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인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동사적 표현구조 교육 연구

        Tomomi, Miyajima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의 표현구조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문장을 구사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한 내용 및 방법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통사구조의 차원에서는 매우 유사하지만, 표현구조의 차원에서는 차이가 있다. 표현구조의 차원이란, '표현'에 초점을 두고 '그 언어답거나 자연스러운지'를 중요시하는 접근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표현구조 차이 중 특히 한국어의 동사적 표현구조와 일본어의 명사적 표현구조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관련된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 언어 간 표현구조의 차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고, 실제 교육 현황을 확인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한국어가 동사를 선호하고 일본어가 명사를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마다 연구 대상을 다르게 분류하여 분석하였기에 각 연구 간의 비교 대조가 어렵고, 대부분의 연구가 원서와 번역본 상의 표현의 차이를 분석함에 그친 채, 학습자들이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지에 대한 논의까지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각 언어 간의 표현구조의 차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한국어 학습에 적용하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양 언어 간 표현구조의 차이를 재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아울러 일본 내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재에는 표현구조에 대한 언급을 볼 수 없었고, 교사는 각자의 재량에 따라 해당 내용에 대한 교수 여부를 결정하였으며 체계적이거나 필수 내용으로 다루고 있지 않았다는 점에서 표현구조의 차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재분류한 표현구조의 차이에 대하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어느 정도로 인식, 활용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재분류한 유형별로 대표적인 문장을 두 개씩 추출하여 번역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표현마다 자연스러운 번역을 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수준별 차이도 볼 수 있었다. 또한 자세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사후 인터뷰에서도 양 언어 간 표현구조의 차이에 대하여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습자는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그 차이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던 학습자가 자연스러운 표현을 사용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도 표현구조의 차이에 대해 교육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유형별로 교육 순서를 고찰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일 동사적 및 명사적 표현구조에 대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을 마련하였다. 번역 테스트 결과에서 교육 순서를 고려하여 PPP모형을 이용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한국어의 동사적 표현구조 교육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표현구조의 차이라는 차원에서 언어 학습에 접근하여 그 이론적 배경과 현황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해당 주제에 대한 일본인 학습자의 사용양상 및 인식과 기존 학습법의 한계를 파악하여 새로운 교육 방법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and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for intermediate Japanese students by having them understood the expression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and thus by enabling to articulate naturally with more accuracy and fluency.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are very similar in terms of its syntactic structure. However, the expression structure shows meaningful difference. Study of expression structure concerns whether an expression is considered natural in the language by focusing on the way of expression and representa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verb-centered expression structure of Korean and noun-centered expression structure of Japanese. The cor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established regarding the difference in expression structure of both languages and the needs of this study is confirmed by reviewing the present education condition. Previous studies reassured that Korean language prefers representation with verb and Japanese prefers that with noun. However, individual studies cannot be compared and/or contrasted to each other in meaningful ways since each study categorized the object of its study differently. Further, although each study has analyzed the difference in representation of the original language and translation, there are no discussions on how the differences are recognized and applied by the students in their learning.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re-categorized the object, analyzed Korean textbooks in Japan, surveyed Korean teachers only to find out that no textbook has any contents on the difference of the expression structure and teachers decided to include the difference into their curriculum at will. Second, with re-categorized object standard, Japanese students’ level of recognition and application regarding the expression structure is researched. The translation test of two typical sentences of each category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accurate and/or natural translation for each category by different level of the students. The post interview of the students also showed that there are few students who were aware of the difference of expression structure. The fact that those a few students who already knew the difference could translate better also tells that systematical approach for teaching the difference is vouched and the order of teaching of each category is determined. Third, based on the analysis mentioned above, this study has suggested the methodology and educational contents for expression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which reflected PPP model considering the order of teaching determined by the result of the translation te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has confirm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sent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difference in expression structure of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and that it has suggested a new methodology that supplements the shortcoming of previous teaching technics for Japanese students.

      • 중국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콘텐츠 분석 연구 : 중국인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주약원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콘텐츠에 대한 이용 현황 및 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 콘텐츠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의 소셜미디어 중에 교육적 가치가 비교적 높은 플랫폼 비리비리(Bilibili)에서의 8개 한국어교육 채널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비리비리의 사용 경험이 있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와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비리비리에서의 한국어교육은 풍부한 학습 자원, 다양한 콘텐츠 구성, 높은 학습 내용 접근성, 경제적인 한국어 학습, 중국인 학습자 커뮤니티 형성, 유용성에 대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인식 등으로 차별화된 교육적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특정 영역의 콘텐츠 부족, 한국어로의 교수언어 및 자막의 부족, 평가와 학습 자료의 부족, 지속적인 학습자 피드백 관리 부족 등의 문제점은 개선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콘텐츠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개선 및 개발 방향에 대해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ge status and demand for Korean education content using social media for Chinese Korean learners, and to analyze Korean education content and draw implications based on this. To this end, eight Korean education channels on Bilibili, a platform with relatively high educational value among social media in China,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1 Chinese Korean learners who had experience using Bilibili. Analysis criteria were se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survey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Korean education in Bilibili has differentiated educational significance with abundant learning resources, diverse content composition, high learning content accessibility, economical Korean learning, formation of a community of Chinese learners, and learners' positive perception of usefulness. However, problems such as lack of content in a specific area, lack of teaching language and subtitles in Korean, lack of evaluation and learning materials, and lack of continuous learner feedback management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absence of stud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using Chinese social medi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nducting research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social media.

