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식·조리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동기에 따른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관한 연구

        김영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최근 사회는 높은 경제발전과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정보산업 의 발전으로 사회 및 경제의 모든 부분에서 정보화가 급진전되었고 외식산업의 서비스 분야도 이에 맞추어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로 인해 직업 가치관의 변화와 사회적인 노동변화로 인해 청년 실업률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어 사회 경제적으로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대학생 각자가 올바른 가치관의 직업선택으로 청년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공선택 동기에 따른 전공 만족도 및 진로결정에 대한 조사를 외식·조리 관련 학과 대상으로 평가함으로써 대학교의 학생상담 자료와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조리 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체 표본 210부(100%)중 유효표본 204부(97.4%)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공 내적동기, 외적동기, 전공 만족도, 진로결정에 대한 요인별 차이검증 결과 성별에서는 진로결정만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이 여성에 비해 진로결정 상에 영향이 있음을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동기가 잘 이루어질수록 전공만족도의 상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전공 만족도에 따라 진로결정이 미치므로,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 진로결정에 더 집중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선택 및 진로결정뿐만 아니라 대학생활 전반적인 적응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진로만족도가 높은 구성의 경우, 높은 동기와 흥미 수준정도를 고려하여 개인에게 적합한 진로선택과 전공선택을 할 수 있는 정보가 요구되는 반면, 진로적응성이 낮은 학생의 경우, 흥미나 과거에 경험하였던 동기 자체를 향상시키는 방안과 인지, 행동, 태도를 증진시키는 학과의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외식·조리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 요소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청소년들이 보다 나은 환경 속에서 진로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연구이다. 또한 대학생의 전공을 이해하고 학교 운영방안에 적용하여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 하여 대학생들이 학과 만족도가 더욱 높아지며 진로결정이 원활하게 발전할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In recent years, society has achieved high economic development and income levels, which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industry. As a result, informatization has advanced in all areas of society and economy. The service sector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also developing continuously. In addition,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s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changes in the job values and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which is a social issue. Therefore, it is time for each university student to make efforts to lower the youth unemployment rate by choosing the job based on the right value judgment.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udent counseling system and the system of the university by evaluating the research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motivation for choosing majors in the department of food service and cooking.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college students related to cooking and cooking.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04 samples (210.4%) of 210 samples (100%) of the total sam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factors among gender, internal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en are more influenced by career decision factors than women. Second, the greater the motivation for college students to choose their majors,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majors. Thir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ffects career deci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alternative to maximize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conditions to concentrate more on career decision. these results are important not only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decision but also for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for students with high career satisfaction, the department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so that they can select the career path and the major that suits the individual considering the level of motivation and interest level. On the other hand, for students with low career adaptability,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ir interests and motivation. Also, the department's efforts to improve the level of cognition, behavior, and attitude related to the major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s'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otivation factor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is, I hope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young people can receive career education in a better environment. In addition, I think that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school management plan in the future and it will be able to produce visible results. Furthermore, I hope this study will help college students to becom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jors and make their career decisions effectively.

      •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고은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취업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전공선택 동기가 다른 변인에 어떠한 영향력을 주는지 분석함으로써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다양한 신념과 가치관을 이해하여 그에 따른 적합한 지도를 계획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의 2-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호텔경영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24일부터 5월 1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88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고, 자료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각 변수들의 타당도와 신뢰성을 검증한 결과, 전공선택 동기는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로 구분되었고, 전공만족도는 수업만족, 관계만족, 사회적 인식만족으로 요인화 되었으며, 취업준비행동은 비공식적 준비행동, 적극적 준비행동, 공식적 준비행동으로 요인화 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의 수업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공선택 동기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전공만족도 중, 수업 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의 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공선택 동기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전공만족도 중, 관계 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의 사회적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공선택 동기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전공만족도 중, 사회적 인식 만족도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비공식적 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공선택 동기 중, 외재적 동기만이 취업준비행동 중, 비공식적 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적극적 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공선택 동기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 중, 적극적 준비행동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공식적 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공선택 동기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 중, 공식적 준비행동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 측면에서는 호텔경영전공 대학생의 다양한 신념과 가치관을 이해하여 전공 선택 동기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반면, 호텔경영학과운영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을 높이는 경쟁력 있는 학과운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지도를 도모하고 더 나아가서는 취업준비 행동유형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effect of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 in hotel management on the satisfactions with major and the job preparation action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on the other variables, and to understand hotel management college students’ diverse beliefs and values in order to plan appropriate guidance accordingly.