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의 클라리넷 현대작품 중 민족음악 요소 연구

        증광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중국의 오랜 역사 과정에서 소수민족의 전통음악은 독특한 자연환경 및 각각의 생활방식, 그리고 생산 활동에 따라 독자적 세계관과 음악 문화를 만들어 냈다. 클라리넷은 서양 악기로서 중국에 전래되는 과정에서 소수민족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음악가들은 중국 소수민족 음악 중의 여러 요소를 표현하는 데에 서양 악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중국 현대 클라리넷 음악 작품의 형식 및 형태를 정리하고 고찰한 결과, 중국 클라리넷 음악 창작은 '태동기,' '성장기,' '모색기,' '번창기'의 발전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시기별 음악과 예술의 특징을 대표하는 클라리넷 작품, 왕옌의 <목마의 노래>, 호벽정의 <파미이지음>, 장조의 <산요 세 곡>, 문찌양의 <심식직향>의 네 편을 선정하였다. 각 시대별 현대클라리넷 작품의 형성 및 발전과정과 작품에서 구현된 예술적 특징에 관한 두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민족적 음악 요소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음악의 구조,’ ‘민족 음계 및 조성,’ ‘특수 음형과 음정,’ ‘민족 악기의 모방’ 등에 대해 깊이 연구하였다. 또한 지역적, 생활적, 그리고 민족적 정취 등을 결합하여 작품에서 구현된 중국 현대 창작 클라리넷 음악을 통해 민족 문화 특색을 고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 현대 클라리넷 작품의 형식 및 형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창작자와 연주자에게 이론적 참고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서양악기로 중국 전통음악문화를 보다 잘 해석하고 계승하고자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In China's long history, traditional music of ethnic minorities has developed an independent world view and musical culture based on their unique natural environment, lifestyle and production activities. As a Western instrument, the clarinet was influenced by the minority culture during its introduction to China. Therefore, musicians have used Western instruments to explore ways of expressing the musical elements found in Chinese minority music. By combing and examining the form and shape of modern Chinese clarinet music compositions, four periods of Chinese clarinet music composition can be identified, including the germination period, the development period, the exploration period and the prosperity period. Four clarinet works representing the musical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periods are presented: (Wang Yan's) 'Song of the Herding Horse,' (Hu Bijing's) 'The Sound of Pamir,' (Zhang Chao's) 'Three Songs of Shan Yao,' and (Wen Ziyang's) 'Deep Breath with Infinite Sound.' This the sis examines the elements of folk music around two aspects, namel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clarinet works in various eras an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embodied in the works, specifically the musical structure, folk scales and tonality, special patterns and intervals, and the imitation of folk instruments. In addition, it examines the ethn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odern Chinese clarinet music based on the regional, living and ethnic flavors manifested in the works. This study aims to accurately analyze the form and shape of modern Chinese clarinet works, providing a theoretical reference for creators and performers, and suggesting a better way to interpret and inherit traditional Chinese music and culture using Western instruments.

