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에서 춘원의 위상은 왜 변화하였나? - 1956년부터 2013년까지 조선문학사를 중심으로 -

        이예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first thing done in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was clearing up the past affairs. Clearing up the pro-Japanese collaborator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carried out in an extensive scope,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no exception. There are many figures criticized or removed altogether from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for this reason, but among them, Chunwon Lee Gwang-su (or Yi Gwang-su) is the typical figure whose status has changed in each period. However, there are no clear reasons known for Chunwon’s change in status. The biggest cause may be the closed North Korean society, and another reason may be the unfriendly nature of North Korean literature. Changes within North Korea are difficult to capture unless they are displayed as an outcome, and even when there is an actual outcome, the cause of such changes is rarely revealed.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examine the historical facts of the time as well as the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This study selected 8 types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published from 1956 to 2013 as the key literature. The year 1956 was select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research because it was when the first history of literature written in North Korea was published after liberation. The study period is set until 2013 because this was when the latest history of literature that can be verified today was compiled. The evaluation of Chunwon first begins with completely negative review in 1956, and he is ostraciz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upon entering the 1970s. However, Chunwon is mentioned again since the late 1980s, making a comeback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evaluation of him changes completely since the 1990s. The reason why Chunwon received negative feedback and was ostracized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With the past affairs being cleared up after liberation, it was only natural that Chunwon received negative feedback due to the cooperation with Japan. This negation and criticism of Chunwon led to ostracism, causing his status to fall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However, since 1960s, North Korea was making efforts to bridge the gap in history during the 1910s and 1920s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Kim Il-sung. This was the same in terms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were controversies about this in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part from the political circumstances. Moreover, the emergence of ‘North Korea minjok jeiljuui’ (the Korean nation is the greatest) also seems to hav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unwon’s change in statu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In other words, Chunwon, who had been the target of negation and criticism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 literature, made reappearance in history at a certain point due to the efforts to bridge the gap. At the same time, as the concept and discourse of national literature have been newly formed, exploration of contemporary literature traditions may have also served as a momentum. 1945년 해방을 맞은 후 북한에서는 제일 먼저 이루어진 것은 과거사 청산이었다. 일제 식민지 통치 시기 친일파에 대한 청산 작업은 광범위하게 이루어졌으며, 문학사 역시 피해갈 수 없는 영역이었다. 이러한 과거사 청산을 이유로 조선문학사에서 비판을 받거나 지워진 인물은 상당히 많지만, 그중에서 춘원 이광수는 드물게 시기마다 위상이 변화해 온 대표적 인물이다. 그러나 춘원의 위상 변화에 대한 이유는 명확하게 드러난 바가 없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북한의 폐쇄성을 꼽을 수 있으며, 또 다른 이유로는 북한 문헌의 불친절함을 들 수 있다. 북한 내부에서 벌어지는 변화는 결과로 도출되지 않는 이상 포착하기 어려우며, 결과가 도출되었다 하더라도 변화의 원인을 밝히는 경우가 극히 드문 까닭이다. 때문에 해당 시기의 역사적 사실과 당대의 정치・사회・문화를 두루 살필 필요가 있다. 연구를 위해 1956년부터 2013년까지 간행된 8종의 조선문학사를 중심 문헌으로 선택하였다. 1956년을 본 연구의 시작 시기로 삼은 이유는 해방 이후 북한에서 기술된 최초의 문학사가 이때 간행되었기 때문이며, 2013년까지로 시기를 제한한 것은 현재 확인 가능한 최신의 문학사가 이때 편찬된 까닭이다. 춘원에 대한 평가는 1956년 완전히 부정적인 평가로 시작하여, 1970년대 접어들면서 문학사 기술에서 외면당하게 된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춘원에 대한 호명이 다시 이뤄지면서 조선문학사에서 춘원이 재등장하게 되며, 1990년대 이후로 춘원에 대한 평가는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난다. 조선문학사에서 춘원에 대한 평가가 부정과 외면 등의 형태로 기술된 이유는 당대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해방 후 과거사 청산이 이뤄지는 상황에서는 대일 협력을 이유로 춘원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부정과 비판은 결국 외면이라는 방식으로 번지면서 조선문학사에서 춘원의 위상은 점차 낮아졌다. 하지만 1960년대부터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교시에 따라 1910년대와 1920년대에 이르는 시기에 대한 역사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었다. 이것은 문학사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였으며, 정치적 상황과 별개로 북한 문단에서 이와 관련한 논쟁이 있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지점이기도 하다. 또한 민족제일주의의 등장 역시 조선문학사에서 나타나는 춘원의 위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즉 조선문학사에서 부정과 외면의 대상이었던 춘원이 특정 시기를 기점으로 문학사에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은 문학사의 공백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 때문이었으며, 동시에 민족 문학이라는 개념과 담론이 새롭게 형성되면서 현대문학의 전통에 대한 탐구 역시 하나의 계기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춘원의 장편소설에 수용된 기독교 사상 연구 : 「무정」,「재생」을 중심으로

