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약물남용 예방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약물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李福順 전북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약물남용예방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약물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변화시키는지를 평가함으로써 학교보건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으로 연구대상은 C시의 1학년 남자중학생으로 실험군 113명. 대조군 113명으로 총 226 명의 학생이었고, 실험군에게는 4회에 걸쳐 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01년 11월 5일부터 2002년 2월 8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진행 절차는 약물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사전조사를 측정한 후, 약물남용 예방교육을 4회에 걸쳐 제공하였고, 예방교육을 제공한 2개월 후에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소야자 등(1991)에 의해서 개발된 중.고등학생용 약물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X'-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약물에 대한 지식정도의 차이는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약물남용 예방교육 전후의 지식정도의 차이를 가지고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평균차이는 8.95(±13.1기점. 대조군의 평균차이는 3.63(±12.31)점으로 실험군의 평균차이가 대조군의 평균차이보다 높았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3.14, p=.002). 따라서 약물남용예방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약물남용예방교육을 받지않은 대조군보다 지식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약물남용예방교육을 받은 후에는 교육을 받기 전보다 약물에 대한 지식이 증가될 것이다"라는 제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약물에 대한 태도점수의 차이는 약물남용예방교육 전후의 태도점수의 차이를 가지고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평균차이는 7.91(+-.44)점. 대조군의 평균차이는 4.96(+-.51)점으로 실험군의 평균차이가 대조군의 평균차이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47). p=.643). 따라서 "약물남용예방교육을 받은 후에는 예방교육을 받기 전보다 약물에 대하여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 할 것이다"라는 제2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에 사용된 약물남용 예방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약물에 대한 지식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나 태도 변화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약물남용 예방을 위한 학교 보건교육이 지속적이고 체계화될 수 있도록 보건교육과정의 도입이 필요하며, 연령별, 학년별에 따른 차별화된 다양한 교재 및 교육방법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태도변화를 위한 중재요소를 탐색하여, 약물남용예방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것이 중학생의 태도를 변화시키는지 확인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rug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which helped middle school students to acquire correct knowledge and right attitude toward drug abus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o a quasi-experiment of pre-test & post-tes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study were 226 male students who are in the first grade in two middle school in C city: One hundred and thirteen students were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a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5th, 2001 to February 8th, 2002. A pre-test was taken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 drug abuse and then the experimental students were given four sessions of drug abuse prevention education. A post-test which was the as same as the pre-test questionnaire was given two months after the education was complete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scale on drug abuse developed by Kim, Soyaja. The statistical analysis contains frequency, percent, mean, standard deviation,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paired t-test using SPSS-win P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scores of knowledge to drug abu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given drug abuse prevention education will b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3.370, p=.001) 2) The second hypothesis "That a positive attitude to drug abu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given drug abuse prevention education will b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as rejected(t=2.373, p=.019) In conclusion, knowledge of drug abuse are increased by drug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by school health teacher. And the change of attitude was not effe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drug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in course of health education to prevent drug abu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藥物 濫用 靑少年 治療再活制度 活性化方案 硏究

        김석병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실태는 어떠한 수준이며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어떻게 하면 사전 예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약물 남용 청소년들의 치료재활을 활성화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양적 조사자료 분석과 병행하여 약물 남용 청소년들의 특성과 남용 및 치료재활 실태 등을 심층 분석하고자 약물 남용 청소년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조사결과를 3개 분야로 구분하여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 과정과 관련하여 남용하는 약물은 술, 담배를 먼저 시작하고 다음은 환각물질이나 마약류 사용 등으로 전이되는 현상을 나타났다. 약물 남용 이유는 친구나 선배들의 유혹이나 영향이 대부분이고 호기심도 상당수 있었으며 1인 평균 4가지 정도 약물을 남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남용기간은 3개월 이상이 2/3 이상이 대부분이고 약물 남용과정에 미치는 영향이나 환경요인의 정도는 친구요인은 절대적인 영향(93%)을 미친다고 했으며 다음으로 가정, 지역사회나 주거환경, 학교요인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약물을 남용할 때의 상황이나 결과 등과 관련해서 약물은 슈퍼나 철물점 등에서 쉽게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고 약물 사용은 혼자하기보다는 대부분 친구나 선후배 등과 어울려서 했으며 사용 장소는 집, 친구 집, 자취 방 등이었다. 약물 남용 상태에서는 폭력, 절도 등 문제행동을 보였으며 또한 약물 남용으로 인한 문제는 친구나 대인관계 문제, 학교생활이나 공부문제, 가정이나 생활문제, 정신적인 문제, 의료적인 문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치료재활과 관련하여 본인들은 약물을 끊으려고 많은 시도를 했으며 그중 절반정도는 일정기간 이상 성공한 적이 있으며 친구들은 약물을 끊는데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물을 끊으려고 할 때 가정이나 친구들은 물론이고 지역사회 시설인 상담시설, 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등의 도움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결론적으로 말하면 약물 남용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 수준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나 이들을 위한 치료재활 제도 및 실태는 매우 미흡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약물 남용 청소년들의 치료재활 활성화방안을 사전 예방차원과 사후 치료재활 차원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본다. 