      • 만하임악파 교향곡의 클라리넷 수용: 요한 슈타미츠의 교향곡의 경우

        윤현주 동덕여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클라리넷은 17세기 이전부터 유럽 음악에 사용되어 온 다른 관악기들과는 달리 18세기 말 혹은 19세기에 접어들 무렵에야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하여 비교적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다. 18세기 초 유럽 곳곳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클라리넷은 독일 만하임악파에 의해 처음으로 오케스트라 혹은 교향곡에 수용된다. 본 논문은 근대 및 현대 교향곡에 관악기의 중요한 일원으로 자리 잡은 클라리넷이 만하임악파의 교향곡, 그 중에서도 요한 슈타미츠의 교향곡에 어떠한 음악적 의도로 담겨졌는지, 또 그 악기가 어떠한 음악적 결과물을 산출해냈는지를 분석적으로 살핀다. 분석적 고찰에 앞서 본 연구는 클라리넷의 전신인 악기 샬뤼모가 클라리넷으로 발전해나가는 과정을 들여다본다. 그리하여 샬뤼모를 개량해 만든 클라리넷이 더욱 넓은 음역을 포괄하고 한층 더 섬세한 음향을 생산해내게 되었다는 사실을 파악한다. 아울러 본 논문은 클라리넷을 오케스트라로, 교향곡으로 수용하기 시작한 만하임악파의 전반적 역사와 함께 만하임악파를 세 세대로 나누어 각 세대의 음악적, 음악양식적 특징 및 어법을 탐구한다. 그리고 만하임악파의 선구자인 요한 슈타미츠의 생애, 음악, 특히 교향곡을 중심으로 그가 일군 음악적 성과들을 살핀다. 슈타미츠는 교향곡에 미뉴에트를 도입해 3악장에 위치시킨다. 그렇게 4악장 구조의 교향곡을 이루어낸다. 이는 이후의 만하임악파 작곡가들에 의해 계승되지는 않았지만 고전주의의 4악장 구조 교향곡이 ‘탄생’하는 순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슈타미츠는 또 관악기의 비중을 늘려 확대된 오케스트라 편성을 이루고, 첫 악장과 균등해진 커다란 음악적 비중의 피날레를 구성해 교향곡의 새로운 균형을 실현해낸다. 슈타미츠가 교향곡 장르를 통해 일군 여러 업적들 가운데 그 무엇보다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띠는 것은 단연코 클라리넷의 도입이다. 요한 슈타미츠의 두 교향곡, 즉 Op. 11의 제3번과 제1번 교향곡에 클라리넷이 처음으로 편성된다. 본 논문은 그 두 교향곡의 첫 악장을 구조, 구성, 짜임, 양식, 언어 등의 측면에서 면밀하게 분석한 결과로서 다음의 결론에 이른다. Op. 11, 제3번의 1악장은 구조적으로 단락들의 순환 혹은 반복의 특징을 띤다. 그 안에서 클라리넷은 홑리드를 사용하는 악기로서 민첩하게 진동하며 섬세한 선율적 표현을 구현해낸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폭넓은 음역과 자유로운 음량조절로써 만하임악파 특유의 감정양식 및 갈랑양식, 즉 ‘전고전주의’의 음악언어들을 훌륭하게 구현해내는 악기로 사용된다. Op. 11, 제1번의 1악장은 구조적으로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로 구성된 고전주의 소나타형식의 전사적 모습을 띠며, 여기에서 클라리넷은 오보에와 유니슨으로 주제적 선율(제2주제)을 이끌며 새로운 음향적 시도의 한 축을 이룬다. 무엇보다 선율성이 무뎌진 현악기들과의 음향적 괴리를 좁히는데 그 음색이 이용되며, 그렇게 전체적인 음향군들의 조화가 꾀해진다. 요한 슈타미츠 Op. 11의 두 교향곡에서 클라리넷은 결국 ‘현재’의 언어를 말하고 ‘미래’의 음악을 준비한다. The Clarinet, which was not used in public until the end of 18th century or entering into 19th century, has a comparatively short history unlike other well-established woodwind instruments such as oboe or flute that have pre-existed before the 17th century in European music. The clarinet, which began to be used throughout Europe in the early 18th century, was first accepted by orchestra and symphonies in the Mannheim School in Germany. From then on, the clarinet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member of the wind instrument in modern symphonies. This thesis analyzes the musical intension of the clarinet in the Mannheim School symphony, as well as various musical results the instrument produced since its first acceptance. Prior to the analy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looks into the process of chalumeau, forerunner of clarinet, developing into its modern successor. Thus, it is understood that the clarinet was made by improving the chalumeau to cover a wider range and to produce more detailed sound. Furthermore this thesis divides the Mannheim school into three generations along with the overall history of the Mannheim school that started to accept the clarinet as in orchestra and symphony, and explores the musical style characteristics in each generation. It also examines the musical achievements of Johann Stamitz, the pioneer of the Mannheim School, based on his life, music, especially the symphony. Stamitz introduced a minuet to the symphony and placed it in the third movement. Thus, a symphony with a four-movement structure was achieved. Although it was not inherited by composers after Johann Stamitz, it can be regarded as the moment in which the classical four-movement structural symphony was ‘born’. Stamitz also increased the proportion of the wind instrument to form an expanded orchestra and fulfill new sound in the symphony by composing musically enlarged finale that equalized to the first movement. Among the many achievements Johann Stamitz accomplished through the symphonic genre,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is the acceptance of the clarinet. The Clarinet is arranged for the first time in Johann Stamit’z two symphonies, Op. 11 Symphony No. 3 and Symphony No. 1. This these comes to a conclusion with a detailed analysis of the first movement of the two symphonies in terms of structure, compositional technique, organization, style, and musical language. The first movement of Op. 11, Symphony No. 3 is structurally characterized by the repetition of phrases. In this phrase, the clarinet, single-reed instrument vibrates with agility and embodies delicate melodic expression. Specifically, with a wide range and freely controllable volume, the clarinet is used as an instrument that embodies the musical language of the Mannheim School’s unique ‘Empfindsamer Stil’ and ‘Galant Style’ that is pre-classicalism. The first movement of Op. 11, Symphony No. 1 is structured in a classical sonata form, consisting of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and the clarinet in unison with oboe leads the thematic melody (second theme), attempting a new sound. Above all, the tone is used to narrow the acoustic gap with strings whose melody has become weak, and thus the harmony of the entire orchestra is achieved. In the two symphonies by Johann Stamitz, the clarinet finally speaks the language of the ‘present’ and prepares the music of the ‘future’

