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담임 기피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 : 세종시교육청을 중심으로

        조윤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중학교 담임배정의 현실을 파악하고, 중학교 담임 기피 요 인, 담임 기피 현상의 교육적 파급력과 완화 방안을 현직 교사들의 경험 을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 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학급 담임 배정의 현실은 어떠한가? 둘째, 중학교 학급 담임 기피 현상은 왜 발생하는가? 셋째, 중학교 학급 담임 기피 현상은 교육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중학교 학급 담임 기피 현상을 어떻게 완화할 수 있는가? 이상의 네 가지 연구 문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면담과 문헌 분석을 통 해 자료를 수집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범주화 작업을 수행하였 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학급 담임은 희망원을 제출한 후 인사자문위원회를 걸쳐 배정되고 있었다. 교사들은 담임에서 제외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나 담임 자원 부족으로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희망 여부와 관계없이 담임을 맡게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임신, 출산, 육아 등 개별 교사의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담임배정 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과정에 서 다양한 조직 내 불만과 갈등 양상이 드러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들은 다양한 이유로 담임을 맡는 것을 꺼리고 있었 다. 학생 지도의 어려움, 교권 추락, 무책임한 학부모, 담임 역할에 대한 학교와 가정의 인식의 차이, 악성 민원, 개인 생활 침해, 비협조적인 조 직 구성원, 업무 과부하 등 교육공동체의 구성원인 학생, 학부모, 관리자 와 동료 교사 모두 담임 기피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교 담임 기피 현상은 여러 교육적 문제들을 초래하고 있었 다. 교사의 내재적 동기 저하에 따른 교육의 질 저하, 개인주의적 교직 문화의 확산, 휴직 및 교직 이탈로 인한 불안정성, 저경력교사와 기간제 교사의 담임 비율 증가 등 교육공동체 전반에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고 루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중학교 담임 기피 현상 완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담임배정 방식 및 담임 제도 개편, 학교 내·외부의 행정적 지원과 정서 적 지지, 업무부담 완화 및 업무 시스템 개선, 교권 회복 및 사생활 침해 방지 등을 도모하여 교육공동체의 인식 변화를 끌어내고 교육 당국의 현 장성 있는 정책 도입을 촉구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중학교 담임배정 양상을 살펴보고 기피 요인을 분석하여 담 임배정 방식의 개선 방향과 담임교사들을 위한 지원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매년 반복되는 구성원 간 갈등 해소와 감정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경각심을 가지고 장기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교육공동체는 담임 기피 현상으로부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드러내어 사태의 심각성과 문제 해결의 시급함을 환기한다. 또한, 교육의 3 주체인 학생, 학부모, 교사가 담임 기피 원인 제공자이자, 피해 자이며, 동시에 해결의 실마리를 쥐고 있음을 밝히며 교육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주인의식을 촉구한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담임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책 이 무엇인지 여과 없이 드러났다. 교육 당국은 정책을 도입하기 전 이론 연구와 교원의 목소리에 반드시 귀 기울여야 한다. 장기간에 걸친 현장 연구와 교원의 요구 분석을 기반으로 신중하게 의사결정을 내려야 함을 시사한다. 담임 기피 완화를 위한 현장성이 결여된 대안은 실효성 있는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을 밝힌다.