        車泫叔 단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791

        본 논문은 춘원의 작가의식의 변모과정과 기독교 수용의 의미를 살펴보고 기독교 사상이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는 「무정」·「재생」의 분석을 통하여 소설 내적인 의미망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 근대소설 형성과정 속에서 기독교 사상의 영향관계를 살피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춘원은 동학(天道敎)의 인내천사상과 민족사상을 통하여 민족적 정체성과 실천의 방법을 제시받았다. 이러한 정신적인 바탕위에서 춘원은 톨스토이의 박애주의적인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이러한 춘원의 사상은 불교의 보살행과 윤회적인 생사관을 수용함으로써 대자적인 실천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사상사적인 궤적은 곧바로 그의 소설작품에 반영되었다. 즉 춘원의 소설작품에서 살필 수 있는 종교사상은 천도교, 기독교, 불교를 통합하고자 하는 범종교적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춘원의 종교사상적인 모색과정은 근대사상을 확립하고자 하는 선각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춘원의 기독교 수용의 특징으로는 첫째로 톨스토이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를 박애주의, 인도주의, 무저항주의로 받아들였으며, 둘째로 제국주의를 합리화시키는 일본 교회의 의례(儀禮)에 대한 반감으로 일반적인 신앙생활을 거부했으며, 셋째로 자연주의 문예와 바이런 시와 다윈의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성경을 부정하고 반기독교적인 견해도 가지고 있었다. 이런 춘원의 기독교 수용은 그가 기독교를 개인의 구원이나 회개의 신앙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민족을 계몽하고 개혁할 수 있는 선진사상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춘원이 받아들인 기독교는 믿음에 기초한 기독교이거나 제도적이고 현실적 기독교의 모습은 아니었다. 계몽을 위한 사상으로서의 수단, 즉 방법론 중의 하나로서 인식했던 것이다. 춘원은 기독교를 신앙의 차원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조선의 봉건질서의 극복과 외세의 침략을 극복하는 실천 사상으로 수용하였던 것이다. 즉 춘원은 기독교를 사회 개혁의 대안으로써 받아들였다고 볼 수 있다. 「무정」·「재생」은 톨스토이적인 박애사상과 예수의 아가페적인 사랑의 정신을 통하여 거듭나는 체험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무정」은 봉건적 미망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 당대 현실을 비판적 눈으로 그리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계몽정신을 강조하고 있다. 그 계몽의 논리 속에는 기독교 사상이 드러나 있다. 「재생」에서는 순영과 봉구의 사랑을 통하여 기독교적 희생정신의 의미가 잘 형상화 되고 있는데 이러한 희생정신을 통하여 민족 부활의 당위성 또한 드러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urse of change in Chunwon's consciousness as a writer and a meaning of acceptance of Christian thought, and an intra-novel meaning network by analyzing 『Mujeong 』 and 『Jaesaeng』with concrete revelation of Christian thought. It could possibly be a task of examining the effect of Christian thought in the process of appearance of Korean modern novels. Chunwon was given national identity and a practical method through the thought of Innaecheon ("A man is Heaven") and national thought of Donghak. On such a mental basis, he has accepted Tolstoi's philanthropic Christianity. Such Chunwon's thought developed into practice 'for itself' by accepting the concept of being a Buddhist saint and transmigrationism for life and death. This trace of thought history was directly reflected in his novels. That is, it can be said that the religious thought found in those novels is Pan-religious thought that was to integrate the Chondokyo religion, Christianity, and Buddhism. Such course of Chunwon's religious thought came from foresighted consciousness willing to establish modern thought. Chunwon's acceptance of Christianity is characterized first, by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as philanthropism, humanitarianism, and non-resistance influenced by Tolstoi; second, by rejection of general religious life as antipathy against ceremony of Japanese churches that rationalized imperialism; and third, by rejection of Bible and even an anti-Christian view influenced by naturalist literature, Byron's poetry, and Darwin's evolution theory. It demonstrates that Chunwon accepted Christianity not as belief for individual salvation or repentance but as advanced thought that could enlighten the nation and carry a reform. The Christianity accepted by Chunwon was neither Christianity based on belief nor institutional and realistic Christianity. He considered it as a means for enlightenment, that is, one of methodologies. In other words, Chunwon accepted Christianity as practical thought to overcome the feudal order of Chosun and foreign attacks rather than as a belief. Ultimately, it can be concluded that Chunwon accepted it as an alternative for social reform. 「Mujeong」 and 「Jaesaeng」 dealt with the theme of experiences of being reborn through Tolstoi's philanthropism and Jesus's agape. 「Mujeong」 described the contemporary reality that people failed to open their own eyes against feudalism in a critical way and stressed an enlightening spirit to overcome the reality. The Christian thought is revealed in the logic of enlightenment. 「Jaesaeng」 delivers the meaning of Christian spirit of sacrifice through the love between Sunyeong and Bonggu, which also reveals rightfulness of national resurrection.