      • 대학 내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연구

        김현수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에 재직 중인 외국인 교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연구이다. 현재 글로벌화를 내세워 국내의 많은 대학은 외국인 교원 영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정부도 이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어 외국인 교원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직장에서 업무활동이나 강의활동에서 영어를 비롯한 모국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지라도 모국어의 사용만으로는 한계를 느끼고 한국어가 요구되고 필요한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한국인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인들과의 사회적 관계의 형성도 중요하므로 한국어 학습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 재직 중인 외국인 교원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에서의 한국어 사용의 상황과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생활 속에서 이들이 요구하는 한국어 학습의 형태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한국어 교육 교수요목 설계를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방향을 제시하고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특수목적 언어이론과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이론을 찾아보고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분류에 대해 정의하고 현재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학습자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앞 장의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외국인 교원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 학습 경험 및 사용 현황과 그들이 필요로 하는 한국어 사용 과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외국인 교원이 일상생활과 직장생활에서 의사소통과 사회적 관계 향상을 위해 한국어 학습이 필요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위해 언어기능별 필요성의 정도를 조사하였고 수업형태, 수업시간, 수업주제 등으로 나누어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의 학습자 요구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학습 단계와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의 구체적 설계를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의의를 확인하며 본 연구에 대한 한계점을 밝히고 앞으로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 내 외국인 교원들은 일상생활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관계 향상, 직장문화의 이해를 위해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것을 우선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일상생활의 의사소통 기능과 직장생활의 사무활동 영역에 대한 한국어 사용 요구가 크고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 비해 읽기 영역에 대한 학습요구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요구조사와 그 결과를 반영한 교수요목은 대학 내 외국인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방향 설정을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이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인 외국인 교원을 위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K-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수업 방안 연구 : '사랑의 불시착’을 중심으로

        정선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K-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을 문화교육 자료로 활용하여 한국어 언어 교육과 문화교육을 통합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OVID-19 속에서도 한국의 경제 성장과 위상은 전보다 훨씬 높아지고 있다. 이는 한국의 콘텐츠인 K-팝, K-드라마, 영화, 음식 등 한국문화가 전 세계로 확대되고 있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한국어교육 학습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어 학습의 어려움으로 중도에 포기하고 돌아가는 유학생 또한 늘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한국어를 끝까지 학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K-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을 문화교육 자료로 활용하였고, 드라마 내용을 발췌하여 언어문화, 생활문화(전통문화)와 정치․사회 문화(제도문화)로 나누어 자료를 만들었다. 한국 문화교육 중 정치‧사회 분야인 남‧북한의 시대적 배경을 제시하였고, 한국 사회의 현 정서를 한국어 고급 단계 학습자들에게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사회의 정치‧사회 분야의 현실과 근현대사를 공부함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해 더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내용을 이해하여 한국어를 유창하게 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K-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내용 중 문화와 관련된 부분을 드라마 기준에 의해 선정하였고, 언어의 4 기능 영역과 문화교육이 통합된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기술하였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한국 문화교육, 영화‧드라마 활용 교육, 남‧북한 이해 교육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한국어 문화교육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 검토에서는 대부분 초급,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영화, 드라마를 활용한 연구가 많았지만, 정치‧경제‧사회 분야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그래서 한국어 고급 단계 학습자에게 필요한 남‧북한 정치 상황을 제시하기 위해 K-드라마의 ‘사랑의 불시착’의 자료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 문화교육을 위해 한국문화교육의 의의, 필요성, 문화의 범주를 연결하여 제시하였으며, K-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드라마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사랑의 불시착’을 선정하기 위해 드라마의 선정 기준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드라마 선정 기준에 의하여 K-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을 선정한 이유를 언급하였고, ‘사랑의 불시착’ 드라마 작품을 소개하였다. 선정된 K-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이 담고 있는 교육적 요소를 언어문화, 생활문화(전통문화)와 정치․사회 문화(제도문화)로 나눠 문화교육 요소를 분석하였다. 언어문화에서는 남․북한의 어휘 비교, 생활문화에서는 드라마 속의 남‧북한의 생활 모습을 비교함으로써 현 경제 상황 비교와 생활 속에 담긴 한국 전통 음식인 김장‧김치, 비빔밥, 국수를 간단히 소개하고, 한국 음식을 한국어 수업에서 직‧간접 체험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많은 한국 전통 음식 중 가장 대중적이고 인기 있는 김장‧김치, 비빔밥, 국수에 대한 설명은 부록에서 더 자세히 제시하였다. 정치․사회 문화 영역에서는 남‧북한 상황의 시대적 배경을 언급하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의 현 상황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사랑의 불시착’드라마에서 교육내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면들을 발췌하여 수업에서 활용함을 언급하였다. Ⅳ장에서는 K-드라마를 활용한 문화교육 교수‧학습 지도 방안으로 한국어교육과 한국어 문화교육을 통합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통합적 문화 수업 모형으로 4단계인‘준비 단계 - 시청 전 단계 - 시청 단계 - 시청 후 단계’를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으로는 ‘도입 - 제시 및 연습 - 활용 – 마무리’ 4단계로 제시하였으며, 수업 지도안은 생활문화와 관련된 드라마 내용을 발췌하여 4차시 수업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자료로 대본, 어휘, 토의‧토론 주제를 제시하였다. 