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엄한 죽음에 관한 철학적 성찰

        이은영(Lee Eun Young)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8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8 No.2

        이글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 일명 연명의료결정법을 기존의 언급된 안락사, 그 중에서도 소극적 안락사와 존엄사와의 연관성과 차이성을 해명하려는 시도이다. 현재 시행 중인 연명의료결정법은 존엄사법인가. 또는 소극적 안락사로 수용될 수 있는가. 연명의료결정법을 제정하면서 법원은 안락사나 존엄사의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고,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즉 안락사는 역사적으로 잘못 사용된 사례가 있고(예컨대, 나치의 인종개량정책등), 존엄사는 죽음을 과도하게 미화할 가능성이 있어 안락사나 존엄사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대중매체 또는 일부 학계에서 연명의료결정법이 소극적 안락사 또는 존엄사와 혼용되고 있다. 물론 연명의료결정법이 법제화되기 이전 무의미한 연명의료에 대하여 소극적 안락사 또는 존엄사라는 명칭으로 논의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필자는 안락사와 존엄사와의 연관성과 차이성을 통하여 연명의료결정법이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가에 대하여 논의하는 데 이 글의 목표를 두었다.이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여정에서 연명의료결정법과 안락사(자연적 죽음과 의도된 죽음에 의한 구분) 그리고 존엄사와 그것과의(환자 대상범위, 연명의료결정권은 선택권인가 아니면 죽을 권리인가) 연관성과 차이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연명의료결정법은 진통제 투여, 물과 산소공급 등은 유지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선택권이라는 점이다. 반면에 안락사는 그것이 소극적 안락사일지라도 영양과 수분공급 차단과 같은 방법을 통해 의도된 죽음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연명의료결정법과 구별되는 것이다. 또한 존엄사가 지속적인 식물인간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환자가 의식이 없고 인공호흡기에 의해 생명만이 연장되어 있는 경우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생명연장조치를 중단’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면, 연명의료결정법은 환자 대상 범주에서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라는 범주를 분명히 하고 있으며, 그런 한에서 지속적 식물인간 상태 환자라는 조건은 연명의료결정법의 적용대상이 될 수 없다. 이와 함께 연명의료결정법은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가 존엄하게 ‘죽을 권리’를 부여 받은 것이 아니라,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중단하거나 유보할 수 있는 ‘선택권’이 법적으로 제도화 되었다는 점에서 그들과의 차이성을 드러낸다. 즉 이 글에서 필자는 연명의료 결정법이 종래의 안락사와 존엄사와 어떻게 같으면서,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의미를 드러냄으로써 현재 시행 중인 연명의료결정법의 올바른 이 해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plicate law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ct for patients on deathbed in relation to previously referenced euthanasia,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passive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Is Life-sustaining Treatment Act a law identified with for death with dignity? Or could it be considered as passive way of euthanasia? When the law was legislated, court did not use like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I explained the reason as follows: As euthanasia has a history of being misused (for example, Nazis’ racial hygiene policies, etc.) and death with dignity might immoderately glamorize death, the court avoided using the terminologies of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However, in a number of public media and some academic fields, Life- sustaining Treatment Act is misidentified with passive euthanasia or death with dignity. It is true that before the Act was legislated, there has been a debate on using terminologies of passive euthanasia or death with dignity for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However, Life-sustaining Treatment Act understood differently from passive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This paper tries to discuss whereabouts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ct through discovering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rom passive euthanasia and death with dignity.

      • KCI등재

        연명중단에 관한 관련법 제정에서의 주요 내용과 방향성을 위한 소고 - 네덜란드「연명중단 및 자살방조를 위한 심사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