      • 초보자를 위한 클라리넷 교재연구

        조영철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육부에서는 1995년 교육개혁안을 통해 '신교육 체제'를 제시 한 이후 신교육 체제의 실천을 위한 교육 개혁 과제 사업으로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학생들의 다양한 개성을 존중하고 인성 및 창의성을 최대한 신장시키는 새로운 교육체제를 갖추어 모든 학생들의 잠재 능력을 최대한 계발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각 시.도 교육청별로 방과 후 특기 적성 수업을 권장하여 학생의 흥미, 취미 및 학교 실정과 지역실정에 적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모든 방과 후 특기적성 수업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저렴한 비용으로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방과 후 특기적성 프로그램 중 음악에 관련된 프로그램에서는 바이올린, 플륫, 클라리넷반이 활성화 되고 있는데 악기를 배워 연주한다는 것은 보다 더 음악에 대한 친밀감과 교감을 느낄 수 있고 마음의 정서를 쌓을 수 있으며 여러 가지 감정을 체험하게 해 줄 수 있게 해준다. 현재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서는 특기 적성 수업 활동으로 클라리넷을 배우는 학생들의 수가 점점 늘고 있는데 클라리넷 연주에 있어서 좀 더 쉽게 초보자들이 클라리넷을 배울 수 있는 구체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클라리넷 교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리넷을 배우는 모든 초보자들을 위하여 기존에 나와 있는 클라리넷 교재 중 5종류의 출판사에서 출판된 교재를 연구하여 교재 내용이 어떻게 전개 되고 있으며 각 교재 마다 다루고 있는 특징들과 개선해야 할 점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클라리넷에 관련된 연구 논문과 문헌 연구를 통해 현재 클라리넷에 관련된 연구 조사가 얼마큼 진행 되고 있는지 파악 하였고 클라리넷 지도법과 교재에 관련된 연구 논문을 조사 하였다. 클라리넷 교재 분석을 위해 선정한 5종류의 클라리넷 교재를 가지고 기본적인 악기의 구조에 관한 설명과 악기를 연결하는 조립법, 관리법, 호흡법, 텅깅법, 슬러법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교재를 처음 단계, 중간단계, 마지막 단계의 세부분으로 나누어서 클라리넷을 처음 배울 때 내는 음들과 각 교재 마다 배우는 진도를 비교 하여 교재마다 좋은 점과 개선해야할 점들을 연구 하였다. 5종류의 교재 중 슬러법 위주로 된 교재와 텅깅법 위주로 된 교재 2권을 대표로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연구 했으며, 이 두 교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클라리넷 지도를 하고 있는 두 곳의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각각 클라리넷 수업을 하여 두 교재의 차이점을 비교 하였다. 그동안 연구한 클라리넷 교재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클라리넷 지도를 하였다. 각 교재마다 차이점이 있기 때문에 그 특징에 따라서 학생들의 실력 차이가 나타났다. 어느 교재가 월등하게 좋다고 단언 할 수는 없지만 클라리넷 교사가 어떤 부분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을 지도 하느냐에 따라서 각각의 교재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의 클라리넷 교재 연구를 통하여 클라리넷을 배우는 초보자들이나 클라리넷 수업을 진행 하는 교사들에게 교재를 선택하는데 본 논문의 연구가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suggested a "New Education System"through educational reforms in 1995, elementary schools in Korea have been provid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individualized character education as a part of educational reform. The goal of these activities is to help students achieve their maximum potential b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ity and creativity. The Office of Education in each city and province is offering character-developing programs after considering the interests of students and the appropriateness for each area and school. All of these programs after school are run with low cost, and they are receiving good response from a lot of students and parents. Among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re are music programs of violin, flute, and clarinet; these music programs are to help students feel closer to music and experience different feelings, rather than teach them how to play the instruments. At present in Korea, the number of students, who learn to play the clarinet at elementary schools,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 should be easier, more concrete textbooks for beginners to understand and learn the clarinet. For this thesis, five textbooks were selected from existing clarinet textbooks for beginners to examine how the contents of the books were progressed and to find out each book's characteristics. First,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on clarinet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When analyzing clarinet textbooks, the following aspects were examined with five selected books: 1) explanation on the basic structure of clarinet, 2) assembling and maintenance methods, and 3) breathing, tonguing, and slurring techniques. These textbook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By comparing different tones that could be produced at the start of learning with the progresses that could be achieved from different textbooks, good points of each textbook and its improvement to be made were investigated. Among the five textbooks, we selected two books: one for the slurring technique and the other for tonguing techniqu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aught clarinet classes at two elementary schools with these two textbooks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books. Students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their performance due to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each textbook. This research cannot suggest which textbook is superior to the others, but it can help clarinet teachers choose an appropriate textbook for what they want to focus on teaching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valuable guidelines for clarinet beginners and teachers in selecting appropriate textbooks.

