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본위론의 관점에서 본 평생교육론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진선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재 평생교육은 시대적․사회적 변화를 배경으로 국가․사회․개인 모두에게 필요성이 요청되면서 실제적이고 정책적인 관심의 증가와 함께 우리의 삶 속에서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에 대한 관심과 발전만큼 평생교육에 관한 학문적 영역의 발전은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이론적 관점이 대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평생교육영역에서의 학문이 실제에 비추어 보아 지체되어 있음은 평생교육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식 또한 지체되어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는 평생교육의 발전만이 아닌 평생교육학의 발전이 시급히 요청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그 담론의 수준과 학문적 노력은 아쉬운 상황이다. 평생교육이 안고 있는 학문적 정체성과 개념 혼란이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그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은 많은 부분 용어와 관련된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 용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론적 배경이 원인이라는 생각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현재 평생교육론 안에는 사회교육, 성인교육, 평생학습이라는 세 개의 관점이 역사적 배경과 함께 큰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각 관점은 평생교육론에 내재하면서 평생교육에 관한 학문적 정체성과 개념혼란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들 각 관점은 그들의 개념이 안고 있는 문제도 청산하지 못한 채 평생교육과 깊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연쇄적으로 평생교육학에 또 다른 문제와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세 가지 관점의 역사적 배경과 각 개념이 지닌 문제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평생교육 개념정의의 분석을 통해 세 가지 관점이 평생교육론에 내재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각 관점의 영향으로 드러나는 평생교육학의 문제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평생교육의 개념과 논의는 상당부분 평생교육 고유의 현상에 집중하지 못하고, 상식과 제도 그리고 타학문의 관점에 의존해 있는 상태이다. 제1기 교육학의 오류와 더불어 실제보다 뒤쳐진 평생교육학의 이론적 실천은 교육에 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이어져 교육, 학습, 평생교육, 평생학습 간의 의미구분이 모호한 상황에서 혼재된 양상을 보이며 학습중심의 이분법적 사고의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비롯되는 평생교육론의 학문적 정체성 문제와 개념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도에 관한 인식의 전환과 타학문의 관점을 배제하려는 자세가 요구된다. 또한 평생교육의 구조 탐색을 지향하는 가운데 고유한 평생교육이론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학문의 세계에 진입하기에 적합한 태도의 전환에 성공한 평생교육학자를 통해 이루어질 확률이 크다. 본 연구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적용된 방법은 ‘교육본위론’의 관점이다. 교육본위론은 일찍부터 ‘교육=학교태’라는 상식을 뛰어넘어 교육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 없이 삶의 어느 곳에나 편재되어 있는 고유한 세계임을 가정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관점과 개념에 따른 자율적인 교육학 정립을 위한 학문적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 요청되는 조건들을 갖추게 되었다는 점에서 평생교육학 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학의 고유한 관점이라고 판단된다. Along with the rapid chang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ever increase in our lives, asking for the relevant policies and practices. However, the academic support for them is not as much satisfactory as what has been required to cover actual interest and development. Since theoretical perspectives influence our perception on the an objects of interest, the relative standstill of the academic scope of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object of close examinations. This study is a part of it. The main problem lies in the lack of academic identity and conceptual confusion, which are basically originated from the shortcoming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urrent theories of lifelong education consist of the three major areas of social education,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each of them causing confusion in the academic identity and conception in their own variation. Based on this general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related to such three perspectives, and tried to find the resulting problems and their causes. An analysis of the definitions of lifelong education was made to verify the inheritance of the three perspectives and thereafter showed the conceptual problems each of which has. The overall problems are found to be caused in the dependence on the areas of the common sense, institutional establishments and other fields of studies, failing to focus on the intrinsic phenomena of lifelong education itself.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 entirely new independent approach needs to be taken by which we can accomplish a conceptual conversion and eliminate the academic perspectives borrowed from other studies. The further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new theories proper to lifelong education, which try to capture the phenomenon as a whole. All these efforts may be successfully implemented by the scholars of lifelong education who first of all succeeded in inducing the attitudinal conversion appropriate to the entry into academic learning. Finally, this study examined a theory which is recently proposed along this line. It broke from the conventional idea of "education = schooling" and is called as the endogenous theory of education in that it tries to avoid traditional conceptual dependence on other areas of academic disciplines. Employing new concepts and vocabularies, it depicts a new world of education that is ubiquitous in our daily live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place. It is expected that the new perspectives and ideas can make the discussions of lifelong education less ambiguous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its unique way.

      • 지역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동기 유형과 몰입 특징에 관한 연구 : 경북 영주 지역을 중심으로

        나창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1)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types and demographical the characteristics and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types and learning flow of the participants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the life long education centers of the community. Based on total 188 questionnaires collected, technical statistics were used to comprehe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patternize the items of participationmotives. In order to grasp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firmed participation motives,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Also, in order to comprehend the forms of learning flow according to classifie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s, ANOVA was conducted. The significance level at that time was set as 5%. As for statistical programs, SPSSWIN 12.0K and SAS 8.02 were used. In order to patternize the participation motiv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Choi Woon-sil (1988), which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Bosher’s EPS focusing on Houle’s participation motive theory. As a result, the motiv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Goal-Learning-Activity", "Activity-Learning" and "Participation-Exploration",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types of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and "Activity-oriented"by having reliability and objectivity with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item.