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화시대 새로운 통일외교 방안 :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을 위한 인식공동체의 역할

        허효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0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ole of epistemic community in conducting a new diplomacy for the Korean unification as well as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 the information age. This study is based on three premises for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new diplomacy under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and Northeast Asian situations: 1) The new international environments strongly suggest that we need a new approach to promoting the Korean unification;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twork of transnational experts across national borders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Korean unification and promoting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 the highly globalized world; 3)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ould not be achieved without consolidating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 a way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a new diplomacy for the Korean unification, this study made a critical review on the ROK government's unification diplomacy from historical perspective. The government's current unification diplomacy which has been focused on only the state-to-state relationship doesn't reflect some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Since the rapid development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ve been changing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s, the actors, contents, counterparts of diplomacy have been changed and diversified, even though states or governments still play the predominant role, functioning as the most important official channels for the Korean unification.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epistemic community as a new actor of unification diplomacy. An epistemic community is a transnational network of top experts who are working in the academia, mass media, NGOs, as well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ith extensive knowledge and strong influence on the policy-making process in their related fields. It must be emphasized that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would share the vision of the Korean unification as well as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find out new agenda, make some joint efforts to seek some solutions, and finally draw 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s attentions for domestic and regional cooperation. The epistemic community's ultimate goal is to institutionalize the mechanism of the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As a new actor of unification diplomacy in the information age,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is effectively going to play a role at the international, domestic, and inter-Korean levels. At the international level,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would serve as a channel for the ROK government's unification diplomacy and promoting peace and prosperity in Northeast Asia by making neighboring states understand the unification benefits and contributing to build the regional identity of Northeast Asian states. At the domestic level, the epistemic community would form and lead public opinions in favor of consolidating the South Korean people's strong will toward Korean unification as well as offer some policy advices for the government decision-makers. Furthermore, the members of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at the inter-Korean level will share the vision of peaceful unification, and establish a high level of trust between the actors who are involved in and implement the process of gradual unification in the future. In a way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the role of epistemic community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and the unification of Germany. The successful case of German unification strongly implies that the epistemic community in Europe greatly contributed to the German unification, although the inter-German epistemic community was yet to develop in the process of the German unification, which brought out some negative consequences in the post-Unification Germ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the Korean 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promoting peace and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in which epistemic community would certainly play an important role. When we analyzed and evalu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Northeast Asia Epistemic Community, most of the cases are just platforms for the simple dialogue across countries in this region without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ational and regional policy making. Nevertheless, we can find some facilitating factors to develop the epistemic community in the future. For example, Track 2 or Track 1.5 diplomacy conducted by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experts are recently becoming more and more activated. Compared to the past, the number of collaborative research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has been increasing, and the field of cooperation has been diversified as well. Meanwhile, there are some obstacles, such as Epistemic Community’s weak political influence at the domestic level, lack of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of organizing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joint projects across countries in the region, as well as exerting political influence at the regional level. In addition, it is yet to build up a network of experts in North Korea who share the vision of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peace and cooperation in this region with the mind of openness and reforms.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화시대에 새로운 외교방안으로서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을 위한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의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주로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는 기존의 통일외교방안으로는 정보화 및 세계화 시대에 통일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구성주의적 시각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일외교로서 본 연구가 제시하는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 방안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전제에서 출발한다: 1) 정보화시대에는 새로운 통일외교 방안이 필요하다; 2) 정보화시대 외교는 국경을 초월한 전문가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3) 한반도 통일과 동북아의 신질서 구축을 동시에 추구할 때 한반도 통일이 용이하다. 이러한 전제에 따라 본 연구는 첫 번째,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기존 통일외교를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의 역할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 통일외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국제체제의 역사적 변화의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기존의 통일외교가 여전히 국가에만 매달려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세계화와 정보화를 비롯한 국제체제의 변화로 인해 외교의 행위자, 대상, 내용이 다원화·다양화․다변화·다층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현행 통일외교가 새로운 외교환경의 흐름에 지체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세계화와 정보화시대에 걸맞게 국가 중심의 통일외교를 다원화, 다양화, 다변화, 다층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동북아를 중심으로 인식공동체를 형성․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과 관심은 정보화 시대의 통일외교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지만, 한반도 통일은 필수적으로 동북아 신질서의 태동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전체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고려하지 않으면 주변국들의 지지와 협조를 없어낼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일외교의 범주를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 평화번영으로 확대하고, 이러한 외교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인식공동체를 가리켜 ‘동북아 인식공동체’라고 명명하였다.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한반도 통일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비전을 공유한 가운데 각 분야에서 전문성과 능력을 인정받아 국내외적 정책결정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전문가 집단의 네트워크를 일컫는다.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국경을 초월하여 한반도 통일을 비롯한 동북아의 평화 번영과 관련된 이슈를 개발한 후 각 나라와 국제사회의 주요 정책 어젠다로 채택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정보화시대에는 국경을 초월한 정보 및 지식의 교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술적․물리적 여건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인식공동체를 활용할 때, 현행 통일외교가 지닌 정부 대 정부 위주의 외교행태를 다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앞으로 ‘동북아 인식공동체’가 국제적 차원, 국내적 차원, 남북 차원에서 각각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주변 4국에게 통일편익을 이해시키고 동북아 정체성 정립의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동북아 협력에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국내적 차원에서는 정책결정자들에게 정책조언을 제공하고 통일에 순기능적인 여론을 형성 및 주도하며 국민들의 통일의지와 역량을 고취시킴으로써 통일외교를 뒷받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남북 간 민족 평화통일의 비전을 공유하면서 남북통일의 당사자들 간 신뢰를 구축하여 점진적인 통일 프로세스를 이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동북아 인식공동체는 경제적 상호의존과 정치·군사적 갈등이 병렬적으로 나타나는 동북아 역내 국가들 간의 행위에서 협력 가능한 공동의 이익을 도출해냄으로써 평화구축 및 제도화 과정에서 촉매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세 번째, 동북아 인식공동체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유럽통합 과정과 독일통일 과정에서 인식공동체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한 결과, 동북아 인식공동체가 동북아 평화번영과 한반도 통일을 동시에 추구할 때 두 가지 과제가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최근 동북아 인식공동체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가 지속성과 실효성이 부족한 단순한 전문가들 간 대화의 장(場)에 더 가까웠다. 그럼에도 정부 간 합의의 결과로 트랙2 또는 트랙1.5 차원의 회의가 활성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거에 비해 동북아 전문가들 간 공동연구 및 국제회의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협력분야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동북아 인식공동체의 발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였다. 한편, 국내 인식공동체의 정책영향력의 미흡, 동북아 전문가 네트워크의 편중 및 집중 현상, 남북 인식공동체 형성의 제약 등은 장애요인으로서 이를 극복하여 동북아 인식공동체로 발전 및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동북아 신지역주의 연구 : 도시네트워크와 인식공동체를 중심으로

