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가스포츠 참여 중년여성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

        배연준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여가제약과 여가만족의 관계에서 여가제약협상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중도 포기를 막고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중년여성의 건전한 여가선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2021)의 국민 생활체육 조사 중년 여가 스포츠 참여율 상위 5개 종목인 걷기, 등산, 보디빌딩(헬스), 요가(필라테스), 골프 종목을 대상으로 동호회와 상업 스포츠시설 및 공공스포츠시설, 교육기관 등에서 참여하고 있는 집단을 중심으로 최소 6개월 이상, 1회 50분 이상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2023년 7월 31일부터 8월 18일까지 19일간 중년여성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된 19부를 제외한 총 411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Win Ver. 28.0과 Amos Win Ver. 2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원 변량 분산분석과 사후 검증을 하였다. 또한, 변인별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인과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매개효과와 유의성 검증을 위해 매개 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여가 스포츠 참여 중년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여가만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은 여가제약협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협상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은 여가만족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여가제약협상은 여가제약과 여가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년여성의 지속적인 여가스포츠활동을 위하여 개인의 심리적인 부분에서 발생하는 내재적 제약과 환경적 측면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제약, 대인관계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대인적 제약을 여가제약협상 전략을 통해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면 여가만족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중년여성의 지속된 여가스포츠활동과 여가만족을 향상하려면 여가제약을 감소하거나 제거하려는 노력과 여가제약협상을 활용하여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and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2021) national sports survey conducted on clubs and clubs targeting the top five sports walking, hiking, bodybuilding(fitness), yoga(pilates), golf with middle-aged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rate.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leisure sports for at least 6 months for at least 50 minutes at a time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focusing on groups participating in commercial sports facilities,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30 middle-aged women over 19 days from July 31 to August 18, 2023. Afterward, a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11 people's data, excluding 19 whose responses were judged to be poor or unreliable. In this study, IBM SPSS Win Ver. 28.0 and Amos Win Ve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hoc testing were conducted through the 28.0 program.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ausal structure model,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Second, the leisure constraint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Third,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among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satisfaction. Fourth, the leisure constraints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for leisure satisfaction. Fifth, the negotiation of leisure constraints among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leisure satisfaction.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for the continuous leisure sports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there are inherent constraints arising from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aspect, structural constraints arising from the environmental aspect, and interaction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in been confirmed that leisur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if interpersonal constraints that arise reduced or eliminated through efforts to negotiate leisure constraints. 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middle-aged women's continued leisure sports activ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duce or eliminate leisure constraints from a personal perspective and to overcome them by utilizing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 야구동호인의 여가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분석

        하정호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paper was analyzed by the Baseball Club to know the influential affect to the satisfaction of the person's leisure time and lifestyles. Also, it is to analysis the motivation in participation level of individual's and other specific group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each groups. The research was done by a phone and the test subjects were 400 members of Baseball Club in Pusan, Korea. For, Cronbach's α method was used to confirm the survey which was used to calculate the reliability, Varimax was used to analysis primary cause by orhtogonal rotation to scrutinize the sufficiency of the tools used for the survey. By summarizing the outcome of the research process above the following will be equivalent to the list below. 1) Analisis of Leisure Satisfaction by Participant's characteristic (1) In the age groups of 30, 31~35, and 36, 36 was the age group overall satisfied and overall withdrawing from stress. (2)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atisfactory ratio of married and unmarried groups of participants. (3) College graduates and anyone above that seemed to be more satisfied than those who are anything high school graduates. (4)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s due to the movements/ mobility it takes in certain occupations, for instance participants who are more active in their work seemed to be more satisfied significant. (5) Participants who earned more than three million won, were more satisfied than other participants. (6) The participant's satisfactory level kept increasing same as the numbers of the trips taken to the Baseball Park. 2) Analysis of Leisure satifaction by Participants degree (1) Due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with more active life is more satisfied than those who does not. (2) Participants who contribute a appropriate time into their activities. It shows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level in their numbers. For, instance the Baseball Associations has a game, once a week and results of the survey recommended 3 to 4 times of participation. 3)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each variables are sifnifieantiy related. 4)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the social-education and environment satisfaction fator has positively influenced upon the life satisfaction.