        문성제 법조협회 2010 法曹 Vol.59 No.2

        On May 21, 2009, all medical instruments for sustaining the life of an old woman patient were legitimately removed in accordance with final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by her will and the consent of her family, but she has still survived with stable breathing. As a result, this case has involved social controversies about termination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In Korea, it is not so many years that there have been social interests and discussions formed concerning the termination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In terms of terminal care, however, some advanced foreign countries have even limitedly approved the right to refuse any medical treatment only for sustaining the life of patients in accordance with relevant judicial precedents since 1970's. Furthermore,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about certain hot issues such as physician-assisted suicide, death with dignity and natural death. As an example of actual disputes concerning the 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the Right of Terminally Ill Act (a law regarding the rights of terminal patient) was enacted by the Legislative Assembly of Northern Territory in 1995 with a view to legalizing active euthanasia even under social controversies. Ultimately, the said Act was rejected by the Senate of Australian Parliament. In particular, the Netherlands already enacted Review Procedures for Termination of Life on Request and Assisted Suicide and Amendment to the Penal Code and the Burial and Cremation Act (hereinafter called ‘Euthanasia Act’) in 2001. This Act concludes that attending physician may disclaim any responsibility or liability for death with dignity which complies with certain requirements and procedures. Some foreign countries have already proceeded with a series of active discussions on death with dignity, and have enacted laws concerning the 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or have still addressed active discussions on enactment of such laws. On the contrary, Korea has just begun to discuss this issue with interests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is covered by overseas laws regarding termination of life on request as well as details behind the enactment of such laws, so that it can examine what is discussed concerning this issue in Korea, major considerations of legal provisions required for future enactment of relevant laws, and possible orientation of such enactment in the future. Starting from such a critical mind,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ng the ‘Euthanasia Act’ in the Netherlands, because Netherlands contemporary social and medical settings at the enactment of the Euthanasia Act were more or less similar to those of Korea, so the said Act may be a good reference for Korea to enact the law on death with dignity. Notably, the Netherlands had limitedly approved the euthanasia in accordance with judicial precedents before the enactment of Euthanasia Act. In this respect, it is inevitably consequential to review social environment and major judicial precedents before the enactment of said Act. Hence, this study deals with major considerations about Netherlands Euthanasia Act, major considerations for Korea to enact laws concerning the termination of life on request in near future, and also gives suggestions for possible orientation of such enactment. 2009년 5월 21일 대법원 판결에 의하여 환자의 연명을 위한 의료장치 등을 제거하였으나 환자가 스스로 안정적인 호흡으로 연명을 함으로서 충분한 논의과정 없이 판결을 내린 법원은 물론 병원의 환자에 대한 과잉진료 등을 둘러싸고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그러나 제 외국에서는 이미 활발한 논의 과정을 거쳐 연명중단을 위한 관련법을 제정하였거나 제정을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반하여 우리의 경우 최근에 들어 관심을 가지고 논의가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관련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국가들의 관계법의 내용과 법 제정 과정에서 나타난 제 문제 기타 사회 환경 등을 살펴봄으로서 향후 우리나라에서 논의될 경우를 대비하여 사전적으로 제 외국의 입법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그 논의의 범위를 한정하여 네덜란드의 ‘연명중단 및 자살방조를 위한 심사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논의의 범위를 네덜란드의 관련법으로 한정한 것은 본 법을 제정할 당시 네덜란드의 사회 및 의료 환경이 오늘 우리나라의 상황과 다소 유사하다는 점에서 향후 법 제정을 위한 논의과정에서 참고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관련법의 제정은 예상하지 못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법제정 이전에 충분한 논의와 연구를 통하여 법제화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의사의 치료의무 및 범위 나아가 말기환자에 대한 치료의무와 그 한계에 대한 개념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다고 보며, 의학적 적응이 없는 무의미한 치료라 하더라도 말기 환자들을 위한 통증완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호스피스의료 등과 같은 대체시설과 환경도 필요하다. 인간의 존엄을 강조하면서 무의미한 치료로 간주하여 생명을 중단하려는 그 자체는 이미 인간의 존엄을 해치는 것이다. 결국 연명중단을 위한 법제화의 노력보다 현대 의학으로 치유 불가능한 말기환자들의 마지막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적 관심과 보장이 우선되어야 하며, 이 같은 보장이 없는 상태에서의 법제화는 인간의 존엄을 유지하기 위한 법제화가 아니라 인간의 존엄을 말살하고 생명을 경시하기 위한 법제라는 점에서 반대한다.

      • KCI우수등재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

        문성체 ( Seong Jea Moon ) 법조협회 2009 法曹 Vol.58 No.6

        Modern medicine started from struggles for overcoming a variety of incurable diseases and has made steady and successful efforts to liberate human being from suffering of diseases, but involves unprecedented side effects as well, including those related to holistic medicine primarily for terminal diseases. On the one hand, the advancement of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ies has its own implications in a sense that it contributed to prolonging the life of patients. On the other hand, physical and mental pain patients feel has robbed terminal patients of even their own dignity. In this context, patients` self-determination right for death of dignity is to give a chance to terminal patients to opt for liberate themselves from overplus of pain. And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discussing how to resolve potential conflicts concerned with those issues of life. In order to respect the self-determination of patients, American judicial precedents and legislation has permitted patients` right to deny any medical treatment for prolonging life, i.e. passive euthanasia(easy death) since 1970`s, to the certain extent allowable legally. In particular,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has acknowledged that terminal patients may commit physician-assisted suicide. Such a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becomes a new way of death which has been never discussed in terms of active euthanasia since 1990`s. Unlike passive euthanasia in which physician administers lethal dose of medicine to a patient for the purpose of his death, the active euthanasia is a mean for patients to use such lethal dose of medicine as prescribed by physician at their option for suicide. Crucial difference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ultimate behavior causing death of a patient is committed by physician or the patient himself. Thus, it is found that active euthanasia has faced relatively low objections against legitimation of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in a sense that ultimate behavior to cause death of a patient is attributed to the patient himself, so it is easier for active euthanasia to attribute the death of a patient to his own responsibility than passive euthanasia, and the former also has relatively low risk of misuse or abuse in comparison with the latter. In reality, it is obvious that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is an issue unacceptable among the public, since physician`s behavior for active euthanasia may face other legal responsibilities such as aiding and abetting suicide as provided in criminal law. However, there have been proposed needs for exemption from any legal responsibility for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terminal patients in respect of their self-determination right, as mentioned above. In order reflect such needs and perspectives on local legislation, the Oregon state(USA) has newly established and enforced the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historical backgrounds concerned with legislation of the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as well as major legal contents in said act to examine the issues about death of dignity, which may be pointed out in terms of hospice medicine in the future, and thereby consider potential problems concerned with death of dignity.

