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다송(東茶頌)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4 민족사상 Vol.8 No.3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다서인 동다송의 인간관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동다송에 대한 연구는 많이 축적되어 있지만 순수철학적인 차원에서 연구된 것은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다. 동다송의 철학사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동다송의 세계관에 대한 연구가 전제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세계관은 사상과 철학의 토대이자 기초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논문은 동다송의 세계관 중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인간관을 철학적으로 분류하여 보았다. 동다송의 인간관을 분석하기 전에 우선 동다송에 대한 기본인식을 다루어보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동다송의 인간관을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동다송의 인간관은 우선 초월적 인간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동다송에서 말하는 인간관은 현실을 기초로 한 초월적 인간을 추구하는 인간관을 설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동다송의 인간관은 자타일체적 인간관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나와 너는 다도를 매개로 하여 하나의 일체화된 관계로 재탄생해야 한다는 것이 동다송에 나타난 자타일체적 인간관의 구체적인 모습이다. 마지막으로 동다송의 인간관은 조화적 인간관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여기서 조화적 인간관이란 나를 둘러산 외부의 일체의 것과의 조화를 의미한다. This study is on the view of human being in the Dongdasong(東茶頌). Until now, the pure philosophical study on the Dongdasong is not great. To study o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Dongdasong is a prerequisite for the study on the world view of Dongdasong. Because the world view is the basis and foundation of thought and philosophy. Under this recognition, this thesis classifies the important world view philosophically. First, the human being’s view appearing in the Dongdasong is regulated as the world view of transcendental human being. The human being’s view appearing in the Dongdasong is setting up as transcendental human being basing the reality. Next, the human being’s view appearing in the Dongdasong is regulated as the human being of Jatailce(自他一體, oneness of self and others). Finally, the human being’s view of the Dongdasong is regulated as the view of harmonic human being. Here, the harmonic human being means the harmony of I and world.

      • KCI등재후보

        대순진리회의 인간관

        고병철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8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종교사의 맥락에서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향후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연구할 때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한국종교사의 맥락은 어떤 종교의 인간관이든지 특정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시각을 말한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연구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제2장 선행연구의 접근)는 인간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에 대한 선행연구를 심리학, 철학, 교육학, 비교 연구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보면, 인간관에 대한 연구 방식이 심리학적 접근과 경전 해석의 접근으로 시작해서, 철학적 접근, 교육적 접근, 그리고 다른 종교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다변화되고 있지만, 앞으로 인간관의 설명 요인들을 좀 더 다양화해서 인간관을 연구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제3장 대순진리회의 인간관)는 6개의 요인들을 활용해서 인간관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6개 요인들은 ‘인간의 기원, 인간을 구성하는 요소, 죽음 이후 인간의 상태, 인간의 현실 인식, 인간 삶의 목표,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설명 요인들은 기존의 연구에 비해 인간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세 번째(제4장 남는 문제)는 인간관 형성 요인들에 비추어봤을 때 앞으로 논의가 필요한 과제들을 추출하는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과제를 인간관의 내부 논리를 설명하기 위한 과제, 그리고 인간관 형성 요인들의 배경을 설명하기 위한 과제로 구분하였다. 인간관의 내부 논리와 관련해서는 인간의 기원ㆍ출생, 인간의 구성 요소, 사후 심판, 인간의 주체성, 인간이 처한 현실 인식, ‘선천-후천’의 구도에서 논의가 필요한 부분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인간관 형성 요인들의 배경과 관련해서 대순진리회와 다른 종교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끝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인간관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인간관과 관련된 용어들을 ‘전경용어사전’에 포함시키는 과제, 교리와 그 쟁점에 대해 논의할 기구를 설치하는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종교학 연구자들이 한국의 주요 종교인 대순진리회의 인간관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religious history. Here, the context of Korean religious history refers to the view that every religion, including its doctrine, ritual, and organization is created in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firstly, chapter 2, ‘An approach to the preceding research,’ focuses on the previous studies on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In this part, I have divided the previous studies into psychological, philosophical, educational, and comparative approaches. These prior studies show that studies on the view of human beings started with approaches based on psychology and scriptural interpretations which were later extended to philosophical, educational, and comparative fields of study. However,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re are more suitable explanatory factors to explain the view of human beings. Secondly, chapter 3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explains the view of human beings through the utilization of six factors. This six factors are as follows: the origin of human beings, components of human beings, the final judgment after death, the independence and subjectivity of human beings, the purpose(s) of life, and the practices of life.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these explanatory factors may contribute to a more specific explanation of the view of human beings. Thirdly, chapter 4 (‘Remaining problems’) focuses on future research tasks based on the six factors mentioned above. In this part, I pointed out various research tasks that have to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of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especially in connection to other religions. Finally, in the conclusion, I present two tasks for active research on the Daesoon Jinrihoe’s view of human beings. One is the task of incorporating the terms related to humanity into Daesoon Jinrihoe’s dictionary of scriptural terms. The other is the task of establishing a department to discuss doctrine and related issues.