      • 여가만족과 사회적응과의 관계

        박세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레저업체 이용객의 여가만족이 사회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 아보고, 각 변인들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여가만족을 높여 사회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대상은 수도권 레저업체 방문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편의표집방법에 의해 표집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여가만족, 사회적응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만족은 월 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 특성에 따른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형태, 참여기간, 참여시간, 참여계기, 참여 동반자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형태, 참여시간, 참여계기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생활 참여정도(참여기간, 참여시간, 참여빈도)는 여가만족과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참여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만족과 사회적응의 상관관계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만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사회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만족의 사회적 요인은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만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책임성에는 휴식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leisure satisfaction on social adjustment in leisure company customer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leisure company customers were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hich was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in previous studies at home an abroad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tud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isure satisfaction by demographical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income. Second, Leisure satisfaction by leisure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participation form, period, time, chance, companion. Soci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participation form, time, chance. Leisure satisfaction and Social adjustment are partly influenced by participation degree(participation period, time, frequency) in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Social adjustment influence participation time.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Social adjustment had influence on each other. Fourth, As for Leisure satisfaction, high group than low group showed higher Social adjustment. Fifth, Social adjustment is influenced by social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 시각장애인의 여가제약과 여가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민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visually-impaired person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visually-impaired persons' leisure constraint and leisure motivation on their leisure satisfaction. To achieve such purpose, the purposeful sampling, widely use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was used to select, as population hereof, visually-impaired persons using visually-impaired persons' facilities in Korea, and a total of 230 sets of data were drawn. Out of the total of 230, 197 sets became the final purposive sample for this study after excluding 33 questionnaires for which some responses were missing or were not made in good faith. For use as survey tool, questionnaires of preceding studies were revised and complemented. In terms of survey procedure, the author hereof initially called various facilities for visually-impaired persons in Korea, and requested consent and cooperation in advance by fully explaining the intent and purpose of the study. Then, the author and assistants visited the facilities, fully explained the intent and purpose of the study to potential surveyees, and surveyed only those who willingly participated in the survey. Especially, as regards survey method, due to the surveyees' characteristics, an assistant read the questionnaire to a surveyee and took dictations (1:1 interview method) or a surveyee himself/herself read and filled in the braille questionnaire (self-administered method), and then the result was promptly collected there. As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Window (version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computer processing, an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refor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visually-impaired person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disability ratings) brought about partial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leisure motiv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Specifically, visually-impaired persons' age and disability ratings brought about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with their age bringing about difference in leisure motivation, and with their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and disability ratings bringing abou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Second, it was shown that visually-impaired persons' leisure constraint had partial effect on sub-factors of the leisure satisfaction. Specifically, external (environmental or economic) constraint had effect o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internal constraint had effect on psychological or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it was shown that visually-impaired persons' leisure motivation had partial effect on sub-factors of the leisure satisfaction. Specifically, non-decisive, social, and competence motivations had effect on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social, competence, and intellectual motivations having effect on physical satisfaction, and with leisure and competence motivations having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lso, non-decisive, social, competence, and intellectual motivations had effect on social satisfaction, and non-decisive, leisure, social, competence, and intellectual motivations had effect on psychological or educational satisf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pose appropriate strategies and methods so that visually-impaired persons can enjoy leisure and satisfactorily utilize leisure time in a better environ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시각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여가제약, 여가동기, 여가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시각장애인 여가제약과 여가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표본추출방법은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널리 사용되는 유목적적 표집법을 이용하여 전국의 시각장애인 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230부의 자료를 추출하였다. 230부의 자료 중 조사내용이 일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한 33부를 제외한 총 197부의 자료를 본 조사의 최종 유의표본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사절차를 살펴보면, 연구자는 우선 전국 시각장애인복지시설의 담당자에게 전화로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여 사전에 동의 및 협조를 구하였으며, 해당 시각장애인복지시설에 연구자와 보조원이 직접 찾아가 연구대상자들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 자발적으로 설문조사에 참가하겠다고 동의한 대상자들만 참여하도록 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자의 특성상 설문 방식은 보조원이 읽어주고 받아 적는 타기식(1:1 면접방식)이나 점자로 된 설문지를 직접 읽고 자신이 직접 기입하는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한 후 현장에서 즉시 회수하였다. 