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르톡 피아노 음악에 나타난 리듬기법에 대한 硏究 : 바르톡 피아노 소나타 Op.26을 중심으로

        변주희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Rhythm traditionally has been known as a major factor of music along with melody and harmony. Rhythm has been gradually changing in generation. Rhythm in early western music was formed according to words in common prayer, and efficiency of the music play relied on cadence of lyrics. Baroque music usually revealed emotion by repetitive play of same figure to show only one emotion per one chapter. Classicism music thru Enlightenment enabled bourgeoisie to share with mature human rationality. Various contrast and balance rhythm patterns were introduced because they reflect many different human emotions in objective balanced state. Personal subjective emotion prevailed during Romanticism period, It broke balancing factor, music style became more free form and tried to escape from strong binding of measure. Accordingly, more complicated and interesting rhythm patterns are appeared, and free style accompaniment patterns appeared for left hand without any specific regulations. Starting from late 19th century, concept of rhythm had been enlarged, and people could not be satisfied with regular rhythm styles. Furthermore in 20th century and in modern times, the concepts of harmony and tonality are disappeared which highlighted importance of rhythm more, and began to explore asymmetric rhythm patterns. Be´la Barto´k, who has important position in 20th century music, is a composer reflected strong rhythmic factor into his opus. Bart6k imposed huge role to rhythm to his music so people say that other factors of his music are dependent upon rhythm. The most famous type of Barto´k's rhythms are Parlando Rubato Rhythm, Tempo Giusto Rhythm, Dotted Rhythm, Bulgarian Rhythm, Cross Rhythm, Poly Rhythm, Ostinato Rhythm, etc. Barto´k's piano sonata Op.26 shows variety of these rhythm styles, and it helped study and understand the music in some degree only by analysis on rhythms. I hope this research be useful in handling Barto´k's other opus because the rhythms applied to Barto´k sonata Op.26 are also reflected to other of his opus, and hope this research help people closer to rhythmic stage of 20th century music. 리듬은 전통적으로 선율, 화성과 더불어 음악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로 알려져 왔다. 시간이라는 배경 없이 음악이 존재할 수 없듯이 규칙적이건 불규칙적이건 리듬이 없는 음악이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은 리듬이 음악의 기초이고 생명인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리듬은 시대마다 점차적으로 변화하는데 최초의 서양음악에서는 선율이 전례문에 나오는 단어들에 맞도록 그 형태가 갖추어졌던 것이었으며, 그 음악의 연주 효과는 가사의 운율에 달려 있었다. 바로크 시대 음악은 같은 음형을 반복하여 통일된 감정 표현을 함으로써 한 악장에 한 두 가지 감정만을 나타내는 경우가 잦았다. 고전주의 시대에 들어서는 계몽주의 사상을 통해 인간의 이성이 성숙되고 시민계급까지 음악을 공유하게 되었다. 인간의 여러가지 감정을 객관적 균형 상태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리듬 패턴이 대조와 균형을 이루면서 조화롭게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낭만주의 시대는 개인의 주관적 감정이 지배적인 시기였으므로 균형적인 요소가 깨지고 음악의 형태가 자유로워지면서 박자의 강한 구속에서 벗어나려고 했다. 따라서 좀 더 복잡하고 흥미로운 리듬 패턴들이 등장하였으며 왼손 또한 일정한 틀이 없는 자유로운 반주 패턴이 나오게 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리듬의 개념이 확대되어 규칙적인 리듬으로 만족할 수 없게 되었다. 게다가 20세기와 현대에 이르러서는 화성과 조성의 개념이 사라지게 되어 리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비대칭적인 리듬 패턴을 탐구하게 된다. 20세기 음악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면서 강한 리듬적 요소를 작품에 반영한 작곡가로 벨라 바르톡(Be´la Barto´k, 1881~1945)이 있다. 바르톡은 그의 음악에서 다른 요소들이 리듬에 종속된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리듬에 큰 역할을 부여했다. 바르톡의 독특한 대표적 리듬의 형태로는 파를란도 루바토 리듬, 엄격리듬, 부점리듬, 불가리아 리듬, 교차리듬, 복합리듬, 오스티나토 리듬 등이 있다. 바르톡 피아노 소나타 Op.26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리듬을 보여주었으며 리듬의 분석만으로도 곡의 특징과 구조를 해석,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바르톡 소나타 Op.26에 사용된 리듬은 바르톡의 다른 작품들에도 반영되므로 본 논문을 통해 바르톡의 다른 작품들을 다루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20세기 음악의 리듬적인 이해에 한 발 다가서길 바란다.

