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김춘길,Kim, Chun-Gill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3

        목적: 노년기는 죽음이 가까워지는 시기이고 노인들은 좋은 죽음을 원하지만 아직까지 노인에서 좋은 죽음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 자료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의 인지도를 알아보고 그의 영향요인을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및 전라도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 중 편의 표출하여 연구에 참여를 서면 동의한 65세 이상의 노인 317명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 문항에는 일반적 특성, 좋은 죽음 19문항과 가족지지 11문항을 포함시켰으며 설문내용에 대해 대상자 스스로 기입하거나 자기기입이 어려운 노인은 연구자나 연구보조원이 설문에 대한 노인의 응답을 기입하는 방법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 혹은 F 검정,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좋은 죽음의 정도는 상으로 높은 편이었고 좋은 죽음의 요인 중 통제감이 가장 높았으며 문항별 정도는 '평화롭게 죽는 것이다'와 '죽음을 수용하는 것이다'에 이어서 '다른 사람에게 부담(폐)을 주지 않는 것이다'를 높게 인지하였다. 좋은 죽음의 인지도는 성별, 결혼상태와 경제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족지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좋은 죽음에 대한 영향요인은 가족지지와 성별로 그 설명력은 10.2%이었다. 결론: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을 위해서는 그들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결혼상태와 경제상태를 고려하고 중재가 가능한 가족 지지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의 통제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문항 중 높은 인지도를 나타낸 평화로운 죽음과 죽음 수용 등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중재를 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의 성별과 가족지지를 고려하여 그들의 좋은 죽음뿐 아니라 삶의 질이 유지, 증진될 수 있도록 지지 프로그램이나 정책 제안 등 합당한 노력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nd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perception.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N=317).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articipants scored an average of 3.35 on a 4-point scale for the perception level of good death. They scored higher on the factor of personal control that other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Good dea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support (r=0.252). Family support (${\beta}$=0.287) and gender (${\beta}$=0.197)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elderly's perception of good death.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10.2%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family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the elderly. Therefore, family suppor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ensure good death for more senior citizens. Our findings can be utilized to support programs such as death education for the elderly.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

        윤일훈,문원희,박수정 한국융합학회 2023 미래기술융합논문지 Vol.2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하위요인 간의 점수 비교를 통해 좋은 죽음의 속성 중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에 동의한 102명을 편의 모집하였다. 연구도구는 Schwartz 등의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을 번역한 도구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활용하였다. 좋은 죽음 인식의 세 가지 하위요인별 점수의 평균차이를 보인 요인은 임상실습의 경험으로 도출 되었다.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3.13±0.36점)이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학생들(2.90±0.31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156, p=.002). 특히 임상실습 유경험자(3.46±0.39점)가 무경험자(3.16±0.37점)보다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친밀감에 대한 좋은 죽임 인식의 평균이 높았다(t=3.476,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상실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에 대한 효과적 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find out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good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and compare sub-factors among the perceptions of a good death. As for the research method, 102 people who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were conveniently recruited. As a research tool,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by Schwartz et al. (2003) was translated by Lee (2017),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online.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of the IBM SPSS Statistics 26 program were used. Factors showing average differences in scores for each of the three sub-factors of good death awareness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The mean of good death (3.13±0.36 points)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withou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2.90±0.31 points) (t=3.156, p=.002). In particular, the mean of good death for ‘clo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 (3.46±0.39 points)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3.16±0.37 points) (t=3.476, p=.001).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a good death differ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were in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ies for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in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좋은 죽음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김현심,이순영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향후 좋은 죽음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좋은 죽음 관련 66편의 논문을 분석준거 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좋은 죽음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년도는 2019년(18.2%)이었다. 연구설계 별 분석에서는 양적 연구가 52편(78.8%)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조사연구가 36편(54.5%)으로 나타났다. 연구분야 에서는 간호학 논문이 47편(71.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학제간 연구는 3편(4.5%)이었다. 좋은 죽음 연구 대상자는 주로 지역사회 노인과 간호대학생으로 이 각각 13편(19.7%)으로 나타났고, 환자 대상연구는 4편(6.1%) 으로 나타났다. 연구도구는 좋은 죽음 인식도구가 38편(73.1%)에서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변인은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간호였고, 가족지지는 매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좋은 죽음을 종합적으로 이해 하기 위해 다학제 연구와 다양하게 좋은 죽음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good death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research trends on good death. For this purpose, 66 articles related to good deat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11 to 2021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frame of references. As a result, the year with the most good death studies was 2019 (18.2%). In the analysis by research design, 52 articles (78.8%) were the most quantitative studies, and 36 studies (54.5%) were survey studies. In the field of research, nursing studies were the most researched with 47 articles (71.2%), but multidisciplinary studies were three articles (4.5%). The subjects of the good death study were mainly the aged in the community and nursing students, each of which was 13 (19.7%), but the studies for patients were published only four articles (6.1%). The most used tool was the perception of a good death and conducted in in 38 articles (73.1%). The main research variables were th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and family support was used as mediating variables. Therefore, not only multidisciplinary research but also development research for vaious good death instruments may be suggest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good death.