조사된 자료의 통계분석 방법은 SPSS Window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처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각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장애발생 시기)에 따라 여가제약, 여가동기, 여가만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시각장애인의 성별, 장애발생 시기에 따라 여가제약에 차이가 나타났고, 성별에 따라 여가동기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여가만족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여가제약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재적(환경/경제적) 제약은 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재적 제약은 심리/교육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인의 여가동기는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자기결정적, 사회적, 유능적 동기는 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유능적, 지적 동기는 신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식적, 유능적 동기는 휴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자기결정적, 사회적, 유능적, 지적 동기는 사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자기결정적, 휴식적, 사회적, 유능적, 지적 동기는 심리/교육적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시각장애인들에게 보다 나은 환경 속에서 여가를 즐기고 여가시간을 원만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데 있어 적절한 전략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박미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사회참여 욕구를 효과적으로 분출할 수 있는 계기와 기회를 제공하고, 건전한 여가선용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이들이 참여하는 여가활동 유형과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7년 현재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35세 이상 60세 미만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상업스포츠시설 및 공공스포츠시설 등에서 수영에 참여하는 집단과 문화센터, 대학의 평생교육원, 여성회관 및 복지회관 등에서 주부노래교실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 그리고 문화센터나 동호회 모임을 통해 종이접기라는 공작적 여가활동에 규칙적으로 참여하거나 즐기고 있는 이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조사도구는 설문지로서, 여가만족척도(Leisure Satisfaction Scale: LSS)는 Beard와 Ragheb(1980)에 의해 개발되고 이종길(1992)과 이성철(1996)에 의해 번안ㆍ사용된 것을 바탕으로 재구성되어진 김영재(2004)의 한국형 여가만족척도를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Rosenberg(1965)가 개발한 검사를 전병제(1974)가 번안하여 사용하고 Curbow와 Somerfield(1991)에 의해 검증된 바 있는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였다. 또한 개인의 생활만족 지수를 측정하는 도구로 Bigot(1974)가 표준화시킨 생활만족지수(Life Satisfaction Index Well-being: LSE-W)를 김영돈(1988) 등이 번안하여 사용하였던 설문지를 국내 실정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각 집단별로 200부씩 총 600부를 배포하였다. 비확률표집방법 중 편의표집방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통해 표집된 전체 표본 596부 중 자료로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23부를 제외한 총 573부를 가지고 SPSSWin Ver. 12.0과 AMOS 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및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e Equation Model)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여가만족에서는 월평균수입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 유형에 따라 여가만족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생활만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 유형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 중 교육적 만족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의 모든 하위요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활동 참여정도는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만족은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의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는 다양한 양상으로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가활동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가만족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 역시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isure activity types in middle-aged women. To achieve such purpo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aged women participants who participate leisure activities in swimming, singing class and folding paper. The participants of this three group were selected from swimming pools of public and commercial sports center, singing classe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in University and folding paper lectures of culture center in department stores or clubs related folding paper.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tal 596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rom samples, and among them 573 valid samples which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were used as final data excluding 23 questionnaires which were not faithful on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SPSSWin Ver. 12.0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relationship of every variables. And AMOS 5.0 was us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ypes of leisure activity, leisur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generally according to characteristic in statistics of population,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ypes of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monthly income. Moreover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according to age. Concretely,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laxational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occupation. Also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factor among subordinate variable of self-esteem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On the other sid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factor and selfish factor among subordinate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and socia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ccording to occupation, there was not difference in emotional life satisfaction,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and physica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monthly incom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 variables of leisur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but not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ypes of leisure activity. Third, types of leisure activity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educational factor among subordinate variables of leisure satisfaction and positive factor of self-esteem, but was not identified to influence all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Fourth, participation degrees of leisure activity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leisur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Fifth, leisur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all subordinate variables of self-esteem but leisure satisfaction has a diversity of aspect with subordinate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Concretely, educational and physiological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social life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and emotional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emotional life satisfaction. Moreover, educational, emotional and physiological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physical life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and physiological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selfish life satisfaction. Sixth, types of leisure activity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leisure satisfaction but not identified to influence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and also life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influence on self-esteem.

