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高等學生의 동아리活動이 學校生活滿足度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최성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청소년은 미래의 주역이라고 하는데, 미래세대를 준비하는 청소년들의 오늘날이 행복하고 즐거워야 긍정적인 미래를 열 수 있다.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시간을 보내는 학교생활이 행복할 수 있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을 것이다. 학교생활에 청소년들이 만족하고 그 안에서 청소년들의 꿈을 찾고 성장을 해 나갈 수 있다면 그것 역시도 진정한 교육의 실현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가와 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교육과 청소년 정책적으로 중요성을 더하고 있는 중고등학생의 동아리활동참여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아리 활동실태, 동아리 참여 실태, 동아리참여수준이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김해시내 소재하고 있는 중고등학생 5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 활동실태를 살펴보면, 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이 그렇지 않는 학생보다 수업과 학습만족도에서 높게 나타났고, 동아리 활동인원이 11~20명 이하인 학생이 31명 이상인 학생보다 수업과 학습만족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부모가 동아리활동을 전혀 지지하지 않는 학생은 보통 이상으로 지지하는 학생보다 학교규칙 및 특별활동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아리 활동의 참여실태를 살펴보면, 동아리 참여 동기에 있어 능력과 소질계발을 위해 참여한 학생의 학교생활전반, 사회적 지지만족도에서 기타의 이유로 활동하는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동아리 활동수준과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동아리 활동수준의 하위영역인 자발성, 적극성, 문제해결력, 활동만족도, 조직력은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 영역인 학교생활 전반적 만족감, 대인관계만족감, 수업과 학습활동 만족감, 교육환경 만족감, 학교규칙 및 특별활동 만족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동아리 활동수준의 하위영역 중 적극성, 활동만족도가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고,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영역인 학교생활전반만족도에는 적극성, 문제해결력, 활동만족도가, 대인관계만족도에는 활동만족도가, 수업과 학습활동만족도에는 적극성이 영향을 미쳤다. 교육환경만족도에는 자발성, 활동만족도가, 학교규칙 및 특별활동만족도에는 자발성, 적극성, 활동만족도가, 사회적 지지만족도에는 활동만족도, 조직력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동아리 활동을 통한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동아리활동에 참여는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이므로 현재 학교 내 동아리 활동뿐 아니라 지역사회 동아리 활동으로 영역을 확대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능력과 소질계발을 위한 동아리 참여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므로, 청소년들의 끼와 능력개발을 위한 다양한 동아리와의 연계를 통해 학교생활의 질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동아리활동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동아리 활동에 있어 중고생들의 자발성, 적극성, 문제해결력, 활동만족도, 조직력 등을 보완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교육이 필요하다.

      • 초등학교 고학년 체육수업 재미요인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정협 목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체육수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내실화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체육수업의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M지역 소재 남학생 155명, 여학생 145명 총 3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정·보완한 재미요인 설문지와 수정·보완한 또래관계, 학교생활만족도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사전에 선정된 조사대상자가 소속된 학교를 방문하여 학교장과 지도교사, 조사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실시하였다. 먼저 설문지를 조사대상자에게 배포하고, 설문조사의 목적과 응답요령을 설명한 다음에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g method)으로 설문내용에 응답하도록 지시하고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했다. 자료는 window ver.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기법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빈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설정된 집단과 재미요인, 또래관계,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재미요인, 또래관계, 학교생활만족도의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보였기 때문에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다중공선성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체육수업 재미요인에 따른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이와 같은 절차로 분석을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체육수업 재미요인에 대한 또래관계 회귀분석 결과 기술향상과 일상탈출을 제외한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은 또래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강도측면에서는 체육수업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중에서 친구사교가 또래관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체육수업 재미요인에 대한 학교생활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기술향상을 제외한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은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강도측면에서는 체육수업 재미요인의 하위요인 중에서 친구사교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 또래관계에 대한 학교생활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또래관계 모든 하위요인에서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강도측면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중에서 신뢰가 학교생활만족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un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on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he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encourag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also intended to presen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by providing it as basic data of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5 male students and 145 female students in M a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un factor questionnaires, the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greement of the principal, the teachers, and the subjects who were selected in advance. First,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ubjects, the purpose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answer method were described, and then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be answer by a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completed questionnaire was collected and used as the analysis data. Data were compu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using a window ver.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set by general characteristics, fun factor,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post-test was conducted becau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fun factor,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verification of multicollinearit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un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eer relationship regression analysis for the fun factors of the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t was proved that the fun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cept the improvement of skills and getaway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er relations. In terms of intensity that affects school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sociability with friends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among sub-factors of fun factor. Secon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the fun factors of the high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howed that the fun factor of physical education class except the improvement of skil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intensity that affects the duration of exercise, it was proved that sociability with friends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sub-factors of fun factor. Third, regression analysi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on peer relationship showed that all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intensity that affects the duration of exercise, trust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명지영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고등학생들의 상담에 좀 더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고등학생들의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의미있는 관계가 있는가? 2. 고등학생들의 성격유형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는 의미있는 관계가 있는가? 3. 