        강성원 부산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87

        This study considers the transnational cooperations in the Northeast Asia in the viewpoint of the new regionalism. The new regionalism is a movement that tries to find cooperative solutions for regional communal issues led by local government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or various activists at the level lower than the national level. While the first generation regionalism was an effort for the state-led regional integration from the 1960’s, the new regionalism was conceptualized as the second generation regionalism that was multidimensional and multipolar system, in which various activists have participated from the bottom together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in 1990’s. This study has largely two main objectives. In one hand, it investigates the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of the transnational cooperations acquired through the city networks led by the local governments of the local economic zon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such as the Pan Yellow Sea Economic Zone, East Sea Rim Economic Zone and Korea-Japan Straits Economic Zone. In such a proc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ity networks and the epistemic community is analyzed as paying attention to the role of the epistemic community. On the other hand, the study intends to find an undertone of the transnational cooperation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network for the new regionalism based on the SN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st network spac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s scrutinizing the tribute system as the traditional international order in the diachronic viewpoint and analyzes the method of reproducing the network space in this region which has been cultivated through the traditional heritage. As already shown in the researches of many scholars, the Northeastern Asian region has formed the spacial structures as the economic and cultural networks from the past, in addition to the political order. It has been verified that, even during the Cold War period, cooperation between cities led by the non-state activists, expecially epistemic community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at work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came alive as the new regionalism in the post-cold war era. It further found that the driving force giving an impetus thereto were the factors of decentralization, denationalization and balanced development, etc. This study, as a case study, has analyzed whether the cooperation of the new regionalism through the city networks can be led to institutionalization to some extent via the regional system model of Schmitt Egner for the Pan Yellow Sea Economic Zone, East Sea Rim Economic Zone and Korea-Japan Straits Economic Zone, which are three local economic zon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First of all, while the transnational cooperations are at the most advanced level with OEAED as the center in the Pan Yellow Sea Economic Zone, it has been found that naissance of the epistemic community as the track II led by the region is needed for advancement of the level of cooperation. Secondary,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ity networks focusing on the GTI (Greater Tumen Initiatives) in the East Sea Rim Economic Zone has shown that there have been lively activities of the epistemic community from the past, and currently there has been a big contribution of the epistemic community as a critical factor giving an impetus to the transnational cooperations. Lastly, the role of the epistemic community has also been leading the transnational cooperations in the Korea-Japan Straits Economic Zone. In Summary, the transnational cooperation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depend on how to secure the legitimacy by attracting the central governments and to institutionalize by breaking from the market dependency, and it can be said that the success or failure depends on the level of the system and symbolic reproduction utilizing the epistemic community. For the system and symbolic reproduction, unlimited imagination, formation of discussions and expanded reproduction for the transnational cooperations are required first. This study reenacts the entities surround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knowledges relating to the Northeast Asian region by visualizing as a cognitive map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networks for the new regionalism. Even though this study may be a review at the level of contemporary opinion, there is meaningfulness as it has investigated by empirical testing that the researches in association with the new regionalism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still has a tendency of the first generation regionalism, that even the researches in association with the new regionalism stay around theoretical reviews or comparative researches with Europe, and more importantly, that researches on the new regionalism in the Northeast Asia are being carried over by the western countries rather than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While this kind of empirical research may have limitations in the subjects of research and languages, etc.,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the researches of the new regionalism as the new regionalism and study in the actual Northeast Asian region in the future by providing an undertone of the researches on the new regionalism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본 연구는 동북아 지역에서의 초국가(transnational)지역협력을 신지역주의(new regionalism) 관점에서 고찰한다. 신지역주의는 국가수준보다 더 하위수준에서 지방정부, 비정부기구, 다양한 활동가들이 주도해 지역 공동의 문제에 대한 협력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움직임이다. 1세대 지역주의가 1960년대부터 국가주도의 지역통합을 위한 노력이었다면 신지역주의는 1990년대 냉전의 종식과 함께 ‘다차원적이고, 다극체제이며, 아래로부터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는’ 2세대 지역주의로 개념화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한편으로는 환황해경제권(the Pan Yellow Sea Economic Zone), 환동해경제권(the East Sea Rim Economic Zone), 한일해협경제권(the Korea-Japan Straits Economic Zone) 등 동북아지역의 국지경제권에서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도시네트워크(city networks)를 통해 포착한 초국가지역협력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규명한다. 이 과정에서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y)의 역할에 주목해 도시네트워크와 인식공동체 간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SNA에 기반을 둔 신지역주의 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동북아 지역에서의 초국가지역협력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한다. 본 연구는 통시적(diachronic) 관점에서 전통 국제질서로서의 조공체제에 천착해 동북아 지역의 과거 네트워크 공간의 특성의 살피고 전통적인 유산을 통해 배양된 이 지역에서의 네트워크 공간 재현 방식을 분석했다. 이미 많은 학자들의 연구에서 드러났듯이 동북아 지역은 과거부터 정치적인 질서 외에도 경제와 문화 네트워크로서의 공간 구조를 형성해 왔다. 냉전기에도 동북아지역에서는 비국가행위자들 특히 인식공동체와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도시 간 협력이 움트고 있었고 탈냉전기 신지역주의로 재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이를 추동한 원동력은 ‘탈중앙, 탈국가, 균형발전’ 등의 요소였음을 규명했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동북아 지역의 3대 국지경제권인 환황해 경제권, 환동해 경제권, 한일해협권을 대상으로 슈미트 에그너(Schmitt Egner)의 지역 시스템 모델을 통해 도시네트워크를 통한 신지역주의 협력이 어느 정도 제도화로 이어질 수 있는지 분석했다. 먼저 환황해경제권에서는 OEAED를 중심으로 초국가지역협력이 가장 진전된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협력수준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지방이 주도하는 트랙Ⅱ로서의 인식공동체의 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동해 경제권은 GTI(Greater Tumen Initiatives)를 중심으로 도시네트워크를 포착해 분석한 결과 과거부터 인식공동체의 활동이 활발했고 현재에도 초국가지역협력을 추동하는 핵심요인으로 인식공동체의 기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일해협권의 경우도 인식공동체의 역할이 초국가지역협력을 사실상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동북아지역에서의 초국가지역협력은 어떻게 중앙정부를 끌어들여 정당성을 확보하고 시장의존성을 탈피해 제도화하느냐의 문제인데 그 성패는 인식공동체를 활용한 제도 및 상징적 재생산의 수준 여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제도와 상징적 재생산’을 위해서는 초국가지역협력에 대한 무한한 상상, 담론의 형성과 확대 재생산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동북아 지역과 관련된 지식의 생산과 유통을 둘러싼 실체를 신지역주의 연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인식 지도(cognitive map)’로 시각화해 재현한다. 본 연구는 시론차원의 검토이지만 여전히 동북아 지역에서의 신지역주의와 관련한 연구가 1세대 지역주의 경향을 띠는 점, 신지역주의와 관련한 연구라 하더라도 이론적인 검토나 유럽과의 비교연구에 머무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동북아 신지역주의 연구가 동북아 지역 국가들보다는 서구 국가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는 점을 실증 분석을 통해 규명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실증연구는 연구대상 언어 등에 있어 한계를 가지기도 하지만 동북아 지역에서의 신지역주의 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공함으로써 앞으로 현실로서의 동북아지역에서의 신지역주의와 학문으로서 신지역주의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 동북아 공동체 형성의 저해 요인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한, 중, 일, 3국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유창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0