      • 유교적 가치관이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경숙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개인의 행위는 개인 고유의 가치체계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 공유되는 집단적인 가치체계에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여가나 관광행위에 관한 연구도 집단적 수준의 가치관과 연계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개인단위의 가치체계를 중심으로 여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이 공유하는 전통적 가치관과 여가행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전통적인 가치관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오랫동안 우리민족의 사고방식과 행위규범에 영향을 미치고 전통문화를 형성해온 사상으로는 유교 · 불교 · 도교를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불교적 가치관과 무속적인 가치관의 경우에는 측정도구의 개발이 전혀 이루어진 바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유교적 가치관을 중심으로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교적인 가치관과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에 따라서 여가만족과 생활만족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며, 추가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는 연령, 성별, 결혼여부 등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남성, 기혼자, 40대 이상에서 유교적 가치관 보유정도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종교의 유무 및 종교에 따른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우리나라 국민들은 특정 종교의 귀속여부와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유교적 가치관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교적 가치관과 여가활동유형 간에는 신문 · 잡지구독, 등산, 독서, 수집 등 일부 여가활동에서 상관관계가 검증되었으나 전체적인 상관관계는 매우 약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교적 가치관과 선호하는 여가활동유형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특별한 규칙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유교적 가치관과 심리 · 교육적 여가만족, 사회적 여가만족, 신체적 여가만족 간에는 상관관계가 검증되었으며,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에 여가만족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가 높은 집단이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가 낮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여가활동이나 여가경험에 대한 만족의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에 따라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간의 관계에 차이를 보였는데,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가 낮은 집단에서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간의 상관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가 높은 집단은 여가활동 보다는 여가이외의 활동에 가치비중을 두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교적 가치관의 보유정도가 낮은 집단에서 · 여가만족과 생활 만족간의 관계가 보다 강하게 나타난 것은 유교주의적인 가치관의 보유 정도가 낮을수록 여가활동에 가치비중을 두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놀이공간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의 표본수집과 젊은 세대 위주의 편중된 표본 분포로 인하여, 표본의 대표성에 있어서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실증조사 결과 추출된 유교적 가치관은 항목 간 안정적인 신뢰도를 보임으로써 향후 유교적 가치관과 관련한 척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An Individual's action can be influenced by his own value system 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llective values of the society in which he lives. Therefore, any study on leisure and tourism should have been approached in connection with values on a collective level, but its main stream nowadays deals with only individual's values. Thus this study trie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values our people agree on and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the types of leisure. First of all, we try to grasp what Korean's traditional values are like through a survey and research of the various Korean literature. We can mention Confucianism-Buddhism-Taoism as thoughts that have influenced Korean's way of thinking and activity pattern and shaped our traditional culture for a long time. In case of Buddhist and shamanistic values, however, a measurement instrument has not been developed yet. Due to this, we are obliged to focus on Confucian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ligh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nfucian values and the activity of leisure and its satisfaction, and to verify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of Confucian values. In addition, we identify to what extent of Confucian values people have through characterizing a population census of mine which is the result of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the possession of Confucian values, allow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statistics according to their age, sex, and marriage status. People over 40 years old, married and male respectively are reported to have strong Confucian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says that belief in relig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 possession of Confucian values, which means that Koreans are universally permeated with Confucian values regardless of particular religions. Concerning Confucian values and the patterns of leisure activity, the interrelation is verified in some activities including subscriptions to newspapers and magazines, mountaineering, reading and collecting. However, whole correlation is very weak. Accordingly, it is proved that there is no special regu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values and preferred leisure activities. The correlation between Confucian values, and psychological-educational leisure satisfaction, social leisure satisfaction and physical leisure satisfaction is verified, displaying the difference at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a group having strong Confucian values and a group having weak Confucian values. This indicates that a group with strong Confucian values is more satisfied with leisure activity and experience with less various and intensive leisure activity than a group with weak Confucian values. Finally,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what extent people possess Confucian values, showing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a group with weak Confucian values. This means that a group with strong Confucian values places more value in activities outside of leisure than leisure activity. In addition, the reason why a group with weak Confucian values show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s that people tend to place more importance on leisure activity as they have weaker Confucian values. This study has a limit in a representation of samples because we collected samples in a confined space as well as among only young people. However, Confucian values we get to know after examining results through positive survey reports provide us with a stable confidence in their items, so tha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of being useful as a measure again with respect to Confucian values in the future.