      • Rhythm의 本質과 發生過程에 對한 考察

        황병일 朝鮮大學校 大學院 197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rhythm, as well as the melody and the harmony, is one of the most indispensable elements for music. In this respect, this thesis primarily aims at tracing the rhythm to its origin and Involves some considerations over its development process . The condition and process. under which the rhythm is come Into being as a music, are also studied In some detail in this paper. 1) In a broad meaning, the rhythm might be described as phenomena of nature having Periodicities or Physiological phenomena like pulses. In a narrow meaning, however as a psychological phenomenon arised with some stimuli . Unless there is an intended control by a physiological structure of our nervous tissues designed to maintain the normal cycle rhythm moves inevitably according to our rhythm impulses. 2) The rhythm finds its origin to the physical motions by primitive instincts of our ancestors, and hence almost of all the present Poetry, songs and musical performances can derive themsslf from them a) The motion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vis., "expansion type " and " closeness type'. In the former, because of Its intensive Passionate, and centrifugal gesture, the melody follows disjunct motion and the rhythm goes quite freely, impressively, while, in the letter, owing to its mild, quiet, and dentripetal gesture, the melody follows conjunct motion. b) In the primitive society, a large part of the living motions were the repititions of regular activities. and then these were developed into two rhythm type according to the following motion types namely, expansion type and closeness type, which the former Is an advanced type of living motion of the shooting and Hunting race, and the latter is that of the farming race. c) The difference between the rhythms of male and female is, except the differences caused by their congenital sensibilities to life fundamentally attributable to each social states or assignment. The work field of female's generally involves monotonous and regular labour, precisely, rhythmical labour in contrast to the male's. In this connection, the L.Mayer data indicates that regular rhythm holds the share of 29.5% in male songs and 56.4% in female songs. d) The rhythm of children in the primitive age was mostly built up of binary time which is simpler than any other rhythms. Moreover being influenced greatly by their mothers, the rhythm of children might be a1so characterized as a regular rhythm of the female 3) The accent is the chief ingredient in the rhythm construction. The clapping might be an original from of the rhythm and they played on a musical instrument in accordance with the strength of sounds from claps. And this was the origin of the percussion instruments, by which the regular rhythm keeping aocents has been developed since then. 4 ) The rhythm, however, are not identical in all musical instruments, That i s because various from of rhythms have been developed as each musical instrument has its own organization or execution. For example, aach rhythmic phenomenon among the vocal music , the rubbed string- instrument, and the struck string-instrument is somewhat different from another. 5 ) The ancient Greeks treated the music and poetry identically . And the word, metre, are derived from the length of word - syllables. In the rhythmic point of view a song also can be divided in to the recitative of the metre and the arioso of regular rhythm. 6 ) With the appearance of notations , the primitive rhythm has developed into the artificial rhythm. The new music developing now rill have to meet with many difficulties in the future, for this artificial rhythm is limited by the time signature measure line.

      • 피트니스 트래커를 이용해 수집한 신체활동 데이터의 circadian rhythm 기반 시각화 제안 : 식도암 환자의 수술 전후 활동 데이터를 토대로

        손주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피트니스 트래커를 이용해 수집한 신체활동 데이터를 활용해 circadian rhythm 기반의 새로운 시각화를 제안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우선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피트니스 트래커 중 Fitbit 기기를 이용하여 활동 및 수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circadian rhythm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식도암 환자는 (다른 암종에 비해) 수술 후 circadian rhythm의 변화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고, 그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대부분의 식도암 환자는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활동량이 감소하고, 수면의 질이 저하되면서 circadian rhythm의 변화가 확연히 나타났다. 이 circadian rhythm의 교란은 병원에 입원한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낯선 병원 환경과 통증 때문에 수면 중에 종종 깨어나는 등 수면의 질이 저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술 전후 변화된 circadian rhythm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시각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중의 피트니스 트래커에서 제공하는 신체활동 데이터의 시각화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기존 시각화 사례의 문제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circadian rhythm의 변화를 표현하고, 환자의 수술 전후 데이터를 비교할 새로운 시각화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확립할 수 있었다. circadian rhythm을 표현하기 위해 시간을 직선적이 아닌 순환적인 개념으로 보고 24시간 시계형으로 구성하였으며, 두 개 이상 시점을 비교하기 위해 시각화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직접 구현하였다. 또한 새롭게 구성한 시각화의 적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 시각화와 비교하는 설문 및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Our ultimate goal was to present a new visualization based on circadian rhythm using physical activity data collected using fitness tracker. First, we evaluated the changes of circadian rhythm in the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who underwent esophagectomy and had difficulty in normal eating. We hypothesized that the postoperative periodic rhythm in these patients would significantly change as compared to patients with other carcinomas. In fact, most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showed a decrease in postoperative activity and a change in circadian rhythm as the quality of sleep decreased compared to before surgery. This circadian rhythm disturbance is common in hospitalized patients. Due to the unfamiliar hospital environment and pain, the quality of sleep frequently worsens, including frequent waking up during sleep, which also affects daytime activity and changes the circadian rhythm. Next, we conducted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circadian rhythm that changed before and after surgery. On a review of the problems of visualization data available through the use of existing wearable devices, we were able to express the change of circadian rhythm and establish a guideline for a new visualization to compare patient 's data before and after surgery. In order to visulize the changes of daily rhythm and sleep patterns, time was represented as a circular rather than linear, and the visualization was implemented as a programming language (python). In addition, we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to compare the existing visualizations with the new visualization.

      • Determinants of successful gamma entrainment using flickering light stimulation in human

