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어교과서 단원 구성 방안에 대한 연구

        이 연 화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역별로 구분되어 있는 현행 국어교과서의 단원을 통합하고자 하는 데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통합의 성격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영역별 학습내용이 연계된 단원을 통합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단일 영역에서도 다른 영역의 학습내용과 연계되는 영역을 통합하는 영역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하나의 단원 속에 연계된 영역별 내용을 통합하여 지도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영역별로 나누어진 현행 교과서는 영역별 독립?심화지도는 가능하지만 영역간의 긴밀한 관련성을 맺기 어렵다.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의미를 구성하게 하기 위해서는 영역 간의 통합이 필요하다다고 보고, 언어 기능들 간의 통합과 국어지식, 문학 영역 간의 통합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창의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통합적 교과서를 구성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총체적 언어 교육’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영역별 통합’과 ‘학습자 활동 중심의 통합’을 영역 통합적 교과서 구성 원리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나타나는 통합의 성격이 현행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적절하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학습 목표 구현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학습 목표에 있어서 영역 통합 원칙이 충실하게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제 7차 교육 과정이 추구하는 통합의 성격을 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보이고 있었다.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경우는 모두 통합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반하여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경우 총 60개 단원 가운데 24개의 단원이 통합되어, 그 비율이 40%에 그쳤다. 결론적으로 고등학교는 체계적인 통합 단원의 구성을 보이는 반면, 중학교는 아직 영역별 통합이 체계적이지 못하고 그 수준이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 3학년 1학기 교과서에 한정하여 영역별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일 영역 단원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통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 과정에서 대단원 안에서 영역별로 구성하기보다 대단원끼리 서로 상관되거나 연계될 수 있는 유사한 대단원끼리 통합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7차 교육 과정 개정안을 바탕으로 ‘활동 중심 통합’을 시도하여 실제 단원을 구성하여 보았다. 통합을 지향한다고 해서 모든 단원을 통합할 수 는 없다. 단일 영역으로 학습해야 효과적인 단원을 제외하고, 영역별 통합이 효과적인 단원은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교과서를 분석하여 통합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통합의 방안을 시도한 데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실제 통합된 단원이 학습 현장에서 얼마나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학습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gener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eme for integrating units that are segregated by sections among discrete functional skill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or among other special categories such as general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is approach is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content-centered systematic integration of units along different sectio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roposes to integrate units in such a way that different themes or contents in different sections are combined into a single unit, - in other words, in each unit, a particular content source is dealt with across different sections. Indeed, through the currently used textbooks, it is hardly likely that there are coherent and consistent links across different skill sections even though they may provide independent and in-depth teaching schemes. Therefore, there is a strong need for units' integration to meet the needs of learner-centered delivery of concepts. In this respect, this study's purpose will contribute to effectively enhancing students' competence of using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progresses towards its goal first (1) by arguing as a primary principle that integration across sections should focus on learners' activities on the basis of a theoretical background advocating comprehensive language education, and then (2) by analyzing whether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embed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is adequately reflected in the currently used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terms of the learning objectives established in the Curriculum. The results show that the principles of units' integration pursued by the 7th Curriculum appear in the textbooks for both high schools and middle schools. In case of high schools, the textbooks at all grades consist entirely of integrated units. In contrast, middle school textbooks only have 24 integrated units of all 60 units, accounting for 40% of the total. This is a significant contrast. Based on the results, an attempt to integrate units across different sections to the textbook for first semester of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s is made and it proves to be successful. This study also finds out that it is more desirable to implement integration among whole large units containing contents that are associated or linked with each other rather than to construct large units within which there are different sections. This leads way to a proposal attempting to activities-centered integ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vised version of the 7th Curriculum to show an example unit. Admittedly, attempting to integrate units is not always possible nor desirable. It would be the most desirable that only in the case where integration across different sections is expected to yield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results, it would occu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s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based on analysis of the currently used textbooks and sets out an example solution to the inefficiency of unintegrated units. However, this study lacks a specific research on how this proposed integrated unit scheme will be applied efficiently and how it will affect the learning effects of students. This gap is left to be filled in by future research.