첫째, 사전 예방차원으로 가정에서는 부모의 모범이 필요하고 교육과 관심이 있어야 하며 학교에서는 약물 남용 예방교육과 지도가 한층 강화되어야 하며 또래리더들을 통한 약물 남용 예방활동이 필요하다고 본다. 지역사회나 민간단체 등에서는 청소년 약물 남용 예방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약물 남용 예방에 대한 상담과 예방 프로그램 등의 운영이 필요하고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이나 보호자 등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법적·제도적 보완을 통해 청소년 대상 유해 약물이 유통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하며 청소년들의 약물 남용을 유혹하는 사회 환경을 대폭 개선하여야 하며 청소년 약물과 관련 조사·연구·자료 및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고 지원해 줄 전문 연구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사후적 치료재활 활성화 방안으로 가정에서는 자녀를 적극 지지해 주어야 하며 학교에서는 학생이 마음 놓고 치료나 재활을 받을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를 해 주어야 하며 친구들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어야 한다. 지역사회 및 민간단체 등에서는 약물 남용 청소년들이 일정기간 거주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 운영하여야 하며 아울러 수시로 상담과 어려움 등을 실제적으로 도와 줄 있어야 하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치료재활제도를 대폭 보강하고 청소년 전용 치료재활시설의 운영이 필요하며 민간단체 등의 활동이 활성화되도록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actual status of drug abuse by the adolescents and the points of issue involved, and then to draw up plans for preventive and protective measures inclusive of measures for activation of recovery and recuperation from the addicted condition. In parallel with analysis of the existing quantitative data, a series of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executed by conducting research directly with actual drug users in order to make a depth analyz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will be divided into three areas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most of the young drug users have started with using alcoholic beverage and cigarette smoking from which their habitual use of stimulants have developed into drug abuse.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em to start drug abuse due to, first of all, influence or inducement by their friends and/or school seniors; and their own curiosity is followed next. Individual drug user has been found to use four (4) different kinds of drugs in average. Approximately 2/3 of those respondents have remained as drug user for 3 months in average. Almost 93% of the reasons for their starting drug has been found to be from the factor of friends' influence or inducement, which is followed by home related problems, problems related to community or housing, and then school problems.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they have been able to get drugs at supermarkets and/or hardware stores and like without any difficulty. They are accustomed to use drugs together with friends and their school senior or junior mostly either at home, friend's home or lodging room and like.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y tend to expose some kind of weird symptoms including violence and burglaries in a state of drug intoxication.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em to fall into drug abuse, which are problems related to friends, human relation, school life, academic scores, home and living conditions, mental problems, medication and etc. in turn of order. Third,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in regard to the aspect of recovery, about half of the drug users have experiences of successful stopping drug abuse but only for a definite period of time.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they have rarely received advices from either friends or family members. And almost none of them have ever tried to get advice from any institute like community counsellor, health center or social welfare facility. To conclud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degree of the drug abuse among the adolescent has turned out to be at a serious level. In spite of this fact, the system and facilities for their recovery is not accessible or insufficient. It is, therefore, prerequisite for concrete and proper measures for this purpose to be provided as soon as possible. First, in order to provide preventive and protective measures, it is required for parents of each family to provide a role model, and for school teachers to strengthen a series of preventive education and discipline, and for leader peers of youngsters to lead preventive activities. It is also required for the community and civil organizations to promote campaigns for implementing preventive and protective programs, offering services to any adolescent and adults, even, in need of help. As for the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all those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it is also important for them to legalize systems of cutting off adolescent from approach of all sorts of transport facilities carrying all and any kinds of noxious materials, to make overall renovation and reformation of social structure related to this problem, and to conduct continuous research on drug abuse problem by means of having required institutes or organizations established well in advance. Second, in order to provide measures for the recovery from drug addiction, it is required for each family to keep on warm hearted support to their addicted children, for each school to assume considerate attention to the addicted students with providing them with medication as much as possible, and for their friends to play a positive role toward their addicted friends with of course instructions from their teachers and instructors. Non governmental organizations have to operate facilities specifically for use to accomodate the addicted adolescent for a definite period time.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strengthen systems for recovery, provision of treatment and recovery facilities, and support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ctivities.

