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市場調査의 原理에 관한 小考

        정현립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1 국내석사

        RANK : 248703

        Marketing research may be defined the systematic gathering, recording and analysis of information to assist management in making marketing decisions. The scope of marketing research applications can be said to include (1) market (consumers), (2) products or services, (3) price, (4) advertising and promotion, (5) channels of distribution. In modern enterprises solving complicated and dynamic problems is a very frequent responsibility of any type of marketing executive. In this disorderly world of marketing, in which research may provide more orderliness and guidance numerous problems arise in every course of business. If marketing research is to provide correct guidance, obviously the research itself must be conducted by methods that will yield correct evidence and answers. That is, the research must employ scientific methods. With what criteria can we judge whether or not research is scientific? In short, these criteria call for research to be (1) systematic, (2) impartial, and (3) reproducible. Unfortunately, marketing research can rarely fulfill all these criteria, but at a minimum, marketing research should be systematic and impartial. Methods of communicating with the appropriate sources to acquire needed primary data may be put in three categories; (1) mechanical, (2) observations, and (3) surveys Within the mechanical method we would include electronic means, which occasionally can be used to record marketing behavior. The observation is the method in which what is taking place is seen and recorded. It is a widely used technique with many valuable applications, In surveys, questions are asked or stimuli are presented in order to elicit information or reactions from the subjects who are communicated with, who are usually called respondents. A standardized and printed questionnaire normally is used, although there can be informal questionning with little or no structuring. Surveys are placed into four types: (1) personal, (2) telephone, (3) mail, and (4) diary. Below are the eight stages of research that should be conceived in a project's plan, partially because they are the basis of the time and costs estimates: (1) recognizing the problem, (2) situation analysis, (3) informal investigation, (4) planning the formal research project (5) field survey (6) processing of data, (7) report, and (8) follow up. Actually, it is probably a mistake to think about a project as being comprised of eight separate and distinct steps. A research project is not a mechanically contrived sequence of independent steps, but rather a number of interrelated, frequently overlapping activities. They are so interdependent that each step depends on each of the others. As a staff activity, marketing research should report to that executive whom it actually serves the most. The data on both results and happenings are sure to be utilized by all the executives.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very wand reasons for opposing the conduct of research on some problem. Above all many corporations have no internal marketing researchers or no capability for some rare and complex studies, and so it would be logical to hire an outside research firm to carry out the entire project. And, so that marketing research may perform the vital function in those organizations that progressively seek to fulfill the marketing concept, mordern enterprises must have the Marketing Information System, which is a structured, interacting complex of persons, machines, and procedures designed to generate an orderly flow of pertine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both intra-and extra-firm sources, for use as bases for decision-making in specified responsibility areas of marketing management.