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otive factors of the participant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community were not so simple and a learner can have the diverse motive types of Houle. Based on the findings, a Butt Table was created with thre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s and demographical variables. Then,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correspondence relations were schematized. Three correspondence relations were formed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ge, participation period, and the recognition path of the program. Each correspondence relatio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group, which was formed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Activity-Learning"type is a group of which survival desire has been already fulfilled. They showed the highest activity propensity and they were the greatest in numbers for the participants of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y showed persistent interest in the education relatedto liberal programs and hobbies such as self-realization, use of leisure time, etc., while they tended to get along with other participants of the program rather than pursuing a clear goal. The "Goal-Learning-Activity" type, on the other hand, is much interested in economic problems or social achievements and they make active efforts in developing themselves in the long term or short term. They are, however, somewhat indifferent to smooth relationship between people or personal exchange, unlike other two groups. The "Participation-Exploration" type is lag behind in every aspects than other groups because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out specific motive or goal. In order to find out the patterns of learning flow, a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Kim Jin-ho(2003)’s Flow State Scale(FSS), and it was possible to achiev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item with reliability and objectivity. "Activity-Learning"type showed sense of fruitfulness in participating programsand enjoyed learning lectures and they would register the program again if they could in the future. "Goal-Learning-Activity" type actively selected the content of learning for themselves and accepted them. They can control the scope and quantity of learning for themselves. They also have the challenging mindset that they can catch the lecture with their current ability, even though the lecture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hey show high sense of trust on the ability of themselves. Thus, this type can achieve the highest level of learning flow. The "Participation-Exploration" type has low sense of participation motive than other groups, showing "so-so" response. Rather than having particular goal or motive, they just participate in the program or try to find something in the process of copyright by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hich leads low level of learning flow. On the whole, the learning flow of participant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show the great figure by the types of "Goal-Learning-Activity", "Activity-Learning", and "Participation-Exploration" in ord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s. In terms of demographic features of the participants, 85.6% were women. As for the age, 33% were 40s, 26% were 30s and 23% were 50s in that order. Regarding the education background, 42% were university graduates, and 36% were high school graduates. In terms of occupation, housewives were 72% and office workers were 12%. Married persons took the 90% and those who had children in school were 55% while those who had married girls and boys or working children were 25%. As for income, 40% earned less than 3 million won, 25% earned less than 2 million won, and 15% earned 4 million won. Regarding the experience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30% had less than 3 months, 23% had less than 6 months, and 13% were less than one month. As for the recognition path, 37% learned through neighbors, 25% learned through community newspapers and advertisements, and 22% learned through the news magazines or leaflets issued by lifelong education center. From the facts, on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most respondents, most of them were housewives in their 30s and 40s with children wi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high school graduate and their monthly income were less than 4 million won.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they selected based on the knowledge obtained throughdiverse paths, for less than one year. 본 연구는 지역 내 평생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참여자들의 참여 동기를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로 나타나는 학습 몰입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총 188부의 설문지를 SPSSWIN 12.0K와 SAS 8.0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요인 분석, 군집 분석, 다중 대응 분석, ANOVA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절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 결과의 중요 사항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 평생교육 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 동기 유형은 어떠한가? 먼저 참여 동기를 유형화하기 위해 요인 분석과 군집 분석을 하였다. 참여 동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Houle(1961)의 참여 동기 이론을 중심으로 삼고Boshier(1985)의 EPS를 근거로 개발된 최운실(1988)의 조사지를 바탕으로 하였다.참여 동기를 구성하는 개념적 요소인 목표 지향형, 활동 지향형, 학습 지향형 요인들을 수렴시키기 위해 신뢰성과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과정에서 도출된 각 항목과 변인들의 상관 관계, Cronbach's 값의 변화 추이 등을 고려하여 시행착오적 방법을 통한 탐색적 과정을 진행하였다. 참여 동기 변인 중 13개를 추출하여 고유값이 1이상인 3개의 요인을 형성하였다. 요인 분석을 통해서 목표 지향형 요인, 활동 지향형 요인, 학습 지향형 요인을 파악한 후 요인 적재치를 기준으로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 분석은 계층적 방법과 비계층적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표 23>처럼 1) 자신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다양한 교류를 통해 원만한대인 관계를 증진시키려는 동기가 확실히 부여된 상황에서 배움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아실현을 하려는 성향들 내포된 집단, 2) 경쟁, 소질, 자격, 문제 해결 등 당면한 상황에 대한 타파와 해결 및 도약에 대한 동기 부여가 높게 진행되어 있으며, 그것을 위한 지속적인 학습과 지식 탐구를 진행하기는 하지만, 1)집단에 비해 원만한 대인 관계나 인적 교류에 대한 동기는 부족하게 진행되는 집단, 3) 특별한 목적의식이나 참여 동기를 가지고 프로그램에 참여한다기보다는 참여 자체에 목적을 두거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지향점을 찾으려는 집단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기존의 학습 지향형, 목표 지향형, 활동 지향형의 특성에 견주어 각각 ‘목표-학습-활동’형,‘활동-학습’형, ‘참여-탐색’형의 세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는데, 각 항목별로 내적 일치도를 가지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처럼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동기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분석되었으나, 프로그램 참여자의 동기 요인은 간단치 않아 Houle의 동기 유형들이 한 학습자 내에서도 복합적으로 다양하게 유형별로 혼재해 있음을 알 수 있다.둘째, 지역사회 평생교육 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유형별 참여 동기와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우선 각 유형별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구분된 세 유형과 인구사회학적 변인들로 버트표를 구성하여 다중 대응 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 분석을 통해서 확인된 참여 동기의 유형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의 대응 관계를 도식화하였다. 주로 학력, 소득, 연령, 참여 기간, 프로그램 인지 경로 등에 따라 특징화된 3개의 대응 관계를 형성하였다. 각 대응 관계들은 군집 분석을 통해서 형성된 집단의 특징을 보여 주었다. ‘활동-학습’형은 대학원 졸업 이상의 학력과 4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고학력· 고소득 집단으로 결혼 유무와는 별로 상관없다. 결혼한 여성들은 40대로 자녀들이 취학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주로 판매 서비스직에 종사하며, 평생교육기관 소식지나 홍보 전단을 통해서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1년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참여 경험을 가진 집단으로 파악된다. 이 유형은 이미 생존욕구가 충족된 집단이다. 세 유형 중 활동 성향이 가장 높으며, 지역사회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자아실현이나 여가 선용 등 교양이나 취미 관련 교육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지만, 뚜렷한 목표를 추구하기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과 서로 어울리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목표-학습-활동’형은 대졸 학력을 가진 20?30대의 일반 사무직 종사자로서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력은 3개월 이하로 최근에 강의를 수강하였거나, 2년 6월 이하로 다년간의 참여 경험을 가진 집단이다. 연령대가 보여주듯 자녀는 없거나 미취학 상태이다. 젊은 세대답게 컴퓨터와 인터넷 등 정보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평생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참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이 유형은 경제 문제나 사회적 성취에 관심이 많아서 장?단기적으로 자신을 계발하는 데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따라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단순한 일회성 교양 강좌나 여가 선용을 위한 취미 교육뿐만이 아니라 전문 교육으로서 직업 기술 훈련 및 자격, 면허 취득 그리고 고학력에 상응하는 인정을 수반하는 교육 프로그램들을 선호한다. 이들은 경쟁, 소질 계발, 자격 취득, 문제 해결 등 당면한 상황에 대한 타파와 해결 및 도약에 대한 동기 부여가 높음을 알 수 있다.그리고 이를 이루기 위해 지속적인 학습과 지식 탐구를 수행한다. 그러나 목표 성향이나 학습 성향과 달리 원만한 대인 관계나 인적 교류와 같은 활동 성향에는 다소무관심한 집단으로 볼 수 있다. ‘참여-탐색’형은 50대로 중졸 저학력에 300만원 이하의 소득을 가지고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력은 6개월 이하로 짧으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인근 이웃들을 통해서 전해 듣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은 특별히 어떠한 동기나 목적의식을 가지고 참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유형에 비해 활동성이나 성취 의욕, 학습력 등 모든 면에서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평생교육 유인 체제를 갖추는 일은 시급하다는것을 시사한다. 셋째, 지역사회 평생교육 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유형별 참여 동기와 학습 몰입의 관계는 어떠한가? 