      • 藥物濫用豫防敎育에 관한 硏究

        최순덕 檀國大學校 政策經營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있는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대한 학교보건교육의 현황과 교사의 인식 현황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청소년의 약물남용 예방을 위한 학교보건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충청남도 내 16개시·군에 있는 초·중·고등학교 총220개교 양호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약물남용예방을 위한 학교보건교육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학교에서 약물남용예방을 위한 보건교육을 실시하며 사전에 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에 의해 별도로 시간을 내어서 학기별 1-2회, 30-60분, 1개 학급단위로, 주로 교실에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 교사들의 협조를 미미하게 받고 있으며 그 중 담임교사의 협조를 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보건교육 시 인적자원의 지원 및 예산편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교가 보건교육계획을 수립하지만 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있었고, 실시하는 학교의 경우도 교육 후 평가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교육 후 교사 스스로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근무학교의 약물남용예방 지도교사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양호교사가 맡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교육시간이 부족함을 느끼지 않았지만 교사의 관심 부족이나 교육자료의 부족, 교사의 전문성 부족, 경영자의 관심 부족에 강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약물남용예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살펴 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약물남용예방을 위한 보건교육이 학부모까지도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약물남용예방 담당교사로는 담임, 전문인, 상담교사 중 1명과 양호교사로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약물남용예방교육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실태조사 및 정기교육 둘째, 전문교육 연수 및 교재개발보급을, 셋째는 정규교과목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학생들의 약물남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의 약물남용수준이 심각하나 재직학교는 심각하지 않으며, 약물남용 학생들의 지도로는 처음 적발되었을 때는 징계 없이 직접 정기적으로 상담을 하고, 상습학생들은 전문치료가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남용자의 증가에 대한 이유로는 사회의 물질만능주의와 쾌락주의 풍토 및 단절된 가족관계갈등이며, 학생들의 약물남용에 대한 책임은 자신들의 책임과 사회의 분위기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약물남용에 대한 정부의 역할은 대부분이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약물남용예방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청소년들의 약물남용예방교육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보건교육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for school health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adolescent drug abuse, which was emerging as one of social issues recently, by analyzing the reality of school health education related to adolescent drug abuse and teacher awareness of the same. For attaining the purpose, question- naire survey was conducted over the nurse teachers in 22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16 cities or counties, South Chungchong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reality of school health education, health education for drug abuse prevention was implemented in most of the schools investigated. According to education program for drug abuse prevention prepared in advance, that education was separately offered for each class once or twice a semester, for 30 to 60 minutes each, chiefly in classroom. There was little cooperation from colleague teachers, but class teachers gave some cooperation. There was little support for human resources or budget for health education, either. Although most of the schools worked out health education program, it wasn't actually performed. Even at some schools where it was fulfilled, assessment wasn't done properly after education, and the teachers at those schools expressed poor satisfaction after education. The nurse teachers were in charge of education for drug abuse prevention mostly. Though they generally didn't feel the number of class for that education was insufficient, they agreed to the lack of teachers' concern, of teaching materials, of teacher expertness or of school manager's concer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eacher attitude toward that education, most of the teachers found it necessary to offer health education for drug abuse prevention even to parents, and considered it appropriate to form the education team with a nurse teacher and one of class teacher, specialist and counseling teacher. The most widely suggested way to activate that education was to conduct a survey of actual state and regular education, and the next was to offer special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 teaching materials. The third was to insert that education into regular subject.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er awareness of student drug abuse, they thought that the drug abuse of students was in a serious situation, but that the students at school they served didn't abuse drug severely. The desirable way to guide drug abuser student was to give regular counseling, without disciplinary measure, to students who would be found to be a drug abuser for the first time, and to have drug addict students take special treatment. The reason drug abusers were on the increase was seen as the social climate of prevailing materialism and Epicureanism or as conflicts arised from disconnected family relationship. The students thought the responsibility of drug abuse rested upon themselves and social atmosphere. Most believed the government should give more positive aid for school and community to fulfill the program of drug abuse prevention for adolescent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national aid should be provided for health education to get education for drug abuse prevention on the right track.