        박예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6

        Background and Objectives: Although gamma entrainment using flickering light stimulus (FLS) of 40Hz was effective in reducing pathologies and enhancing cognitive function in mouse models of Alzheimer’s disease (AD), its efficacy was controversial in AD patients. The conflicting results in AD patients may be attributable to a couple of key factors. First, the optimal parameters of FLS for gamma entrainment may be different between diurnal humans and nocturnal mice. Second, the response to optimal FLS may be different between AD patients due to inter-individual difference in the microstructural integrity of white matter (WM) tracts.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optimal parameters (color, luminal intensity and flickering frequency) of FLS for entraining gamma rhythms in diurnal human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fractional anisotropy (FA) of WM tracts on the entrainment and propagation of gamma rhythms. Methods: We first investigated the optimal color (white, red, green, and blue), luminal intensity (10 cd/m2, 100 cd/m2, 400 cd/m2, and 700 cd/m2), and frequency (32 - 50 Hz) of FLS for entraining gamma rhythms in visual cortex using 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event-related synchronization (ERD/ERS) and for propagating gamma rhythm entrained in visual cortex to other brain regions using spectral Granger Causality (sGC) in 16 cognitively normal young adults (24.0 ± 3.7 yrs) and 35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70.0 ± 2.4 yrs). We also examined the adverse effects of FLS in both younger and older adults. Then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FA of posterior thalamic radiations on the ERS of gamma rhythms entrained in visual cortex and that of and middle and 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i on the sGC of the connectivity from visual cortex to temporal and frontal regions in 26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FLSs using the lights of longer wavelengths such as white (p < 0.05) and red (p < 0.01) entrained and propagated gamma rhythms better than those of shorter wavelengths such as green and blue. The FLSs using stronger lights such as 700 cd/m2 (p < 0.001) and 400 cd/m2 (p < 0.01) entrained and propagated gamma rhythms better than weaker lights of 100 cd/m2 and 10 cd/m2. The FLSs flickering at 34-38 Hz were best for entraining and propagating gamma rhythm in younger adults (entrainment at Pz: p < 0.05, propagation: p < 0.05) while those flickering at 32-34 Hz were best for older adults (entrainment at Pz: p < 0.05, propagation: p < 0.001). In older adults, white FLSs of 700 cd/m2 flickering at 32–34 Hz entrained the gamma rhythms most strongly at visual cortex (p < 0.05) and propagated them most widely to other brain regions (p < 0.05). The FLSs of 700 cd/m2 flickering at 32 Hz entrained gamma rhythms worse in the visual cortex of the older adults whose FA of left posterior thalamic radiation was low than in those whose FA of left posterior thalamic radiation was not low (p < 0.05). In addition, the sGC of gamma rhythms from visual cortex to temporal and frontal region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A of middle and 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i (p < 0.05). Younger adults showed more adverse effects to the FLSs of longer wavelengths (white and red) and stronger luminal intensity (700 cd/m2) compared to those with shorter wavelengths and weaker lumina intensities respectively (p < 0.05 for wavelength and p < 0.01 for luminal intensity). However, older adults showed comparable adverse effects between 700 cd/m2 and 400 cd/m2 and between white and red FLSs (p > 0.05), and their severity of adverse effects was milder than that in younger adults. Conclusion: In diurnal human, optimal flickering frequency for gamma entrainment was about 20% lower than that in nocturnal mice. Although the FLSs of stronger luminal intensity and the longer wavelength may entrain gamma rhythms better, they may result in more and severe adverse effects. In older adults, white or red FLSs of 700 cd/m2 flickering at 32-34 Hz may be optimal for entraining and propagating gamma rhythms. Since gamma rhythms were not properly entrained by optimal FLS in the older adults whose microstructural integrity of the white matter tracts was impaired, the integrity of the white matter tracts involved in the entrainment and propagation of gamma rhythm should be measured and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indication of gamma entrainment using visual stimulation. 연구배경 및 목적: 40Hz 점멸광자극 (flickering light stimulation, FLS)을 사용한 감마뇌파동조는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 모델 쥐에서 병리를 감소시키고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그 효능에 대해 논란이 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상충되는 결과는 몇 가지 주요 요인에 기인할 수 있다. 첫째, 감마뇌파동조를 위한 FLS의 최적 매개변수는 일주 동물인 인간과 야행성 동물인 쥐 간에 다를 수 있다. 둘째, 최적의 FLS에 대한 반응은 백질 (white matter, WM) 섬유 다발 미세 구조적 무결성의 개인 간 차이로 인해 알츠하이머병 환자 간에 다를 수 있다. 이 연구는 일주 동물인 인간에서 감마뇌파를 동반하기 위한 FLS의 최적 매개변수 (색상, 밝기 및 점멸 주파수)를 찾고 감마뇌파의 동반 및 전파에 대한 백질 섬유 다발의 확산비등방성 (fractional anisotropy, FA)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연구방법: 인지기능이 정상인 젊은 성인 16명과 노인 35명을 대상으로, 시각피질에 감마뇌파동조를 유도하고, 동조 된 시각피질의 감마뇌파를 다른 뇌 영역으로의 전파시킬 수 있는 FLS의 최적 색상 (백색, 적색, 녹색 및 청색), 밝기 (10 cd/m2, 100 cd/m2, 400 cd/m2 및 700 cd/m2) 및 점멸 주파수 (32-50 Hz)를 사건 관련 비 동기화/사건 관련 동기화 (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event-related synchronization, ERD/ERS)와 스펙트럼 그랜저 인과성 (spectral Granger Causality, sGC)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했다. 아울러 젊은 성인과 노인에서 FLS의 부작용을 조사했다. 이어서 감마뇌파가 FLS에 의해 시각피질에 적절하게 동조 된 인지기능이 정상인 노인 26명을 대상으로, 시각피질에서 동조 된 감마뇌파의 ERS와 시각피질과 측두 및 전두 영역들 간 연결성인 sGC에 후방시상방사와 중간 및 상부 세로다발들의 확산비등방성이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과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했다. 연구결과: 사람에서는 백색 (p < 0.05) 및 적색 (p < 0.01)과 같은 장파장 FLS가 녹색 및 청색과 같은 단파장 FLS보다 감마뇌파동조를 더 강하게 유발하고, 동조 된 감마뇌파를 더 넓은 뇌 영역으로 전파시켰다. 또 700 cd/m2 (p < 0.001) 및 400 cd/m2 (p < 0.01)와 같은 강한 휘도 FLS는 100 cd/m2 및 10 cd/m2와 같은 약한 휘도 FLS보다 감마뇌파동조를 더 강하게 유발하고, 동조 된 감마뇌파를 더 넓은 뇌 영역으로 전파시켰다. 34-38 Hz에서 점멸하는 FLS는 젊은 성인에서 감마뇌파를 동반하고 전파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었고 (Pz에서 동반: p < 0.05, 전파: p < 0.05) 32-34 Hz에서 점멸하는 FLS는 노인에게 가장 효과적이었다 (Pz에서 동반: p < 0.05, 전파: p < 0.001). 노인에서 32-34 Hz에서 점멸하는 700 cd/m2의 백색 FLS는 시각 피질에서 가장 강하게 감마뇌파를 동반하고 (p < 0.05) 다른 뇌 영역으로 가장 널리 전파했다 (p < 0.05). 32 Hz에서 점멸하는 700 cd/m2의 FLS는 좌후시상방사선의 FA가 낮지 않은 노인보다 낮은 노인에서 감마뇌파가 시각피질에 덜 동반된다 (p < 0.05). 또한, 시각 피질에서 측두엽 및 전두엽 영역으로의 감마뇌파 sGC는 중간 및 상부 세로 다발의 FA와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p < 0.05). 젊은 성인은 더 짧은 파장과 더 약한 강도를 가진 FLS에 비하여 더 긴 파장 (백색과 적색)과 더 강한 휘도 (700 cd/m2)의 FLS에 더 많은 부작용을 보였다 (파장 p < 0.05 및 휘도 p < 0.01). 그러나 노인은 700 cd/m2에서 400 cd/m2 사이, 백색과 적색 FLS 사이에서 유사한 수준의 부작용을 보였고 (p > 0.05), 부작용의 심각성은 젊은 성인보다 경미했다. 결론: 주행성인 인간에서 감마 동조를 위한 최적의 점멸 주파수는 야행성 쥐보다 약 20% 낮았다. 더 강한 휘도와 더 긴 파장의 FLS가 감마뇌파를 더 잘 동조 시킬 수 있지만 더 크고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노인의 경우 32-34 Hz에서 점멸하는 700 cd/m2의 백색 또는 적색 FLS가 감마뇌파를 동조하고 전파하는 데 최적일 수 있다. 감마뇌파는 백질 섬유 다발의 미세 구조적 무결성이 손상된 노인에서는 최적의 FLS에 의해 적절하게 동조 되지 않았기 때문에, 감마뇌파의 동조 및 전파와 관련된 백질 영역의 무결성은 시각적 자극을 사용하여 감마뇌파동조 적용을 결정할 때 측정되고 고려되어야 한다.

