatherhood is the right of the person who will be born, and it is also a duty of the social members. Reproductive right is the fundamental right of human beings which must be essentially protected for the dignity of life. The related ethical and legal system need to be prepared and maintained by the systemic process for the special protection of the reproductive right. So therefor, it will be accomplished to the common goodness for the protection of life. 남⋅녀의 결합은 인간사회의 최초 형태를 이루는 것이고, 출생을 통하여 한 사람은 친자관계, 친족관계, 혈족관계, 사회적 사적 관계 및 공적 관계 등을 형성해 나가게 된다. 생식(재생산, Reproduction)은 성관계, 임신, 출산, 양육의 과정에서 행해지는 새로운 인간 구성원을 생산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과정 안에서의 권리로서 생식에 대한 권리가 주장되고 있다. 도덕 질서와 규범의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수용은 인간 사회를 유지해 주는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이다. 생식, 번식 및 재생산에 관한 우리 사회의 도덕 질서와 법적⋅윤리적 규범의 정립은 우리 사회와 그 구성원들의 육체적⋅심리적⋅영적 건강을 위하여 꼭 필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그렇다 하더라도 생식, 번식 및 재생산에 관한 우리 사회의 도덕 질서와 법적⋅윤리적 규범의 정립을 위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인간적으로 불가능한 보증을 강요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미혼모와 미혼부 관련 문제는 단지 양 당사자만의 문제로 보아 넘길 수는 없는 우리 사회의 근원적 생명윤리적 문제의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미혼모, 미혼부, 그들의 자녀의 문제를 근본적으로는 생명의 존엄에 관한 문제로서 바라보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왜냐하면, 이들의 문제는 생명권과 행복추구권, 생식권, 모성 등 인간의 존엄을 구성하는 기본권을 그 핵심 주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생명의 시작에서부터 태어날 권리가 보호되는 등 생명보호를 위한 통합적이고 일관된 법적⋅윤리적 규범의 지속적 실천이 요구된다.

      • KCI등재

        女性의 再生産權에 關한 硏究 : 非婚母의 出産權을 中心으로

        김병록(Byeongrok KIM) 한국국가법학회 2022 국가법연구 Vol.18 No.1

        재생산은 인간의 생명 존속과 관련된 임신부터 출생까지의 모든 방법과 과정을 포함하는 인간의 활동이다. 그리고 재생산권이란 성관계를 포함한 번식의 권리, 출산의 권리, 임신중단의 권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최근 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논의가 매우 활발해 졌다. 문제를 제기한 계기가 된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생명공학의 발전을 통한 인공수정 같은 재생산 기술의 등장이 여성의 재생산권에 주는 영향과 관련해서고, 다른 하나는 임신 중단 즉 낙태와 관련해서이다. 여성의 재생산권 측면에서 구분하자면 전자는 아이를 낳을 권리(출산권)에 관한 것이고 후자는 아이를 낳지 않을 권리(낙태권)에 관한 것이다. 여성 인권 보장의 하나로 비혼 여성에게 아이를 낳을 권리 즉 출산권을 보장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성 평등 실현이며, 기존의 임신과 출산 관련 입법정책에 대한 여성의 자율성 회복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쟁점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의 접근은 비혼여성의 출산권 문제의 해결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여성의 임신과 출산은 여성 고유의 생물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자 여성 자아의 일부로써 존중되고 보호되어야 한다. 이는 여성에 대한 차별의 근거가 아니라 여성과 남성의 근본적 차이이며,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제도적 수용이 이루어질 때 궁극적인 성 평등 실현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비혼 여성의 출산권에 대한 문제 제기(Ⅰ)와 방송인 사유리가 던진 몇 가지 질문에 대한 답변(Ⅱ)을 통해 기본 쟁점을 점검한 후, 비혼모의 출산권 인정과 관련한 프랑스의 진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과 우리의 법제(Ⅲ)를 살펴보고, 비혼모를 포함한 한 부모 가족을 위한 대책(Ⅳ)과 여성의 선택권을 넓힐 제도의 모색(Ⅴ) 순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Reproduction is human activity that include all the method and process from pregnance and childbirth related new birth of human. And reproductive right is all sorts of determination right and control right in this reproduction. Recently the issue of reproduction is divided right not to breed and right to breed, the former contains abortion, birth control(prevention of pregnance) the latter contains right about reproduction using by highly developed technique of reproduction assistance medical service. Women’s rights on pregnancy and delivery, which are not only women’s rights but fundamental rights of a person, should be guaranteed as one of the self-determinative rights described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Further, it allows to recover women’s autonomy on the existing legislative policies regarding women’s pregnancy and delivery and to approach this matter from a new point of view. Women’s pregnancy and delivery are unique experiences based on women’s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y should be respected and protected as parts of women themselves. Only when the change of recognition and social acceptance take place, the gender equality can be achieved ultimately. Thus, in order to ensure women’s self-determinative rights on pregnancy and delivery mentioned in the above, it is essential to provide the legal basis for women’s pregnancy and delivery and execute rational legislative policies regarding women’s pregnancy and delivery accordingly. From this viewpoint, it is required to have a discourse on self-determination rights that allows us to discuss on public responsibility for reproduction in our society rather than self-determination rights which are based on individual`s right to privacy