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in the two- and four-year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from April 24, 2017, to May 12, 2017, and 188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collected to use for the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these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PSS 20.0 program.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variables in this research,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were divided into intrinsic motivations and extrinsic motivations, and the satisfactions with major were divided into class satisfactions, relationship satisfactions, and social recognition satisfactions, and the job preparation actions were divided into unofficial preparation actions, active preparation actions, and official preparation action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s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 in hotel management and the class satisfactions of the satisfactions with major shows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s and the extrinsic motivations of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the class satisfactions of the satisfactions with major.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 in hotel management and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s of the satisfactions with majors showed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extrinsic motivation of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s of the satisfactions with major.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 in hotel management and the social recognition satisfactions of the satisfactions with major shows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extrinsic motivation of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the social recognition satisfaction of satisfactions with major. Four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 in hotel management and the unofficial preparatory actions of job preparation actions shows that only the extrinsic motivations of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the unofficial preparatory actions of job preparation actions. Fif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 in hotel management and the active preparation actions of job preparation actions shows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s and the extrinsic motivations of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all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f the active preparation actions of job preparation actions. Six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and the official preparatory actions of job preparation actions showed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s and the extrinsic motivations of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all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the official preparatory actions of job preparation ac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can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help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major by understanding the diverse beliefs and value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he department of hotel management, they can provide the data that help operate a competitive department that raises the students’ satisfactions with major and job preparation actions, and they can be utilized as the data that help promote appropriate guidance and grasp the types of job preparation actions.

      • 외식조리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진로의사결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효과로

        이현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855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at the heart of competitiveness in modern society and the youth choose to enter university as a choice for acquiring competitiveness in knowledge-based society. However, significant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university life and their majors and connecting them with future employment in case that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don’t correspond to their majors of choice. In addition, dissatisfaction with major in university life can induce confusion in future career path and negatively affect future career path and employment. As university period is an important period to prepare for becoming a working member of society, it is necessary to take proactive actions concerning career path through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In terms of choosing a major, it is desirable to consider own aptitudes and interests and make a choice based on information on majors and self-understanding. A major is not only related to the future career which an individual pursues, but, in case that a major of choice doesn’t correspond to his/her own aptitude, maladaptation to major and university life in general lead to dissatisfaction with major. In particular, dissatisfaction with major in university life induces confusion in future career path and may negatively affect future career and employment as well as preparation activities for employment. As university students stand at an important period to prepare for becoming a working member of society, they need to think over their future careers and take proactive actions for them through various experience activities. Base on the above mentioned,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correlations among motives of choice of major, decision-making factors of career,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for career,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ining & cooking, and to present university students with ways of operating and managing majors based on impacts of each variable.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carried out a theoretical review based on existing studies on motives of choice of major, decision-making factors of career,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for career, and implemented an empirical study of 500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ining & cooking in parallel.