고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에 사용한 검사도구는 김정택·심혜숙(1990)의 한국판 MBTI와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질문지이다. 연구의 대상은 목포시에 소재하는 인문계 남·여 고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 각각 278명과 153명으로 총 431명이었다. 자료는 two-way ANOVA 검증과 피어슨의 적률상관관계수로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성격유형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감각-직관성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남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외향-내향형과 사고-감정형은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감각-직관형, 판단-인식형 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살펴보면, 사고-감정형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고등학생들의 성격유형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는 외향-내향형, 판단-인식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른 영역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남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살펴보면, 외향-내향형, 감각-직관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사고-감정형, 판단-인식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살펴보면, 외향-내향형과 판단-인식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감각-직관형, 사고-감정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고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 간에는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생활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창의적 성격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지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부모양육태도 중 긍정적 양육태도는 따스함 평균 3.37, 자율성지지 3.35, 구조제공 3.06으로 중간 값 보다 높았고 부정적 양육태도는 거부 1.58, 강요 2.34, 비일관성 2.04로 중간 값 보다 낮았다. 창의적 성격은 평균 7.53으로 중간 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 만족도도 4.07로 중간 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부모 양육태도,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 긍정적 양육태도인 따스함, 구조제공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정적 양육 태도로는 강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도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중 긍정적 양육태도 하위 요인에서운동시간이 긴 집단일 때 높았지만, 부정적 양육 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운동시간이 4시간 이상인 집단이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 역시 높았다. 주말에 부모님과의 대화 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즉 부모님과의 대화 시간이 긴 집단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이 높고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가 낮았으며 부모님과 대화 시간이 긴 집단이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 역시 높았다. 주말에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긴 집단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이 높고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 중 거부와 비일관성이 낮았으며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긴 집단이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 역시 높았다. 주말에 독서 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생활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독서 시간이 긴 집단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이 높고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인 강요와 비일관성이 낮았으며 독서 시간이 긴 집단의 창의적 성격 역시 높았다. 주말에 스마트폰 하는 시간에 따른 요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스마트폰 하는 시간이 짧은 집단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 하위 요인이 높고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 하위 요인인 비일관성이 낮았으며 사용하는 시간이 짧은 집단이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 역시 높았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양육태도 중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따스함과 자율성지지, 구조제공이 학교생활 만족도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거부와 강요, 비일관성은 학교생활 만족도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율성지지, 따스함, 비일관성, 창의적 성격, 거부 순으로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자율성지지, 따스함과 창의적 성격은 긍정적인 영향을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중 비일관성과 거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First, if you look at the general trends of parenting attitude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at teenagers are late for,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mong parent-raising attitudes were higher than the median ones at 3.37, autonomous support, 3.06,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higher than the median ones at 1.58, forced 2.34, and non-uniformity 2.04, with an average of 7.53 higher than the median value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was 4.07, higher than the median. Second,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parental attitudes, creative personaliti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positive attitudes of parenting, warmth, and provision of rescue, while negative attitudes of parent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ercion. Both men and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creative personal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terms of exercise tim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mong parent-rearing attitudes was also high in the lower factor when exercise time was long, but it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parent-rearing attitude. Groups with more than four hours of exercise also had a high level of creativ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heir parents over the weekend was significant, i.e. the group with long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had high positive parent care and low negative parent care, and the group with long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also had high creative personal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terms of time spent studying by themselves on weekends, parents' attitudes, creative personaliti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groups with long hours of self-study had high positive parent-raising attitude, negative parent-raising attitude, low rejection and inconsistency among lower factors, and groups with long hours of self-study also had high creative character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attitude and creative personality in the difference between reading time on weekend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group with a long reading time had high positive parent-raising and negative parent-raising factors, low coercion and inconsistency, and high group creative character with long reading tim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difference in factors according to smartphone hours on weeken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rearing attitude, creative personal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other words, groups with short smartphone time had high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 low negative parent-rearing attitude, low inconsistency, and groups with short hours of use also had high creative personality and high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ird, if you look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that teenagers were late for, the positive parent's nurturing attitude, warmness and autonomy support, and the provision of rescue servic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parental care attitude, rejection, coercion, and inconsistency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maladjustment. Fourth, looking at the influence on parents' child care attitude, creative personal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t was shown that among the lower factors of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 autonomy, warmth, and crea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parental care attitude, rejection and inconsistency.