참여 동기의 요인화를 통해 추출된 목표 지향형, 활동 지향형, 학습 지향형은 학습 동기에 따라 ‘목표-학습-활동’형, ‘활동-학습’형, ‘참여-탐색’형의 세 가지 유형을 형성하였다. ‘활동-학습’형의 경우 다소 낮은 수준의 목표 동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학습 성향이 꾸준하긴 하지만, 이에 비하여 활동 성향은 다른 유형보다 월등하게 높다. 이들은 자신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다양한 교류를 통해 원만한 대인 관계를 증진시키려는 상황에서 배움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아실현을 하려는 성향이 내포된 집단이기 때문이다. 고학력 · 고소득의 40대 집단으로 기관 소식지나 홍보 전단을 통해서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1년 6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참여한다. 이 유형은 학습 몰입의 9개 하위 범주 중 ‘수행 중인 과제에 대한 집중’, ‘자기 목적성’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며, ‘분명한 목표’에서는 ‘목표-학습-활동’형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양적 시간 개념의 상실’, ‘자의식의 상실’ 항목에서는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행위와 인식의 일체감’, ‘통제감’ 항목에서도 거의 제일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데 대하여 많은 보람을 느끼며, 강의 내용을 즐겁게 받아들이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추후 기회가 된다면 다시 등록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목표-학습-활동’형은 다른 집단에 비해 당면한 상황에 대한 문제 해결 및 도약에 대한 동기 부여가 높은 목표 성향을 강한 유형으로 지속적인 학습과 탐구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원만한 대인 관계나 인적 교류 등 활동 성향은 전자의 유형보다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2,30대 대졸자로 일반 사무직에 종사하며, 프로그램 참여 경력은 3개월 이하로 일천하거나 2년 6월 이하의 장기 참여자이다. 젊은 세대답게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참여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이들은 학습 몰입의 9개 하위 범주 중 ‘도전과 능력의 균형감’, ‘분명한 목표’, ‘명확한 피드백’, ‘행위와 인식의 일체감’, ‘통제감’, ‘자의식의 상실’등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며, ‘양적 시간 개념의 상실’에서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들은 참여자 자신이 주도적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수용하며, 스스로 학습의 양과 범위도 조절하는 경향이 가장 높다. 그리고 강의 내용이 어렵고수준이 높아지더라도 자신의 노력과 현재의 실력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는 도전성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 유형은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학습 몰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참여-탐색’형은 다른 유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저 그렇다’ 정도의 저조한 참여 동기 의식을 가지고 있다. 특별한 목적의식이나 참여 동기를 가지고 프로그램에 참여한다기보다는 참여 자체에 목적을 두거나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무언가를 탐색하려는 집단이다. 50대 중졸 저학력자로 대부분 300만원 이하의 소득과 인근 이웃들을 통하여 참여하였으며, 6개월 이하의 짧은 참여 경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학습 몰입의 9개 하위 범주 중 ‘양적 시간 개념의 상실’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통제감’, ‘행위와 인식의 일체감’, ‘자의식의 상실’ 항목에서 ‘활동-학습’형과 비슷한 저수준을 보이지만, 학습 몰입 전반에 걸쳐서 낮은 수준의 몰입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 몰입은 참여 동기 유형의 특성에 따라 ‘목표-학습-활동’형, ‘활동-학습’형, ‘참여-탐색’형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빈도, 백분율 등 기술 통계를 통해서 조사 대상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을살펴 보았다. 성별은 여자가 85.6%, 연령은 40대 33%?30대 26%?50대 23%순이었으며, 교육수준은 대졸 42%?고졸 36%, 직업은 주부 72%? 직장인 12%, 결혼 여부는기혼 90%? 자녀는 재학 55%? 취업 및 출가 25% 소득 수준은 300만원 이하 40%? 200만원 이하 25%? 400만원 이하 15% 순이었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력은 3개월 이하 30%?6개월 이하 23%? 1년 이하 13% 순이었으며, 그 인지 경로는 인근 이웃으로부터 37%? 지역 신문이나 광고를 통하여 24%? 평생교육기관소식지나 전단을 통하여 22% 순이었다. 이로 볼 때, 대부분의 응답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징은 결혼해서 자녀를 둔 30?40대의 여성 주부들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월 소득 400만원 이하의 가정에 살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은 프로그램에 대한정보를 기반으로 채택한 프로그램을 1년 미만 수강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역 사회의 평생교육은 지방 자치 단체의 주도로 개인의 자아 실현, 경제적 경쟁력 제고, 사회적 응집력 제고 등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지역사회의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지역사회 평생학습이다. 그러나 조사 결과, 다양한 연령대의 성인 학습자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이 단기적인 취미나 교양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본격적이고 집약적인 평생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역할유형 탐색 : 대구·경북지역 북한이탈주민의 요구를 중심으로

        배영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87

        Quite a number of North Koreans defected to South Korea recently. North Korean defectors had lived differently from South Koreans in terms of culture, language, occupation, politics and society until they defected to South Korea. It is for grant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who must be adapted to the new structure of society have difficulty in starting to live in South Korea as the weak with a different kind of disability in some ways. It is necessary to provide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going to start living in South Korea with vari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if there is continuous help to them, all Koreans will have opportunities of education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Life-long Educatio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the contents of programs in different role types and the elements for program management with regarding North Korean defectors as major subjec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e facts of a research to accomplish the purpose are below. 1. Examine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adapt to Korea society 2. Examine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i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3. Examine the contents of programs in different role type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ies 4. Examine the elements for program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ies that is instructional method, place, period, time zone, media and expenses The Life-long Educational demands of North Korean defectors on this research are a self-development training program to build the democratic citizenship, a program of capitalistic economy theory to resocialize them to a new structure of society, a program of professional performance to build their knowledge for specialized occupation, a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women to raise the social status of women. In conclusion,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ies is the second place of Life-long Education in a word when we research four Life-long Educational demand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element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management.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북한사회를 떠나 하나원의 교육을 받은 후 남한사회로 진입하면서 겪게 되는 적응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역할유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역할유형을 민주시민의식함양 역할, 체제재사회화 역할, 전문직업교육 역할, 여성지위향상 역할로 나누어 북한이탈주민의 평생교육 요구를 바탕으로 이것이 얼마나 적합한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역할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각 역할유형별 프로그램은 어떠한가? 셋째,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요소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조사도구는 손문경(2002년)이 사용한 사회/경제적 적응과 문화/심리적 적응 분석틀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맞도록 직접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영역은 사회생활 적응실태,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역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한 총 3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은 2004년 12월 31일을 기준하여 대구/경북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383명(대구 225명, 경북 158) 중 임의 표집한 179명이다. 이들에게 설문지를 2005년 3월 19일에서 4월 30일 기간에 인편을 통해서 배포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91명이었으며 회수율 60.1%를 보였다. 그리고 이들의 생활실태와 사회적응 교육, 정착지원 제도, 사회적응 만족, 대학평생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역할유형, 프로그램유형의 필요성과 운영요소, 교육, 직업 및 소득 수준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들은 민주시민의식함양, 체제재사회화, 전문직업교육 및 여성지위향상에 관한 4개의 역할유형 중에서 전문직업교육역할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북한이탈주민들은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역할유형별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바라고 있다. ① 북한이탈주민들은 민주시민의식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에서 자기계발훈련 프로그램을 가장 우선하며, 차례로 언어·문화성습득 프로그램, 건강상식습득 프로그램, 사회성습득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다. ② 북한이탈주민들은 체제재사회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에서 자본주의 경제이론 프로그램을 가장 우선하며, 차례로 지역사회교육 프로그램, 부동산시장이론 프로그램, 주식투자 전략습득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다. ③ 북한이탈주민은 전문직업교육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에서 전문직업 수행능력 프로그램을 가장 우선하며, 차례로 직업준비교육 프로그램, 민간자격증취득 프로그램, 최고전문가 재교육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다. ④ 여성지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에서 여성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며, 차례로 여성과 민간요법 프로그램, 생활미용 피부관리 프로그램, 여성지도자훈련 프로그램을 우선하고 있다. 