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종성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계열 전공자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대하여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직업에 대한 준비정도와 대처 행동 능력을 분석하여 진로 지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로로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8년 10월 현재, 체육 관련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에서 체육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집락무선표집법(culster random sampling method)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본의 추출은 체육 관련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서울 4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학교마다 100부씩 배부하였다. 설문지는 총 400명의 체육관련 대학생에게 배포되었으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극단치 및 결측치가 있는 60부의 자료는 제외한 340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상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방향 탐색능력, 진로대처능력, 진로선택 명확성에서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진로대처능력과 진로선택명확성이 2학년 1학년 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사회적으로 실업률이 갈수록 심화됨에 따라서 고학년 보다는 오히려 저학년일수록 진로에 대한 대책을 일찍이 강구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집단 간 사후검증 결과에서도 2학년 집단이 가장 타 학년보다 진로대처능력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3학년과 4학년은 낮게 나타났다. 연령에서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진로방향탐색능력에서는 22~23세가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대처능력과 진로선택명확성에 대한 인식은 19~22세가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은 성별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서는 진로준비노력, 진로상담, 진로탐색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서는 진로상담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학년,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고학년일수록 진로상담에 적극적인 진로에 대한 준비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사후검증 결과에서도 1학년과 2학년보다는 3학년과 4학년 집단에서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연령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서도 진로상담에서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22~23세가 가장 높게 인식했고, 다음으로 24세 이상, 19~21세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사후검증 결과에서는 19~21세, 22~23세 보다 24세 이상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은 모두 진로준비노력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은 모두 진로상담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진로대처능력은 진로탐색과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선택명확성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방향탐색능력은 진로탐색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진로방향탐색능력, 진로선택명확성은 준비행동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방향에 대한 탐색과 선택이 명확할수록 목표치 달성을 위한 준비행동에 적극성을 보인다는 것을 대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부문에서도 일관성이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진로방향탐색능력에서만 진로상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방향탐색에 대한 효능감이 높아질수록 구체적으로 자신의 진로에 대한 상담에 적극적인 준비행동을 높게 취한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진로대처능력과 진로선택명확성이 진로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에 대한 선택이 잘못되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나 대안이 준비되었다거나 또는 진로에 대한 선택이 명확할수록 진로를 탐색하는 진로준비행동이 높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 청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박승환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청년이 지각한 부모 지지, 부모의 진로기대, 분리개별화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밝혀, 취업준비를 앞둔 청년들에게 진로 상담 및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부모에게는 진로관련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9-29세의 청년이며, 수집된 자료 290부를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T검정,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관련된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부모 지지, 분리개별화는 전체 평균은 중간값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진로기대는 중간 값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자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능력은 보통 이상이라 할 수 있으며, 분리개별화가 잘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청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관련변인의 집단 간 차이를 어머니와 아버지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적성 진로기대를 높게 지각한 집단과 낮게 지각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일반 진로기대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다르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업 진로기대와 경제 진로기대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분리개별화는 공생관계 및 1차적 불안과 문제해결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관련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인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지지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부모의 진로기대의 하위변인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개별화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변인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부모의 적성 진로기대와 공생관계 및 1차적 불안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년층을 대상으로 부모와 개인 변인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청년의 진로선택에 대한 역량을 갖출 수 있는 환경적 차원의 지원이나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청소년과 대학생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청년을 대상으로 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진로 결정을 개인 변인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부모로부터 영향력을 밝힘으로서 진로지도나 상담에서 다양한 개입을 할 수 있는 근거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wareness on the necessity of career counseling and program to youth, who are about to be prepared for employment, and to provide basis on career-related education to the parents through determining the relations on how parents’ support,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and separation individualization affec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at the youth is aware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youth aged from 19 to 29, and 290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or the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amining the tendency associated wit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youth, it was revealed that the overall average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arents’ support and separation individualiz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and that the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were lower than the median value. This can be said that the research subjects’ abiliti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re above normal, and that the separation individualization is well realized.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ich w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that perceived the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career aptitude expectations of the father and the mother as high, and the group that perceived them as low. For the informative support, appraisal support and general career expectations,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ather and the mother differe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hown between the family business career expectations and the economic career expectations. For separation individualization, it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variables except symbiotic relationships, primary anxiety and problem solving. Third, when the present researcher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related variables, all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that is significant to father and mother’s support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indicated in the sub-variables of parental career expectations. On the other hand, separation individualiz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for all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fter investigating on the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t displayed that parental career aptitude expectations, symbiotic relationships and primary anxiety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s for seeking environmental support or intervention plan for the career choice of the youth by examining the impact of variables of the parents and the individual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mong the youth. Moreover,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argeting the youth who are relatively understudied compared to the juveniles and university students,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s for various involvement in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by recognizing the influences of parent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individual variables for career decisions.