      • 중학교 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분석

        정희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학교는 학생과 교사와 학부모 등 여러 교육 주체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학생의 바른 성장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염원이 있는 곳이다. 학생의 바른 성장을 위해서는 각 구성원들이 맡은 바 역할을 합의하고 이해하여 성실하고 창의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담임교사의 지위와 역할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중학교 내 각 구성원들의 담임교사 역할에 대한 기대와 수행도에 대한 인식 차이, 그리고 그 인식 차이의 내용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담임교사 역할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것은 또한 담임교사 역할이 미래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담임교사 역할에는 무엇이 있는가? 둘째, 중학교 담임교사의 각 역할에서 중요한 정도와 수행하는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중학교 담임교사 역할에 대한 교사와 학생, 담임교사와 비담임교사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소재 중학교에 근무하는 담임교사, 부장교사 및 기타 보직의 교사들 176명과, 같은 분당구 소재 4개 중학교 학생 314명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는 R 프로그램을 이용해 처리하였으며,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응답은 Borich 요구도 평가 모델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집단별 인식의 차이는 자료형 및 집단 수에 따라 χ² 검정, t-검정 및 one-way ANOVA 검정을 시행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 역할을 학급관리 영역, 학습지도 영역, 생활지도 영역, 사무업무 영역, 교사 개인 영역의 5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조회·종례, 학급 운영, 학습지도, 상담 및 진로지도, 안전지도, 교무학사업무, 학부모와의 소통, 교사개인특성의 하위요소로 구분하여 세부 역할을 설정하였다. 둘째, 교사 응답에서 학급운영과 조회․종례 요소를 제외한 6개 요소에 대해 중요도보다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개선이 필요한 우선 순위는 상담 및 진로, 학습지도, 안전지도, 교사개인특성, 교무학사업무, 학부모와의 소통, 학급운영, 조회․종례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학생들은 6개 요소 모두에 대해 중요도보다 수행도가 낮다고 응답하였으며, 개선이 필요한 우선순위는 상담 및 진로, 학습지도, 교무학사업무, 안전지도, 학급운영, 조회·종례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상담 및 진로 영역에서는 ‘학생들의 진로를 파악하고 관련 자료를 많이 제공해 준다.’, ‘학생들의 개인적인 어려움을 파악하여 도움을 준다.’, ‘학생들의 교우 관계에 대하여 자주 상담하고 조언해 준다.’, ‘학생에게 따뜻한 말과 격려로 용기와 자신감을 심어준다.’의 4개 항목이 모두 요구도가 높아 교육현장에서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상호작용을 늘릴 수 있도록 사회적·정책적 지원이 필요하겠다. 셋째, 교사와 학생의 담임교사 역할에 대해 가장 큰 인식 차이를 보였던 부분은 담임교사의 자질에 대한 부분이었다. 교사는 담임교사의 자질로 ‘통찰력과 지도력이 있는 사람’, ‘교육관 및 교육철학이 분명한 사람’이라고 응답하였으나, 학생은 ‘훌륭한 인간성을 가진 사람’, ‘교육 지식 및 지도 기술이 뛰어난 사람’이라고 답했다. 중요도와 수행도를 평가한 항목에서는 6개 요소 중 조회·종례, 학급운영, 상담 및 진로, 안전지도의 4개 요소에 대해서 학생들이 교사보다 수행도에 낮은 점수를 주었으며, 조회·종례 요소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교사보다 중요도에서도 낮은 점수를 주었다. 교무학사업무의 경우는 교사들이 생각한 중요도보다 학생들이 요구하는 중요도가 높았다.