        东北亚共同体形成的阻碍因素以及解决方案研究 -以韩,中,日三国意识差异为中心 喻暢 國際關係學科 韓國外國語大學校 进入21世纪以来,国际社会朝着共同市场,地域政治及经济共同体的方向迅速发 展。欧洲共同体和北美自由贸易区登上国际舞台也证明了区域政治,经济一体化 这个铁一般的事实。随着国际潮流,东北亚地区的经济合作越来越密切,尤其是 东北亚地区主要国家,即韩国,中国和日本3国,近年来,经济已经呈现相互依 赖和共存的态势。不仅如此,其他领域,如能源合作,环境保护,文化交流等领 域也取得了极大的成就。基于国际发展趋势以及韩,中,日3国的发展现况,东 北亚共同体的促进课题可以说是刻不容缓。但是由于东北亚地区的历史和冷战的 残留问题,以及冷战结束后产生的种种矛盾使东北亚共同体成为一种无法实现的 构想。 如上所述,东北亚共同体要由理想转化为现实的话,首先必须要找出阻碍东北亚 共同体形成的绊脚石,找出行之有效的方案。本论文先从思想意识方面,安全保 障方面和经济合作方面3大角度出发,综合概括了东北亚地区的问题和矛盾。然 后结合东北亚的现状以及借鉴和总结先行研究发现克服这些问题的关键则在于建 立东北亚共同思想体系,共同安全保障体系和共同经济体系。通过3大体系的发 展和统合达到清除路障,最终实现东北亚共同体的宏伟目标。 从思想意识方面来看,韩,中,日三国都有着悠久的历史和强烈的的民族意识和 国家主义精神。由于上个世纪的两次世界大战,韩日,中韩的战后历史清算问题 以及近年来的“历史教科书”事件和韩,中, 日之间的“文化战争” 成为东北亚地 区矛盾激化的最重要的原因,正因如此,3国国民之间出现了相互排斥的现象, 排他民族主义情绪高涨。美国提出的中国威胁论,在全世界掀起轩然大波,因此 作为中国邻国的韩国和日本,对中国更加持有不信态度。3国之间互存芥蒂之 心,相互不信使得东北亚共同体停滞不前。 要促进合作和交流,首先要解决的思想意识问题。要消除长久以来的思想隔阂, 必须通过政府和民间的相互交流,对于过去的历史达成某种程度的共识。尤其在 教育方面,以事实为基础进行历史教育,除民族主义和国家主义教育外应该适当 的进行地域主义教育。对于所谓“中国威胁论”应该重新判断其正确性,现今中国 的发展现状根本不足以称霸。与此同时,各国更是应该看到中国作为负责任的大 国为世界和平所做出的努力。因此,为了促进东北亚地区的交流,我们必须建立 共同的思想体系,面对东北亚地区的军备竞争,各国应该积极的进行军事交流, 促进互访,建立军事上的彼此信赖。 冷战虽然结束但是东北亚地区冷战的残留依然存在并成为东北亚地区的不安因 素。韩半岛的统一问题,中国和台湾的两岸问题。不仅如此,韩,中,日的领土 问题也没有得到解决,韩日独岛问题,中日钓鱼岛问题一再使相互友好外交关系 冰冻化。朝鲜的核问题已经成为整个亚洲乃至全世界的不稳定因素。诸如此类, 在全世界倡导和平发展的今天,东北亚地区仍然处于不安全状态之中,更谈何共 同合作。 当今社会,地域共同安全保障已经成为一种必然的趋势,东北亚的现实情况,更 是告诉我们,单凭一,两个国家的力量根本无法消除东北亚域内的不安因素,只 有东北亚国家彼此合作建立共同安全保障体系才有望解决东北亚地区复杂的不稳 定因素。 虽然东北亚经济合作一直呈现喜人的趋势,但3国的投资不平衡,发展不平衡, 经济结构上存在着很多问题。重复投资,重复建设也层出不穷。经济受政治因素 的影响极大,例如,2005年“日本教科书事件”发生后韩日两国都有抵制日货的现 象。因此,受国民思想和政治的影响,经济合作也并非一帆风顺。 近年来3国更是积极的推进FTA, 但是在农业和关税等敏感问题上一直未能达成 协议。因此要促进韩,中,日3国的FTA可以先促进交通,环境,能源等领域的 交流及合作来促使FTA的形成。东北亚经济共同体的发展过程可以分为3个阶段 即各部门间的合作与统合作为近期目标,建立FTA作为中期目标,3国的经济合 作结构调整作为长期目标。 综上所述,东北亚地区的问题和矛盾,不仅导致了东北亚地区政局的不稳定而且 阻碍了3国本身的经济发展,因此无论是从本国自身的发展,还是从区域合作的 角度来看,3国政府和人民都应该积极的解决这些问题。建立东北亚共同体的道 路是曲折的,前途却是一片光明,通过3国政府部门和国民的不懈努力,定可实 现这一宏伟蓝图。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the whole world towards a tendency of common market and a direction of developing regional political and economic community .Appearance of the European Community and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rea have also proved that the climate of regional community in the international stage. As the international trend, in recent years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particularly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ree countries has built a interdependent cooperation and coexistence ship in the economic area. Moreover, in other areas such us energy cooper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cultural communication have also made great achievements. Because of international trends, as well as the high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showed us a request of building the Northeast Asia Community. But Northeast Asia Community concept can not be achieved due to the remnants of the World War and the cold war as well as the new problems which appeared following the post- cold war in Northeast areas. As noted above, if we want to realize the Northeast Asia Community from dream to reality, firstly, we must identifying the barriers of building Northeast Asia Community and find out effective solutions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paper has summarized the barriers of the Northeast Asia Community form three major fields which are ideology, security and economic cooperation area. Learning form the other scholars study and combining with the situation of Northeast Asia we must establish a common ideology, common security systems and common economic syst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ontradic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these three major systems, we can remove roadblocks and eventually achieve the great goal of realizing the Northeast Asia Community.