      • KCI등재

        유가 인간관의 탈현대적 함의

        홍승표(Hong Seung-Pyo)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can contribute to construct the post-modern civilization. Now we are confronting the great turning point of civilization. But influenced by the modern world view which is prevalent in the present time, the modern society makes few, if any, efforts to construct a new civilization. The modern world view can not make harmony with the newly emerging social structure, but is also the root of current crises of civilization such as alienation of human beings, break down of human relationships, and collapse of the ecosystem.<BR>  The most urgent task to construct a new civilization is to break from the modern world view and to explore a new one. This paper attempts to carry out this task based on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The reason why this paper is focused on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is that it includes the elements which can provide answers for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time.<BR>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includes a distinct feature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views of human being. Almost all the views of human being focus on only one aspect of either earthly or transcendental characteristic. However, Confucian view is characterized to have a comprehensive view of human being.<BR>  The comprehensive Confucian view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present time. As long as we stick to the modern view of human being that emphasizes the earthly characteristic, we can not move to the post-modern era. On the contrary, if we emphasize the transcendental characteristic too much, the post-modernism only leads to the new Distopia where the human way of life can not be made..<BR>  Given this, the present paper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view of human being and its problems a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time;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is explained; third,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on of 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to build a new civilization is investigated.   본 논문의 목적은 유가 인간관이 탈현대의 새로운 문명을 건설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현재 인류는 문명의 대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를 떠받치고 있는 근대적 세계관의 영향으로 인해서, 현대사회에는 새로운 문명 건설을 위한 노력이 미진할 뿐만 아니라 문명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근대적 세계관은 새롭게 출현하는 사회구조와 창조적인 조화를 이룰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간소외, 인간관계의 악화, 생태계의 붕괴 등과 같은 심각한 문명의 위기의 근원이 되고 있다.<BR>  새로운 문명 건설을 위해서 가장 시급한 일은 근대적 세계관으로부터 탈피하여, 새로운 세계관적 기초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 글은 유가 인간관을 중심으로 이런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 글이 유독 유가 인간관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유가 인간관에는 이런 시대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요소가 풍부하게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BR>  유가 인간관에는 동서양의 여타 인간관과 구분되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거의 모든 인간관이 인간의 현세적 특징이나 자기 초월적 특징 중에서 한 가지 측면만을 부각시키는 반면에, 유가 인간관은 인간의 현세적 특징과 자기초월적 특징을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인간관으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다.<BR>  유가의 총체적 인간관은 현대적인 성취의 바탕 위에서 탈현대의 새로운 문명을 구축해야 하는 현시대의 상황에 잘 부응할 수 있다. 인간의 현세적 특징을 강조하는 근대적 인간관에 머무는 한 우리는 탈현대로 나아갈 수 없다. 반대로, 인간의 자기 초월적 특징만을 강조하게 되면, 현대의 성취는 폐기 대상이 되며, 이렇게 되었을 때 탈현대는 인간다운 삶의 영위가 불가능한 새로운 디스토피아가 될 수밖에 없다.<BR>  이 글은 바로 이런 인식의 바탕 위에서, 첫째, 근대적 인간관의 특징과 현시점에서 그 문제점을 서술하고, 둘째, 유가의 총체적 인간관의 특징을 밝히며, 셋째, 유가 인간관이 새로운 문명 건설을 위해서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살펴보았다.

