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혈성 심장질환 가족력이 건강 행태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이병한,오선학,이동훈,김소연,고영진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1

        Background: Family history of ischemic heart disease (IHD) and unhealthy behaviors are known to be risk factors for IH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history of IHD and healthy behaviors among Korean adult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8.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3,068individuals over the age of 20 who responded to food intake frequency questions and family history survey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groups according to family history of IHD.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IHD family history and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ther family history, and personal history of chronic disease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historyand healthy behaviors was analyzed throug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Of the 13,068 participants, 729 (5.6%) had a family history of IHD. The presence of a family history of IHD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smoking (adjusted odds ratio [aOR], 1.02; 95% confidence interval [CI], 0.78–1.32), risky drinking (aOR, 1.23; 95% CI, 0.94–1.61), insufficient physicalactivity (aOR, 1.09; 95% CI, 0.91–1.30), daily intake of more than 1,500 grams of sodium (aOR, 1.15; 95% CI, 0.87–1.51), and daily intake of more than15 grams of saturated fatty acid (aOR, 1.20; 95% CI, 0.99–1.3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no clear correlation between family history of IHD and healthy behavio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educate and encourage people to have healthy behaviors, such as smoking, exercise, and diet. 연구배경: 허혈성 심장질환 가족력 및 건강행태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한국 성인의 허혈성심장질환 가족력과 건강 행태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2016–2018년에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식품섭취빈도조사 및 가족력 항목에 응답하고, 음주, 흡연, 신체 활동 항목에 응답한 20세 이상 13,0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 인원은 허혈성 심장질환 가족력 유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고,인구사회적 특성, 다른 만성질환 가족력 유무, 만성질환 진단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본 건강 행태로 음주, 흡연, 신체 활동, 나트륨 섭취, 포화지방산 섭취 여부를 분석하였다. 허혈성 심장질환 가족력과 인구사회적 특성, 건강행태 및 다른 질병 가족력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 및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족력과건강행태의 관계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3,068명 중 허혈성 심장질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이 729명(5.6%)이었다. 가족력의 유무는 흡연(adjusted odds ratio [aOR], 1.02;95% confidence interval [CI], 0.78–1.32), 위험음주(aOR, 1.23; 95% CI,0.94–1.61), 신체활동 부족(aOR, 1.09; 95% CI, 0.91–1.30), 하루 1,500 g이상의 나트륨 섭취(aOR, 1.15; 95% CI, 0.87–1.51), 하루 15 g 이상의포화지방산 섭취(aOR, 1.20; 95% CI, 0.99–1.35)와 통계적으로 유의한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가족력은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 요인이지만, 가족력과 음주, 흡연, 신체 활동, 나트륨 및 포화지방산 섭취 등 건강행태에는뚜렷한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흡연, 운동, 식이 등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개선하도록교육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격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코호트 연구를 통한 악성암과 심장 및 뇌혈관질환자의진료비 부담 추이 분석(2004~2016)

