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의 <피아노 소나타 제3번 가단조 작품번호28>에 관한 분석 연구

        이윤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7

        세르게이 프로코피에프(1891∼1953)는 20세기 러시아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 중의 한 사람이다. 1891년 우크라이나 지방에서 태어난 그는, 줄곧 러시아에 거주하였으며, 1917년에 발생한 혁명으로 인해, 1918년에는 미국으로 망명을 하였다. 1922년에는 파리로 건너가 음악활동을 하였고, 1936년, 다시 고국으로 영구적 복귀를 하였다.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과, 음악에 있어서 다양한 음악사조가 공존하는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음악양식을 구축하였으며, 또한 고전적인 요소와 혁신적인 기법을 결합시킨 신고전주의자로서, 20세기 음악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음악은 고전적, 혁신적, 동력적, 서정적, 괴기적인 경향이 있었으며, 선율, 화성, 리듬에 있어,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어법을 형성하였고, 이러한 특징이 그가 40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에 잘 나타나 있다. 그 외에도 그는 많은 작품을 썼는데, 교향곡, 오페라, 칸타타, 실내악곡, 협주곡, 영화음악, 가곡, 피아노곡 등 여러장르의 다양한 음악이 오늘날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 서술한 음악적 특징이 잘 드러난 <피아노 소나타 제3번 가단조 작품번호28>의 분석연구를 위하여, 먼저, 20세기 러시아 음악 및 그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을 살펴 보았고, 작품에 있어서 형식, 선율, 화성, 리듬, 다이나믹의 구조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형식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의 전통적인 소나타 구성원리를 보이고 있으며, 고전주의 다악장 소나타 수법에서 벗어난 단악장 형식을 도입하였다. 선율은, 반음계적, 온음계적 선율이 대조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전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윤곽선을 갖는 서정적인 선율이 주로 쓰이고 있다. 화성은, 18세기 3화음 구조에 부가음을 이용하거나, 7.9.11화음, 변화화음, 반음계적 화성진행이 곡의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종지도 Ⅰ-Ⅳ-Ⅴ-Ⅰ의 화성진행으로 전통적 형태를 띠고 있으며, 관계조가 아닌 원근조로의 조옮김으로, 비교적 자유스러운 진행을 하고 있다. 리듬은, 18세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였던 규칙적인 리듬과, 리듬의 반복, 오스티나토, 알베르티 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역동성 강조를 위해서 교차리듬, 당김음, 강박의 변화 등을 적절히 이용하였다. 다이나믹은, ppp 의 극소화된 음량에서 fff 의 극대화까지 이르는 대조적인 다이나믹을 사용하였다. Sergey Prokofiev (1891∼1953)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osers of 20th Century Russia. Born in the Ukraine, in 1891, he exiled to USA in 1917 due to revolution. In 1922, he moved to France, and later returned to his homeland in 1936. During various raging musical trends, and revolutionary periods, maintaining his unique style, he contributed a great deal to 20th music history as a neo-classic artist. He combined classic elements and innovative techniques to his works. There are classic, innovative, lyric, motor, and grotesque characters in his music. He shaped his own character in melody, harmony, and rhythm. It had been reflected in various piano sonatas written over 40 years. He composed a variety of music, such as symphony, opera, cantata, chamber music, concerto, film music, lied, and piano music, etc. And, they exist up to now. This paper, with emphasis on the <Piano Sonata No.3 in A minor Op.28>, which well reflects the characters described above, will review the 20th Russia music, his life, and the characters of his works, namely, form, melody, harmony, rhythm, and dynamic etc. Proketiev used traditional sonata composition methods in his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stages and, used single movement distant from classic multi movement composition. The chromatic scale and the diatonic scale were used in contrast. And lyric melody, which was classic and smooth, was used also. He used the 18th trifle chords with additional sounds. Also, 7.9.11 harmony, modulation, a chromatic scale, and harmony and voice leading, were apparent in all parts of his music. The ending parts also have traditional Ⅰ-Ⅳ-Ⅴ-Ⅰ type as a harmony progression, and transposition is not the key relationship, but distant keys as relative free progression. He used the regular rhythm of the ordinary 18th tradition, repetition of rhythm, ostinato, and alberti base. To stress dynamics, he properly used cross rhythm, syncopation, and change of strength. He used various dynamics from the minimum sound volume of ppp to the maximum of fff in contrast.

