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日本にぉける女性學の展開過程についての考察 : 日本の高等敎育機關にぉける女性學講座を中心として

        석향 동서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女性學이란, 1960년대말 미국에서 시작된 學問版(여성의 視點에서 본 學問의 재평가 運動), 第2波 페미니즘 運動에 관하 것이며, 女性學이란 단어는 미국의 大學敎育속에 설치된 Women's Studies의 譯語이다. 日本에서는 1960년대 후반이후, 女性解放運動(第二波 페미니즘)이 대두하여, 70년대 이후 Gender(gender:社會的·文化的인 性差·性差別)硏究·페미니즘論이 성행하게 되었으며, 80년대 이후 gender문제는 政策이나 敎育의 場에서도 중요한 테마가 되었다. 1985년 여성에 대한 差別撤廢條約이 국회에서 批准, 86년에 雇傭機會均等法이 功布된 직후부터 「여성의 시대」가 매스컴에 의해 宣傳되었다. 대학과 지역의 여성센터에 女性學講座가 開講되어, 페미니즘과 女性學에 대한 일반적 關心이 널리 퍼졌다. 80년대 이후 전국의 大學, 短期大學뿐만이 아니라 각 地方自治體의 社會敎育에 있어서도 女性學講座를 開設하는 예가 많아졌다. 行政과 敎育界의 움직임과 竝行하여 1980년대에 접어들면 各種學會에서도 점차 여성학의 필요성을 認知해 간다. 日本女性學硏究는 점차 蓄積되어 各 女性學硏究團體에 의한 刊行物도 차례차례 출판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른다. 이렇게 해서 1970년대 초반, 여성학이 시작된 당시에는 예상도 하지 못할 정도로 女性學은 成長을 이루었다. 90년대로 접어들면, 여성학에 「gender 硏究」라는 조금 다른 각도에서의 연구가 들어오는데, 이점을 特徵으로서 들 수 있겠다. 1980년대 말경부터 자신의 硏究領域을 「女性學」이 아니 「gender 연구」라고 이름을 밝히는 연구자가 늘어났다. 여기에는 女性의 生活이나 人生 또는 性差別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을 男女라는 gender에 二分하는 文化와 社會構造 秩序에 中心的인 關心을 둔다라는 觀點을 移動이 있다. 現在의 日本女性學에 있어서는 「女性」이라는 테두리로 묶는 일로 學問으로서 女性學이 周邊花되는 것에 대한 염려가 보여져 「女性」이라는 테두리에 의한 연구가 아닌 性差에 의한 權力關係의 分析을 연구하는 gender硏究의 有效性을 主張하는 論이 있다. 한편으로는 「女性」이라는 테두리를 제외하는 것이 결국, 性差別으로의 抵抗이나 異議 提起의 근거를 잃어버리는 것은 아닌가 라고 主張하는 論도 있다. 90년대 이후에는 이 양쪽이 竝存하고 있는 상황이다. 女性學의 學習은 졸업후 學生의 社會生活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미치지 않는 것인가, 여성학에서 획득한 意識變革 기존의 가치관에 대한 의문점은 그후에 어떻게 계속되는 것인지 되지 않는 것인지, 이 점은 女性學敎育을 「敎育」의 視點에서 생각할 경우 看過해서는 안될 문제이며, 앞으로 중요한 調査·硏究課題이다. 女性學關聯講座(科目)이 受講生에게 미치는 效果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評價를 주고 있다. 많은 조사자료에 의하면 학생은 女性學授業에 의해서 기존의 가치관이 흔들리고, 자신의 意識變革을 經驗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 결과 대다수는 「自己變革을 시도해 본다」라는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卒業論文 테마, 大學院硏究 테마로 여성학과 그 關聯 테마를 선택하게 된 수강생도 다수 볼 수 있다. 그러나 역으로 미혹을 증폭시키거나, 拒否反應을 일으키는 예도 적지 않다는 보고도 있으므로 受容·拒否의 差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受講에 의한 임펙트는 크다라고 할 수 있다. 統計로 보는 여성의 現狀에서 알 수 있는 것은 性役割意識의 새로운 動向을 볼 수 있는 점이다. 분명 「남자는 일, 여자는 가정」이라는 고정적인 性役割에 반대하는 男女는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그 반대의 의미내용에는 多樣性이 있으며, 좀처럼 「gender free」로는 가지 않는 듯 하다. 現代에서는 이 性役割意識의 變容의 방향에 한층 새로운 傾向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남자는 일과 가정, 여자는 가정과 취미」라는 「新·新性別役割分業意識」의 배경에는 뿌리 깊이 이어져온 日本企業의 性差別的體質에 대한 최대한의 저항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女性의 政治·社會參加의 國際比較를 보면 현재 일본은 HDI 지표에서는 최고수준이며, GDI 지표도 높은편이지만, 民主主義와 男女公同參劃의 실태면에서는 문제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본 여성학을 현대 일본문화의 한 측면으로 주목하고, 이것의 전개과정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통하여 현대 일본문화의 변천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The woman's studies(re-estimation movement of the study in women's view), which was begun in the united States at the end of 1960s and it is the word translating women's studies which is opened in educational courses in U.S.A. After the second half of 1960s women's liberation movement(The second version of feminism)was rosen in Japan. Since 1970 gender(social and cultural gender difference and sex discrimination)study and feminism were prevailed, and gender question was the important topic in the field of policy or education since 1980s. In 1985 the agreement on the abolishment of discriminating women was accepted in the parliament, in 1986 after the right announcement of the law on employing men and women equally, "the age of women" was propagandized by mass media. At the center of women in college and community as the course of women's studies was began, the general concerns about feminism and women's studies