      •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영역 통합 단원에 관한 연구 :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정진복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행 교육과정은 국어과의 각 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중학교 교과서는 영역별로 두세 개 책으로 나뉘어져 있고,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영역 구별을 하지 않고 학습활동을 통해 통합되도록 하고 있음에도 교과서 단원 구성은 두세 개의 영역을 통합하는 정도로 단원을 구성하고 있어 실제적인 영역 통합지도가 어렵다. 본 논문은 국어과 교육의 하위 영역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지식, 문학’ 영역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국어 사용 능력 신장에 최종 목표를 두고 국어의 모든 영역을 통합하여 지도할 수 있는 고등학교 영역 통합 단원 교과서를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의를 위해 교육 과정 구현을 위한 교과서의 의미와 역할을 밝히고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교수-학습을 실행하는 핵심적 교재임을 확인한다. 그리고 통합 언어 교육의 관점에서 영역 통합 단원 구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영역 통합 단원 구성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흐름과 방향을 살펴보았다. 언어 기능 영역인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의 통합은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실제적 통합지도가 가능한 단원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고등 사고력이 바탕이 된 국어 사용 능력을 기르는 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언어 기능 영역은 물론이고, '국어지식'과 '문학' 영역을 아우른 영역 통합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교과서 단원 구성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바람직한 영역 통합 단원 구성의 원리로 '영역간 통합', '활동중심 통합', '학습 목표 중심의 통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원리에 기반을 두고 '문학'영역을 중심으로 영역 통합 단원 구성 모형을 제시한 후에 교육과정 개편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되고 있는 대표적인 고전시가인 '청산별곡(靑山別曲)'을 실제적인 영역 통합 지도가 가능한 단원으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영역 통합 단원을 이론적으로 구성하였으나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통합 교육에 대한 많은 이론적 논의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실제적 영역 통합 단원 개발이 거의 없었던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앞으로 통합 교육의 흐름에 부응한 바람직한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each realm of Korean language organically and teach it in current teaching course. Nevertheless,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are divided into two to three separate books by realm while high school textbook is composed of units incorporating 2~3 realms whereas it is required to incorporate through learning activities without classifying each realm. Consequently, it is difficult to teach each realm in integrated manner in practical perspective. This paper is to explore integrated units of high school textbook that can be taught in order to enhance capabilities of using Korean language by mutually complemen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which are subcategory realm of teaching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discussion I clarify meaning and role of textbook in order to embody teaching course and reflect those course in the textbook which we confirm as a key textbook implementing learning-teaching. Furthermore, I emphasize necessity of incorporating units of realm in comprehensive language teaching standpoint of view and have reviewed flow and direction of scientific discussion as to composition of incorporated units of realm. Integration of realms of language function which i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has not only been discussed on numerous occasions over the past several years but also units have been developed which can be implemented practically for integrated teaching. However, it is desirable to incorporate not only realm of language function but also grammar and literature fo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o enhance capabilities of using Korean language based on advanced thinking faculty. In such a context I identified problem areas of unit composition in the current textbook and presented integration of realms, activity-oriented, and learning target-oriented based on principle of desirable unit composition. After presenting composition model of literature-oriented integration of units based on this principle I composed 'Chungsanbyulgok' which is a representative classic poetry contained in the high school textbook consistently irrespective of reorganization of teaching courses as unit that can be possible to teach in practically integrated manner. This paper composed an integrated unit of realms in the high school textbook in theoretical standpoint, but has a limitation in validating its efficiencies in the real field. However, this paper should be of help in developing desirable textbook complying with tendency of integrated education going forward in view of absence of development of such integrated unit in the past despite numerous theoretical discussions as to integrated education thus far.

      • 도덕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직업가치와 진로성숙도,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송은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진로 탐색의 시기에 해당하는 중학생에게는 실질적으로 자기 이해와 함께 직업 세계에 대한 흥미로운 탐색과 체험의 경험이 필요하다. 특히 중학교 졸업과 함께 실질적인 진로 선택이 처음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중요한 시기가 될 수 있는 만큼 자기주도적이면서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적극적인 진로 준비 시기가 될 수 있도록 내면의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의 기회가 필요하다. 중학생의 발달 단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덕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에서는 삶에 대한 폭넓은 시야를 바탕으로 필요한 진로 발달 과업의 단계에서 요구되는 진로 역량을 교과 수업을 통해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실적으로 교과교육과 진로교육은 상호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영역으로 존재한다. 현행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에서 진로교육은 교과통합의 과정을 비롯하여 학교급 별에서 학교 교육 활동에 걸친 통합적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육 시간을 통해 시행한 도덕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학생들의 직업가치와 진로성숙도, 학습동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도덕과 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직업가치와, 진로성숙도,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하여 교과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교과교육과 진로교육 사이에서 통합적이고 효과적인 연계의 필요성이 있다고 밝힌 연구이다.