      • 藥物濫用의 實態와 그 對策에 관한 硏究 : 靑少年을 中心으로

        이기정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藥物은 人類의 오랜 歷史와 함께 사람의 氣分이나 생각을 바꾸기 위해 使用하여 왔는데 오늘날에는 이를 無分別하게 濫用하여 個人의 健康을 해치는 것은 勿論 社會를 荒廢化시키고 나아가 人類의 未來를 威脅하는 등 그 弊害가 매우 深刻하다. 人間의 정신과 肉體에 致命的 損傷을 惹起 시키는 藥物濫用의 原因에 대해서는 多樣한 硏究가 있었지만 어느 特定한 한가지의 原因에 의해서가 아니고 여러 形態의 原因이 複合的으로 重疊되어 濫用에 이르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比較的 藥物濫用의 安全地帶로 통했으나 1999년에는 痲藥犯罪 係數가 처음으로 20명을 넘어 23명으로 集計되었다. 그 동안에는 富裕層 子女와 演藝人등 特殊層에 한정되었던 藥物濫用이 會社員, 택시기사, 家庭主婦等 一般 庶民層은 勿論 靑少年들에게까지 擴散되고 있으며 年齡層도 점점 저연령화 趨勢에 있다. 藥物의 種類도 多樣해 痲藥類인 阿片, 코카인, 암페타민, LSD등외에 최근 네덜란드와 벨기에등의 북유럽 國家들에서 開發된 엑스터시는 가장 많이 流通되고 있는 암페타민 보다 低價이며 幻覺 效果는 3-4배나 강해 우리나라는 勿論 美國等 全世界 靑少年들이 가장 많이 使用하는 藥物로 알려졌다. 이제 藥物濫用 問題는 어느 한 國家의 問題가 아닌 전 人類가 풀어야할 宿題로 對頭되어 藥物濫用의 擴散防止를 위해 汎世界的인 痲藥수사의 共助體制가 活潑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世界 各國의 强力한 團束에도 불구하고 不法 痲藥類의 生産量과 犯罪人數는 크게 減少하지 않고 있으며 無分別한 藥物濫用 풍조는 중.고생들에 까지 전파되어 본드나 부탄까스등 吸人濟 외에 藥局에서 구할수 있는 鎭咳劑나 살빼는 藥物이 濫用되고 있다. 아직 까지는 소수이기는 하지만 不法으로 流通되고 있는 痲藥類 系統의 大麻草나 암페타민등이 濫用되고 있는데 靑少年 자신들이 使用하는 藥物의 弊害가 얼마나 무서운 結果를 招來하는가에 대해서 잘 인지 못하고 있는데 그 深刻性이 크다. 本 論文에서는 藥物濫用 問題를 根本으로 解決 할 수 있는 方案을 摸索하고자 藥物濫用의 正確한 槪念과 種類를 정의하고, 理論的인 濫用原因을 살펴보고 靑少年들에 대한 實態는 先行 硏究들을 比較 分析하여 經驗的 原因을 考察하여 藥物濫用에 대한 對策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Over the years, drug were used for chaning moods or feelings among general public. Hower, today people use drugs indiscretly and abuse them. This has resulted in damagine health as well as imparing society function. It has even startid to threwten the further of human being. There has been many studies on the cause of over-usage of drugs that has ruined the health and mentality fataly among people. It is discovered that it is not because of one specific reason, rather it is because of mixed reasons, which eventually lead to abuse of the drugs. In general, Korea was known to be the drug safety zone, but since 1999 report of drug-related crimes have been increasing, It is report that over 23 cases of drug-related crimes were found. Although traditionally, the access of the drug were only limited to certain society such as public entertainers(singer, dancer) and wealthy people and their children, now the access in unlimited regardless if the classification of people they are in. Recently, the drug-abuse is reported among general public such as salary men, taxi driver, house wives and also found in the teenager. The user of the drugs are getting younger every year. There are various of drug, that exist such as opium, cocaine, amphetamine and LSD. Most recently, XTC(estacy), which is developed in Netherland and Belgium, North European countries, has been circulating the most. XTC is cheaper and the effect of hallucination is 3-4 times stronger than amphetamine. Because of the such reasons, XTC is well known and vastly used among the youth group. Thus, for the prevention of further spreading the drug abuse, investigation system on drug related crime is taking place actively world wide. Despite the strong and active control over drug usage, supply of illegal drug and drug related crimes have not been decreasing. Furthermore, tendency of drug abuse is spreading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haling and intaking gas, bond, cough medicines, diet pills are used as well. For now although it is a small portion, illegally trade marijuana and amphetamine are mostly consumed by the youth group. It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since the youth group nor the society realize the seriousness of ill-effect of the such use of the drug, which will eventually lead th a huge problem in the society and drug abuse in the group. In thesis, the concept of drug abuse and the types of drugs were defined. It is also mentioned some examples of drug abuse that are found in our touth group to suggest possible solution for the such condition. It is also mentioned how serious it is by discussing the previous research done in the past. It has also touched on the reasone for the abuse as well. We have also compared and analyzed previous researched done in the past and this essay was written to help finding possible counter measure for the drug abuse in the youth group.