      •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이 인지하는 재미 요인이 운동 몰입 및 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호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재미요인이 운동 몰입 및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9년 9월–2020년 5월 수도권 지역에서 피트니스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남 , 여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임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10곳 이상의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여 총 320부을 선정한 뒤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오류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302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재미, 운동몰입, 여가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재미, 운동몰입, 여가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직업, 평균 월수입은 재미의 하위요인 중 체력건강, 칭찬 및 즐거움, 상호작용, 대인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직업, 평균 월수입, 참여시간, 참여빈도는 운동 몰입의 하위 요인 중 애착, 노력, 집중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직업, 평균 월수입, 경력, 참여시간, 참여빈도는 여가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신체적, 환경휴식적, 사회심리적 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재미와 운동 몰입의 관계 분석 결과 재미요인은 운동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재미요인은 운동 몰입의 하위 요인 중 애착, 집중, 노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재미와 여가만족도의 관계 분석 결과 재미요인은 여가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재미요인은 여가만족도의 환경휴식적, 신체적, 사회심리적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운동 몰입과 여가만족도의 관계 분석 결과 운동 몰입 요인은 여가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의 운동 몰입은 여가만족도의 환경휴식적, 신체적, 사회심리적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트니스 센터 이용객이 인지하는 재미를 통해 운동 몰입을 경험할 수 있고, 긍정적인 정서인 재미를 통해 여가만족도에도 기여를 한다. 이러한 순기능적인 요소들이 바람직한 여가생활에 기여하고 삶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결국 공동체문화 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identify effects of fun factors of fitness club participants on exercise commit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As choosing a research subject from September 2019 to May 2020, this study selected a population wi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over 20 years old, who participate in fitness activities in metropolitan areas. After visiting more than 10 fitness clubs, this study selected 320 copies b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n it conducted surveys. It utilized 302 surveys as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with errors. It opera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t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variables. In order to research differences among exercise fun, commit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performe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In order to analyze relationships among fun, exercise commit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and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pending on thos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had results as follows. First, it found that, ou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some factors such as physical fitness, praise and enjoyment, inter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the sub-factors of fun. Second, it found that, ou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participation time, and participation frequenc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some factors such as attachment, effort, and concentration out of sub-factors of exercise commitment. Third, it found that, ou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occupation, average monthly income, career, participation time, and participation frequ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me factors such as physical factor, environmental rest factor, psychosocial factor out of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fun and exercise commitment of fitness club participa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fun factor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ercise commitment. Researching closely, this study identified that fun factors of fitness club us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ttachment, concentration, and effort out of sub-factors of exercise commitment.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fun and leisure satisfaction of fitness club participa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fun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Researching detail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fun factors of fitness club us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nvironmental rest factor, physical factor,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 out of leisure satisfaction factor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exercise commit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of fitness club participa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ercise commitment factor had significant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Researching details,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exercise commitment factors of fitness club us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nvironmental rest factor, physical factor,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 out of leisure satisfaction factors. Therefore, fitness club users could experience the exercise commitment by recognizing the fun factors, and it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leisure satisfaction through the positive emotion that is the fun. The factors, which have good function, could contribute to desirable leisure life and be the driving force of life. In the end,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n community culture formation.