      •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재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Kim-Jae-Woo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presented as a paradigm for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s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reby increasing the importance and participation rate of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s and creating the correct character and lively school life for teenagers.This study was conducted on 420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s in Gangwon-do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and 403 students, excluding 17 who responded insincerely to the survey. The survey period was 31 days from December 01 to December 31,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explored factor analysis, t-test and ES verification, one-way variable analysis and post-tes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se methods and procedures have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hological ownership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partially different.First, gender-specific differences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higher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an female students, excluding optimism, among the lower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also found to have higher male students.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year was not significant in term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ird graders were mo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than second grader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weekly exercis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more than five times a week was the highest. The analysis of differences over the duration of the exercise indicated that they were significant for all variables except resilienc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 compet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 the case of psychological ownershi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 competi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more than four time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who participated once.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on their psychological ownership, the thre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self-efficacy, resilience, and optimism,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psychological owner's consciousness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Positive psychology, self-efficacy, the higher the optimism is psychological resilience, lower factors of the capital, appeared have a higher ownership. Thir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sports club competition on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three lower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y capital, self-efficacy, resilience, and optimism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 재 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중학생의 새롭게 인전자원개발 패러다임으로 제시된 긍정심리자본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이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의 중요성과 참여율을 증가시키고 청소년들의 올바른 인성과 활기찬 학교생활을 만들어 가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내의 학교스포츠클럽대회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중학생 420명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해 표집 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설문에 응답한 17명을 제외한 40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 12 월 01일 ∼ 12월 31일 31일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t-test와 ES검증,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Scheffe),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주인의식, 학교생활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는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 중 낙관성을 제외한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주인의식과 학교생활만족도 또한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주인의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2학년 보다 3학년이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운동 횟수에 따른 차이는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심리적 주인의식은 주 5회 이상 참여한 학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습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하다고 하였다. 대회참여횟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며, 심리적 주인의식의 경우 대회참여횟수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회 참여한 학생들 대비 4회 이상 참여한 학생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심리적 주인의식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긍정심리자본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심리적 주인의식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성이 높아질수록 심리적 주인의식이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가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긍정심리자본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낙관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학교생활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높아질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 학교협동조합 참여가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황보대혁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문초록 학교협동조합 참여가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황 보 대 혁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사회적기업 전공 지도교수 이 한 주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내 협동조합 운영이 참여 학생들에게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가지는 것인가를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를 통하여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학교협동조합 활동에 참여하는 조합원과 참여하지 않는 비조합원 간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인지와 협동조합에 참여하는 조합원의 참여유형(일반조합원, 분과조합원, 이사조합원)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내에서 매점을 학생, 학부모, 교사가 참여하는 협동조합으로 운영하는 성남 복정고등학교 전학년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31부를 분석하여 사용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자기효능감 전체적으로 조합원이 비조합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고(P<0.01) 각 하위요소별로 살펴보았을 때, 자신감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합원 참여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과제난이도선호의 경우 이사조합원이 다른 유형의 조합원과 비조합원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회귀분석의 참여유형별 비교에 있어서도 대부분 이사조합원, 분과조합원, 일반조합원 순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만족도에 있어서도 조합원과 비조합원간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P<0.01). 