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using regression analysis to further clarify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motives of choice of major had a meaningful effect on self-efficacy in terms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motives, and as for decision-making factors of career, only intuitive factors had a meaningful effect. In addition, both goal-setting and problem-solving, which are decision-making factors of career, had a meaningful effect on both goal achieving activities and preparation behaviors for care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s compared to existing studies at home and oversea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ining & cooking in Korea had relatively clear motives of choice of major compared to other majors, and this led to high self-efficacy and also affected preparation behaviors for career resulting in systemat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eparation behaviors for career and employment. In particular, they showed low dependency on others in making a decision on career and a high rate of intuitive decision-making of their ow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ould find the clear motive of choice of major and decision-making factors of caree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ining & cooking, and this deems to be able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operation plan of major and counselling method tailored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ining & cooking. In addition, as these factors can have a great effect on enhancing self-efficacy and become an important part in preparation behaviors for career, employment and social life later, they can be applied as a core sphere in managing student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operation data concerning enhancing satisfaction with major in university life and guiding them as competitive students in preparing for career related to major in relation to major-related operation plan and career guid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ining & cooking. 현대사회는 지식과 정보가 경쟁력의 중심이 되고 있고, 지식기반사회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선택으로 청소년들은 대학 진학을 보편적인 선택으로 삼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입학 후 상당수의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가 선택했던 전공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대학생활과 전공에 대한 부적응과 졸업 후 취업과 연계했을 때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을 알 수 있다. 전공선택은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고 관련 전공에 대한 정보와 자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학시기에 전공을 선택함에 있어 개인이 추구하는 미래의 직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선택한 전공이 적성 및 흥미와 불일치되면 학업과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부적응이 전공불만족으로 이어진다. 특히, 대학생활에 있어서 전공불만족은 진로에 대한 혼란을 유발하고 취업을 위한 일련의 준비행동 뿐만 아니라 향후 진로결정 및 취업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대학시절은 사회생활을 위한 사회인으로서 준비와 실천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다양한 경험활동 등을 통해서 진로에 대한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하다. 위에서 언급된 내용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외식·조리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선택 동기, 진로의사결정요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상관성을 이해하고 각 변수의 영향력을 토대로 전공운영에 대한 대학생들의 운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공선택 동기, 진로의사결정요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대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고, 이에 외식·조리 전공 대학생들 500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좀 더 명확하게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모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진로의사 결정요인은 직관적인 유형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의사 결정요인인 목표설정, 문제해결 모두 목표달성활동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외 선행연구들과 비교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은 타 전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공선택동기가 명확하고 이것은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진로준비행동에도 영향을 미쳐 체계적인 정보수집과 취업 및 진로준비행동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진로의사 결정에 있어서 타인에 대한 의존성이 낮아지고 본인 스스로의 직관적인 결정에 따르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의 뚜렷한 전공선택 동기와 진로의사결정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는 외식조리전공 학생들에게만 특별히 적용할 수 있는 학과 운영방안이나 상담방법들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치며 진로준비행동과 사후 학생들의 취업 및 사회생활에도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을 수 있기 때문에 학생 관리방안의 중점적인 영역으로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외식·조리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과 관련 운영방안과 진로지도에 관련해서 대학생활의 전공수업 학과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전공과 관련된 진로를 준비함에 있어서 경쟁력이 있는 전공 학생으로 지도할 수 있는 운영 자료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이지애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적응이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둘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 적응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4개 특성화고등학교 남, 여학생 426명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 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07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Ver.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적응이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성별과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즉 여자보다는 남자가 전공을 선택할 때 외재적 요인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낮을수록 전공선택동기가 높고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며 사회적 측면을 중요하게 여겼고 학년이 높을수록 직업을 선택할 때 가정요인에 대한 고려가 많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 학교생활 적응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전공선택동기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직업 선택 및 직업결정요인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공선택동기와 학교생활적응에서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과 학교생활적응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은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전공선택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도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 및 직업결정요인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학생진로지도는 물론, 학부모와의 상담, 부모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며 특성화 고등학교의 정책 수립과 진로지도에 필요한 여러 가지 대안과 자료를 제시해보았다.

      •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 조리·외식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예정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는 대학생들의 실업문제를 국가·사회적 측면에서의 실업대책 뿐만 아니라 학교적 측면의 실업대책 일환으로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직업가치관, 수업참여도,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생측면에서는 학생들에게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 학과운영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취업률과 관련된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을 높이는 경쟁력 있는 학과운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적 고찰과 실증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문헌적 고찰에 있어서는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 동기, 수업참여도,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각각의 변인들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에 있어서는 부산지역 조리·외식관련 전공 대학교에 재학 중인 2년제 대학교 2학년과 4년제 대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조리·외식관련 전공 대학생들이 추구하는 주된 직업가치관의 특성과 전공선택 동기를 분석함과 동시에 직업가치관, 전공선택동기,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차이분석(t-test),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 번째 가설인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는 수업참여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전공선택 동기는 수업참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가설인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개인적 