셋째, 북한이탈주민들은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역할유형별 프로그램의 운영요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선호하였다. ① 구체적인 평생교육방법으로 일정장소에 모여서 직접교육을 받는 Off-line(면대면)교육을 선호하였다. ② 평생교육 프로그램 교육장소로 북한이주민 지원센터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약간의 차이로 대학평생교육기관을 선호하였다. ③ 평생교육 프로그램 교육기간으로 6개월이상 1년미만을 가장 선호하였다. 다음으로 6개월 미만, 1년이상 1년 6개월미만을 차례로 선호를 하였다. ④ 평생교육 프로그램 교육시간으로 주 1-3회의 다양한 시간대로 선호하였다. ⑤ 평생교육 프로그램 교육매체로 TV 방송을 가장 선호하였다. ⑥ 평생교육 프로그램 교육비용은 정부가 부담하여 줄 것을 선호하였다. 다만 본인이 교육비를 부담하는 경우 그 비용은 1개월에 3만원이 가장 적당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대한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정부는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남한사회 적응교육 프로그램을 내실화하여야 한다. 정부주관의 교육 내용 및 기간의 만족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하나원의 교육과 같은 북한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교육의 정도 등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행해지는 교육을 지양하여야 한다. 또한 실제생활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의 운영과 직업훈련을 받은 사람이 오히려 직업이 없는 경우가 더 많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대학은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역할을 강화하여야 한다. 대학평생교육기관의 4개 역할유형 중 전문직업교육에 관한 역할을 가장 선호함은 북한이탈 주민들의 직장생활이 대부분 불안전하고, 비정규직에 종사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연관지어 볼 수 있다. 정부의 정책적 정착지원도 중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나타난 북한이탈주민들의 평생교육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실질적인 평생교육 차원에서 적응교육과 자본주의에 관한 현장이론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대학평생교육기관은 성공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교육방법, 교육장소, 교육기관 및 시간, 교육매체, 교육비 부담에 관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운영의 내실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끝으로 다음 연구자들은 북한이탈주민들을 남한사람들으로부터 ‘특별한 연구대상’으로 취급하지 않아야 한다. 이들은 국정원과 하나원 교육과정에서부터 지금까지 수십 차례 설문지 작성을 요구받았으며, 북한에서는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이러한 취급이 부담스럽고, 연구대상이 되는 자체가 싫다는 선행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 학습지교사의 평생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 학습지교사를 중심으로

        권순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지교사들의 평생교육 참여실태와 개인별 특성에 따른 평생교육 필요성 및 요구가 어떠한지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학습지교사집단을 위한 평생교육 정책 개발이나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활동하고 있는 학습지교사를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314부를 배포하고, 그 중 260부를 회수하여 82.8%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처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에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등의 추리통계 기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요약하면 성별에서는 남성이 10.2%, 여성이 89.8%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분포는 20세~29세가 26.6%, 30세~39세가 46.3%, 40세~49세가 25.8%, 50세 이상이 1.2%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대해서는 미혼이 43.4%, 기혼(부양자녀 없음)이 17.6%, 기혼(부양자녀 있음)이 38.9%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학습지교사들의 근무연수를 살펴보면 1년 미만은 24.2%, 1년이상~3년 미만은 22.5%, 3년 이상~6년 미만은 21.3%, 7년 이상~9년 미만은 16.4%, 9년 이상은 15.6%로 나타났다. 학력을 살펴보면 전문대 졸이 32.4%, 4년대 졸이 66%, 대학원재학 이상이 1.6%로 조사되었다. 학습지교사의 소득은 150만원 미만이 27.0%, 150만원~200만원이 35.7%, 200만원~300만원이 28.7%, 300만원~400만원이 7.4%, 400만원 이상이 1.2%로 나타났다. 끝으로, 학습지교사의 교육학이나 교직이수 전공여부는‘전공출신’이 16.8%,‘비전공출신’이 83.2%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습지교사의 평생교육 참여실태는 참여율이 54.5%, 비참여율(참여한 적이 전혀 없다)이 45.5%로 나타났고, 참여만족도는 5점 만점에 2.18로 나타나 참여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학습지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평생교육 필요성 사이의 상관관계는 두 변인 간에 약하기는 하지만 정적 상관(r=0.158, p=0.013)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 하였다. 직무만족도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 유형에서 '상'/'중' 집단은 교사 능력향상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고,‘하’집단은 문화교양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넷째, 연령에 따른 평생교육 필요성에서는 전체 평균이 3.9112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 교사들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20대 교사들의 평균이 가장 낮았으나,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는 연령에 구분 없이 전체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연령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 유형 조사 결과에서 20대 학습지교사들은 교사능력향상과정에 대한 필요성의 요구가 높은 반면에 30/40대 학습지교사들은 문화교양과정에 대한 필요성의 요구가 높았다. 다섯째, 근무연수에 따른 평생교육의 필요성에서 전체 평균이 3.9112로 조사되어서 근무연수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근무연수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 유형에서 1년 미만/1년 이상~3년미만 학습지교사들은 교사능력향상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고, 3년 이상~6년 미만/6년 이상~9년 미만/9년 이상 학습지교사들은 문화교양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여섯째, 학습지교사들의 교육학이나 교직이수 전공여부에 따른 평생교육 필요성은 전공여부에 관계없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여부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 유형에서는 전공출신 학습지교사들은 문화교양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고, 비전공출신 학습지교사들은 문화교양과정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지교사들의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을 크게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지교사들의 직무만족도 특성에 알맞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용 방안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인센티브를 시행하거나 쿠폰을 발행하여 평생교육 수강에 대한 만족감을 갖도록 한다. 또한 지역 내 평생교육센터에서 교사전문성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면 사내 교육과정 이수와 똑같이 인정해주는 교육 프로그램 운영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지교사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램유형, 지출비용, 운영시간, 운영기간 등 학습지교사 집단의 특성에 알맞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회사 내 경력개발제도나 인적자원개발에서도 학습지교사들을 인재육성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의 발전에 모두 동참할 수 있도록 회사와 사회를 연결한 평생교육운영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y book teachers’ participation in lifelong-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need for lifelong-education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extent of the job satisfaction, the length of service, the age, and the major in higher education.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s with 260 study book teachers belonging to five major study book companies in Jeju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ow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study book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need for the lifelong-educ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st requested type of the lifelong-education program was the teaching-skill-program for the high and the middle job satisfaction group and the cultural and liberal arts program for the low job satisfaction group. Second, rega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service and the extent of the need for the lifelong-education, study book teachers working for over 6 years and below 9 years had the highest need for the lifelong-education. Those for over 9 years, those for over 3 years and below 6 years, those for over 1 year and below 3 years, those for below 1 year followed. The overall average of the need for the lifelong-education was 3.9112. The teaching-skill-program was most requested by the teachers working for below 3 years, whereas those for above 3 years requested the cultural and liberal arts program. Third, the extent of the need for the life-long education was found to be high regardless of the study book teachers’ major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cultural and liberal arts program was most requested by both two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the lifelong-education programs for study book teachers were suggested, including the study book companies' financi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and the cooperation between study book companies and lifelong-education centers in the region.