      • 대중매체를 통한 한국 근대사 교육의 실제와 효과 : 영화 ‘암살’을 활용한 수업 결과를 중심으로

        이윤정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다양한 대중매체를 통해 늘어난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학습에 대한 욕구로 끌어들여 학습의 효과를 키울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대중매체, 특히 역사 영화를 활용한 교육의 실제와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암살’이라는 영화 한 편을 선정하여 시간차를 두고 두 개의 단원을 설정하였다. 중학교 한국 근대사 관련 단원 중 국외 독립 운동 관련 단원과 광복 후 친일파 청산 문제 관련 단원을 설정하여 두 번에 걸쳐 영화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첫째, 교과서와 학습지로만 하는 수업보다는 역사 영화를 통해 하는 수업이 훨씬 더 집중이 잘 되고 학생들의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을 실행한 이후 역사 영화를 활용하여 수업하는 것에 대한 기대감이 더 높아진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 영화의 활용을 통해해 역사 콘텐츠에 관한 학생들의 흥미를 수업 속으로 끌어 들일 수 있다는 면에서 역사 영화 활용 수업의 긍정적인 면을 찾을 수 있었고, 영화를 활용함으로 인해 당시의 시대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당대를 살았던 인물들에 대한 공감도 더 깊이 있게 하도록 할 수 있었다. 둘째, 수업에 활용되는 역사 영화에서도 단순한 흥미만을 찾고자 하는 학생들과 역사 영화 속에서 사실과 허구를 구분해내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을 위해 학생들 스스로 영화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고 조사한 내용을 발표하며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영화 속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수업 후 충분한 피드백의 과정이 필요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주요어 : 대중매체, 한국 근대사 교육, 영화 ‘암살’, 국외 독립운동, 친일파 청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the effects of using mass media, in particular historical films, as a method to enhance the effects of learning by changing the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toward history from various media into motivation to study. The movie, ‘Assassination’, was chosen and two units were set at different times. Among Korean modern history in middle school curricula,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other countries and removing pro-Japan groups after the liberation were chosen, 2 classes were conducted using the movi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it confirmed that the lessons using history movies are much more focused and help students' interest more than the textbooks and workbooks. Also, after the class, it showed that the expectation regarding the class using the history movie was higher. Through the use of these historical films, positive aspects of using historical films in terms of attracting students' interests regarding historical content to the class were found. In addition, using a movie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in those days and created sympathy to the people who lived that era. Secondly, it revealed that there needs to be a process for students who want to find only the simple joy in movies and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distinguishing facts and fiction from historical movies whereby the students research information regarding the history in the movie by themselves and present their findings to share with other students. It confirmed that this process of inducing the effort to distinguish facts and fictions in the film is needed and there should be a feedback process after the class. Key words : mass media, Korean modern history education , the movie 'Assassinati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other countries, removing pro-Japan groups

      • 서울시 대기질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이윤정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가경제가 발전하고 환경에 대한 시민의식이 성장함에 따라 쾌적한 주거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욕구 또한 높아져왔다. 더불어 주택을 보는 관점도 달라져, 주택의 크기나 생활의 편리함을 가장 중요시하던 과거와는 달리 주택이 위치한 지역의 쾌적한 환경 또한 중요한 고려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민들이 가진 양호한 대기질에 대한 욕구가 주택 구매 시 주택가격에 반영되는지를 정량적으로 검증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헤도닉 가격 모형을 이용, 주택의 가격을 형성하는 다양한 요인 중 환경적 특성에 집중하여 대기의 질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여부와 그 크기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1년 4월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격과 25개 자치구의 도시대기측정소에서 측정된 대기오염도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시 대기질을 설명하는 대리변수로는 서울시 전체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중 그 비중이 가장 큰 일산화탄소와, 오존경보제의 실시로 시민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오염물질인 오존의 농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파트 표본은 25개 대기측정소 반경 500m 이내 100세대 이상의 아파트 단지에서 462개를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0.1ppm 상승하면 아파트 제곱미터당 매매가격은 약 359,300원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울시민들은 양호한 대기질을 제공하는 지역에 살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고 그것이 아파트 가격에 반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시민들이 오존경보제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아파트 가격에 부(-)의 영향을 줄 것이라 예상했던 오존의 농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파트의 공급면적은 가격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주택 구매 시 물리적 속성을 중요하게 여기던 과거와는 달리 환경적 특성인 