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북지역 고등학생이 인식한 학교적응과 세계시민의식의 관계에 대한 다문화인식 및 다문화수용성의 매개효과

        임명희(Im, Myoung Hee) 교육종합연구원 2022 교육종합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전북지역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이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이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학교적응은 다문화인식에 β=.811, 다문화수용성에 β=.289, 세계시민의식에는 β=.252로 유의미하였다(p<.001). 다문화인식과 세계시민의식은 β=.517(p<.001), 다문화수용성과 세계시민의식은 β=.127( p<.001)로 유의미하였다. 즉 학교적응에 따라 세계시민의식, 다문화인식과 다문화 수용성은 세계시민의식 수준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전북지역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은 다문화인식을 매개로 하여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세계시민의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각 경로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적응은 세계시민의식에 직접효과 .252 (p<.01),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456(p<.001) 그리고 총효과 .708(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전북지역 고등학생이 인식한 학교적응력은 다문화인식뿐만 아니라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세계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전북지역 고등학생들의 학교적응력과 세계시민의식 제고에 있어서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이 긍정적인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학교적응력 향상, 다문화인식과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교육활동은 세계시민의식에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청소년의 다양한 교육경험을 통해 세계시민의식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 of school adap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on global citizenship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global citizenship as a mediu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chool adaptation was significant as β=.811 for multicultural awareness, β=.289 for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β=.252 for global citizenship (p<.001). Multicultural awareness and global citizenship were significant as β=.517 (p<.001),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global citizenship were significant as β=.127 (p<.001). In other words, according to school adaptation, global citizenship,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ffected the level of global citizenship. Second, the school adap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affected global citizenship through multicultural awareness and global citizenship through multicultural receptivity as a medi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each pathway, school adaptation had a direct effect on global citizenship .252 (p<.01), an indirect effect mediated by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456 (p<.001), and a total All effects of .708 (p<.00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 was found that the school adaptabilit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in Jeollabuk-do affects not only multicultural awareness but also multicultural receptivity as a medium to affect global citizenship. This means that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re acting as positive mechanisms in improving school adaptability and global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llabuk.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activities to improve school adaptation,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re important factors for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make extensive efforts on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with various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adolescence.

      •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열의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윤하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3 사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학원강사들이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학원지원, 상사지원, 동료지원), 직무열의(활력, 전념, 몰두), 조직시민 행동(학원지향, 동료지향, 고객지향)에 대한 인식과 개인배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열의가 조직 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원 내 조직지원의 수준을 높이고, 학원 강사의 직무열의 및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학원의 경영 안정화 및 교육적 기능 강화에 도 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원에서 초·중·고등학생들을 지도하는 학원강사들을 대상으로 구글(Google) 설문지를 활용하여 총 357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4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강사가 지각하는 조직지원인식,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은 보통이었다. 다만 학원강사의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지원인식과 직무열의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 배경 에 따른 조직지원인식, 직무열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인식은 성별, 연령, 근무기간, 소속계열에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학력, 직급,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지원인식의 학원지원, 상사지원, 동 료지원이었고,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지원인식의 동료지원과 직무열의의 전념, 몰두였다. 결론적으 로 학원강사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영자 및 상사가 학원강사들에게 물질적, 정서적 지원을 하여야 하고, 동료 간에 상호이해 증진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료지원이 중요하고, 학원 강사가 직무에 전념하고 몰두할 수 있는 ‘행복한 일터’ 환경의 조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personal background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POS),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help to enhance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POS, job engagement, and OCB and to stabilize the management and strengthen educational functions through developing a cooperative labor-management culture. A total of 35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using Google questionnaires from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teach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other areas, and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4.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OS, job engagement, and OCB by private tutoring instructors was average. However, the level of OCB instructors revealed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POS and job engagement.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nder, age, working period, and affiliation in the POS, job engagement, and OCB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position, area, and academic background. Third, the factors affecting job engagement were Hagwon support, supervisor support, and peer support of POS, and the factors affecting OCB were peer support of POS, dedication, and absorption of job engagem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job engagement, managers and supervisors should provide material and emotional support to academy instructors, and strive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mong colleagues. In addition, peer support is important to raise the level of OCB, and it is required to create a “happy workplace” environment in which instructors can devote themselves and concentrate on their duties.

