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高等敎育 質 提高를 위한 效率的인 學士運營方案 硏究 : 學部制의 運營現況 및 運營成果를 中心으로

        김규호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6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 미시간대학 총장이었던 제임스J. 두 데스탯은 "21세기 大學의 變化와 挑戰은 선택사항이 아니고 필연적인 의무이다. 이 변화와 도전에 적응할 때 高等敎育의 르네상스가 도래하지만 그렇치 않을 경우 영원히 도태될 수 있다"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농업사회,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우리는 질적인 고등교육보다는 양적인 인력양성에 급급해왔다. 이젠 지식과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순환년수가 짧고 세계가 이웃으로 변해버린 교육 환경 속에서 우리 대학이 변화지 않으면 영원한 낙오자로 전락할 수 있는 것이다.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의 다양한 전공선택권을 주고 학제간 유연한 학문적 교류를 통해 활성화 될 수 있는 학부제는 지금의 시대적, 사회적 요구에서 출발했다고 해도 과연은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제가 이젠 고등교육 및 대학 학사운영의 中樞的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학부제하에서 다양한 전공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부제의 운영현황은 어떠하며, 학부제의 운영성과에 대해 실제 수요자인 학생들의 체감도는 어떠한지를 실증적으로 조사·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理論的 背景으로는 학부제의 개념, 학부제의 도입배경 및 문제점, 학부제와 전공제의 유형, 우리나라의 학부제 실시동향을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그 동안 학부제의 성과에 대한 평가분석 연구의 선행연구의 고찰해 보았다. 硏究方法으로는 학부제를 실시하고 있는 서울 소재 S대학, 수도권 소재 A대학, 지방 국립대학인 J대학에 다니는 3∼4학년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2004년 5월 중순에 設問調査를 실시하였다. 高等敎育法이 제정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專攻選擇權이 보장되어 이에 따라 학부제가 본격적으로 실시된 후, 이들이 대학을 선택할 때 학부제가 대학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는지 또는 대학에 들어와서 학부제 운영을 실제 경험하면서 전공배정, 교육과정 운영, 수업의 질, 학사지도, 대학행정의 서비스의 질 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평가하고 있는지 등을 3개 대학의 人文科學係, 社會科學係, 自然科學係, 工學係, 農·水産係 등으로 구분하여 이들 학생들을 무작위 표집하여 총 600부(각 대학별 200부×3개교)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 회수율은 80.8%(485부)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조사대상학생들의 一般的인 特性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학생들의 배경변인(성별, 학년, 전공계열, 대학소재지) 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χ^(2),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대상학생들의 배경변인 등에 따른 학부제의 실시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교육성과, 운영의 효율화방안 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 test)와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WINDOWS 10.0을 사용하였고 95%의 신뢰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학부제의 運營現況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대학을 지망할 때 學部制 실시여부와 상관없이 대학을 선택하였다는 응답이 68.7%로 가장 많았으며, 약간의 기준 또는 중요한 기준으로 삼았다는 응답은 31.3%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로는 자연과학계열 학생의 경우 41.4%가 학부제의 실시가 대학을 선택하는데 있어 약간의 기준으로 삼았다고 응답하였다.(p<.001) 둘째, 학부제 도입과정시 구성원들의 意見收斂에 있어서는 충분히 수렴한다는 6.8%, 약간 수렴한다는 46.4%, 별로 수렴하지 않는다는 46.8%로 학부제 도입과정시 사전에 충분한 의견수렴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학부제 운영에 대한 인식은 形式的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답변이 49.1%로 가장 많았고, 전공 배정시기는 1학년말에 배정을 받는다고 43.9%가 응답했으며, 전공 배정시 일부 전공학부에 치우치는 편이라고 응답(58.1%)하는 학생이 제일 많았고 비교적 고르게 전공을 배정한다는 응답도 17.5%로 나타났다. 