대기의 질이 더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해당 지역의 대기오염도가 보다 정확하게 측정되고 공개되어야 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지역 대기 관리를 위해 자치구 정부에서 자체적으로 대기오염 배출원을 규제, 단속하는 정책이 수립 및 실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As the national economy develops and citizen awareness enhances, citizen’s desire regarding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has also been improving. Moreover, the point of view looking at housing becomes changed, so unlike the past that the size of house or convenience of life was focused on, pleasant environment of district where house is located, became an important consideration as well. This study has a purpose of proving quantitatively whether the desire regarding good air quality that the Seoul citizens have, reflects on housing price when purchasing houses. Accordingly, by using hedonic price model and focusing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factors that create housing price, the fact whether the quality of air influences on housing price and the size of it proved.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data on sale price of apartments in April, 2011, in Seoul and on the degree of air pollution that was measured in each city atmospheric monitoring station that is established in 25 districts. In terms of proxy variables that explain the air quality in Seoul, there are carbon monoxide which occupies greater amount in air pollutants that occur in the whole area of Seoul, and the measurement of ozone, which is the pollutant that the citizens are interested in, due to implementation of an ozone warning system. Also, 462 examples of apartments were extracted from apartment complexes which contain more than 100 households within 500m of radius from 25 city atmospheric monitoring stations. As an analysis result, if the level of carbon monoxide increases by 0.1ppm, it was shown that the sale price per square meter of apartment decreases by approximately 359,300Won. Therefore, the citizens of Seoul have the desire to live in the area that provides good air qual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reflects on the price of apartments. However, the measurement of ozone that was predicted to negatively affect sale price of apartment, with citizens responding sensitively on an ozone warning system, was shown not to affect significantly. Also, supplying area was shown not to influence on sale price of apartments, and therefore, the quality of air which is 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was shown to b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value, unlike the past time that considered physical property significantly when purchasing houses. Through such result of study, implication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air pollution for the relevant area more accurately and opening to the public, and, at the same time, that air pollution emission source should establish and perform regulation and enforcement policies in 25 district(Gu) governments autonomously for effective local air management, could be deducted.

      • Program Annotation : D. Buxtehude Toccata in F Major, BuxWV156 J. S. Bach Toccata, Adagio and Fugue in C Major, BWV564 M. Reger Sonata No.2 in d minor, Op.60 I. Improvisation L. Vierne Symphony No.3 in f# minor, Op.28 I. Allegro maestoso, IV. Adagio, V. Final G. Litaize Prelude and Dance Fugue

        이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the pieces Younjeong Lee performed at the Master’s degree graduation recital in Kim Young Ui Hall, Ewha Womans University, on the 30th of November, 2015. The recital program arranged five pieces in the order of time period, starting from the Baroque period and extending to the Romantic period and the modern period: Toccata in F Major, BuxWV156 by Dietrich Buxtehude, Toccata, Adagio and Fugue in C Major, BWV564 by Johann Sebastian Bach, the first movement Improvisation from Sonata No.2 in d minor, Op.60 by Max Reger, the first movement Allegro maestoso, the fourth movement Adagio, and the fifthe movement Final from Symphony No.3 in f# minor, Op.28 by Louis Vierne, Prelude and Dance Fugue by Gaston Litaize. Dietrich Buxtehude is a composer of the Baroque period and he was the representative composer in northern regions of Germany. His Toccata F major, BuxWV156 consists of five parts, contrasted with the improvisational toccata part of Stylus Phantasticus and the counterpoint fugal part. This piece is played at non-legato follwing the Baroque techniqe. The tone combination of toccata is basis of Organo Pleno, and add a Reed tone to emphasize the sound of the pedal. Also, in the fugue where mainly use light tones rather than toccata, it is combine with light tones of the flute series and string series. Toccata, Adagio and Fugue by Johann Sebastian Bach, consist of three different pace movement well described