      • KCI등재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중단과 존엄사의 제 문제

        문성제 법조협회 2009 法曹 Vol.58 No.6

        Modern medicine started from struggles for overcoming a variety of incurable diseases and has made steady and successful efforts to liberate human being from suffering of diseases, but involves unprecedented side effects as well, including those related to holistic medicine primarily for terminal diseases. On the one hand, the advancement of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ies has its own implications in a sense that it contributed to prolonging the life of patients. On the other hand, physical and mental pain patients feel has robbed terminal patients of even their own dignity. In this context, patients' self-determination right for death of dignity is to give a chance to terminal patients to opt for liberate themselves from overplus of pain. And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discussing how to resolve potential conflicts concerned with those issues of life. In order to respect the self-determination of patients, American judicial precedents and legislation has permitted patients' right to deny any medical treatment for prolonging life, i.e. passive euthanasia(easy death) since 1970's, to the certain extent allowable legally. In particular,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has acknowledged that terminal patients may commit physician-assisted suicide. Such a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becomes a new way of death which has been never discussed in terms of active euthanasia since 1990's. Unlike passive euthanasia in which physician administers lethal dose of medicine to a patient for the purpose of his death, the active euthanasia is a mean for patients to use such lethal dose of medicine as prescribed by physician at their option for suicide. Crucial difference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ultimate behavior causing death of a patient is committed by physician or the patient himself. Thus, it is found that active euthanasia has faced relatively low objections against legitimation of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in a sense that ultimate behavior to cause death of a patient is attributed to the patient himself, so it is easier for active euthanasia to attribute the death of a patient to his own responsibility than passive euthanasia, and the former also has relatively low risk of misuse or abuse in comparison with the latter. In reality, it is obvious that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patients is an issue unacceptable among the public, since physician's behavior for active euthanasia may face other legal responsibilities such as aiding and abetting suicide as provided in criminal law. However, there have been proposed needs for exemption from any legal responsibility for physician-assisted suicide of terminal patients in respect of their self-determination right, as mentioned above. In order reflect such needs and perspectives on local legislation, the Oregon state(USA) has newly established and enforced the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historical backgrounds concerned with legislation of the 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as well as major legal contents in said act to examine the issues about death of dignity, which may be pointed out in terms of hospice medicine in the future, and thereby consider potential problems concerned with death of dignity. 서울서부지방법원 2008가합6977사건 판결에서 무의미한 연명의료장치의 제거를 청구한 원고들의 주장을 받아들임으로써 무의미한 연명의료와 관련된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야기하였다. 현대 의료기술의 발전은 치유 불가능한 말기환자들에게 있어 생명연장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나, 연명만을 위한 무의미한 의료를 통하여 환자들이 받는 육체적·정신적인 고통은 생명연장의 기쁨보다 인간으로서 존엄마저 상실시킬 수 있음이 지적됨에 따라, 환자들에게 스스로 고통으로부터 해방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에 이르렀는데 이것이 바로 소극적 안락사와 존엄사의 제 문제이다. 제 외국의 경우 치유 불가능한 말기환자에 대하여 치료중단으로 인한 소극적 안락사를 인정하려는 추세이며, 존엄사는 유일하게 미국 오리건 주에서 존엄사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2008가합6977 판결은 무의미하게 연명만을 위한 의료에서 나타나는 문제에 대한 해결의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판결이다. 그러나 본 판결이 우리 사회에서 보다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의료와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갈등의 문제를 어떻게 조화시키느냐에 따라 그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본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치유 불가능한 환자와 의료상의 제 문제를 중심으로 무의미한 연명의료장치의 제거와 환자의 자기결정 및 의사표시에 관한 제반문제를 검토하고 미국 오리건 주의 존엄사법의 주요 내용과 그 이후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김은철(Kim, Eun-Chul),김태일(Kim, Tae-Il) 미국헌법학회 2013 美國憲法硏究 Vol.24 No.1