      • 평생학습동아리 활동을 통한 자기개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홍은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평생학습동아리 활동의 참여요인 및 참여효과로 나타나는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에 대해서 학습자 관점에서 그 의미를 구체적이며 심층적으로 밝혀보고, 학습동아리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과 ‘자기개발’이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평생학습관점에서 탐색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아리 참여자에게 있어 학습동아리와 자기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는 무엇이며,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은 어떻게 인지되고 설명되는가? 또 ‘학습’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가? 둘째, 평생학습동아리의 자기개발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학습동아리에서 자기개발 활동은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학습동아리에서 자기개발 활동은 지역사회에 어떤 형태로 참여하며 지역평생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본 연구는 경북 칠곡군에 소재한 학습동아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연구문제를 접근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아리 참여자는 학습동아리의 필요성을 ‘변화’와 ‘활력’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자기개발의 필요성을 ‘현재 생활의 불만족’, ‘노후 생활의 대비’, ‘자아성찰을 통한 나를 찾는 과정’에서 인식하고 있었다. 또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의미로 사용되어 왔던 자기개발과 자아실현의 개념을 학습자들은 명확히 구분지어 인지하고 있었다. 자기개발은 ‘학습’이라는 매개를 통해 ‘변화’를 체득하는 과정이며, 그 변화를 생활에 적용, 실천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자아실현은 대외적인 ‘발표의 장(場)’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펼치거나,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면서 사회나 가정에서 존재가치를 인정받고 생활에 스스로 만족감이 들 때 인지하는 개념으로 현재가 아닌, 앞으로 이루어 나갈 미래형의 모습으로 생각한다. 학습동아리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은 반성과 성찰을 바탕으로 지식, 정보, 경험들이 전이되고 공유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계획적, 비계획적인 모든 활동으로 나타났다. 즉 토론과 심화학습 같은 계획적인 활동뿐만 아니라 친목, 만남 같은 비계획적 활동도 그 안에서 학습이 일어나도록 하는 요소들이 작용한다는 점에서 학습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학습된 결과는 삶의 변화로 나타난다. 둘째, 학습동아리에서 자기개발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는 목표가 있는 자발적 참여, 리더와 리더십, 학습동아리 회원 규모(모임인원), 회원 간의 관계형성 및 인적 교류, 학습의 실천 활동 등이 있으며 이것은 학습결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아리에서의 자기개발 활동은 생각과 행동에 변화를 가져와서 평생 즐기면서 ‘할 수 있는 일’, ‘할 일’을 찾도록 해주며, 가치 있고 의미 있는 노후의 삶에 해답을 찾도록 한다. 또 회원들 간의 만남, 배움, 나눔, 소통은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하여 삶의 활력소로 작용하며, 학습목표를 달성한 결과는 또 다른 자기개발의 새로운 학습목표와 비전을 갖게 해서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하여 평생학습자로 성장하게 한다. 넷째, 학습동아리에서의 자기개발 활동은 평생학습축제 및 자체 행사를 통해 학습의 전문성과 다양성, 활동성을 선보임으로써 학습자에게는 자신감과 성취감을 고취시키고 비학습자들에게는 ‘배움’의 호기심을 자극해서 평생학습을 활성화 시킨다. 또 각 동아리가 다루는 심층학습을 통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을 배출하여 지역의 인적자원으로 활동하게 한다. 그리고 ‘더불어’ ‘함께’라는 ‘우리 의식’이 생겨나 ‘배움의 노블레스 오블리제’를 실천함으로써 일체감, 봉사, 참여의식이 발현되는 건강한 학습공동체를 지향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학습동아리는 지역 평생학습 활성화의 동력원이 될 수 있으므로 학습동아리의 기반 형성과 각 기관의 지원정책이 중요하고도 필요하다. 이는 학습자의 자기개발 활동의 근거지를 결정짓는 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부터 학습동아리와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습동아리 운영을 이끌고 있는 리더는 회원들이 자기개발을 잘 할 수 있도록 촉진자, 조력자 역할을 하고 때로는 동아리 학습을 이끌어가는 전문가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학습동아리가 단순 취미집단에서 벗어나 살아있는 학습을 실천하는 전문가 집단으로 지역사회의 평생학습을 이끌고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 각계각층에서 활약하고 있는 다양한 직업군의 리더들이 적극적으로 학습동아리 구성에 참여하여 자기개발활동이 좀 더 전문성을 갖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지금까지의 학습동아리 정책은 학습자들을 평생학습현장에 끌어들이기 위해 학습동아리 수를 늘리는 양적접근에 치중했다면, 이제는 각 학습동아리가 전문성을 가지고 체계적인 학습과 운영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질적 접근의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학습동아리가 자칫 ‘동아리 이기주의’로 빠져서 처음 시작한 사람들만의, ‘그들만의 모임’이 되지 않도록 학습에서 소외된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도 필요하다. 넷째, 학습동아리 회원들의 자기개발은 배운 것을 봉사나 직업을 통해 실제 현장에 적용하고 실천할 때 더 큰 가치와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평생학습기관이나 지역사회는 학습동아리를 통해서 배출된 인적자원들이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시스템 마련과 아울러 학습자들의 전문성이 지역사회 곳곳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필요로 하는 곳과 연결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thorough and in-depth investigation for the meanings of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based on the participation factors and effects of lifelong study circle activities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It was also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study' and 'self-development' occurring in study circle activities. To achieve such goal of the study, research tasks were designed as follows: how is lifelong study circle learners' perception on 'study circle',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how the learners understand 'study activities'?; what factors do have influence on self-development study process?; how self-development activity from study circle affects their individual life?; what types of self-development activities are applied by the learners at local community, and how the activities affect local lifelong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 members of the 4 study circle in Chilgok-gun for an in-depth interview and a participatory observation. An ethnographic method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articipants in a study circle felt the necessity for self-development from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life,' 'preparation for the life as a senior citizen,' and 'discovering oneself by self-reflection.' They knew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eanings of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clearly. They perceived self-development to be the process of making efforts to live the life as one desires and the process of experiencing 'changes' in which one's ability is enhanced. On the other hand, they perceived self-realization to be the exhibition of one's ability through presentations and competitions and to be recognized by the society and their family, for example, by acquiring certificates for self-fulfillment. They understood self-realization not as a present term, but as a future term. Second, study activities in a study circle included transferring and sharing reflection, experience, knowledge and information among the group members. Planned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and in-depth exploration as well as spontaneous activities such as friendly gathering and casual meeting occurred in the group. The fruits of such study appeared as a positive change in one's life. Regarding study activities for self-development, the study results were affected by the variables such as voluntary participation with a certain goal in mind, a leader and the leadership, the number of members in a group,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teraction among members and the implementation of study. Third, self-development activities in a study circle brought changes into one's thought and action, and helped to find a life's calling that one can do and one wants to do. Through such activities, one can find an answer how to spend one's life as a senior citizen meaningfully. Moreover, meeting, learning, shar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 members enabled one to achieve self-confidence and a sense of accomplishment, hence vitalizing the daily life. Furthermore, the accomplished results from the study encouraged one to draw up new study goals and vision for self-development so that one can grow as a lifelong learner through continuous study. Fourth, self-development activities in a study circle displayed professionality, diversity and active nature of the learning via lifelong learning festivals and self-organized events so that the learners' confidence and a sense of achievement increased. Such public event encouraged non-group members to join in a study circle and vitalized the lifelong learning in general. Subsequently, it produced more experts in each field as the human resources for a local community. A sense of solidarity occurred and the members exercised 'noblesse oblige' regarding learning. Consequently, the study circle activities played a major role to lead a healthy study community exercising solidarity, voluntary service and particip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a study circle can be the motivating force for active lifelong learning for the local community, thus, it is important to build a foundation for study groups and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by the relevant institutions. In this regard, a study group should participate early in the planning phase of such lifelong learning program. Second, a leader in charge of the study circle is a manager as well as an assistant who helps the members to enhance their self-development. Sometimes a leader is an expert leading the study in a group. Accordingly, various leaders from all walks of life should be encouraged to actively join in a study group for an expertise in self-development in order to lead and support the study circle in a local community as an expert group for practical learning instead of a mere hobby group. Third, the current study circle policy focused on a quantity increase for increasing the numbers of study circle to attract more learners for the lifelong learning. However, a new policy for a qualitative increase should be employed to promote a systemic learning and a sustainable management with expertise for each study group. In addition, a policy for supporting and integrating ignored members within a group by the selected few driven by egoism who tend to exclude others with lesser study performance. Finally, the members of a study circle are rewarded emotionally by their voluntary service to the community and at work utilizing and practicing what they have learned from the lifelong study. Thus,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y need to devise a support system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manpower educated in a study circle to volunteer for their own community. They also need to take up a role as a moderator to connect the demand and supply for the expertise of the learners in each area of the community.