넷째, 學點履修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受講人員 등의 제한으로 원하는 과목을 마음대로 듣지 못한다는 지적이 41.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開設科目의 부족(29.3%)으로 대학에서의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이 절실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專攻選擇시 대학으로부터의 학사지도는 전반적으로 받았다는 답변과 못받았다는 답변이 각각 36.5%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특히 사회과학계열 학생들이 다른 계열 학생들보다 학사지도를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학부제의 運營成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제 실시로 복수전공, 다전공, 연계전공, 자기설계(디자인)전공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는 응답이 3.36점으로 평균점을 넘게 나타났다. 專攻系列로는 인문계와 사회과학계열이, 대학 소재지별로는 수도권 소재 대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大學行政 및 학생활동이 學部中心으로 운영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全體的으로 3.01점의 평균점을 보여 대체로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학부제는 사회적 또는 시대적 교육환경 변화에 따라 도입한 제도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全體的으로 3.14점의 평균점을 보여 대체로 학부제 도입의 필요성을 肯定的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강의 방식의 다양성(M=2.86), 전공선택의 시간과 기회의 확대((M=2.83), 교육시설의 공동 활용도(M=2.88) 등은 평균점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으나, 교수들의 강의(수업)의 질(M=2.76), 전공분야의 충실도(M=2.75), 대학 행정서비스의 향상정도(M=2.71), 교수 면담 등 진로탐색의 도움(M=2.54), 여러 전공 학생들과 교류의 기회 확대(M=2.42), 학사지도를 통한 전공이수의 어려움 해소정도(M=2.49), 국내·외타 대학과의 교류(M=2.48) 등이 대체로 평균점보다 크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불만족스런 분석결과들을 해소하고 향후 效率的인 學部制의 운영과 정착을 위해서는 교수들의 강의(수업) 질 제고, 전공교육의 내실화, 교수 면담 등 진로탐색 확대 제공, 타 대학·학생들과의 활발한 교류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말해주고 있다. 학부제의 發展方向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제 실시 이후 강의의 效率性을 높이기 위해 가장 필요한 방안에 대해서는 강의당 受講人員의 적정화(42. 3%)를 가장 많이 응답을 하였고, 系列別로는 인문계(51.0%)와 사회과학계열(57.4%) 학생들이 강의당 수강인원이 적정하게 이루어야한다고 응답했다. 둘째, 專攻配定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는 학생들의 희망에 따른 전공 배정(51.8%)과 학생들의 희망과 성적 절충(31.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희망에 따라 전공을 배정할 때 가장 선호하는 전공방법은 학생주도설계 전공이 38.6%로 가장 선호하는 전공방법이고 그 다음으로 주문형 전공제(23.7%)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學部制의 효율적 운영 차원에서는, 대학이 강점이 있는 분야로 대학을 特性化해야 한다는 응답(M=3.65)이 평균점을 넘게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분야의 전공 또는 학과단위별 일정비율 정원모집(M=3.64), 대학 또는 단과대학에서 학생 선발권·대학 재정운영이 완전자율화(M=3.06, M=3.28), 기초학문분야를 중심으로 한 교양과목이 확대(M=3.45), 다른 대학과 연계강의 및 학점교환제도 확대(M=3.62), 복수전공의 최소전공 이수학점의 상향조정(M=3.37)에 대해 평균점 이상으로 어느 정도 동의한다고 응답하였으나, 大學 정원정책의 완전 자율화 방안(M=2.76)은 평균점보다 다소 否定的인 반응을 보였다. 이는 정원을 완전 자율화할 경우 무분별한 정원 확충, 교육시설 부족, 수강인원 과밀 등 오히려 效率的인 학부제 운영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학부제 정착을 위한 學事支援策으로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전공 및 진로지도를 위한 별도의 制度的 方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59.8%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으로 다양한 학문적 수요에 따른 새로운 강의개설(49.7%), 전공배정시 학생들의 충분한 의견 수렴(44.3%), 취업지도를 위한 정보제공 등 학교차원의 노력강화(40.2%) 순으로 나타났다.