      • 빠른 교대근무 간호사의 Circadian rhythm 변화와 건강수준에 대한 연구

        김명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박사

        RANK : 247806

        교대근무자는 낮과 밤 주기의 변화로 인해 circadian rhythm의 변화를 경험한다. 교대근무와 관련된 주된 문제인 리듬의 교란과 더불어 교대근무와 관련이 되는 또 다른 문제는 주관적인 건강과 객관적인 건강의 손상이다. 이때 교대체계에 따라 리듬과 건강수준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데, 그중 빠른 교대체계에서 간호사를 대상으로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간호사의 건강문제가 간호사 자신은 물론이고, 환자와 병원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교대근무가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교대체계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교대번에 따른 circadian rhythm 및 건강수준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1991년 5월 30일부터 6월 30일까지 1개월간 C 시에 있는 C 대학병원에서 교대근무하는 평간호사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일에서 3일 단위로 낮번, 초번, 밤번이 불규칙하게 교대되는 빠른 교대근무체계에서 연구대상자의 체온, 맥박, 활동성, 기분 리듬을 30일 중 7일간의 휴일을 제외한 나머지 23일 동안 1일 6-7회 측정하였으며 매일 피로도와 요배설량 및 요전해질과 호르몬을 측정하였다. 체온의 측정은 전자 구강체온계를 이용하였으며, 활동성 척도는 Thayer (1967)의 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 List를, 기분은 Mansour (1984)가 개발한 Mood Adjective Check List를 사용하였다. 피로도는 피로자각 증상표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요표본에 대해서 cortisol, 항이뇨호르몬, 요량, creatinine, Na^+, K^+, 삼투질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리듬변수에 대해서는 Cosinor Method를, 교대번에 따른 리듬, 피로도의 차이는 ANOVA를, 호르몬 및 신장기능은 paired t-test와 unpaired t-test를, 리듬과 건강수준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대근무 간호사의 교대번에 따른 circadian rhythm,의 변화에서 체온의 평균, 진폭, 최고시기에 있어서 교대번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맥박과 활동성의 진폭( f=5.57, p=.01 ; f=4.87, p=.01 )과 최고시기( f=3.58, p=.04 ; f=23.72, p=.001 )는 교대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밤번의 진폭이 가장 낮고, 최고시기도 지연되었다. 행복 기분의 진폭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기분의 최고시기는 교대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13.83, p=.0001 ; f=6.91, p=.002 ; f=5.23, p=.006 ; f=12.57, p=.0001 ). 2. 교대근무 간호사의 교대근무에 따른 건강수준의 변화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의 지표인 피로도는 밤번이 가장 높았다( f=23.03, p=.0001 ). 객관적 건강지표인 교대근무 간호사의 호르몬 분비에 있어서 요중 cortisol의 배설은 낮번의 경우 활동시에 더 많았고, 밤번의 경우 휴식시인 낮에 증가하였다. 항이뇨호르몬의 배설량은 교대번에 관계없이 낮에는 배설량이 감소하고 밤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장의 기능변화 중 요량은 낮번과 밤번 모두 활동시에 감소하였으며, creatinine 배설량은 교대번 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요중 K^+ 배설량은 낮번과 밤번 모두 활동시에 증가하고 휴식시에 감소하였다. 요삼투질 농도는 낮번과 밤번에서 모두 활동시에 증가하였다. 3. 교대근무 간호사의 circadian rhythm과 건강수준과의 관계에서 체온리듬이 안정될수록 피로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r=-.22, p<.05 ), 맥박 리듬은 신장기능과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r=-.17 ~ -.10, p<.05 ) 기분의 행복 차원과 사회적 차원이 각각 신장기능과 유의한 관계가 있어, 기분의 리듬이 안정될수록 신장의 배설기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장기능이 양호할수록 피로를 적게 호소하였다( r=-.27 ~ -.19, p<.05 ), 이상의 결과에서 빠른 교대체계에서의 밤근무는 간호사의 circadian rhythm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키고, 간호사의 주관적 건강수준을 저하시키며 신장기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간호사들의 주호소인 피로가 리듬성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리듬성 정도와 신장 기능과의 관련성도 제기되어 이 부분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는 빠른 교대체계에서 교대번에 따른 리듬의 변화와 건강수준을 파악해 보는데 의의가 있으며 교대근무가 간호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Shiftworkers experience the changes of circadian rhythm arising out of periodic changes of day and night. Shiftwork brings forth a disturbance of normal circadian rhythm and an impairment of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The impact of shiftwork on the nurses’s circadian rhythm and health level, in spite of its importance, has rarely examin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circadian rhythm and health level of shiftwork nurses under the rapidly rotating shiftwork schedule. For this study 18 shiftwork nurses working in ‘c’ university hospital in ‘c’ city from May 30 to June 30, 1991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Temperature, pulse rate, level of activation, mood were measured 6 to 7 times per day for 30 days excluding 7 holidays. For temperature an oral clinical thermometer was used, for activation level the Thayer’s (1967) Activation-Deactivation Adjective Check List was applied, and for mood the Mansour’s (1984). Mood Adjective Check List was applied. The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was used to measure fatigue level. Urine was collected for measuring excreted amount of cortisol, antidiuretic hormone, and the volume, eletrolytes, and osmolarlity of urine.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Cosinor method were used for circadian rhythm variations, and differences of rhythm parameters by shift were tested by ANOVA. Hormone, and renal function during acting time and rest time were tested by paired t-test. In addition, the pearson correlation was us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hythm and health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sinor parameters of temparature rhythm of shiftworks were found. The amplitude and acrophase in their pulse rate and activation level were changed. The amplitude was the lowest and acrophase was delayed during the night shift. The amplitude of happiness mood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shift( f=5.94, p=.005 ). The acrophase of mood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iftworks. 