        송혜숙,서정안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nalysis of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for Malignant Cancer and Patients with Heart and Cerebrovascular DiseaseThrough Cohort Study (2004-2016)Hyeasuk Song & Jeongan Seo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ate of the mortality rate and the cost of medical expenses through cohort study of malignant neoplasms (cancer), heart and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which are the main causes of death in Korea,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public health care and health insurance policies.,Th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s customized DB were used for the study, and as of 2004,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codes for 12 years were linked with the data of the death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followed by the survival period of the subjects who were treated with malignant neoplasms (C00~C97, D45~47), heart disease (I21~I23) and cerebrovascular disease (I60~I64).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34,000 (0.27%) of malignant neoplasms, 18,000 (0.04%) of heart disease, and 105,000 (0.22%) of cerebrovascular disease were diagnosed as the three major diseases out of the total population of 48 million people in Korea. After 12 years, mortality rate was 68,000 (51.2%) of malignant neoplasms, 9,000 (48.2%) of heart disease, 52.2% of cerebrovascular disease The number of the subjects was 5,000 (49.5%), which was 50%.,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cal expenses, the amount of increase and decreas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protection policy decreased from 20% to 10%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burden rate, but the cerebrovascular disease was 20%.,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policy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to lower the burden of cerebrovascular disease. Key Words: Cancer, Heart Disease, Cerebro Vascular Disease, Death Rate, Cost Analysis 코호트 연구를 통한 악성암과 심장 및 뇌혈관질환자의진료비 부담 추이 분석(2004~2016)송 혜 숙*ㆍ서 정 안** 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인 악성신생물(암), 심장 및 뇌혈관질환자의 12년간 코호트 연구를 통해 사망률 및 진료비 본인부담금 비율 분석을 통해 국민의 건강관리와 건강보험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 DB 자료를 이용하였고, 2004년 기준으로 악성신생물(C00~C97, D45~47), 심장질환(I21~I23), 뇌혈관질환(I60~I64)을 주진단으로 진료받은 대상자들의 2016년까지 12년간의 개인별 식별코드를 통계청의 사망자료와 연동하여 생존기간을 추적관찰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전체인구수 약 4,800만명 중 3대 질환으로 진단받은 사람은 악성신생물 약 134,000명(0.27%), 심장질환 약 18,000명(0.04%), 뇌혈관질환 약 105,000명(0.22%)이었고, 이 중 12년 경과 후 사망률은 악성신생물이 68,000명(51.2%), 심장질환 9,000명(48.2%), 뇌혈관질환 52,000명(49.5%)으로서 대상자의 50%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진료비 분석결과는 보장성 강화정책 도입 전에 비해 후의 증감금액을 비교한 결과 악성신생물과 심장질환은 본인부담률 도입전 20%에서 약 10%로서 감소하였으나, 뇌혈관질환은 20%로 전 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에 뇌혈관질환의 본인부담률을 낮추는 보장성 강화정책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핵심어: 악성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사망률, 진료비분석 □ 접수일: 2022년 4월 20일, 수정일: 2022년 5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주저자, 광주여자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Kwangju Women’s Univ., Email: hyeasuk@kwu.ac.kr)** 교신저자, 인천재능대학교 보건의료행정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JEI Univ., Email: jeong91@jeiu.ac.kr)

      • KCI등재

        비만에서 심장질환의 예후 - 비만 패러독스

        노정현 대한비만학회 2016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5 No.4

        Prognosis of Heart Disease in Obesity – The Obesity Paradox 비만은 심혈관질환, 심부전을 포함하는 심장질환 발생의 중요한 위험요소이다. 비만에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등의 발생이 더 많아지는 것이 심장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는 중요한 기전이지만, 이를 배제하고도 비만은 독립적으로 심장의 구조 및 기능에 변화를 초래하여 심장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일단 심장질환이 생기면 과체중이나 경도의 비만인 경우 오히려 심장질환의 예후가 정상체중보다 더 좋다는 연구결과들이 있으며, 이러한 현상을 비만 패러독스라고 부른다. 이 리뷰에서는 비만이 심장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그리고 심혈관질환을 가지고 있는 비만환자에서 비만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리하였다.

      • KCI등재

        허혈성 심장질환 입원환자의 재원일수 중증도 보정 모형 개발

        최연희,김윤진,홍성옥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verity-adjusted LOS (length of stay) model for ischemic heart disease patients and identify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LOS by using the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data. The comorbidity scoring systems and data-mining methods were used to design a severity-adjusted LOS model which covered 29,958 ischemic heart disease patients. In this study, a decision tree model using CCS comorbidity scoring index was chosen for the final model that produced superior results. Factors such as perform of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omplications of surgical and medical care, primary diagnosis, and admission route etc. influenced patient length of stay.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al LOS and adjusted LOS resulted from health-insurance type, bed size, and hospital location. Therefore the alternative plan on excessive medical utilization is needed to reduce variation in length of hospital stay of patients who undergo ischemic heart disease. 본 연구는 허혈성 심장질환 입원환자의 효율적 재원일수 관리방안 제시를 위해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허혈성 심장질환 입원환자에 대한 중증도 보정 재원일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허혈성 심장질환 입원환자의 재원일수 변이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 중 허혈성 심장질환 입원환자 29,958명을 대상으로 동반상병 보정 방법 및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허혈성 심장질환 입원환자에 대한 중증도 보정 재원일수 모형을 개발한 결과 CCS(clinical classification software) 동반상병 보정 방법을 이용한 의사결정나무 모형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허혈성 심장질환 입원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관상동맥우회술 시행 여부, 수술 또는 치료의 합병증 동반 여부, 주진단, 입원경로 등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중증도 보정 모형을 기반으로 허혈성 심장질환 입원환자의 적정 재원일수와 실제 재원일수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진료비지불방법, 병상 규모, 의료기관 소재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허혈성 심장질환 입원환자의 재원일수 변이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과잉진료에 대한 모니터링과 모형의 의료정보시스템 적용 등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 고혈압환자의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 영향요인