        헌법상 자기결정권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개인이 일정한 중요 사적 사안에 관하여 공권력으로부터 간섭을 받음이 없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이러한 자기결정권은 개인이 처분할 수 있는 개인적 법익이나 권리에 국한되며, 그것도 얼마만큼 사회나 국가에 이해관계를 갖고 있느냐에 따라 그 자기결정권은 제한된다고 하겠다. 특히 존엄사의 문제에 있어서는 자기결정권의 근거와 그 판단방법 그리고 한계 등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인간의 생명권에는 생명권을 포기하는 권한도 포함되는가와 존엄사의 문제해결을 위해서 생명권이 자기결정권의 대상이 되는지가 문제된다. 헌법상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의 보장은 삶에 있어서의 존엄뿐만 아니라 죽음에 있어서도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보장받고자 함이 당연하고, 이 보장은 다름 아닌 존엄사할 권리, 인간다운 죽음을 할 권리로서 인정된다. 존엄사(death with dignity)란 식물인간상태와 같이 환자에게 의식이 없고 그의 생명이 단지 인공심폐기에 의하여 연장되고 있는 경우에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하여 생명연장조치를 중단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품위 있는 죽음을 맞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사기에 임박한 환자의 극심한 고통 제거에 초점을 두고 있는 안락사 개념과 구분될 수 있다. 죽음은 생명의 부정이라는 점에서 생명권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도 있지만 생명과는 독립하여 그 자체로서 이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인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죽음에 관한 자기 결정권’도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관한 기본권에 간접적으로 근거하여 헌법 제37조 제1항의 열거되지 않은 개별적 기본권을 직접적 근거로 도출할 수 있다. 인간의 생명은 인간존재의 기초로서 생명에 대한 권리를 무시하고서는 헌법상의 어떠한 기본권의 보장도 무의미하여 진다는 점에서 생명권은 모든 기본권의 출발점이자 귀결점이라 할 수 있다. Rights of self-decision making in death are defined as personal rights that people can make their own decision on important personal issues without any interruptions by public authorities. Rights of self-decision is confined to personal rights or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furthermore, it depends on social or national interest. In the matters of death with dignity, it requires to make a clear decision on the method and restriction of decision making, and the legal basis of the rights of self-decision. The concerns of Right to life contains the authority to choose whether or not to live and the matters of the right of self decision. Ensuring human dignity and value is essential in life, it also applies to the matter of death. It is acknowledged the right to death with dignity. In the case of an unconscious condition like person in a vegetative state, Death with Dignity is defined as suspension of the artificial prolongation of human life. The concept of Death with Dignity is distinct from euthanasia which focus on the elimination of severe pain of patient who are in a state of coma. In terms of denial of life, the concept of death are able to understand in the aspect of right to life, however, understanding itself is available. It appears that approval of ‘right of self-decision making in death’ is feasible. On a basis of fundamental human rights for human dignity and value, drawing a conclusion is available from individual fundamental human rights that are not specified in article 37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re useless if there is an ignorance on the right to life because the human life is the basis of human existence. In conclusion, the right to life is considered as a starting point of all fundamental human rights.

      • KCI등재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비판적 고찰과 뇌사자의 존엄성을 위한 제언