      • 국제기구 비구속적 규범 제도화와 전문가 집단의 동학 연구: 인식공동체론을 넘어

        박소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2

        이전까지의 국제 규범은 제도화되는 것이 바람직한 최종 형태로 간주했다. 이는 상위 권위체가 없는 국제 사회에서 규범의 효과적 이행에는 ‘법적 구속력’이 필수적으로 간주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구속적 형태의 규범들이 증가하고 또 선호되면서 국제 규범 형태, 특히 비구속적 규범 운영의 결정에 있어 어떠한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세계지질공원과 세계기록유산 규범의 확립 과정과 각 단계에서 미치는 주체들이 미치는 영향과 선택을 다층적으로 비교•분석하고 검증하는 해석적 과정 추적법을 통해 규범 운영형태가 어떻게 비구속적으로 결정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규범 형태의 결정은 전문가 집단의 기능적 역량에 따른 상징 지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에 따른 선택의 결과가 비구속적 규범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규범 구조 내의 지배력의 변동에 관해서는 사회구성이론을 바탕으로 한 지식사회학 그중에서도 장 이론을 통하여 각 규범 내의 주체들이 보유하는 자본에 의해 어떻게 상징 지위가 결정되고 이에 맞는 전략적 선택을 통하여 구조를 재창출하여 규범 이행을 달성하는지에 대해 그 과정을 설명한다. 세계지질공원의 경우 자연유산 사업의 특성상 연성법적으로 이미 많이 운용됐으나 이행률의 문제가 존재했다. 이에 세계지질공원의 전신인 세계지질공원네트워크의 특징을 살리게 되어 전문가 집단의 기능적 역량이 높고 이에 따른 규범 내에서의 상징 지위가 공고하여 지배 전략의 일환으로 경쟁 주체인 국가변수의 약화를 도모한다. 이에 따라 강화된 모니터링을 통해 엄격한 규제와 전문가 집단에 의한 검사가 이루어지고 참여 주체를 다변화하여 개별국가의 상징 지위를 낮추고 지방단체 등으로 자본이 분산되도록 유도하여 지배적인 위치를 공고히 한 비구속적 규범 형태의 구조를 재창출할 수 있었다. 반면 세계기록유산의 경우 전통적으로 제도화를 통해 운영되어 온 문화사업이며 정치적 문제와 결부되는 경우가 많아 전문가 집단의 기능적 역량이 낮고 규범 내 상징 지위가 비교적 높지 않았다. 때문에 제도화를 할 경우 개별국가와 지위를 경쟁하는 상태거나 전복될 수 있는 장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제도화보다는 현 구조와 지위를 유지하여 재창출하고자 도모하는 의미에서 제도화를 포기하고 비구속적 규범 운영을 결정하게 된다. 두 사례는 각기 다른 환경을 배경으로 하기 때문에 전문가 집단의 기능적 역량의 차이에 의해 각각의 장 내에서의 상징 지위가 다르며, 이에 따른 대응 전략 또한 다르지만 이러한 전문가 집단의 선택이 해당 규범의 비구속적 규범 운영형태 결정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침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심화하는 세계화에 따른 전문가 의존성이 강화되는 현실에서 기존의 국가 위주의 시각과 달리 전문가 집단을 주요 변수로 살펴보았다는 의의와 함께 규범의 이행률을 높이는 데에 제도화 외에도 규범의 다양한 형태 적용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final destination which every international norms should target was believed to be institutionalization. This is because 'legal binding' power is considered essential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norms in an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the absence of higher authority. However, as non-restrictive forms of norms began to show its increase, the question of which factors influence this non-restrictive norm operation. This study covers how the form of normative operation is determined through analytical process tracking method that compares and verifi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norms of Global Geoparks and Memory of the World.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decision of the form of norm is determined by the symbolic status established according to functional capabilities of the expert group. Based on the theory of epistemic community stipu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t Group and Bourdieu’s field theory a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hierarchically stratified structure of the ‘norm’ field,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dynamics of Expert Group strategically coping with their resources leads to a form of non-legally binding norms with the two cases from UNESCO heritage norms which has very distinctive nature.

      •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연구 : 한국형전투기 개발사업(KF-X)을 중심으로