      • 중학교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촉진요인과 방해요인

        김정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effective solutions of student guidance by activating promoting factors and improving obstructive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promoting and obstructive factors for student guidance of middle school class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have promise that there are differences from the perception degree of promoting factors and obstructive factors for student guidance of middle school class teachers, teacher background variables(gender of class teachers and career of class teachers), and school background variables(school location and size of schools). This study was to statistical processing by executing frequency analysis by SPSS ver.22,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etc. with the questionnaire as an object of 300 teachers in total 40 schools like 22 schools in Gimpo-si, Gyeonggi-do and 2 schools in Bucheon-si, Gyeonggi-do as sample object.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to the student guidance promoting factor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individual counseling with the students and teachers' experience in the student guidance would be greatest help, and followed by the fellow teachers and parents' help, and the last factors were school facilities such as school counseling room, career counseling room, and school library, reduction of work system, and school counselors. Second, as to the student guidance obstructive factor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shortage of time by the heavy workload and a lot of students in the class would be obstructive most, followed by the lack of the parents' understanding their children, isolation of linking education with the family. Lastly, the students' lasting problematic behaviors against the endless guidance(unchanged students compared to their efforts), students' behaviors being disrespectful during the guidance of problematic behaviors, lack of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students, separation between the students' sociocultural need and school discipline would be obstructive of student guidance. Third, as to the difference in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female teachers would be more obstructive of factors by the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s than the male teachers. There was no large deviation found in the difference by career. Fourth, as to the school seat differences by school background variable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teachers who worked in the City would be much more useful than the teachers who worked in Eup and Myeon about the promoting factors like counseling, experience, career teachers and career experience, sports club activity hours, and sports classes after school. As to the school size difference,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teachers who worked in below 10 classes would be most useful to the promoting factors like career teachers and career experience, sports club activity hours, and sports classes after class. As to the obstru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school location,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teachers who worked in City had a lot of obstruction in the difference in the administrator and view on education, and the teachers who worked in Eup and Myeon had more obstruction in the lack of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students. As to the obstructive factors according to the school size,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schools in size of 11-20 classes were most obstructive in the lack of ratio in the counselors. To promote the student guidance through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er considers it as it requires the help by psychological testing of a variety of standardization which can provide professional training and measure the student' intelligence, academic ability, aptitude, and home environment, etc. in order that the teacher can have a professional knowledge in counseling. In addition, it needs to secure time that the teacher can consult with the student and place to counsel the student within the school. Next, to relieve the obstructive factors of student guidance, it needs to increase systems to reduce teacher's work and install special counseling room in every school as well as systematize the arrangement of special counselors. Furthermore, this researcher considers it is urgent to construct system necessary for student guidance, not depending on the teachers' personal experiences, and develop and spread systematic and scientific manual necessary for student guidance. To conclude, it requires the close co-operation system among the school, family, and community as well a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inks between the social experience systems out of school(institution of guidance counseling which can be swiftly cooperative when the class teachers are required). 본 연구는 중학교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촉진요인과 방해요인 분석을 통해 촉진요인은 더욱 활성화시키고 방해요인은 개선하면서 생활지도의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중학교 담임교사 생활지도의 촉진요인과 방해요인 인식정도와 교사 배경변인별(담임교사 성별, 담임교사 경력)과 학교 배경변인별(학교소재지, 학교규모)로 차이를 보인다는 전제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김포시 소재 22개교와 부천시 소재 2개교 모두 40개교 교사 300명을 표본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SPSS ver.22에 의한 빈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등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지도 촉진요인에 대해서는 학생과의 개별 상담과 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이 가장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동료교사와 학부모의 도움이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상담실, 진로 상담실, 학교 도서관 같은 학교 시설, 업무 경감제도, 학교 상담교사였다. 둘째, 생활지도 방해요인은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 학급당 많은 학생 수가 가장 많은 방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이해 부족, 가정과의 연계지도 단절, 마지막으로 끊임없는 지도에도 계속되는 학생의 문제 행동(노력에 비해 변하지 않는 학생), 문제 행동 지도 중에 학생들의 대드는 행동, 학생이해에 대한 정보부족, 학생들의 사회문화적 욕구와 학교규율과의 괴리감이 생활 지도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배경변인별 차이는 성별의 차에서는 남교사 보다 여교사가 학생들의 문제 행동으로 인한 요인에서 방해가 더 많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별의 차에서는 큰 편차는 발견할 수 없었다. 넷째 학교 배경변인별에 따른 학교 소재지별 차이에서는 촉진요인에서 상담, 진로교사와 진로체험, 스포츠 클럽시간, 방과 후 스포츠 수업이 시 지역 재직 교사보다 읍면 지역 재직 교사에게 많이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규모별 차이는 촉진 요인에서 진로교사와 진로체험, 스포츠 클럽시간, 방과 후 스포츠 수업은 학교규모가 10학급 이하인 학교 재직 교사에게 가장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소재지별에 따른 방해요인에서는 관리자와 교육관이 차이는 시 지역 재직 교사에게 방해가 많이 되고, 학생이해에 대한 정보부족은 읍면 지역 재직 교사에게 방해가 많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규모별에 따른 방해요인에서는 상담교사의 비율 부족은 학교 규모가 11-20학급인 학교에서 가장 방해가 많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생활지도를 촉진하기 위해서 교사가 상담을 하는데 있어서 전문적인 지식을 갖도록 전문적인 연수 제공과 학생의 지능, 학력, 적성, 가정환경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각종 표준화 심리검사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교사가 학생과 상담할 수 있는 시간 확보와 학교 내 학생 상담을 온전하게 할 수 있는 상담 장소 확보도 필요하다. 다음으로 생활지도 방해요인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업무경감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를 늘리고 학교 마다 전문 상담실 설치와 전문 상담교사 배치를 제도화 해야 한다. 또한 교사들의 개인적인 경험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생활지도에 필요한 시스템 구축과 생활지도에 필요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메뉴얼 개발 보급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와 가정․사회가 긴밀한 협조 체제가 필요하며, 학교 밖 사회체험시스템과의 연계(담임교사 요구 시 신속하게 협조 할 수 있는 지도상담 기관)도 제도화해야 한다.