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가설인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는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개인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 번째 가설인 “조리·외식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수업참여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수업참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재적 직업가치관은 수업참여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 번째 가설인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직업가치관 하위요인 중 내재적 직업가치관만이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 번째 가설인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직업가치관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직업가치관 하위요인 모두가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 번째 가설인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수업참여도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단순회귀 분석한 결과 수업참여도는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덟 번째 가설인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수업참여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단순회귀 분석한 결과 수업참여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홉 번째 가설인 “조리·외식 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단순회귀 분석한 결과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얻을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대학생들의 행동변인인 취업준비행동을 연구함에 있어 학생들의 미래의 직업과 관련된 심리적 변인인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 그리고 인지·태도적 변인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를 추가하여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심리적, 인지·태도적, 행동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여 연구함으로써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연구를 새롭게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둘째, 심리적 변인인 전공선택 동기 중 개인적 동기, 그리고 직업가치관 중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임을 제시한 점이다. 셋째, 인지·태도적 변인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인지·태도적 요인임을 제시한 점이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학생 개인측면에서는 개인적 동기와 내재적 직업가치관은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그리고 대학생활에 있어 적극적인 수업참여는 자신이 속한 전공에 대한 전공만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취업을 위한 취업준비행동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한 바와 같이, 학생들에게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 적극적인 수업참여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학과운영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을 입시면접과 취업지원 및 진로상담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을 높이는 경쟁력 있는 학과운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임혜영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수준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8년 4월 2일부터 2018년 4월 20일에 걸쳐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2계열 전공(이공, 인문계열) 재학생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수거 되지 않은 설문지 48부와 5가지 항목 이상 무응답의 비중이 높은 15명을 제외한 총 237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사용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직업가치관 측정도구는 안강현·이용환(1988), 장경혜(2008), 문소령(2010), 윤지영(2010)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기초로 하여 한예정(2014)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전공선택동기의 측정도구는 정보영(2010), 이종호(2011), 신진(2012)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기초로 한예정(2014)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고향자(1992)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를 기초로 하여 신종원(2015)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Window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전문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기술통계룰 알아보았다. 그 후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측정요인간의 수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Pearson 산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직업가치관 및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변인에 따른 측정요인의 차이는 성별에 따른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의 차이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외재적 가치와 사회적 동기가 높았으며, 진로결정수준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공계열에 따른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의 차이는 이공계열 학생이 인문계열 학생보다 외재적 가치와 사회적 동기가 높았으며, 진로결정수준에서는 전공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직업가치관,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는 전체집단의 경우 진로결정은 외재적 가치, 내재적 가치, 개인적 동기, 사회적 동기와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개인적 동기와 가장 높은 정적관계가 있었다. 또한 진로미결정은 외재적 가치, 사회적 동기와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집단의 경우 진로결정수준은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 및 사회적 동기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동기가 높고 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높았다. 반면에 진로미결정수준은 사회적 동기가 높고 외재적 가치가 높을수록 그 수준이 낮았으나 이 변인들의 진로미결정을 설명하는 효과는 매우 미미하므로 신중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직업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는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단계라 할 수 있는 전공선택과정을 순조롭게 이끌어 가야 한다. 전문대학생들의 현 실정에 맞는 실질적인 진로 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요하며 전문대학의 필요성 및 전공의 의미와 전공선택의 중요성을 스스로 인지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신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학교 지원의 조절효과

        김수진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855

        2016년 4년제 대졸자 33만 여명 가운데 취업자는 15만 여명으로 약 45.2% 정도이다. 전공과 직업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전공-직업 정합성 수준은 의약계열이 75.2%로 가장 높고 예체능계열이 20.1%로 가장 낮으며,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은 50% 정도의 정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5년 9월 현재 4년제 대졸자 가운데 졸업 후 18개월 이내의 취업률(실업자 포함)은 84.3%이며, 이 가운데 관광학이 포함된 사회계열은 73.7%로 전체 계열 중 중간 정도의 순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관광경영 관련학과, 호텔 관련학과, 스튜어디스 관련학과, 외식조리 관련학과 등 환대산업과 관련된 학과들의 취업률은 64.5%에 불과하며, 이 가운데 37.6%의 취업자만이 전공과 일치하는 직업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사회계열 전공 대학생들이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직업을 갖는 비율에 비해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낮은 전공-직업 정합성 수준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은 입학에 대한 자기 평가로부터 시작되며 학과에 적응하는 과정을 통해 희망직업을 구체화하게 된다. 이 모든 과정의 핵심에는 가정과 학교, 정보, 진로상담과 같은 충분한 지지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 중 어느 하나라도 달성하지 못하면 진로결정과정 전반에 혼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취업난과 구직경쟁이라는 사회 현실 또한 대학생의 취업준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즉 진로와 관련된 문제들은 전공선택동기와 같은 개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가정에 뿌리 깊은 진로에 대한 태도나 사회적인 진로현실, 그리고 진로에 대한 고정관념, 개인의 학습경험 등의 복합적 환경으로부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에게 있어서 진로신화가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 영향관계에서 학교 지원이 어느 정도의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 전공선택동기(내재 동기, 단기 외재 동기, 장기 외재 동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영향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신화, 학교 지원,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검토하고, 둘째 진로신화의 종류를 구분하고 이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셋째 학교 지원이 진로신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확인하고, 넷째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를 유형화하여 각 유형에 따라 진로신화와 진로결정수준, 학교 지원 