      • 대학생의 진로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구흔 세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수준과 그들에 영향을 주는 개인변인을 밝히고, 진로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각 변인간의 인과관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국 전문 조사업체인 Wenjuanxing에 의뢰하여 중국 대학생 600명을 온라인 계정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2021년 4월 25일부터 5월 10일까지 16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497부를 데이터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 검정과 진로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각 변인간의 인과관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회피적 대처전략 요인은 성별과 대학 소재지에서, 사회적지지추구 대처는 연령과 취업 희망지에서, 문제해결중심 대처는 학년에 따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수집 요인은 연령에서, 미래계획은 학년에서, 문제해결 요인은 자격증 수와 취업 희망지에 따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진로준비행동의 정보수집 활동 요인은 학년에서, 실천적 활동 요인은 학년에 따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 요인인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추구 대처전략, 회피적 대처전략은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목표선택, 미래계획, 문제해결 요인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자기평가와 직업정보수집 요인은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 요인인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추구 대처전략, 회피적 대처전략 요인은 모두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 목표선택과 미래계획 요인은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지만 자기평가, 문제해결, 직업정보수집 요인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은 진로 전환기의 학생들에게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진로개발을 지원해야 한다. 중국에서는 대학에 진학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하면서 양질의 일자리는 경쟁이 심해졌으며, 중국경제가 ICT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하면서 새로운 진로 형태가 출현하였으며, 따라서 진로교육이 더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진로준비행동에 진로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이 진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밝혔으며, 개인변인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수준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고 주로 사용하는 스트레스 대처전략에도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진로준비행동, 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밝힘으로써, 실제 진로상담 현장에서 상담자들이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파악함에 있어 학생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대학졸업예정자의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과의 비교 분석

        이순원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5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ospective university graduat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degree of influence of career resil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2)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resil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what is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3) What improvements can be planned for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 to enha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ospective university graduates? For this study, a survey of prospective university graduates attending a university in Daejeon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5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verific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oftware (version 21.0).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career resil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ospective university graduates. Second, it was found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affec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ospective university graduates. Third, future orient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resilience, and self-assessment and information colle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that ar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ext, information colle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hallenging spirit and future orient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having necessary tools that ar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astly, challenging spirit, which is a sub-factor of career resilience, and establishing planning, and information colle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efforts to achieve goals that ar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earch o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about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as it verifies that career resili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as career resilien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arou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ird, future orientation is a factor that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increase future orient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career guidance services such as systematic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goalsetting programs so that people can make long- and short-term plans for their careers. Fourth, the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is a factor that can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us, it is necessary to operate customized career courses centered on specific majors. Lastly, the spirit of challenge in building various experiences with the flexible idea that career goals can change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reality can increas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cooperate with the local community to develop hands-on job support programs such as work experience programs and job cre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employment capabilities required by companies to support prospective university graduates so that they can successfully advance in society. 