      • 통합교과형 논술교육 지도 방안 : 기술ㆍ가정 '식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오은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식‧정보화 사회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력 및 문제해결력 등 고차적 사고수준을 요구한다. 그러나 한국의 학생들은 오랫동안 이어져온 선다형 또는 단답형 입시위주 교육에 젖어있어 그 틀을 깨고 고차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과거의 교육에서는 맞는지 틀리는지에 대한 결과가 중요했다면 21세기에서는 왜 맞는지 왜 틀리는지에 대한 과정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논술에서 통합적 사고를 강조하고, 논술 교육의 방향이 통합성을 바탕으로 하게 된 데에는 삶과 배움이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는 교육의 가치가 인정되기 때문이다. 그간 비판받아 온 ‘지식을 위한 지식’이 아니고, 나의 의식, 가치, 문제, 생활 등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살아 있는 지식’이 되어야 한다는 데서 통합 논술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근거하여 통합교과형 논술 교육의 필요성과 개별 교과와 연계한 논술 지도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교과와 연계한 통합교과형 논술이란 무엇이며, 가정 교과와 어떤 관련을 갖는가를 밝히는데 있다. 둘째, 논술 지도와 관련한 다양한 교수 방법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가정 수업의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제적인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것에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해 문헌 연구 방법(documentary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먼저 1‧2차 문헌과 논문자료를 중심으로 ‘통합교과형 논술’의 개념과 특성을 명확 히 할 것이다. 또한 논술교육과 관련한 현장 사례중심의 연구 자료를 토대로 가정 교과에 어떻게 적용 가능할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논술 관련 가정과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교육과정 해설서 및 가정과 교재들의 구성을 중심으로 가정 수업과 연계한 통합교과형 논술 지도 모형을 개 발하는 것으로 논문을 작성하였다.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needs high-level of thinking such as self-initiative learning ability,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 However, Korean students have been adapted to the conventional education only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toward the university including short-answer or limited choice-answer education, so that it is required to break the conventional education as well as enhance high-level thinking ability. Problem-solving process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education in 21st century, whereas the old education focused on only the answer. Essay education are based on the integrated thinking because the value of education is also based on the integrating between learning and life. Intergrated-curriculum-type essay education is highly important to educate 'living knowledg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our consciousness, value, problem, and life, whereas 'knowledge for knowledge' has been mainly educated till now. This study was then focused on the requirement of integrated-curriculum-type essay education and guidance plan related to each curriculum based on the education paradigm shift above mentioned. To this purpose,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we tried to identify the integrated-curriculum-type essay related with all of the curriculum. We also identified the specific relationship of integrated-curriculum-type essay with home economics. Second, We researched various teaching skills for the essay education, and developed realistic class model which can be applicable in the class of home economics. This study use documentary analysis method by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references. We clearly stated the concept and properties of 'intergrated-curriculum-type essay' using references. We also studied the applicability of the essay education into the class of home economics based on the research data of teaching in the real field. At last, We developed the integrated-curriculum-type essay guidance model related with the class of home economics, which was mainly focused on the teaching manual of educating process using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es.

      • 프로젝트 접근법이 학습동기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통합교과 주제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태영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과 주제별 교과서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통합교과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을 시행한 실험집단과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과 방법에 따른 수업을 시행한 비교집단 간 학습동기 평균의 차이는 있는가? 둘째, 통합교과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을 시행한 실험집단과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과 방법에 따른 수업을 시행한 비교집단 간 학교생활 만족도 평균의 차이는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G 초등학교 1학년 두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담임을 한 1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학급을 비교집단으로 한 이질 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를 통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 처치 전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고, 실험 처치를 위해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 10주간 통합교과 3권의 주제별 교과서 내의 5개의 소주제에 대하여 총 96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은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을 시행하고 비교집단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내용과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처치 후에는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과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을 시행한 실험집단과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과 방법에 따른 수업을 시행한 비교집단 간 학습동기의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하위 요소 중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과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을 시행한 실험집단과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과 방법에 따른 수업을 시행한 비교집단 간 학교생활 만족도의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하위 요소인 수업에 대한 만족, 교사에 대한 만족,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통합교과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둘째, 통합교과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며, 수업에 대한 만족, 교사에 대한 만족, 교우관계에 대한 만족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 이상의 결론으로 볼 때 통합교과 주제별 교과서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수업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며, 이 연구는 통합교과를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lass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motiva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thematic textbooks used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To attain the goal, this author has formulated following study question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means in motiv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lass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comparison group having the class conducted b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s guidebook?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mean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lass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comparison group having the class conducted b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s guidebook? To solve these study questions, two first-grade classes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one this author is in charge of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as a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retest verified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at the two groups are homogeneous. For the experimental treatment, five small themes were chosen from three thematic textbooks used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to provide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class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and the comparison group with the class conducted b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s guidebook with total 96 sessions for 10 weeks from October until December, 2014.