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정보교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김한성(Han-Sung Kim),정혜진(Hye-Jin Chung),이원규(Won-Gyu Lee)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개정된 정보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정보 교육과정의 개선과 정착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2007 개정 정보 교육과정’, 일본의 ‘2008 고등학교학습지도요령 정보편’ 등을 주된 분석 문헌으로 사용하여, 양국의 정보 교육 발전 과정과 함께,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양국의 정보 교육과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보교육 발전 과정에 있어서, 양국 모두 초기의 컴퓨터 활용중심 교육에서 컴퓨터과학을 기반으로 한 교육으로 전환하였으나, 한국의 정보교육은 교과교육의 선택적 운영과 함께,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가르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을 활용하는 등 보조 교과로서의 분산된 접근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일본은 고등학교 정보교과를 통해 관련 내용을 필수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정보교육의 목적을 세분화하여 두 개의 과목으로 구성하며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교육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의 비교를 통해 일본 정보교육의 STS(Science, Technology, Society) 중심의 접근과,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다각적인 내용 구성,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방법 제시 등의 특징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사회적인 측면과 윤리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 일본의 정보 교육과정은 한국의 정보 교육과정에 비하여 실효성과 계통성면에서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정보 교육과정의 체제나 구성, 내용 보완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개선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and find out Implications for Korea’s Informatics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7 in Korea and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8 in Japan were compared.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development process,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Informatics curriculum between two countri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are as following: Firstly, in the development process, both countries change the curriculum from Computer Literacy education to Computer Science education. But Korea concentrates on assisted subject by optional course of Informatics in secondary education and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curriculum, while Japan focuses on mandatory subjects through the secondary education and has two subjects that are designed with the learner’s level and needs in high school. Secondly, in educational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Informatics curriculum. Korea values the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while Japan values STS(Science, Technology, Society), various approaches on problem solving, and Information ethics. Accordingly, This study is worth of giving several implication for solving some problems of Korea Informatics curriculum.

      • KCI등재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 변천과 양상 분석 - 제6차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

        윤혜진,조정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1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the middle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from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context between general guidelines and the subject curriculum review and the subject-centered review. A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curriculum documents (general guidelines, subject curriculum and curriculum manuals) for each period, and factors and implications that affect the informatics curriculum were derived. The research subjects were limited to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because it is a general subject and a single subject that can be examined for identity and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formatics subject began as a computer subject focusing on tool use and practice, and developed into a subject that aimed to cultivate tools-theories-literacy based on computer science since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actors influencing the informatics curriculum include the definition of the meaning of general guidelines on the subject and organizational changes, social changes and demands, related skills and academic changes, and constructivism. Following carrying out the literature research, we suggest the need to provide a curriculum guide for the informatics subject to provide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aspects of the subject and to secure homogeneity and clarity in subject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curriculum and to provide a useful perspective for a critical review and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본 연구는 제6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의 변천 양상을 총론-각론 관계와 각론 차원에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당 시기의 교육과정 문서(총론, 각론, 해설서 포함)를 연구 대상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정보 교육과정의 특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시사점을 도출했다. 중학교 교육과정으로 연구 대상을 한정한 이유는 보통 교과이자 단일 교과로서 정체성과 체계 등의 변화 양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보 교과는 도구 활용 및 실습 중심의 컴퓨터 과목으로 시작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컴퓨터 과학 기반의 도구-이론-소양을 지향하는 교과로 발전했다. 정보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총론 차원의 교과 의미 부여 및 편제 변화, 사회 변화 및 요구, 관련 기술 및 학문 변화, 구성주의 학습관 등이 있었다. 또한, 정보 교과의 입체적 이해 제공, 교과교육의 동질성과 명확성 확보를 위해 교과 해설서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정보 교육과정의 포괄적 이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과 비판적 검토에 유용한 관점을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대비한 정보과 과목 구성 및 내용 체계 제안