        이동근(Dong Kun Lee)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4 No.3

        뇌사자의 장기 기증이 시행되어 정착되어가는 현시점에서 현실적인 뇌사자의 장기 기증뿐 아니라 뇌사자의 존엄성을 향상하는 방법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에서 제기되는 뇌사자의 장기 기증 절차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입법 과정에서 간과되는 뇌사자의 존엄성을 정립할 가능성을 모색한다. 국내법은 심폐사를 사망으로 인정한다. 뇌사는 의학적으로 사망이지만 법적으로는 사망이 아니다. 이러한 모순을 내포하면서 시행된 장기이식법은 장기 기증을 허용하는 조건에서 뇌사를 인정하며 뇌사판정의 의미를 장기 적출을 위한 목적으로 축소하였다. 장기 기증은 뇌사자의 권리이지만 국내법에 따르면 뇌사판정 절차를 밟기 위한 의무로 이해된다. 그러나 장기 기증과 무관하게 뇌사판정 절차가 진행된다면 장기 기증은 뇌사자와 그 유가족의 권리로 작용할 수 있다. 장기 기증이 뇌사자와 그 유가족의 권리로 해석되어야 뇌사자의 이타심이 훼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국내법은 뇌사자가 장기 기증에 동의하였더라도 뇌사자의 유족이 거부하면 뇌사자의 장기 기증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는 뇌사자의 생전 자기결정권을 침해하여 자율적인 이타 정신에 기반한 뇌사자의 존엄성을 훼손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뇌사자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장기 기증과 무관하게 뇌사판정이 진행되어 뇌사판정을 장기 적출의 목적으로 축소하지 않고 뇌사자의 장기 기증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최근 연구 논문은 뇌사자의 보호자가 장기 기증을 승인하는 이유는 뇌사자의 이타 정신이 장기 기증에 반영되기를 원했기 때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뇌사자의 이타심에 대한 존엄성이 유지되기 위하여 뇌사자 유가족의 장기 기증 결정에 대한 공감적소통을 배려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 또한 요구된다. While organ donation from brain dead donors has been implemented since year 2000, it is necessary for us to promote dignity of brain-dead donors from various perspectives. Organ donation from brain-dead donors according to the <Internal Organs, Etc. Transplantation Act> raises a number of issues which may undermine dignity of brain-dead donors. This article proposes ways to improve dignity of brain-dead donors overlooked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Act. Since Korean domestic criminal law recognizes cardiac death but not brain death, a brain-dead person is legally not a dead person but medically a dead person. The Act implemented with this contradiction approves legal determination procedure of brain death under the condition of organ donation, which diminishes a purpose of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to obtaining organs from brain dead donors. According to the Act, organ donation is an obligation to get a legal determination procedure of brain death. If a legal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would proceed regardless of organ donation, organ donation can be understood as a right for brain dead donors and their families. Only if organ donation is a right for organ donors, the altruistic decision of brain-dead donors would exercise their dignity. In addition, the Act does not approve organ donation of brain-dead persons with registration of organ donation, if her/his family guardians do not allow organ donation. This provision infringes their life-time right of decision for brain dead donors based on their altruistic decision. A minor amendment of the Act is necessary to improve dignity of brain-dead donors. First and foremost, determination of brain death needs to be conducted regardless of organ donation. And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tect life-time right of decision for brain dead donors. In addition to an amendment of the Act, professionals engaged in the medical service involved in organ donation could improve dignity of brain-dead donors by upgrading quality of communication with brain dead donor families to give empathic consideration.

      • KCI등재

        미국헌법상 안락사와 존엄사에 관한 연구

        김명식(MyeongSik Kim)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1

        2009년 5월 21일 우리나라 대법원은 최초로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진입한 환자에게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지를 허용하는 판결을 내렸는데, 흥미로운 것은 판결문 어디에도 ‘존엄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 아니함에도 불구하고, 언론 등에서는 이를 ‘존엄사판결’이라 칭하고 있으며, 이 문제와 관련하여 2009년 2월 5일 국회에 ‘존엄사법(안)’까지 제출되어 있는바, 과연 그 용어의 사용이 적절한지 논란이 되고 있다. 또한 이 판결에서 인정한 ‘치료거부의 권리’는 이른바 소극적 안락사와 동일한 개념으로서 넓은 의미에서 의사조력자살이나 적극적 안락사까지 포함하는 이른바 ‘죽을 권리’의 범주에 포섭되느냐도 논란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치료거부권을 포함한 죽을 권리의 헌법적 근거가 과연 헌법 제10조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인가 아니면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의 권리인가도 논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미국헌법학계에서도 많은 논의가 있었는바, 첫째 미국에서 ‘존엄사법’이라는 용어는 의사조력자살을 허용하는 법률명칭이기도 하고 연명치료 거부의 권리를 구체화시키는 법률명칭이기도 하고, 연혁적으로 적극적 안락사 등을 미화시키려는 정치적 의도 등에 의해 그 개념의 확장이나 轉用이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미국에서의 ‘존엄사법’의 용어와 개념을 평면적으로 수용할 경우 오히려 개념의 혼란이 초래될 위험이 있음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미연방대법원의 전통적 해석론은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를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차조항의 프라이버시권 내지 근본적 자유이익에 포섭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극적 안락사는 모든 주에서 허용되고 있으며 이를 보다 구체화시킨 자연사법이 제정되어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연방대법원은 의사조력자살을 포함한 적극적 안락사에 대한 권리를 근본적 권리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나, 의사조력자살에 대해서는 각 주별로 입법을 통해 ‘죽을 권리’를 구체화시키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오리건州와 워싱턴州에 존엄사법이라는 법명으로 입법이 이루어져 있다. 셋째, 치료거부의 권리를 헌법상 기본권으로 인식하고 이익형량의 방식으로 이 권리의 구체적 실현 여부를 판단하고 있는 연방대법원의 분석틀은 이익형량(Balancing Test)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공익과 사익의 조화를 도모한다는 법익균형의 관점에서도 우리의 비례성원칙과 매우 유사한 기본권심사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치료거부권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죽을 권리’에 대한 헌법적 근거를 논함에 있어, 수정헌법 제14조의 적법절차조항에 터 잡은 프라이버시권으로 이해하는 견해와 수정헌법 제9조의 열거되지 않은 기본권 경시불가조항을 근거로 제시하는 견해의 대립이 있는바,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에 헌법 제10조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에 기초한 자기결정권의 행사로 이해하는 견해와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의 권리를 근거로 한다는 견해의 대립과 유사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On May 21, 2009, the Supreme Court of Korea ordered to eliminate device for meaningless life-suspending treatment from a 78-year-old female patient, accepting her children's claim that she had always opposed keeping people alive on life-extending machines and her self-determination right, protected by right to human dignity and right pursuing happiness under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of Republic of Korea, should be guaranteed as a fundamental right. It is very interesting that although that decision has never used the terminology of ‘Death with Dignity’, many domestic media called it as the first Death with Dignity decision in Korea. But the concept of ‘Death with Dignity’ in Korea is mingled with the similar concepts of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r 'Assisted Suicide', etc., on an advocate's own point of view. It is also difficult matter to classify the concepts and to make legislation handling 'Death with Dignity', because the meaning of 'Death with Dignity' has been changing and it does not exactly square with the meaning from the general classifications on euthanasia. On the basis of the critical mind on these problems, this Article reviews the possibility of acknowledging the self-determining right to 'Death with Dignity' of terminally ill patient as a basic right and its constitutional basis, for example, under the Ninth Amendment or the Fourteenth Amendment in U.S. Constitution. And it also examines the leading cases on passive euthanasia and physician-assisted suicide, such as In re Quinlan(355 A.2d 647 (N.J. 1976)), Cruzan v. Director, Missouri Department of Health(497 U.S. 261 (1990)), Washington v. Glucksberg(117 S. Ct. 2258 (1997)), and Vacco v. Quill(117 S. Ct. 2293 (1997)). Futhermore, it overviews a diversity of opinions on whether 'Death with Dignity' should be protected as a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in U.S.