      • 최적 시장세분화 결과 도출을 위한 기준변수와 군집분석 기법의 선정에 대한 연구

        이영효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시장 환경이 복잡하게 변해갈수록 소비자를 이질적인 특성에 따라 구분하고, 유사한 특성을 가진 목표시장을 선정하여 기업 역량을 집중하려는 노력은 오랜 시간동안 지속되어 왔다. 이처럼 보다 진보된 시장세분화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논의와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연구가 거듭될수록, 시장세분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견고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시장세분화에 대한 지속적인 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특성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세분화 변수와 분석기법의 결과물의 정확성에 대한 실증적 비교 연구나 최적 대안에 대한 명확한 방향의 제안은 아직까지 모호한 상태이며, 실무 적용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 편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시장세분화 기준변수와 분석 기법이 선택, 적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시장 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시장세분화 기준변수와 군집분석 기법의 선택과 적용에 대한 제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핵심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세분화를 위한 최적의 군집분석 기법은 75.8%의 적중률을 보인 LCM기법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운동화시장에서 시장세분화를 위한 최적의 기준변수에 가장 근접한 변수는 구입행동 변수로 분석되었으나, 최적 시장세분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준변수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선행 연구들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인구통계적 변수를 통한 시장세분화 결과는 실제 시장과는 적중률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한 전략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학계와 실무에서 보다 현실과 유사한 시장세분화 기준변수와 분석 기법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소비자 욕구가 복잡해지고,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제품의 구입, 사용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실제 구입행동관련 변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시장을 구분해 줄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셋째, LCM이 기존의 계층적 군집분석, K-means보다 시장세분화에 있어 현실과 유사한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학계와 기업 실무자들은 시장에 적합한 분석 기법의 연구와 적용을 통해 미래의 소비자 행동 예측력을 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많은 시장세분화 관련 연구들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시장세분화 기준변수와 분석기법의 결과에 대해 적중률 비교를 통하여 보다 실제 시장과의 연관성이 높은 시장세분화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본 논문의 가장 큰 의의라고 할 수 있다. Along with the changes in market environments, efforts to concentrate corporate capabilities by selecting target market having similar characteristics to one another, and having classified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heterogeneous features, have been exer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Likewise, discussions and researches on necessities of more advanced market segmentation and effectiveness thereof have been conducted steadily. The more efforts are exerted to continue researches, the harder the consciousness of the importance of market segmentation has become. However, in spite of continuous academic researches on market segmentation have been conducted as such, it is still in an ambiguous situation in connection with segmentation variables that would be able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market, and an empirical comparative study on accuracy of outcomes of analytical techniques, and the proposal of clear direction for optimal alternative, and, in practical application, the reality is that criterion variables of market segmentation and analytical techniques are selected and applied according to researchers’ subjective convenience and arbitrary judg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criterion variables for optimal market segmentation that fit into market situation, and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cluster analysis techniques.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s revealed that the optimal cluster analysis for market segmentation was ‘LCM’ which showed 75.8% of hit ratio. Second,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nearest variable to the optimal criterion variable for segmentation in sneaker market was the variable related to purchase behavior, however, the researcher could have learned that it was more effective to use various criterion variables in order for market segmentation. Third, as pointed out in the precedent researches, the results from market segmentation through demographic variables revealed tha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hit ratio comparing with actual situation of marke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strategic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judged that both academia and business would be able to be provided criterion variables of market segmentation, which are more similar to reality, as well as guides for analytical techniques. Second, the researcher could have obtained an implication that, according to the trends where consumer desires are becoming complicated, and competitions have been deepening, those variables that related to actual purchase behavior having direct relevance