      • 韓國 靑少年의 藥物濫用의 실태와 豫防에 관한 硏究

        김은혜 단국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변동과정에서 사회구조 변화의 領域이 대단히 많은데 특히 뚜렷하게 나타난 領域온 靑少年과 관련된 것이다. 지금까지는 一般的으로 靑少年 問題라고 하면, 學校登校나 職場出勤을 拒否한 靑少年, 家出 靑少年들 정도로 여기고 있었으나 사실은 대마초, 히로뽕, 알콜 중독 등의 위험한 藥物濫用으로 인한 問題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 靑少年들은 별거에 대한 불안, 자기의 분노심이나 攻擊的 衝動에 대한 不安, 性的 衝動에 대한 不安, 그리고 身體的으로는 어른에 가까워 졌으나 아직은 獨立된 個體로 혼자 설 수 없는 점에 대한 不安과 염려 등에 대하여 脫出하고자 藥物을 濫用하게 된다. 藥物濫用이 각종 범죄의 溫床이라는 사회적 문제점을 뒤로 하더라도 우선 靑少年 個人의 肉體的, 精神的 파탄을 초래하고 있다. 일시적 향락을 위해서는 自己 自身은 물론 가정과 사회까지 파탄시키는 엄청난 댓가를 감수한다는 靑少年들의 藥物濫用은 참으로 위험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論文온 靑少年틀의 藥物濫用에 관한 全般的인 문제들을 硏究하고자 한다. 論文의 全體的 中心內容은 전반부에는 藥物의 槪念과 그 原因, 藥物의 種類와 그 效能 그리고 藥物을 使用하는 靑少年틀의 實態와 이에 따른 행위에 대하여 分析하고, 후반부에서는 藥物濫用에 대한 對策으로 가정, 학교, 사회의 개선을 강조하고 일본과 한국의 藥物 關聯 法規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진행과정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藥物濫用은 부모와 자녀간의 和睦 즉, 家庭의 安定에 의해서 左右된다. 현대사회의 不安定이 靑少年틀을 藥物濫用으로 치닫게 한다고 볼 때 가정교육 특히 부모교육의 强化가 절실히 要求된다. 둘째, 청소년들을 위한 學校敎育이 全人的이지 못하고 入試爲主의 敎育으로 인하여 다양한 욕구충족을 滿足시켜 주지 못할 때 靑少年들은 藥物을 濫用하게 된다. 셋째, 社會的 환경으로 藥物의 購入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라도 購入할 수 있는 현 상황은 靑少年을 쉽게 藥物에 빠져들게 한다. 이에 대한 對策으로는 藥物에 관한 法規가 보다 더 强化되어야겠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며 청소년들의 藥物濫用온 家庭, 學校, 社會가 중요한 影響음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청소년들을 바람직한 社會의 構成員으로 인도하려면 청소년 육성과 청소년 교육을 개선하고, 藥物濫用 현상에 대한 사전 예방과 선도대책을 한시바삐 磨鍊하지 않으면 안되겠다. In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there is a domain of change of social structure,especially the domain which is conspicuously related to youth. Considering the youth problems generally,up to now we have regarded them as the ones who refuse attending schools or attendance of places of work, and the absconding youth, In fact, however, the problems which are caused by the abuses of dangerous drugs such as cigarettes made of hemp leaf, Philopon and alcoholic poisoning, etc. are becoming more serious. The youth get to abuse drugs so as to escape fro" the uneasiness about separation, the uneasiness about their own rage of aggressive impulse, the uneasiness about sexual impulse, and the uneasiness and worry about the fact that they grew up like adults physically but they could not stand as independent individuals. Although we think that the medicinal abuse is the social issue which is the hotbed of every kind of potential criue.it is above all bringing about the individual physical and spiritual destruction of youth. The medicinal abuse of youth to bring about the exorbitant cost to destroy hone and society as well as themselves is dangerous, indeed. Therefore,in this study, a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the problems about the medicinal abuse of youth. As for the central contents of this thesis, in the first part,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cepts and causes of drugs, the kinds and efficacy of drugs, and the realities of youth to use drugs and the misdeeds attendant upon this. In the latter part, this study has emphasized the improvement of home, school and society as ueans to prevent medicinal abuse,and has examined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drugs in Japan and Korea. The results clarified in th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cinal abuse of youth is dependent upon the parents and children, that is, the instability of modern society makes the youth run up to the medicinal abuse. This strengthening of hone education, expecially, family education is required keenly. Second, when the school education for youth is not well-rounded and cannot satisfy the diverse desires due to the education centering around entrance examination, youth tend to abuse drugs. Third, the purchase of