characteristices of Concerto grosso style of Italy. The 1st movement Toccata combines the colorful solo part performed on the hand and pedal keys, with the part be ritornello style. The 2nd movement Adagio is a typical instrumental Aria, which was influenced by a concerto form of Italy. The 3rd movement Fugue gives characteristics of toccata theme and Counter theme, a skip, same note, episod that gives a light and succinct rhythm. Mostly, this piece plays non-legato, but play it with the proper length considering the sound of the performance space. The 1st and 3rd movement can express the splendor of this piece by using a combination based on large pleno tone including mixture on the hand keys and Reed tone on the pedal, but select a more vivid and lively tone in 3rd movement. In the 2nd movement, soft flute-like tone is played as accompaniment part to make the solo tone stand out. The 1st movement from Sonata No.2 in d minor, Op.60 by Max Reger is a piece of splendid technique. Although composed in classical sonata form, the use of broad dynamics, frequent transcriptions, dissonant sound such as diminished chords and chromatic scale show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omantic era. When playing this piece, it is important to based on the legato technique and partially it is needed to play with overlegato, but the exaggerated tempo and dynamics are interpreted in relative terms rather than accepting as indicated in the sheet music, so that player should play with flexibility. The tone can be expressed step by step by combining the voices in various stages from the small sound of the flute timbre to the full sound of Tutti. Louis Vierne is well-known composer of the French symphonic school, wrote Symphony No.3 in f# minor, Op.28. This piece has five movement, and show the symphonic characteristics of late romantic period through circulatory structure, chormatic scale, dissonant sound and use of orchestral tone. Among those five movement, the 1st movement is a Sonata Allegro form, two motifs of theme appear repeatedly throughout the movement, with a chromatic progression. The 4th movement is a slow movement in ternary form, characterized by chromatic parallel motion. The last 5th movement is also sonata allegro form, but the fast motifs of the toccata character are used throughout the movement. The tone combination of each movement can be expressed step by step by combining the voices in various stages, and when adding a reed tone, it can express the natural Crescendo effect by adding a soft loud reed tone, followed by a stronger and thicker reed tone. Prelude and Dance Fugue by Gaston Litaize feature Neo-classical characteristics that combine various modern elements in classical form. In order to express the rhythm of light dance, it plays clearly distinction of Legato, Tenuto and staccato notation on the sheet music and plays with increasing tension as notes are added to the cluster. The tone combination follows the directions given by the composer. This thesis has explored each piece in looking at the life of the composer, its playing styles and finally its tone combination. This helps appreciate the development change of organ music. 본 논문은 2015년 11월 30일 김영의홀에서 이루어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전공 이윤정의 석사과정 졸업연주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이다. 연주회 프로그램은 작품의 작곡 시대에 따라 바로크, 낭만, 현대 순으로, 디트리히 북스테후데(Dietrich Buxtehude, 1637-1707)의 『토카타 F 장조, BuxWV156 (Toccata in F Major, BuxWV156)』,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토카타, 아다지오와 푸가 C 장조, BWV564 (Toccata, Adagio and Fugue in C Major, BWV564)』, 막스 레거(Max Reger, 1873-1916)의 『소나타 2번 d 단조, Op.60 (Sonata No.2 in d minor, Op.60)』중 1악장 즉흥곡(Improvisation), 루이 비에른(Louis Vierne, 1870-1937)의 『교향곡 3번 f# 단조, Op.28 (Symphony No.3 in f# minor, Op.28)』중 1악장 알레그로 마에스토소(Allegro maestoso), 4악장 아다지오(Adagio), 5악장 피날(Final), 그리고 가스통 리테즈(Gaston Litaize, 1909-1991)의 『프렐류드와 댄스 푸가 (Prelude and Dance Fugue)』 5곡으로 구성하였다. 북스테후데는 바로크 북독일 오르간 음악의 독보적인 위치에 있던 작곡가로, 『토카타 F 장조, BuxWV156』는 환상적 양식(Stylus Phantasticus)의 즉흥적인 토카타 부분과 대위법적인 푸가 부분이 대비를 이루는 5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 곡은 바로크 시대의 연주법에 따라 논레가토(Non legato)로 연주한다. 음색 조합은 토카타 부분에서는 오르가노 플레노(Organo Pleno)를 기본으로 하며, 페달(Pedal)의 화려한 음형을 강조하기 위해 리드(Reed) 음색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토카타보다 주로 가벼운 음색을 사용하는 푸가 부분에서는 플루트(Flute) 계열과 스트링(String) 계열의 가벼운 음색으로 조합한다. 바흐의『토카타, 아다지오와 푸가 C 장조, BWV564』는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구조로 이탈리아 콘체르토 그로소(Concerto grosso)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1악장 토카타는 손 건반과 페달 건반의 화려한 솔로(Solo)와 리토르넬로(Ritornello) 형식이 조화를 이루고. 2악장 아다지오는 전형적인 기악 아리아(Aria)로 이탈리아 협주곡 양식을 모방하였으며, 3악장 푸가는 토카타적 성격의 주제와 대주제, 도약과 반복음, 에피소드(Episode) 등이 간결하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이 곡은 논레가토 주법을 바탕으로 연주하되 연주 공간의 울림을 고려하여 적절한 음가의 길이로 연주한다. 1, 3악장에서는 손 건반에 믹스츄어(Mixture)가 포함된 큰 플레노 음색을 기본으로 하지만, 3악장에서 보다 선명하고 활기찬 음색을 선택하도록 한다. 2악장에서는 오른손의 솔로 선율이 돋보이도록 왼손의 반주 성부에 스트링 계열의 음색을 사용하여 연주한다. 