      • 집회시위문화정착을 위한 경찰권 행사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김진태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2017 법무보호연구 Vol.3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itizens’ perceptions about the exercise of the police forc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e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dividing them into the freedom and security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the citizens’ legal attitude. For this purpose, selecting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the behaviors of participants in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e citizens’ awareness about the present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the police’s coping method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would reveal their impact on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and make policy propos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Hypothesis 1]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on their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it turned out that their trust in the police affects their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Hypothesis 2]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behaviors of participants in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eir behaviors affect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Hypothesis 3]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citizens’ legal awarenes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ir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it turned out that their legal awarenes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affects their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Hypothesis 4]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police’s method of coping with assembly and demonstration on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it turned out that the police’s method of coping with assembly and demonstration affects the citizens' perceptions about assembly and demonstration. 본 연구는 집회시위문화 정착을 위한 경찰권행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 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을 집회시위의 자유와 보장, 시민의 법 태도로 구분하여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무엇인 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독립변수로는 경찰에 대한 신뢰, 집회시위 참가자의 행동, 현행 집시법에 대한 인식, 경찰의 대응방식을 선정하여 집 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 설1] 경찰에 대한 신뢰가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회귀분 석결과, 경찰에 대한 신뢰는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가설2] 집회시위 참가자의 행동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한 회귀분석결과, 집회시위 참가자의 행동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 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 집회시위에 관한 법률 인식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회귀분석결과, 집회시위에 관한 법률 인식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 설4] 집회시위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식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인식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 회귀분석결과, 집회시위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식이 집회시위에 대한 시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역축제 품질 인식에 따른 축제 성과인식과 지방정부-시민 관계성 연구

        지용승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5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5 No.2

        본 연구는 지역축제가 지방정부-시민관계성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방정부-시민관계성 발전전략은 무엇인가에 대해 전주의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축제 품질인식이 지역축제 성과인식과 지방정부와의 시민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주시민을 대상으로 표본의 추출방식은 층화표출과 유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시정관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존재하였고 특히, 축제품질 인식이 높을수록 성과인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축제 성과인식은 정부-시민관계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축제품질인식이 직접적으로 정부-시민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으로 지역주민은 축제의 부분별 평가라고 할 수 있는 품질인식의 결과를 중심으로 지역축제에 대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을 구성하기 보다는, 지역주민들의 축제 참여 유도와 주민들과 지방정부가 함께 축제를 어떻게 개최하고, 어떤 성과(결과)를 나타내고 있느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에 대해 긍정적인 구축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즉, 지역주민은 지역축제에 참여함과 동시에 축제의 관람객의 역할도 하게 되기 때문에 두 가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축제 자체의 객관적 평가보다는 지역주민의 입장에서 지역축제에 대한 성과가 나타났을 경우 이러한 성과는 지역주민들의 인식에도 지방정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만들게 되며, 이러한 성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시민관계성을 형성하게 된다.

      • KCI등재

        조직지원 및 상사지원에 대한 인식이 비서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지현(Kim, Ji-Hyun),최애경(Choi, Ae-Kyung)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1

        조직시민행동, 상사지원인식, 조직지원인식, 정서적 몰입은 조직의 성과 및 구성원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비서학에서는 조직원들의 상사와 조직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져 왔으나 정서적 몰입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과 상사의 지원에 대한 인식이 비서의 직무태도(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 변수들 사이의 관계에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직 비서 162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비서의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만,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고, 상사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정서적 몰입도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몰입은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몰입은 지원인식에 영향을 받으며,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과, 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 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은 표면적으로 인식하기 어렵고 구성원들이 조직과 외부에 표현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이에 대한 조직과 상사의 정서적인 공감 및 지원의 필요성을 밝혀내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and supervisor supports and job attitud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followed by analysis of the effects of Affective Commitment on the above relationship. To verify the hypotheses, 162 responses were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level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PO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a secretary was shown to significantly affect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reas PSS(Perceived Supervisor Support) did not. POS did no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PSS did. Further, perceived support (POS, PSS) significantly affected AC (Affective Commitment) whereas AC had a meaningful effect on both job OCB as well as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AC was shown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port (POS, PSS) and OCB as well as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lucidated the necessity of emotional sympathy and supports from both organization and supervisor.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ports and job attitude and these are influenced by AC, and perceived supports. In conclusion, AC and job attitudes are mutually connected.