drugs is relatively easy because of social environment. The present situation to be able to buy anytime, only if they want, makes the youth fall into drugs easily. The laws and regulations about drugs will have to be strengthened all the sore for the prevention of drug abuses. The above results tell us clearly that the hone, school and society are having the main influences on the nedicinal abuse of youth, If we you try to lead the youth as the desirable aenbers of society, we will have to improve youth upbringing and youth education and prepare for the prior prevention and the measures for proper guidance about the phenomenon of medicinal abuse without delay.

      • 약물남용관련법의 내용과 치료재활제도에 관한 연구

        최명찬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Substance abus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social work and community practice. This study reviewed existing provisions on substance abuse to analyse issues related to the treatment need and rehabilitation in community practice in light of its purpose, target population, services, and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Recently, provisions were improved which contain legislations that would help people affected by substance abuse to access substance abus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services. Under these provision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would be provided for substance abusers. It would, however, provide funding for substance abus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viders which is not clear.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provisions on substance abuse was still rhetorical both in legislation and in practice. The dominating perspectives of substance abuse regulation were control of using and selling illegal substances by government. The results of the review 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issues in the provisions on substance abuse give sever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consideration of extended responsibilities for government on substance abuse. In addi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act of recent changes in provisions on substance abuse to promote and implement clinical activities related to special areas of substance abuse. Finally, provisions related to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need to be provided for abusers based on their symptoms of abuse. 최근 우리나라도 남녀 구별 없이 모든 연령과 계층을 망라하여 마약류 중독 환자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대마 등 불법적인 약물의 사용뿐만 아니라 과도한 음주와 흡연도 사회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약물남용 대책은 단속과 감시 위주로 되어있었다. 그리고 약물남용관련법규들에서 약물남용자들을 환자가 아니라 범죄자로 보아 처벌에 초점을 두고 다루어 왔었다. 이에 따라 많은 연구들에서 정부가 마약류 중독자를 치료받아야 할 환자로 보기보다는 범법자로 보고 구속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치료나 재활이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남용과 관련된 대표적 법들에 나타난 약물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고 법과 제도를 통해 약물중독자들의 치료 및 재활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약물남용관련법의 목적, 법의 이념, 대상자 범위, 서비스의 내용, 국가의 책임성, 그리고 벌칙 등을 법의 분석틀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약물남용자들의 치료와 재활을 위해서 약물남용관련법이 처한 개선과제 및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의 약물남용문제 해결과 약물남용자들의 치료 및 재활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약물남용관련법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알코올중독 및 약물남용은 만성 진행성 질병이라는 인식을 국민은 물론 정책 입안자들이 가져야 한다. 둘째, 이들 환자를 규제하고 단속하여 반드시 치료를 받게 하는 법적 구조를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약물남용자들은 약물의 의존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므로 중독증상에 따라 대상별 수용, 치료, 재활을 위한 설치기준 및 지원 법률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 약물 남용 청소년을 위한 집단 사회사업적 개입 모형 연구

        최선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박사

        RANK : 248703

