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멘트리움> 프로젝트에 나타난 '순간'의 표현에 대한 연구

        김혜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250

        본 논문은 2018년 이후의 연구자의 작업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의 작업은 개인적인 순간(瞬間)을 목격하고 이를 아카이빙(archiving)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과정은 현재의 순간이 기억으로 저장되거나 과거로 잠식되어 잊혀져가는 유한한 현실에 도전하려는 연구자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 순간들을 기록한 상태 그대로 현실에 체화하여, 그 순간에 생성된 아카이브를 언제든 다시 환원시켜 재생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자 하는 고민으로부터 발생되었다. 이것은 실현 불가능한 것들을 포착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집착과 의지의 표현과 연결되며, 연구자 본인을 둘러싼 세계와 그 안에서의 본인의 삶에 대한 유한성의 집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많은 동시대 예술가들은 연구자와 같이 이전의 어떤 시대보다도 개인의 특수성(特殊性)이 반영된 삶의 형태를 적극적으로 예술에 개입시키며, 자신의 삶을 체화된 형태로 표현하려고 적극적으로 시도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일상적 시간의 연속성을 예술적 형태로 그려내는 일상 기록의 예술이 개념미술의 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자도 동시대 예술가들 중 한 사람으로서, 2007년부터 진행한 연구자의 삶에서 나타나는 물리적인 변화에 반응하는 정신적 요소, 실재적인 것과 비실재적인 것, 현존하는 것과 현존하지 않는 것, 무의식과 의식 사이의 틈에서 발현되는 특징들을 드로잉, 레진으로 제작한 부조, 투과성을 지닌 조각 그리고 텍스타일을 활용한 설치와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탐구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인간이라는 존재에게 각기 다르게 주어진, 특수성을 지닌 시간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것을 이미지화하는 데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비정형적 형태의 드로잉과 조각, 신경세포나 바다 생물체의 형상과 동적 움직임이 연상되는 설치작업, 투과성을 지닌 매체의 실험을 통해 겹겹이 중첩되는 시간성을 시각적 형태로 재현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자 작품의 형태와 매체 선택의 독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우연한 반응에 의해 출몰하는 내재적인 요소들을 이미지화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연구자는 본인이 경험한 미시적인 시간의 조각, 즉 일상적인 ‘순간’을 사유하고 탐구하게 되었다. 순간에 대한 탐구 과정의 시작은 ‘순간의 사유와 탐색이 가능할까?’라는 의문으로부터 ‘비실재적인 순간의 시각화는 과연 진정한 순간의 현실화된 표현인가?’라는 문제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더 나아가 ‘순간을 어떻게 조우할 것인가?’, ‘어떠한 실천으로서 이 순간에 접근할 것인가?’라는 보다 실천적인 물음으로 귀결되었다. 이 물음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연구자는 2018년부터 ‘모멘트리움(Momentrium)’ 프로젝트를 통해 순간에 대한 조형적 연구를 시작하였다. 포스트모던 이후의 예술이 조형이라는 자체 문제에 천착(穿鑿)하는 것을 넘어서, 문제 제기적인 활동이라는 점에서 연구자의 작업은 단순히 순간을 재현하거나 추상하는 것이 아니라, 순간에 대한 사유의 실체화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연구자가 본 연구의 소재로 사용한 ‘순간’은 일시적인 한때로서 찰나적 순간을 의미한다. 이는 물리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목격할 수 없는 성질의 것으로 데리다가 말하는 유령의 특성과 비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데리다(Jacques Derrida)는 유령(spectre)을 과학적이거나 현실성을 갖는 혹은 객관성을 띄는 모든 대립으로 빚어진 이원적 개념들을 일정한 방식으로 초과하는 양가적 속성을 지닌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유령의 속성을 밝히기 위해 유령의 논리, 즉 유령성(Hauntology) 및 해체주의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이중적인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유령적 특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유령의 특성 중 유령이 정신과 관계하며, 양가적 틈에서 출몰하며, 언제든 그 틈에서 회귀할 수 있는 존재이자 가변적이라는 점을 바탕으로 유령과 ‘순간’ 간의 개념적 유사점을 도출하고 연구자만의 순간의 성질을 정의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모멘트리움의 구성요소인 순간의 개념을 모색한다. 이와 관련하여 순간의 시각화 과정으로서 기록-아카이브 방식에 주목하고, 온 카와라와 로만 오팔카의 작품 세계를 살핀다. 기존의 작품과 차별화된 연구자의 프로젝트는 텍스트와 드로잉의 조형적 결합을 나타내는 ‘기록 이미지’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순간을 목격하는 것으로서의 재현을 넘어 순간을 현실화(現實化)하는 순간의 입체적 구현으로 진전되었으며, 회화적으로 표현된 시각 인덱스의 설정, 입체 조각과 설치, 가상현실로의 매체로 구체화되었다. 일련의 과정은 ‘모멘트리움’이라는 연구자의 최종적인 주제 의식을 구현해 나가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과제를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첫 번째 과제는 순간의 조형적 구현이라는 작품의 주제와 작업의 본질에 관해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작품을 통해 어떻게 순간을 다루고 구현하는지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설명한다. 두 번째 과제는 시간성을 지닌 순간을 어떻게 목격하고 기록하여 표현하는지를 다루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순간을 기록하는 방식과 다양한 매체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연구자의 표현 방식을 소개한다. 