간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각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발달 특성을 살펴보고, 대학교에서 학생들의 진로관련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경상권, 광주/전라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의 관광관련, 호텔관련, 항공서비스관련, 조리외식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7년 10월 11일부터 10월 27일까지 총 5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 중 500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95부를 제외하고 405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사회과학분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인 SPSS 18.0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본 설문의 각 측정 도구 별 내적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계수 등을 통한 신뢰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본 연구와 관련된 측정척도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구성요인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진로신화는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은 부분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택신화는 자기명확성 부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신화는 자신과 직업 간의 부조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신화와 자아존중감신화는 직업선택의 부조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선택신화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신화는 우유부단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진로신화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학교 지원은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다”라는 가설 2는 부분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검사신화 및 선택신화와 자기명확성 부족 및 자신과 직업 간의 부조화의 관계에서 교수·운영진 지원이 조절효과를 가지며, 검사신화와 우유부단함의 관계에서 교수·운영진 지원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택신화와 자기명확성 부족의 관계에서는 동료학생 지원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신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 지원의 조절효과는 달라질 것이다.”라는 가설 3은 부분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재 동기가 높은 집단과 장기 외재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검사신화와 자아존중감신화는 진로결정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단기 외재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자아존중감신화만이 진로결정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재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검사신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운영진 지원이 조절효과를 가지며, 장기 외재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검사신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운영진 지원과 동료학생 지원이 모두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모집단은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들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현재 관광과 관련된 전공의 영역은 점점 넓어져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2년제와 3년제 학생들 또한 연구대상자에 포함을 시켜야 하며, 관광관련 전공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를 통해 관광산업 전반에 관련된 학과들까지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문제를 횡단적으로 살펴보았다. 진로문제는 생애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는 전생애적 과제이므로 연구 집단을 오랜 시간에 걸쳐 관찰하고 연구하는 종단적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종합적이고 통찰력있는 결과를 이끌어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각 생애주기에 적합한 진로교육과 해결방안을 도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와 관련된 문제는 학교라는 한정된 환경에서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는 없다. 학생들이 겪는 진로관련 문제는 가정을 포함해서 사회 전반적인 영역에서 파생하는 문제이므로, 향후에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모든 환경에 대한 조사와 각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파악함으로써 실질적이고 해결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학교 지원에 대해 학생들이 인식하는 정도만을 측정하여 지원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각 대학교에서는 다양한 학생 지원정책들을 통해 진로와 관련된 학생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 지원정책들과 구체적인 실행 방법들을 조사하여 학교 지원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학생들의 진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결정수준을 파악하였을 뿐, 실제로 졸업 후 진로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전공선택동기, 진로신화, 진로결정수준이 실제로 졸업 후 진로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들이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하는 데에 구체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여,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mployed people among 330,000 college graduates for 4-year system in 2016 numbered more than 150,000 people, amounting to about 45.2%. For the major-profession matching level for determination of agreement status between major and profession, medicine affiliation is the highest at 75.2%. and arts & physical eduction affiliation is the lowest at 20.1%, while sociology affiliation, education affiliation, engineering affiliation were shown to have the matching of about 50%. Also, the employment ratio (including the unemployed) within 18 months after graduation among college graduates from 4-year system as of September, 2015 is 84.3%, of which the sociology affiliation including tourism science is 73.7%, and has been surveyed to be about middle ranking among all affiliations. However, the employment ratio of the departments related to hospitality industry such as tourism management-related departments, hotel-related departments, stewardess-related departments, and catering/ cooking-related departments, etc. is only 64.5%, of which only 37.6% of employed people is reported to have a profession in agreement with the major. Thus, efforts are needed to identify and solve the problems concerning what the causes are concerning the low matching level between major & profession for the college graduates of tourism major compared with the ratio for the college graduates of sociology affiliation to have professions related to their majors. The career-decis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begins with self evaluation for admission, and the desired profession becomes specified through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department. In the core of all these processes, sufficient support such as family, school, information, and career consultation should constitute founda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termination are realized accordingly. If any of these processes fails to be achieved, confusion will be experienced throughout the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Social reality such as unemployment problems and job competition also exerts a large influence on the college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Namely, the problems related to career may be considered to originate from not only personal problems such as motivations for major selection but also combined environments such as attitudes toward career deeply rooted in family of social career reality, and fixed notion on career, individual's learning experience, etc. Accordingly, in the present study, it has been considered what effects the career myths has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for the college students with tourism-related majors and what level of controlling effects the school support has in this effect relationship, and how such effect relationships are varied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intrinsic motivation, short-term extrinsic motivation. long-term extrinsic motivation).