      • KCI우수등재

        茶山 人間觀의 재조명

        유권종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2 No.-

        본 연구는 실학자 다산(정약용)의 학문적 지향성은 ‘근대’보다는 ‘유학의 성취’가 더 본질적이라는 관점을 취하고, 그의 인간관에 초점을 맞추어 그 점을 입증하고자 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가 주로 서구의 근대철학에서 중시해온 개별적 자아 중심, 이성 중심의 인간관 담론의 틀을 벗어나서 하나의 공동체적 의미의 ‘인간’에 관한 유교 본래의 담론의 방식을 회복하려고 하는 시도가 곧 이 연구이다. 다산의 인간관을 구성하는 원리는 성리학의 이기론적 사고방식을 탈피하고 인륜을 인간의 절대적인 실존기반으로 삼은 점, 心學에 치중한 성리학과 달리 身敎에 중점을 두어 이해하는 점, 천부적인 도덕의 본성을 회복하는 방식(復其初)의 성리학과 달리 후천적 노력에 의한 자아의 창조를 강조한 점, 심신의 일관성을 강조한 점 등으로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人間과 自然의 관계, 人倫, 身(神形妙合), 信, 一貫의 다섯 가지 범주를 통해서 살폈다. 그 고찰에서 드러난 다산의 인간관의 의미를 평등과 차별의 조화라는 유교 원리의 구현방식으로써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서 볼 때 다산의 인간관은 서구 근대의 인간관에서 제시되었던 평등의 관념과는 달리 도덕성에 기초한 인간의 평등을 인정하면서도, 예에 의한 사회적 차별이 필요하다는 관점을 제시한 점에서 특징적이다. 결론적으로 다산의 인간관의 목적은 성리학의 인간관을 해체하고 유학 본래의 인간관을 회복하려고 한 점, 근대적 역사의 흐름에서도 유교의 왕도정치 재건을 위한 도덕적 인격체의 성취를 꾀한 점으로 요약된다. 그 점은 다산의 인간관이 근대지향성보다는 유교적 이상의 성취를 지향했고, 왕정의 체제에 기초하고 도덕성에 근거하는 인륜공동체의 재건을 지향하는 성격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사회의 구성도 전통적 신분의 차별과 그에 따른 본분과 직분의 차별 역시 타당하다고 인정한다는 점을 특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다부(茶賦)의 인간관에 관한 연구

        배순옥 한국민족사상학회 2016 민족사상 Vol.10 No.2

        This study is about human view of dabu which is daseo related the finest tea in Korea. Dabu was wrote by 한재 이목 who agonized over that there was not any books about systematic tea although it was been a long time since tea was brought into Korea. It is filled with his mind to try to introduce the excellence of Korea. Tea is beverage we drink and enjoy and at the same time precious existence, the foundation of all things, which makes realize right duty brings freedom of mental though training the mind and opens the way to live like a human being by finding live and death are the one, not the separation. I want to know human view among world-view of Dabu containing this metally value. human view is recognition about attention to look human being what perspective to live life and value and purpose to pursue is. Thoughout this recognition, human view in Dabu can divide human view of human based in transcendental freedom, one abided with life, of independent human view to hope to design life by independent volition, and of handwritten human view to show maximally someting to control mind. There are many way to live life, but meeting between classical scholar who does study and tea plays central role to heighten completeness of study and helps to enjoy free life considered the essence of a man by opening ample consciousness world. 본 논문은 우리나라 최초의 차에 관한 다서인 다부의 인간관에 관한 것이다. 다부는 차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지 오래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차에 관한 책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긴 한재 이목에 의하여 쓰여 진 다서이다. 차의 좋은 점을 사람들에게 알리려는 그의 마음이 담겨져 있다. 차는 우리가 마시고 즐기는 음료이며 동시에 우리의 정신을 수련하여 올바른 도리를 깨우치게 하고 정신의 자유로움을 가져오며 삶과 죽음은 따로가 아닌 하나라는 것을 깨달아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만물의 으뜸인 보배로운 존재이다. 이러한 정신적 가치를 담고 있는 다부의 세계관 중에서 인간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인간관은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관점과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는 무엇인지 인간을 바라보는 태도 등에 대한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다부에 들어있는 인간관은 ‘생과 사는 하나’라는 초월적 자유를 기초로 하는 인간에 대한 인간관, 나의 주체적 의지에 의해 생을 설계하고자 하는 주체적 인간관, 나의 마음을 다스리는 것을 최고의 경지로 나타내는 수기적 인간관으로 나눌 수 있다. 삶을 살아가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의 길이 있을 수 있으나 학문을 하는 선비와 차와의 만남은 학문의 완성도를 높이는 중심적 역할을 하며 풍부한 정신세계를 열어주어 인간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자유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에 일조를 한다.