      • 대학생들의 여가경험이 여가기능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isur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on leisure fun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300 college stud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including each 100 college students at 3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the total number of 269 data were used in a practical analysis, apply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research tool and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by applying SPSS WIN 14.0 to process the data. Each hypothesis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study procedure and data analysis were shown below. First,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leisure experiences, leisure functions, and leisure satisfaction with regar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experiences were observed in social relationship and the self-affirmation and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s in leisure experience according to grad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escaping from daily life among higher grade students than lower grade students. In addition, In the differences of leisure functions according to gend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 sense of control, desire, and a sense of infatuation and the differences of leisure functions with regard to grad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sense of infatuation and the differences between 1st grade students and 2nd grade students were observed. Lastly,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ological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considering in th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grad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hysi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and with regard to physiological satisfact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1st grade students and 3rd grade student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2nd grade students and 4th grade students and with regard to social satisfactio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1st grade students and 4th grade student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leisure experiences on leisure functions, it was found that leisure experienc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eisure functions. The sub-factors of leisure experiences such as the escape from a daily life, the recognition of a sense of effectiveness, social relationship and selfaffirm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leisure functions such as a sense of control, self-confidence, desire, and a sense of infatua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leisure experiences on leisure satisfaction, leisure experiences have no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The sub-factors of leisure experiences such as the escape from a daily life, the recognition of a sense of effectiveness, social relationship and selfaffirm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such as physi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resting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s of leisure functions on leisur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leisure satisfac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The sub-factors of leisure functions such as a sense of control, self-confidence, desire, and a sense of infatu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such as physi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resting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여가경험이 여가기능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도 서울, 경기도 지역의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각 100명씩 총 30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s)을 이용하여 총 269명의 자료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고, 각 가설은 유의 수준 α=.05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자료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경험, 여가기능, 여가만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른 여가경험의 차이는 사회적 관계와 자아확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에 따른 여가경험의 차이에서는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이 통계적으로 일상탈출 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여가기능의 차이는 조절감, 욕구, 심취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년에 따른 여가기능의 차이에서는 심취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학년과 2학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여가만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생리적 만족과 심리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년에 따른 여가만족의 차이에서는 생리적 만족과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생리적 만족의 경우 1학년과 3학년에서, 교육적 만족은 2학년과 4학년에서, 사회적 만족은 1학년과 4학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경험이 여가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여가경험은 여가기능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경험의 하위요인인 일상탈출, 효능감 지각, 사회적 관계와 자아확인은 여가기능의 하위요인인 조절감, 자신감, 욕구, 심취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경험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여가경험은 여가만족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경험의 하위요인인 일상탈출, 효능감 지각, 