      • 평생교육기관 강사료 지급형태에 대한 비교 연구 : 울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방보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cturer pay systems of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in Ulsan city.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does the lecturer pay system (flat-rate, proportional-rate, mixed-rate) have relationship with operating goal of public or private institution, subsidy and tuition fee? 2. What do officials in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think of rightness,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on lecturer pay system? 3. What kind of lecturer pay system was applied to lecturers in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4. What do lecturers in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think of strengths and weaknesses on lecturer pay system? On the basis of the survey with 26 officials and 58 lecturers, I conducted a frequency analysis. I had interviewed some of the officials and lecturers, and finally selected one of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as an object of case study. The data from the interviews and the case study were analyzed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The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public ones wer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hile the private ones were not. The government-supported institutes were using a 'flat-rate' pay system. That was more flexible in organizing classes and planning programs for classes. Most private institutes were using a 'proportional-rate' pay system. They depended entirely on the tuition fees from the students. However, the lecturers think the ‘flat-rate’ pay system better because it is consistent. They don't have to worry about the number of students. The negative side the lecturers point out is that it doesn't give them motivation for enlarging the classes they manage. The 'proportional-rate' pay system gives lecturers a motivation for it. But when classes have only a few students, lecturers tend to have less activeness towards the classes. Also the system tends to degrade the quality of classes and they just consider the classes as merely a source of income. The conclusion of the survey is that the 'mixed-rate' pay system is the most desirable one for both lecturers and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With the basic pay is given, the lecturers could get extra incentives according to increasing in class size. The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can manage the programs steadily within the budget. Each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is different in its purpose and finance. Therefore, the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is suggested to find the best pay system for both lecturers and themselves among 3 different pay systems. The experience and ability of each instructors should be examined for a fair pay. When lecturers are paid properly and fairly according to their competency, the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can serve the community better. 평생교육이란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해주기 위한 교육이념으로서 유아교육/청소년교육/성인교육/노인교육 등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활동의 수직적 통합과 가정교육/학교교육/사회교육 등으로 각기 다르게 전개되는 형식/비형식/무형식적인 교육활동의 수평적 통합을 통하여 “삶이 곧교육”인 “학습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모든 형태의 교육활동이다. 교육의 3요소로는 학습자, 교수자, 매개체를 들 수 있는데 본 연구는 교육의 3요소 중 교수자에 해당되는 평생교육기관의 강사가 지급받는 강사료 지급형태를 비교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의 운영목표와 보조금 지원 정도, 수강료의 현황과 강사료 지급형태(정액제, 비례제, 혼합형)의 관계는 무엇인가? 2. 평생교육기관의 실무담당자들이 느끼는 강사료 지급형태의 적절성 또는 장단점은 무엇인가? 3. 강사들이 평생교육기관에서 받는 강사료의 지급형태는 무엇인가? 4. 강사들이 느끼는 강사료 지급형태 각각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울산지역 소재 평생교육기관 담당자 26명과 외부강사 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 분석 하였으며 그 중 일부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설문과 면담에 답한 자 중 1곳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면담과 사례연구는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평생교육기관은 상부기관의 지원금을 받는 공공기관과 지원금을 거의 받지 않는 민간기관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기관은 지원금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므로 수강료를 무료로 하거나 저렴한 수준으로 회원모집을 하고 있으며 지원금 내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강사료 지급형태를 운영의 편의성 및 계획수립의 용이성이 있는 정액제로 적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민간기관의 경우는 시설임대와 공과금 정도를 지원받고 있으며 운영은 수강료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강료는 주 비용 항목인 강사료에 영향을 받으며, 독립채산제 운영을 위해 어떠한 경우라도 강사료가 수강료의 범위 내에서 지급될 수 있는, 비례제의 형태로 적용하고 있는 기관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느 정도의 기간동안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해 오면서 일정 회원수까지는 정액제이고 초과인원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적용하는 혼합제를 채택하는 기관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사들은 시간당으로 적용하는 정액제로 지급 받을 경우 고정수입이라 안정적이고 계획수립에 용이하며 회원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점은 좋으나,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 점을 단점으로 들었다. 수강료 당 회원수의 비율로써 적용되는 비례제로 지급 받는 경우, 동기부여가 되어 질 높은 강의를 위해 노력하게 되나, 반면에 회원이 적을 경우 의욕이 떨어지고 교육을 수익창출로만 연계시켜 교육의 질을 하향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수강생의 일정 인원까지는 정액제로, 초과인원은 비례제로 적용하는 혼합형은 정액제와 비례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절충하여 강사의 노력과 기관의 입장이 함께 고려된 가장 바람직한 강사료 지급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수강생이 일정 인원일 때 받을 수 있는 기본금액이 보장되고 초과 인원 시 인센티브가 주어진다면 강사의 보수 면에서 만족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될 것이고, 기관의 입장에서는 예산 내에서 운영이 가능해짐으로써 평생교육의 발전에 더욱 힘쓸 수 있게 될 것이라 생각되는 혼합형이 가장 바람직한 강사료 지급형태로서 나타났다. 각 기관마다 운영목표와 제반 현황이 상이하므로 본 연구의 강사료 지급형태의 비교 연구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장점과 문제점을 잘 검토하여 각 기관의 현황과 특징에 맞춰 지급형태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향후 강사료 지급형태별로 객관적인 기준의 근거 즉, 강사의 경력, 능력정도, 가치성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계속되어 강사들이 강의 후에 형평성에 맞는 보수를 받을 수 있다면 기관 입장에서는 기관의 원활한 운영과 강사의 원활한 수급을 이루어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과학관의 평생교육 기능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 :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과학관 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문성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Science museum, an institution of lifelong education, educates the people through various science programs including exhibition, scientific principles and scientists' moral from children to adults. In this aspect national science museums of Korea are inefficient because they deficits the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adults compared to those for infants and children.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 which is a lack of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adults at science muse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taliz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ts at science museum, and the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in national science museums(Seoul National Science Museum and National Science Museum) how ar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what is the problems of the programs?, second, in the science museums of foreign countries(Science Museum in England and Exploratorium in USA), how is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what is the lessons from them? third, how is the condition of science education at school?, and how is the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adolescents and their science teachers for school outreach programs at science museum?, forth, how were the school outreach programs develop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8 middle-school students and 40 science teachers from 6 schools at Seoul, Kyung-gi and In-cheon, which are choiced randomly. The methods of research are the analysis of science museum homepages on web, interviews with officials and researchers at science museum, and the surveys of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Through web pages of two national science museums in Korea, the only program for adolescents is 'Meet Scientists in a Science Museum'. Education officials explained the reason lacking adolescent programs at science museum as the deficiency of their requirements. In contrast to national science museum in Korea, the science museum in England has school outreach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Exploratorium in USA provides a lot of educational programs to adolescents. The results of survey for adolescents are as follows; Adolescents lacked outdoor activities of science(15.3~16.9%). They were interested in science(59.7%) but recognized it difficult(34.5%). High interest in school outreach program at science museum was observed(65.3%), and interested programs were practical science(65.9%) and textbook science(39.6%). Attendance in school unit(75.6%) was more preferred at school outreach programs than that in individuals(23.7%). Science teachers in survey requred direct participation in designing(60.0%) and instructing(50.0%) of school outreach programs with curators. The teachers also prefer to attend the programs at school(72.5%) rather than go to science museum(27.5%). The teachers and adolescents selected the capters for school outreach programs, which are difficult for doing experiments in schools because of unequipp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chool outreach programs should include textbook sciences and practical sciences, and the programs must be developed not only by curators but by teachers and curators. Second, the place for running of programs should be both schools and science museums. Third, the managers of programs should be teachers supported by science museum, and the instructors of programs should be teachers as well as curators. Forth, the previous aquisition of programs should be via web site or direct visiting to science museum. It should be also considered for science teachers to provide experimental movies and manuals. The programs of science museum have been developed by the officials or researchers in science museum without survey for spectators'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In consequence the program developers put value on the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and they cannot find the solution about the absence of programs for adolesc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school outreach programs of science museum to take adolescents into science museum and to assist their concern for science. In conclusion, the science museums's outreach programs visiting schools(such as moving museum) should be considered, and the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science museums.