to purchase of products and its use were able to classify markets more effectively. Third, a conclusion was drawn in that LCM is more useful means for market segmentation than exist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s. It is expected that academia and working-level staff in corporations will be able to improve predictive power on future consumer behaviors through research of analytical techniques that fit into the situation of research market and application thereto. Compared segmented group to real market segmentation result by thehit ratio, this study proposes the clear direction of market segmentation highly related to real market in further, finding the clustering method and market segmentation variables which can reach the result of most similar to the real.

      • 와인소비시장 세분화에 관한 연구 :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이용하여

        설은정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내 와인수요는 매년 성장하는 추세를 보여 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보고 있다. 그에 비해 와인소비시장에 관련된 세분화연구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빠른 와인시장의 성장에 현재 시점 와인시장동향을 살펴보며 소비행태와 바뀌는 와인욕구와 와인시장 성장으로 다양한 와인 소비에 관련된 특성을 국내와 해외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실증연구에 앞서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와인을 구매, 음용하는 소비자 시장세분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K-means 시장세분화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통계 기법인 잠재계층분석(LCA: Latent Class Analysis)을 통해 세분 집단을 나누었다. 본 연구를 위한 모집단은 ‘와인을 최근 3개월 이내 음용한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70세 미만의 국내 소비자’로 정하였으며 표본 편의성을 상쇄하고자 설문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총 333개의 유효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표본의 시장세분화 수행을 위해 월 평균 와인음용횟수, 와인구매(음용 시, 구매 시)금액, 와인 구매 장소, 와인 음용 장소, 음용 시 동반자, 음용 목적의 6가지 변수를 시장세분화의 기준으로 선정한 뒤 LCA 시장세분화 분석에 사용하였다. LCA를 통해 전체 표본은 총 5개의 세분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세분 집단 간 분석 결과 선호 와인, 성별, 가구 특성, 연령, 교육 수준, 소득, 결혼여부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분 집단별 특성을 파악하여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의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첫째, 와인소비시장 동향을 연구, 와인소비시장 특성을 정리함으로써 추후 연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와인시장 내 기존 시장세분화 연구가 부족하며 소수 연구에서는 K-means 방법으로 분석을 하였지만 본 연구는 LCA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와인소비자의 잠재계층을 나누어보았다. 또 와인소비형태 빈도를 고려한 집단 매력도를 제시함으로써 바이어, 수입업체, 소믈리에, 유통업체 관계자들이 올바른 타겟 선정을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The demand for wine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from year to year and wine market has high potential. On the contrary, there is a paucity of segmentation study with wine market.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recent trend of wine consuming market and verify the consumption pattern, changing needs for wine and characteristic of various wine consumption in domestic and foreign preceding researches as the wine market has rapidly grown. In addition, various preliminary researches were conducted to set the standard of market segmentation for consumers who purchase and drink wine ultimately, before the empirical study and also, Latent Class Analysis (LCA) which helped to overcome limit of existing research on K-means market segmentation was used to segment the groups. This study represented an adult population over 20 years old and under the age of 70, who experienced to drink wine within three months in Korea and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at the same time to offset the convenience of samples. A total of 333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and six variables including the monthly frequency of drinking wine, purchase amount for wine at time of drinking and purchase, place of purchase, companion when they drink, purpose of drinking were selected to use for the analysis on LCA market segmentation. The entire samples were classified as 5 segmented groups in total and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segmented groups indicat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ne preference, sex, characteristic of household, age, education level, income and marriage. And the marketing strategy was suggested after understanding each characteristic of segmented groups. This study has several suggestions theoretically based on this as follows. First, it established theoretical basis for further research by undertaking research on the trend of wine consuming market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 of wine consuming market. Second, though the existing research on wine market segmentation is lacking and minority studies made analysis with K-means, this study introduced LCA to divide the latent class of wine consumer.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the attraction by each group, considering the wine consumption pattern so that buyer, import company, sommelier and distribution enterprise could set the proper target.