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career myths, school support, career-decision level was reviewed first. and types of the career myths were classified secondly, and it was checked how the career-decision level was varied accordingly. Thirdly, it was considered how the school support controls the effects of career myths on the career-decision level, and fourthly, it was considered by typifying the college students'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how the effects among career myths, career-decision level, and school support according to each type. Lastly, college students' characteristics of career development were considered by verification of effect relationships of individual variable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help solution of students' career-related problems in the university. To achieve such study objectives, a self-entered type of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ubject of college students with majors related to tourism, hotel, aviation service, catering & cooking in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Gyeonggi, Gangwon, Chungcheong, Gyeongsang, Gwangju/Jeolla circle. From October 11 to October 27, 2017, a total of 53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500 copies were recovered, and 405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90 copies of unfaithfully responded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SPSS 18.0 as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most universally used on social science areas was used. To consid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frequency analysis was employed, reliability test through Cronbach's α coefficient, etc. was conducted to identify inner consistency per each measuring tool for each survey, and validity of constituent concept for the measurement scale related to the present study was verified by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effect relationships of constituent factors, an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have been derived. First, the hypothesis 1 “Career myths will affect the career-decision level" was partly adopted. Specifically considering, the selection myths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sufficiency of self-clarity, and the self-respect myths a positive(+) effect on the incongruity between self and profession. Although test myths and self-respect myth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congruity of profession selection, selection myths have a negative(-) effect, while the self-respect myths we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ecisiveness. Secondly, the hypothesis 2 “School support will have a contro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yths and career-decision level” was partly adopted. According to specific consideration, in the relationship of incongruity between test myths as well as selection myths and insufficiency of self-clari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incongruity between self and profession, the support of professors and operation team has been shown to have a control effect, while the support of professors and operation team was shown to have a contro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myths and indecisiveness. In addition, the support of fellow students was analyzed to have a contro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myths and insufficiency of self-clarity. Lastly, the hypothesis 3 “Depending on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the effects f career myths on career-decision level and control effects of school support will be varied.” was partly adopted. Specifically considering, test myths and self-respect myths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and with high long-term extrinsic motivation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decision level while only self-respect myths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decision level in the group with short-term ex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the support of professors and operation team was shown to have a control effect in the influence of test myths on career-decision level, while both the support of professors and operation group and the support of fellow students were shown to have a control effect in the influence of test myths on career-decision level in the group with high long-term extrinsic motivation. Through such study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future study measures were presented and utilization thereof as data for follow-up studies has been proposed. First, population of the present study was set as the college students with tourism-related majors. However, the domains of majors currently related to tourism are being gradually broadened. Therefore, in the future studies, the students of 2-year and 3-year systems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tudy subject, even the departments related to overall tourism industry need to be included through a comprehensive definition for tourism-related majors. Secondly, the present study has transversally considered college students' career problems. Since the career problems are the whole-life project realized throughout a life, it is considered that comprehensive and insightful results should be derived by realizing longitudinal studies where study groups are observed and studied over a long time. Consequently, deriv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and the solution measures suitable for each life period is considered necessary. Thirdly, career-related problems cannot be solved only by the efforts in the limited environment of a school. Since the career-related problems experienced by students are the problems derived in the overall domain of society including family, the efforts to derive practical and solvable implications should be made by surveying of all environments experienced by students and identifying problems occurring in each environment in the future. Fourthly, in the present study, the levels of support were identified only by measuring the extents recognized by students for the school support. However, each university is making multi-faceted efforts to solve students' career-related problems through diversified student support policies. Theref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how students' careers are affected based on the objective data of school support by surveying school support policies and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s. Lastly, in the present study, only the career-decision levels recognized by students were identified, and no study was made concerning how the career determination would be actually affected after graduation. Therefore, multi-facet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s to how the career selection is actually affected after graduation by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career myths, and career-decision level. As the college students with tourism-related majors derive specific and hands-on implications for determination of their careers following graduation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help for students' career selection.