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data collected through the pre- and post-test went through analysis by using SPSS 22.0 to see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mean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s in motiv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lass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comparison group having the class conducted b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s guidebook. In detail, among the subfactors, attention, relevance, and confidence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the class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comparison group having the class conducted b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s guidebook. And among the subfactors, class satisfaction, teacher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all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researcher has drawn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lass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effective in increasing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motivation and particularly helpful in improving attention, relevance, and confidence. Second, the class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effective in increasing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particularly helpful in improving class satisfaction, teacher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we can see that the class applying the project-based learning centering around the thematic textbooks used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motiva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 통합교과 기반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타인존중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동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green care farm program based on integrated curriculum and examine its effect on self-esteem and respect for others in the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will the green care farm program be designed in connection with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how does the class on green care farm program affect students’ self-esteem and their respect for other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a green care farm program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and two first grade classe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rom elementary school ‘S’ in ‘D’-gun of Daegu City, wit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ing 43-hour sessions of green care farm program. For self-esteem, pre-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using the test paper of Seon Mi Park (2009) as the measuring tool which was modified from the self-esteem scale of Bo Ga Choi and Gwi Yeon Jeon (1993) to suit the developmental level of lower elementary grade students. For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pre-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using a developed questionnaire that was modified and edited from the test paper of Hyun Suk Lee (2005) on 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26.0 using t-test for the pre-an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post-test result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een care farm program was developed by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hrough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and textbooks. Contents from the integrated curriculum that include natural environment experiences and interactive activities on nature were analyzed, and a theme-based project was developed on the contents of ‘Together at Spring Garden’ from the first semester of grade one which includes the most content related to green care farming. Student-centered project learning was designed as a program that oriented around various experiences.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green care farm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elf-esteem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1).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green care farm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green care farm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the post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respectful attitude of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1). It can therefore, be seen that the green care farm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ect for others. Overall, it can be seen that the green care farm program based on integrated subjects is effective in improving both self-esteem and respect for othe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improve self-esteem and respect for others by applying the green care farm program to the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unit ‘Together at Spring Garden’ of the ‘Spring’ textbook from grade one integrated subjects was reorganized to design the two projects, ‘Thank you Spring’ and ‘Planting the Seeds of Respect’ under the overarching theme(goal) of ‘Growing the Garden of My Heart’. By implementing the program within the time allocated for integrated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t was possible to obtain enough time for green care farm program. This could be a way of reducing the pressure on teachers in securing classroom time for green care farming and enabling continued use of the green care farm program. Moreover, it was able to increase student interest and engagement on the topic through project learning, and student-centered classes were possible. For effective green care farm programs, n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ngles,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green care farm programs through analysis of various subjects and high-quality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eachers’ expertise in green care farming a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과 기반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초등학교 1학년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존중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통합교과와 연계한 치유농업 프로그램(green care farm program)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둘째, 치유농업 프로그램 수업이 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치유농업 프로그램 수업이 학생들의 타인존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2015 개정 통합교과를 분석하여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구광역시 ‘ㄷ’군 소재 ‘ㅅ’초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반을 대상으로 43차시의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최보가, 전귀연(1993)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를 초등 저학년 발달수준에 맞게 수정한 박선미(2009)의 검사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인존중태도는 이현숙(2005)의 타인존중태도(respectful attitudes of others)도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개발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을 사용하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및 집단 간의 사후 검사 결과에 대한 t-검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통합교과에서 자연환경적 경험, 자연과 상호작용 활동이 포함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그 중 치유농업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이 포함된 1학년 1학기‘도란도란 봄동산’의 내용을 바탕으로 주제중심의 프로젝트를 개발하였다. 다양한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학생 중심의 프로젝트 학습을 계획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타인존중태도 점수는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타인존중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통합교과에 근거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타인존중태도 향상에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아존중감과 타인존중태도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1학년 통합교과 중 ‘봄’ 교과서의 ‘도란도란 봄동산’ 단원을 재구성하여 ‘내 마음의 정원 가꾸기’라는 대주제(목표)로 ‘봄아 고마워’와 ‘존중의 씨앗 심기’라는 2개의 프로젝트를 구안하였다. 