was began, the general concerns about feminism and women's studies was began, the general concerns about feminism and women's study were widerspread. After 1980s in the social education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as well as universities and colleges all over the country, there were many cases of establishing the course of women's studies. As parallel with the movement of administrative and educational society coming to 1980s all kinds of society came to realize the necessity of women's study gradually. Japanese women's studies have been accumulated and their publications are published each one by the groups of women's studies. As explained above the study began in the early of 1970s, we didn't expected the advance of women's study. At the beginning of 1990s a little different angle of study called "gender studies" appeared and this was characteristic. From the end of 1980 the researchers who represent their field of study as "gender study", not "women's study", were expanded. This is because they didn't focus on women's lives or life or sex discrimination but the change of major focus which pays attention to the cultureand social norms that divide people into men and women. In the current Japanese women's studies for fear of peripheralization of women's studies owing to tying it "women" there are argument about the efficiency of gender study which deals with the analysis of the power relations by sex difference, not the study of women. On the other hand, there' some comment that we will lose our basis of objection and resistance to sex discrimination if we rule out the brim of women. Since 1990s both of them have stood parallel. After graduation how does the study of women's studies influence the student's social life, doesn't it give any impact, and how is the shift of consciousness and questions about the established identity acquired from women's studies continued after that or not are not the matters to be glossed over in case that we consider the education of women's studies in point of education and are very crucial research and are study subjects afterwards. Generally we give a high estimation on the effect of the courses(subjects) dealing with women's studies on the trainee. Referring to many wources, students experienced the change of thinking way and their established value standard shaken. As a result of that most show positive responses that they try to self-reform and we can see quite a graduate students who chose women's studies and its related topic as their study of graduate school and tktle of a graduation thesis. However reversely because there are lots of reports that it increased doubtless and negative response though there is a gap between acceptance and objection, as a rule the importance of taking the courses are significant. What we know from the statkstics of women's state is that we can see the new tendency toward the role of sex. Absolutely the men and women who opposed to the fixed role of gender:men for work, women for home are increasing but in the opposite meaning variety is covert and it doesn't seem like to go for "gender free". Present time he can find out newer propensity to this change of gender role consciousness. Behind new and new gender role divisional consciousness in man for work and home women for home and hobby I think there is the greatest opposition to the deep-rooted sex discrimination in Japanese corporation. Also when we see the table internationally compared on women's politic and social attendance, we can realize a lot of problems in the aspect of democracy and men and women's associated attendance even if Japan keeps the highest position at GDI and HDI's index.