      • 칼 마리아 폰 베버의 〈Grand Duo Concertant Op.48〉에 대한 분석

        용소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칼 마리아 폰 베버(Carl Maria von Weber, 1786-1826)의 <그랜드 듀오 콘체르탄테(Grand Duo Concertant Op.48)>는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이다. 이 곡은 두 악기간에 폭넓은 음역과 기법, 트레몰로, 스타카토, 아르페지오와 같이 화려한 기술들을 표현한 콘체르탄테이다. 낭만주의 시대가 시작된 18세기 후반부터 유행하였던 관현악적인 기교와 스케일이 감미된 콘체르탄테는 많은 독주악기들의 기악음악으로 연주자들이 선호한 형식으로 기교적이고 화려한 모습이 나타나는데 그중에서도 베버의 곡들은 낭만주의 음악의 특징과 감성을 느낄 수 있다. 19세기 초기 낭만주의 시대는 기악의 발달로 인해 많은 목관악기들이 대중적인 시대였으며 그 악기들을 다룬 수많은 협주곡, 콘체르탄테가 작곡되었다. 베버가 작곡한 콘체르탄테는 1800년대부터 비교적 짧은 시대동안 작곡되었는데, 베버의 기악음악 중에 클라리넷티스트 베어만(Herinch Joseph Bärmann, 1784-1847)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클라리넷 협주곡이 제일 대중적인 평가를 받았다. 베어만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낭만주의 시대에 클라리넷 연주자이자 작곡가이며 기악기술 개발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베버의 클라리넷 작품 중 총 5곡을 함께 작곡하며 베버로부터 많은 곡들을 헌정받았다. 베버는 베어만과의 인연으로 클라리넷에 대한 음색과 매력에 매료되었고, 클라리넷 협주곡에는 5중주 In B flat major Op.34 - 2악장 Fantasia Adagio ma non troppo, 5중주 In B flat major Op.34 - 3악장 Menuetto Capriccio Presto, 클라리넷 콘체르티노 In E flat major Op.26, 협주곡 1번 In F minor Op.73 j.114 - 1악장 Allegro, 클라리넷 협주곡 2번 In E flat major Op.74 j.118 - 1악장 Allegro이 있으며, 이 곡들은 오로지 베버로부터 작곡된 것이 베어만의 영감 또한 많이 깃들여져 있는 곡들이다. 베버의 클라리넷 곡들은 베버 자신이 사고하고 있는 클라리넷의 매력과 목관악기의 특징을 기반으로 작곡을 했으며 또한 이 곡을 연구하면서 클라리넷이 표현 할 수 있는 음색과 화려한 기교적인 부분들이 베버의 음악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앞서 언급한 내용과 같이 <그랜드 듀오 콘체르탄테(Grand Duo Concertant Op.48)>는 클라리넷의 음색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높은 수준의 기교적 테크닉과 악상의 급변화들이 베버음악에 대표적인 특징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러한 부분들을 이해하고 숙련함으로써 연주의 질을 높일 수 있다. Weber's Grand Duo Concertante is a concerto for clarinet and piano. It is a concertante with strengths, and brilliant technical elements between the two instruments. In the Romantic era of technic and scale, which had been popular since the late 18th century, concertante became the instrumental music of many solo instruments. Each technical and colorful figure is represented, Among them, Weber's instrumental music is an opportunity to learn romantic musical characteristics and emotions. The early 19th century Romantic period was a popular age for many woodwind instrument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 music, and numerous concertos were composed of them. The concertante composed by weber has been composed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since the 18 century and was influenced by Clarinetist Bearman(1784-1847) In the Romantic era, Bearman was a clarinetist and composer who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 technology. He had composed a total of five of his clarinet pieces together, and was dedicated many songs from Bever. Due to weber’s relation with him, weber were fascinated The sound and charm of the clarinet. Weber's clarinet concerto was dedicated to Bearman, in its kind, Clarinet Quintet In B flat major Op.34–No.2 Fantasia adagio, Clarinet Quintet In B flat major Op.34–No.3 Menuetto. Capriccio presto, Concertino In E flat major Op.26, Concerto No.1 In F minor Op.73 j.114–No.1 Allegro, These songs were not written only in the inspiration of the weber, but also in the inspiration of the Bermann through numerous trips. Weber's clarinet songs were composed based on the appeal of the clarine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wind instrument that he was thinking of, and also on the sound and fancy techniques that clarinet can express while studying it. As mentioned earlier, the Grand Duo Concertante can be seen as a typical feature of weber’s music by understanding and enhancing the high level of techniques and musical changes while maintaining the tone of the clarinet.