통합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의 시간에 적용함으로써 치유농업 프로그램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는 치유농업 교육 시간 확보에 대한 교사의 부담을 저감시키고 지속적인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또한, 프로젝트 학습으로 학생들이 주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었고 학생 중심의 수업이 가능하였다. 효과적인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위해서 다각도의 국가적인 지원과 여러 교과를 분석한 치유농업 프로그램 개발·보급 및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양질의 치유농업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 글로벌시대를 위한 통합교과로서의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박세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While the global learning environment is actively pioneering new ways to integrate various elements and subjects to build a more balanced education, the current educational setting in Korea faces a great pragmatic bias which ignores psychologic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with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to develop a Integrated-curricular approach incorporating practical contents and cultural resources in the present art education. And for this study is not to derive a specific learning methodology unlike other relevant studies, it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risks and challenges of the current art education and suggesting a new direction for learners and educators in this field. The present education of Korea is deeply biased to functional needs. The nature of teaching is only being evaluated by its result, not by its process. And as our education has mostly been focused on practical issues directly related to science and growth, the cultural and creative factors of general education have long been in the shadow. In the new era of culturenomics, the outdated legacy of our education should be readdressed. In this respect, our education, should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high value of cultural resources and activities by integrating them to the essential part of whole person education. This study is encapsulated as follows. First, theoretical background of Integrated-curricular learning through art. The section mainly states cognitive aspects of MI(Multiple Intelligence) and phenomenology of Integrated-curricular education to be applied to the reality. Second, the case study countries This part overviews other countries actively engaging in Integrated-curricular activities to strategically position ourselves in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globe. Third and the last,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connective teaching in art education This part is dedicated to explore the risks and the potential of the Integrated-curricular teaching in view of the real educational settings. The Integrated-curricular work of teaching art in English has great educational value, in that it promotes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multiple intelligence by combining visual and auditory education. And it also has significance, for it harmonizes practical utility and cultural nature of education. As it is purported in the Mcgurk Effect, the Integrated-curricular work of integrating art and English is not a mer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contents, but a more thorough communicative approach for individual learners. The German Waldorf school can be a good exemplary model of the Integrated-curricular activity framework for us. The success of this German model has a significant meaning, for its socio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have a lot in common with ours. And as to suggest the integrated learning contents, Bauhaus design education is to be translated as perfectly balanced model associating art and pragmatic subject. Simply stated, there are more opportunities in teaching art through collaborative work with English language. The idea of teaching art in English is definitely not to degrade the intrinsic value of art as mere means to a higher end, but to grant the current art education more rooms to cope with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By connecting rational and emotional elements in the Integrated-curricular context, art could eventually elevate its educational value. 본 논문은 글로벌 시대를 표방하는 우리나라의 교육현황이 인본주의적 측면은 배제된 채 지나치게 실용주의적이고 이성 중심적으로 흘러가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와 더불어 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재고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국내의 이성 중심에 편중된 교육적 불균형을 학교교육의 위기로 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감성과 이성을 조화시키는 교육의 귀결점으로 통합교과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기본적으로 인지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타 통합교과교육관련 논문들과는 그 노선을 달리하며,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접근은 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이는 본 논문이 수업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이 아닌 학교교육이라는 거시적인 맥락에서 우리나라 교육의 실태를 되돌아보고, 우리의 교육현황에 맞는 통합교과로서 미술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제안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은 위기지학(爲己之學)이 아닌 위인지학(爲人之學)을 하고 있다. 이는 우리의 교육이 학습자를 위한 교육이 아닌 평가를 위한 교육이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우리의 교육은 과거 경제성장의 영광에 얽매여 비이성적교과를 등외시하고 이성적인 교과에만 편중되는 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오늘날 미술을 비롯한 예체능 교과목은 축소대상으로 전락되었으며 독립교과로서의 존재적 가치마저 위협받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는 시대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며 문화자본의 가치를 모르는 무지함이 낳은 교육정책이라고 본다. 오늘날 지식정보화 시대와 더불어 컬쳐노믹스(Culturenomics)시대의 도래는 시각문화와 더불어 문화자본의 창출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글로벌 교육정책이라는 것은 여전히 정답만을 강요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도외시하는 과거의 근대사적 시점에 머물러 있다. 때문에 우리나라의 교육에 진정 필요한 것은 이성적 교과의 강화가 아니라 창의적 사고를 하기 위한 감성적 교과와의 조화를 통한 전인격적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논문의 내용전개는 크게 통합교과교육의 이론적 배경, 외국의 통합교과교육 사례, 우리나라의 교육현황분석, 통합교과 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성에 대한 제안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통합교과교육의 역사와 이론에서는 통합교과교육의 인지적 측면인 지능심리학과 사회적 측면인 사회현상학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통합교과교육의 현실적인 적용을 위한 포석이라고 할 수 있다. 외국의 통합교과교육 사례에서는 선진국의 통합교과교육 사례를 알아보며, 이를 거울삼아 우리나라의 교육현황을 분석해 봄으로써 통합교과교육의 실효성과 방향을 위한 지표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하여 통합교과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타진과 더불어 글로벌 시대를 위한 학교교육의 방법적 제안을 하고자한다. 연구자는 글로벌 시대를 위한 통합교과로서 영어교과와 미술교과의 통합을 제안한다. 상이해 보이는 두 교과의 통합은 다문화교육, 시각정보와 청각정보의 결합, 그리고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위한 교육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미술교과와 영어교과의 통합은 맥거크 효과(McGurk Effect)와 같이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의 상호작용은 단순히 언어적 소통만이 아닌 전인격적 소통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본다. 또한 통합교과 교육은 지식의 연결을 통한 문제해결이라는 알고리즘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 교과 간 지식의 소통, 글로벌 시대를 위한 다문화적 교류, 그리고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위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통합교과교육의 방법으로는 하드웨어적으로 독일의 발도르프학교,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바우하우스를 거점으로 한 디자인 교육에 무게를 두고 있다. 독일 발도르프학교의 경우 우리나라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서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는 독일의 사회적 구조와 성공적인 통합교과운영의 형태로서 독일 발도르프학교는 의미를 갖는다. 바우하우스를 거점으로 한 디자인 교육은 바우하우스의 미술과 테크놀로지의 결합이라는 측면을 감성과 이성의 조화에 대한 귀결점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즉, 미술교과와 영어교과의 통합을 위한 콘텍스트로서 디자인 교육을 제안하는 것이다. 물론 독립교과로서의 미술교육을 부정하자는 얘기는 아니다. 기본 교과로서 미술교과의 존재적 가치는 인정하되, 부차적으로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위한 교육으로서 디자인교육을 운영하자는 것이다. 본 연구의 골자는 감성과 이성의 조화를 통한 균형 잡힌 교육과 인간중심의 교육으로 통합교과로서의 미술교육에 대한 제안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통합교과교육에 대한 연구는 중등교육에 있어서 추락할 대로 추락한 미술교육의 위상을 높이기 위함이기도 하다.