        전종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0

        As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is an issue closely related not only to strengthening of military might but also growth and development of domestic defense industry, policy making of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is crucially important in terms of the countries’ security and industrial/economic interest. Especially, the policy making for the acquisition of a large military weapon system over 500 billion KRW is a national-level decision requiring rational choices and successful execution, as a tremendous amount of national budget is invested and the program will secure core assets of national security. This research deals with a policy making process for the Korean Fighter Experimental(KF-X), the biggest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program with investment of 18 trillion KRW, which is conducted in order to furnish future tactical air operations execution capability through replacing ROKAF’s obsolete fighter jets from military perspective, and to foster domestic aviation industry and generate additional economic value through acquiring cutting-edge technology from industrial/economic perspective. This research studies into policy processes from raising requirement to decisions for system development with a perspective centered on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between policy actors through cross sectional and vertical analysis o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KF-X program, of which system development has been decided to start in 2014 during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fter continued disputes since former President Kim Dae-jung’s declaration to internally develop a domestic fighter jet. With a basic analysis framework of policy network theory, agents of interactions between policy actors are analyzed from a perspective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Furthermor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t research groups, who are important actors of KF-X program policy making by applying epistemic communities. Through these, impacts of policy environment, policy actors, policy ideas, and interactions between policy actors on policy making process fo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and policy outputs as a result of the impact are confirmed. This study illuminates the next research questions under the premise that the policy making of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is experiencing changes in the extension of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openness. Here are some examples of the changes. First, does the model of military-industry complex and the Iron Triangle have exactness for explaining policy making process pe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programs? Second, why did KF-X program stay in the pool of policies experiencing disputes over fourteen years, though the president’s public announcement and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indexe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KF-X had been started within the “Iron Triangle” model at first, the program turned into a “policy community” due to participation from expert research groups conducting feasibility analysis of program promotion at the phase of exploratory development, and later on appeared as an “Issue Network” model as various actors including academia, mess media, and the netizens participated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In other words, explanation for KF-X program’s policy making process has exactness when an open network model is applied instead of a closed network model. This confirmed policy making pe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contrary to general image, is not a hierarchical top-down management style, but is influenced by interactions of network formed by various actors participating in policy making. Second, actors participating in policy making had cooperative and conflicting interactions through sharing and competing over policy ideas, and the difference in policy ideas suggested by the expert group intensified and strengthened the conflicts between government actors. Hence, the actors’ discussion activities gradually became more complex and developed into an acute competition, and this became the main agent costing a long period of time, along with policy network transitioning to be open, for policy making.