2. The degree of fatigue which represents subjective health level was the highest in their night shift( f=23.03, p=.0001 ). The excreted amount of cortisol was higher during acting time in the day shift, but it increased during rest time in the night shift. The excreted amount of antidiuretic hormone was decreased during the day and increased during the night irrespective of their shift. Urine volume was reduced during acting time irrespective of night or day shift. The excreted amount of creatinine did no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iftworks. The excreted amount of K^+ in urin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acting time and decreased during resting time for both day and night shift. Urine osmolarlity increased during acting time and decreased during rest time for both day and night shift. 3.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level and cardian rhythm revealed that the degree of fatigue was in terms of the stability of temperature rhythm city( r=-.22, p<.05 ). Pulse rate rhythm was in negative correlation with renal function( r=-.17 ~ -.10, p<.05 ). As Happiness and Social mood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nal function, the stabler the mood rhythm was, the better the renal function. The better the renal function was, the less the complaint of fatigue( r=-.27 ~ -.19, p<.05 ). This study reveals that the circadian rhythm is changed and that subjective health leves is decreased in the night shift nurses. It also informs that fatigue, the nurse’s main complaint, is related to circadian rhythm. It opens a ques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circadian rhythm and renal function. This study, I expect, will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shiftwork effect on the health of nurses under the rapidly rotating shiftwork schedule.

      • Estimation of Core Body Temperature Circadian Rhythm Based on Heart Rate Variability

        Yu Hyeji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6

        Life on the earth lives under the influence of light, which organizes in a biological rhythm with a cycle of approximately 24 hours, called the circadian rhythm. It shows the brain being controlled by various element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including light, and the resulting physiological changes [1]. Representative patterns include important life-sustaining activities such as heart rate (HR) and body temperature changes, sleep-wake cycle, and hormone production and secretion. When abnormal, that rhythm causes diseases such as insomnia, chronic fatigue, and depress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normal and regular circadian rhythm in order to lead a healthy and comfortable life. Typically, human circadian rhythm was evaluated with melatonin and core body temperature (CBT) in a light environment created in a laboratory. But inaccurate signals are frequently used due to the inconvenience of measurement. To overcome this limitation, much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in comparison and estimation of circadian rhythm between two representative biological indicators as a gold reference and various heart rate variability (HRV) signals obtained from human HR, and is showing significant results. However, in several studies targeting human subjects, the difficulty in accurately measuring the reference index is obvious, so even the proper estimation results using the proposed index, HRV, lacks validity as an index for evaluating circadian rhythm.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estimated the CBT circadian rhythm of various HRV variables obtained through implantable devices targeting animals in which it is easy to obtain accurate biological signals. A total of 11 variables showed appropriate estimation results in both normal and abnormal light conditions, and the circadian characteristics were clearly reflected in the periodicity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be proposed as a basis for supplementing the significance between indicators that are lacking in human research. In addition, since several HRV indices, which play a large role in estimating circadian rhythm, were derive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into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was confirmed. 지구 상의 모든 생명체는 빛의 영향을 받으며 약 24시간 주기의 일주기리듬을 갖는다. 이는 빛을 포함하는 외부 환경의 여러 요소에 활성 및 억제된 뇌와 그에 따른 생리학적 변화를 보여준다. 대표적으로 심박수 및 체온 변화, 수면-각성 주기, 호르몬 생성 및 분비와 같은 중요한 생명 유지 활동이 있으며 비정상 상태일 경우 불면증, 만성 피로, 우울증 등의 질병에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건강하고 편안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일주기리듬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실험실에 빛 환경을 조성하여 멜라토닌 호르몬과 심부 체온 지표로 인간의 일주기 리듬을 평가하지만 측정의 불편함으로 인해 부정확한 신호가 사용되고 있다. 이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람의 심박수로부터 여러 심박변이도 신호들을 획득하고 대표 생체 지표를 기준으로 삼아 일주기리듬을 비교 및 추정해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유의미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인간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에서 기준 지표의 정확한 측정의 어려움은 명백하여 제안된 지표인 심박변이도를 활용한 우수한 추정 결과에도 일주기리듬 평가 지표로서의 타당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생체 신호를 얻기에 용이한 동물을 대상으로 이식형 장치를 통해 획득한 신호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심박변이도 변수들의 심부체온 일주기리듬 비교 및 추정을 수행하였다. 총 11개의 변수는 정상 및 비정상 빛 환경 내에서 모두 우수한 추정 결과를 보였으며 주기성 분석에서도 일주기 특성이 뚜렷하게 반영되어 나타났다. 이는 인간 대상의 연구에서 부족한 지표간 유의성을 보완하는 근거로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일주기 리듬 추정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몇 가지 심박변이도 지표들이 도출되었으므로 이에 대해 평가 지표 개발 연구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사물놀이의 장단(長短)분석