정치․사회 영역에서도 같은 맥락인 4차시 수업의 연속 차시로 구성하였다. 통합적 기능의 교수‧학습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여 현장에서 효율적인 수업이 되고 이를 통해 한국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루하고 어려운 정치‧사회 문화 영역에서 흥미를 잃지 않기 위해 로맨틱하면서도 코믹한 요소와 한국의 분단된 현실 내용을 담고 있는 K-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을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지속적인 한국어 학습이 되도록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수업에서 정치‧사회 문화 영역은 지루한 부분으로 현장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정치‧사회‧경제 문화 영역을 수업 자료로 활용하였고, 교수‧학습안에서‘자국의 문화와 비교하기’, ‘토의‧토론하기’, ‘음식 직접 체험하기’, ‘박물관 견학하기’, 등의 한국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토의‧토론’ 활동을 강조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문화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고급 단계 학습자들의 한국어 실력이 향상될 수 있는 방안이 되도록 하였다. 한국어교육 학습자들이 한국인과 자연스러운 토의‧토론을 함으로써 한국 생활을 잘 유지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 대학에서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정책 적용 현황 연구 : 대학 입학 전형 및 입학 후 한국어교육 지원을 중심으로

        전지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problems and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after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application of the poli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at universities that have received the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As a result, the current status of the evaluation method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the admission process of universities that received the first International Edu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was analyzed based on the Ministry of Education's "Standard Work Processing Guidelines for Foreign Students and Language Traine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andard Work Processing Guidelines"). Next, the status of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admission of universities was analyzed, and the actual perceptions and demands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foreign students at universities in the future was intended to be presente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evaluation method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the admission process of 10 universities, more than half of universities did not follow recommendations related to the admission evaluation of the "Standard Work Processing Guidelines". And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admission of 6 universities showed that all universitie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Work Processing Guidelines," offering a variety of Korean language courses for foreign students, and the level of TOPIK required for this lecture was stricter than the level of TOPIK required by international students at the time of admission. In addition to regular subjects, some universities were also offering programs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In addition, all universities were operating various types of mentoring programs and counseling to help international students adapt under the "Standard Work Processing Guidelin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main results of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oreign students are as follows. International students were having the greatest difficulty in the area of Korean speaking in Korean langauge lectures, and the demand for the expansion of the time for speaking practice in Korean language lectures, and the demand for speaking practice through discussion could be understood. In addition, it became difficult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write academic articles, and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lectures for academic writing practice, the demand for correction, and the demand for lectures on genre-oriented and content-oriented writing could be recognized. Finally, it was very difficult for some international students whose Korean language was learn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were not high to keep up with the lectures. In addition,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the opening of the program of writing guidance, and international students wanted to receive programs in the form of writing guidance that were less limited in time and space and to receive corrections for a sufficient amount of time.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program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mentoring programs was not high, and the lack of publicity for mentoring programs was found. In addition,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counsel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the problems of the use of Korean language, how to solve them, and how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it was necessary for multicultural counselors to be deployed.