      •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과 교육 참여 동기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중규모도시지역 여성교육기관 중심

        김봉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에서의 성인교육이 관심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으로 성인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성인교육에 참여하는 여성학습자의 교육참여 동기연구는 여성학습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성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일차적 연구로 여성의 교육기회 확대와 참여증대, 교육성과의 제고에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성인교육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는 학습자의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 동기 유형별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성인여성학습자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교육 참여요인에 대한 다양한 시각적 접근은 미흡하다. 여성학습자 특히 기혼여성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일상생활속의 어떠한 경험들이 그들이 학습을 선택하게 하며 학습활동에 참여하게 하는지 학습자 특성 연구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교육 참여 현상을 일상적 삶에서 경험되는 생활사건 경험에서 살펴보고자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과 교육 참여 동기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조사도구의 구성은 독립변인으로 생활사건에 대해 4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하위변수로 건강(4문항), 직장(6문항), 가족․가정(16문항), 개인․사회(10문항), 경제(8문항)의 다섯가지 영역으로 나누었다. 종속변인으로는 성인교육 참여 동기에 관해 31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하위변수로 활동지향형(12문항), 목표지향형(12문항), 학습지향형(17문항)의 세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생활사건 경험과 교육활동 참여 동기와의 관계 분석의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대상은 결혼 경험이 있는 성인여성(25~60세)학습자로 한정하여 표집하였다. 부천지역 3개의 성인여성교육기관 프로그램 참여자 4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10월 13일부터 25일까지 각 교육현장에서 질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에서 375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4%를 나타냈다. 응답된 설문 중에서 누락 항목이 많거나 연구대상 조건에 부적당한 57부를 제외한 318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동기유형별 생활사건 영향으로는, 활동지향 동기유형의 경우 개인․사회관련 생활사건과 직장관련 생활사건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관련 생활사건, 가족․가정관련 생활사건, 경제관련 생활사건은 부적인 영향으로 나타났다. 목표지향 동기유형의 경우 개인․사회관련 생활사건, 직장관련 생활사건, 경제관련 생활사건, 가족․가정관련 생활사건 순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관련 생활사건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향 동기유형의 경우 개인․사회관련 생활사건, 가족․가정관련 생활사건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관련 생활사건, 직장관련 생활사건, 건강관련 생활사건 순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기혼여성학습자의 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지각된 생활사건은 영역별로는 개인․시회관련 생활사건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건강관련 생활사건, 가족․가정관련 생활사건, 경제관련 생활사건, 직장관련 생활사건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영향을 미친 생활사건 경험으로는 건강관련 생활사건에서는 ‘수면습관의 변화’ 문항이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직장관련 생활사건에서는 ‘직장업무시간 작업조건의 변화’ 문항이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다. 가족․가정관련 생활사건에서는 ‘자녀와의 갈등’ ‘자녀 진로설정문제로 고민’ ‘개인적 습관의 변화’가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개인․시회관련 생활사건 영역에서는 ‘사회활동의 변화’ ‘다른 교육과정 등록 수료경험’ ‘개인적 일을 성취함’ ‘주위사람의 의미 있는 간접경험’ ‘미래에 대한 불안감 경험’ 이 높은 평균을 보였다. 경제관련 생활사건에서는 ‘지출의 증가’가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생활사건 각 문항으로 보면 ‘개인적인 일을 성취함’ ‘다른 교육과정에의 등록 수료경험’ ‘주위사람의 성공, 책, 영화 등을 통한 의미 있는 간접경험’ ‘자녀와의 갈등’ ‘자녀 진로설정 문제로 고민’ ‘사회활동의 변화’ ‘미래에 대한 불안감 경험’ 등의 순으로 성인교육 참여에 대한 높은 영향을 나타냈다

      • 대학도서관 여성학장서 연구 : 부산대학교 도서관과 부산여자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오영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6

        This study's purpose is aimed to escape from the underdeveloped Korea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In order to achieve well-developed collection, We must consider that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is the basis to support the whole university process an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s designed to be unified this research and studying course. The case choose for research is Women's Studies Collection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d Pusan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 findings resulted in investigation of Women's collection problem is as followed : 1.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about women's collection development. at between library staff and user. - This is a big trouble to develop women's collection. 2. Insufficient collection and low quality 3. So many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To get rid of the cause that make the poor and alienated state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this study is designed as follows : 1. The librarian should develop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o be collected comprehensively 2. To remove the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so that raise the level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3.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should support diverse subjects of women's studies, not just a few subject areas. 4. The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ian should acquire various selection tools, and offer them to the faculty in time. 5. To collect all kind of materials that agency of Korea Women's development produce.