      • 시장세분화를 통한 아파트 단위세대의 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

        이명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기 아파트시장은 공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요가 몰림으로서 시장의 불균형을 가져왔고 이로 인해 소비자의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대량공급에만 초점을 둔 '공급자 주도 시장'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1988년 주택 200만호 건설 등 정부의 지속적인 주택공급정책으로 양적충족을 이루게 되자 바뀌게 되었고 이 후 소비자들은 질과 가격에 있어 다양한 요구를 하기 시작했다. 이와 더불어 IMF경제위기로 인해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아파트 미분양이 증가하게 되었고, 건설업체는 이러한 경제위기에서 살아 남기 위한 자구책으로 소비자 지향적인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처럼 건설업체가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최근 여러 업체들이 적용하고 있는 아파트의 차별화계획요소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차별화계획요소의 좀 더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하여 전체시장을 거주자의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고 각 세분시장별 차별화계획요소의 인식정도를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는 아파트를 계획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주택건설업체가 소비자의 구매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제시한 아파트 단위세대의 차별화계획요소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거주자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 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본 다음, 마지막으로 시장세분화를 통해 각 세분시장별 차별화계획요소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설문도구 작성을 위한 예비조사와 설문조사인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예비조사로는 1994년 이 후 5개 일간지에 나타난 아파트 단위세대 계획요소과 관련된 차별화 전략들에 대해 조사하여 총 105개의 항목들을 추출하였으며,이러한 항목들을 살펴보면 크게 평면의 다양화, 인테리어의 고급화, 첨단설비의 보편화의 세가지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평면의 다양화에 있어서는 조망감과 개방감 중시, 프라이버시 강조, 수납공간의 확대, 주방공간의 인식 전환, 가변 개념 및 맞춤 서비스 적용, 발코니 기능의 다양화, 매개공간 조성 등의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인테리어의 고급화에 있어서는 미적 고급화, 기능의 고급화, 건강개념의 중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설비의 첨단화에 있어서는 환경과 쾌적성의 중시, 생활편의 증진, 방범 및 안전에 대한 고려 경향이 나타났다. 본조사는 예비조사에서 추출된 항목들을 다시 재정리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은 인터넷 웹서베이를 이용하였다. 본조사에서는 첫째, 요인분석을 통해 차별화계획요소의 전반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고 둘째, 거주자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 계획요소의 인식정도를 파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다변수 시장세분화를 통해 4개의 세분시장으로 구분하여 각 세분시장별 중요 계획요소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화 계획요소를 요인분석을 한 결과 크게 7개의 요인으로 나누어졌다. 요인 명은 쾌적성 요인, 커뮤니티 요인, 건강증진 요인, 프라이버시 요인, 가사편의 요인, 환경친화 요인, 생활설비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각 요인들의 중요도 점수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특히 쾌적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거주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별화 계획요소의 인식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령에 따른 인식차이는 29세 미만은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40대 이상은 쾌적성과 생활설비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대졸 이상이 고졸 이하보다 대부분의 요소에 있어 높은 점수를 나타냄으로써 주거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좀 더 높게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취업유무에 따른 중요도를 살펴보면, 전업주부는 쾌적성과 생활설비, 가사편의 등의 편의에 관련된 요인이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주부는 프라이버시와 환경친화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울 내 거주지에 따른 중요도 차이를 살펴보면, 동남권은 프라이버시 요인을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북권은 환경친화 요인, 서남권은 커뮤니티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거주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별화 계획요소의 인식 정도는 전반적으로 점수가 모두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F검정에서는 연령과 가족생할주기를 제외하고는 그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조사 대상자를 군집분석을 통해 총 4개의 세분시장으로 구분지었다. 세분시장 1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30대 고졸 이하의 전업주부로써 학령기 자녀를 두고 있으며, 중간소득층이 대부분이며 주로 서남권에 거주하는 집단이다. 이 집단은 대체적으로 주거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다. 특히 커뮤니티 요인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요인이 가장 소극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령기 자녀를 둔 전업주부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혼자서 집에 있는 시간도 많고, 중간이상의 소득계층으로 어느 정도 삶의 여유가 있기 때문에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다른 군집보다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세분시장 2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20대의 취업주부로써 고졸이하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주택규모는 20평형 미만이며 소득도 200만원 미만으로 중산층 이하의 집단이다. 또한 아직 자녀가 없으며 대부분 강북권에 거주하고 있다. 이 집단은 전반적으로 거의 모든 요인에 있어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경제적, 시간적으로 여유가 없는 집단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가장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환경친화 요인으로 나타났고, 가장 소극적인 요인으로는 쾌적성 요인이 나타났다. 세분시장 3은 40세 이상의 전업주부들로 대졸이상의 학력을 갖췄으며 30평 이상의 규모에 300∼400만원 정도의 고소득층 집단이며 대부분 동남권에 거주하고 있다. 이 집단은 요인간 중요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생활설비 요인과 쾌적성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40대의 전업주부들이 많기 때문에 주택 내 기본적인 환경 욕구인 쾌적성과, 편의와 관련 있는 생활설비 요인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세분시장 4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20세의 대졸 이상이 학력을 가진 취업주부들이 대부분이며, 4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에 동남권에 거주하는 집단이다. 이 집단은 고소득층으로 강남에 거주하는 젊은 엘리트 계층의 여성으로 생각되어지며, 이 집단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프라이버시 요인이었다. 프라이버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요인에 있어서는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기존의 아파트 시장에서의 주도권은 공급자가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주거환경에 대해 관심이 적은 편이었다. 하지만 현재의 소비자 주도시장에서 소비자들은 주거환경에 있어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게 나타난다. 이는 차별화 계획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수준이 상당히 높은 점수대로 나타나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거주자 특성에 따른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F검정을 실시했으나, 연령과 가족생활주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그 차이가 검증되지 않는 점도 소비자들의 관심이 모두들 높게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의 일방적으로 제공되었던 획일적 평면에 대해 실증을 느끼게 되었고 따라서 새로운 계획요소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무조건 새로운 것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차별화 계획 요소들 중에서 가장 중요시 생각하는 것은 쾌적성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쾌적성 요인은 주거환경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욕구이다. 