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e above surve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appl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foreign stud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the evaluation of the admission to a university are as follows. More than half of the 10 universities had the problem of failing to comply with the "Standard Work Processing Guidelines" when evaluating the admiss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Standard Work Processing Guidelines" were proposed that the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hich is recommended to universities when the admission of foreign students is evaluated, should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managemen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for students below a certain level be systematically strengthened. Finally, a separate evaluation tool was provided to allow the ability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ability of basic learning to be measured, and it was proposed that this sh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evaluation of the admission of the "Standard Work Processing Guidelines." Nex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which universities after admission are applied to international students, wer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nternational students were having difficulty in the area of speaking Korean and writing academic reports in Korean language lectur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ecture on Korean speaking and writing was proposed for foreign students to whom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hat the university open an additional online writing guidance program and provide it to international student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the promotion of mentoring programs be strengthen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ow participation rate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mentoring program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systematic Korean language learning mentoring programs at the university level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mentoring programs. Third, such counseling was not conducted well compared to the high demand for counseling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international students. Therefore, the university proposed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experienced positions)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will be assigned to the counseling center, that appropriate remuneration will be provided to Korean language teachers in charge of counseling, and that various programs will be provided so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can be capable of counseling. 본 연구는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을 받은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정책 적용 현황을 조사한 후 문제점을 밝히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교육부의 <외국인 유학생 및 어학연수생 표준업무처리요령>(이하 <표준업무처리요령>)을 바탕으로 우선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을 받은 대학들의 입학 전형에서의 한국어 숙달도 평가 방식 현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대학들의 입학 후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유학생들의 실제적인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에서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0개 대학들의 입학 전형에서의 한국어 숙달도 평가 방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과반수의 대학들이 <표준업무처리요령>의 입학 심사와 관련된 권고 사항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6개 대학들의 입학 후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모든 대학은 <표준업무처리요령>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강의를 개설하고 있었으며 한국어 강의 필수 대상자의 TOPIK 수준이 입학 시 유학생들에게 요구하는 TOPIK 수준보다 엄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대학에서는 정규 교과목 외에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도 개설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대학들은 <표준업무처리요령>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멘토링 프로그램과 유학생의 적응을 돕기 위한 상담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한국어교육 지원 현황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을 진행한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학생들은 한국어 강의에서 말하기 영역을 가장 어려워하고 있었으며 유학생들의 한국어 강의에서의 말하기 연습 시간 확대에 대한 요구, 토론을 통한 말하기 연습에 대한 요구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학생들은 학술적인 글을 쓰는 것을 어려워하였으며 유학생들의 학술적인 글쓰기 연습을 할 수 있는 한국어 강의에 대한 요구, 첨삭에 대한 요구, 장르 중심 및 내용 중심 글쓰기 강의에 대한 요구를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를 학습한 기간이 짧고 한국어 숙달도가 높지 않은 일부 유학생들은 강의를 따라가는 것을 매우 어려워하였다. 그 외에도 글쓰기 지도 프로그램 개설에 대한 유학생들의 요구가 컸으며 유학생들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 형태의 글쓰기 지도 프로그램이 개설되고 충분한 시간 동안 첨삭을 받기를 원했다. 또한,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유학생들의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가 높지 않았으며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어 사용 문제의 고충과 그 해결 방안, 한국어 능력 향상 방법 등과 같이 한국어교육에 관한 유학생들의 상담 요구가 컸으며 다문화적 감수성을 갖춘 상담 선생님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정책 적용 현황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학의 입학 허가 심사 시 한국어 숙달도 평가 방식 현황과 관련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대학들이 유학생들의 입학 허가 심사 시 <표준업무처리요령>을 잘 준수하지 않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표준업무처리요령>은 외국인 유학생 입학을 심사할 때 대학에게 권고하는 한국어 숙달도 평가 기준을 대학의 교육 환경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특정 급수 이하의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관리를 체계적으로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문 목적의 한국어 능력 및 기초 학습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평가 도구를 마련하여 이것을 <표준업무처리요령>의 입학 심사 시 기준으로 삼을 것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입학 후 대학이 유학생들에게 지원하는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총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유학생들은 한국어 강의에서 말하기 영역과 학술적인 글을 쓰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립러닝을 적용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 및 쓰기 강의를 개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대학은 온라인 글쓰기 지도 프로그램도 추가로 개설하여 유학생들에게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유학생들의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멘토링 프로그램 홍보를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인 한국어 학습 멘토링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지침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유학생들의 한국어교육 관련 상담 요구가 큰 것에 비해 이와 같은 