      • 중학교담임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기대에 관한 연구

        박상현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33327

        교육은 국가의 장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만큼 교육현장에서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교사의 자질과 사명감 그리고 사회적 여건은 교육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학교교육에 있어 중추적 역할을 하는 학급담임교사가 자기의 역할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하느냐 하는 것은 학생을 지도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지각에 대해 조사 분석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며,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학교행정가나 일반교사는 얼마나 기대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여 역할지각과 역할기대 사이에서 발생하는 역할갈등을 해소시킬 때 학교교육은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지각과 학교행정가, 일반교사가 기대하는 역할기대간에는 어느 정도의 역할갈등이 있을 것으로 보고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급담임교사의 역할을 보다 분명하게 규명하고 그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역할지각과 역할기대에 관한 이해를 넓히고자 역할의 개념, 역할지각과 역할기대, 역할갈등, 중학교담임교사의 역할 등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연구에 필요한 질문지를 제작 충청남도내 중학교 교장, 교감, 교사 400명을 무선표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교장(감), 일반교사, 학급담임교사, 남교사, 여교사, 도시지역, 농촌지역별로 구분하여 견해차와 전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문항 분석은 각 항목별로 평균, 표준편차로 처리하였고 유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F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처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경영에 있어서 학급담임교사는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 자율성을 인정하여 명랑한 학급 분위기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반면 학교행정가는 학급 경영 방침을 세워 이를 준수하게 하는 등의 체계적인 학급 경영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생활지도에 있어서 학교행정가는 학급 담임교사 및 일반교사보다 규칙적인 바른 생활습관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학습지도면에 있어서 학교행정가는 예습 복습지도, 교과 수업에 대한 출결석 점검, 올바른 학습태도 지도, 자율학습 감독 및 각 교과 성적 평가 결과에 관한 지도 등에 매우 높은 기대수준을 보여 학급 담임교사 보다 학습지도면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간관계에 있어서 학교행정가 및 일반교사는 학급 학생에 대한 편애없는 사랑을 강조한 반면 학급 담임교사는 학생들의 개성을 존중하며 많은 대화를 통하여 인간관계를 맺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과의 유대면에 있어서 가정환경과 학부모의 의견을 파악하는 등 학교와 가정에서의 연계 교육을 강조하는 학교행정가의 기대수준보다 학급 담임교사의 지각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경영 참여면에 있어서 학교행정가는 학교 행사에 학생들과 충분한 의견을 나눈 다음 반영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강조하여 학급담임교사의 지각수준보다 높은 기대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 중학교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와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 포항 시내 중학교를 대상으로

        조윤신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27

        21세기는 다양성의 시대이며 정보화 시대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에 부응하여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도 변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중학생들이 바라고 요구하는 바람직한 담임교사상이 무엇인가를 규명해 보고자 경북 포항 시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별, 지역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은 바람직한 학급 담임교사상을 일반적 성향, 학급경영면, 학습지도면, 생활지도면, 진로지도 면의 다섯 분야였다. 이와 같은 조사 내용을 연구·분석하여 중학교 담임선생님들에게 효율적인 학급경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기대와 요구에 따르는 바람직한 중학교 담임교사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학급담임 교사상으로 학생의 자율성을 인정하고 학생 중심의 교사상을 원하였다. 따라서, 학급담임 교사는 권위적이고 강압적인 지도보다는 학생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해주는 민주적인 태도를 지녀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학급 경영면에서 담임교사가 바른 생활 습관 형성을 중점적으로 지도해주기를 원하였다. 따라서, 학급 담임교사는 학생들의 올바른 인격형성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셋째. 학습지도시에는 부진한 과목에 대해 구체적으로 지도해주고, 성적의 등락에 관계없이 격려와 자극을 함께 해 줄 것을 기대하였다. 따라서, 학급 담임교사는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주고 끊임없는 관심과 격려를 통해 학습에 대한 의욕을 잃지 않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넷째, 생활지도 중 이성 문제에 대해서는 담임교사 자신의 경험담을 들려주기를 원하였다. 따라서, 학급담임 교사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삶의 안내자 역할을 해야 한다. 다섯째, 진로지도의 담임교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도 조언으로 학생이 원할 때 상담 해주기를 기대하였다. 따라서 진로지도에 있어 담임교사는 진학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수집 파악하여 직접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특기에 알맞은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적성과 소질을 고려한 적극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학급담임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는 성별과 학년,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학급담임 교사가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학생들의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이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의 특성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중학교 담임교사는 학생들이 기대하고 요구하는 역할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diversification as well as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trend, the role of class teachers must be chang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Pohang, Gyeongsangbuk-do by age, school year and area to identify what is the desirable image of class teachers demanded by contemporary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rvey investigated five aspects of the desirable image of class teachers, which were general disposition, class management, teaching, life guidance and course guidance. The researcher analyzed data from the surve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middle school class teachers to run the class in an efficient way and to define the role of middle school teachers that meet students' expectation and dem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onclusions drawn from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image of desirable class teachers, students wanted class teachers to acknowledge students' autonomy and to be student-oriented. Therefore, class teachers must take a democratic attitude that respects students' autonomy to the maximum rather than giving authoritative and coercive instructions. Second, concerning class management, students wanted class teachers to guide them to the formation of correct habits. Therefore, class teachers must not spare efforts to help students develop sound personality. Third, concerning teaching, students expected class teachers to guide them in poor subjects and to encourage and motivate them regardless of up-and-down of their performance so that they do not lose interest in study. Therefore, class teachers must help students not to lose their interest in study through fostering atmosphere in which students can study by themselves and giving continuous thought and encouragement to them. Fourth, concerning the matter of opposite sex in life guidance, students wanted class teachers to tell them their own experiences. Therefore, class teachers must play the role of a guide for students based on their experiences. Fifth, concerning course guidance, students expected class teachers' active involvement and guidance as well as teachers' counseling when they need it. Therefore, in course guidance, class teachers must gather and provide course information promptly so that students can take a course fit for their aptitude and abilities. In addition, teachers must give students active guidance considering their aptitude and talent. Sixth, students' expectation from class teacher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gender, school year and area. Accordingly, for class teachers to perform their roles efficiently, they ne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refore, middle school class teachers must understand clearly what roles students want them to play.