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in order for program feasibility analysis by research institutions, expert epistemic communities fo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to secure credibility and perform positive roles for selecting rational acquisition methods: First, rather than entrusting program feasibility analysis to a single research institution, establish and operate a joint research team participated by experts from multiple institutions for each field. Second, there is a need to enhance the citizens’ trust and sympathy regarding policy making by arranging regular briefing sessions for relevant government departments,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ublic media at each certain point while program feasibility analysis is conducted. This research is the first study to analyze KF-X program as a case of policy making process pe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of a policy-level, by applying policy network and discursive institutionalism. Therefore, the research can be applied usefully for future studies on policies per military weapon system acquisition and other cases of polici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무기체계획득은 군(軍)의 전력 증강은 물론 국내방위산업 육성·발전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안으로 그에 대한 정책결정은 국가안보와 산업·경제적 국익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5,000억원 이상의 대형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은 막대한 국가예산이 투입되며 국가 안보의 핵심 전력을 확보하는 사업인 만큼 합리적인 선택과 성공적인 집행이 요구되는 국가적 차원의 결정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창군이래 단일 무기체계획득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인 18조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하여, 군사적으로는 공군의 노후 전투기 교체를 통한 미래 전술적 항공작전 수행능력을 구비하고, 산업·경제적으로는 첨단 기술력 확보를 통해 국내 항공산업 육성 및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추진되는 한국형전투기 개발사업(KF-X: Korean Fighter eXperimental)의 정책결정과정을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02년 김대중 대통령의 국산 전투기 국내개발 선언이후 논란이 지속되다 지난 2014년 박근혜 정부에 이르러 체계개발 착수가 결정된 KF-X 사업의 정책결정과정을 횡단면적·종단면적으로 분석하여 정책행위자와 그들 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중심으로 소요제기부터 체계개발 결정까지의 정책과정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정책네트워크 이론(policy network theory)을 기본 분석틀로 하고 담론제도주의(discursive institutionalism) 관점에서 정책행위자 간 상호작용의 동인을 분석한다. 아울러, 인식공동체(epistemic communities) 이론을 적용하여 KF-X 사업 정책결정의 중요 행위자인 전문가 연구집단의 역할과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에 있어 정책환경, 정책행위자, 정책아이디어, 정책행위자 간 상호작용이 정책결정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고 그 결과 어떠한 정책산출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 이 연구는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이 다른 정책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치·경제·사회·문화적 개방성의 확대에 따라 변화를 겪고 있음을 전제로 다음의 연구문제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 군산복합체(military-industry complex)와 철의 삼각(iron triangle) 모형은 우리나라의 무기체계획득사업에 관한 정책결정과정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 적실성을 가지는가? 둘째, KF-X 사업이 대통령의 공표와 안보전략 및 기술적·과학적 지표가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4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논란을 겪으며 정책의 장에 머무른 이유가 무엇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F-X의 연구개발은 최초 폐쇄적인‘철의 삼각’ 모형을 따랐으나, 탐색개발 착수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사업 추진의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는 전문성을 보유한 전문가 연구집단이 참여하여 ‘정책공동체’가 되었고, 이후 학계·언론·네티즌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정책과정에 참여하면서 ‘이슈네트워크’모형으로 나타났다. 즉, KF-X 사업의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설명은 폐쇄적인 네트워크 모형이 아닌 개방적 네트워크 모형을 적용할 때 적실성을 가진다. 이는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은 일반적인 이미지와 달리 위계적 상의하달식(top-down)이 아니라,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행위자와 그들이 형성한 네트워크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정책과정에 참여한 행위자들은 정책아이디어(policy ideas)의 소통과 경쟁을 통해 상호 협력과 대립의 상호작용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전문가 집단이 제시한 정책아이디어의 차이는 정부행위자 간 아이디어의 대립을 심화·강화시켰다. 이에 행위자들의 담론활동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첨예한 경쟁의 양상으로 전개되었으며, 이는 정책네트워크의 개방형으로의 변화와 함께 정책결정에 오랜 기간이 소요된 주요 동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정책네트워크 이론을 기본 분석 틀로 담론제도주의를 접목한 방법론이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과정에서 행위자들의 전략과 행동의 동인과 그에 따른 상호작용 및 관계구조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이론적 유용성과 적실성을 가짐을 보여 주었다. 정책제언으로 무기체계획득사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공동체인 연구기관의 사업타당성 조사가 신뢰도를 확보하고 합리적인 획득방법을 선정하는 데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첫째, 사업타당성 조사를 단일 연구기관에 일임하기 보다는 각 분야별로 다수 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합동연구팀을 구성·운영하고, 둘째, 사업타당성 조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일정한 시점마다 정부 해당부처 및 국회, 언론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설명회의 자리를 마련하여 정책결정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공감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KF-X 사업을 사례로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결정과정을 정책네트워크와 담론제도주의를 적용하여 정책학 차원의 이론적 분석틀을 통해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서 앞으로 무기체계획득에 관한 정책 및 그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정책사례 연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일반계 고등학교의 STEAM R&E 활성화 방안 탐색