레거의 『소나타 2번 d 단조, Op.60』 중 1악장 즉흥곡은 화려한 기교가 돋보이는 곡으로, 고전 소나타 형식으로 작곡되었지만 폭 넓은 다이나믹(Dynamic), 잦은 전조, 감7화성과 반음계의 사용은 낭만시대의 음악적 특징들을 잘 보여준다. 이 곡을 연주할 때 부분적으로 오버레가토(Overlegato)로 연주하기도 하며, 과장된 빠르기와 다이나믹은 악보에 표기된 대로 받아들기보다 상대적인 의미로 해석하여 유연하게 연주하도록 한다. 음색은 작은 소리부터 투티(Tutti)까지 여러 단계로 음색을 조합하여 단계별 셈여림을 표현할 수 있다. 프랑스 교향악 악파(Symphonic School)의 대표적인 작곡가 비에른의 『교향곡 3번 f# 단조, Op.28』은 5악장 구성으로, 순환형식을 통한 통일성, 반음계, 불협화음, 관현악적인 음색 사용 등을 통해 후기 낭만의 교향악적 특징을 보여준다. 그 중 소나타 알레그로(Sonata Allegro) 형식의 1악장은 반음계 진행과 함께 두 개의 주제 음형이 곡 전반에 반복되어 나타난다. 4악장은 3부분 형식의 느린 악장으로 반음계적 병진행이 특징이며, 마지막 5악장 역시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이지만 악장 전체에서 토카타적 성격의 빠른 음형이 사용된다. 음색은 단계별로 조합하여 셈여림을 표현하고, 리드 음색을 추가할 때는 부드러운 소리의 리드 음색부터 강하고 두꺼운 소리를 내는 리드 음색 순으로 추가하여 자연스러운 크레셴도(Crescendo)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리테즈의 『프렐류드와 댄스 푸가』는 고전 형식 안에서 다양한 현대적 요소들을 결합시킨 신고전주의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경쾌한 춤곡 리듬을 잘 표현하기 위해 레가토, 테누토(Tenuto), 스타카토(Staccato)의 구분이 명확하도록 연주하고, 클러스터(Cluster)에 음이 추가됨에 따라 고조되는 긴장감을 느끼며 연주한다. 음색조합은 악보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좋으며 다양한 뮤테이션(Mutation) 스톱과 리드 스톱(Stop)을 사용하여 곡의 색채감을 더할 수 있다. 이상으로 바로크, 낭만, 현대 시대에 걸친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각 시대별 작곡가의 생애와 작품, 그리고 연주법과 김영의홀 오르간을 바탕으로 연주에 적합한 음색조합에 관해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위의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에 대한 질적 연구 : 2018학년도 수능 수험생을 대상으로

        이윤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2018학년도에 처음 적용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에 대하여 수능을 치른 수험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경상북도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출신의 수험생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는 연구내용이나 주제와 관련된 단어를 코드로 사용하는 기술적 코딩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는 수능 전체로 볼 때 ‘학습부담 풍선효과’를 야기하였다. 수험생들은 영어영역에서 다른 사람과의 경쟁이나 상대적 서열이 아닌 수험생 개인의 성취 정도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는 점에 대해서는 굉장히 만족해하였다. 그러나 영어영역 절대평가의 도입은 대학으로 하여금 영어영역의 반영비율 축소를 불러일으켰고 이는 결과적으로 수험생들이 다른 과목에서 더 치열하게 경쟁을 하도록 만들었다. 둘째, 절대평가로 인한 대입에서의 영어영역 반영비율의 축소는 영어의 중요도 감소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수험생들은 영어 보다 타 과목을 우선으로 공부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수험생들은 영어 학습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고 모의고사에서 본인이 원하는 등급의 안정권을 유지할 경우 등급을 더 올리거나 1등급의 경우 점수를 더 올리려는 노력은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셋째, 연구에 참여한 수험생들의 출신 학교의 영어수업에서는 수업내용이나 방법에 있어서 절대평가로 인한 변화가 없었다. 학교 영어 교육에서는 여전히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기능의 고른 향상을 위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EBS연계교재 위주의 수업이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9등급 고정 분할 방식의 영어영역 절대평가는 상위권 수험생들에게는 불공정한 평가 방식이라는 인식이 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수험생들은 90점 초반대와 90점 후반대가 같은 등급을 받는 것은 불공정할 뿐만 아니라 상위권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저하시키는 원인이라고 이야기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절대평가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영역 절대평가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다른 과목의 절대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영역만의 절대평가는 ‘학습부담 풍선효과’를 유발하였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부에서 절대평가의 취지로 내세우는 학습 부담감 및 과열경쟁 감소가 영어영역 하나만으로는 절대 효과를 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공교육의 정상화는 수능의 평가방법이 아니라 평가내용의 변화를 통해서 추구하여야 한다. 대학의 서열화가 비교적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수능은 고부담시험이기 때문에 고등학교에서 부정적 환류효과를 유발하였다. 수험생들은 학교 영어수업에서 말하기와 쓰기 교육을 받고 싶어도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학교에서 수능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받기를 희망하였다. 따라서 대학입시를 위한 영어평가에서 말하기와 쓰기를 포함한다면 학교수업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핵심어: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수험생 인식 This study examines the test-takers’ perception on the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CRE) newly implemented in the English section of the 2018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For this study, 11 test-takers of the 2018 CSAT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and the data from them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coding which reiterates themes or issues that shows consistent or unique pattern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E of the CSAT English section brought about the balloon effect when it comes to students’ test preparation burden. The test-takers were satisfied that they acquired their English grades based on their actual abilities rather than on being compared with their peers as in the relative evaluation scheme. The introduction of the new evaluation system, however, led colleges to reduce weight of English test in college entrance exams, which made