      • 학생과 학부모의 중학교담임교사에 대한 상담자로서의 역할기대

        박홍기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3325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가 거의 배치되어 있지 않은 중학교 현장에서 생활지도 및 상담활동이 대부분 담임교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학부모와 중학생들이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과 기대감 그리고 저해요인을 분석하여 학년, 남녀별, 지도방법과 상담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일선 담임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학생 성장 상담을 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전남지역 아파트 밀집지역 소재 중학교 1학년(189명), 2학년(194명), 3학년(151명) 총 학생 534명과 학부모 4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상담자로서의 담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척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경범(1989)이 제작한 질문지를 토대로 석종우(2003)가 재구성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위의 검사지에서는 학습문제, 성격문제, 문제행동, 진로문제, 성문제, 상담자의 자질, 상담저해 요인의 7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41문항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입장에 맞추어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의 중학교 담임교사에 대한 상담자로서의 역할기대 분석 결과 학부모의 특성별로 자녀학년, 성별, 학력별, 경제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부모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학부모들의 연령대가 낮을수록 성격문제, 문제행동, 진로문제에 대해서 담임교사가 자녀들을 상담해주길 바라는 지각이 더 높게 나타났고, 낮을수록 교사의 상담자의 자질을 더 높게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문제에 있어서 연령이 50대인 학부모들이 가장 높은 지각을 나타내고, 그 다음으로 40대, 30대, 60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의 상담자로서의 담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는 중학생들의 특성별로,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성문제 있어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의 성문제 상담지도를 더 크게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문제와 성격문제, 상담자 자질에 관해서는 높은 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공부를 잘하는 편에 속할수록 더 큰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 기대에 대한 학부모집단과 학생집단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문제, 성격문제, 문제행동, 진로문제, 성문제, 상담자의 자질 모든 영역에서 담임교사와의 상담기대에 학부모가 크게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 저해 요인에 대한 학부모집단과 중학생집단의 지각차이를 보면 학생들에 비해 학부모가 담임선생님들의 시간부족, 필요한 상담 자료(검사도구)부족, 학교에 상담실 부재에 따른 상담저해 요인에 있어서 더 큰 지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학부모와 중학생들이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에 변인별로 큰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기대에 따른 효율적인 학생성장상담을 위한 환경조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ffective basic materials for students growth counselling in middle school where most counselling activities and guidance depend on a class teacher. The study was done by analyzing the cause of prevention and parents' and students expectations of how much the teacher works as a counsell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4 students and consisted of 151 seventh graders, 194 eighth graders, nine graders and 484 parents. The study occurred at a middle school in the town of Hwasun where researcher was working. The inquiry composed of 7 sections : studying problems, personality problems, activity problems, course problems, sexual problems, a counsellor's natural disposition and the cause of prevention. Forty-one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the data from 534 students deals with the program "SPASS" The conclusions that resulted from data analysis were followers: First,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in most cases but parents'age was meaningful . It seems that those in their fifties are more perceptive.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most middle school students such as sex, school year, grade. Boy students have more of a problem pertaining to sex, while advanced to have of a personality problem, a course problem, and a counsellor's natural disposition. Third, in role expecta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towards a teache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Parents are influenced more in studying problems, personality problems, activity problems, course problems, sexual problems and having a, counsellor's natural disposition. Fourth, parents regard time, data, and a counselling room as an obstructive factor in perception of the cause of prevention.. As a result of the findings, students and their parents expected a counsellor's role contain several factors. Therefore, environmental formation for effective growth counselling for students is requested.