      • 春園의 長篇小說 「사랑」 分析 : 中間者와 '病' motif를 中心으로

        이선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0 국내석사

        RANK : 247759

        春園은 植民地라는 암울한 時代를 살아간 전형적 지식인이었다. 民族에 대한 뜨거운 사랑을 지니고 있었지만 그 熱情을 現實化시키기에 現實은 너무도 척박하기만 했다. '情' 思想을 발전시키면서 文筆活動을 하던 春園은 어떤 계기로 인해 現實과 급속히 타협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春園에게 있어서 民族을 사랑하는 마음은 그 精粹인 '사랑'만을 남겨 놓고 變色하게 된다. 여기에 春園의 宗敎-倫理觀이라고도 할 수 있는 - '사랑 思想'이 表出된다. '사랑' 이것만이 어두운 이 時代를 살아 가는데 唯一한 빛이요, 구원적 表象이라는 절대적 믿음과 이것에 대한 실천, 그것이 春園의 사랑, 그리고 思想이었다. 本 論文은 이와 같은 春園의 '사랑思想'이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으며 春園의 代表作이라 할 수 있는 「사랑」의 構造를 '사랑思想'과 연관지어 分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사랑」을 分析하는 과정에서 그 作品의 力動性과 完結性을 담보하는 實體로서 '中間者'라는 개념이 도출되었고 中間者를 보조하는 軸으로 中間者의 공간적 이동과 스토리 전개의 有機的 결합에 성공하고 있는 "病院' 메타포와 "病'모티프를 中心으로 作品 分析을 전개하였다. 특히 中間者 〈순옥〉과 맺어지는 모든 관계를 파헤칠 때 〈순옥〉의 행동에서 一貫되이 이어지는 사랑의 실천적의지와, 사랑의 완성을 끝없이 指向하는 意志를 발견하게 되며, 이것이 질곡의 과정을 승화시켜주는 원동력이며 人間을 높은 곳으로 향상시켜 주는 유일한 힘이 됨이 선명히 드러나고 있다. 여기서 春園은 그의 사랑사상을 力說 하고 있음이리라. Ⅲ. Conclusion CHUN-WON was the typical intellectual who lived in the dark period of colong. He had a deep affection for his people but had some difficulties in realizing his love for nation. In the beginning, he was a radical revolutionist, gradudlly He wons literary fame by developing his ideas of "Jeong". But he made a compromise with reality on certain opportunity. For that reason his affection for people lost its luster except "the idea of love". The idea of love was based on his view of religion and expressed itself in his own way. This thesis contained his idea of love mainly and made an analysis of structures of "The Love", his most important work. The correlations of the mediatory(Sun, Ock) with other characters were all same above. The correlations, developed through the sacrament and desire were express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evolutional process. But those unified in the subject containing the practice of love and evolution toward the sacrament. Anyhow, the surrounding characters were raised to the status of resuer by Sun/Ock's practicing of love. Sun/Ock married Heo-Young. and she also grew into sacred being through the devotional life-which needs all sorts of hardships for completion. CHUN/WON showed us a religious love by shaping the universal idea of love into literary work. "The love" was written in the adverse social, individual. So in that periods he could deepen his idea of love by thinking death deliberately. If art for art's sake took place when the artist felt the desperate discrepancy between his aim and the goal of society which he belong to, the situations when CHUN/WON wrote "the love" could enable him to pursuit the pure liturature and the maturation of religious idea. If our researches of "the love" depends on the certain view of religion mainly, we can not understand every aspect of it and can distort the literary value of it. Therefore, on the basis of religious contents. This thesis puts emphasis on explaining the dynamic literary structures which contain the religious contents. It is to be-desired that this the sis would not distort the achievement of the former researchers and not be considered as a quantitative addition.