      • KCI등재

        고대정치철학에서 인간본성의 이해

        조찬래(Cho Chan-Rai) 한국정치정보학회 2011 정치정보연구 Vol.14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고대정치철학에서 인간본성개념의 변모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이러한 개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데 있다. 인간본성의 개념에 대한 고대정치철학자들의 철학적 입장과 시각에 따라 소피스트와 에피쿠로스 학파의 이기주의적 인간관, 소크라테스 플라톤 및 아리스토텔레스의 합리주의적 인간관 그리고 키케로의 이타적 인도주의적 인간관 등의 범주로 유형화해서 각 유형의 특징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유형화를 통해 자연 또는 인간본성에 관한 두 개의 상반적인 정치철학의 흐름이 서구정치철학의 전통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자연과학철학자들 중 절대인식론자인 파르메니데스와 상대주의적인 헤라클레이토스를 시발로 전자는 합리주의적 인간관과 이타적 인도주의적 인간관에 영향을 주어 권리와 정의 체계인 근대자연법의 발전에 이르는 정치철학의 한흐름과 후자는 이기주의적 인간관에 영향을 주어 근대의 공리주의와 극단적 형태로 니이체의 인간형에 이르는 정치철학의 또 다른 흐름을 말한다. This study is meant to awake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human nature in ancient political philosophy by analyzing its changing patterns systematically during the ancient period. For the convenience of analysis, the concepts of human nature of ancient political philosopher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I. E., the egoism or self-interest type (Sophists and Epicurus), the rational type(Socrates, Plato and Aristotle)and altruistic-humanitarian type(Cicero) according to their philosophical position and perspectives. Also it can be found that the two opposing currents of political philosophy have existed in western political tradi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traits of each typology respectively. It can mean that one current of political philosophy originated in Parmenides with absolute epistemology who had influenced the rational type of human nature, finally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natural law as a coherent system of right and justice, while another current of political philosophy started with Herakleitos of relativist position who had influenced the self-interest type of human nature, leading up to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modern utilitarianism and Nietzschean type of man in its extreme form.

      • KCI등재후보

        현대 가톨릭 교회의 인간관에 대한 고찰

        조정환(Cho, Jeong 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神學展望 Vol.- No.171