      • 자립형 사립고등학교의 운영 개선에 관한 연구

        신정철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3

        본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 지방교육기획과가 2001년 10월 발표한 '자립형 사립고 시범운영 지침'을 근거로, '자립형 사립고' 운영 의 개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보다 현실성 있는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정하였다. 첫째, 학사운영에 관한 문제 둘째, 교원에 관한 문제 셋째, 학기제, 학년제, 수업일수에 관한 문제 넷째, 교육과정에 관한 문제 다섯째, 재정관리에 관한 문제 부산 지역 내에 시범적으로 자립형 사립고등학교를 실시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와 일반계 사립고등학교 교사 125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설문지는 SPSS Wi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χ2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에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가. 학사운영에 관한 문제 첫째, 신입생 전형 방법은 중학교 내신 성적과 필기고사, 그리고 면접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학년 당 적정학급 수에 6학급 이하가 가장 적당하다. 셋째, 학급당 적정 학생 수는 20명이 가장 적정하다. 나. 교원에 관한 문제 첫째, 교원 자격증은 필수적으로 소지해야하고, 학교장과 산학협동교사는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연수를 받아야 한다. 둘째, 교사의 계약제 도입은 대체로 찬성하는 편이고, 연봉제에 대해서는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셋째, 과원교원은 공립으로 특채해야 한다. 다. 학기제, 학년제, 수업일수에 관한 문제 첫째, 학년제 존속에 대한 견해는 당해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해야 한다. 둘째, 학년제 운영 방안에 대해서는 국민공통기본교과목을 10학년(고1)에서 이수한 후, 11학년과 12학년에서는 능력에 따라 월반을 인정해야 한다. 셋째, 수업일수에 대해서는 당해 학교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 라. 교육과정에 관한 문제 첫째, 국민공통기본교과목은 이수해야 한다. 둘째, 교과과정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되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도 감독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운영 형태에 대해서는 당해 학교의 자율에 맡긴다. 마. 재정관리에 관한 문제 첫째, 장학생 비율에 관해서는 당해 학교의 결정에 맡겨야 한다. 둘째, 수업료는 완전 자율화해야 한다. 셋째, 학교 재정이 취약한 학교는 절대로 자립형 사립고로 전환을 허용해서는 안된다. 넷째, 기부금은 교사의 자질 향상을 위한 연구, 유학, 교재 연구비 등의 지원비로 사용해야 한다. 다섯째, 자립형 사립고의 수가 증가하는 것에는 반대한다. 여섯째, 실업계·특수목적 고교의 자립형 사립고로 전환에는 반대한다. 일곱째, 자립형 사립고의 교육 프로그램과 경영방식은 재단인사, 교사, 학부모, 학교외 인사로 구성된 기구를 통해 평가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at presenting the better methods of operation in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example operation in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 which the regional department of education planning in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nounced Oct. 2001. To be more practical, I chose the following aspects for my study. The first, the operation of academic activities. The second, teachers. The third, semester system, grade system, study days. The fourth, academic curriculum. The fifth, finance management. I chose 125 teachers who are working both in the independent private highschool and the public high school as the subject of my study. The collected questionnaire were processed with SPSS win 10.0 Statistical program and were analyzed by χ²verif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ies are as below. A. The operation of academic activities. The first, to screen the new students, it would be ideal to use their middle school reports, written test and also interviewing. The second, It would be good there are less 6 classes per grade. The third, an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is 20 per class. B. Teachers The first, a teacher has to have a certification for teaching, and a head master and other assistance teachers must get certain training course to get a proper certification. The second, it seems to be welcomed to apply of teacher contract system and an annual salary system seems pros and cons. The third, a member of the section staff must be recruited specially by government. C. semester system, grade system and study days. The first, about keeping the grade system, the school could have make decision by themselves. The second, about running that system, in 10th grade, they can finish the common curriculum then they can be up graded to 11th or 12th according to their ability. The third, the schools ought be make their own decision about the study days. D. Academic curriculum. The first, students must finish the whole common curriculum. The second, Students can choose the subjects they want by themselves however there should be some guidelines. The third, ,the schools could run the academic curriculum by themselves. E. Finance Management The first, the schools have to make a decision about the rate of scholarship. The second, school fee must be free of charge. The third, there shouldn't give a permission to transfer to the 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 from the local school which has difficulties financially. The fourth, a donation must use for training, studying abroad and develop teaching material for teachers as resources. The fifth, I don't agree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this kind of schools. The sixth, I don't agree that if a technical school or special school transfer to the independent private school. The seventh, for the evalu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and operation for this school must be done by the foundation, teachers, parents and school staff.

