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손연주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21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 및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중재 방안 마련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I 광역시 요양병원 간호사로서 경력 1년 이상, 최근 6개월이내 임종간호를 1회 이상 수행한 간호사를 편의 표출한 127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7월 1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Thorson & Powell(1988)의 Death Orientation 측정 도구를 박춘성(1991)이 번안하고 전재수(2014)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이은자 호스피스 인식 도구를 김명숙 등(2007)이 수정 보안한 도구로 사용하였고 이연옥(2004)의 임종간호 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한 설문지를 통한 자기보고식 서술적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linear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죽음에 대한 태도는 4점 중 평균 2.36점 이었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는 없었다. 2)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은 4점 중 평균 3.25점 이었으며 대상자의 호스피스 필요성에 따라(t=-4.72, p=.000) 차이가 있었다. 3)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5점 중 평균 3.83점 이었으며 호스피스 필요 (t=2.62, p=.010)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4)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임종간호 스트레스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r=.33, p=.000)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호스피스 인식과 임종간호 스트레스(r=.34, p=.000)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다중 회귀분석 결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죽음에 대한 태도(β=.27, p=.000),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β=.25, p=.003)이었고,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F=16.332, p=.001),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수정된 결정계수(Adjusted R Square, Adj R2)는 0.284로 설명력은 28.4%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가 임종간호 수행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죽음에 대한 태도 점수(부정적인 태도)가 높을수록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 점수가 높을 경우 임종간호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죽음의 태도와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이 유의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간호사가 임종간호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요양병원 간호사 대상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인문학 강좌와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을 고무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대처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속적 운영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Thus,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about geriatric nurse toward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terminal care stress interventions. This study is based on a descriptive research and study of 127 geriatric nurses who were exposed to terminal care more than once.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July 1st 2020 to August 31st 2020. This study used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method. This questionnaire was intended to provide measurement of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through a format adjusted, revised and further developed from existing literatures. The collect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egative attitude toward death was 2.36 out of 4 points. Differences do not exi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2) The averag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was 3.25 out of 4 point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need of hospice care(t=-4.72, p=.000). 3) Terminal care stress was 3.83 points out of 5, and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need of hospice care(t=2.62, p=.010). 4) Death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rminal care stress(r=.33, p=.000). 5) Terminal care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r=.31, p=.000), and the need of hospice care(r=-.23, p=.010). 6)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erminal care str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Adj.R2) was 28.4%. Attitude of death((β=.27, p=.000),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β=.25, p=.003)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erminal car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ress experienced by geriatric nurses in terminal ca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ath attitude and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In addition, negative attitude about death and high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increased the degree of terminal care stress. Thus, in order to effectively provide hospice⋅palliative care for dying patient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tinuously manage the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s for geriatric nurses as well as the management program for terminal care stress. In the other hand,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riatric nurses’ death attitude, perception of hospice⋅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stress, hence further researches in this regard would be necessary.

      • 재가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준비 및 호스피스 인식에 영향 미치는 요인

        정유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21

        재가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를 이해하고 죽음준비를 도와 불안감을 감소시켜 심리적 영적 안녕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재가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준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그 영향요인을 규명해서 가정 호스피스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 S병원 가정간호센터에 등록된 가정간호대상 노인과 서울 일개 구와 경기도 일개 시에 거주하는 재가노인으로 인지장애가 없어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수락한 65세 이상 노인으로 가정간호대상노인 100명과 일반노인 100명 총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는 2009년 12월 18일부터 2010년 01월 13일까지 총 27일 동안 연구자와 가정전문간호사, 사회복지사, 호스피스봉사자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구‧사회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준비 및 호스피스 인식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노인의 인구‧사회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는 일반노인 50%, 가정간호대상노인 50%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가 22.5%, 여자가 77.5%, 연령은 75-79세가 29.5%, 학력은 초졸 37.0%, 종교는 천주교가 53.5%, 동거인은 독거노인 30.0%, 생활정도는 보통이 66.5%로 가장 많았다. 