      • KCI등재

        인간의 존엄한 삶과 죽음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장선미 한국헌법학회 2022 憲法學硏究 Vol.28 No.2

        Different individuals have different preferences for the quality of their death, and it is possible for the state to respect these preferences on an individual basis. For instance, some individuals voluntarily choose a lifestyle (and death) of solitude of their own accord and without legal permission to do so. The state cannot intervene or interfere with the choice to live and/or die in solitude. This is markedly differentiable from death in social exclusion or isolation, which is not the choice of the affected individual. In these latter cases, the death is an involuntarily “lonely” death. Last year, the Act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 was passed to reduce the number of lonely deaths. The act defines and targets “lonely death” in which a person living alone, disconnected from people around him or her, such as family, relatives and neighbors, dies alone from suicide, disease, etc. and his or her corpse is discover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efining “lonely death” in these terms and as something irreconcilable with the quality of death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necessitates state intervention.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state intervention in lonely deaths and to identify the conditions required to justify such intervention. It confirms that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state intervention in lonely death does not exist if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of humane living are derived from the basic constitutional right to a life worth of human beings (Art. 34), to health (Art. 36(3)), and to human dignity (Art. 10). In particular, it highlights that in order to guarantee dignity in death by preventing lonely death, the state must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conditions of dignified life (which is a path to lonely death) by actively guaranteeing individual economic stability and health. The traditional, freedom-centered interpretation of basic rights makes it difficult to establish a constitutional basis for the prevention of loneliness by the state. An interpretation which justifies state intervention requires that the state be obligated to expand freedom and guarantee social rights. Considering that social isolation must necessarily involve “self-neglect”, the limitations of this traditional view become even clearer. The Act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 does not prescribe intervention in the exercise of an individual's self-determination, but rather aims to intervene when the conditions enabling self-determination are not met. In other words, the active realization of social rights in the constitutional law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nely Death . Namely, the state can protect individuals from the risk of dying alone by actively guaranteeing the right to live humanly under constitutional rights including Article 34 of the Constitution and the right to health under Article 36 (3) of the Constitution. 개인의 자기결정권이 충분히 보장된 상황에서 자기결정으로 고독을 생활양식으로 선택하여 살다가 죽음을 맞이하는, 자발적 고독 상태에서의 죽음은 개인적 차원에서 존엄한 죽음의 실현이다. 이 경우 국가는 개인이 이러한 삶의 양식을 선택하고 죽음에 이르는 과정에 개인의 의사에 반하여 개입하거나 간섭할 수 없다. 개인이 스스로 고독을 선택하는 것은 존중되어야 하며 이는 사회적 단절이나 고립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예방 및 관리 대상으로 규정하는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이나 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에 발견되는 죽음이다. 이와 같은 특정한 형태의 고독사를 사회문제로 규정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입법을 하였다는 것은, 사회적 고립 상태에서의 죽음은 헌법상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보장된 상태에서의 죽음이 아니며 이러한 죽음에 대하여 국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법규범화에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 법을 헌법적 관점에서 검토하여, 고독사에 대한 국가 개입의 헌법적 근거를 찾고, 이러한 개입의 헌법적 지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먼저 사회적 참여를 위한 기본적 전제조건인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는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조건과 건강에 대한 돌봄이 충족되었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비자발적 고독사에 대한 국가 개입의 헌법적 근거가 헌법 제34조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및 헌법 제36조 제3항의 건강권을 비롯한 헌법상 기본적 인권에서 도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독사의 예방을 통한 인간의 존엄한 죽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국가가 고독사에 이르는 주요 원인인 인간의 존엄한 생존을 위한 조건의 상실이나 악화를 방지하여야 하며, 이는 개인의 경제적 안정과 건강을 국가가 적극적으로 보장함으로써 실현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자기방임’이 사회적 고립과 고독사에 이르는 유력한 경로라는 점에서 이른바 소극적 자유 중심의 전통적 기본권 해석론은 국가의 고독사 예방에 대한 헌법적 근거를 제시하기 어렵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국가 개입을 정당화할 수 있는 기본권 해석론은 ‘자유’의 확대와 인간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조건에 관한 사회적 기본권을 보장할 국가의 의무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헌법적 프레임워크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고독사는 죽음 자체나 죽음을 마지하는 당시 상황에 관한 문제가 아니다. 이는 인간이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포함하는 문제이자, 죽음 이전까지의 인간의 존엄한 삶에 관한 문제이다. 고독사를 국가가 예방한다는 것은 국가가 인간의 존엄한 삶과 죽음을 위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개인의 자기결정에 기한 고독 또한 헌법상 기본적 인권이며, 이는 최대한 보장되어야 한다. 고독사예방법은 이러한 자기결정에 대해 국가가 방향을 설정하여 주는 개입이 아니며, 그러한 개입은 기본권의 침해일 뿐이다. 국가는 자기결정이 충분한 숙고에 기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개입할 수 있다. 즉 사회적 기본권의 적극적 실현이 고독사예방법에 규정되어야 할 내용이다. 즉 사회적 기본권인 헌법 제34조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제36조 제3항의 건강권 등을 헌법 제10조가 요청 ...