      • 통합형 수학 교과서 비교분석을 통한 수리논술 교수-학습 자료 개발 : 고등학교 수학1 지수·로그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박정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통합교과형 논술은 기존의 인문학 중심 사고를 벗어나 범교과적 제시문ㆍ논제를 활용하는 논술로 비판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목표를 둔다. 수리논술은 이러한 통합교과형 논술 중 특히 수리분석 능력이 요구되는 형태를 일컫는데, 아직 정확한 정의가 정립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 본질은 교과통합과 논술 형식을 도입한 수학교육의 환경 개선으로, 새로운 교육과정ㆍ평가로서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수리논술 교육의 실제 적용에서는 교육과정의 부재, 적절한 교재 개발의 부담, 전문적인 수리논술 교사의 부족 등으로 인한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대부분의 수리논술 교육이 사교육에 의존하거나 정규수업에 반영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리논술 교육이 공교육에서 정상화되기 위해, 수학 교과서의 형식과 내용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요소들이 갖추어져야 할지 외국의 통합형 수학 교과서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그 관점을 얻고자 했다. 비교분석은 통합적 구성요소의 종류와 특징, 통합교과형 문항들의 비중과 분포, 타 교과 및 실생활에서의 통합주제, 마지막으로 통합의 방법을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구성요소와 문항의 비중은 국내 교과서들이 외국 교과서들보다 더 높거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수업 진행의 흐름을 고려한 분포를 보여 통합적 요소들의 외적 구성은 크게 문제될 것이 없었다. 둘째, 통합교과적 문항에 활용된 주제들을 보면, 국내 교과서들은 외국 교과서들에 비해 다양성과 참신성이 부족했다. 진부한 소재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기 어렵다는 점에서 통합주제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변화가 필요했다. 셋째, 통합의 유형을 풀이형과 해석형, 개인형과 집단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네 교과서 모두 풀이형과 개인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 교과서들의 해석형과 집단형 비중은 국내 교과서들보다 높았다. 특히 그래프 활용과 개방적 답변이 가장 큰 차이점이었다. 마지막으로 국내 교과서들의 통합적 구성요소나 문항에서는 사실상 수리논술 문제들이 전무했다. 제시문과 논제의 형태를 찾아볼 수 없었으며 논술 형식의 작문 답변을 요구하는 문제도 없었다. 국내 교과서들의 형식과 양적인 면을 고려할 때, 한 단원마다 2, 3개 정도의 수리논술 문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교수-학습 자료의 제작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했으며, ‘개념 익히기’, ‘토론문제’, ‘수리논술’로 구분하였다. 개념 익히기는 단원의 시작부에서 다루어지기 적절하며, 토론문제는 중간부, 수리논술은 단원의 마지막에 편성하는 것을 염두에 두었다. 제작에서 가장 중점을 둔 것은 대화와 토론이 가능한 문항을 만드는 것과 학생들이 실제 수리논술문을 작성해보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결과가 수리논술 교재를 직접 제작하고자 하는 교사들과 교과서 개발자들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주고, 한편으로는 대입 논술고사에 초점이 맞춰진 수리논술 교육을 개선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과 실천에 관한 질적 연구

        김정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과 실천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 드러난 통합의 특징과 상황적 맥락을 이해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실에서 통합교과가 실천되는 양상을 질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는 통합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이해하기보다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통합교과 실천 과정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살펴봄으로써 통합교과 실천 장면에서 드러나는 ‘통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나는 초등학교 교실 현장에서 교사들이 통합교과를 실천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이러한 통합의 양상이 통합교과를 실천하는 장으로서의 학교 맥락과 어떻게 결합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통합교과를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과 실천 과정에서 발견되는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과 실천은 그들이 속해 있는 학교 맥락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과 실천에 드러난 ‘통합’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합교과를 실천하는 교사들은 통합교과를 계획하고, 전개하고, 평가하는 단계에서 각기 다른 형태의 통합을 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통합교과를 가르치기 위해서 수업의 계획 단계에서는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거나 다른 교사용 지도 사이트를 이용하였으며 동학년 교사들의 도움을 받아서 수업을 계획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전개 과정에서는 주제 중심, 활동 중심, 학생의 흥미 중심, 교과서를 그대로 적용하기 등 자신들의 상황적 맥락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형태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또한 통합교과 수업에서 학생에 대한 평가는 대체적으로 수업의 전개 과정 중에 이루어짐으로써, 수업과 평가가 크게 분리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렇듯 교사들이 통합교과를 계획하고 전개, 평가하는 과정에서 일부 유사성이 발견되기도 하였지만, 교사들마다 통합을 실천하는 방식에서 나름의 독특한 특징들도 발견되었다. 