사회적 관계와 자아확인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생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기능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여가기능은 여가만족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기능의 하위요인인 조절감, 자신감, 욕구 그리고 심취감은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생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 직업군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심리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현은선 한신대학교 스포츠재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배경 변인에 따른 여가 만족과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와 여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세부 연구 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과 여가 만족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직업군인의 여가 참여 정도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과 여가 만족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직업 군인의 여가 참여 정도가 심리적 행복감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가이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현재 경기도 I, Y 지역을 중심으로 군 생활을 하고 있는 육군 부사관급 이상 직업군인 399명이었다. 본 연구의 심리적 행복감의 조사 도구는 양명환(1998)이 번안 개발한 24문항의 심리적 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여가 만족 척도는 박영기(2006)가 번안 사용한 20문항의 척도를 각각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인의 인구 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는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 요인인 즐거움 요인에서 5년 미만과 20년 이상이 5-10년과 10-20년 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고, 대도시 및 중소 도시에서 근무하는 직업군인이 산촌 및 농어촌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건강 상태에 따른 차이로서 매우 좋은 건강 집단이 건강 좋음과 건강 보통의 집단보다 높았다. 아울러 자신감은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서 근무하는 직업 군인이 산촌 및 농어촌보다 더 높았고, 건강 상태별 차이는 매우 좋음 집단이 좋음과 보통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직업군인의 여가 참여 정도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의 하위 요인별 차이로서, 여가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즐거움과 자신감이 높았고, 주당 3-4회 참여자가 한 달에 1-2회와 주당 1-2회 참여자보다 자신감이 높았다. 셋째, 직업군인의 여가 참여 정도가 심리적 행복감 요인 중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은 참여 정도의 하위 요인 중 참여 빈도가 즐거움과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신체 만족과 사회 교육 만족에 영향을 주는 여가 참여 요소는 참여 기간이었다. 결론적으로 직업군인의 심리적 행복감과 여가 만족은 활동적이고 활력이 넘치는 젊은 세대이거나 군 조직에서 안정적인 위치의 20년 이상의 도시근무의 건강한 배테랑 군인이 높고, 주당 3-4회이상 여가 활동에 참여함으로서 즐거움이나 자신감이 높다. 아울러 여가 활동에 자주 참여할수록 보다 즐거움을 많이 느끼고, 자신감도 커진다. 또한, 여가 활동에 지속적으로 오래 참여할수록 신체적, 사교적 관계 개선과 교육적 만족이 높다. 차후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인의 행복감이나 만족감 분석에 환경과 근무 조건이 다른 직업 군인을 대상으로 한 양적 자료는 연구 주제의 충분한 이해에 어려움이 수반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관찰과 면접을 통한 질적 자료의 분석을 부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군인이 선호하는 다양한 여가 활동의 직접적인 분석을 통하여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서 직업군인의 소명적 역할 증대 및 삶의 만족감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차후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셋째, 군 조직이 체계적이고 엄격한 지도 체제로서 군 생활 자체가 경직되고 융통성이 없어서 정서적 만족이 결여될 수 있기 때문에, 비록 근무의 의무는 철저히 해야 하지만 휴식 시간이나 근무 시간외에는 긴장을 풀고 보다 자유롭게 다양한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eisure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leisure activities of professional soldier.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99 professional soldier. The survey sheets were examined with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content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and then ensure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ata were analysed without the others which had poor qualities or unreliable were excluded.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ere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fference partly on pleasure and confidence as a function of working period of military occupation, working areas, and health status. Second, leisure participants are higher on enjoyment and confidence of professional soldier than non-leisure participants. Third, the frequency of leisure participation affected to the enjoyment and confidence in professional soldier. And the period of leisure participation affected to the educational and physic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professional soldiers with a long period of work, working in the city are healthy, Their psychological satisfaction is high. The joy and confidence by leisure activities of professional soldier is high. The longer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physical, educational satisfaction is high. The following is advice for future research. First, the qualitative analysis with observations and interviews is requir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eisure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soldier. Second, the programs in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for professional soldier must be developed. Thirdly, atmosphere composition is necessary to participate in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 한국인의 여가생활과 만족감 : 여가시간에서의 소득별·연령별·성별 격차