학교협동조합에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분과조합원과 이사조합원이 비조합원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볼때 조합원과 비조합원간에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조합원 참여유형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협동조합이 가지는 민주적 참여방식과 협동을 통한 문제해결 등의 활동이 교육적으로 유의미하게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학교협동조합, 조합원참여,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원예활동이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인혜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초등학교는 아동이 생활하는 환경 중 하나로 아동이 성장하여 가정에서 사회로 생활범위가 확대되는 곳이며 교사와의 인간관계와 또래와의 인간관계가 맺어지는 사회관계의 장일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라는 목적을 갖고 생활하는 곳이기 때문에 학교에 대한 적응, 대인관계, 시험 및 과제 수행에 따른 스트레스를 경험할 소지가 많은 곳이다(Sears, 1990). 특히 또래와의 관계는 학교에서의 균형 잡힌 심리·사회적인 적응을 이끄는 주요 요소가 되는데, 아동기 전반 및 청소년 초기에는 부모를 통한 지지가 가장 중요하게 지각되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청소년 후기로 갈수록 청소년의 인성, 사회기술, 사회적 행동발달에 있어서 부모보다는 친구로부터의 지지가 중요해진다(심수정, 2004). 한편 식물 가꾸기 활동은 초등학생의 정서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며(2003, 김태수), 식물을 기르고 가꾸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재배활동은 정서적으로 불안정 상태에 있는 아동의 정서 순화 및 협동성, 사회성, 도덕성 함양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학교에서의 재배활동이 가정에까지 파급되어 이를 생활화하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윤순구, 2001).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별 원예활동을 적용하여 아동들의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2007년 3월부터 12월까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OO초등학교에서 5학년 6반 34명의 아동을 실험군으로 하고, 정규수업만 받은 5학년 5반 학급 34명을 대조군집단으로 설정하여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 점수를 원예활동 사전·사후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두 집단 간 동질성은 독립표본검정(Independent t-test), 교우관계 점수의 평균과 학교생활만족도 점수 변화에 대한 차이는 대응표본검정(Paired t-test)을 활용하였다. 이에 원예활동을 통하여 아동의 교우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원예와 아동의 학교에서의 생활을 통합하여 활용한다면 원예활동을 통한 아동의 교우관계의 향상으로 인한 학교생활만족도에도 상승효과(相乘效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A elementary school is one of environment where children extend a range of their life from home to society. And it is not only a place where they develop human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classmates, but also where they pursue a goal of scholastic achievement. So, they can easily experience stress due to factors referred above(Sears, 1990). Especially, peer relationship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helps well-balanced psychological-socio adjustment. It is true that support from peer group become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parents by means of character formation of adolescence and social skill and socio-behavioral development, though a support from a parents is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in a whole childhood and in early period of an adolescence(Sujung, Sim., 2003) And but, Horticultural activities results positive effect on cultivation of emotion for a elementary school students(Taesu, Kim., 2003). Likewise, systematic and concrete activity of growing plant helps children who are unstable purification of emotion, cooperation and sociality, cultivation of morality. It is reported that horticultural activities taken place at school becomes a part of their family life and also greatly influences on formation of positive self-perception(Sunku, Yoon., 2001). According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applying horticultural activities to group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o as to find out what effect growing activity has on children's relationship with peer group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Comparativ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classmates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activities was completed by observing 34 children from class 6 of grade 5 as an experiment group and 34 children from class 5 of grade 5 as a control group at OO elementary school from March to December, 2007. For data analyses, independent test was used for homogeneity between two group, Paired t-test for difference in change between average score fo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wo group are homogeneity group because there is no difference in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Number of selecting classmate per a student in experiment group is 8.4 persons before a test and 9.8 persons after the test(p=.021*). As for Number of mutuality-selecting classmate, it is 5.1 persons before test, 6.3 persons after test(p=.003*). On the other hand, number of selecting classmate per a student in control group is 8.0 persons before test, 7.4 persons after test(p=.911) and for number of mutuality-selecting classmate, 4.4 persons before test, 4.2 persons after test(p= .691). Regarding satisfaction of school life for experiment group, it is 21.59 before test, 22.84 after test(p=.017*), but for control group 22.93 before test, 22.83 after test(p=.875).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is 22.97 before test, 24.06 after test(p=.024), but for control group 23.34 before test, 23.10 after test(p=.716). In conclusion, it is proved that horticultural activities has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o, if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school life of children are syntagmatically applied, it can be expected the synergistic effect o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by improving peer relationship.