        길은하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2

        본 연구는 한국 고혈압환자의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2차 분석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한국의료패널 2015년 데이터(β-version 1.0)를 활용하여 고혈압 진단 후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2,4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Chi-Square, Scheffé’s 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고혈압환자의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률은 20.2%이며, 나이(60대), 교육(고등 이상), 총 가구소득(중산층 이상), BMI 23~25kg/m2 그룹, 불안/우울 군, 약물 불순응과 약물 부작용 발생 군에서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한국 고혈압환자가 허혈성 심장질환이 발생하지 않도 록 연령, 교육수준, 경제상태 등의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우울 및 불안관리가 필요하며 약물 순응도를 높이고 약물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혈압환자의 총체적 관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d secondary analysis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cid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Korean hypertensive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84 people who were taking drugs after diagnosis of hypertension using data from the Korea Medical Panel 2015 (β-version 1.0).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Chi-Square, Scheffé’s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cid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Korean hypertensive patients was 20.2%. Age(60s), education(higher than high school), household income(middle and above), BMI(23-25kg/m2), anxiety/depression, drug noncompliance and drug side effects group have high incid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

      • KCI등재

        심장 스텐트 시술과 의료사고 예방

        김경례,박국양,Kim, Kyoung Reay,Park, Kook Yang 대한의료법학회 2017 의료법학 Vol.18 No.2

        Coronary artery disease has increased in Korea as the country enters the aged society. It is well known that the incid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is related to aging,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and dietary habit. For effective treatment of significant coronary stenosis, close coordination between cardiac surgery and cardiology team is essential. Especially cardiologists' decision whether to do the stent placement or CABG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cardiologists usually start to consult the patients for their treatment. Recently, non-surgical interventions(that is stent placement) in cardiology field have dramatically increased as the national insurance system removed the limitation of the number of stents deployed. However, accidents are often caused by inappropriate use of stent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triple coronary disease or left main disease with heavy coronary calcifications. Another aspect of stent placement is to cope with an emergency case in the event of coronary rupture or pericardial tamponade during coronary interventions without cardiac surgeons. In the past two years, the Korea Consumer Agency (Consumer Dispute Coordination Committee) analyzed eight cases of medical dispute settlement. Only two hospitals were manned with both cardiologists and cardiac surgeons. Seven patients died of procedures of stenting and five patients died on the day of the procedure. Among the 8 cases, 5 cases showed 3 vessel disease and the rest of the cases had either severe calcification, complete occlusion or poor coronary antomies for stenting According to a 2017 national data registry of coronary stenting, less than 3 drug-eluting stents were implanted in 98% of all patients. In 2015, the number of stent procedures was 38,922, and approximately in 800 (2%) cases, more than four stents were used per patient. We emphasize that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the cost-benefit analysis between stent and CABG. The patient has the right to choose the right procedure by asking the liability of 'instruction explanation obligation'. He should be well informed of the pros and cons of both procedures to avoid overuse of stent. It can be solved by intimate discussion of individual cases with the cardiac surgeon and the patient. Unilateral dialogue with the patient, forceful restriction on the number of stenting, lack of surgeon's backup in difficult cases should all be avoided. It is also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not only at the hospital level, such as multidisciplinary integrated medical care, but also a nationwide solution such as expanding cardiac surgeons as essential personnel to public officials. 관상동맥 질환은 2017년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더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 고령화가 될수록 고혈압, 당뇨 등 복합적인 질환이 합병되어 혈관상태도 상대적으로 더 나빠져 관상동맥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심혈관 질병은 심장외과와 심장내과와의 긴밀한 협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환자를 먼저 진료하게 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임상현장에서 객관적인 심장내과 의사의 치료방침에 대한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심장내과의 비수술적 중재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의료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관상동맥 3개혈관이 모두 막힌 삼중혈관이거나 석회화가 심해 혈관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가 문제이다. 또한 심장외과 의사가 없는 병원에서 무리하게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을 실시하다가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상동맥이식술 등 외과적 대처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최근 2년간 한국소비자원(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의료분쟁 조정결정 8사례를 분석한 결과, 심장 중재술을 시행한 병원 중 심장외과 의사가 상주한 곳은 2곳으로 확인됐다. 8사례 모두 심장내과 진료 후 풍선확장술 및 스텐트 삽입한 경우로 7명이 사망했고 이중 5명은 시술 당일에 사망했다. 8사례 중에 3중혈관 환자는 5건이고, 나머지도 석회화가 심하거나 완전폐쇄로 혈관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였다. 2017년 심장내과 스텐트 시술 건수 조사 보고에 의하면 3개 이하 약물 방출 스텐트 시술이 98%로 보고됐다. 2015년 스텐트 시술 건수가 38,922건으로 약800건(2%)은 스텐트가 4개 이상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무리한 스텐트 시술로 마지막 여명에 급사함으로써 신변정리 기회상실은 물론 여명단축에 따른 손해로서 '지도 설명의무' 책임을 물어 전 손해에 대한 배상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최근 심평원 보험적용 스텐트 시술 개수 제한규제가 없어지면서 무리한 시술과 심장외과 의사 확충에 대한 문제가 있다. '다학제통합진료' 같은 병원차원의 해결방안은 물론 필수요원에 해당하는 심장외과를 공무원으로 확충하는 등 국가차원의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