건강 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지각된 건강상태는 안 좋은 편이다 51.5%, 질병은 고혈압이 25.2%, 간병도움은 자녀가 63.6%로 가장 많았다. 둘째,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준비, 호스피스 인식을 살펴보면 먼저 죽음에 대한 태도는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노인이 65%로 가장 많았으며, 죽고 싶은 충동을 느낀 노인은 36.5%였다. 죽음준비 중 유언에 대해서는 아직 준비는 하지 않았으나 할 예정인 노인이 37.5%로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에서는 호스피스 간호 필요 시 받고 싶은 의향이 있는 노인은 77%였으며, 호스피스 간호를 가정에서 받고 싶어 하는 노인은 77.9%였다. 셋째, 인구‧사회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준비, 호스피스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죽음에 대한 태도 중 죽음에 대한 생각은 여자노인에서 독거노인, 생계가 곤란한 노인에서 죽음에 대해 자주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준비 중 유언에 대한 생각은 종교가 있는 노인에서 가정간호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에서 유언을 마련했거나 할 예정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 인식에서 호스피스 간호 필요 시 받고 싶은 의향은 가정간호서비스를 받는 노인과 종교가 있는, 지각된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노인 그리고 학력이 높은 노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관련 요인들이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준비 및 호스피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죽음에 대한 생각에서 죽음 생각의 설명력은 전체의 21.5%로, 여자 노인에서 종교가 있는, 생활정도가 어려울수록, 그리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았음을 알 수 있다. 죽음준비에서는 장례유형에서의 장례유형 설명력은 전체의 13.3%로, 생활정도가 풍족한 편일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매장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호스피스 인식에서는 호스피스 간호 필요 시 받고 싶은 의향에서 설명력은 전체의 23.3%로 가정간호 서비스를 받는, 종교가 있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적을수록 호스피스 간호 필요 시 받고 싶은 의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대부분의 노인들은 병원이나 시설보다는 친숙한 가정에서 죽음을 맞이하기를 원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가정 호스피스 간호중재 개발 방안이 되어야 한다. 둘째, 가정 호스피스의 활성화를 위해 다각적인 홍보 및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우리정서에 맞는 노년기의 적합한 죽음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개발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질적 연구를 통해 가정간호대상노인의 심리상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시도 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 대상자는 일부 지역노인과 일개 기관 가정간호센터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2-3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fare by understanding attitude about death of the elderly home residents and reducing a sense of anxiety by helping preparation for death. For this, this is the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hat was attempted with the aim of offering basic data to the home-based hospice program by closely examining the attitude about death, preparation for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for the elderly home residents, and its influential factors. This study targeted totally 200 people with 100 home-based nursing elderly subjects and 100 general old people as the elderly in over 65 years old who are available for communication without the cognitive disorder and who accepted participation with understanding the objective of research, as the home-based nursing elderly subjects who are registered in Home Nursing Center for S hospital in Seoul, and as the elderly home residents who dwell in one ward of Seoul and one city of Gyeonggi Province. As for a survey, a researcher, home-exclusively nurse, social worker, and hospice volunteer carried out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totally 27 days from December 18, 2009 to January 13, 2010.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content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ttitude about death, preparation for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Chi-square Test,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xamin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the research subjects, the subjects accounted for 50% of the general elderly and 50% of the home-based nursing elderly subjects. The gender-based distribution accounted for 22.5% in men and 77.5% in women. Age accounted for 29.5% in 75-79 years old. Academic background accounted for 37.0% in elementary school graduate. Religion accounted for 53.5% in Roman Catholicism. A live-in partner accounted for 30.0% in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living level was the largest with 66.5% in moderate. Examining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the perceived health condition accounted for 51.5% in tending to be not good. Disease accounted for 25.2% in high blood pressure. A care-giver's help was the largest with 63.6% in children. Second, examining attitude about death, preparation for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for the elderly home residents, first of all, the attitude about death was the largest with 65% in the elderly of thinking about death, and accounted for 36.5% in the elderly who felt an impulse of desiring to die. As for the last words out of preparation for death, the elderly were the largest with 37.5% who plan in the face of having not prepared yet. In the perception of hospice, the elderly who have intention of desiring to receive given being necessary for hospice nursing accounted for 77.0%. The elderly who desire to receive hospice nursing at home accounted for 77.9%. Third, examining attitude about death, preparation for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for the elderly home residents according to soci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 thought about death out of attitude about death was indicated to be thought about death often in the female elderly, i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n the elderly with difficulty for livelihood. A thought about the last words out of preparation for death was indica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ith having arranged or planning the last words in the elderly with religion and in the elderly who receive the home-based nursing service. In the perception of hospice, the intention of desiring to receive given being necessary for hospice nurs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lderly who receive home-based nursing service, in the elderly who have religion and don't have good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d in the elderly with high academic background. Fourth, examining attitude about death, preparation for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for