        청소년 약물 남용 행위에 대한 지금까지의 접근은 사회 통제적 관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치료적 개입을 시도하는 경우에도 신체적 증상을 다루는 의료적 접근에 치우쳐 있어 심리.사회적 개입은 거의 없는 실정 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약물 남용 행위에 대한 개입 방법으로 또래 집단을 활용한 심리.사회적 접근모형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청소년은 내부 심리적으로는 자아 기능 손상과 외부적으로는 또래집단의 약물 사용에의 압력이라는 두 요소가 결합되었을 때 약물을 남용하게 된다. 자아 기능 손상 상태의 특징인 불안은 청소년들도 하여금 약물 사용을 받아들이게 하는 요인이 되며 또래와의 약물에 관한 상호작용은 약물남용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다. 그래서 약물을 사용하게 되면 죄책감이 생기게 되고 더 심해지면 약물남용에 대한 부정이라는 방어기제를 사용하게 되어 자아 기능이 더욱 저하되는 악순환을 거듭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치료적 개입은 심리적 측면에서는 자아의 방어기제인 약물 사용에 대한 부정을 처리해 주며 불안과 죄의식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이 기능을 회복 하도록 돕는 것이다. 대인 관계에서는 약물 남용을 거절 할 수 있는 자기 주장 법을 연습시키며 일상 생활의 문제에 부딪혔을 대 약물을 남용하지 않고도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켜 주고, 전반적으로 자신감을 키워줌으로써 약물남용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청소년 약물 남용 행위에 대한 심리.사회적 접근은 또래 집단적 방법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개입될 수 있다. 약물 남용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기능 증진을 위해서 또래집단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가 인성 이론, 체계 이론, 소집단 이론의 다양한 개념들로 뒷받침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청소년 약물 남용 행위에 관한 이론적 틀에 기초해서 만들어진 개입 모형은 다음과 같다. 개입 모형의 철학적 배경은 개인의 존엄성과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전체 사회와의 통합이라는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개인의 개성의 차이에 대한 존중과 함께 사용 정의와 형평성에 기초한 서비스를 한다는 것이다. 개인의 권리로써 모든 치료 과정에의 참여가 권장되며 표현의 자유와 함께 개인의 생각과 느낌에 대한 비밀이 보장 되어야 한다. 개입 목적은 자아의 적응적 기능을 회복하고 만족스럽고 기능적인 사회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며 이러한 심리.사회적 기능 회복을 통해서 약물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려는 것이다. 치료 대상은 약물 남용이 한 달 이상 지속됨으로써 심리.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받은 청소년들로써 스스로 약물을 통제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청소년들이다. 이들은 약물 중독자가 아니라 약물 남용자들로서 심리.사회적 개입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청소년들이다. 본 모형은 소년원에 수용된 독극물 위반, 대마 관리법 위반,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법 위반 소년원생 14명을 대상으로 실시 되었다. 집단 구조는 조직적이고 폐쇄적이며 분산적인 구조를 택했고 개입 횟수는 주2회, 14회에 걸쳐 개입했다. 집단 참여 동기라는 관점에서는 비자발적 구조를, 약물사용면에서는 동질적 구조를 그리고 학력, 나이, 관심면에서는 이질적 구조를 취했다. 집단 구성원에 대한 진단은 심리적 측면에서는 자아의 특성, 사회적 측면에서는 대인관계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일반적 사항으로는 나이, 학력, I.Q, 가족 배경, 사회경제적 배경을 살펴 보았고 약물과 관련된 사항으로는 사용 약물, 사용 기간, 사용 정도, 약물에 대한 태도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본 모형에서의 치료 대상이 소년원생들이기 때문에 기소 혐의와 이것과 관련된 특이 사항을 파악 했다. 집단 발달 단계로는 Helen Northern의 집단 발달 단계 개념을 적용해서 준비 단계, 오리엔테이션 단계, 탐색과 시험 단계, 문제 해결 단계 및 종결 단계로 구분해서 개입 했다. 활용 가능 자원으로는 치료 집단의 집단 역학과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과 사회사업가의 전문적 능력 및 대인관계 기술 그리고 집단 구성원들의 치료 되고자 하는 동기와 자아 탐색 능력 및 자기 통찰 기술이 활용 되었다. 지지, 명료화, 환류, 대결법 등의 개입 기술들이 집단 토의, 설명, 현실 치료, 시연, 명상, 문제 해결법 훈련과 주장 훈련 등의 수행 방법을 통해서 적용 되었다. 이 모형에서의 사회사업가의 역할은 집단을 형성하고 이끌어 가며 집단 구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요구되는 기회를 제공하며 필요한 기법을 가르치고 지지와 이해, 수용과 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과 분석은 관찰에 의한 과정 분석으로써 개인별 변화 분석과 집단 과정 분석을 했다. 개입 목적별 효과 분석으로는 자아 인식 증진, 대인관계 기술 증진과 약물에 대한 태도 변화를 평가했으며 개입 방법 평가는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면을 평가했다. 본 모형을 소년원에 수용된 약물 남용 청소년들에게 적용해서 타당성을 검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별 변화를 보았을 때 프로그램의 효과를 가장 많이 본 원생들은 변화 동기가 강했고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개인적인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가 별로 없는 원생들이었다. 그러나 복합적인 문제를 장기적으로 지녀온 원생들은 거의 진전을 보이지 않았다. 개입 목적별 효과 분석으로는 자아 인식 증진을 위한 개입은 약물남용에 대한 부정을 처리할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효과적 이었다. 그러나 이 효과는 수용 생활에서 오는 문제와 수용 생활을 하기 까지의 생활 과정에서 나온 왜곡된 자아상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는 제한적이었다. 