본 연구는 대학졸업예정자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유무와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진로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들 중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의 유무와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졸업예정자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취업지원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57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 21.0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차이 검증, 상관관계 검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은 대학졸업예정자의 진로준비행동에 모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졸업예정자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탄력성, 진로결정수준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정보수집활동에 있어서 진로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미래지향성, 진로결정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평가, 정보수집의 순으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도구준비행동에 있어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정보수집, 진로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미래지향성, 도전정신의 순으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인 실천적 노력에 있어서 진로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도전정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계획수립, 정보수집의 순으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진로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이 대학졸업예정자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하위요인으로는 진로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미래지향성과 도전정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정보수집, 계획수립, 자기평가가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독립변인으로서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시사점을 갖는다. 둘째,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이므로 교육부와 고용노동부 등을 중심으로 진로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한다. 셋째, 미래지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미래지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진로에 대한 장, 단기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진로상담과 진로목표설정 프로그램 등과 같은 실질적인 진로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넷째, 정보수집능력은 진로준비행동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므로 학과별로 전공 중심의 맞춤형 진로교과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진로목표는 상황과 현실에 맞게 변할 수도 있다는 유연한 생각을 가지고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도전하는 정신이 진로준비행동을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지역사회와 협력하여서 일 경험 프로그램, 창직 프로그램 등 실습 중심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업에서 요구하는 취업역량을 향상시켜 대학졸업예정자들이 성공적인 사회진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진로적응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 사회적 후원이 진로준비에 미치는 영향 : 진로탐색활동과 진로결정과정 다변인다중회귀분석

        김동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51

        University life is a transitional period before entering society, where students engage in academic pursuits and prepare for their careers before obtaining a job. During this transitional phase, it is crucial for university students to prepare not only for their academic studies but also for their career paths and employment. Research has shown that the way students prepare for their careers during university life can greatly influence their success in career decisions and employment after completing their studies. While there have been numerous empirical studies on career preparatio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key factors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has been scarc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which are the core 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them with multiple dimensions, incorporating variables such as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se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has predictive power for the dependent variable set of career preparation and to identify which independent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impa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imed to provide suggestions for support or guidance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university life to prepare for career decisions and employment.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514 students in grades 1 to 4 at K-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mean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s well a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ndows SAS 9.4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otal survey participants (N=514), approximately 70% were found to have not made a career decision.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academic years, this generally indicates that students face difficulties in determining their career paths or preparing for employment. It suggests the need for systematic career and employment guidance and support. Secon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making career decisions was found to be the school, with about one-third of the participants acquiring information and data within the school. Factors such as aptitude or interest, salary, and working environment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considerations in making career and employment decisions. Factors such as guaranteed retirement benefits or stable job positions were ranked lower in career and employment decisions. Third, career adaptability was found to be composed of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career confidence, and career curiosity, similar to previous studies (Park et al., 2018; Park et al., 2022; Park et al., 2022), through factor analysis. Fourth, the dependent variable set of career preparation, consisting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was found to be predictable from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career curiosity, career confide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through 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significant linear regression equation.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had an overall effect. In particula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was approximately 76%, indicating significant and substantial predictability. Fifth, a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slopes of the regression lines for the dependent variable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were identical, using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career curiosity, career confide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lopes were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set had different influences on the two dependent variable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nd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Sixth, using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s the dependent variab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eight independent variables (career concern, career control, career curiosity, career confide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jor relevanc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inser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approximately 70%. In particula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hile career confidence and major relevance were found to be non-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Last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eight independent variables to predict the dependent variable set of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es.