      • 클라리넷에 관한 전반적인 고찰 : 현대음악에 나타난 베이스 클라리넷의 기법에 관하여

        서윤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독주 악기로서 뿐만 아니라 관현악, 관악, 실내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클라리넷은 약 250년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클라리넷은 목관으로 만들어진 이조악기로서 마우스피스, 배럴, 윗부분, 아랫부분, 그리고 벨로 구성되어 있다. 클라리넷은 목관악기 중 가장 늦게 발달한 악기로 18세기 초에 독일과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동안에 개량되어 19세기에 완성되었다. 오늘날은 독일식과 프랑스식이 쓰이고 있는데, 독일식은 19세기 초 독일의 연주자 뮬러에 의해서 지공과 운지법이 대폭 개량되어 그것이 바탕이 된 것이고, 프랑스식은 플루트의 뵘 방식의 장점을 받아들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리넷의 구조와 음색, 음역, 음악적인 역사, 구조적 발달과정 그리고 현재에 쓰이고 있는 클라리넷 시스템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클라리넷의 일반적인 배경을 통하여 베이스 클라리넷의 이론적 배경을 밝히며 현대 음악에서의 베이스 클라리넷의 역할과 비중을 제시하고자한다. 현대음악의 과제 중 하나는 음악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리고 새로운 연주법, 기보법 그리고 이러한 연주법으로 실제 연주되는 상황 등에 익숙하게 하는 것이다. 현대음악에서는 작곡자의 의도에 따라 연주법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음향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클라리넷의 다양한 주법으로 오늘날 현대음악에서 요구되는 기법상의 문제를 수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 다양한 기법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현대 작곡가들의 많은 작품들은 베이스 클라리넷에 나타난 새로운 음향과 특수주법들을 많이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작품들에 나타난 베이스 클라리넷의 특수기법(주법)과 그에 따른 음향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The clarinet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orchestra, wind ensembles and chamber music as well as solo instrument these days has the history of 250 years. The clarinet is a transposing instrument made of wood, and it consists of mouthpiece, barrel, upper joint, lower joint and bell. The clarinet has the shortest history among wooden instruments, which was developed in Germany and France early in the 18th century, and completed in 19th century. Today, we widely use the clarinet by the German system and French system; the key work and fingering is improved by Mu¨ller, German player in German system, and the merit of Bo¨hm-flute system is adopted to French system. In this paper, my study focuses on structure, register, musical history, organological development and present clarinet system. Also, I intend to discov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role of bass clarinet in contemporary music through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clarinet. One of the assignments of contemporary music is to discard the fixed idea and to make us accustomed to new playing technique, notation and realistic playing situation. In contemporary music, a composer can create various effective sounds by changing playing technique as efficiently as he wants. Especially with the various techniques of bass clarinet, we can overcome the technical problem. Furthermore, we can find the possibility of inventing various technique in contemporary music. At this point of view, many works done by contemporary composer are suggesting the new sound and special technique of bass clarinet appearing in the bass clarinet. In this study, I want to investigate the special technique and the following sound effect in contemporary music.