상담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은 상담센터에 한국어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원(경력직)을 배치하고 상담 업무를 맡는 한국어 교원에게 적절한 보수를 제공하며 한국어 교원이 상담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할 것을 제안하였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화교육 방안 연구 : -한중 혼례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장림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고급 수준의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중 양국 혼례문화를 비교하고 현재 양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통합 교재에서 제시된 혼례문화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 혼례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한국어의 언어적 지식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도 필요하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 같은 경우에는 다른 나라의 문화를 학습할 때는 문화 차이로 인한 문화적 편견이나 문화적 저항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화교육이 필요하다. 문화교육에서 혼례문화를 통해서 그 나라 혹은 그 민족의 종교 신앙과 가치 취향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로는 혼례문화는 오랫동안 내려와서 그 나라의 역사문화와 풍토인정을 포함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 중에는 관용어와 같은 문화 배경을 모르면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혼례문화교육은 한국의 국가의 정서와 가치에 대해 알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고 올바른 한국어를 사용하기 위한 언어적 지식의 습득을 위해 필요하다. 이상의 두 가지 이유로 보면 혼례문화 교육이 한국어 교육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효과적인 한국 혼례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방안을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2장에서는 한·중 양국 혼례의 진행절차, 혼례 복식, 혼례 음식 등을 비교연구를 통해서 중국인 학습자가 느낄 수 있는 양국 혼례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였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나타내는 원인을 도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한국혼례문화를 활용한 교육방안에 활용할 혼례문화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한·중 양국에서 널리 쓰이는 통합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혼례문화 교육 양상을 분석하여 보았다. 현행 한국 혼례문화 교육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먼저 한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합 한국어 교재 4권과 중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합 한국어 교재 2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재마다 혼례문화가 제시된 단원 내용 및 구성을 검토하여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혼례문화 교육내용이 무엇이 있는지, 어떻게 교육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교재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는데, 먼저 중국에서 사용되는 교재의 문제점으로는 언어 지식을 파악하는 데에 치중한다는 점과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문화 배경지식이 부족하다는 것과 주제와 관련 있는 문법 예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4장에서는 혼례문화를 활용한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방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고급 수준의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수·학습 교육방안을 3차시로 제시하였는데,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차이에 대한 자신의 문화 태도 및 문화 견해를 갖는 것을 목표로 교육방안을 설계하였다. 이 교육방안은 효과적인 학습 과정을 위해서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학습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한국 혼례문화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교육방안을 설계하였다. 언어적 지식과 문화 지식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이해를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 부정극어 유의어 교육 연구

        조방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Korean, there is a type of adverb called 'negative polarity item' used in negative sentence with negatives such as '안', '못', '못하다', '않다' or '아니다'. These adverbs show meaningful proximity so that it is difficult for foreigners Korean learners to distinguish and use these synonymous negative polarity items correctly. Negative polarity item are all belong to the category of 'negative', but each word has subtle meaning difference and different syntactic and pragmatic constraints. Therefore, Korean learners may feel burdened and show limited use of only representative negatives or not using them evasively. Education on the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of negative polarity items is essential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accurate and diverse vocabulary skills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utterance intentions. However, so far prior studies had only mentioned that negative polarity items in Korean show synonymous relation, but it has failed to systematically discuss differences in synonymous negative polarity items and raise educational pla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o help Chinese Korean learners have the ability to discriminate and use synonymous negative polarity items correctly. In Chapter Ⅱ, this study reviewed the scope of negative sentences and negatives which are controversial in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negative polarity item, and summarized the concept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gative polarity items based on such discussion. Then, according to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declared in this paper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negative polarity item were identified, and the list of educational negative polarity items were also extracted based on prior researches and SJ-RIKS corpus. Based on the thesaurus and korean dictionary the subject of this study, '도저히-도무지-전혀', '결코-절대로', '별로-그다지-그리' were determined. Next SJ-RIKS corpus were used to derive the difference of the three set Korean synonyms of negative polarity items in terms of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Based on Chapter II, Chapter III conducted a survey and post interview to examine and compar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on how to understand and use synonymous negative polarity items. As a