여러 건설업체들이 앞 다투어 새로운 차별화 계획요소를 내놓고 있지만 이는 부차적인 요구이며, 어떠한 새롭고 다양한 계획요소 보다 가장 기본적인 욕구가 우선적으로 만족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장 기본적인 욕구 위에 집단적인 욕구가 있고, 그 위에 개인적인 욕구가 생기게 되는데, 개인적인 욕구는 너무나 많은 변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결정지어지기 때문에 아파트 공급시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적용되기가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몇 개의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그 집단적 욕구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좀 더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다변수 세분화를 하였다. 소비자의 선호 특징은 연령, 학력, 소득등과 같은 단변수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이러한 변수들이 하나씩 적용되기 보다는 전체 조합으로써 영향을 주고 있으며, 변수들이 많아 질수록 개인적인 욕구에 근접하게 될 것이다. 아파트 시장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소비자의 요구 또한 다양해짐에 따라 세분시장별 차별화된 제품전략을 세워야 하는 시장 상황에서, 이와 같이 시장세분화를 통해 각 집단별 차별화 계획요소의 관심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차후 건설업체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planning factors for differentiating hous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 to achieve this, first planning factors which have been by housing construction company were collectively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major mass media, and classified into comfortableness, community, improvement of health, privacy, convenience of housework, environment-friendly and living facilities factor through factor analysis. second those factor were again identified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s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occupation and etc. Third, futher, it subdivided markets into four according composite variable was obtain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main survey rearranges items extracted in preliminary survey and poses the questions. To perform survey, I use Internet survey. In brief, the analysis result includes; First, it subdivides the differentiation plan factor into seven factors. In terms of importance, each factor marks a high score. Especially, comfortableness is the highest. Secondly, it examines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differentiation plan factor according to resident’s particularities. According to age, the privacy is the highest under the age of 29 and comfortableness and living facilities are high over the age of 40. According to occupation, convenience-related factors such as comfortableness, living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housework are high among housewives and privacy and environment-friendly factor are high among working women. Finally, according to the section of Seoul, the privacy is the highest in east and south of Seoul, environment-friendly factor is the highest in Gangbuk and community is the highest in west and south of Seoul. However,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differentiation plan factor according to resident’s particularities is generally high, so the difference is not verified in F authorization except the age and family lifestyle. Thirdly, it subdivides markets into four after analyzing a large group. As an example of segmentary market 1, there is a group which consists of housewives in their thirties who have high school education or less, belong to more than middle class and live in west and south of Seoul. Generally, this group has high understanding level of residence environment. Particularly, community is the highest and privacy is lowest in this group. As an example of segmentary market 2, there is a group which consists of working women in their twenties who have high school education or less, live in apartment below 20 pyong, and belong to below middle class. This group shows low score in most factors. The reason is that this group has no enough money and time. Environment-friendly factor is the highest and comfortableness is the lowest in this group. As an example of segmentary market 3, there is a group which consists of housewives in their forties who live in apartment over 30 pyong, and reside in east and south in Seoul. This group shows the preference distinctly and living facilities and comfortableness are high. As an example of segmentary market 4, there is a group which consists of working women in their twenties who have collage education, earn over 4,000,000 won a month and lives in east and south in Seoul. Privacy is the highest in this group. Except for privacy, the rest of factors are low.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conclusion. Since suppliers took the initiative in the existing apartment market, consumers had little interest in residence environment. In consumer-oriented environment these days, however, consumers are much interested in life quality. The reason is that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e differentiation plan factor is high. Consumers got tired of the existing uniform plane and show interest in new plan factors. However, they do not show interest in new things unconditionally. According to the above survey,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comfortableness. Comfortableness is the most basic factor in residence environment. Many construction companies present the new differentiation plan factors but the most basic factor should be satisfied. There is a group desire over this basic desire and there is an individual desire over the group desire. Because the individual desire is influenced and determined by many variables, it is hard to apply this desire. Hence, this paper subdivides group into several, examines the desire of these groups, and tries to meet consumer’s needs. A preference of consumer varies by age, education and income but these variables have an effect entirely. The more variables are increased, the more individual desire will be accessed. As the apartment market is changed rapidly and consumer’s need varies, the differentiated product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market segmentation. By looking at the attention of the differentiation plan factor of each group through such market segmentation, it is helpful t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y of construction companies in the future.