        정세윤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805

        At the present point of time when the traditional music of Korea is newly recognized, this study analyzed Korean traditional rhythm played in Samulnori (Played with four musical instruments). Samulnori, formed recently, doesn't have enough theoretical basi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amulnori theroetically through analyzing the rhythm. Above all, we examine the history of samulnori. Then we present and analyze the actual rhythm in the western notation. The summary of the content is as follow : Samulnori is the of a play-group mode by Love of Space, Seoul in February, 1978. The first members were Kim Teok-Soo, Kim Yong-Bae, Choi Tae-Hyeon, Lee Jong-Dae. According as the members are changed into Kim Teok-Soo, Kim Yong-Bae, Choi Jong-Sil, Lee Kwang-Soo in 1979, it has leaped to the level of world music and the name has been fixed as a popular name in music. In 1983, many groups began to play Samulnori. Sarnulnori is a music playing only rhythm with four instruments, Jangu (Doub1e-headed drum), Puk (bass drum), Jing (gong), Kkwaengwari (small gong) indoors or outdoors. The rhythm analyzed in this thesis are kilgunak, Pangilgunak, Pyeoldalguri, Ssangzinpuri, Teotboigi in Yeongtiam farm music, Ochajilgut, Jwajigut, Ujilgut, Kutguri, Jazunmori in Honamudogut, and seven-chae, six-chae, whimori rhythm in Utdori Pungmul. In Kilgunak, the Former six measures are three-beat rhythm regarding □ as one beat and the latter six ones are six-beat rhythm regarding two measures as one rhythm Pangilgunak is a complex rhythm regarding two-beat and three-beat as one rhythm (□□□□) InPyeoldalguri, fdur beatsare one measure and four measures are one rhythm. In Ssangzinpuri and Teotboigi, four beats are one measure and two measures are one rhythm. Ochajilgut is a rhythm in the order of ten-beat, twelve-beat, ten-beat, six-beat, nine-beat regarding □ as one beat. Ujilgut is a complex rhythm of five-beat and six-beat and in Jwajilgut, four measure with five-beat are one rhythm. In Kutguri, four beats are one rhythm but the rhythm is changeable. Jazunmori has four beats as one measure and one measure or two as one rhythm. Seven-Chae has 5 + 5 + 6 + 5 + 5 + 10 beat rhythm regarding □ as one beat. Finally, Whimori has fast four-beat rhythm From the above study, we can get some conclusion. First, the rhythm of Samulnori divides one beat into two or three and is various with complex beat. Second, the rhythm has tension and relaxation by strong-weak change and irregular progression. Finally, Samulnori can always create new rhythm due to the variation of the rhythm with the pecuriarity of each musical instrument.