      • 중학교에서 학급담임교사와의 상담 실태 및 요구 분석

        정연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급담임교사와의 상담에 대한 현황과 상담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청소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학급담임교사와의 원활한 상담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학생들의 고민의 정도와 문제, 학급담임교사와의 상담실태, 학급담임교사와 상담하고 싶은 내용, 상담에 대한 요구, 상담자로서 학급담임교사에 대한 요구, 부모와의 상담에 대한 기대 등이 성별, 학년, 학교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김포지역 중학생 541명을 무선 표집하여 질문지를 작성케 하였다. 자료 처리 방법은 각 문항의 측정 영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연구대상자(성별, 학년별, 학교별)에 따라 해당 설문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x^2 검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고민하는 정도는 비교적 높은 편이고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고민이 많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고민이 많으며, 현재 가장 고민하고 있는 문제는 학업문제와 진로문제이다. 둘째, 학급담임교사와의 상담실태에서 1년 동안 학급담임교사와의 상담 경험이 있는 학생은 과반수가 넘고 상담내용은 학업 및 학교생활문제가 대부분이며 상담의 시기는 학기초에 많이 하며, 상담이 이루어진 형태는 대부분 교사의 요구로 이루어지고 일대일 상담으로 방과후 10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 주로 교무실에서 이루어진다고 응답했다. 상담결과에 대해서는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급담임교사의 상담태도로 싫은 점은 학생의 인격을 무시할 때이고 상담을 해 보지 않은 학생들의 상담을 하지 않은 주요 이유로는 의논할 고민이 없어서, 선생님이 부르지 않아서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담임교사가 주로 상담하는 학생은 수업 태도가 나쁜 학생을 상담한다고 학생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급담임교사와 상담하고 싶은 문제에서는 진로문제를 하고 싶어하고 학업에 대한 부모님의 지나친 기대, 학습방법과 학업 성적, 친구와의 싸움과 오해, 이성 친구를 사귀고 싶고, 진로 및 장래에 대한 불안, 자신의 적성, 흥미 등을 알 수 있는 심리 검사방법 등을 학급담임교사와 상담하고 싶어했다. 넷째, 상담에 대한 요구에서는 직접 만나서 하는 일대일 상담과 E-mail상담을 선호하고 상담을 하고자 할 때 교사가 불러주기를 원하고 부르기를 원할 때의 방법으로는 주기적으로 기간을 정하며 그 기간은 한 달에 한번 또는 한 학기에 한번 정도 상담을 하기를 원했다. 현장에서 학생들의 자진상담만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학생들과 주기적으로 만나서 상담을 갖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방과후에 마음놓고 편하게 쉴 수 있는 곳에서 상담하기를 원했다. 다섯째, 상담자로서 학급담임교사에 대한 요구에서, 성별로는 여교사를, 연령층으로는 20대의 젊은 교사를 선호하고, 친절하고 온화하며 너그러운 교사, 친구와 같은 역할을 해 주는 교사를 원하고, 나의 문제를 들어주고 따뜻하게 이해해 주기를 바라며 친절하고 따뜻하게 나를 대해 줄 때 좋다는 결과에서 학급담임교사의 상담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부모님과의 상담 기대는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만 상담하기를, 될 수 있으면 안 하는 것이 좋겠다가 높은 비율로 나타나 학급담임교사와 부모와의 만남을 꺼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student counseling by classroom teachers and students' demands in counseling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lassroom teachers to understand juveniles and conduct efficient counseling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rmulated the research question, Are middle school students' problems and degree of worrying, counseling with the classroom teacher, issues to talk about with the classroom teacher, demands in counseling, demands to the classroom teacher as a counselor and expectation for counseling with the parent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chool year and school?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541 middle school students in Gimpo were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and asked to fill a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by area of each question, and x-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to see differences in replies to the question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degree of worrying was relatively high. Female students had more sources of trouble than male students did, and higher year students than lower year students. The most concerned issues were studies and future courses to advance. Second, more than half of students had ever had counseling with the classroom teacher for the last one year, and matters dealt with mostly frequently were studies and school life. Many talks occurred at the beginning of a semester and most meetings were initiated by teachers. The most usual form of counseling was one to one counseling at the teachers' office for as short as 10 minutes after school. Students perceived that counseling was helpful for them. Classroom teachers ' attitude disliked by students was their disregard for students' individuality, and major reasons for students not to talk with the teacher were because they do not have troubles to discuss and next because the teacher does not call them. Students perceived that the teacher commonly gives counsel to those who take a bad attitude in classes. Third, matters that students want to talk about with the classroom teacher were future courses to advance, the parents' excessive expectation for performance, methods of studying and school records, discords with friends and misunderstanding, desire to have opposite sex friends, anxiety for future courses to advance, psychological test methods to find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etc. Fourth, students preferred one to one counseling at a face-to-face meeting and email counseling. They also wanted their classroom teacher to call them, and with regard to how to call, they wanted to have counseling by turns, regularly once a month or once a semester for each. This suggests that teachers must not wait until students visit of their own accord but prepare a system to give counsels to students regularly. Students also hoped to meet the teacher at a comfortable place after school. Fifth, the type of classroom teachers preferred by students were female teachers in their twenties who are kind, gentle and generous. Students also expected the classroom teacher to listen to them carefully and understand and to treat them with kindness and warm heart. This shows that classroom teachers must be equipped with knowledge and technique about counseling to give proper counsels to students. Sixth, as for students' expectation for the meeting of their parents with the classroom teacher, a large part of students did not want their parents to meet the classroom teacher except for urgent problems, so they appeared to dislike for their parents to see the classroom teacher.