test-takers focus more on other key subjects such as Korean and math. Second, the absolute grading system for English section weakened its importance in the CSAT. Most of the participants mentioned that they had put their priority on other subjects in the course of preparation for the CSAT. Third, there were little change in English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in the schools that the interviewees graduated from. They reported that the change of the evaluation system has little to do with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which has been made public as the main goal of the chang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th,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nine level grading system of the CRE. In this new system, both a 90 percent score and a perfect score are regarded as the first grade, which makes examinees, especially ones in the high ranks, lack of motivation in studying English. Based on the above findings, som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the new evaluation system are made as follows. First, the CRE should be applied to all the sections of the CSAT. Depending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RE of the English section led students into more competition in even other subjects, which means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realize its goal─ reduction of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competition─only through the CRE of the English section. Second,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could be pursued only through the change of test contents, not through the evaluation system in the CSAT. Now that ordering of universities in Korea is relatively concrete, the CSAT have caused negative washback in secondary schools. Students are more eager to take English lessons that help acquire higher scores in CSAT although they recognize the need for speaking/writing courses.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school classes would follow into the desirable direction by including speaking/writing test in the CSAT.

      • 화조화(花鳥畵)를 이용한 학습지도 방안 연구 : 조선시대 화조화(花鳥畵)의 색채를 중심으로

        이윤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고대부터 오늘날 까지 형성된 ‘화조화(花鳥畵)’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화조화에 나타난 전통색을 미술교육에 색채수업의 유용(有用)한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 화조화는 유교적인 사상과 실학사상을 배경으로 다양한 변화를 이루었다. 기존의 수묵 위주의 제한된 회화에서 수묵과 채색의 혼용으로 전통색이 발현된 화조화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또한 조선시대의 화조화에서 소재와 색채는 상징과 염원을 가지고 있다. 전통색은 오늘날의 물리적 색채와는 다른 관념적인 의미의 전통색이다. 따라서 전통색을 현대적으로 시각화 시켜 전통회화의 색채지도를 구체적으로 구안하여 적용하는 연구의 내용이다. 조선시대의 화조화가 성립된 기원과 시대적 배경, 동아시아의 화조화의 변천과정, 고대부터 내려온 색채발전을 알아보고, 조선시대 화조화의 종류인 화조, 화훼, 영모, 초충의 작품을 통해 전통색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화조화의 예시작품에 쓰임새 및 표현활용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중학교 전통색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를 실행하였고, 결과물을 통해 학습자들의 전통색에 대한 흥미와 화조화에 쓰인 소재의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화조화에 나타난 색채 개념의 인지를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하여, 색의 대비를 통한 전통색의 심미성 추구하였다. 화조화 특유의 소재 상징성을 학생의 삶에 비유하여 학습내용과 학습자 삶의 연계성을 꾀하였다. 특히 화조화의 소재의 상징성과 색채는 오늘날 시각으로 창출할 수 있어 창의성을 높이는 데 교육적 가치가 있다. 즉 화조화 작품에 나타난 소재의 의미, 전통색채, 작가의 의미 전달을 인지하여 미적 통찰력과 표현력을 길러 교양인의 소양을 기른다. 따라서 화조화의 전통색채는 관념적이므로 전통색에 의미를 다른 나라에 알리기 위해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색채기호를 이용해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전통색채를 통해 문화 콘텍츠를 개발하는 등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 전통회화인 화조화에 나타난 색채는 학습자에게 전통색은 관념적 이지만 현대적인 시각에서 색으로 표현하여, 중학교 수업에서 전통회화의 접근을 통해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계승하며,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에게 미적 전통의 뿌리를 찾고, 전통 속의 나를 인정하여 민족 자긍심을 되찾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is research suggests traditional colors of hwajo-wha(flower and bird), which has appeared in various changes from ancient times until today, as very useful method for fine art education. Especially in Chosun dynasty, hwajo-wha had great changes based on Confucian and Practical ideas. Before this time, people only use ink-and-wash techniques but it linked to development of hwajo-wha, which mingles ink-and –wash with colors. The topics and colors of Chosun Dynastic hwajo-wha have own symbols and wishes. Traditional colors are physically not the same as colors of the present time, but ideal. So this study is about concrete planning of visualization of traditional colors through modern view to plan traditional paintings’ color palette to adapt. I researched the origins of hwajo-wha in Chosun Dynasty and historical background, East Asian hwajo-wha’s development and changes, color development from ancient pieces. It also includes necessity of traditional colors through 4 kinds of hwajo-wha works, which are