      • KCI등재후보

        시민참여에 대한 공무원의 인식과 태도가 공직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민정 ( Minjeong Kim ),박성민 ( Sungmin Park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3 국정관리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중앙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시민의 행정참여에 대한 효과성 인식과 시민참여에 대한 태도, 그리고 공직봉사동기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시민이 행정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긍정적 인식, 부정적 인식)이 시민참여에 대한 태도(적극적 시민참여, 제한적 시민참여)를 매개로하여 공직봉사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시민참여에 대한 효과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적극적 시민참여와 제한적 시민참여 모두에 영향을 미치나, 적극적 시민참여에 훨씬 더 크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 시민참여와 제한적 시민참여 중 적극적 시민참여만 공직봉사동기(공익몰입, 동정심, 자기희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민참여 효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공직봉사동기 사이에서 적극적 시민참여가 매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민참여에 대한 태도는 시민참여의 효과성 인식과 공직봉사동기 사이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양적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인적자원관리 및 조직 관리, 그리고 시민참여의 시각에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be the main determinants of three dimensions(i.e., CPI, COM, and S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in the Korean public sector, as identified in the relevant literature: public employee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 citizen`s participation. Drawing on PSM and self determination theories(SDT), as well as employing a systematic conceptual and empirical model, this research analyzes three dimensions of PSM among Korean public employees to identify important antecedents and mediating conditions(awareness factors and attitude factors) of PSM. To develop an “antecedent-mediator-outcome” model, a questionnaire survey titled “Government Officials` Accountability and Trust Survey” was used to gather data from government employees who received training at the Central Officials Training Institute(COTI)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11, and related data were also collected. The research finds that certain predictors and mediators play major roles in meaningfully boosting the levels of PSM. Based on a discussion of the main findings,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ublic management theory and practice are provided.

      • KCI등재

        호텔조리사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수정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6

        본 연구에서는 이론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직공정성을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의 세 가지차원으로 구분하고, 조직 내의 교환관계를 반영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직지원인식에 의해 매개되는 간접효과로 설정하고 통합모형의 설계와가설검증을 통하여 그와 같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조직공정성의 하부요인인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이 호텔조리사들의 조직지원인식 및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보이는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성원들이 조직으로부터 지원을 받았을 경우, 그들이 맡은 자신의 직무와 관련하여 더 많은 노력이나 더 나은 방안으로 직무를 이행해야 된다는 조직시민행동을 인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구성원들이 조직지원을인식하고 더 높은 수준의 동료 간 교환관계가 존재할 때 이 두 변수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지원인식의 영향력이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분배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성원들이 조직지원을 더 잘 인식하고, 더 높은 차원의 구성원 간의 사회교환적 관계가 일어날 때 서로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지원인식의 영향력이 증대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을 높여줄 수 있는 변수로써 사료되며, 이는 구성원이 요구하는 일들을 기업이 관심을 가져주기 때문이며, 이를 통하여 기업은 구성원들에게 물질적 지원 또는 정신적 지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업조직의 긍정적 지원을 기반으로 구성원은 기업조직에 대한 높은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고, 이러한 증가된 동기부여는 구성원의 높은 조직시민행동을 유발시킬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경찰과 시민의 인식 비교 연구