두 번째는 교사들이 통합교과를 실천하는 방식에서 여러 가지 특징이 나타났는데 이는 교사들이 통합교과서를 어떻게 해석하고 적용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일부의 교사들은 통합교과서를 그대로 적용하는 통합을 실천하기도 하고, 일부의 교사들은 통합교과서를 재구성하는 통합 수업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먼저, 교사들이 교과서를 그대로 따라서 통합하는 경우에 교과서를 제작한 전문가의 권위에 너무 의존하여 교과서의 내용을 전달하는 형태의 통합이 나타나기도 하고,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적용한 결과 인위적이고 억지스런 통합의 형태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교사들이 통합교과서를 재구성하는 경우에는, 자신들의 전공 분야나 관심과 성향을 중심으로, 자신들이 잘할 수 있는 방식으로 통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통합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렇듯 다양한 방식으로 통합교과서를 재구성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통합교과서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통합교과에는 실천의 장으로서 학교 맥락인 상황적 맥락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들의 통합교과 실천은 동학년 모임과 같은 교사 문화나 주간학습계획서, 교과서 문화, 학년 담임제 등과 같은 학교 관행, 그리고 학교의 특색 사업이나 복식학급과 같은 학교의 특수한 여건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과 학교의 상황적 맥락에 따라 통합교과 수업은 여러 가지 양상으로 전개되었으며, 통합을 구현하는 방식도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통합교과의 실천은 교사 개인의 의지뿐만 아니라 학교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실천 장면을 통해 드러난 통합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이해해볼 때, 통합교과 실천 맥락에서 통합의 다층성, 즉 통합의 전경과 배경이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통합교과 실천 장면에서 나타나는 통합은 교사가 수업하는 장면에서 의도하거나 관찰자의 눈에 비치는 ‘전경으로서의 통합’과, 수업 장면에서 전경으로 부각되지는 않지만 상황적 맥락으로 작용하는 ‘배경으로서의 통합’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통합의 전경과 배경은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그 안에는 학생의 경험과 교과의 통합, 교사의 지식과 학교 문화의 통합, 학생의 경험과 활동의 통합 등 다양한 형식의 통합이 가시적인 측면과 비가시적인 측면으로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중요한 목적이 학생들이 직접 통합하는 경험을 해볼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라는 점에서 보았을 때, 교과서로 주어진 통합은 실천 과정에서 교사들에 의해 학생들과 호흡할 수 있는 형태로 재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통합된 것’과 ‘통합하는 것’의 차이를 인식하는 혜안이 교사들에게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07개정,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이나 통합교과서에서는 통합교과의 중심에 놓이게 되는 핵심 내용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음으로써,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모호함과 혼돈스러움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교과 실천을 살펴본 결과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통합과 통합교과 실천에서의 통합이 재개념화될 필요가 있으며, 통합교과서에 대한 위상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통합교과 실천의 장인 학교 맥락의 변화를 위한 행정적 지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통합교과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겸비할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통합교과 교육을 위한 미술수업 방안연구

        김청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래는 모든 분야의 전문성을 다 갖춘 인재가 아니라 각 분야를 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창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사람을 원하고 있다. 스마트 폰의 창시자인 스티브 잡스 역시 알고 보면 세상에 없던 것을 발명했다기보다 통합적 시각에서 기존에 있던 것들을 창조적으로 연결해 새로운 산물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렇게 통합적 사고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통합이 곧 창의력과 직결된다는 것이다. 분야 간의 경계 허물기는 고정된 사고의 경계까지 허물게 돼 결국 창의성의 확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고 확대되는 글로벌 시대를 사는데 있어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창의성과 자신감이다. 이 두 가지를 다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현재 사회적으로 창의 인성 교육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이에 적합한 교육방법이 바로 통합교육인 것이다. 통합교육은 아동의 경험을 통합시키고 재구성하면서 아동의 발달 영역간의 통합 및 영역별 활동 간의 통합을 통해 전인교육을 추구한다. 이런 점에 비추어 봤을 때 미술교과는 많은 사물과 도구를 접하고 사고함으로써 사회생활능력, 표현능력 등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는 전인교육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창의성 함양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는 시대에 사고력 증진과 긍정적 정서발달을 위한 수단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통합적 사고를 기르는 통합교육에서의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미술교과는 타 교과의 학습을 도와줄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철학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교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합교과 교육 학습지도방안은 미술교과와 사회, 과학 교과 뿐 아니라 철학까지 통합하여 사회문화적, 과학적 지식을 학습자들이 스스로 조사, 탐색한 후 표현작품에 개인적 인식을 토대로 총체적 인식능력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미술-과학교과의 통합수업방안은 과학 교과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과학적 이론과 탐구방법 및 기준 등을 접목하여 작품을 구상토록 하였다. 이를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형상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창의적 표현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미술-사회 통합수업 방안에서는 사회 교과에서 언급되고 있는 환경보호와 무분별한 개발 등의 주제들을 선정하여 흥미로운 영상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미술교과의 학습단원과 연결시킴으로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술-철학 통합수업 방안에서는 철학적 사고의 시각화, 시각의 언어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철학을 주제로 한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생각을 회화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표현된 그림을 다시 말로 풀어 영상자료를 제공하고 내는 감상활동을 거침으로써 하나의 생각에 대한 두 가지 형태의 언어활동을 통해 사고력과 표현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위와 같은 학습지도 방안들이 좀 더 보완 되고 폭 넓게 실행된다면 미술교과 뿐만 아니라 기타 교과에 대한 전반적 이해 및 미적 경험의 확대로 조화로운 인격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 한다. 