      • KCI등재

        조력존엄사에 관한 철학적 성찰: 연명의료결정법과 차이를 중심으로

        이은영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40

        Recently, an amendment to the Medical Care Act for Life Prolongation was proposed to legalize assisted death with dignity. This amendment, the legislative bill for assisted death with dignity defines the assisted death with dignity as a case where all of three requirements are fulfilled – 1) the applicant must be a terminal ill patient 2) the applicant is suffering unacceptable pain 3) the applicant must, in his/her own opinion, wish the assisted death with dignity. That is, it defines that a terminal ill patient getting through unbearable suffers can make a decision to end his or her own life with the assist of the doctor in charge. So it can be said that it corresponds to Aid in Dying. Around this amendment, there are lively discussions about whether a patient has the right to finish his or her own life, by receiving medical assistance and to what extent such behavior can be justified in a current situation where the Medical Care Act for Life Prolongation comes into force and therefore,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is stopped on the basis of human dignity and patient autonomy. In this article, I want to discuss the issue about the legislative bill for assisted death with dignity proposed as an amendment to the Medical Care Act for Life Prolongation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최근 조력존엄사를 합법화하기 위한 연명의료결정법 개정안이 발의되었다. 이번 개정안, 즉 조력존엄사 법안에서는 △말기환자에 해당할 것 △수용하기 어려운 고통이 발생하고 있을 것 △신청인이 자신의 견해에 의해서 조력존엄사를 희망하고 있을 것 등 세 가지 요건을 모두 갖춘 경우를 존엄사로 규정했다. 다시 말해서 말기환자가 견딜 수 없는 고통이 발생한다면 담당의사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삶을 마무리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조력사망(Aid in Dying)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개정안을 둘러싸고 인간 존엄성과 환자의 자율성을 근거로 무의미한 연명의료가 중단, 유보되는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자 스스로 생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따라서 환자가 의료인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삶을 종결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행위가 어느 정도 정당화 될 수 있는지 논의가 활발한 상황이다. 이 글은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정안으로 발의된 조력존엄사 법안에 관한 쟁점을 철학적 관점에서 논의하는 데 목표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홍완식 한국입법학회 2017 입법학연구 Vol.14 No.1