      • 市場細分化에 관한 硏究 : 自家用 乘用車 市場을 中心으로

        김원배 全南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8703

        本 硏究는 事前에 選定한 細分化基準 및 記述變數들이 細分市場들을 어느 정도 判別할 수 있는가를 측정함으로써 細分化變數의 適正性을 檢證하고 그 결과로써 最小細分市場들의 特性을 구하는 데에 그 目的을 두고 있다. 硏究의 對象은 自家用 乘用車 市場이며 硏究目的을 達成하기 위해 먼저 乘用車市場을 機種 및 購入時期 區分에 의해 後期 對 早期 구매자, 小型 對 中型이상 구매자, 混合構成구매자, 後期小型 對 後期中型이상 對 早期小型 對 早期中型이상 구매자로 四分化하고 31개의 細分市場組를 형성하였다. 細分化基準으로는 人口·統計 및 社會·經濟學的特性, 製品特性, 性格, 購買關聯特性, 使用關聯特性을 選定하고 47개의 記述變數들을 소속시켰다. 끝으로 細分化基準 및 記述變數를 判別變數로 하고 細分市場을 集團變數로한 判別分析을 細分化 形態別로 행하였고 최종적으로 全 判別變數를 投入하여 最小細分市場에 대한 同 分析을 수행하였다. 중요 分析結果는 다음과 같다. 1. 小型 對 中型이상 구매자 형태의 細分市場組들이 가장 正確히 分類되었다. 이는 機種別 細分化가 가장 細分可能性이 높음을 뜻한다. 2. 製品特性이 細分化基準 中 가장 判別力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구매관련특성, 사용관련특성, 인구·통계 및 사회·경제학적 특성, 성격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각 細分化 形態別로는 2∼4位 判別力 順位가 달리 나타났다. 요컨대 各 製品特性에 대한 乘用車 購買者의 態度는 그들의 소속 집단을 가장 잘 代辯하며 細分化 形態에 따라 細分化基準의 우선 適用順位가 달라져야 함을 의미한다. 3. 최종분석에 사용된 1, 2차 判別函數의 正準相關係數 및 統計的有意度가 의미있게 나타났고 전체 조사대상자의 70.71%가 正確히 소속 집단에 分類되었다. 이는 21개의 最終投入記述變數로써 4개의 最小細分市場을 어느 정도 설명·예측할 수 있으며 4 細分市場 間에 有意的인 차이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이로써 細分化變數의 適正性이 검증되었고 21개의 記述變數의 平均値를 가지고 細分市場들의 윤곽을 형성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testify the adequacy of segmentation variables, analyzing how well segmentation bases and descriptors previously selected discriminate segmented markets; as a result the outlines of the least four segments a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tudy a passenger car market is selected and is segmented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car size/earliness of purchasing made. Firstly 4 segmentation types are drawn: late vs. early buyers, small vs. above medium-sized buyers, mixed forms, late small vs. late above medium vs. early small vs. early above medium - sized buyers and 31 segmented market units are formed. Secondly 5 bases are selected: demographic·socio - economic characteristics, product attributes, personalities, product purchasing and usage patterns and 47 descriptors are allotted. Thirdly discriminant analyses are performed with segmented markets as groups variables and with bases and descriptors as discriminating variables; finally with the least four segments and with all descriptors. The main findings of analyses are : 1. The segmented marked units of small vs. medium - sized buyers are most correctly classified. It means segmentation by car size has the highest segmentability. 2. Product attributes has the highest discriminating power among bases; purchasing, usage, demo - socio, personalities lie next. But second to fourth orders are irregular on each segmentation type. These imply that car buyers' attitudes toward product attributes predominantly indicate his / her memberships and that each segmentation type has different significance order of bases. 3. The canonical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wo discriminant functions used in final analysis and 70.71% mean value of classification result show that 21 descriptors finally accepted are considerably meaningful in discriminating the least segmented markets a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our segments. By this way the adequacy of previously selected variables is verified and the outlines of segments are shaped with the mean value of 21 descriptors.