hwajo, hwahwe(flowers), youngmo(animals), chochoong(insects). I analyzed uses and applications of the hwajo-wha illustrations in severl middle school fine art textbooks. I also took the survey of recognitions of traditional colors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learners’ interests in traditional colors and level of satisfaction of hwajo-wha’s contents through the survey results. In this study, I considered learners’ interest in explaining meanings of traditional colors in hwajo-wha and pursued the traditional beauty through color contrast. I also tried to connect learning contents to learners by comparing special symbolism to hwajo-wha into their real life. The symbolism of the contents and colors of hwajo-wha is highly educational today because it improves creativity by visually produced. So, when students study the meanings of objects in hwajo-wha and colors, painters’ intention, they can cultivate to train insight of beauty and expressiveness as a cultured person. Hwajo-wha’s traditional colors are ideal so we should use global color code and keep our own culture. They also can be the foundation for new ideas. Learners can create culture contents using traditional color, for example. The colors from the traditional drawing like hwajo-wha, are ideal. However, we should express it from visual art to real color with modernized viewpoint. An approach to traditional paintings in middle school art class would help us to understand and succeed. With these, the learners could find out the origins of traditional beauty and admit that they are part of traditional culture. Eventually they would get an opportunity to get the national pride back.

      • 지방여성 공무원의 조직지원이 직무만족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방여성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조직지원 수준이 직무만족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여성의 사회생활에 다양한 제약이 따르는 현실에서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조직지원은 근로자에게 업무 능률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사회적 지지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사회적 지지 정도를 파악하여 여성 근로자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고 그들의 업무능력과 업무성과를 높이는 연구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직장 내에서의 조직지원 정도에 따른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여성 근로자들의 안정적인 직무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은 광주·전남지역 관공서에서 근무하는 여성 공무원 27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에 대한 조사는 온라인 웹 사이트를 활용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통계에 부적합한 8명의 자료를 제외한 262명의 자료를 최종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일반적 특성, 직무관련특성, 조직지원,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를 조사하였다. 연구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21.0 V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사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 값은 조직지원 0.883, 직무만족은 0.843 그리고 직무스트레스 0.973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이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조직지원 수준도 높게 조사되었으며(p=0.000),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급 및 월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조직지원 수준도 유의하게 높아졌다(p=0.000). 2. 대상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p=0.004), 근무 기간이 길수록(p=0.000), 월 급여수준 및 직급이 높을수록(p=0.002) (p=0.000), 직무만족 수준도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p=0.000), 학력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은 유의하게 높아졌다(p=0.000). 4. 근무기간과 스트레스 수준은 유의한 역의 관련성이 있었으며(p=0.000), 현 부서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급 및 월 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00). 5. 조직지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보정한 후 직무만족과 조직지원의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조직지원이 직무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0.255, p=0.011), 조직지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조직지원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β=-0.160, p=0.006). 위의 결과에 의한 여성공무원의 업무능률과 관련된 조직지원은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특히 연령이 낮고, 근무경력이 짧고, 학력이 낮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조직에서는 정기적으로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사명감, 근무환경 및 업무내용에 대한 조직지원을 적극적으로 교육 홍보함으로써 이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는 낮추어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복잡하고 다변화되는 업무환경에서 직무스트레스는 개인이나 조직적인 측면에서의 다양한 접근과 효과적인 관리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직무스트레스는 건강, 대인관계, 업무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인적인 측면과 조직적인 측면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효율적인 스트레스관리를 위한 자연 친화적인 방법으로 안정성과 효과성이 검증된 SUKI 또는 EDT 대체의학 기법을 활용한다면 심신의 안정과 균형을 통하여 건강행동과 합리적인 사회행동으로 강화된 조직의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일부 지방여성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로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켜 해석하는 데에는 일정부분 제한이 있다. 따라서 단면연구로 진행되어 원인과 결과 관계를 정확하게 가정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지방여성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일부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변수를 다양하게 조사하는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혐오오류'에 관한 작품 제작 연구

