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에 의한 상부위장관 출혈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재출혈의 위험인자

        김진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목적: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주로 만성적인 상부위장관 출혈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때로 급성 출혈의 형태로도 나타날 수 있다.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법이 도입된 이후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해 졌지만 치료 이후에도 약 40% 이상의 재출혈이 발생한다고 알려져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에 의한 상부위장관 출혈에 대하여 내시경적 지혈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고 재출혈이 발생한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을 비교하여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에 의한 상부위장관 재출혈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상부위장관 출혈을 주소로 서울아산병원에 내원한 환자들 중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이 확인되어 내시경적 지혈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총 50명이었으며 재출혈이 발생한 25명과 재출혈이 없던 25명의 임상적 특성 및 내시경 소견을 비교하였으며 재출혈의 위험요인을 찾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독립적인 위험인자를 결정하였다. 결과: 총 50명의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63.0세였으며 남성은 30명(60%)로 확인되었고 Child-Pugh Class B, C의 간경화는 31명(62%), 만성콩팥병은 11명(22%), 악성 종양은 33명(66%)이었고 출혈 이전에 복부 방사선 조사 치료를 받았던 환자는 25명(50%)이었다. 점모양형(punctate type)이 41명(82%), 가로무늬형(striped type)에 9명(18%)으로 확인되었으며 6명(12%)의 환자에서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의 십이지장 침범이 확인되었다. 재출혈은 25명(50%)에서 관찰되었고 출혈이 없던 환자들과 비교해 만성콩팥병 동반 여부에서 차이를 보였다. 재출혈과 연관된 위험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만성콩팥병과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의 십이지장 침범이 다변량 분석에서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에 의한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의 재출혈의 위험요인으로 만성콩팥병과 십이지장 침범이 확인되었다. 위전정부 혈관확장증에 의한 출혈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게 위 두가지 요인의 동반 여부를 확인해 재출혈 발생 여부에 대한 면밀한 추적 관찰을 시행하는 것이 향후 치료와 예후에 도움이 될 것이다.

      • High prevalence of multiple strain coloniz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 Korean patients: DNA diversity among clinical isolates from gastric corpus, antrum and duodenum

        김정욱 중앙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17

        한국인의 Helicobacter pylori에서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인 지문술에 의한 다른 환자사이와 동일 환자 내의 집락양상을 관찰하고, cagA 와 vacA 유전자의 발현과 임상양상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상부소화기 내시경검사 및 생검으로 위장의 전정부 및 체부, 십이지장에서 각각 H. pylori의 일차 배양에 성공한 환자 40명(위궤양 7명, 십이지장궤양 21명, 위십이지장궤양 3명, 위염 9명)의 120개의 H. pylori 집락을 대상으로 하였다.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fingerfrinting (RAPD) 방법으로 H. pylori 균주의 동일성을 관찰하였으며 PCR을 이용하여 cagA, vacA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법에 기초한 RAPD법은 균주의 개별적인 유전자적 특성을 분별하는데 신뢰성이 있는 방법이며, 유전자 지문술은 H. pylori 균주의 다른 환자 사이와 동일 환자 내의 다양한 변종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 피검자의 32.5%인 13명에서 위장과 십이지장의 모든 생검 위치에서 유전학적 동질한 균주가 관찰되었고, 67.5%인 27명에서 서로 다른 균주가 관찰되었다. 위체부와 전정부에서 각각 전체피검자의 90%인 36개의 균주집락에서 cagA 양성이 관찰되었고, 십이지장에서는 82.5%인 33개의 균주집락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십이지장내 H. pylori 의 cagA 발현율은 만성위염환자에서 88.9%, 십이지장궤양 환자에서 85.7%로 차이가 없었다. vacA s1, vacA s1a 은 모든 H. pylori 집락에서 양성소견을 보였다. 한국인에서 H. pylori는 다양한 균주가 혼합되어 집락하고 있으며, 십이지장의 H. pylori는 만성위염과 십이지장 궤양 환자에 있어 cagA, vacA의 유전자형은 차이점이 없었다.

      • 보툴리눔 독소의 기니픽 위 전정부 윤상근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 생리학적인 연구

        박정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1982

        보툴리눔 독소의 기니픽 위 전정부 윤상근에 대한 기계적 및 전기 생리학적인 연구 Botulinum toxin type A(BTX-A)는 강력한 독성을 지닌 물질이나, 전신 부작용 없이 국소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근육경직(spastic disorder)을 특징으로 하는 여러 임상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BTX-A에 의한 근이완작용은 BTX-A가 신경말단에 작용하여 근육신경이음부로 acetylcholine(Ach)이 분비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인데, BTX-A는 Ach이 담겨있는 소포(vesicle)가 신경세포막에 융합될 때 이를 매개하는 단백질인 SNAP-25를 분해하여 Ach의 분비를 억제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고농도의 BTX-A에 평활근 조직을 장시간 배양하게 되면 신경 활성을 억제한 후에도 BTX-A농도에 비례하여 근수축력이 감소된다는 또 다른 기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농도의 BTX-A가 신경억제 작용과 함께 근육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지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가 실제 동물 실험에서도 나타나는지, 또한 시간에 따른 작용기전의 변화는 없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근육절편을 BTX-A 10U에 반응 시킨 후 전장자극, acetylcholine, 고농도 K+를 첨가하였을 때 근수축의 직접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생체 내 주입 및 희생 후 in vitro 연구에서도 BTX-A 주입 24 및 48시간 경과 후 고주파수의 전장자극에 근수축이 직접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았을 때 고농도의 BTX-A는 근수축의 직접억제 효과가 있으며 이런 효과는 적어도 48시간 동안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