      • KCI등재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김혜숙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death among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P area. It analyzes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the scariest thing when thinking about death', and 'the contents of emotions related to death'. In additi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 intention to apply for rejec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dvance are investigated.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face-to-face survey method called 'Naver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the Good Death Perception score of the college student group was 3.1. When thinking about death, 35.2% of the students said they were most afraid of the "remaining family." Next, 32.8% of 'Pain Before Death', 20.8% of 'End Fear', and 8% of 'Unfulfilled Dreams'. Well-dying reduces the psychological burden related to death not only to oneself but also to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and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In additio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it enhances the meaning and active attitude of current lif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d developing an operation model for related programs support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presented. 본 연구는 P지역 소재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와 좋은 죽음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정도와 죽음을 생각할 때 가장 두려운 것과 죽음 관련 감정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향과 사전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는 비대면 조사 방법으로 네이버 폼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좋은 죽음인식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 집단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1점으로 나타났다. 죽음 관련하여 가장 두려운 것은 ‘남아있는 가족’이라는 응답이 전체 35.2%로 가장 많았고, ‘죽기 전의 고통’이 32.8%, ‘생이 끝났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20.8%, ‘못 이룬 꿈’이 8%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 참여 의향과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여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좋은 죽음인식 점수가 높을수록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웰다잉은 자신뿐 만 아니라 남은 가족에게도 죽음과 관련된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며, 삶의 질과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죽음준비 교육은 대학생들의 현재의 삶에 대한 의미와 능동적 태도를 높이기 때문에 인격 함양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죽음준비 교육을 지원하는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모델을 구축하고 운영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길태영,조원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7 미래사회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총 8회기(주 2회, 각각 120분)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 ANCOVA, 대응표본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었고,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기 위한 교육의 운영과 활용기반에 필요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노년층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유형화를 중심으로

        이선희(Lee, Sunhee),정경희(Chung, Kyunghee)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2

        본 연구는 좋은 죽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국내에 거주하는 중노년층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이 무엇인가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중노년층의 좋은 죽음 인식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집된 ‘웰다잉에 관한 전국민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노년층의 좋은 죽음 인식유형을 잠재집단분석(LCA)을 통해 유형화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교차분석 등을 통해 유형별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소극적 인식형, 다층적 준비형, 현세중심적ㆍ죽음준비형의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유형들은 죽음의 가시성, 죽음의 여정에 대한 관점, 마지막으로 죽음이 갖는 사회적 관계성을 바탕으로 다층화 되었으며, 이러한 유형은 성별 및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 웰다잉 구현을 위해 개인적ㆍ사회적 차원의 인식개선, 당사자 및 가족의 죽음준비를 위한 종합적 지원, 임종기 의료비 및 간병비 경감 등을 위한 제도 마련, 죽음의 자기결정권 확보를 위한 기반 구축 등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In recognition of the increasing social attention paid to the notion of how to die well, this study explored what it is that middle-aged and older Koreans think of as “dying well.” Specifically, it was aimed at classifying the perceptions people middle-aged and older have regarding dying well. To this end, we used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n Well-Dying, which was conducted in 2018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employed Latent Class Analysi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classified subgroups were identified through technical statistics. The types identified were multilayered depending on the imminence of death, perspectives of the last stages before dying, and the meaning of death in the context of social relationships. These type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Based on our findings in this study, we put forward policy suggestions about awareness improvement of personal and social levels, promoting on comprehensive death preparation, providing a system to reduce the cost of medical and nursing expense at the end of one’s life, promoting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regarding death, raising social attention to groups that are least prepared for dying well.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유교적 죽음 이해 - 생사(生死), 귀신(鬼神), 제사(祭祀)개념을 중심으로 -