result, i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And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re was a lack of education i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mong synonymous negative polarity items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distinguish negative polarity items accurately. In Chapter IV, the teaching content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results SJ-RIKS corpus analysis results and the analysis of the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perception about the synonymous negative polarity items. After revealing the educational principles and educational goals of synonymous negative polarity items the teaching sequence was also hierarchized for effective training. Then this chapter summarized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individual and the discriminatory education stages of the synonymous negative polarity items as the educational information that should be provided when educating each negative polarity item was established. Chapter V summarized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and describ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한국어에는 '안', '못', '못하다', '않다', '아니다' 등 부정소와 잘 어울리고 주로 부정문에 쓰이는 어휘 유형이 있는데 그 중 '결코, 절대로, 전혀, 도저히'와 같이 소위 '부정극어'에 속하는 것들이 의미적 인접성을 보이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에게 많은 혼란을 느끼게 한다. 부정극어는 모두 '부정'이라는 의미 범주에 속해 있으나 어휘마다 미묘한 의미 차이를 보이며 통사적, 화용적 측면의 제약도 달라 학습자들이 부담을 느끼므로 가장 익숙한 부정극어만을 한정적으로 사용하거나 회피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맥락과 발화 의도에 맞게 다양한 어휘 사용 능력을 갖도록 돕기 위해서는 부정극어들의 변별적 특성에 대한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부정극어에 관한 연구는 한국어 부정극어들이 유의관계를 보인다고 언급하는 데 그쳐, 나아가 부정극어 유의어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교육 방안을 제기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로 남았다. 본고는 이러한 부정극어 유의어 교육의 빈틈을 채우기 위하여 어휘 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어 부사 부정극어 유의어의 변별 기제를 체계화하고 이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와 모어 화자의 인식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유의관계를 보인 부사 부정극어를 사용할 때 모어 화자의 직관에 가까운 변별 및 사용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효과적인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부정극어의 개념을 명확히 규명하는 데에 논란이 되는 부정문과 부정소의 범위를 규명한 후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부정극어의 개념, 유형 및 특성에 대해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그 다음 부정극어의 개념 및 특성에 근거하여 부정극어의 판단 기준을 규명한 후 선행 연구 및 코퍼스 자료를 바탕으로 부사 부정극어의 범주 및 교육용 부사 부정극어 목록을 추출하였다. 그 뒤 유의어 사전 및 대규모 한국어 사전, 한·중 사전 등 자료에 의해 본고의 연구 대상 유의어인 '도저히-도무지-전혀', '결코-절대로', '별로-그다지-그리'를 확정한 후 유의어 변별 방법의 논의와 같이 선정된 유의어의 변별 기제를 찾아보았다. 본고에서는 SJ-RIKS 코퍼스 확장판을 활용하여 각 부정극어의 의미성분, 다양한 부정표현과의 결합 양상 및 빈도, 실제 상황 맥락에서의 화용적 기능을 다루며 의미, 통사, 화용적 측면에서 유의어의 변별 기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의 부사 부정극어 유의어에 대한 이해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사후 점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대조 집단은 모어 화자이다. 모어 화자의 이해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앞에서 추출된 변별 기제를 검증하고 정교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부정극어 유의어의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변별 기제의 복잡성으로 인해 모어 화자와 다른 이해 양상을 보여주며 개별 부정극어의 사용을 회피하거나 의미 규칙을 단순화하여 적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부정극어 유의어 교육의 부재로 인해 부정극어 간의 변별적 특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Ⅱ장의 코퍼스 분석 결과와 Ⅲ장의 학습자 및 모어 화자의 이해 양상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부사 부정극어 유의어의 교육 내용을 구안하였다. 부사 부정극어 유의어의 교육 내용 구성 원리 및 교육 목표를 밝히고, 더불어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제시 순서를 위계화하였다. 그 다음 제시 순서에 따라 각각의 부사 부정극어를 교육할 때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를 구축된 바와 같이 부정극어 유의어의 개별 교육 단계와 변별 교육 단계의 교수 내용을 정리하고 기술하였다.

      •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경험에 관한 재미동포의 내러티브 탐구

        함인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Clandinin &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를 기반으로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경험의 의미를 학습자의 성찰을 통한 회고적 관점에서 살펴 한국어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함의를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재미 한글학교에서 계승어 수업을 받은 경험이 있는 재미동포 2세 성인 5명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경험은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들의 삶과 미래에 어떤 맥락과 의미로 펼쳐지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반 구조화된 심층 인터뷰, 짧은 수필, 연구자의 현장 노트 및 탐구 일지 그리고 이메일 대화 등 다양한 형태의 현장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된 현장 텍스트를 시간, 장소, 사회성이라는 3차원적 공간 안에서 탐구・분석하여 긍정과 부정의 의미가 담긴 내러티브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다시 ‘배움과 성장의 밑천’, ‘가족 간 연결의 다리’, ‘한글보다 한국어교육’, ‘거부에서 포용으로의 한국어’, ‘한국어는 또 다른 외국어’라는 함축적 의미의 은유적 표현으로 기술하여 최종연구 텍스트를 구성하였고 더 나아가 개인적, 사회적, 실제적 차원으로 확대・해석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재미동포 2세 학습자를 이중언어 구사 능력을 지닌 국가의 중요한 인적 자원, 한・미 양국을 이어주는 가교이자 다문화 사회 및 글로벌시대의 주역 등 제삼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긍정적 관점과 달리 이들은 영어가 유창해도 학교와 사회에서 보이지 않는 차별과 문제를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었고 서로 다른 세계로 통하는 두 개의 문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기 위하여 언어라는 티켓 둘을 양쪽 주머니에 넣어 두고 매 순간 찰나의 선택을 자신의 이점을 위한 기회로 삼기도 하지만 주저로 인한 부담감과 이질감도 느끼고 있었다. 이는 개인적, 사회적, 실천적 상황에서 한국어 사용 시 한국인과 한인사회에 대한 수용의 조화로운 관계유지와 거부로 인한 불편한 갈등의 성향으로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부정적 성향은 다시 한국어학습 및 사용에 대한 제한・기피의 구실 결과로 이어짐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점이 바로 한국어교육에 있어 재미동포 학습자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바탕이 된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며 이에 맞는 한국어교육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바라 할 것이다. 