      • 인용분석을 통한 국내 여성학의 학제성 분석

        임세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4

        이 연구는 지난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간 급속한 발전을 한 국내 여성학 분야가 우리나라 학문영역 안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자리 잡아 왔는지 학문간의 상호의존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 분석 기법으로 인용빈도분석과 문헌동시인용분석을 이용하여 여성학 연구가 영향을 끼친 학문분야와 여성학 연구가 영향을 받은 학문분야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등재된 여성학 학술지 중 2022년 10월 등재지로 등록된 <아시아여성연구>, <여성연구>, <여성학논집>, <여성학연구>, <젠더와 문화>, <페미니즘연구>, <한국여성학>의 7종을 선정하였다. 2002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논문 중 인용관계가 있는 1,912건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여성학과 타 학문분야 사이의 인용빈도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과학일반, 사회복지학, 사회학, 교육학, 학제간연구 분야가 높은 인용률을 보였다. 여성학 분야 연구가 타 학문분야로부터 영향받은 분야는 사회학, 사회과학일반, 사회복지학, 교육학, 학제간연구, 법학, 역사학 분야가 높은 인용률을 보인다. 전반적으로 사회과학일반, 사회복지학, 사회학이 가장 많은 영향관계를 가진 학문분야이다. 사회과학 분야 이외 다른 학문분야는 교육학, 학제간연구, 법학, 역사학 분야가 인용률이 높았다. 여성학의 세부 연구주제와 타 학문분야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우선 문헌동시인용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군집 6개와 소군집 24개로 여성학 세부 연구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여성학 세부주제들이 폭넓게 영향을 끼친 타 학문분야는 사회과학일반, 교육학, 학제간연구, 사회복지학, 사회학 분야이다. 여성학이 영향을 받은 주요 학문분야는 사회학, 사회과학일반, 사회복지학 분야이다. 비교적 높은 인용률을 보인 학문분야는 교육학과, 학제간연구 분야이다. 주요 학문분야 순위가 높을수록 세부주제들과 폭넓은 인용률을 보이나 이와 반대로 순위가 낮을수록 특정한 세부주제와 영향관계를 강하게 받는 경향을 보였다. 여성학과 타 학문간의 상호 인용관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여성학이 영향을 끼친 학문분야와 영향받은 학문분야의 학문은 비슷하나 영향비율은 인용관계에 따라 다름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인용비율의 시기별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여성학 자신과의 자기인용은 영향을 끼친 비율과 영향을 받은 비율이 모두 하락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는 여성학에 대한 관심이 다른 학문분야에서 더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여성학은 타 학문과의 교류가 더욱 활발한 학제적인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학제적 학문으로 인식되는 여성학 분야 학술지를 대상으로 인용빈도 분석을 양방향으로 적용한 결과 여성학의 학제성을 더욱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문헌동시인용분석을 통해 도출한 여성학 세부 연구주제를 분석 단위로 함으로써 여성학의 학제성을 연구주제 단위로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인용빈도분석을 양방향으로 적용하는 것과, 문헌동시인용분석을 활용하여 세부 연구주제 단위로 분석하는 것은 학문의 학제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접근법임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시도한 접근법은 후속 연구에서 여러 분야의 학제성을 입체적이고 세밀하게 분석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how women’s studies, which has developed rapidly in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from 2002 to 2021), has changed and established its position in Korean academia through the assessment of interdependence between academic disciplines. To this end, citation frequency analysis and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which academic field was influenced the most by women’s studies, and which academic field most influenced women’s studies. Seven women's studies journals register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in October 2022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Journal of Asian Women’, ‘The Women’s Studies’, ‘Women’s Studies Review(WSR)’, ‘PNU Journals of Women’s Studies’, ‘Gender and Culture’, ‘Issues in Feminism’, and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Of all the research papers indexed from 2002 to 2021, a total of 1,912, which had a citation relationship, were analyzed.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citations of other academic disciplines in women’s studies revealed a high frequency of citations from Social Science in general, social welfare, sociology,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citations of women’s studies in other academic disciplines revealed sociology, Social Science in general, social welfare, educa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law, and history to have the highest citations, indicating that women’s studies most influenced these fields. Overall, the most influential relationships were with Social Science in general, social welfare, and sociology. Disciplines outside of social sciences that had a high citation rate were educa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law, and history.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research topics in women's studies and other academic disciplines, a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identified six major clusters and 24 sub-clusters as detailed research topics. The academic disciplines that are widely influenced by these topics in women’s studies are Social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social welfare, and sociology. The academic fields that most influence women’s studies are sociology, Social Science in general,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had a relatively high citation rat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anking of major academic disciplines, the greater the citation rate of the specific topics.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lower the ranking, the stronger the relationship with specific detailed topics. The analysis of reciprocal citation relationships between women's studies and other academic disciplines revealed that although the influenced and influencing disciplines are similar, the degree of influence varies depending on the citation relationships. However, analysis of the period of citation rates showed that self-citation within women's studies decreased in both the influencing and influenced ratios. This implies that interest in women’s studies is growing in other academic disciplines. It also confirms that women’s studies is developing into an academic discipline with strong connections with other academic disciplines. In this study, a bidirectional cita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academic journals of women’s studies, a representative interdisciplinary academic discipline, which enabled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women’s studies. Additionally, by utilizing the detailed topics of women’s studies, which were derived using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as analysis units,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women’s studies was examined at a more granular level. Bidirectional citation frequency analysis and document co-citation analysis with detailed research topics as the analysis units proved to be a useful approach to analyzing the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an academic discipline. The approaches attempted in this study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comprehensive and granular analysis of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various disciplines in future studies.