      • 초보자를 위한 국내·외 클라리넷 교재 비교연구 : 국내 출판된 교재를 중심으로

        황남용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For beginners who are starting the clarinet, the selection of the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 's ability. Especially, the textbook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teaching. So far, clarinet textbooks are dependent on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nd, we avoids using them because of the uncertainty of the new textbooks. The teacher should consider the situation and the level of the learner. It is also necessary to identify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extbooks and select the textbooks and reference materials appropriate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students to select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s and the students who start the class. For this purpose, six clarinet textbooks written in korea and abroa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s, the 'Karl lei Clarinet Textbook' written by a Korean author has a good for learning fingering, but it can be tedious for beginners because there are many repetitive exercises. The clarinet textbook (Dara Publishing Company) written by the domestic author is good in th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fingering method, but it is difficult to repeat learning because of lack of exercise song. The 'Langenus' Clarinet Book (Samho Music) written by the French author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extbook. Therefore, it is helpful to improve the skill. The 'Mauze Clarinet (Music World)' written by the German author is a well-organized knowledge of the clarinet and is good for beginners, but lacks an exercises for beginners. The Essential Clarinet Book (Samho Music) written by the American author is accompanied by a CD accompaniment and is a good textbook to use for the ensemble, but there is not enough exercise for basics. The 'Clarinet Textbook' written by the Japanese author is a textbook that is not difficult for beginners to understand, but it lacks overall theory explanation.  Compared with other instruments' textbooks, clarinet textbooks are difficult to select the most efficient textbook for teaching beginners because of short history and the lack of diversity. Therefore, in the case of a beginner, using various textbooks or supplementary textbooks will lead to effective learning effect for beginners rather than using only one textbook. Based on this research, I hope that better new clarinet teaching materials will be published, considering the pros and cons, and the improvement of each teaching material. 클라리넷을 시작하는 초보자들을 위한 교재의 선택과 지도방법은 학습자들의 실력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교재는 지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클라리넷 교재는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교재에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재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기피하는 현상이 존재한다. 따라서 교사는 기존 교재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학습자의 상황과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재를 선택해야 한다. 본 연구는 클라리넷을 시작하는 학습자와 지도하는 교사에게 효율적인 교재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국내와 국외에서 쓰여진 6개의 클라리넷 교재를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광출판사의 ‘칼 라이 클라리넷 교본‘은 운지법을 익히기는 좋으나, 반복 연습곡이 많아 초보자들에게는 지루할 수 있으며, 도서출한 다라의 ’클라리넷 교본’은 운지법의 상세설명은 좋으나, 연습곡과 과제곡의 부족으로 반복학습이 어렵다. 프랑스 저자가 쓴 삼호뮤직의 ‘랑게누스 클라리넷 교본’은 교재들 중 가장 어려운 교본으로 실력향상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초보자들에게는 난이도가 높으며, 독일 저자가 쓴 도서출판 음악세계의 ‘마우츠 클라리넷 교본’은 클라리넷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이 잘 정리되어 있고 초보자를 위해 좋으나 기초를 위한 연습곡이 부족하다. 미국 저자가 쓴 삼호뮤직의 ’에센셜 클라리넷 교본’은 반주CD가 함께 수록되어 있고 합주용으로 사용하기 좋은 교재이지만, 기초를 위한 연습곡이 부족하다. 일본 저자가 쓴 아름출판사의 ‘클라리넷 교본’은 초보자가 하기에 어렵지 않은 교재이지만 전반적인 이론 설명이 부족하다. 다른 악기의 교본에 비해 클라리넷 교본은 그 역사가 오래되지 않고 종류 또한 다양하지 않아 초보자들을 지도하기에 효율적인 교본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초보자의 경우 한 가지 교재만 사용하기 보다는 주교재를 선택하고 이론교재를 보충하여 사용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각 교재의 장단점과 개선점을 고려하여 보다 나은 새로운 클라리넷 교재가 출간되기를 기대한다.