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network should be constituted on the web site(homepage of science museum), as the direct visiting to science museum is hard. This study suggested the fundamental way for science museum to become a adequate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by increasing its visitors from infants and children to adolescents.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of adults in science museum should be considered for further study. 과학관은 과학관학적으로 가치 있는 전시물에 대한 교육, 작동 전시물을 통한 과학원리 이해에 대한 교육 뿐 아니라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윤리 문제까지 다루는 곳으로써, 유아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일반 시민을 위한 평생교육의 장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이러한 국민 과학평생교육 기관으로서 우리나라 국립과학관은 유아 및 아동에 비해 청소년과 일반 시민을 위한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학교에서의 과학관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인해 과학관 활용도가 낮을 뿐 아니라 과학관 전시내용과 프로그램들이 관람객들의 수요에 맞춰 계획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과학관의 평생 교육적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한 방안으로,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과학관(국립서울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의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은 어떠한가? 둘째, 외국과학관(국립영국과학관, 미국 익스플로라토리움과학관)의 청소년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은 어떠하며 시사점은 무엇인가? 셋째, 청소년 과학교육 현황과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청소년과 과학교사의 인식 및 선호도는 어떠한가? 넷째,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에 위치한 중등학교 6곳의 3학년 학생(308명)과 이들의 과학교사(40명)이며, 연구방법은 과학관 홈페이지분석, 과학관 교육담당자와의 인터뷰, 청소년과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국립과학관(국립중앙과학관과, 국립서울과학관)의 청소년 대상 상설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 대상 상설 교육프로그램은 국립서울과학관의 '과학명사와의 만남' 뿐이었다. 이렇게 청소년 상설 교육프로그램 부재에 대해 국립과학관의 교육담당자와의 인터뷰 결과 이들 프로그램이 없는 이유는 과학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 수요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외국 과학관의 청소년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해 본 결과, 영국국립과학관은적은 프로그램을 가지고도 학교와 연계해 과학관에서 학교를 찾아가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미국 익스플로라토리움은 체험형 과학관으로써 연령에 따른 구분 없이 다양한 수준의 체험활동을 제공함으로써 과학을 일상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흥미를 유발하고 과학을 친근하게 생활 속에서 느끼도록 하고 있었다. 국내 과학관의 청소년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외국 과학관의 프로그램 운영을 참고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과 중학교 과학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학교 밖 과학활동 경험이 적은 것(15.3~16.9%)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과목에 대한 흥미는 가지고 있지만(59.7%) 과학을 다소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35.4%)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며(65.3%),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실용과학(65.9%)과 교과과학(39.6%) 이었다. 프로그램 참여 방법은 개인단위로 참여하기(23.7%)보다는 학교단위로 참여하기(75.6%)를 원했다. 중학교 과학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과학교사들은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과학관 전문연구사와 함께 직접 개발에 참여하기(60.0%)를 원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도 과학관전문지도사와 함께 지도하기(50.0%)를 원했다. 그러나 프로그램 진행에 있어 과학관을 직접 방문해서 하는 방식(27.5%)보다는 과학관에서 학교를 찾아가 진행하기(72.5%)를 원하고 있었다. 중학교 교과 과정 단원 중 과학교사와 청소년이 실험 또는 실물 수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단원을 비교·분석한 결과, 이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단원은 물리와 지구과학 영역의 경우 학교 내 장비로 관측을 하기 어려운 실험들을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으로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과학관-학교 연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안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관-학교 연계 프로그램 내용은 과학교과와 실용과학이 포함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개발 방법은 과학관 단독이 아닌 과학교사들과 연계해 공동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프로그램 실행 장소는 과학관에서뿐 아니라 과학관에서 학교를 찾아가 운영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 운영은 과학관에서 교사들을 보조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프로그램 지도는 과학관 전문지도사 단독 또는 교사와 함께 지도한다. 넷째, 교사들의 프로그램 내용 사전습득 방법은 과학관홈페이지를 통해서나 과학관 직접 방문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그 외 주관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과학관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실험 시연 프로그램을 동영상으로 제공하고 과학교사를 위해 학습 지도안을 탑재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근로자의 지위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요인 고찰

        박영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Urging workers to receive lifelong education is one of sure ways to boost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as well as their own. To make it happen, what motivates them to take lifelong education and what deters them from doing that should be gras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tatus of workers to what made them receive and keep away from lifelong education, as their status seemed to affect i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Ⅰ. Does the status of work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lifelong-education motivating factors? Ⅰ-1. Does their socioeconomic statu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lifelong-education motivating factors? Ⅰ-2. Does their status as a worker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lifelong-education motivating factors? Ⅰ-3. Does their demographic statu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lifelong-education motivating factors? Ⅱ. Does the status of work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barriers to lifelong-education? Ⅱ-l. Does their socioeconomic statu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barriers to lifelong education? Ⅱ-2. Does their status as a worker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barriers to lifelong education? Ⅱ-3. Does their demographic statu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barriers to lifelong education?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were conducted.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covered the status of workers, lifelong-education motivating factors and obstacles to tha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25 worker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1.5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x^(2) tes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employed. 57.1 Percent of the workers investigated received lifelong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bou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connections their status and lifelong-education motivating factors, how their socioeconomic status affected them was checked. And it's found that the workers whose household income was smaller were more driven by their own needs for social contact. And those whose household income was larger were more motivated by external expectation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By education, the workers who received junior-college education were more affected by their own needs for social contacts. The less-educated workers were more driven by their own needs for community service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and the better educated workers were more motivated by their own cognitive interest.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As to the influence of their status as a worker on lifelong-education motivating factors, whether the kind of employment affected their lifelong-education motivating factors was examined. And the temporary workers were more affected by their needs for professional advancement than the regular ones, and the latter was more encouraged by their cognitive interest than the former.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By company size, the workers at small companies were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needs for social contacts, social stimulation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The employees of large corporations were more significantly driven by their cognitive interest. By type of occupation, the workers in production post were more significantly encouraged by their needs for social stimulation, and the sales people were more significantly driven by their needs for community service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By Position, the lay employees and deputies were more affected by their needs for social contacts, and the chiefs and employees of higher Position were more influenced by their needs for community service. The lay workers were more significantly motivated by their needs for professional advancement, and the deputies and employees of higher position were more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ir cognitive interest.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their demographic status and lifelong-education encouraging factors, the men were more driven by their needs for social contact than the women, and the latter was more affected by their needs for social stimulation.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By age, the younger people were more encouraged by their needs for social contact, social stimulation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and the older ones were more influenced by their needs for community service, external expectations and their cognitive inter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Overall, the older workers were more significantly motivated to receive lifelong education. Second, as for relations between the status of the workers and their lifelong-education obstacles, their household income, which was a barometer of socioeconomic status,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lifelong-education barriers. Situational barriers were widespread more significantly among the better-educated workers. Concerning the impact of their status as a worker, the irregular workers were confronted with institutional barriers more significantly, and the company size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lifelong-education barriers. By type of occupation, situational barriers were more significantly common among the office workers and those in R&D posts. By Position, the heads faced situational barriers more significantly. By demographic status, their sender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lifelong-education obstacles. By age, those who were in their 30s were confronted with more situational barriers, and dispositional barriers were more significantly common among the older workers. In general, the workers who were in their 80s were confronted with more lifelong-education barriers,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 age groups was significant.