        전용주,김자미,김한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6

        The current situation faced by the informat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uch as the absolutely insufficient number of hours and the absence of a uniform subjec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s a continuing obstacle to the continuity and sequencing of informatics education. To improve this situation, researchers in academia and the field have been continuously conducting various studies on the direction of future informatics curriculum. In this study, we discussed which subjects need to be organi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student agency as an education with sequence and continuity while strengthening the substantiality of informatics and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 this end, based on the curriculum design principle,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informatics education and foreign secondary informatics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selected. An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f research conducted at the academic level for the past three years on the direction of future informatics education, a draft was prepared for the subjects composition and content knowledge system for the 2022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Finally, through 5 rounds of expert FGI, the informatics subjects composition and content knowledge system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proposed. 절대적으로 부족한 시수, 학교급에 따른 통일성 있는 교과의 부재 등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보과가 마주한 현 상황은 정보 교육의 계속성과 계열성에 대한 지속적인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자 학계 및 현장에서는 미래 정보과 교육과정의 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보과 교육의 내실화를 다지고, 계열성과 계속성을 갖춘 교육으로서 고교학점제와 학습자 주도성의 관점에서 어떤 과목의 편성이 필요한 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설계 원리를 바탕으로 정보 교육과 관련된 국제 표준 및 국외 중등 정보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요소를 추출 및 선별하고, 미래 정보 교육과정의 방향에 관해 최근 3년간 학계차원에서 수행된 연구 문헌을 분석하여 연구 결과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후 5차에 걸친 전문가 FGI를 통해 최종적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과 과목 구성 및 내용 체계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핵심역량기반의 간호정보학 교과과정 표준안 개발

        염영희,김정은,천병철,최성우,황덕호,박경모,이영성 대한의료정보학회 2007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13 No.3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nursing informatics course and to develop the standardized curriculum in nursing informatics course based on competenc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15 nursing institution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nursing informatics course. In the second phase, two-round delphi technique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priority and relative weight of contents in nursing informatics course. Final samples composed of both 43 nursing institutions and 11 nursing informatics experts. Results: Out of 43 nursing schools, 13 nursing schools offered nursing informatics course. Nursing informatics was taught mostly to the second year and had 2 credits. About 54% of respondents disagreed that nursing informatics should be included in the license examination for Registered Nurse. The subject matrix by priority and relative weight and a standardized curriculum for nursing informatics were developed. Conclusion: Continuous application and revision of nursing informatics curriculum should be need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3-3, 227-236, 2007)

      • KCI등재

        Computing Curricula 2020에 기초한 정보과 교육과정 개정 시사점 탐색 : 연계성 분석을 중심으로

        김한성(Han Sung K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의 학문적 체계성에 대한 반성적 접근을 통해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컴퓨팅 교육 분야의 글로벌 표준이라 할 수 있는 Computing Curricula 2020의 Computer Science(이하, CC2020-CS)의 지식 영역과 역량을 토대로 정보과 교육과정의 학문적 연계성(계속성, 계열성, 통합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과 교육과정은 CC2020-CS를 구성하는 18개 지식 영역 중 10개 영역을 다루고 있으며 6개의 계속성 패턴을 보였다. 초등학교에서부터 대학에 이르기는 모든 단계의 계속성을 갖춘 지식 영역은 2개(알고리즘과 복잡성, 소프트웨어 개발 기본)로 나타났다. 둘째, 계열성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알고리즘과 복잡성, 소프트웨어 개발 기본 이외의 몇몇 지식 영역의 경우 지식이 확장 또는 심화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통합성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컴퓨터과학을 토대로 내용 상관성은 갖추었으나 각 지식 영역을 통합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장치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next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rough an analysis of the systematic review of the 2015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academic articulation (continuity, sequence, integration) of informatics curriculum based on the knowledge domain and competency of computer science curricula from computing curricula 2020 (CC2020-CS), which is a global standard in the field of computing educa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cs curriculum covers 10 of the 18 knowledge areas that make up the CC2020-CS, and shows 6 continuity patterns. There were two knowledge areas with continuity at all levels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Second, in the case of knowledge areas other than algorithms & complexity, and software development fundamentals, it was confirmed that knowledge did not expand or deepen in terms of the sequence. Third,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gration, the content correlation based on computer science was equipped, but the integration strategy between each knowledge area was insuffici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next informatics curriculum revision.

      • KCI등재

        핵심 역량 관점의 2015 중학교 정보 교육과정 분석

        최현종(Hyun-Jong Cho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10

        In this paper, we have looked at through core competences and contents of Informat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by expert questionnaire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Among nine core competences of Informatics subject in curriculum, abstraction and automation were easily found, but creative harmony and cooperation were indirectly confirmed in the statements of teaching and assessment sections of Informat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It was also identified that some core competency elements are redundant or hardly to found in the contents of Informatics curriculum. In addition, various opinions about Informatics curriculum have been put forward over the FGI.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case that can be consulted on new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to be developed further.