      • 시장 세분화에 따른 고객맞춤디자인에 관한 연구 : One to One Marketing에 의한 정보통신기기를 중심으로

        최인철 國民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20 세기까지 국내외의 모든 경제시장은 대부분 거대한 자본을 기반으로 다국적이며, 전문적, 집중적인 시장으로 형성되어 왔다. 가능한 많은 고객에게 한가지 물건을 판매하려는 전략 즉, 매스마케팅(대량생산 mass production - 대량유통 mass distribution - 대량판매 mass sale)의 개념이 주효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21 세기는 같은 기능이라 할 지라도 과거에 비해 수 많은 종류의 제품들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소비자 또한 세분화된 시장에서 자신의 취향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꼼꼼하게 비교하여 선택하게 되었다. 시장 세분화 현상은 기업에게 보다 넓은 시장기회와 경쟁사와의 차별화 및 시장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져다 주었고, 소비자에게는 보다 다양한 제품을 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 하였다. 그리고 시장 세분화에 따른 마케팅의 변화가 고객 중심의 마케팅을 부각시키면서 원투원 마케팅을 등장시켰다. 원투원 마케팅은 모든 고객에게 한가지의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한 명의 고객에게 가능한 많은 상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고객의 상황에 따라 차별화된 상품을 제공하고, 고객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처음 고객을 평생 고객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세분화 되고 있는 시장의 변화 속에서 고객을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는 원투원 마케팅을 중심으로 고객맞춤디자인의 모형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으며, 이 과정에서 고객맞춤디자인의 필요성 및 구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고객맞춤디자인의 실험적 적용을 통해 적용제품의 범위와 개념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에 있다. 고객맞춤디자인은 하나의 디자인 체계가 아닌 전체적인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고객의 욕구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출발하여,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모듈화 하고, 고객이 직접 디자인한 제품이 신청되는 순간 모든 데이터가 유관부서 및 협력업체로 전달되면서 제작, 조립 과정을 거쳐 고객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 과정에서 구매한 고객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다시 첫 단계로 돌아가는 과정을 갖게 된다. 시장 세분화에 따른 고객맞춤디자인은 단순한 비즈니스 유행이 아니라 한때 대량생산이 그랬듯이, 경제활동의 근본 구조를 지속적이고 냉엄하게 변화시키는 큰 흐름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고객맞춤디자인의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직접 디자인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욕구와 경제력에 부합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자신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둘째, 기업의 입장에서는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통해 자사의 이미지를 홍보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고객을 대응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셋째, 인터넷을 이용한 주문과 생산, 유통시스템이 제품의 생산기간을 단축하고 유통, 판매의 중간 마진을 최소화하여 새로운 판매방식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Up to the 20th century all the commercial markets at home an abroad have been made up of multinational. specialized and concentrated ones mostly on the basis of huge capitals. The reason was that the strategy to sell one article to as many customers as possible, that is, the concept of mass marketing (mass production - mass distribution - mass sale), was effective. In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products of various kinds despite their uniform function, are being produced in variety of design in comparison with the past, and consumers also came to meticulously compare the products and choose what was most suitable to their taste in the subdivided market. The subdivided market brought to the enterprises the advantages of a wider range of market opportunity, of the differentiation from competitors and, of being able to rapidly deal with the market change, and provided consumers with opportunity to access to a variety of products. And the change of marketing in accordance with the subdivision of market made One to One Marketing appear by highlighting the marketing centering around customers. The One to One Marketing is not to sell to customers a single article, but to sell to a customer as many articles as possible and aims to make the first customers turn into a lifelong ones by offering them differentiated goods according to their financial situation and enhancing their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eveloping the model of customers - order - design and constructing a system centering around One to One Marketing that can cope with customers one-to-one in the change in the market being subdivided, and in the process the direction toward which this study should take has been shown by conducting research into the need for the customer - order - design and its structure, and by presenting the scope and the concept model of applied products through experimental application of the customer - order - design. It can be said that the customer-order-design is not just a single design system but an integrated system. This is so because it begins by analyzing the customer's demands which then is met by creating design modules. And the moment when the customer self-designed products are ordered,all the data is sent to the concerning departments and companies so that it can go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delivery.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customer-order-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subdivision of market is not a simple business trend, but it will become a great flow that will continuously and starkly transform the basic construction of the economic activities.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when the system of the customer - order - design presented in this study is constructed ; Firstly, from the customer's position, the customer is able to purchase products fit to his/her financial capability and needs by personally participating in design, and get to express their personal tastes. Secondly, from the company's position it can publicize its image through differentiation from a rival company, and it can equip itself with competitiveness to correspond to a variety of customers and to take care of them. Thirdly, ord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through internet will shorten the production period of product and minimize the intermediate margin, creating a new way of sales.