        현대 가톨릭 사상의 핵심 주제 중에 하나는 ‘인간’이다. 가톨릭 교회 안에서 ‘인간’이 핵심 주제가 된 이유는 급변하는 현대 세계의 여러 문제점들의 근본적인 원인으로써 인간의 문제가 그 중심에 있음을 교회가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을 통하여 교회는 올바른 인간관을 정립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 헌장」을 통하여 그리스도교의 인간관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이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사목 헌장」의 인간관을 바탕으로 현대의 인간 문제를 더욱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그리스도교 인간관이 체계화를 이루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지금까지의 그리스도교 인간관의 전체 흐름 안에서 제일 먼저 중심축이 된 것은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인간의 신비에 접근했던 ‘그리스도 중심적 인간관’이었다. 그런데 최근의 그리스도교 인간관의 경향은 삼위일체 교리를 바탕으로 인간의 공동체적인 본성을 조명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리스도교 인간학적인 차원에서 인간이 하느님을 닮은 것은 삼위가 하나이신 하느님을 닮은 것(Imago Dei Trinitatis)이기에 인간이 공동체를 이루어 그 안에서 서로 간의 관계를 통한 일치를 이루는 것, 곧 인간의 사회성은 인간의 중요한 본성인 것이다. 이러한 ‘삼위일체적 인간관’의 강조는 현대의 사회와 문화 안에 큰 파급 효과를 가지고 확산되고 있는 개인주의에 대한 우려에서 기인하고 있다. 현대 가톨릭 사상 안에서 삼위일체의 강조는 개인주의에 대한 대안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이상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특별히 현대와 같이 다문화(多文化), 다종교(多宗敎), 다가치(多價値), 다변화(多變化) 시대 상황 안에서 소통(疏通)과 상생(相生)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에서, 그리고 여러 가지 차별문제와 사회 양극화 현상, 생태계의 위기라는 현대의 주요 문제점들 안에서, 삼위일체적 인간관의 강조는 현실 안에서 인간의 올바른 삶의 모습과 인간이 이루어야 할 소명이 무엇인지를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바탕을 제공하고 있기에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최한기 기학의 근대적 인간관

        이영찬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8 No.-

        본 논문은 기존연구들이 최한기 기학 성립에 영향을 준 서양의 자연과학적 성과에만 주목하고 그것의 전제가 되는 근대적 정신 및 인간관에는 크게 주 목하지 않았다고 보고 이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최 한기의 기학에 여전히 전통적인, 성리학적인, 비과학적인, 반실증주의적인 요 인들이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적 인간이 출현할 수 있는 이념적 요소와 논리 체계를 일정 부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로써 기학적 인간이 전근 대와 근대를 잇는 가교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인간학적 토대를 해 명할 수 있었다. 최한기의 기학적 인간관이 갖는 근대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을 신기적 존재로 파악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실 증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기학적 인간관이 이성의 각성을 강조함으로써 인간 정신의 자유로운 활동과 무한한 진보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셋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의 주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성리학의 전체주의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개인주의적 인간이 탄생할 이념적 토대를 제공했다. 넷째, 기학적 인간관은 사물에 대한 인식이 대기운화라는 자연법칙에 의존 하는 과학주의적 관점을 가졌다. 자연의 물리적 법칙이 인간사회의 규범적 원 리로 간주된다. 다섯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의 도덕성을 선천적 본성이 아니라 구체적 사 회적 관계에서 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였다. 여섯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 정신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어 낙관적인 세계관을 가졌다. This paper aimed to verify the modern view on human in the Choe Han-ki's Ki-hak(philosophy of Ki). The great part of Choe Han-ki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cientific achievement but overlooked the modern view on human of a western science as a ground for his Ki-hak. Through this study, I could find some modern ideological factors and logical systems in the Ki-hak, in spite of having many traditional, neo-confucian, non-scientific, and anti-positivist factors. By this, I could explain the anthropologic foundation of the view on human of Choe Han-ki who undertook the role of connection between premodern and modern. I can summarize the connotations of the view on human of Choe Han-ki's Ki-hak as follows. First, the view on human of the Ki-hak allowed positivist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 by understanding human as Ki's being. Second, the view on human of Ki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nfinite progress of human by emphasizing the disenchantment of reason. Third, the view on human of Ki-hak provided ideological base for the birth of individual human by emphasizing human subjectivity which is free from the totalitarian world-view of neo-confucianism. For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had scientific perspective which the perception for matter depend on Dea-ki-un-wa as a natural law. It regards the physical law of nature as a normative principle of human society. Fif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perceives human as social being in the fact that it look for human morality in the social relationship, not in the innate nature. Six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had optimistic world view in the fact that it hold belief for successive progress of the human mind.