      •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단계별 심화 교육과정의 설계

        김경규 ( Kyung Kyu Kim ),이종연 ( Jong Yun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1

        현재 우리나라 정보과학영재의 교육과정은 비실용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하여 정보과학영재 교육 운영에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그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중등 영재교육과정에 대한 기존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둘째, 운영 개발되어 있는 영재교육과정은 창의성,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과 통찰력 등을 신장시키기 힘들다. 셋째, 영재의 능력, 적성 소질에서의 개인차를 고려한 교육과정이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 정보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계산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단계별 심화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정보과학영재 교육에대한 기존 연구와 교육기관의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실용적인 중등 정보과학영재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세부적인 단계별 심화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The current curriculu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cs are not practical and systematic in teaching methods because it is hard to provide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with appropriate education individualized at their own levels. Furthermore,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in previous curriculu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cs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t sufficient on previous curriculu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informatics in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previous curriculums in use do not contribute to cultivating the creativity, problem-solving, logical thinking abilities and insight for the gifted students. Third, there is no curriculum, which reflects on individual`s ability and aptitude,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informatics. Therefore, in this paper, we suggest stepwise enrichment curriculums that enables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o be equipped with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ities. In this regard, at first, The problem with existing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e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cs were analyzed. Next we developed a concrete stepwise enrichment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al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cs.

      • KCI등재

        독일 바이에른 주의 정보 교육과정 분석

        최희정 ( Heejeong Choi ),이원규 ( Wongyu Lee ),김자미 ( Jamee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9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2 No.1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세계 각국은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하기 위해 정보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독일의 정보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독일의 정보교육 동향을 파악하여, 한국의 정보교육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독일의 정보교육 분석은 독일 교육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바이에른 주의 정보교육 내용과 변화를 중심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교육에서는 ‘정보’를 통합교과적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활용 중심의 교육이었다. 둘째, 중등교육에서 충분한 이수시간 확보를 통해 이론과 실습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을 진행하고 있었다. 셋째, 정보교과를 입시에 반영하여, 고등교육과의 연계를 충분히 반영하였다. 분석을 토대로, 체계적인 정보교육을 위해서는 초등교육부터 많은 시수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연계를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With the advent of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reinforcing informatics education to cope with changing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German informatics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erman informatics curriculum,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nformatics education of Korea. The analysis of German infor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contents and changes of the informatics education of Bayer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enter of German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first, elementary education approaches ‘informatics’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ed curriculums. Second, secondary education provides education that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theory and practice by securing sufficient credit hours. Third, they reflected informatics subjects in entrance examinations, and sufficiently ensured links to higher education.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systematic informatics education requires many credit hours from elementary education, and links with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 한국의 정보 교육과정과 미국 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의 비교

        최현종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학교 정보 교과 교육과정과 미국 컴퓨터과학교사협회(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를 서로 비교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추후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을 얻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국내외 컴퓨터 과학 교육의 비교 논문을 찾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학교 정보 과목의 목표와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방법 등을 2016년에 제시된 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의 목표와 내용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두 개의 교육 목표와 내용은 컴퓨팅 사고력 교육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지만, 교육 내용은 다소 상이하게 진술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국의 정보 교육과정과 CSTA의 컴퓨터 과학 프레임워크 비교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개발되어지는 컴퓨터 과학 교육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정보 교육과정 개발에 좋은 사례 연구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of Informatics subject in Korea and CSTA’s computer science framework in the US. Based on the results of comparison study, the focus group interviews was conducted to obtain some suggestion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First of all,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ome literatures concerning about computer science education were studied and compared. After that, the objectives,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Informatics subject in Korea’s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STA’s computer science framework that was published in 2016. Although the two educational objectives of Informatics curriculum and computer science framework for promoting computational thinking have in common, some of its contents and elements between them are found to be different.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ith results of comparison, some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for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of Infor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case that can be consulted on the new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to be developed further.

      • KCI등재

        CSTA 2003과 2011 비교를 통한 한국의 정보교육과정 표준에 대한 시사점

        김자미 ( Jamee Kim ),이원규 ( Won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1

        교육과정은 해당 교과 뿐 아니라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충분한 숙의를 요구한다.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 개발은 수시 개정 시 지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CSTA의 2003, 2011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한국 정보과 교육과정 지식 체계 표준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 이론, 외국의 교육과정 등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CSTA 2003과 2011 교육과정 표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의 표준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목적과 표준이 갖는 목적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의 교육과정 검토의 유의사항 및 평가 측면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Curriculum requires careful deliberations, as it reflects social needs as well as the needs of the relevant curriculum. Developing a standard for informatics curriculum will be significant in that it will provide a knowledge frame for constant revision of curriculum. The aim of this study, based on Tyler’s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is to find implications regarding the standard development of knowledge system for informatics curriculum in Korea, through the comparison of CSTA 2003 and 2011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analyses of various curriculum theories and overseas curriculum have been made, and finally a comparison of the CSTA curriculum standards for 2003 and 2011. As a result, in order to develop the curriculum standard, the aims of the curriculum and standard need to be clarified. Furthermore, implications have been made for the suggestions on review and evaluation of overseas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