      • 클라리넷 개인 실기지도에 대한 지도안 연구 : 기초과정 중심으로

        박가을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에서의 음악은 느끼고 감상하는 것 보다는 직접 악기를 연주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향이 많다.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은 교과의 음악 수업 보다는 학교 방과 후 수업이나 문화센터에서의 악기지도가 활발해 지고 있다. 다양한 악기지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중 클라리넷은 저음부터 고음까지의 음역대가 넓어 음악적 표현이 다양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고, 휴대하기 편리하며 어느 장소에서든 연습할 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자는 클라리넷의 기초과정인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지도방법이 무엇인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악기의 역사, 발달과정, 클라리넷의 구조, 종류, 음역 대를 알아보고 클라리넷의 조립방법, 바른 자세 연주법, 호흡법, 앙부쉬어의 중요성을 인지한 후에 강원도 원주에 거주하고 클라리넷 개인 지도를 받는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악기에 대한 기본 지식, 원하는 초점 등에 따른 질문결과를 토대로 클라리넷을 흥미롭고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연주곡을 위주로 12차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12차시 수업진행 후, 그에 대한 수업 만족도 설문을 하였다. 그 결과 12차시 전 보다 악기에 대한 기본지식이 많이 향상되었고, 수업기간에 만족하였다. 12차시동안 빠른 시일내에 연주곡을 연주하므로 학생들은 계속 악기를 배우고 싶어하는 긍정적인 답변이 있었다. 계속 악기를 배울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대체적으로 계속 받을 것이라는 긍정적 답변이 많았다. 12차시 이후에 악기를 지속적으로 배운다면 지금까지 배우지 못한 다른 운지법과 난이도 높은 곡을 연주하고 싶다고 답해왔다. 이러한 만족도 결과를 토대로 계속적인 클라리넷 지도를 위한 다양한 지도안 연구와 다양한 교육방법이 제시되기를 기대해본다.

      • 초등학교 클라리넷 특기 적성 교육 실태분석 연구

        장은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등학교 클라리넷 특기・적성 교육 실태 분석 연구 Current State of Clarinet Lessons for Elementary School's Extracurricular Activities 음악교육전공 장 은 아 지 도 교 수 박 철 홍 교육부에서는 1995년 교육 개혁안을 통해 신교육 체제를 제시한 후 신교육 체제의 실천을 위한 교육 개혁 과제 사업으로 방과 후 교육활동을 선정하고 각 시,도 교육청 별로 방과 후 특기・적성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흥미, 취미 및 학교 실정과 지역 실정에 따라 적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2000년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활동 부분에서 컴퓨터, 영어, 미술, 현악 부분에 이어 플루트, 클라리넷 부분이 좋은 반응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성교육을 위한 음악 교육에 있어서 관악기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클라리넷을 배울 수 있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클라리넷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부산지역의 14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특기・적성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부산 지역의 14개 초등학교 클라리넷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교사의 기초 사항 및 수업운영, 교육환경, 교본, 교육방법, 관심도 등 여섯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클라리넷 지도는 음악실이 아닌 일반 교실 혹은 이와 같은 형태의 특기적성 교실에서 거의 이루어 졌다. 또한, 악기 지원이 되지 않는 학교도 93%였다. 클라리넷 교사는 초빙된 전문 외래 강사로 모두 클라리넷 전공자였고, 강사 스스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선택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를 보완하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특기・적성 교육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교육환경의 개선이 우선 되어야한다. 클라리넷 특기・적성 교육을 효율적으로 진행 할 수 있는 교실이 지원되거나, 학교에서 악기를 보유함으로서 보다 많은 학생들이 더 나은 환경에서 배울 수 있는 전문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클라리넷 교사는 주법과 운지법, 호흡법 등의 연주 기술을 가르치는 것과 동시에 적극적인 자세로 교재 연구와 더불어 음악성과 창의성을 길러 줄 수 있는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주요어 : 클라리넷, 특기・적성 교육, 방과 후 교육활동

      • 중국작곡가들의 클라리넷 작품에 나타난 중국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졸업연주 프로그램 곡목을 중심으로-