      • 미용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신은지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오늘날 급속한 경제 발전과 함께 개인의 가치와 삶의 수준도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유행을 빠르게 따르고 외모를 치장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뷰티 관련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따라 서비스 및 미용 분야도 산업의 흐름에 발맞춰 다양한 주제의 교육을 진행하면서 미용학과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미용전공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증가하는 만큼 각 미용 전공분야가 세분화되어 있어 취업문이 넓은 편이나 전공선택, 자신감, 성격, 가정환경, 근무조건 및 근무환경 등에 따라 많은 취업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ⅴ - 연구의 방법은 광주 전남 및 수도권 소재 2년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조사하여 341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일원변량분석, 다중범위 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연령에 따른 전공선택동기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 유의수준 5%에서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문제해결은 연령이 22-23세(M=3.62), 20-21세(M=3.47), 24세 이상(M=3.38) 순으로 문제해결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157, p<.05). 연령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취업스트레스의 성격 스트레스, 가족환경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학교환경 스트레스, 취업불안 스트레스 모두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학교 구분에 따른 전공선택동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4년제 대학 재학생(M=3.90)의 전공선택동기가 2년제 전문대학 재학생(M=3.66)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4.236, p<.001). 학교 구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4년제 대학 재학생(M=3.72)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2년제 전문대학 재학생(M=3.47)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5.182, p<.001). 학교 구분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취업불안 스트레스는 2년제 전문대학 재학생(M=2.62)의 취업불안 스트레스가 4년제 대학 재학생(M=2.37)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489, p<.05). 전공계열에 따른 전공선택동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내재적 동기는 전공계열이 메이크업(M=3.99), 피부(M=3.90), 헤 - ⅵ - 어(M=3.86), 네일 및 기타(M=3.71) 순으로 메이크업 전공 학생의 내재적 동기가 가장 높았으며, 네일 및 기타 전공 학생의 내재적 동기가 가장 낮았다(F=2.694, p<.05). 전공계열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 모두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전공계열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성격 스트레스는 전공계열이 메이크업(M=2.95), 피부(M=2.87), 네일 및 기타(M=2.73), 헤어(M=2.63) 순으로 성격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028, p<.05). 가정 생활수준에 따른 전공선택동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가정 생활수준이 상(M=3.91), 중(M=3.75), 하(M=3.66) 순으로 가정 생활수준이 상인 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가장 높았으며, 가정 생활수준이 하인 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가장 낮았다(F=4.252, p<.05). 가정 생활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가정 생활수준이 상(M=3.74), 중(M=3.54), 하(M=3.51) 순으로 가정 생활수준이 상인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다(F=5.919, p<.01). 가정 생활수준에 따른 취업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가정 생활수준이 하(M=2.90), 중(M=2.54), 상(M=2.47) 순으로 가정 생활수준이 하인 학생의 가족환경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5.122, p<.01). 둘째,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는 전공선택동기의 내재적 동기(r=-.139, p<.05)와는 부의 상관이, 외재적 동기(r=.118, p<.05)와는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 택, 직업정보, 문재해결, 미래계획과의 상관이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 - ⅶ - 았으나, 세부적으로 성격 스트레스는 문제해결과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취업불안 스트레스는 목표선택과 유의미한 부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내재적 동기(=-.207, p<.001), 외재적 동기(=.191, p<.01) 순으로 취업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가 낮을수록 외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375, p<.001), 미래계획(=.195, p<.05) 순으로 취업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이 낮을수록 미래계획이 높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조절방안 마련 및 대학생들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취업 만족도 및 유지 취업률 향상 등에 대한 다각적 후속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된다면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경감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미용전공 대학생,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 ⅷ-

      •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조절효과 분석

        김수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855

        학생들은 대학에서의 전공을 선택함에 있어 본인의 흥미나 적성, 재능을 고려하기도 하고 현재의 성적이나 주변인의 권유, 혹은 장래직업의 인기나 사회적 인지도를 고려하는 등의 다양한 이유들이 존재한다.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과는 객실승무원이라는 특정한 직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과에서는 실무 위주의 수업으로 객실승무원의 교육과정을 교육받는 등 객실승무원 양성에 도움이 되는 직접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COVID-19라는 유래없는 전염병으로 인해 사회 전반적인 경제활동 및 구직활동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항공산업은 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항공사들은 항공 여객 수요가 극감함에 따라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객실승무원들에 대해 무급휴직 조치하고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신규 채용 또한 무기한 중단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은 객실승무원을 목표로 하는 항공운송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항공운송 서비스 전공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COVID-19의 상황이 이들 사이를 조절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실증조사를 위해 전국의 항공운송서비스 관련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_적합성은 진로결정수준_확신있음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진로결정수준_확신없음과 정보필요에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선택동기_상황반영은 