      • 춤에 나타난 '젠더 페러디(Gender Parody)'의 여성학적 이해

        임은주 동덕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27

        본 논문의 목적은 여성학적 관점으로 춤을 해석함으로써 ‘춤의 여성학’을 발전시키는데 있다. ‘젠더 패러디’라는 개념을 춤에 도입하고 젠더 패러디된 춤을 대상으로 삼아 일상적인 몸에 대한 성 규범들이 춤에서 어떻게 복제되고, 과장되고, 해체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춤으로 재현되는 몸에 성 권력이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탐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젠더 패러디의 춤은 패러디의 특성 및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대한 고정관념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 진다. 한 유형은 패러디에 내재한 ‘원전에 대한 경의’의 특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을 유지·강화시키는 ‘관습적 젠더 패러디’이다. 다른 유형은 패러디에 내재한 ‘원전에 대한 조롱’의 특성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을 비웃고 해체하는 ‘전복적 젠더 패러디’이다. 둘째, 관습적 젠더 패러디의 특성은 탈춤과 가부키, 경극, 초기 발레 등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전통무용에서 발견된다. 관습적 젠더 패러디의 춤에서는 공연자의 생물학적 성과 그가 재현하는 젠더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여성의 역은 ‘여자답게’, 남성의 역은 ‘남자답게’ 표현된다. 이렇게 젠더의 이미지와 역할을 전형적으로 재현하는 관습적 젠더 패러디의 춤은 일상적인 몸에 대한 성 규범을 복제하고 과장함으로써 몸의 ‘정상화’ 과정에 참여한다. 셋째, 전복적 젠더 패러디의 특성은 재즈 댄스, 힙합 댄스, 테크노 댄스, 현대 춤, 후기 현대 춤 등에서 나타난다. 이 유형의 춤에서 젠더는 공연자의 성과 관계없이 무성적·양성적으로 나타나거나 여성이 여자답지 않게, 남성이 남자답지 않게 표현된다. 이렇게 젠더 이미지와 역할을 중립화시키거나 탈전형화시켜 재현하는 전복적 젠더 패러디의 춤은 성 규범을 해체함으로써 몸에 작동하는 권력에 저항한다. 본 논문은 춤이라는 재현물이 권력에 의해 문화적, 역사적으로 구성된다는 사실, 즉 ‘재현의 정치성과 구성성’이 드러낸다. 또한 춤이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하고 젠더의 변화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한 페미니스트 전략에 유용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춤에서의 자유로운 실험들이 우리에게 익숙해진 관습의 반복을 중단시켜 젠더가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양성적인 특질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논문은 춤이 미학의 차원을 넘어서 권력을 반영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저항을 표출함으로써 몸 정치의 실천을 위한 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 the`ory of 'Women's Studies of dance'. To this end, I apply concept of 'gender parody' into dance and analyze how conventions of the material body are scripted, over-emphasized and destructed in dance. I also research how sexual power is related to the body represented in d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der parody is classified into two kin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in parody and the steretype for gender. One is 'customary parody', which maintains or reinforces existing gender bias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 for the original' in parody. The other is 'reverse gender parody', which jeers or destructs the fixed ideas for gender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ridicule to the original' in parody. Second, customary gender parody is found in the lengthy history of Tal-Choom, Kabuki, Peiking Opera, Ballet in theire early stage. In these types dance, although at times performer's biological sex is not matched with represented gender on stage, female role is portrayed in feminine manner and that of male is depicted in masculine fashion. Dance in customary gender parody which typically exposes gender image and its role participates in bodies 'normalization' by imitating and exaggerating social gender norm. Third, 'reversegender parody' can be found in jazz dance, hip-hop dance, thechno dance, modern dance, and post-modem dance. These types of dance allow flexible gender portrayal regardless of performer's sex. Gender is displayed asexually or bisexually; female dancer performs 'non-feminely', or male dancer performs 'non-manly'. Dance in reverse gender parody which neutralizes gender image or changes its stereotype resists sexual hierachy by dismantling social gender norm. Through the study, it is proved that integration of dance is influenced cultually, historically and politically. Moreo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dance can be effectual for femenist stretagy which belives gender changeability. In other words, some experimental dance can show and help us realize that gender is not natural but constructed by halting repeatition the familiar gender mores. In this context, it has been affirmed that overturning expressions of dance can bee practice of body politics over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