        한예원 ( Han Yae-won )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7 No.-

        죽음 연구는 삶에 대한 연구이다. ‘生死’라는 주제가 중요한 이유는, 태어남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지만, 죽음에는 본인의 의지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좋은 죽음은 곧 좋은 삶의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개인은 좋은 삶을 살기 위하여 노력하였지만, 어쩔 수 없이 죽을 수밖에 없는 죽음, 억울하고 불쌍한 죽음, 천수를 다하지 못하는 죽음이 있다. 이런 경우 그 죽음에 대하여 살아있는 자들은 어떻게 죽은 자를 위로해야 하는 것일까? 그 죽음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 본고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조선시대의 죽음이해를 고찰하였다. 유교적 죽음 개념은 동아시아 전통의 토대를 이루고 있는 공통의 가치체계이며, 삶의 방식이다. 특히 조선의 죽음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제사’가 중요한 단서가 된다. ‘제사’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사의 대상이 되는 鬼神의 개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사람이 죽으면 귀신이 된다는 귀신론에서 볼 때, 生死란 어떻게 구별되는 것인가? 하는 문제들을 살펴 볼 필요성이 생긴다. 유교철학에서는 죽은 선조의 귀신은 살아있는 후손의 정성으로 자기가 살던 집에 돌아와서 제사를 흠향한다고 믿었다. 산사람이 바르게 성실하게 살면서 정성으로 제사를 받들면, 죽은 조상은 그 정성에 ‘感應’한다는 것이다. 이 감응이 바로 효도의 목표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효도의 실천에 의하여 유교가 실현하고자 하는 도덕사회가 구현된다고 보았다. 우리의 전통적 가치관의 근거가 되었던 유교적 죽음이해에 대한 정리를 통하여, 현대를 사는 우리는 보다 근본적인 인생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Research of Death is life. ``Life and Death`` is the important topic, because birth is not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will but death is related to it. Generally a good death is conclusion of a good life. One person do one`s best for a good life but one`s death is not always happy. For example, one`s death is unfair or victimized. In case of these death, how can we comport the death? Who has responsibility for the death? This paper focused on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ath in the Joseon Dynasty. Confucian understanding of death is a shared value system and lifestyle in East Asia`s tradition. Especially ``ancestral rites`` is a important clue for understanding of death in the Joseon Dynasty. Understanding a ghost is understanding for ``ancestral rites``. East asians believe once people die, they become a ghost. How distinguish Life and Death? Living descendants perform ancestral rites, pay respects, and ancestors ghosts come back their home in Confucian philosophy. Descendants live an honest life, walk with God and put life into their ancestral rites, then ancestors will answer the devotion. This response is a final goal of filially. When behave filially, the moral society is realized in Confucianism. We have to arrange ways of approach to Confucian death, because it is our traditional values and it can give more fundamental meanings of life in nowadays.