      • 중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로의 유인 경험 분석

        서정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1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중학교 교사들이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담당하 며 겪은 다양한 경험의 의미를 찾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통합학급 담임교사 경험과 의미는 어떠한가 그리고 둘째, 통합학급 담임교사 유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질적연구를 사용하여 심층 면담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이며, 통합학급 경험을 통하여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다시금 희망하는 자이다. 연구 결과로는 통합학급으로 일반교사를 유인하게 하는 경험에 대한 내용으로 6개의 주제, 14개의 범주, 41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통합학급 담임교사로의 경험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사례를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평소 통합학급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통합학급을 담당하게 되었을 때의 연구 참여자의 반응으로는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준비에 적극적으로 임하기도 하고 통합학급에 들어오게 될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정보를 듣고 우려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통합학급를 담당하면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과 특별한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둘째, 통합학급 담임교사로서 얻을 수 있는 의미를 알 수 있었다. 연 구 참여자들은 통합학급을 담당하며 담임교사로서 스스로 발전하였고, 교직관에 변화가 일어났다고 하였다. 그리고 통합학급을 운영하며 특수교육대상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 대한 생활 지도, 특수교육대상학생을 대하는 방법, 학부모나 특수교사와 내용 공유하고자 하였고, 특수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하였다. 셋째, 통합학급 담임교사로의 유인하는 경험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생활지도 측면에서 통합학급 학생들의 생활 지도를 할 때에 보람을 느끼기도 하고, 특수교육대상학생들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경험이 통합학급으로 유인하는 경험이 된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지도 측면에서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유의미한 학습이 일어나는 상황, 통합 학급 수업 속 개별화교육을 실시했던 경험이 통합학급으로 유인하는 경험이 된다고 한다. 또한 업무·행정적 지원 측면에서는 예산을 지원받았던 경험이 통합학급으로 유인하는 경험이 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교우관계 측면에서 학생들이 서로 사이 좋게 지내고, 교우관계 형성 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바라본 경험이 통합학급으로 유인하는 경험이 된 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와의 협력 측면에서 특수교사의 적극적인 협력과 태도, 특수교사와의 친밀한 관계의 경험이 통합학급으로 유인 하는 경험이 된다고 한다.