      • 시장세분화에 의한 소비자들의 구매특성 비교연구

        김덕준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적 기업경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고객중심의 경영방침이라 할 수 있는 시장지향적 경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현대 마케팅활동의 중심은 생산된 제품의 판매에 두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의 제공에 중점을 둔다는 소비자 위주의 사고를 말한다. 즉 기업체에서는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부단히 측정하고 인식하여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것이다. 본 연구는 음료시장의 현황을 알아보고 시장세분화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깜찍이 소다」의 소비자 구매특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각 세분시장에 적합한 판매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시장세분화에 대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요소들의 상관관계 및 집단간의 차이 검증에는 카이자승(X2)을 사용하였고, 전산처리는 SPSS 방식을 채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깜찍이 소다」 음료의 가격, 내용물, 포장용기, 맛 등의 요소중에서 내용물 질적보강과 제품가격에 비해 다소 용량이 적다고 나타났다. 2) 「깜찍이 소다」 음료는 주로 마시는 연령층이 저연령층으로서 이들은 다소 습관적으로 마시게 되므로 손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판로를 개척할 필요가 있다고 나타났다. 3) 각 주거지역이나 환경별로는 구매제품에 대해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미음용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판촉활동이 필요하며, 저연령층을 대상으로한 광고 활동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나타났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고압적이고 획일적인 제품기획을 탈피하고, 시장에 대한 마케팅조사를 기반으로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부응함으로써 시장지배를 강화해 나아가야 한다. 또한 이같은 노력을 통하여 건전한 소비문화를 형성하고, 국내시장에서 경험을 토대로 국제시장에서도 문화와 생활양식이 각기 다른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자 하며, 기업의 존속과 발전을 위하여 과학적인 시장세분화기법과 시장세분화 변수들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safe say tha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in modern corporation management is marker-oriented management of consumer- oriented management policy. This means consumer-oriented consideration that the focus of modem marketing act-ivities is to put emphasis not on sales of products but on supply of goods and services to fulfill consumers' needs. Namely, it is required that corporations are sure to make a constant check and recognize the easily-changed consumers' needs. This study aims at making a sales strategy suitable for each segmented marker after understanding present status of beverage marker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onsumers' purchase characteristics about "KAMCHIG1"soda product based on the prior study results on the market segmentati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of documents and questionnaires on marker seg-mentation were carried out. In analyzing data, CHI/SQUARE is used for verification of the correlation among factors and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nd SPSS method is adopted in computer processing. The resultsof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factors of price, contents, parking materials and taste of MCHIG1" soda product, the contents is relatively small in consideration of product quality and price. 2) It shows that openning a diversified marker is needed for lower age group who are heavy user of soda product with habit, to find it out easily in the marker. 3) It shows that intensive Promotion activities over the district where is not sold "KAIVICHIG1" soda product should be required because there are somewhat differe-nces in purchasing products by each residence and circumstance, and more advertis-ement toward a lower aged group is needed. Korean companies are to break from high-handed and uniform product planning, and to strengthen market domination by satisfying consumers' diversified needs based on marker researches. Through this effort, we mark up sound consumption culture and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able to be in response to foreign consumers whose cultures and ways of life are individually different, by using experiences in domestic marker. For continuation and prosperity of corporation, the technics of scientific market segmentation with various factors should be positively used.

      • 市場細分化에 의한 齒藥市場 마아케팅 戰略의 실증적 硏究 : 全北地域을 中心으로

        장동규 全北大學校 經營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fore part of this report analyzes and Summarizes market segmentation theory of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On the base of above theory the latter part Verificates the positive analysis by the way of investication by question to consumer in Jeonbug Area and chi-square method.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various consumers get various wants because of high level education and inprovement of living condition. So enterprises need new marketing strategis which aim consumers. I hope this report help enterprises to understand the charatter of consumer of tooth paste which is the necessary of life and is absolutely important in hygiene of the mouth and to make proper market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s below 1. Most of consumers(73.2%) perchase tooth paste in supermarket. So enterprises Should give Concentrative publicity to them. 2. Consumers are interested in odor, colar and quality because they are high educated and their income is high. So enterprises should get positive marketing activity adout that point. 3. Because salary men brush teeth more than two times a day, enterprises Sould do concentrative activity to this point. On the contrdry, low income and low educated people whose teeth are not good brush teeth fewer times. So enterprises Should consider low-price and quantity on the marketing activity. 4. Most of consumers think most of tooth paste advertisements encourage consumption and are for the profits of enterprises. And 80% of consumers get the information about it from television advertisements. So the marketing activity which deals with above point is needed.

      • 住宅市場의 市場細分化에 관한 硏究 : 光州市 住宅市場을 中心으로

        이영길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tends to testify the adequacy of the house market segmentation variables and to analyze how well the segmentation bases and the descriptors previous selected discrimainate the segments marke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 segments a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71 house buyers in Kwang Ju city were conveniently sampled then, the houses held by them were dichotomized according to two criteria; the type of house the size of house. So each house is classified as a separate house or an apartment house and as a medium-sized house or small-sized house. Bases for segmenting the house-market are buyers' demographic o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roduct purchasing or usag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the product attributes. The data were acquired from the sample and the Logit model was used to find the meaningful and distinct variables influencing the individual's house-purchasing decis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oice between alternatives of the house type depends on such variables as expected return on investment, family size, householder age, school district and expected return on investment, family size, householder age, school district and experiences in migration. Second, the choice between alternatives of the house size depends on such variables as expected return on investment, family size, householder age and the buy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sociability or activeness. Third, the result of logit analysis can outline the feature of each market segment, the Apartment house purchasers have lots of experience in migration and much concern for the school district, the separate house purchasers have lots of concern for expected return on investment, large family, and high income, the small-sized house purchasers have small family, low income, and are relatively young, the medium-sized house purchasers who are generally old have high concern for investment return, and large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