      • 중학교 교무부장교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송명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meaning of the duties, roles, difficulties and experiences of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in a middle school. This study will help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to perform their roles, to analyze the meaning of experienecs, and to suggest performing democratic operation in school organization.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in a middle school are assigned to their duties? Second, what are the duties and the roles of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in a middle school? Third, what ar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duties and roles by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in a middle school? Fourth, what does the experience of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in a middle school mean to themselv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above, four former and current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in a middle school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take over ’volunteer for promotion,’ ’regardless of promotion into the situation,’ ’at the recommendation of the administrator.’ . Second, as the most core and common task, the head teacher of school affairs is in charge of overall academic operation management. And among the core tasks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go through struggles to conduct meetings, HR management, and evaluate multiple aspec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uties of the head of school affairs in a middle school have some features that are sensitive ‘not only to teachers but also to students and parents,’ ‘related to all departments,’ and ‘work that is concentrated on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and a small number of non-homeroom teachers.’ Due to the nature of these tasks,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duties of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in the midst of a pandemic have been aggravated. Fourth,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play a role in promoting and coordinating the overall school affairs as the chief manager and administrative work expert in the school 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they must be proficient in relationship-oriented behavior as a communication channel and mediator. Only then can they play their role as a facilitator of school change. Fifth,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uch a multifaceted role,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are experiencing complex psychological emotions along with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ole. For the first tim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role of the business promotion coordinator,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were experiencing ‘difficulty in balancing between departments,’ ‘difficulty as a solver of new and ambiguous tasks.’ As a result, life style which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are so busy that it is impossible to leave early becomes common. After tha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role of the relationship mediator, they were experiencing ‘difficulty in conduct between administrators and teachers,’ ‘misunderstandings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promotion,’ ‘feeling like a lonely ba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dentity as a teacher is also negatively affected by the mental hardship that comes from many jobs and relationships that require giving up on personal life. Sixth, despite thes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they gave the meaning of ‘personal growth’ and ‘confirmation of the value of existence’ to their experience as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They talked more specifically about the meaning of personal growth; ‘broaden their understanding,’ ‘gaining an eye for education,’ ‘the process of reflective reflection.’ Next, if specify the meaning of the confirmation of existence value, they talked ‘satisfaction with role performance’, ‘the joy of supporting teachers,’ ‘the protagonist of change,’ ‘preparation for their futu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uses of difficulties in the duties and roles of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were investigated. School division of duties is not clear, The job of the vice-principal is not clear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individual competency. It is thought that the attitude or atmosphere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owards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is a factor that causes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ole. I would like to make some suggestions to reduce the difficulties of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and to help them fulfill their roles. First, it should be required to reduce, to adjust the scope of duties and roles of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and to expand practical training at the education office level.