      •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길태영(Tae-young Kil),조원휘(Won-hui Cho)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명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총 8회 기(주 2회, 각각 120분)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 ANCOVA, 대응표본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죽음준비교육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었고,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기 위한 교육의 운영과 활용기반에 필요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DPE) on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participants were 60 students (experimental group:30, control group:30) attending at university in D city and DPE was consisted of 8 sessions (twice a week, 120 minutes each). Data were collected before, after program and 10 weeks follow up.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COVA, and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DPE was effective on raising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and applica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to help university students of majoring in social welfare to raise awareness of well-dying,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 KCI등재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

        이명숙(Myoung-Suk Lee),김윤정(Yun-Jeo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6

        본 연구는 좋은 죽음의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가지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좋은 죽음이 무엇이라고 생각 하십니까?’ 라는 연구 질문으로 시작 하였다.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50명을 대상으로, 2010년 9월부터 2011년 2월 까지 5개월에 걸쳐 ‘좋은 죽음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단일질문에 대해서 인터뷰를 하였다.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내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들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의 하위범주는 ‘배우자와 비슷한 시기에 함께 하는 죽음’, ‘어느 누구에게 폐치지 않는 죽음’, ‘다른 사람에게 좋은 사람으로 기억되는 죽음’, ‘적당한 수명을 누리는 죽음’, ‘명을 다하는 죽음’, ‘내 집에서 맞이하는 죽음’, ‘편안한 죽음’, ‘잠자는 듯한 죽음’, ‘아프지 않는 죽음’, ‘임종과정이 길지 않는 죽음’, ‘준비된 죽음’, ‘삶의 최선을 다하고 맞이하는 죽음’, ‘삶을 즐기고 맞이하는 죽음’, ‘베푸는 삶을 살고 가는 죽음’, ‘신앙 속에서의 죽음’, ‘자손이 잘되는 것 보고 가는 죽음’등 16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 되었으며, 이는 다시 ‘주변사람을 배려하는 죽음’, ‘천수를 누리는 죽음’, ‘내 집에서 맞이하는 죽음’, ‘편안한 모습으로의 죽음’, ‘준비된 죽음’, ‘원하는 삶을 누리다 가는 죽음’ 등 6개의 범주로 묶여졌다. his study has been peformed to identify meanings of good deaths among 350 old people aged 65 from September, 2010 until February, 2011.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good meanings of death based on qualitative study of free format, and their statements were categorized into similar content area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subjects felt that the good death is a dignity death not weighing burdens to others, memorized as a good life, until th end of my life, a death receiving at home, comfortable death, a death like a sleep, with out pain, not long, a prepared process, a death after doing my best, receiving after doing my best, death after offering benevolence to others, within my beliefs, and finally a good death is after seeing good life of my descendent. These 16 free answers were also categorized into 6 meaningful areas such as considering others, at my home, comfortable scene, prepared, and death after living my wanted time.

      • KCI등재

        검시관과 응급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한지영,Han, Ji-Yo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5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8 No.1

        목적: 본 연구는 검시관과 응급실 간호사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전국의 검시관 44명과 일개 광역시의 응급실 간호사 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10월 1일부터 2011년 2월 28일까지 실시되었다. 결과: 좋은 죽음에 대한 대상자 전체의 평균은 4점 만점에 2.98점이었으며 응급실 간호사는 2.95점, 검시관은 3.01점으로 검시관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는 대상자 전체 평균은 4점 만점에 2.72점으로 나타났으며 응급실 간호사는 2.61점, 검시관은 2.87점으로 검시관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죽음의 태도에서는 응급실간호사와 검시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검시관과 응급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좋은 죽음과 죽음의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죽음을 직면하는 상황보다는 죽음을 받아들이는 태도가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죽음관련 교육에 대한 대상자의 높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죽음관련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일회성이 아닌 연속적인 죽음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and compare how emergency room (ER) nurses and coroners perceive good death and their attitudes toward death. Methods: A survey was performed with 51 ER nurses in P city and 44 coroners nationwid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2010 through February 28, 2011.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COVA, Scheffe's test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1.0 program. Results: For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death, coroners scored higher ($3.01{\pm}0.43$ and $2.87{\pm}0.35$, respectively) than ER nurses group ($2.95{\pm}0.40$ and $2.61{\pm}0.33$,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deat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ER nurses and coroners. Conclusion: The study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ER nurses'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attitudes toward death and those held by coron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offer steady education on death to nurses and coroners to help them build a proper understanding of good death and grow positive attitudes toward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