        진미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은 예로부터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일 때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그것을 자국의 특 성에 맞게 민족화 시키는데 매우 능한 경향을 보여 왔다. 이러한 특성은 외래 악기의 수용과 정착과정에서도 예외 없이 나타났다. 서양의 것을 중국의 특성에 맞게 이용한 다는 양위중용 (洋爲中用) 과 악기모양은 변화시키지 않고 연주방법은 변화시킨다는 이보유형(移步留形) 은 중국의 클라리넷 수용과 정착과정에서 나타난 중국적인 특성 을 잘 설명해주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중국에서 클라리넷을 공부하다가 한국으로 유학을 오면서 한국과 중국에서 학 생들이 배우고 익히는 클라리넷 레파토리가 매우 다르다는 사실에 놀랐고 그 이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서양곡보다는 중국 작곡가들의 클라리넷 작품을 많이 접하고 연주하는 경향이 있는데 서양의 곡과는 그 분위기가 매우 다르다. 중국 작곡가들이 쓴 중국의 클라리넷 곡에는 중국인들에게 매우 친숙한 ‘중국적’인 특색이 드러나 있다. 이러한 특색은 음악 내에서 스케일이나 박자 등 중국적 요소가 서양식 기보로 나타나는 것이 있는가 하면 클라리넷의 연주기법 자체가 중국전통악기의 연주 기법의 영향을 받아 중국에만 있는 독특한 연주기법을 만들어 낸 점에서 드러나기도 한다. 특히 전통악기의 영향을 받은 연주기법은 중국내에서 실제로 많이 통용되는 방 식이지만 이런 방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 다. 본 연구는 우선 중국의 클라리넷 수용과정을 살펴보고 중국의 클라리넷 연주현황을 대략적으로 살펴본 뒤 그 중 중국에서 널리 연주되는 곡을 분석해 볼 것이다. 분석의 틀은 일반적 곡의 분석과 함께 중국적인 특성의 발현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전통악기가 중국 클라리넷 연주 기법에 끼친 영향을 곡의 예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 중국의 클라리넷 연주는 아직 크게 발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서양의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자국의 특성에 맞는 레파토리들을 만들어내어 중국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음악문화의 한 갈래로 정 착시킨다면 탈 서양 중심의 음악이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는 현 시대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초보자를 위한 한국과 중국 클라리넷 교재 비교 분석

        임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 경제와 문화의 발전으로 예술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중국 많은 초등학교에서 한국과 비슷한 방과후 수업을 하게 되면서 중국 학부모들은 취미로 더 이상 피아노가 아닌 다양한 악기들에 대한 관심도 늘어났다. 그 중 클라리넷을 배우는 학생들도 많이 늘어나면서 기초교육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은 학습자의 증가와 교육의 발전이 동시에 상승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아직도 악기를 배울 때 가장 중요한 단계인 기초교육 단계를 교재의 잘못된 선택으로 잘못 가르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왜냐하면 교재를 선택 할 때 학습자의 나이, 능력과 수준 그리고 신체조건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알맞은 교재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교육자는 학습자의 이러한 조건을 생각하지 못하고 다른 학습자들과 같은 교재를 선택하여 교육을 하는데, 이것은 학습자의 나이, 능력과 수준 그리고 신체조건에 따라 좋은 효과를 낼 수 있고 또는 그 반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 때문에 초보자의 수준에 맞는 적합한 교재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초보자들에게 맞는 교재를 선택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왜냐하면 적합한 교재에 의해 어려운 부분들도 쉽게 처리하고 연주 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중국과 한국의 나라에서 직접 편집하여 출판한 클라리넷 교재 두 종류를 선택하여 각 교재의 특징과 첫 소리 내는 법, 호흡법, 텅잉법, 스타카토 그리고 운지법등 클라리넷을 배울 때의 기초요소들을 비교하였고, 각 교재의 특징과 개선해야할 점들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을 연구한 결과 각 교재마다 집중적으로 다루는 부분들이 다르고 운지와 리듬을 초보자들에게 가르칠 때 다양한 교재를 선택하여 초보자들에게 부족한 부분이 학습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학습자에게 필요한 부분을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좋으며 이것이 초보자들의 흥미를 얻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다. 주요어: 클라리넷, 클라리넷 교재, 한국 클라리넷 교재, 중국 클라리넷 교재 With the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and culture, Chinese people have more interests in art culture. Most primary schools in China set art courses similar to those in South Korea after school, and Chinese parents start to pay attention to musical instruments other than just piano when help their children choose art skills to learn. Now there are increasingly growing students learning to play clarinet. At the same time, Chinese parents have developed interests in elementary education of music. However, the education level cannot catch up with the demand of increasing students. Even now some teachers still use improper teaching materials that lead students to a wrong way of music foundation. It’s because they do not choose teaching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students’ age, ability and physical condition, which will certainly impact learning and training efficiency. As a result, it’s important for a teacher to take such elements into consideration when choosing teaching materials. proper teaching materials are important for beginners, for they help grasp difficult playing skills in an easy way. This paper focuses on and mainly compares teaching materials of clarinet directly edited and published in China and South Korea. Specifically speaking, articulation, breathing exercises, finger technique and other basic clarinet techniques will be discussed about to summarize thos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above teaching materials of the two nation. We learn from the comparison that different teaching materials have different major content, thus for beginners, it had better choose based on their own need rather than just pick one up among them. In this way, they will grasp playing skills properly. keyword: Clarinet, Clarinet Textbook, Korean Clarinet Textbook, Chinese Clarinet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