질적연구방법론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 경험의 3차원적 입체 공간으로 들어가 내재된 이야기의 본질을 함께 탐구하고 바깥으로의 의미로 끌어내 무의미의 영역 속에서 묻힐 뻔한 이야기를 드러내고 풀어가는 과정을 통해 재미동포 2세들의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경험이 현실과 미래를 위해 어떻게 위치시키며 미래의 삶을 열어나가는지를 학습자의 목소리를 통해 전달하였고 더 나아가 그들의 내러티브를 개인적, 사회적 그리고 실제적 정당성으로 확대하여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의 중요성 및 필요성의 재인식과 미국 내 한국어교육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 결과가 재미 한글학교 운영자와 교사, 미국 내 대학의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자 그리고 한・미 양국의 교육 관계자들에게 유의미한 자료로서 공유되기를 바라며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된 한국어교육 환경의 긍정적 변화를 만드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rn about heritage language education in America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adults who have previously attended Korean language schools in America.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based on Clandinin and Connelly's narrative exploration, which was us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as a heritage language experience in retrospect to the learners’ reflection. Understanding implications on how Korean language learning has affected learners can help educators to improve and develop Korean as a heritage language learning program.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five second-generation Korean-American adults who have attended the Korean Language School in America. Semi-structured interviews, short essays, interviewer notes and research records, emails, and other modes of text were utilized. The collected texts were explored and analyzed in terms of time, place, and three-dimensional space with respect to social perspectives to produce narrative results showing either positivity or negativity. The final analyzed text was structured with the implied meanings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the basis of learning and growth", "bridge of family connec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over Hangul", "from rejection to acceptance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as a foreign language."Furthermore, relevant results were found by the expans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personal, social, and practical dimensions. Results showed that bilingualism can either become a valuable resource or a phenomenon that leads to conflict.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 social, and practical situations led to either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acceptance or conflict with the rejection of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between Koreans and within the Korean community. This negative tendency led to the reluctance and avoidance of learning and using the Korean language. It is just as if an individual has two tickets that symbolize their ability to speak two languages with them and provide access to two different doors, which sometimes they know right away which ticket they need, but also causes them to struggle and become overwhelmed at times due to being lost with which ticket to use. This show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s a careful approach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Korean-American learners and how critical the role of proper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data obtained from this research can provide essential information to Korean language institute administrators and instructors to develop effective learning programs for heritage language learners.

      • 한국어교육학에서의 연결어미 연구 동향사

        김기범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학에서 한국어 연결어미 연구의 유형별, 주제별,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연결어미에 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교착어인 한국어에는 다양한 어미들이 존재한다. 한국어의 어미에는 선어말어미, 종결어미, 전성어미, 연결어미가 있다. 본고의 연구 대상인 연결어미는 어떤 문장을 다른 문장에 이어 주는 기능을 하는 어미이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연결어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다. 이와 같이 연결어미에 관한 연구 결과들의 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나 한국어교육 연결어미 연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사 연구나 동향 분석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한국어교육학 분야에서 연결어미에 관한 연구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교육의 관점으로 진행된 연결어미와 연결어미 교육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전망하고 연구 과제도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연결어미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시대별, 논문 유형별, 연구 주제별, 연구 방법별, 연구 자료별로 분류하여 사적(史的)으로 정리하였다. 시대별 동향은 본고에서 설정한 시기를 5년 단위로 구분하여 제1기부터 제5기까지 나누어서 그 동향을 살펴보았다. 논문 유형별 동향은 학술지 논문, 석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논문의 세 가지로 나누어서 논의하였다. 연구 주제별 동향은 ‘문법 요소, 사용 양상, 교수법, 대조 분석, 기타’의 다섯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별 동향은 ‘문헌 연구, 조사 연구, 사례 연구, 실험 연구, 대조 분석, 교재 분석, 말뭉치 분석, 혼합 연구’ 등으로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자료별 동향은 ‘설문 자료, 학습자 작문 자료, 구어 자료, 미디어 자료, 문헌 자료, 교재ㆍ문법서 자료, 혼합 자료’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교육 연결어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어교육 연결어미 연구는 2000년대 초반부터 2021년 2월 현재까지 무려 10배 성장하였다. 특히 석사 학위 논문이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0년부터 급증하였다. 둘째, 연구 주제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다섯 가지의 주제(문법요소, 사용 양상, 교수법, 대조 분석, 기타) 중에서 교수법이 34%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기타 주제에서 억양을 주제로 다룬 논문들이 소수 발견되었다. 한편 기타 주제에는 교재 관련(연결어미의 기술, 설명, 번역), 연결어미의 제시 순서, 구어, 한국어능력시험(TOPIK), 연결어미의 목록 선정 등 다양한 주제들이 포함되었다. 셋째, 연구 방법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동향을 분석한 결과, 교재 분석 방법(16.1%)이 단일 방법으로는 가장 많이 나왔다. 