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 administration-exclusive education department manager system be implemented cyclically every 1-2 years. Third, it is required to present clearly and train the duties and roles of the vice principal at the education office level. Fourth, There is a need for a policy that recognizes the professionalism of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by granting incentives as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And it is thought that this will reduce the phenomenon of avoiding the office of the head teachers of school affairs at the school site.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변화하고 있는 학교 조직 내에서 중학교 교무부장교사의 업무, 역할, 경험을 읽어내어 나타나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경험, 교무부장교사로서 스스로에게 부여되는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무부장교사는 어떤 과정을 통해 직무를 맡게 되는가? 둘째, 중학교 교무부장교사가 수행하는 업무와 역할상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중학교 교무부장교사가 구체적 업무, 역할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한계 상황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넷째. 중학교 교무부장교사로서 경험은 자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서 다양한 교무부장교사로의 경험을 가진 전‧현직 교무부장교사 4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한 심층 면담을 통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부부장교사는 ‘승진을 위해 스스로 자원’하거나, ‘승진과 관계없이 상황으로’, 또는 ‘관리자의 권유로’ 교무부장 직무를 맡게 되었다. 둘째, 교무부장교사는 학교의 가장 핵심이며 공통적인 업무로 ‘전반적인 학사운영관리’ 맡고 있다. 그 외 교무부장교사의 핵심 업무 중 특히 어려운 업무로 회의 주제(대토론회, 교직원 회의), 인사관리, 다면평가(성과상여금 업무 포함) 관련 업무 등이 있었다. 셋째, 중학교 교무부장교사의 업무는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에게도 예민한 업무’, ‘모든 부서 업무와 연계되는 업무’, ‘교무부장교사와 소수의 비담임 교사에게 집중되는 업무’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업무의 특성상 팬데믹 상황 속에서 교무부장 업무수행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교무부장교사는 학교 조직에서 수석부장교사, 행정업무 전문가, 인화 조성을 위한 의사소통 창구, 부서별‧구성원별 조정, 학교 변화 촉진자의 역할 등을 수행하고 있다. 수석 부장교사, 행정업무 전문가로서 학교 전반의 업무 추진을 조율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의사소통 창구, 조정자로서 관계 지향적 행동에도 능숙해야 한다. 그래야 학교 변화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이처럼 다면적인 역할수행 과정에서 교무부장교사는 역할수행의 어려움과 함께 복잡한 심리적 감정을 경험하고 있다. 우선 업무 추진 조율자의 역할 수행과정에서 ‘부서 사이에서 중심 잡기의 어려움’, ‘새롭고 애매한 업무의 해결사로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그 결과 ‘조퇴할 수 없’을 정도로 바쁜 생활이 일상이 되고 있었다. 관계 조정자의 역할수행 과정에서 특히 ‘관리자와 교사 사이에서 처신의 어려움’, ‘승진으로 인한 오해와 심리적 어려움’, ‘외로운 박쥐같은 존재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그 결과 개인 생활을 포기해야 하는 많은 업무와 관계에서 오는 마음고생으로 교사로서의 정체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이런 어려움과 한계를 겪으면서도 교무부장교사로서 경험에 대하여 개인적인 성장 과정과 존재 가치의 확인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개인적 성장 과정의 의미를 좀 더 구체적으로 언급하자면, ‘품이 넓어짐’, ‘교육을 보는 안목’, ‘반성적 성찰 과정’으로의 의미를 이야기하였다. 다음으로 존재 가치의 확인이라는 의미를 구체화하자면, ‘역할수행의 만족’, ‘교사들을 지원하는 기쁨’, ‘변화의 주역’, ‘자신의 미래에 대한 준비’로서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 교무부장교사의 업무와 역할수행에서 어려움이 발생하는 원인을 살펴보았다. 학교의 업무분장이 명확하지 않고, 교감의 직무가 명확하지 않으며 교감에 따라 개인적 역량 차이가 크며, 교사들이 교무부장을 보는 태도나 분위기가 역할수행에 어려움을 발생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교무부장교사의 어려움을 줄이고, 역할수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무부장교사의 업무, 역할의 범위를 축소 조정하고, 교육청 차원의 실질적인 연수를 확대한다. 둘째, 행정 전담 교무부장제도를 1~2년을 주기로 순환적으로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교감의 업무와 역할을 교육청 차원에서 명확하게 제시하고 연수할 것이 요구된다 넷째, 교무부장교사로서 인센티브를 정책적으로 부여하여 교무부장교사의 전문성을 인정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이는 학교 현장에서 교무부장직을 기피하는 현상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대학사회교육시설의 팽창요인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조은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15887

        오늘날은 과학기술과 지식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하여 사회 및 경제활동의 종류와 형태가 급속히 변모하고 있으며,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사회기조와 가치관도 급속히 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발맞추어 인간은 이미 습득한 지식과 기술 및 태도를 항상 새롭게 해나가야 할 상황에 놓여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교육이 사회교육을 도외시하고 전통적으로 학교교육에만 치중한 나머지 학교교육의 기회를 상실하였거나 학교교육을 마친 사람들에게 새로운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지 않음으로써 생업에 대한 부적응 상태를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부적응은 해결하여야 할 교육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더구나 오늘날의 사회는 폐쇄적 계급사회가 아니라 개방적 민주사회이므로 자기의 능력에 맞는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의 기회가 균등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육 수준이 높은 전문 지식인까지도 교육의 기회가 계속적으로 주어져야 하기 때문에 더욱 더 사회교육의 역할은 막중하다 하겠다. 이러한 학교교육의 문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세계적으로 현재의 교육체제를 평생교육체제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논의가 점진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그리고 평생교육의 이념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도 시행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1982년 사회교육법이 제정·공포됨으로써 제도적인 사회교육체제의 구축을 시작하였고 최근에는 이러한 사회교육법의 개정작업이 구체화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80년 중반 이후 급격하게 팽창하는 대학사회교육시설의 팽창원인과 운영실태를 사회교육학적으로 분석하여 이의 문제점을 통해 발전적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내용으로서는 첫째, 한국 사회교육의 현황파악을 위해 먼저 한국 사회교육의 필요성 및 발전지표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대학사회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대학사회교육의 이념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역사적 변천과정을 영국·미국 대학의 사회교육을 분석하여 알아보고, 대학사회교육의 기능과 역할을 고찰하였다. 