대인 관계 기술 증진은 원생들이 가장 많은 효과를 본 부분으로 전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고 자기 주장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대인 관계 기술은 그들이 지닌 몸에 배인 문제들에 개입하지 않고도 당장 필요한 기술만을 가르치는 것으로 그들에게 가장 쉽게 받아 들여졌고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약물에 대한 태도 변화는 약물 사용에 대한 부정으로부터 벗어나서 약물 남용에 대한 혼란된 태도와 생각을 처리할 수 있었고 약물을 다시는 사용하지 않겠다는 결심을 끌어낼 수 있었다. 개입 방법 평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입 기술로는 대결법과 현실 치료, 시연과 지지법이 효과적이었다. 프로그램 구성방법으로는 놀이를 통해서 분위기를 돋구고 난 후 치료 프로그램으로 들어간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점검표와 질문을 통해서 대화를 끌어내는 방법이 효과적이었다. 프로그램 구성상에 있어서 약물 남용 소년원생들을 위한 개입은 그들의 현재 상황에 대한 문제를 먼저 처리해 주고 나서 약물에 대한 개입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집단 구성에 있어서도 나이, 흥미, 학력에 맞추어서 세분화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프로그램 실시에 적절한 공간 확보와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배려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 결과는 약물 남용 청소년들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심리.사회적 접근과 또래를 활용한 집단적 접근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검증 했다. 이러한 개입 프로그램을 기초로 해서 일반 약물 남용 청소년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요구 된다. Drug abuse among youth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but Korea society doesn’t provide any public treatment interventions, except for rare cases of private treatment at psychiatric clinics and welfare centers, which are mainly focused on the physical factor. Abusive behavior is so heavily connected with psycho-social factors that a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Drug abuse among youth is caused by the combination of identity crises and peer pressure. Insecurity, which characterizes this identity crisis, is the necessary factor for drug abuse. And peer pressure is the trigger point for drug abuse. When they abuse drugs they feel guilt feelings ad use the defense mechanism of denial. Youthful drug abusers can be helped through peer group effectively since at this stage of development peer influence has the strongest impact on them.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m can help them deal with the ego defense mechanism of denial, enhance self-awareness and positive ego funtion and develop skills to handle peer pressure. And without using drugs they can learn to face problems and improve their self confidence. With this theoretical frame of reference, group work Intervention model of psycho-social approach was developed and tested with 14 abusers at the Juvenile Retention Center in Pusan city. Efforts To enhance self-awaress and build a positive self image produced limited effects. Attempts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were mostly welcomed by the young people and effective since they can be used directly. To change their attitude toward drug abuse, they were helped to clarify their ambivalent. Social group Work approach for youthful drug abuers was effective in three points. First, Peer confrontation was effective in dealing with denial. Second, Peer group was effective I enhancing social skills and rehearing them in the group. Third, Interaction among peers brought the same effect as peer counseling. This study was valuable in the sense that it pointed limits of social control and physical approach and substantiated psycho-social approach for youthful drug abusers. And intervention through peer group was also effective for them. The youth at the center carry too many personal and family problems which can limit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is program therefore, could work better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don’t have complex problems, but no treatment arrangement is available for them at the mo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