        선천성 심장질환 환아의 치과치료

        김재곤,이용희,김미라,백병주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2

        선천성 심장질환 환자는 감염성 심내막염에 감수성을 가지고 있고, 치과치료후에 균혈증에 의해서 감염성 심내막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천성 심장질환 환자에 있어서 감염성 심내막염을 유발할 수 있는 치과치료를 시행 시에는 예방적항생제의 투여가 추천된다. 1997년 미국 심장학회에서는 감염성 심내막염의 예방을 위한 개정된 지침을 발표하였다. 개정된 지침은 예방적 항생제 투여의 적응중, 항생제의 선택, 투여용량 등에 있어서 이전의 지침과 차이가 있다. 이전의 지침은 출혈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치과시술에 대해서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를 추천하고 있으나 개정된 지침은 술자의 판단에 따라 심한 출혈이 있는 경우에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또한 이전의 지침에선 술전과 술후 2회의 예방적 항생제 투여를 추천하였으나 개정된 지침에서는 술후 투여가 없어지고 술전 1회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 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본 증례는 미국심장학회에서 최근에 발표한 선천성 심장질환 환자의 치과치료시의 예방적 항생제 투여 지침에 따라서 3명의 선천성 심장질환 환아를 대상으로 치과치료 후 그 예후를 관찰한 것이다. 주요어 : 선천성 심장질환, 감염성 심내막염, 예방적 항생제

      • KCI등재

        온도변화와 허혈성 심장질환 및 뇌혈관 질환에 따른 사망자수와의 관계연구

        김양희,김창훈,이우섭,노맹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4

        In many literatures, results are reported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emperature changes and the disease deaths by using statistical models based upon daily data. But, association between daily temperature changes and disease deaths is not exact because deaths are caused by some days after temperature impact.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weekly association between temperature changes and deaths caused by the ischaemic heart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from 1993 to 2012 in Seoul of Korea. After arranging data by intervals, Poisson regression model with dynamic model is considered for the aged ≥65 year deaths. In dynamic model, we used time lags of response variables which are death counts as explanatory variables. In addition, sine and cosine variables are adjusted for explaining periodic effect. The results show that daily difference of temperatur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for the ischaemic heart diseas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In conclusion, the greater change of the daily temperature gives the higher the mortality rate. 많은 문헌들에서 기후요인과 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여러 기후요인들 중 특히 기온의 변화가 질환별 사망자수와 연관성이 있다는 결과를 통계 모형을 활용해서 밝혀내고 있다. 기존의 이러한 연구들은 일간 단위의 기온변화와 사망자수를 활용하였지만, 당일의 기온변화가 바로 사망에 영향을 주는 것보다는 몇일 후의 사망에 영향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망자료와 기후자료를 활용하면서 주간 단위로 자료를 정리하여 연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온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질환으로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혈관 질환에 대해서, 1993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지역의 65세 이상 사망자 수를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남녀 성별에 따라 구분하였다. 주간 단위의 각 질환별 사망자 수가 반응변수로 두어, 포아송 회귀모형을 고려하면서 이전 사망자 수를 설명변수로 둔 동적모형을 적합하였다. 연도별 주기성을 고려한 사인, 코사인 함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기온의 주간 평균값과 일교차의 주간 평균값이 사망자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하였다. 모형적합 결과, 기온변화인 큰 일교차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혈관 질환에 높은 사망률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뇌혈관 질환의 경우 기온변화가 여자보다는 남자가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허혈성심장질환 진단에서 심장초음파의 국소벽운동이상과 심장효소의 정확성 평가

        김희영,지태정 대한방사선과학회 2022 방사선기술과학 Vol.45 No.4

        Echocardiography and cardiac enzymes test are the tests to assess ischemic heart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accurac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wo tests for the diagnosis of ischemic heart disease.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393 study subjects who underwent echocardiography and cardiac enzymes 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 (RWMA) increased as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increased. As a result of ROC analysis, RWMA showed a larger area under the curve (AUC) than cardiac enzymes. RWMA showed the highest accuracy with 81.1% of all cardiac enzymes. Among cardiac enzymes, cTnI showed the highest accuracy. Thus, It was confirmed that RWMA of echocardiography is more accurate than cardiac enzyme is in diagnosing ischemic heart disease.