the elderly home residents in the demographic‧social factors and health-related factors, a thought about death accounted for 21.5% of the whole in the explanatory power about a thought about death, thereby being able to be known that a thought about death was ever made in the female elderly, in having religion, in the more difficult living level, and in the worse health condition. The explanatory power about funeral type in the funeral type for the preparation for death accounted for 13.3% of the whole, thereby being able to be known that burial is being desired in the more tendency of being rich living level and in the older age. In the intention of desiring to receive given being necessary for hospice nursing in the perception of hospice, the explanatory power accounted for 23.3% of the whole, thereby being able to be known that the more home-based nursing service, the more religion, the higher academic background, and the older age lead to the higher intention of desiring to receive when being necessary for hospice nursing.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aimed to be made. First, most of old people are desiring to face death at a familiar home rather than hospital or the facilities. Accordingly, a plan for developing home-based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that reflected the elderly's characteristics. Second, to vitalize home-based hospice, the development in multidimensional publicity and hospice educational program is needed. Third, i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for developing and verifying measurement tool of attitude about death proper for the declining years in line with our emotion. Fourth, there is necessity for attempting in-depth analysis of psychological state in the home-based nursing elderly subject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Fifth, this study targeted the elderly in some regions and the patients for home nursing center in one institution. Thus, a repetitive research is needed targeting secondary-tertiary medical institution.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인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삶의 의미 비교

        김명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11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인과 참여하지 않은 일반인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삶의 의미를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Y병원에서 실시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교육에 참여한 참여군 32명과 비 참여군 31명으로 총 6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10월부터 12월까지 였다. 연구도구는 김정희(1990)와 이은자(1996)가 사용한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측정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Crumbaugh와 Maholick(1969)이 개발하고 장형석(2001)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삶의 의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호스피스 관련 특성과 동질성 검증을 위해 실수와 백분율, X²-test로 분석하였고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참여군과 비 참여군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삶의 의미를 비교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t-test로 분석하였으며,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삶의 의미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군은 비참여군보다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정도가 더 높았다( t=5.193, p= .000). 2.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군은 비참여군보다 삶의 의미 점수가 더 높았다 (t=3.084, p= .005). 3.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삶의 의미는 순 상관관계가 있었다 (r=.46, p= .01). 본 연구결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군은 비 참여군보다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과 삶의 의미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올바른 제도정착 및 인식을 위해서 호스피스 교육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comparing the perception about hospice and the meaning of life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O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3; 32 people of the participa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held at Y hospital in G city, and 31 people of the non-participant group, and the data collecting period was from October to December, 2006. The data of 63 people was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following method : for participants; the means of the study were explained for adults who applied for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ast day of the education after obtaining their approval, and for non-participants; also explained the means of the study and conducted a survey after obtaining their approval. Two research tools were used, one is the survey tool, which measures the cognition of hospice, that Jung-Hee Kim (1990) and Eun-Ja Lee (1998) put to use and the researcher supplemented; the other is the tool, which measures the cognition of the meaning of life, that Crumbaugh and Maholick (1969) developed and Hyung-Seok Jang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PSS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in collecting data, the actual number, percentage, and X2-test were used for analyzing participants' general and hospice related specialties and verifying homogeneity, and an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for comparing the perception about Hospice and the meaning of life of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fter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and the correlation of the cognition of hospice and the meaning of life was analyzed by the Pearson-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of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had a higher rate of cognition than the non-participants (t=5.193, p=.000). 2. The participants of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had a higher score of the meaning of life than non-participants (t=3.084, p=.005). 