        민경선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소득, 연령, 그리고 성별에 따라 여가시간이 불균등하게 배분되어 있는 현황과 그 원인을 파악하고 여가가 한국인의 주관적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2014>와 문화관광연구원의 <국민여가활동조사 2014> 자료를 활용하여 경제적·사회문화적 요인으로부터 여가시간의 불균등이 비롯되고 있으며 여가를 위한 시간의 양은 여가의 질을 설명하지 못 함을 주장한다. 분석결과,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비교적 여가시간이 많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여가비용 지출이 많다. 그리고 중기성인기의 한국인들은 적은 여가시간을 갖지만 후기성인기에는 여가시간이 급격히 증가하여 연령에 따른 여가시간의 불균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한국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는 여가시간이 아닌 여가비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후기성인기에 크게 증가한 여가시간은 이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 한다. 소득수준이 낮은 사람들과 후기성인기의 많은 여가시간이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 하는 원인은 여가시간의 증가가 노동을 할 수 없는 상황과 관련되어 있고, 장시간 노동문화와 시간 압박감이 능동적인 여가활동 참여를 저해하는 데 있다. 문제는 적은 여가시간 대비 많은 여가비용 지출은 소비의 비합리성을 낳을 수 있고, 노동시장 이탈로부터 급증한 여가시간은 오히려 사회적 고립감을 키우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관계적 여가에 주목하였다. 이유는 관계적 여가는 정보공유를 유발하여 여가비용 지출에서 발생하는 비합리성을 감소시키고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이점을 지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관계적 여가가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은 여가의 속성에 따라 상이했다. 우선 동호회, 친구와 함께하는 관계적 여가는 만족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여가시간이 많은 후기성인기의 친구와 함께하는 여가시간은 삶의 만족도 향상의 중요한 요인이며, 혼자 보내는 여가시간의 증가는 정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반면 가족여가는 역할 결정적인 반-여가의 속성을 지니기 때문에 만족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 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경제활동을 하는 기혼남녀의 여가시간에 심각한 불균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혼남성에 비해 기혼여성이 가사노동에 많은 시간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여가시간은 매우 적고 총 노동시간은 상당히 많다. 기혼여성이 경험하는 시간의 희소성은 여가시간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직업역할과 가족역할의 이중부담은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한국사회의 장시간 노동문화, 시간압박감의 증대, 불평등한 경제활동 기회와 성역할 인식은 여가시간 불균등을 야기하였고, 때문에 한국인의 여가를 통한 만족감은 여가시간의 양 자체가 아닌 여가비용, 여가활동 동행자, 그리고 여가시간의 희소성에 의해 설명된다. 여가시간을 포함해 여가참여를 위한 경제자본, 사회자본에서의 불평등의 심화는 여가 시샘이라는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불균등한 여가시간을 문제제기하는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한국인의 삶의 균형을 맞추고 여가를 통한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different leisure time depending on income, age, and gender. By examining various factors regarding leisure tim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that have 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among South Koreans. Using “Time Use Survey 2014” from Statistics Korea and “Korean Leisure Life Survey 2014” from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ime divide in leisure might have to do with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amount of leisure time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e respective quality of leisure. Based on the findings, households with lower income have relatively longer leisure time whereas households with higher income spend more expenses for their leisure. Another discrepancy of leisure time occurs based on the age because the amount of leisure time is drastically increased as an adult gets aged. However, the increased leisure time during later adulthood does not result in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only the higher level of expense has a positive effect.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se results might be related with the fact that having more leisure time indicates the inability to work. Not only does time management affect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but also work culture in South Korea – long working hours and time pressure – hinders the extent of active leisure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finding, the effect of relational leisure vari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companion. On one hand, the relational leisure that takes place with people who share the same interest along with friend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In particular, later adulthood who spends more time in relational leisure has higher life satisfaction whereas those who spend time alone have lower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al leisure which accompanies family members either has a negative effect or does no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The result of family leisure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semi-leisure nature and its negative effect on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Furthermore, this study confirms the presence of time divide in leisure depending on gender. Compared to married men, married women have the longer working hours and shorter leisure time as they are involved in household labor. The time scarcity that married women experience makes leisure time more valuable. In addition to time limitation, married women take a dual burden for being both a career woman and a wife, leading to lower life satisfaction. Consequently, the pattern of leisure time among South Koreans can be stated as dispersed by work culture in Korea, unequal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rigid gender role expectations. These factors have caused the time divide in leisure; and, the level of leisure satisfaction is respectively explained by expense, companion, and time scar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