        이윤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떤 대상을 극렬히 싫어하는 마음을 일컫는 혐오감은 개인의 경험으로 특정 대상을 싫어하는 것부터 여성 혐오, 아동 혐오, 난민 혐오와 같이 공동체 안에서 일어나는 혐오까지 개인의 마음속과 사회 안에서 끊임없는 스트레스를 발생시킨다. 본인은 오늘날 쉽게 목격할 수 있는 많은 혐오 행위를 보며 본인 또한 그로부터 자유롭지 않음을 깨닫고 사람은 왜 이런 마음을 가질 수밖에 없는지 알고자 하였다. 본인은 혐오대상과 감정 주체 사이의 관계를 좇아보고 개인의 경험과 외부 정보의 학습으로 형성된 ‘편견’이 어떻게 혐오감을 표출하는지 살펴보았다. 혐오의 주요한 관념인 편견은 상대의 몇 가지 요소로 그 가치를 미리 결정짓는 것을 말한다. 그 속에 감춰진 증오의 마음은 우리로 하여금 이성적 사고를 어렵게 만든다. 본인은 이처럼 편견이나 선입관에 기인한 잘못된 증오, 혐오를‘혐오오류’라 상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는 ‘인지오류’와 필연적 관계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하겠다. 본인은 혐오 대상이 가진 혐오 특징적 요소 중 ‘혐오오류’에 관련된 것을 작업의 모티브로 가져와 평면, 입체 설치 등의 시각예술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작품에서 감상자가 느낄 수 있는 혐오감 및 부정적인 정서와 작품이 표면적으로 지시하는 대상과의 불일치에서 오는 이질감을 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의 과정은 인간의 고유한 감정이 현대사회에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 시각 예술을 통해 관찰해보고 논의를 끌어내고자 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혐오는 누구나 느끼지만 누구에게나 표출되는 것은 아니다. 혐오감은 항상 약자에게 더 쉽게 표출된다. 본인은 작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쥐나 물고기, 비둘기, 곤충 등 사람보다 약한 도심 속의 소동물들을 작업의 요소로 가져왔다. 일상에서 쉽게 접하며 작지만 혐오감을 주곤 하는 생물로부터 모티브를 얻어 그들을 통해 우리를 비춰 보기를 기대하였다. 어떤 부분을 남기고 어떤 부분을 생략할지 고민하는 과정은 본인의 작업 방법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혐오 대상을 직접 제시하지 않고 재료의 표현으로 감정을 불러일으키려는 시도는 연상 작용을 이용해 평면작업에서 눈으로 만져지는 듯한 촉각적 혐오를 표현하였다. 여기서 연상 작용은 작업 요소를 감각 수용체로 받아들이며 기존 자신의 관념과 연결 짓는 것을 이야기한다. 또한 설치와 입체 작업에도 연상 작용을 이용하여 일부 감각 정보를 제한하고 상상력을 자극하여 감상자가 느끼는 혐오오류를 끌어내려 하였다. 본인이 공포나 혐오, 불안 등의 불쾌한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들은 직설적이지 않다. 본인의 이런 표현방법이 작품을 직접 만나는 경험을 하는 동시에 감상자 내면의 혐오감을 되돌아보고 훗날 공감과 공존의 가치를 논의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Hatred, which refers to the intense dislike of a certain subject, can range from dislike of a certain person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to hatred of specific groups within a community such as women, children, and refugees. Such negative emotions cause stress within individuals and across society. Many acts of hatred can be easily witnessed today, and this study explores why people hate based on a realization that the author too harbors such feelings. The autho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of hatred and the agent of emotions, and observes how “prejudice” formed from individual experiences and learning of outside information is expressed as hatred. Prejudice, a key idea related to hate, refers to having preconceived opinions based on a limited number of factors. The feelings of hate hidden in prejudice prevent rational thinking. The author defined “hate error” as wrongful hate stemming from prejudice or stereotype, and analyzed it in the context of its inevitable relationship with “cognitive error.” Among characteristic features found in subjects of hate, those related to “hate error” were employed as motifs, and expressed through visual art, including two- and three-dimensional installations. The work is intended to highlight how th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by viewers are in discordance with the superficially identified subjects. This is an attempt to observe the expression of human emotions in modern society through visual art, and to stimulate related discussions. Anyone can feel hate, but hate is not expressed to anyone. It is more easily expressed to weaker entities. Small animals weaker than humans such as rats, fish, pigeons, and insects were introduced in as elements in the works. Small creatures seen in daily life and often regarded as subjects of hate were employed as motif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The process of deciding what to leave behind and what to leave out takes up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works. Instead of directly presenting subjects of hate, materials were used to achieve association, and textural hate was expressed in the two-dimensional piece. Here, the association effect refers to the acceptance of artistic elements as sensory receptors to associate the work with one’s existing notions. The same effects was achieved in installation and three-dimensional pieces, inducing hate error in viewers by limiting certain sensory information and stimulating the imagination. The author’s means of expressing unpleasant emotions such as fear, hate, and anxiety are not straightforward. The author hopes for the works to allow viewers to reflect on their inner feelings of hatred, and to open discussions on the values of empathy and co-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