      • SCOPUSKCI등재

        최소 피부 절개술을 이용한 선천성 심장 질환 수술

        박충규,박표원,전태국,박계현,채헌,Park, Choung-Kyu,Park, Pyo-Won,Jun, Tae-Gook,Park, Kay-Hyun,Chae, Hur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4

        배경: 선천성 심장 질환에서의 최소 피부 절개에 대한 보고는 매우 적다. 저자등은 수술상처를 최소화하면서 통상적인 수술수기 및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등은 1997년 4월부터 1997년 9월까지 선천성 심장 질환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최소 피부 절개술과 정중 전 흉골 절단을 통해서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환자 질병 분포는 성인 환자가 5명(남:여=1:4)이며 이중, 심방 중격 결손증 3명, 심실 중격 결손증 1명, 부분 심내막상 결손증 1명이었고, 소아 35명(남:여=17:18)에서는 심방 중격 결손증 4명, 심실 중격 결손증 30명, 발살바 동맥류 1명이었다. 정중 피부 절개는 흉골 두번째 늑간하부에서 검상돌기 1~2cm상방까지 실시하였다. 흉골 하부 절단에는 일반 전기톱을, 흉골 상부 절단에는 특수 전기톱을 피부 밑에 삽입하여 전장의 흉골을 절단하였다. 그리고, 흉골 견인은 좌우 & 상하 양방향에 2개의 견인기를 각각 직각으로 거치하여 수술시야를 확보하였다. 결과: 흉골길이대비 피부절개의 길이는, 성인에서는 55.0$\pm$3.5%로 절개길이가 평균 12cm(10~13.5cm)였고, 소아에서는 63.1$\pm$3.9%로 평균 7.3cm(5.2~11cm)였다. 모든 증례에서 체외 순환시 필요한 동정맥 삽관을 추가적인 서혜부 피부 절개 없이 직접 대동맥 및 상하공 대정맥에 시행할 수 있었으며 좌심방벤트관은 필요시 삽입하였다. 전 례에서 수술사망이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최소 피부 절개술에 따른 창상 감염 및 피부 괴사, 혈종 형성, 출혈에 의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최소 피부 절개술과 정중 전 흉골 절개를 이용한 선천성 심장 질환 수술은, 통상적인 체외 심폐 순환을 할 수 있으며, 외관상 미용의 효과가 뚜렷하였고, 다양한 선천성 심질환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Background: Although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bout minimal skin incision for the repair of congenital heart lesions, minimizing an unsightly scar is a particularly important factor in growing children. We have adopted a technique that permits standard full sternotomy, conventional open chest cardiopulmonary bypass, aortic cross-clamping, left atrial vent, and antegrade cardioplegia with minimal surgical scar. Material and Method: With minimal skin incision and full sternotomy, 40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underwent open heart surgery from April 1997 through September 1997. Defects repaired included 30 ventricular septal defects, 4 atrial septal defects, and 1 sinus Valsalva aneurysm in 35 children(M:F=17: 18), and 3 Atrial septal defects, 1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1 partial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in 5 adults(M:F=1:4). Midline skin incision was performed from the second intercostal space to 1 or 2 cm above the xiphoid process. For full sternotomy, we used the ordinary sternal saw in sternal body, and a special saw in manubrium under the skin flap. During sternal retraction, surgical field was obtained by using two retractors in a crossed direction. Result: The proportion of the skin incision length to the sternal length was 63.1${\pm}$3.9%(5.2∼11cm, mean 7.3cm) in children, and 55.0${\pm}$3.5%(10∼13.5cm, mean 12cm) in adults. In every case, the aortic and venous cannulations could be done through the sternal incision without additional femoral cannulation. There was no hospital death, wound infection, skin necrosis, hematoma formation, or bleeding complication. Conclusion: We conclude that minimal skin incision with full sternotomy can be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method for the repair of congenital heart diseases in children and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