넷째, 한국 대학사회교육의 특성과 현실을 파악하였다. 넷째, 대학사회교육시설의 팽창요인,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실태를 세분하여 파악하였다. 한국 대학사회교육시설은 중상층의 여성위주 교육프로그램 일색이며, 프로그램 내용은 각 학교의 특성이 나타나 있지 않고 거의 비슷한 내용이며, 사회교육전문요원과정의 실습공간이 부족한 상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 보다 나은 한국대학사회교육시설의 자리를 확보해 갈 수 있기 위해서는 치밀한 계획이 요청된다. 이상에서 한국대학사회교육시설의 발전적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이나 지역주민들의 특성에 맞는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둘째, 다른 사회교육기관과 대학사회교육시설의 차별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셋째, 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시간적·공간적 개방 넷째, 대학사회교육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사회교육원 전문 관리자 연수교육 다섯째, 정부나 지방 공공단체의 정책적 배려 및 지원 등을 제시할 수 있다. These days the kind and the pattern of society and economic activity are rapidly assuming different forms owing to technology and sudden change in knowledge. And social base and the sense of value is, too caused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eople are under the new circumstances where they will develop already acquired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keeping pace with present state of affairs. However, our education, until the present, has neglected adult continuing education and attached weight only to formal education. Accordingly, many people lost their opportunities for formal education and some people didn't get different opportunities of education even though they finished a formal education. This caused them not to adapt themselves for making a living and this kind of unadaptation produced new educational problems to solve. In addition, the current society is not closed hierarchical society but open democratic society. So all the people must be given opportunities to come by social positions which are suitable for their ability. To make this come tru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must be given to anybody. And also even the professional intellects have to continuously get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Therefore the role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cannot too be important. With wider recognition of problems for formal education, it has been discussed that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should be gradually changed into a lifelong education. And various counter plans are being enforced to put ideas of a lifelong education in practice. In 1982 the government established and proclaimed the law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began to construct an institutional adult continuing education system. Recently the reform of it is becoming concrete. This study is educational-sociologically analyzing the cause for increase and administrative realities as to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of universit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let's examine This helps us both the necessity and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m. to inquire into the present condition. Secondly, let's examine ideas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in universit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it and then analyze historical process of transition with the examples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of university in Britain and U. S. And also we need to know function and role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in university. Thirdly, let's grasp characteristics and realities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in university. Finally, let's hold analysis of the cause for increase and the contents of programs and administrative actual realities including the details of them. The system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of Korea is made up of the women belonging to middle upper class and the contents are almost the same without universities' unique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others. Another problem is that most of universities have insufficient space for practice in the curriculum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specialists. Thus it requires carefully though-out plan to guarantee position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universities of Korea. The followings are the developmental tasks for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universities of Korea. First, adult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it for local inhabitants. Secondly,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differentiated with other adult continuing education center and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universities. Thirdly, openness in time and space for extending opportunities of participants in educational programs. Fourthly, training program for special managers at adult continuing education center to efficiently operate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universities. Finally, policy and aid of government and local public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