      • 漱石と春園の比較文學的硏究 : 「開化」と「改造」を軸として

        이미정 廣島大學 大學院 2005 해외박사

        RANK : 247742

        소세키와 춘원 둘다 혼란스러운 새시대를 살아가며 근대화라는 중대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고 그 해결방법의 하나로서 집필활동을 하게 된다. 먼저 소세키는 메이지국가가 일본의 전통을 무시하고 무리하게 서구화를 지향해 가는 것을 서구의 '노예'라고 인식하고 '자기식민지화'해 가는 일본에 경고를 함과 동시에 이러한 일본에 무엇보다 '인격'의 형성이 급선무라고 주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작중인물 대부분은 일본사회 속에서 고등교육을 받은 엘리트임에도 불구하고 입신출세의 길을 선택하지 않고 오히려 '고등유민'으로서 일본 사회를 등지며 살아간다. 특히 소세키는 근대화의 결과로서 나타난 화족, 부자 등을 날카롭게 비판하는데 그것은 그들에 의해 한층 더 어긋난 근대화가 조성되어지고 그것이 만연하기 때문이다. 또 이 어긋난 근대화의 풍조에 의해 아무리 노력해도 일반서민은 자신의 신분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으며 차별 받으면서 가난한 생활을 영위하게 된다. 소세키는 개인을 자유롭게 해야만 하는 근대화가 오히려 개인의 자유 권리를 말살하고 그러한 일그러진 근대화를 통해서 일본이 국가주의적임과 동시에 제국주의적인 근대화의 길을 걷는 것에 대해 저항의 자세를 취한다. 이러한 일본의 개화에 반발하는 소세키는 '산시로''그리고나서''문'의 전기삼부작을 쓰고난 다음해 1911년에는 '현대일본의 개화'라는 강연을 하는데 이것이 그때까지 고심해온 소세키의 일본 '개화'에 대한 이론의 집대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소세키는 '외발적인 개화'와 '내발적인 개화'라는 말로서 일본 '개화'의 폐단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으나 소세키 자신에게도 명안은 없다고 서술하고 다이쇼시대부터는 '개인'의 내면문제에 심취해 작품을 써간다. 한편 춘원은 전근대적인 유교사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조선을 유교제도의 '노예'라고 표현하고 이러한 습성에 의해 근대화가 늦어지고 결국 식민지가 되어버렸다고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작중인물들은 무엇보다도 전통타파와 함께 조선을 일본과 같은 문명국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개조'가 급선무라고 주장하는데 이것은 근대화야말로 조선이 일본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지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후 1919년 3월 1일 민족독립운동이 일어나는데 이것은 일본의 무력적 탄압에 의해서 실패로 끝난다. 실패후 1922년에 춘원이 발표한 이론이 '민족개조론'이다. 아무리 문명개화해 가더라도 나라를 구성하는 개개인을 '개조'하지 않으면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은 무리라는 것을 깨달은 춘원의 결론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춘원이 세운 '민족개조론'의 실천으로서 쓰여진 것이 바로 소설 '흙'이다. 춘원은 '흙'에서 조선독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랑'의 형성이 필요하다고 토로하는데 이것은 '민족개조론'에서 춘원이 주장하고 있는 이론과 일맥상통한다. 춘원이 남녀의 '사랑'을 '민족개조'의 기본방침으로 생각한 이유는 그것이야말로 민족과 나라를 사랑할 수 있는 기본 정신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춘원은 식민지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개조'를 강조했지만 그것은 오히려 일본의 식민지 정책 노선에 따르는 결과가 되어 '자기식민지화'를 일으키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와같이 소세키와 춘원의 비교문학적 고찰에 의해서 양작가의 근대화에 대한 공통점과 상이점을 명백히 하였다. 이것은 양국의 근대화 속에서 고투한 두사람의 작가상, 더나아가서는 양국의 근대화를 밝혀나가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 春園 李光洙의 傳記 硏究 : 그의 傳記와 自敍傳을 中心으로

        이래춘 명지대학교 대학원 1983 국내석사

        RANK : 247727

        As this is written for the studies of Chun Weon Lee Kwang Soo's biography, the emphasis is laid on the studies of Chun Weon's biography rather than of biographical studies of Chun Weon himself. It has been written expecting that a biography and an auto-biography would contribute to make sure of possibility of being studied as a genre, if possible. The Studies of Lee Kwang Soo should be made greatly whether it is the theory of writers or writings. There has not been Lee Kwang Soo's biographical studies to say of. Therefore, I think that this studies is a new attempt in this field. I have confined the main texts of this studies to "Na-Eu Ko-Baeg" (My