      • 지영희류 해금산조 리듬에 관한 연구 : 중중모리를 중심으로

        이동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5

        산조는 1890년경 가야금 산조가 처음으로 생겨나면서 발달한 음악으로 연주자의 고도의 기량뿐만 아니라 음악적 능력이 요구되는 음악이다. 현재 전하는 해금산조는 지영희류 해금산조를 비롯하여 한범수류, 서용석류, 김영재류 해금산조가 있으며, 이들 산조는 장단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이런 연관성과는 달리 장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논문은 대표적인 해금산조의 류파인 지영희류 해금산조 중중모리 장단의 리듬형태를 중중모리 한 장단단위 리듬형태, 중중모리 한박(beat)의 리듬형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가. 중중모리 한 장단단위 리듬형태 분석 나. 중중모리 한박(beat)의 리듬형태유형 1. 3분(소)박의 리듬꼴 2. 2분(소)박의 리듬꼴 3. 혼합박의 리듬꼴 4. 지영희류 중중모리와 김영재류 중중모리의 리듬형태분석 이상의 연구과정을 거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중모리 한 장단의 리듬형태를 3분(소)박 형태, 2분(소)박 형태 그리고 3분(소)박과 2분(소)박이 함께 섞여 있는 혼합박 형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형태에서 출현하는 장단과 출현횟수, 출현빈도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영희류 중중모리 장단의 리듬형태는 전형적인 중중모리의 리듬형태인 3분(소)박이 9회 출현한 것에 비해 2분(소)박의 리듬형태가 17회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총 36개의 장단 중 17개 장단에서 사용된 것으로 그 사용 빈도는 47.26%나 된다. 이렇듯 중중모리 장단에서 2분(소)박의 리듬형태가 빈번히 이루어진 것은 지영희류 중중모리 리듬형태 분석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지영희류 중중모리 리듬형태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지영희류 중중모리에서는 한 장단의 리듬형태에서 한 박(beat)의 여러 가지 리듬꼴을 통하여 음악적인 다양성과 표현을 하고 있는데, 3분(소)박의 리듬꼴과 2분(소)박의 리듬꼴의 출현횟수와 빈도수를 표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 장단 안에서 사용되는 한박(beat)의 리듬꼴은 중중모리 전체에서 총 22개가 나타나고 있으며, 많은 출현횟수를 나타내는 첫 번째 순위부터 3번째 순위까지의 리듬꼴이 2분(소)박의 리듬꼴이라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전체 36장단에서 2분(소)박의 리듬꼴은 총 129개로 70%를 차지하는 반면 3분(소)박의 리듬꼴은 총 59개로 30%만 사용되고 있다. 이는 중중모리의 전형적인 리듬꼴인 3분(소)박 리듬꼴보다도 2분(소)박의 리듬꼴의 사용이 많음을 알 수 있는데, 2분(소)박의 리듬꼴 사용은 중중모리의 음악적 진행에 있어 강약의 변화를 가져와 긴장과 이완의 효과를 주며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가져온다. Sanjo has been developed since Kayagum Sanjo was created in 1890s. It is extraordinary music which requires technique as well as natural ability. Ji Yeounghee type , Han Bumsoo type, S대 Yeongsuk type, Kim Yeongjae type have survived. There is strong correlation between Sanjo and jangdan(beat), therefore the research concerning Ji Yeoung hee type Jungjungmori is representative of Haegumsanjo, and it is divided into one beat. Ga. The analysis of Rhythm Patterns in one beat of Jungjungmori Na. The type of Rhythm in one beat of Jungjungmori 1. triplet Rhythm 2. Straight Rhythm 3. Mixed Rhythm 4. Analysis of rhythm Pattern Ji,Young hee type Jungjungmori and Kim,Youngje type .Jungjungmori. The result is as below. First, It has been divided into three types- triplet type, straight type and mixed, with triplet and straight type. The table below outlines the types, the rhythms, the occurrence and the rate. typerhythm patternoccurrencerate(%)triplet rhythm1, 2, 3, 19, 25, 26, 28, 33, 36925.02%straight rhythm7,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21, 22, 24, 30, 34, 351747.26%mixed rhythm4, 5, 6, 8, 20, 23, 27, 29, 31, 321027.8 The triplet rhythm has been used 9 times: on the other hand, the straight rhythm has been used 17 times making it the most popular type in this music. This shows that the straight rhythms are more frequently used. It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figures as well as distinctive features of Ji Young hee type Jungjungmori. Second, The rhythm pattern in Ji, young hee type Jungjungmori has expressed various feelings through a variety of rhythms. The table shows the occurrence and rate of triplet rhythms and straight rhythms. typetriplet rhythmoccurrencerate(%)typestraight rhythmoccurrencerate(%)1168.4813719.612136.8923418.02394.7732814.84452.654115.83531.59584.24631.59652.65721.06742.12821.06810.53921.06910.531010.531110.531210.531310.53total5930total12970 There are 22 types of rhythms in all Jungjungmori, and the most used rhythms are the first three straight rhythms. In total, the straight rhythms occurred 129 times, of which 70% are used. The triplet rhythms occurred 59 times, of which only 30% are used. This also represents that straight rhythms are used more often than triplet rhythms, which are the typical rhythm type of Jungjungmori. The straight rhythms bring the change of strength and weakness to Jungjungmori which enables the composer to express a variety of feelings. Take a look at and , which occurs regularly in the piece, on the other hand ,,,,, occurs only once. By using a variety of rhythms of rhythms, Jungjungmori can express a wide range of various emotions.