      •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장미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지역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초등학생 276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척도, 자아존중감척도, 학교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76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SPSS/WIN 18.0을 이용해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만족도 및 하위영역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만족도의 모든 영역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 및 하위영역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건강성보다는 낮지만 학교생활만족도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해본 결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 가족의 영향력이 자기 자신의 영향력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하위영역만족도인 교우관계만족도, 교사관계만족도, 학습활동만족도, 규칙준수만족도, 학교행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교우관계만족도에선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거의 차이가 없는 반면, 교사관계만족도․학습활동만족도․규칙준수만족도․학교행사만족도는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보다 더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분석하면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가족건강성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이 자아존중감 임을 볼 수 있다. 가족건강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일차적 사회집단인 가족생활에서 습득된 적응 능력이 학교생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사료되며, 가족의 건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및 상담활동도 중요하지만 더불어 학부모를 대상으로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건강한 가정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초등학교 학생의 지도와 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생이해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방과 후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박가경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attending in after-school classes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on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is paper aims to promote the aptitude and interest of students, develop potential talents and abilities, and finally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elements of after-school classes. The survey was executed by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s to 330 students (20 male students and 310 female students) who were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in Gwangju (168 students) and Jeollanam-do (162 students) from Feb. 22 to March 31, 2016. Three hundred thirty-one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ose with incomplete responses were not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fro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ccurately entered, the missing values were processed using spss20.0 and the EM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values of each variable and reaction patterns of subjects. Then, the reliability,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xecuted for each variable. Next, the structural equation on the impact of career maturity o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using AMOS 20.0.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test model, and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the alternative model, both models were nested model so that this paper adopted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by verification on the difference of .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or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attending in the after-school classes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the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one another. The standardized influence coefficient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β =.971(CR=12.083, p < .001). The result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was, the more self-efficacy was influenc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after-school classes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the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each other. The standardized influence coefficient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β =.496, which indic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CR=7.313, p < .001).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higher self-efficacy was, the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In the case of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after-school classes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s the medium, the variables had influence on each other. The standardiz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β = .48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 = .315, p < .001).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on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based o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career maturity had direc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direct impa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career maturity had direct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self-efficacy as the medium. In other words, career maturity had an impa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self-efficacy as the medium. Thus, the higher career maturity, the more self-efficacy was elevated. It was also verified that higher self-efficacy meant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This paper proposed the full mediation model which all variables had the direct impact related to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However, this paper has several limits in spite of the analysis results identified above. The sampling scope for the respondents was limited to Gwangju and Jeollanam-do. Next, there is no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variabl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subjects by inserting the variabl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subjects which the respondents took in the after-school classes. Furthermore, this paper didn’t discuss a variety of standardized sub-factors related to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urther study needs to expand the sampling targets and areas to the entire country. It is also requir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variabl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subjects by applying the variabl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subjects in the after-school classes. At last, it is proposed to expand or reduce the sub-factors related to the main analysis factors with the new viewpoint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광주(168명) · 전남지역(162명)에 있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 학생 330명(남 20명, 여 310명) 대상으로 2016년 02월 22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불완전한 설문지를 제외한 330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점검하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결측치를 각 변인의 평균값과 대상자 반응 패턴을 고려한 EM방식으로 처리한 후 각 변인들에 대한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 분석을 하였고, 진로성숙도가 진로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은 AMOS 20.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과 대안모형인 완전매개모형에 대한 미형비교를 실시한 결과, 두 모형이 nested model이므로 차이점검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완전매개모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과의 변인관계에서는 서로간의 변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 표준화계수는 β =.97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CR=12.083, p < .001) 나타나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을 것으로 증명되었다. 두 번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변인관계에서는 서로간의 변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 표준화계수는 β =.49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CR=7.313, p < .001) 나타나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증명되었다. 세 번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을 받는 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성숙도는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만족도와의 변인관계에서는 서로간의 변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 표준화계수는 β = .48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B = .315, p < .001) 것으로 나타나 가설검증 결과 밝혀진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는 진로성숙도는 진로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진로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진로성숙도는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진로성숙도는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진로성숙도가 높아지면 진로자기효능감은 상승되고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을 때 학교생활만족도가 증가하게 됨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 변인관계에서 모든 변인들이 직접적 영향을 주는 완전매개 모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이 제시될 수 있다. 첫 번째, 연구 대상의 표집 범위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과 두 번째, 조사 대상자들이 듣고 있는 방과 후 학교의 과목에 따른 변인을 삽입하여 과목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점 분석이 없는 점, 세 번째는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일반화된 하위요인에 대한 다양한 제시가 되지 못한 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 및 대상 표본을 전국적으로 넓힘으로써 연구 대상에 대한 표본 대상 확대가 필요하며, 방과 후 학교 과목에 따른 변인을 삽입하여 과목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연구 요인들에 대한 하위요인들의 새로운 시각에서의 확대 및 축소가 이루어져야 함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