      • KCI등재

        최한기 기학의 근대적 인간관

        이영찬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8 No.-

        This paper aimed to verify the modern view on human in the Choe Han-ki's Ki-hak(philosophy of Ki). The great part of Choe Han-ki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cientific achievement but overlooked the modern view on human of a western science as a ground for his Ki-hak. Through this study, I could find some modern ideological factors and logical systems in the Ki-hak, in spite of having many traditional, neo-confucian, non-scientific, and anti-positivist factors. By this, I could explain the anthropologic foundation of the view on human of Choe Han-ki who undertook the role of connection between premodern and modern. I can summarize the connotations of the view on human of Choe Han-ki's Ki-hak as follows. First, the view on human of the Ki-hak allowed positivist approach to the study of human by understanding human as Ki's being. Second, the view on human of Ki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nfinite progress of human by emphasizing the disenchantment of reason. Third, the view on human of Ki-hak provided ideological base for the birth of individual human by emphasizing human subjectivity which is free from the totalitarian world-view of neo-confucianism. For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had scientific perspective which the perception for matter depend on Dea-ki-un-wa as a natural law. It regards the physical law of nature as a normative principle of human society. Fif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perceives human as social being in the fact that it look for human morality in the social relationship, not in the innate nature. Sixth, the view on human of Ki-hak had optimistic world view in the fact that it hold belief for successive progress of the human mind. 본 논문은 기존연구들이 최한기 기학 성립에 영향을 준 서양의 자연과학적 성과에만 주목하고 그것의 전제가 되는 근대적 정신 및 인간관에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고 보고 이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최한기의 기학에 여전히 전통적인, 성리학적인, 비과학적인, 반실증주의적인 요인들이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적 인간이 출현할 수 있는 이념적 요소와 논리 체계를 일정 부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로써 기학적 인간이 전근대와 근대를 잇는 가교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인간학적 토대를 해명할 수 있었다. 최한기의 기학적 인간관이 갖는 근대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을 신기적 존재로 파악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실증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기학적 인간관이 이성의 각성을 강조함으로써 인간 정신의 자유로운 활동과 무한한 진보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셋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의 주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성리학의 전체주의적 세계관에서 벗어나 개인주의적 인간이 탄생할 이념적 토대를 제공했다. 넷째, 기학적 인간관은 사물에 대한 인식이 대기운화라는 자연법칙에 의존하는 과학주의적 관점을 가졌다. 자연의 물리적 법칙이 인간사회의 규범적 원리로 간주된다. 다섯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의 도덕성을 선천적 본성이 아니라 구체적 사회적 관계에서 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였다. 여섯째, 기학적 인간관은 인간 정신이 지속적으로 성장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어 낙관적인 세계관을 가졌다.

      • 범죄학적 인간관에 대한 성경적 행복 담론

        김재민(Kim, Jae Min) 행복한부자학회 2018 행복한부자연구 Vol.7 No.2

        종래 범죄학 이론에 기초한 범죄원인 진단은 모두 지엽적인 것으로서 인간범죄성의 근본을 터치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이론들이 터 잡고 있는 인간관으로는 범죄의 영향력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기에 인간의 기본적 행복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더러 궁극적 행복에 이르는 길도 제시해 줄 수 없다. 반면 성경은 범죄의 근본 원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성경적 인간관은 인간의 범죄성을 근원부터 치유할 수 있는 관점을 지니고 있다. 범죄학이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범죄성 발현의 근본 원인을 성경적 인간관을 통해 진단할 수 있고 그 범죄성으로부터의 영원한 해방을 성경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요컨대 본 연구는 범죄학적 인간관과 성경적 인간관의 비교를 통해 인간의 본성 속에 내재된 범죄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길이 성경 속에 있다는 것과 이를 통해 기본적 행복을 향유할 수 있음은 물론 궁극적 행복에도 도달할 수 있음을 피력하였다. The diagnosis of the cause of crime based on conventional criminology theories is so partial that it can not touch the substantial reasons of human crime, and the human view of those theories does not fundamentally block the influence of cri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cure human basic happiness and can not even provide the way to ultimate happiness. On the other hand, the Bible suggests the root cause of crime clearly, and it has a point of view that can heal the criminality of human nature from its source. In the end, the essential cause of crime that criminology can not solve is able to be treated through biblical principle and eternal liberation from crime can be found in the Bible. This allows humans to enjoy basic happiness as well as reach ultimate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