      • 회복실내 Healing Rhythm 적용이 정형외과 수술환자의 진정 효과에 관한 연구

        임화정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5

        이 연구는 정형외과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회복실에서 Healing Rhythm을 적용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이다. 연구 대상은 전신마취 하에 수술시간이 1시간 이내인 정형외과 수술을 받는 의사소통이 가능한 만 20세에서 60세 미만의 성인으로 자료 수집은 2019년 6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시행하였다. 대상자 표본 크기는 G-power 3.1.9프로그램으로 F-test에서 집단 수는 세 집단으로 하였고 효과크기는 .175, α값은 .05, 검정력1−β는 .90, 측정횟수 7, 반복측정 변수간 상관계수 0.3으로 계산 하였으며, 최종연구 대상자는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자로 실험군 27명, 위약군 27명, 대조군 25명으로 총 79명 이었다. 자료 수집 전 E대학병원의 기관윤리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승인(EMC 2019-04-019)을 받고 관련기관 및 부서의 동의를 받았다. 수술이 종료된 후 회복실 입실직후 사전측정으로 주관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지수, BIS Index, 혈압, 심박동수를 측정하였으며 실험처치로 실험군은 대상자의 안정시 사전 심박동수를 확인하여 사전 평균 심박동수 및 음파와 동일한 BPM의 Healing Rhythm을 헤드폰을 통해 30분간 40데시벨의 볼륨으로 적용 하였고, 위약군은 클래식 음악인 녹턴 Op.9-1을 선택하여 헤드폰을 통해 30분간 40데시벨의 볼륨으로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스트레스 반응은 주관적 스트레스와 객관적 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주관적 스트레스는 시각적상사척도인 VAS로 측정하였고, 객관적 스트레스는 자율신경계 측정 장치인 Canopy9 professional 4.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IS Index는 Bispectral Index System monitor와 Sensor를 통해 진정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활력징후는 혈압과 심박동수를 측정하였다. 혈압은 Pationt Monitor Philps50을 이용하여 5분마다 자동측정 하였고, 심박동수는 Pationt Monitor Philps50을 이용하여 자동측정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빈도, 실수와 백분율로 분석하고 세 군간의 동질성 검증은 x²-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세 군간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은 ANOVA로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BIS, 활력징후에 대한 차이검정은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분석은 Scheffe로 검정하였다. 반복측정 자료 분석을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비교하였고, 집단과 시간의 교호작용 효과크기는 부분 에타제곱(partial η²)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처치 전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검증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성이 확보되었으며, 실험처치 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제1 가설 중 제1 부가설 “Healing Rhythm을 적용한 실험군 이완음악(Sedative)을 적용한 위약군, 대조군간의 주관적 스트레스 반응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57.780, p<.001). 2) 제 1가설 중 제 2 부가설 “Healing Rhythm을 적용한 실험군 이완음악(Sedative)을 적용한 위약군, 대조군간의 객관적 스트레스 반응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5.411, p<.001). 3) 제 2가설 “Healing Rhythm을 적용한 실험군 이완음악(Sedative)을 적용한 위약군, 대조군간의 BIS Index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2.457, p=.006). 4) 제 3가설 중 제 1부가설 “Healing Rhythm을 적용한 실험군 이완음악(Sedative)을 적용한 위약군, 대조군간의 수축기 혈압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F=0.633, p=.812). 5) 제 3 가설 중 제 2 부가설“Healing Rhythm을 적용한 실험군 이완음악(Sedative)을 적용한 위약군, 대조군간의 이완기 혈압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F=0.917, p=.532). 6) 제 3 가설 중 제 3 부가설 “Healing Rhythm을 적용한 실험군 이완음악(Sedative)을 적용한 위약군, 대조군간의 심박동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F=1.881, p=.041). 이러한 결과로 보면 Healing Rhythm은 스트레스 점수, 스트레스 지수, BIS Index, 심박동수는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트레스 점수와 스트레스 지수, BIS Index는 실험처치 10분 후부터 30분 후까지 지속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atient has fear of the operation itself and feels anxiety and stres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ects of subjective stress, objective stress, BIS Index, and vital signs on orthopedic surgery patients by applying Healing Rhythm with Beat and Rhythm equal to their pre-stable heart rate in the recovery room. The study design was randomized control trial.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0 to 60 years of age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of patients in D City E University Hospital, who underwent general anesthesia for less than 1 hour. 27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27 in the placebo group and 25 in the control group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x²-test and ANOVA, and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of the experimental group, placebo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homogenous. Subjective stress response (F = 57.780, p <.001), objective stress response (F = 5.411, p <.001), and BIS Index (F = 2.457, p = .006), and heart rate (F = 1.881, p = .04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ystolic blood pressure (F = 0.633, p = .812)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F = 0.917, p = .53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viding Healing Rhythm in the recovery room is effective in reducing subjective stress, objective stress and stabilizing the BIS Index. Healing Rhythm can be used as an a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stress reduction and sedation of surgical patients.

      • Korean high school learners' English rhythm and comprehensibility

        문예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5

        Since English has attained an important role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a number of diverse global dialects have become recognized. Thi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rea of English pronunciation acquisition as the goal to be achieved is being changing with the major focus now shifting from phonemic level targets to the overall intelligibility. Understanding the suprasegmental rules appears central to this new goal, with particular mention given to stress and rhythm as the important elements. Yet, Korean learners are subject to make inappropriate rhythm units opposed to the nature of English rhythm, in that Korean belongs to syllable timing and English to stress-timing.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posed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a) are there differences in speech rhythm between the Korean EFL learners and the native speakers of English?; (b) are there differences in speech rhythm between the more proficient and the less proficient learners?; (c) does Korean EFL learners’ sentence stress affect native speakers’ comprehensibility of speech rhythm? The two main experiments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mplemented with a total of 21 Korean EFL high school students and 3 native speakers. The first experiment was divided into the two sub-tests: the one was to investigate the speech rhythm comparing the score of nPVI-V and nFPVI between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and the other was to apply the same metrics measuring two 6 more proficient groups against 15 less proficient groups to manifest the different effects based on the proficiency level. The comprehensibility test was conducted by 3 native speakers in order to assess how much the learners’ speech rhythm affects the native speakers’ comprehensibility.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Korean learners did not seem to use a stress pattern to achieve the English rhyth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results of the nPVI-V scores between the non-native and the native speakers. One argument yet to be discussed was the fact that nFPVI did not seem to support the typology of two different languages in terms of the rhythm unit.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the regular occurrence of stressed and unstressed syllables in English, a foot unit is supposed to generate an English isochrony. In this respect, the native speakers were expected to have the lower scores of nFPVI and the Korean speakers were anticipated to make the higher scores of nFPVI. Nonetheless, the results failed to show the different nFPVI between the two language groups and the two groups of the different proficiency level. Furthermore, the scores of comprehensibility ratings based on the speech rhythm serve to indicate that the speech rhythm might affect the native speakers’ comprehensibilit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Korean learners of English do not appear to make the English speech rhythm when conducting speech performance. These findings present the understandings on the speech rhythm by Korean EFL learners, and contribute to illuminating the importance of stress and the rhythm unit on the pronunciation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