아울러 이의 실행을 위해서는 교사의 끊임없는 노력과 함께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전환 및 이에 따른 교육환경개선의 노력이 뒷받침 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future of our world seeks for a person who is not an expert in all sectors but has a consolidated view of each sector and with creativity can connect the different fields with flair. Steve Jobs, the innovator behind the new smart phone phenomenon, did not make a new form of technology but rather, invented innovative products through his articulated vision and creativethinking using methods and technology that already exist in society today. The by-product and by far the greatest benefit of integrating one’s critical thinking is that it can be done creatively and this in effect, collapses the boundaries of distinct partsof knowledge allowing for limitations surrounding fixed ideas to be eliminated and also allowing the imagination to guide new endeavors. Creativity and confidence are two great virtues necessary in a period of globalization where things are rapidly changing and expanding. Integrated education sets out to present an education which combines the two virtues and raise all-encompassing talented youth. Integrated education incorporates and reconstructs a student’s experience. The aim of holistic education is to integrate a child’s development and activity. Arts curriculum is suitable as a method of holistic education. Arts curriculum helps to improve a child’s social skills and expression through the use of assorted tools. It also acts as an important intermediary between the advancement of the power of thinking and positive emotional development in a whole which demands creativity and cultural understanding. Arts curriculum is so useful as to incorporate and enhance other subjects but other advantages include making the basic foundations and platforms for children to develop soci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thinking skills. The instructional teaching way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resented in this thesis, fosters cognitive ability based on learners’ research and navigation using arts curriculum as a means. Additionally, it ensures that students explore areas within social studies, science and philosophy in order to gain the social, cultural and scientific knowledg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Art-Science integrated lesson – This lesson leads students to envisionworking with a variety of scientific theories presented in scientific disciplines and also combining exploration methods and standards. It focuses on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by utilizing a variety of materials that allows students to visualize their work. Art-Social study integrated lesson – This lesson chooses topics that are discussed in social subjects such a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prawl development. It provides interesting video resources which is associated with art lessons to help students in their integrated thinking. Art- Philosophy integrated lessons – This lesson help to express students' thoughts through drawing after listening to a story based on philosophy theories. The process is to promote visualization of philosophical thinking and presenting of the visualization. In addition, students discuss their drawings through words and video footage. The lessons were designed to conjure expressive skill and cogitation about one single idea explored and expressed through the means of two language activities. I strongly believe that if this instruction is executed effectively, learners can receive assistance in developing a desirable personality as a result of the broadened overall understanding, the expansion of aesthetic experience within art and other curriculums beyond those of social study, cultural study and philosophy. For this to be a successful procedure, it should be backed by the unremitting efforts of teachers, and the transition to an awareness of ‘arts education’ and an emphasis on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