      • 평생교육 시범학교의 지속요인에 관한 연구

        김명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1999년 평생교육법 제정이후 지역사회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많은 평생교육 시범학교가 운영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평생교육 시범학교가 지정기간이 끝남과 동시에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유명무실해지고 있으며 그 이유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많지 않았다. 그리고 학교 평생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양적인 연구로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이기 때문에 원인분석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아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평생교육 시범학교 지정기간이 종료된 후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계속해서 운영되는 학교의 경우 그 요인이 무엇인가에 대해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사례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 시범학교 지정기간이 종료된 후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이 지속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상의 구체적인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평생교육 시범학교 지정기간 이후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학교의 역할과 과제는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질적 연구방법으로 참여관찰과 면접법을 주로 사용하였고, 평생교육 시범학교 지정기간이 종료된 후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지속되는 학교와 지속되지 않는 학교의 운영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평생교육 시범학교 지정기간이 종료된 후에도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지속되는 요인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교장 및 교감의 적극적인 관심과 추진이 뒷받침 되고 있었다. 둘째, 학교교육과정에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요구를 반영하여 계획하고 있었다. 셋째, 평생교육 운영 담당자가 평생교육 운영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와 자세를 지니고 있었다. 넷째, 평생교육 강좌의 수강생으로 학부모가 아닌 지역주민을 모집하는데 주력하였다. 다섯째, 평생교육을 위한 전용공간을 만들고 학교 여건을 조성하였다. 여섯째, 교사나 학생들을 위한 관련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그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일곱째, 평생교육 시범학교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로 수강생을 확보하고 수강생이 최소의 부담으로 여길 정도의 수강료를 처음부터 받았다. 여덟째, 중간관리로 강좌관리, 수강생 관리를 철저히 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상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교 평생교육에 대한 정부의 재정적 지원이 부족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가가 없었다. 셋째, 학교장 및 교사들의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였다. 넷째, 수강생 확보가 어렵고 수료율이 저조하였다. 다섯째, 평생교육 시범학교 지정기간이 종료된 후 지속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여섯째, 각 평생교육 시범학교의 특성을 찾기 어려웠다. 일곱째, 평생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기 위한 평생교육과 관련된 연수나 세미나가 없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결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학교의 역할과 과제를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첫째, 학교장 및 교사들이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지역주민이 언제든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가 개방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평생교육을 위한 전문 인력이 배치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 평생교육 운영과 관련된 내용의 연수가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는 지역사회 평생교육 관련 기관과 네트워크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평생교육 시범학교의 지정기간이 끝난 후에도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지속될 수 있고, 나아가 지역사회에서 학교 평생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 노력해야할 다음과 같은 문제를 논의하였다. 첫째, 학교교육과정에 학습자들의 평생교육 요구를 반영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둘째, 학교장 및 교감은 학교 평생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의 제고이다. 넷째,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 방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다섯째, 평생교육 시범학교 운영 단계에서 학습동아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학교 평생교육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학교에서 평생교육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따라야 한다. 둘째, 학교 평생교육 운영에 관련된 각종 연수가 있어야 한다. 셋째, 학교에 평생교육 전문가로 평생교육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에 평생교육을 위한 전용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과 연계하여 특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Since the lifelong education law established in 1999, Many lifelong education model school were conducted to rev up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existed only in name. There is not many researches for that reason. And most of research for the school lifelong education in the past was quantitative research. Researches in the past were not analysis occasion but general and composite. Therefore this research would like to study specifically and deeply the continuous factor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the model school after the designated period. To acquire above research purpose, subjects was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ain factor of continu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 in the model school after designated period? Second, What is the problem of the lifelong education in the model school in operation? Third, What is the role and subject of school for the continuous lifelong educa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usually use participation & observation and interview method a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is study compare and analyze between the school continu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ter designated period and not one. In research consequence, the continuous factors of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supproted by school principal's and manater's vigorous interest and promotion. Second, school plans the education course with reflection of community resident's request. Third, person in charge has active attitude to the lifelong education operating. Forth, they concentrate to recruit the student not parents but local resident. Fifth, they constitute school condition and make up exclusive use space for the lifelong education. Sixth, they lead in voluntary teacher and student's particpation by opening the program for them. Seventh, they procure the students by active promotion for the lifelong education in the model school and take the minimum tuition from the beginning. Eighth, they managed exhaustively lecture, student management as an intermediate management. Also, as the consequence of research, confirm the problem in operation in the lifelong education model school as belows; First, deficiency of authority's financial support to the school lifelong education. Second, there is no expert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Third, deficiency of school principal's and teacher's interest for the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model school. Forth, difficulty in procure student and low course completion. Fifth, discontinuance of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after designated period. Sixth, we could not fou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 model school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 Seventh, there is no training program and seminar related lifelong education model school operating. On the consequence, studied the role of school and subject for the continu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 operating. First, It is necessary school principal and teacher's interest to lifelong education. Second, school should open to local resident to use anytime. Third, expert manpower should arranged for the lifelong education. Forth, it is necessary the training program including school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Fifth, school should set up the network system and authority related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Through analysis, this research mentioned the subjects to continue opera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 after designated period. and endeavor to activate school lifelong education in the community. First, school education course should planned with reflection the request of students. Second, school principal and teacher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chool lifelong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aise of teacher's interest for the lifelong education. Forth, it is necessary to raise of the lifelong education model school operation method. Fifth,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learning circle in the lifelong education model school operating steps. At last, this research suggest factors for continuous school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in the community. Firs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followed for the continuous school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Second, training program should be prepared related school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Third, adult and continuing educator should arranged as school lifelong education expert. Forth, the place exclusive use should be prepared for lifelong education in school. Fifth, special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connected with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authority should be oper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