그리고 대조 분석, 문헌 연구, 조사 연구, 말뭉치 분석, 실험 연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두 가지 연구 방법을 활용한 혼합 연구가 무려 전체의 42.4%를 차지하였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넷째, 연구 자료를 대상으로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문헌 자료가 단일 연구 자료 유형으로는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재ㆍ문법서, 설문 자료, 학습자 작문 자료, 구어 자료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 자료별 유형 분류에서도 연구 방법별 분류에서와 마찬가지로 혼합 자료를 활용한 경우가 전체의 37.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금까지 논의한 것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한국어교육 연결어미 연구에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수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2019년 12월에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방안의 개발이 시급하다. 둘째, 한국어교육 연결어미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어느 한 대상의 연결어미의 학습 과정에서 숙달도의 향상 여부, 나타나는 오류의 변화 추이 등을 집중적으로 관찰ㆍ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긴 기간을 두고 특정 대상에 대하여 진행하는 종적 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연결어미의 주제 중에서 ‘문법 요소’ 연구에도 다양화가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연결어미의 의미 기능 중에서 인과 관계에 편중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조건, 배경, 시간, 목적, 나열, 선택, 양보, 대조 등 여타 다른 의미 기능에 대한 연구도 요구된다. 그리고 이렇게 편중되는 원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다섯째, 학습자들의 연결어미 사용의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파악해 내는 데까지 진행된 연구는 매우 적다.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여섯째, 연결어미 연구의 방법과 연구 자료 면에서 더 다채로운 연구가 요구된다. 일곱째, 한국 방송에서 활동하고 있는 외국인, 한국에서 가수로 활동하는 외국인 등으로 그 연구 대상을 확대해 보려는 시도도 필요하다.

      • 한국어 단기 과정을 위한 언어문화 교재 개발 방안

        김유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of a Korean tex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oncept ‘language and culture’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the current short-term courses in Korean language programs and their textbooks. Despite the numerical increase of Korean-learners of the short-term courses, still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at are fit for the various demands and purposes of learners is not enough. The reason is that most of the current developed Korean textbooks are designed for the regular courses. The Korean education centers and Korean institutes have managed the short-term courses edit shorter or copy Korean texts for the regular course and sometimes make temporary textbooks. There is almost no textbooks developed for the short-term courses. The purpose and motive of learners on the short-term courses is to use and experience Korean and Korean culture on real communication situation for about three weeks. Therefore the short-term courses possess the characteristics that has to teach intensively what learners just need practically and efficiently.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educ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concept is reflected in the short-term courses. First of all, I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things in Korean education centers and Korean institutes focusing on how they managed the short-term courses and discussed importance and characteristics about the short-term courses. I discuss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nd language and culture textbooks in general for teaching both Korean and Korean culture efficiently on short time. For making language and culture textbooks of Korean for the short-term courses, I analyzed a textbook of Korean for the short-term courses and discussed problems and errors in that textbook. Moreover I set up language and culture categories for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content and discussed guidelines for developing language and culture textbooks on the short-term courses. Finally I presented a syllabus model and two units for showing practical plan of a language and culture textbooks for the short-term courses. 본 논문은 다양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현재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단기 과정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효율적인 단기 한국어 교육을 위해 언어문화 교육을 논하며 언어문화 교재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어 단기 과정은 한국의 국제적 위상과 한류 등의 영향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관심을 가지는 학습자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 학습자들은 보통 3, 4주 이내의 기간을 두고 한국에 체류하며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동시에 접하고자 한다. 그러나 단기 과정을 운영 중인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는 정규 과정의 교재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개작하여 교육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단기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서울, 부산 소재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과 사설 학원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단기 과정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정규 과정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단기 과정의 실태를 살피고, 단기 과정만의 의의를 밝혔다. 짧은 기간 안에 한국어와 한국 문화라는 두 가지 큰 과제를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단기 과정에서 그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언어문화 교육으로 한국어 교육을 전환해야 함을 논의했다. 그 중에서도 언어문화 교재로 범위를 좁혀 일반적인 언어문화 교재 원리를 살폈다. 본 논문은 현재 출간된 단기 과정 교재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보완점을 살피고, 한국어 초급 단기 과정을 위한 언어문화 교재 개발을 위해 언어문화 교재의 구성 상 특징과 언어문화 항목을 설정하여 교육 내용으로 삼았다. 마지막으로 단기 과정을 위한 언어문화 교재 교수요목 모형과 단원 모형을 제시하여 실제적인 교재 구성안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단기 과정을 위한 교육 과정과 교수-학습 방법, 교재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현 시점에 언어문화 교육으로 접근하여 효율적인 단기 과정 교재를 모색하고자 한 점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단기 과정에서의 언어문화 교육을 현행 한국어 교육 현장에 온전히 적용할 수 없다 하더라도 한국어 교육 연구의 일보 전진을 위해서 필요한 연구라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