Confessien) and "Dol Be-Gae" (Stone Pillow) written by Lee Kwang Soo himself, "A-Beo-Nhim Chun Weon" (My Father Chun Weon) by his daughter for a biography, and "Chun Weon Lee Kwang Soo" by Park Gyui Ju who could face his personality. The one side look of human being Lee Kwang Soo described in these books and the changed aspects of a biography in his auto-biography will be the study objects in this treatise. In this treatise, of the four texts above I have taken into major object of debate the description from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o abduction, including the period that he slept with his head pillowed on a rock because he was in a terrible pain in spirit. The reason why I have put a limitation on it is that "A-Beo-Nhim Chun Weon" (My Father Chun Weon) mainly describes this period, and I think that these texts have the most important pro-Japanese proplem in common to understand Lee Kwang Soo. So, the main object of this studies consists in concern about Chun Weon and then the difference of expression. The question is the literary dispute of Chun Weon expressed in the biography and auto-biography rather than Chun Weon's merits and demerits. As his seventeen-year-old daughter wrote "A-Beo-Nhim Chun Weon" (My Father Chun Weon) cherishing the memory of her late father, and described what his agony was, what the problem was, and what the result was, as shown up to her eyes, it is not helpful more than her father himself. Therefore, it is only a description centered on Father as a member of one family. Though "Chun Weon Lee Kwang Soo" has a large quantity, it seems that the book loses many objective and universal aspects due to personal acquaintance. This has been begun from the course of selecting materials owing to disregarding their pro-Japanese. But, as the author made clear, this book is not 'a book of Chun Weon Studies', but it has another meaning in that it was written for letting the world know his unknown life widely. It has made another sense of sight to the fact that we consider his literature and life Japanophilism. And, as "Na Eu Ko-Baeg" (My Confession) and "Dol Be-Gae" (Stone Pillow) was the records of Chun Weon himself, they replace a part that a biography cannot do. Though a question is raised that the two books are written for excusing himself rather than for pure attitude in order to leave his records to posterity, it seems that we can endow this two books with literary sense that cannot be found in any biography or plain books, for he made his position clear. According as we look around, we can find that ther e is a high or low head accordance with a man writing a biography, and this head may be literary blank or the variety of human relation studies. Therefore, when we read a biography or an auto-biography, it is not in a hero, but in a plain man that we meet a man's wisdom, human will, and creative spirit when he cope with some difficult situation. Here we can see that the above mentioned thing is worthy of biographical literature. Now I am sure that from now on this studies of biography and auto-biography is a part which can be deepened and expanded into new literary domain.