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was significant, but the explanatory power was relatively low at approximately 25% compared to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career concern, a sub-factor of career adaptability,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followed b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aking all the results into consideration, it was revealed tha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대학생활은 사회에 진출하기 앞서 최종적으로 학문을 수행하며, 직업을 갖기 직전의 전환적인(transition)시기이다. 이러한 전환적 시기에 있어 대학생들은 학업뿐만 아닌 자신의 진로 및 취업을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다. 대학생활 중 진로준비를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대학생 개인이 학업을 마친 이후 진로와 취업의 성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진로준비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많이 있었으나 진로준비의 핵심요인인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결정과정에 대해 통합적이고 복합적인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와 관련된 진로탐색행동과 진로결정과정 두 개의 하위 종속변인을 하나의 세트(set)로 설정하고, 진로적응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를 삽입하여 독립변인 세트로 설정한 후 두 세트 간의 관계성을 다변인차원(multivariate dimension)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은 진로준비 종속변인 세트에 대해 독립변인의 세트가 예측력을 가질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 어떠한 독립변인들이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가 구명하여, 이를 기반으로 진로결정과 취업을 대비한 대학생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하는 후원 또는 지침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수집된 조사대상자는 수도권에 위치한 K대학 1∼4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총 514명이 참여하였다. 평균, 표준편차, 빈도, 퍼센트를 포함한 기본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분석과 상관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다변인다중회귀분석(multivari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수행되었으며 분석에 앞서 정규분포성, 변량동질성, 독립성, 영향치와 이상치, 다중공선성 등을 비롯하여 다변인다중회귀분석을 위해 다변인정규분포성 검증이 수행되었다. 분석에 도입된 프로그램은 Windows SAS 9.4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조사대상자(N=514) 중 약 70%가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간 차이는 있지만 이는 전반적으로 자신의 진로나 취업준비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하며, 체계적인 진로 및 취업지도와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진로나 취업을 결정함에 있어 가장 큰 도움을 주는 요인으로는 학교이며, 약 1/3 정도가 학교 안에서 자료나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진로와 취업을 결정함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적성이나 흥미, 연봉, 근무환경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년보장이나 안정적인 일자리는 진로와 취업 결정에 있어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적응력(career adaptability)는 요인분석결과 다른 선행연구(박성열 외. 2018; 박성열 외. 2022; Park et al., 2022) 와 마찬가지로 하위요인인 진로관심(career concern)과 진로통제(career control), 진로자신감(career confidence), 진로호기심(career curiosity)의 구성(construct)으로 이뤄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종속변인인 진로준비 세트(진로탐색활동, 진로결정과정)는 독립변인 세트(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 사회적후원)로부터 예측 가능한지 다변인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선형회귀식은 유의하였다. 따라서 독립변인 세트의 전반적인 효과(overall effect)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상기 독립변인 세트의 설명력은 약 76%로 유의성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예측의 강도(magnitude)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종속변인인 진로준비 하위요인의 진로탐색활동과 진로결정과정 각각의 회귀선에 대해 독립변인 세트(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 사회적후원)가 미치는 영향의 동일성 여부 즉 회귀선의 기울기가 동일한지(identical)를 검증한 결과 기울기(slope)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속하위요인에 대해 기울기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독립변인의 세트가 두 종속하위요인인 진로탐색활동과 진로결정과정에 다르게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진로탐색활동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인 세트에 삽입된 8개 변인 (진로관심, 진로통제, 진로호기심, 진로자신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관련성, 대학생활만족도, 사회적후원)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중회귀식은 유의하고 설명력도 약 70%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로자신감과 전공관련성은 유의성이 없는 독립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결정과정에 대한 상기 8개 독립변인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다중회귀식은 유의하고 설명력은 약 25%로 진로탐색활동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력의 하위요인인 진로관심이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이고, 뒤를 이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진로준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전문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염태영 계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75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남녀 학생 집단 간의 경로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광역시와 K도에 소재한 4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2년제 전문대학생 598명을 대상으로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남녀 학생 집단 간의 경로 차이를 다중집단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으로 이르는 경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녀 집단에 관계없이, 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환경적 지지자원 보다 진로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같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적 자원을 높일 수 있는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 그리고 진로관련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resilience,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paths of the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98 students selected from four two-year junior colleges located in a large urban community and a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ir career resilience,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20 and AMOS 21 programs for structural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the multiple-group-structural model was utilized to look for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path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resilience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mediating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paths from career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it's better to develop a career counseling or career-related programs which aim at strengthening personal inner resources such as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ather than socioenvironmental supporting resources like social support.