        오랜 사회적 논란을 거친 후에 「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었다. 그간 ‘보라매병원 사건’과 ‘세브란스병원 사건(김할머니 사건)’에 관한 법원의 판결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연명치료를 허용하는 법률을 제정할 것인지 및 제정한다면 어떠한 내용으로 만들어야 하는지에 관한 오랫동안의 입법논쟁이 있었다. 「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된 이후에는 벌써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제시되기도 한다. 「연명의료결정법」에 규정되어지지 않은 ‘의사가 아닌 제3자의 연명의료 중단행위’나 ‘영양분 공급의 중단행위’ 등은 여전히 형법 살인죄 혹은 살인방조죄의 해석문제로 남아 있다는 한계가 지적되기도 하지만, 오랫동안 입법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던 ‘존엄사법’ 혹은 ‘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된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 김할머니사건 혹은 세브란스병원사건이라고 불린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대법원 판결이 선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명치료중단을 규율하는 입법의 진전이 없자 이를 “입법공백사태”라고 표현하는 의견도 있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률을 만들자는 사회적 요구는 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입법수요를 받아들여 입법된 「연명의료결정법」의 제정에 대해서는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 법률에는 2009년 세브란스병원사건 혹은 김할머니사건이라고 불린 대법원판례의 내용과 2013년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입법권고안의 내용도 반영되어 있다는 평가이다. 다만, 입법이 필요했다고 하여 「연명의료결정법」의 모든 내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 법률은 입법과정의 산물이므로 입법과정에서 수렴된 여러 의견을 반영한 조항들이 미비하거나 모순될 수도 있고, 이익단체의 의견이 입법에 과다하게 반영될 수도 있고, 보다 넓게는 기관이기주의나 부처이기주의가 입법과정에 작용할 수도 있다.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입법을 하기로 하였더라도, 연명치료중단의 요건과 범위에서부터 결정절차 및 이행 등에 관한 다양한 입장들을 하나로 수렴하여 입법을 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어떤 영역은 시행착오가 불가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연명의료결정법」에 관하여 이미 지적되기 시작한 문제점을 취합하여 향후의 개정작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명의료결정법」 자체도 중요하지만 법의 운용도 중요하다. 「연명의료결정법」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따라 황금알을 낳는 사업 죽음의 공장화 나아가 사회적 살인의 위험성도 있다는 경고도 있다. 이는 이러한 법이 만들어지면 처음에는 법적 요건과 절차를 엄격하게 지키겠지만, 결국에는 ‘존엄사’가 무분별하게 시행되게 될 것이라는 ‘미끄러운 경사길(the slippery slope)’ 이론이 이미 경고하고 있는 바에 다름 아니다. 연명치료중단의 요건과 절차를 포함하여 「연명의료결정법」의 운용에 대하여 냉철한 사회적 감시와 엄격한 국가적 감시가 필요하고, 추후에라도 사후 입법평가를 통한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was enacted after being a controversial social issue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urt’s decision in “Boramae Medical Center Case” and “Severance Hospital Case (Elderly Kim Case)” grabbed the people’s attention, and there were prolonged legislative argument over whether to enact laws allo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if enacted, how it will be formulated. After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was enacted, problems with the law and the improvement plans are already being discussed. Although the limitations of the law are being pointed out, such as suspens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by a non-doctor third party or suspension of providing nutrient, which are not stipulated in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still being left to be interpreted under murder or aiding a murder pursuant to the Criminal Act, there are positive assessment on the enactment of the “death with dignity law” or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law,” which the legislative need was raised for a long time. As there were no progress in enacting a law regulating the suspens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even with the Supreme Court’s decision in Elderly Kim Case/Severance Hospital Case, there were opinions that this was a “legislative void incident,” and as discussed previously, the societal demand for creating a law related to the suspens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great. Therefor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can be evaluated as positive for the time being for accommodating this legislative demand. This law is seen as including the substance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from Severance Hospital Case in 2009 and the substance of the legislative recommendation by the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in 2013. However, all substances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cannot be evaluated as positive just because the legislation was necessary. Law is an outcome of the legislative process, and as such, the provisions can be insufficient or contradictory by reflecting many opinions that have converged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the opinions of the interest groups can be overly reflected in the law, and more generally, the institutional egoism or departmental egoism may have affected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Even when a law on suspens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was intended to be written, it was difficult to enact due to the need of converging various positions, from requirements and scope of the suspens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o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implementation, etc., into one. In some areas, trial and error is unavoidable. However, there is a need to collect all problems being raised related to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nd to reflect in the future amendment process. Moreover, the operation of the law is also important, as well as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tself. Depending on how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s being implemented, there is a warning that it may lead to a money-making business or a death factory, or furthermore, a danger of resulting in societal murder. This is in line with the warning of the slippery slope theory where, initially, the legal requirements and the procedures will be strictly complied with; however, in the end, the “death with dignity” will be implemented indiscriminately. There is a need for a realistic societal monitoring and strict national monitoring on the operation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ncluding the requirements and procedures of suspending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the amendment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s necessary in the future through a legislativ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