      • 中學校 擔任敎師의 學級經營過程에 관한 硏究

        서남구 韓國敎員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3311

        이 연구는 여러 담임 교사의 다양한 학급경영과정의 실태를 분석해 봄으로써 담임교사의 학급경영과정의 적용을 파악하여 논의하고, 보다 나은 실천을 위한 제안을 수렴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담임교사의 학급경영과정의 실태와 문제점은 어떠한가? 2.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담임교사들의 제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조사 연구를 하였고, 조사 도구는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시 강동구, 송파구 관내의 8개 중학교 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담임교사들은 보편적으로 학급경영계획을 갖고 학급경영에 임하였다. 그 방침의 구체적인 근본은 교사의 교육관을 따르고 생활지도를 중시하고 있었다. 2. 학급회 조직과 운영은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담임이 조직과 운영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흥미 위주의 관심과 태도가 학급 집단의 조직과 관리에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3. 교실 환경 구성의 주요내용은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에 맞추어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급특색 활동계획이 각 반마다의 특색 활동계획을 갖고 시행했으며, 인간관계 형성을 학급특색활동의 덕목으로 여기고 주로 학급회의 시간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었다. 4. 학급분위기 조성을 위해 모든 교사가 생활지도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생활지도 계획을 실천하는 데 있어서의 기본 방침은 "개인면담과 개인관찰을 통해서"를 기본으로 이루어진다. 학급의 규율로 가장 강력하게 규제하는 것으로는 불손한 태도, 왕따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담임과 학생과의 유대 관계는 소수 비협조적인 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학생들과는 유대관계가 돈독하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이 유대관계에 있어서 서로의 화합은 되지만 학급경영 목표를 향한 성취의 과정에는 여러 가지 조화와 갈등의 내적 외적 요인이 존재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1. 학급경영을 위한 생활지도 경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2. 학부모, 학생, 교사가 함께 하는 형태의 면담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서 학급의 조직에서 1인 1역으로써 모든 이가 학급의 일정한 역할의 주인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3. 학급활동시간의 증대 및 담임의 자율성을 격려해 주는 학교의 지원이 필요하다. 직무연수와 자율연수에서 다양한 상담의 프로그램을 접하여 학급경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학급분위기를 해치는 불손한 태도와 왕따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동체의식의 함양을 위한 집단 놀이지도와 놀이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를 활용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대안교육 프로그램의 개설을 통한 재활을 돕는 방법도 병행되어야 한다. 5. 교육당국과 학교의 개선노력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부모와 학생의 긍정적 태도와 신뢰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인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내적 변화가 교사로부터 호응되어야 할 것이다. 여러 가지 갈등이 상담과 리더십으로 모든 교육적 역량이 잘 수용되었으면 한다. 이는 담임교사의 긍정적인 태도와 열의와 열정과 자기헌신이 있어야 한다. This study considers the application for a class management process of homeroom teachers by analyzing those various process conditions. This study specifically explores (a) the class management process conditions of homeroom teachers, (b) the principal problems with those, and (c) the proposals of homeroom teachers for improvement. 2003 teachers in 8 schools in Songpagu and Kangdonggu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developed with the help of Professor Kim, Myung-Soo.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for windows 10.0.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a) Teachers should produce a smooth school climate with an open mi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ling and a record of information should be offered to understand students quickly. Accumulated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student need to be connected to his/ her homeroom teacher. (b) Teachers should consolidate self-regulation in organizing and managing a class by improving programs to make sympathy.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lead their students to be awakened to their indifference, selfishness, and so on. (c) A classroom environment is organized according to the students' concern and interest. The individuality and characteristic of a class should be respected in the process. And homeroom hours should be made use of to increase the virtue of forming human relationship. (d) Teachers practice rules for guiding students' school life basically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refore they should help students set up alternative ideas by themselves as well as recognize their problems by means of a conversation. (e) Adequate support for self-regulating class management is necessary. Obstacles such as lack of understanding, excessive class hours, an overcrowded class, and too much routine business should be improved. In light of these findings, some recommendation for improvement are made as follows. (a) A management system for guiding students' school life should be established. (b) Interviews which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ake part in are recommended. And all the students need to act as a host or hostess of the class by taking a particular role. (c) Support of a school level should be offered to encourage teachers' self-regulation and increase homeroom activities. Teachers should have opportunities to meet various counselling programs in both official training and voluntary training. Furthermore they should apply these experience to their class management. (d) Group play guidance, play therapy, music therapy, and art therapy for cultivating community consciousness should be used to solve the problems of students with an impolite attitude and bullied students. Alternative educational programs of a national level should be established as well. (e) A real effort to create a social atmosphere to settle lack of a positive attitude and trust of both students and parents toward the present educational system. However teachers should be changed internally in parallel with these external ch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ccords with a class management goal. So teachers should try to solve many kinds of trobles by counselling and their leadership. All of these can be gained by a positive attitude, great passion, and devotion of homeroom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