      •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서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스펙쌓기에 미치는 영향

        이진미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1

        긴즈버그의 직업발달 이론과 슈퍼의 직업발달 단계를 보면 대학생활 기간은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사회로 나아가기 위하여 진로에 대한 결정과 준비를 하는 시기이다. 대학생활 동안 흥미, 능력, 가치 등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진로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이나 사실상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진로 결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진로 정보를 바탕으로 진로에 대해 스스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스펙쌓기 행동과의 연계성을 밝히는 연구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업을 앞둔 대학생 3,4학년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스펙쌓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계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생 3,4학년 중 예비조사를 포함한 320명을 편의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235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조사된 설문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클리닝 과정을 거쳐, SPSS ver.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진로계획 더 적극적으로 수립하였으며, 4학년보다 3학년이 자기평가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업시기가 가까워질수록 진로결정과 취업에 대한 부담감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어 취업불안을 유발하는 원인을 파악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은 남성이 여성보다 목표달성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4학년이 3학년보다 목표달성활동과 도구구비활동을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시기가 가까워질수록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보이고 있으므로 학년에 따른 다양한 정보 채널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진로준비행동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이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스펙쌓기는 전체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은 스펙쌓기의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스펙쌓기에 대한 결과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스펙쌓기 하위요인 중 진로결정에 따라 필요하다고 느끼는 스펙에 대한 활동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탈스펙’화로 많은 기업들이 스펙이 아닌 업무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 채용에 목적을 두면서 응답자들의 진로준비행동과 스펙쌓기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응답자들은 무분별하게 스펙쌓기 활동에만 열중하고 있는 모습이 아닌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 습득이나 경험을 통해 취업과 관련이 없다고 느껴지는 활동은 노력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무조건적인 스펙쌓기가 아닌 본인의 진로결정에 따른 역량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과 필요한 스펙을 쌓지 못하는 현실적인 이유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According to Ginzberg's theory of career development and Super’s career development stages, the period of university life is the time to form self-identity and make decisions and prepare for career to advance into society. During the university life, it is time that realistic career decision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interest, capability, and value, but in reality, this is rarely done. University life should allow students to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areer path decision and should help them design their career path on their own based on various career information. In previous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research studies on the behaviors of adding a wide range of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have been rarely don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behaviors of adding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in university students of the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and analyzes th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including preliminary surveys, 320 of 3rd year and 4th year students at 4 year universities nationally were selected as convenience samples, and 235 responses were used for the study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As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nducted survey,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were conducted, and SPSS ver.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ales showed they set up career planning more actively than females, and 3rd year students showed higher self-evaluation scores than 4th year students. Because this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burden of career path decision and employment as the employment time approach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elf-efficacy through a program that can identify the causes of job anxiety and reduce them. Second,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were carried out more actively in males than females, and 4th year students showed more active goal achievement and tool development activities than 3rd year students. As the employment time approaches, the students showed they are actively preparing for their career path, and therefore various information channels according to the year of students should be constructed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hown to be relatively high,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more acti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addition,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Fou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dding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showed low correlation, and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adding qualification of job specifica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of adding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focus on the qualification that they believe is necessary for their career path decision among the sub-factors. This a departure from the conventional behavior of adding qualifications, and as many companies plan to hire talents that have competency for handling the work rather than a wide range of qualifications, it seems to have influenced the respon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dding a wide range of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It can be interpreted as a phenomenon where, through information they acquired from various media and experiences, the respondents do not make efforts to activities that they feel are not related to employment, and are actively trying to add qualifications indiscriminately. As a result, this study can confirm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for them to distinguish the competence they need based on career path decision rather than unconditional building of qualifications, and tha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re are reasons in reality for students for not being able to acquire the qualifications they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