      • KCI등재

        미국 저작권법상 인터넷송신을 위한 권리

        김경숙(Kim Kyung-suk) 한국재산법학회 2008 재산법연구 Vol.25 No.1

          Article 8 of the WCT establishes a right applying to transmissions via digital media. However, the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may depend on the national laws of the contracting parties. The WCT refers to the relative freedom of national legislators in choosing the right of distribution,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a combination of these rights, or a new right, to fulfill obligations under article 8 of the WCT.<BR>  The U.S. Copyright Act did not establish a new right corresponding to the “righ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in the WCT, while the preexisting rights such as rights of public performance, of display, of reproduction and of distribution cover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including interactive transmission on the Internet).<BR>  While the U.S. White Paper explains why certain issues were not addressed in proposed legislation, it detailed how many of the provisions in the pre existing U.S. Copyright Act would apply to digital technology and the Internet.<BR>  Applying the right of distribution to internet transmission raises the issue of whether the U.S. Copyright Act will apply the first sale doctrine. The first sale doctrine does not allow the transmission of a copy of a work through a computer network. However, if a copy of a literary work is legally purchased on line and the copy so purchased is downloaded onto the purchaser"s disk, the first sale doctrine allows the particular copy involved.<BR>  The Korean Copyright Act introduced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to the public” in the WCT to establish a general right of transmission to the public. Therefore, many commentators have had opinions that the first sale doctrine does not allow the internet transmission under Korean Copyright Act.<BR>  The settlement of the Korea US FTA negotiation included copyright issues such as the stipulation of temporary reproduction, which led to the revision of Korean Copyright Act.<BR>  This article explains rights under the U.S. Copyright Act regarding internet transmission; whether the right of distribution among the rights can apply to internet transmission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BR>  Further, it looks into the impact of the Korea US FTA on Korean Copyright Act in terms of temporary reproduction.

      • KCI등재

        낙태와 재생산권의 보장

        전종익 법과사회이론학회 2023 법과 사회 Vol.- No.73

        The basic right to decide on abortion for pregnant women i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But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for the effective guarantee for the right to abortion, many other basic rights must be considered. In this regard, it is argued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hat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rights of reproduction. This recognizes that women's right to abortion can be effectively guaranteed only when various types of rights and state obligations related to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are comprehensively combined and reviewed. The Constitution is building a multi-layered and complex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basic rights through the protection of liberty and the state's active support obligation that combines the oblig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and guarantee social rights. The guarantee of reproductive rights, a collection of various basic rights related to abortion, can be accepted as one of these multi-layered guarantee systems. As the right to abortion is focused on the guarantee of reproductive rights, it can be seen that discussions on follow-up legisl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decis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revision of some articles related to abortion in the Criminal Law and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Act. It is necessary to review all systems related to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that were established when abortion was prohibited, and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will be realized only when such a wide range of related laws are enacted and revised. 임신한 여성의 낙태를 결정할 기본권은 자기결정권이 핵심적인 것이기는 하나 그 실질적 보장을 위한 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복수의 기본권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국제인권법에서는 재생산에 관한 권리들의 보장이 필요함이 주장되고 있고, 이는 임신과 출산, 육아와 관련한 다양한 종류와 성질의 권리와 국가의무들이 포괄적으로 결합하여 검토될 때 비로소 여성의 낙태에 대한 기본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될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 헌법은 문제되는 영역별로 자유권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기본권 보호의무와 사회권 보장을 통한 국가의 적극적 지원의무를 통하여 헌법이 기본권 보장을 위한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다층적인 보장체계를 도입하고 있으며, 낙태와 관련되어 있는 복수의 다양한 기본권들의 집합체인 재생산에 관한 권리들의 보장은 이러한 다층적 보장체계의 하나로서 받아들일 수 있다. 낙태의 권리를 재생산권에 대한 권리들의 보장을 중심으로 바라보게 되면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규정 헌법불합치 결정의 후속입법에 대한 논의는 형법상의 낙태죄 규정과 모자보건법의 낙태 허용 사유 규정의 개정에 한정하여 이루어져서는 안 됨을 알 수 있다. 낙태가 범죄행위가 아닌 기본권으로서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행위임을 전제로 한다면 기존 낙태가 금지되었을 때 구축되었던 임신, 출산, 육아와 관련된 제반 제도들을 재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같이 넓은 범위의 관련 법령들의 제・개정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헌법재판소 결정의 취지가 제대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