        김자은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5 경찰학논총 Vol.10 No.1

        지역사회경찰활동의 도입이 이루어진 1990년대부터 우리나라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정착을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노력이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주체인 경찰, 시민 모두의 입장을 반영하지 못한 채 경찰의 입장에 한정되어 지역사회경찰활동 평가와 개선이 이루어져 왔음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경찰과 시민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경찰과 시민의 인식차이 를 토대로 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온전한 정착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경찰과 시민의 인식비교는 지역사회와의 관계, 지역사회 무질서 및 범죄감소, 경찰 이미지를 인식요인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요인에 있어서 경찰이 시민에 비해 높은 인식정도를 보이고 있었다. 경찰과 시민의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난 정도를 비교하면 경찰이미지, 지역사회와의 관계, 지역사회 무질서 및 범죄감소 순으로 나타났다. 경찰과 시민 모두 지역사회경찰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무질서 및 범죄감소가 이루 어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반면, 경찰이미지와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경찰은 경찰이미지와 지역 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는 반면 시민은 경찰이미지와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부정적 인 인식을 취해 경찰과 시민의 인식격차를 줄이기 위한 현실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개선방향은 첫째, 지역사회경찰활동 기획단계에서부터 평가단계의 전 과정에 걸쳐 경찰과 시민이 주체가 되어 참여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 모색, 둘째, 경찰과 시민을 대상으 로 한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 방안의 강구, 셋째, 지역사회경찰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주기적・지속적 평가 실시를 제시할 수 있다. Since the 1990s, the introduction of community policing in the country made an effort has been made in many areas for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policing. However, most of the effort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community policing came evaluation on the part of the police can not be deni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improved way for the full establishment of community policing wa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the police and citizens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he police and the citizens of the community policing. The police and citizen awareness comparison of Community policing has the awareness factor: community relationship, disorder and crime reduction, police image. The result of awareness comparison between the police and citizens seemed to be a big difference in order of police relations with the police image, community relation, reducing the disorder and crime .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omparing the degree of awareness comparison shown by the police and civil police imag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crime reducing, disorder and civil order police and all communities reduce community disorder and crime reduction through the police activity whereas that in mind, the image with the local police in the case of social relations and the perception of the police and citizens was higher. Through these results, improvement of community policing: First, seeking the practical way about community policing from the planning stage throughout the course of the evaluation phase s to get involved police and citizens, second, making the proactive education and publicity about community policing to target the police and citizens, and the third, conducting the periodic, ongoing evaluation of community policing programme.

      • KCI등재

        시민은 시민단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시민단체의 역할과 신뢰를 중심으로

        임재형(Lim, Jae Hyoung),김재신(Kim, Jaeshin),김강민(Kim, Gang-Mi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시민사회의 성장과 더불어 시민단체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한편,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가 관찰되고 있다. 시민단체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정작 시민들이 시민단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들이 시민단체의 역할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얼마나 신뢰하는지, 그러한 인식과 신뢰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시민단체가 정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공공갈등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수준은 낮은 편이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시민단체의 역할 인식은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시민단체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에 대한 기초적이고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를 가지며, 이러한 결과는 시민단체가 신뢰회복을 모색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Along with the growth of civil society, the importance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CSO) is increasing, while public trust in CSO has been continuously declining.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CSO, but little is known about how people perceive it. Analyzing the data from nation-wide survey, this study examines how people perceive and to what degree they trust CSO, and how these factors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acknowledge the roles of CSO in influencing government policy and intervening in public conflicts while they have a low level of trust in CSO. Also,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public trust in CSO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its perceived roles regardless of demographical variables.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public perception on CSO and these findings may help CSO to find ways to restore public trust.

      • KCI등재

        포용가치 지향의 민주시민교육 필요성에 대한 제언: 국민인식을 기초로

        이건(李鍵) 한국공공관리학회 2020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4 No.1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민주적 의사결정과정에 시민들의 참여진작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정치적 역량 증대에 집중되고 있으나 동시에 민주시민교육은 국가 공동체 내 합의된 가치 실천을 위한 책임 및 공공선을 위한 시민적 덕목을 강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이 헌법을 기초해야 함을 전제로 민주공화국 시민의 의미를 되새기며, 시민들의 인식과 헌법의 가치가 어느 정도로 정합적인지 살펴보고,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에서 2019년 수행한 연구자료를 활용하여 국민인식을 탐색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진단한다. 분석결과, 우리국민들은 우리사회가 공정성이 부족하고, 타인 및 외국인에 대한에 대한 배려 및 신뢰, 그리고 차별 등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는 헌법이 제시하는 가치와 다소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민주시민교육은 우리헌법이 규정하고 있는 시민적 정체성이 무엇이고 정체성에 부합되는 사회적 행위가 무엇인지 시민들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향후 민주시민교육은 중요한 헌법의 원리인 포용적 가치를 시민들에게 심어주고 헌법이 사회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기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