        이명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19

        최근 기후변화, 플라스틱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한 공기와 수질의 오염 심화, Covid 19 바이러스의 급속한 확산 등 전 세계의 시민들이 함께 지혜를 모아 헤쳐 나가야 할 현안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교육 측면에서 학생 주도적인 학습, 실생활에서의 문제해결 학습, 과학뿐만 수학, 기술, 공학 등의 융합적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학습 활동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교육 요구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대상 STEAM R&E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창의 체험 과학 동아리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와 과학 학습 동기의 변화, 행위 주체성의 변화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STEAM R&E 교육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과 개발된 모델을 일반계 고등학교 창의 체험 과학 동아리에 적용하는 과정으로 나누어 연구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STEAM 교육과 R&E 교육 방안의 모델의 장단점을 검토하여 창의 융합을 기반 요소와 전문가 협력 요소를 조합하여 일반 고교용 STEAM R&E 교육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 과정을 수행하고, 다음으로 이 모델을 부산 시내 J고등학교 창의 체험 과학 동아리에 적용하여 모델의 유용성 검증해보고 이 모델 적용의 효과와 한계를 알아보았다. 개발한 모델 적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가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과학 학습에 대한 태도 검사로 김효남(1998)이 개발한 검사지를 활용하였으며, 검사지의 신뢰도는 0.960이었다.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는 Anderman과 Young(1994)이 개발한 검사지를 활용하였으며, 검사지의 신뢰도는 0.907이다. 질적 연구로는 과학 담당 교사의 면담을 수행하였으며, 면담 내용을 전사한 뒤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형 분석은 양적 분석을 위해 사용한 태도 검사지의 각 하위 요소와 면담 내용을 연계하여 유사한 것끼리 유형 분류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 연구 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하여 Z모수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의 STEAM R&E 모델 설계는 창의 체험 과학 동아리를 이용하여 5명 단위의 모둠으로 운영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전문가 협력을 위한 교육 지원단을 교육청 주체로 지역 연구소나 대학의 전문 인력, 대학생 멘토를 이용하여 구성해야 한다. 이와 함께 일반계 고등학교에 과학 수석교사제를 도입하거나 과학 전담 교사를 두는 것이 효율적이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 STEAM R&E 교육의 창의 융합 교육 내용에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시대적 사명과 윤리적 가치 경영이라는 ESG 등과 같은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내용으로 설계를 해야 하며 융합 교육이 과학에만 치중하지 않도록 주변의 문제를 해결하는 인문, 예술적인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STEAM R&E 교육의 실행모델은 교사 중심 단계, 연구자 중심 단계, 학생 주체 단계로 나누되 이를 계획단계, 기초실행단계, 응용실행단계, 주제해결단계, 평가단계, 종료단계 등의 6단계로 구성하였다. 계획단계는 지도 교사가 STEAM 교육의 내용을 구상하고 동아리 구성과 활동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고, 기초실행단계는 교사가 학생들의 주제 선정에 조력자 역할을 하고 주제 강의와 토론을 진행하는 단계이고, 응용실행단계에서는 연구자가 전문가 협력 수업을 하는 단계로 교사가 학생과 전문가의 소통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단계이다. 주제해결단계는 전문가와 학생이 협력을 통하여 실제 실험 활동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단계이다. 평가 단계는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주제에 대한 결과물을 산출하는 단계이며 종료 단계는 학생들이 해결한 문제를 정리하고 보고서를 만들고 지도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실험의 의의와 보완점을 살펴보는 단계이다. 넷째, 일반계 고등학교 STEAM R&E 교육의 모델을 일반계 고등학교 창의 체험 과학 동아리에 적용하여 실행하였다. 지역의 전문가 집단을 방문하고 실제 실험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모델의 효용성에 대한 검증을 한 결과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통해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다섯째, 과학 관련 태도에 관한 양적 분석에서 과학 인식의 사전 사후 분석에서는 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과학 인식에서 사전보다 사후의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과학 흥미에 대한 사전 사후 분석에는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 학습의 흥미, 과학과 관련된 활동에 대한 흥미,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흥미, 과학 흥미에서 모두 사전보다 사후의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과학적 태도에 대한 사전 사후 분석의 결과 호기심, 개방성, 비판성,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 창의성 등이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여섯째, 과학 학습 동기에 대한 양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과학에 대한 심층적 전략, 과학에 대한 자아 개념 능력, 과학에 대한 가치, 과학에 대한 기대, 과학에 대한 능력 중심 목표 지향, 과학에 대한 학습 중심 목표 지향 등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나 과학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과학에 대한 피상적 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질적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는데, R&E 특강 후에는 전문가와의 만남에서 행위 주체성의 변화가 확인되었고, R&E 체험활동 후에는 과학 진로를 위한 자기 주도적 행위가 향상되었으며, 좌광천 수질 오염 실험 후에는 주변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고 자신의 노력과 제도 개선 등의 사회 공동체 인식이 향상되었다.