      • 春園文學에 있어서의 大乘佛敎思想硏究

        최정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1974 국내박사

        RANK : 247727

        Chunwon is one of the pioneers in Korean Neo-Literature. His literary achievements bequeathed to us are of really great importance. Recently many scholars study his literature and continuously publish the outcome of research.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volved. It is true that his accomplishments are complicated. All through his personal life he had so many ups and downs. His literature contains miscellaneous thoughts of East and West. Although his literature is that much complex and his themes are wide, there is one element that runs through all his works: religious thoughts. We can divide his religious thoughts into two categories: Christianity and Buddhism. As a method of studying his literature, the author intends to 1) Investigate the thoughts involved in his works, and especially 2) Elucidate the thought of maha ̄ya ̄na in them. Originally, Maha ̄ya ̄na(大乘佛敎), as is called in Buddhism, was developed by Buddhist saints in India such as 龍樹, 馬嗚, 無着, 世親, with 龍樹 being its founder. To introduce its main idea, 乘 in 大乘 means (to ferry or to transport. That is to make the multitude cross the life-and-death ocean to get the other side of Nirva ̄na(涅槃) or Paradise. Thus 大乘 has the meaning of "to ferry the multitude." Hinaya ̄na ̄(小承), which is opposite to Maha ̄ya ̄na, means to ferry oneself alone and concentrate mainly on the perception of truth and attain to the self-salvation for his own sake, while Maha ̄ya ̄na concentrates on both the salvation of oneself and the salvation of the multitude. The saints of Maha ̄ya ̄na seek after the perception of truth with wisdom, and go through six kinds of asceticism and redeem the multitude. In accordance with the doctrine of Maha ̄ya ̄na the Maha ̄ya ̄na saints redeem himself first going through six different asceticisms and save the multitude with the Greater Mercy and Oath and Prayer. Chunwon's literature subsumed and digested this Buddhism and it became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The dissertation is to make clear this point. The method and process of research is as follows: The author 1) Explained the motive, aims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2) Took a bird's eye view of the toughts in his literature and commented on the relations between his literature and thoughts and touch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oughts in his literature: 3) Selected three of his typical novels, poetry and other works, and pointed out that the thoughts of Maha ̄ya ̄na is the base of his works: 4) And in conclusion elucidated these with positive viewpoints and asserted that his works are inseparably related with Korea's moder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