진로결정수준_대안부재와 확신없음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선택 시 흥미나 적성, 재능 등의 본인의 적합성을 고려한 학생들은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 그 확고함의 수준이 높고 더 이상의 정보는 불필요해 하는 반면 주변인의 권유나 성적 등의 상황을 반영한 학생들은 본인의 진로에 대한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대안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즉, 전공선택동기_적합성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이 전공선택동기_상황반영을 고려하여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보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_적합성과 장래성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황반영은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전공선택동기_상황반영을 고려한 학생보다 전공선택동기_적합성, 장래성을 고려한 학생들이 전공을 반영하여 취업하기 위해 유관된 자격증 취득에 대한 준비, 영어 및 외국어 공부, 학점관리 등 적극적으로 진로준비활동을 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COVID-19는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미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이 대학 진학 그 이후, 진로를 찾아가고 결정하며 대안을 찾고자 하는 과정에서 COVID-19와 같은 외부효과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 동기_상황반영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COVID-19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부(-)의 영향을 미치며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선택동기_상황반영은 주변의 권유나 성적에 맞춘 선택으로 목표 의식이나 진로에 대한 확신이 미흡하고 대안을 찾고자 하는 의지 또한 낮은 수준에 있어 여기에 COVID-19의 정신적 스트레스 요인이 더해져 진로준비행동에 더 큰 부(-)의 영향을 미치며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른 진로결정 수준의 정도를 파악하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바를 분석하며 이들 사이를 COVID-19의 여러 가지 요인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후 후속 연구에서는 나아가 전공선택동기가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하였을 때 직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와 보다 더 다양한 내부, 외부요인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항공운송서비스 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의 중요점을 시사하고 전공선택 동기부터 직업결정, 취업성과 나아가 직무몰입에 이르는 체계적인 과정 수립에 기여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or how the major choice motivation of air service major students affects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nder the situation of COVID-19. For this, we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VID-19. For the empirical test, a survey wa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air service across the country.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of all, students who chose his/her major in considering of his/her suitability, such as interest, aptitude, and talent, have solid level of career decision and do not need any other information for changing major. On the other hands, students who chose his/her major according to recommendation or school grades do not have confidence in their career path. In other words, students who chose his/her major based on major selection motivation_suitability more solid career decision than the students who chose his/her major selection motivation_situation. Second, the factors that affect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re major selection_suitability and major selection motivation_prospects. Students with these factors more actively prepare for their career, such as trying to obtain certain licenses, studying foreign languages, or managing grades, than those students who chose his/he maj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ird, we found COVID-19 does not have moderating effects while major selection motivation affects career decision level of air service major students. Fourth, the mental stress of COVID-19 has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ur and has moderating effect. Major selection motivation_situation has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mental stress caused by COVID-19 to the students with low level of confidence in goal or career path. In conclusion, students with confidence in their future in terms of major does not affected by situations like COVID-19 while students who do not have confidence are swayed in terms of their career path. Therefore schools and instructors need to encourage those students with less confidence.

      •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송윤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855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교육학과 송 윤 정 지도교수 조 규 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전공선택동기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전공만족도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교수-학생 상호작용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하는 4개 대학교 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66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중 내재적 동기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환경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전공만족도 하위요인 중 일반만족, 관계만족, 교과만족이 학업적 적응에, 관계만족과 인식만족은 사회적 적응에, 관계만족은 개인-정서적 적응에,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은 환경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친밀감과 신뢰감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환경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대학입학 시 전공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흥미나 적성에 맞춘 진로지도가 고등학교 과정에서 필요하다. 또한 전공만족도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적 서비스 제공 및 교수와 학생이 정서적으로 유대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대학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주요어 :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