      • 한국인의 기업시민성 개념의 특징과 경제 교육적 함의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언론매체 및 기업신년사 분석

        양선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19

        경제원론적 지식이 아닌 현실 경제를 교실수업과정에 어떻게 도입할 것인가의 문제는 경제교육학의 오래된 과제 중 하나이다. 그렇다고 시장에 나타나는 잡다하고 단기적인 경제 현상들을 모두 수업에 가져올 수는 없다. 여기에서 우리는 가르쳐야 할 가치가 있는 현실 경제 개념을 발견하고 내용을 선정할 필요가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할 가치가 있는 현실 경제를 ‘동시대적 경제의제’(contemporary economic agenda)로 명명하고, 이를 사회적·경제적 흐름에 부합하며 이론적·실천적으로 지속성과 확장성을 가진 경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동시대적 경제의제로서 ‘기업시민성’(CC:Corporate Citizenship) 개념에 주목하고, 이를 경제교육 내용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선행해야 하는 탐색연구로 진행하였다. 우선‘기업시민성’개념이 수업할 가치가 있는 ‘동시대적 경제의제’인지, 우리 사회와 기업들이 인식하고 있는‘기업시민성’개념의 특성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어떤 경제 교육적 함의를 찾을 수 있는지가 주요 탐색과제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탐색을 통해 기업시민성 개념을 경영 전략적 필요-사회 윤리적 정당성-창조적 자본주의 등 세 가지 관점에서 현재 사회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논의를 정리하였다. 또한 연구문제에 대한 본격적 탐색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1990~2017년 상반기까지 언론과 기업인들의 신년사에 나타난 기업시민성 개념을 분석하였다. 언론은 사회적 담론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기업시민성의 사회적 담론의 현주소를 파악하기 위한 텍스트로, 신년사는 기업인들의 기업시민성 인식을 분석하는 주요 텍스트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분석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언론의 경우 보수적 성향의 매체는 ‘사회공헌’과 같은 경영 전략적 측면을, 진보적 성향의 매체는 기업의 사회 윤리적 정당성의 측면을 주목했다. 둘째, 언론과 기업인 모두 시간이 흐름에 따라 기업시민성 어젠더를 점점 더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개념의 지속성과 확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기업과 경제단체들은 시대에 따라 사회적·정치적으로 기업에 요구되는 어젠더를 중심으로 기업시민성 관련 개념을 구성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 기업시민성은 실천적이고 논쟁적인 동시에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 어젠더라는 점이 분석에서 드러났다. 이 같은 역동적 개념은 현재의 경제수업처럼 단정적이며 고정된 교과서적 경제 개념을 교육하는 방식으로는 가르치기 힘들다. 즉 새로운 경제수업의 방식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문제제기와 지식교육을 결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업 방안을 제안했다. 특히 경제교육방식으로 최근 제시된 ‘실천과 탐구의 인식공동체’로서의 교실, 그리고 학생들도 지식의 주체적 탐구자로 참여하는 지식의 공동구성수업 방식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기업시민성’이라는 한 개념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을 탐구하고, 개념 탐색과정에 경제뿐 아니라 일반사회, 역사, 법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동시에 학습하면서 한 개념을 둘러싼 학제적 수업과 함께 모든 개념들이 연결되어 있는 사회구조를 함께 학습하는 방법은 탈현대사회의 수업방식으로 고려해볼 과제이다. 주요어 : 기업시민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 동시대적 경제의제, 실천과 탐구의 인식공동체, 빅데이터 학 번 : 2004-3049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