3. The cognition of hospice and the meaning of life had a fair correlation (r=.46, p=.01). These results confirms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hospice volunteer education program had a higher rate of cognition and a higher score of the meaning of life than non-participants. Therefore, hospice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in a continual and systematic way for the proper stabilization of the hospice system in Korea. The suggestions below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tandardizing the education programs of hospice volunteers b. Developing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the publicity and the change of cognition of hospice c. Repeating studies for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김정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623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안에서 간호사 스스로가 인식하는 역할과 수행 정도 및 다학제 팀원이 기대하는 간호사의 역할을 파악함으로써 다학제 팀 안에서의 간호사 역할을 증진시킬 방법을 제시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제공의 질 향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병동형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91명과 다학제 팀원 43명으로, 2018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연구자에 의해 재구성되어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사의 역할을 7가지 영역에서 총 4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총 134부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였다.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사의 역할 인식에서는 전체평균 4.46±0.38점(5점 만점)으로, 교육자, 옹호자, 조정자, 실무 전문가, 상담자, 연구자, 질 관리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역할 수행 정도는 전체평균 3.60±0.60점(5점 만점)으로, 교육자, 옹호자, 실무 전문가, 조정자, 상담자, 질 관리자, 연구자 순서로 나타났다. 간호사를 제외한 다학제 팀 내에서 간호사의 기대 역할은 전체평균 4.09±0.40점(5점 만점)으로, 옹호자, 교육자, 질 관리자. 연구자, 조정자, 실무 전문가, 상담자 순으로 나타났다.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사가 인식하는 역할과 수행 정도의 차이에서 7가지 모든 영역에서 역할 인식이 수행 정도보다 높고 전체평균 0.86점이 높게 나타났다(t=14.986, p<.001). 간호사 역할 인식과 수행의 차이 중에서 연구자 역할(t=13.743, p<.001)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상담자(t=12.243, p<.001), 옹호자(t=12.325, p<.001), 질 관리자(t=10.051, p<.001), 실무 전문가(t=13.368, p<.001), 교육자(t=11.139, p<.001)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원이 기대하는 간호사의 역할의 차이에서 다학제 팀원이 기대하는 간호사의 역할이 간호사가 인식하는 역할보다 전체적으로 평균 0.37점 낮게 나타났다(t=5.207, p<.001). 역할 인식의 차이가 가장 큰 순으로는 실무 전문가 영역(t=6.683, p<.001), 상담자(t=4.397, p<.001), 교육자(t=5.339, p<.001), 조정자(t=3.950, p<.001), 옹호자(t=2.838, p=.005)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간호사가 인식하는 역할과 수행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와 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안에서 변화하는 간호사의 역할을 분석하여 직무 기술서를 만들며 역할 수행이 힘든 역할에 대해서는 재분배하는 등 조직적 차원의 방법을 모색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학제 팀 내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해 팀원들의 업무를 경험하고 대상자의 정보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정기적인 다학제 팀 회의와 다직군간 실무교육 등을 통해 서로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nurses’ roles as perceived and performed with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multidisciplinary team and the roles that are expected by the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nurses around the rapidly changing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in Korea. Also, understanding nurses’ key roles within the multidisciplinary team will improve the quality of hospice palliative care. The method for this study was addressed using a descriptive stud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nurses and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six months in hospice palliative care institutions. The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by researchers to address the nurses’ role in hospice palliative care. It consisted of 49 questions in seven areas. After IRB approval,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1, 2018. A total of 13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Independent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with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show following, 1. For rol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nurses, the overall average for nursing was 4.46±0.38 (out of 5), followed by educator, advocacy, coordinator, expert practitioner, counselor, researcher and quality manager. The overall level of nurses’ role performance was 3.60 ± 0.60 (out of 5), followed by the roles of educator, advocacy, expert practitioner, coordinator, counselor, quality manager and researcher. The expected role of nurses within a multi-disciplinary team had a total average of 4.09 ± 0.40 (out of 5), followed by advocacy, educator, quality manager, researcher, coordinator, expert practitioner, and counselor. 2. Fo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he nurses’ role, the role perception was higher than performance in all seven areas and the overall average of 0.86 points was higher (t=14.986, p<.001). Amo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nurses’ role, researcher was the most different (t=13.743, p<.001), followed by counselor (t=12.243, p<.001), advocacy (t=12.325, p<.001), quality manager (t=10.051, p<.001), expert practitioner (t=13.368, p<.001), and educator (t=11.139, p<.001). 3. For the difference in expected roles in hospice palliative care between nurses and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the expected roles of the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were on average 0.37 points lower than nurses (t=5.207, p<.001). The biggest difference in role perception was expert practitioner (t=6.683, p<.001), followed by counselor (t=4.397, p<.001), educator (t=5.339, p<.001), coordinator (t=3.950, p<.001), and advocacy (t=2.838, p=.005). In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he nurses’ role, it is important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courses on the roles of nurses, and analyze the changing roles of nurses within the current hospice palliative care situation, create job descriptions, and redistribute roles that are difficult to perform. In addition, to reducing differences in the role perception of nurses within multidisciplinary team members, it is necessary to creat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each other's roles through regular multidisciplinary team meetings and interpersonal practical training that allows the team to experience each other’s work and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 산재형 호스피스 병동간호사의호스피스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명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89

        본 연구는 산재형 호스피스 병동 간호사의 호스피스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호스피스 간호수행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된 설명적 조사연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