세 번째 과제는 조형적인 방식을 통해 순간에 영원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연구자가 ‘모멘트리움’을 구현해 내는 과정에서 창작한 작품들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어떻게 순간을 조형화하고 시간을 초월한 영원성을 부여하는지를 탐구한다. 연구자가 수행한 일련의 창작 과정은 그 자체가 ‘순간’에 대한 아카이브로 기능한다. 연구의 최종 목적인 ‘모멘트리움’을 지향하는 과정과 그 결과는 순간의 아카이브를 언제든 다시 복귀시켜 재생할 수 있는 세계를 창조하고자 하는 영원한 순간에 대한 지향으로 설명된다. 이렇듯 영원이라는 유토피아를 가상의 시공간에 현실화하는 ‘모멘트리움’의 지향은 연구자뿐 아니라 작품의 감상자에게도 연구자의 삶을 각자 재해석하고, 자신의 삶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순간들에 대한 고찰을 위한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미적 실천을 이끌어내는 유의미한 행위로 기능한다. This doctoral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work of the researcher since 2018. The researcher's work stemmed from witnessing personal moments and archiving them. This process originated from the researcher's desire to challenge the finite reality where current moments either fade into memories or are engulfed by the past. It emerged from the researcher's aspiration to manifest these moments as recorded archives in their original state, aiming to bring them back to life whenever desired. This quest aligns with humanity's inherent inclination and determination to capture the unattainable, entwined with the researcher's obsession with the finite nature of their life within their surrounding world. Many contemporary artists, like the researcher, actively involve their individual uniqueness in art more than any previous era. They deliberately integrate their lives into art, attempting to express their lives in an embodied form. In this context, the art of depicting the continuity of everyday time in an artistic form emerges as a realm of conceptual art. As a contemporary artist, the researcher has explored various mediums such as drawings, resin-made reliefs, translucent sculptures, installations employing textiles, and performances since 2007, responding to the physical changes observed in their life. These explorations traverse the realms of the mental facets reacting to physical transformations, the tangible versus intangible, existence versus non-existence, and the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the gap between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realm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researcher focused on revisiting and visualizing the significance of time, characterized by uniqueness inherent to each human being’s existence. This journey involved creating nonconventional forms of drawings and sculptures, installations evoking neural cells or marine organisms' shapes and dynamic movements, and experimenting with translucent mediums to visually reproduce the overlapping temporality, thus showcas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searcher's work in form and medium selection. In the course of visualizing the inherent elements emerging from these coincidental responses, the researcher delved into pondering and exploring the microscopic fragments of time—everyday 'moments' experienced personally. The exploration of these moments commenc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rationalizing and exploring moments is possible,' leading to a contemplation on whether 'visualizing intangible moments truly embodies the essence of those moments.' Further introspection ensued, contemplating on 'how to encounter these moments' and 'what practical actions lead to accessing these moments.' To seek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initiated a sculptural study of moments through the 'Momentrium' project starting in 2018. As art after the post-modern is a campaign of raising questions, transcending the researching of the problem of sculpture itself, the researcher's work showcases an explorative process of the materialization of reasoning about moments, transcending mere reproduction or abstraction of moments. The 'moment'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represents a fleeting instance, a temporary moment in time. Recognizing its nature as something physically unfixable or unobservable, it was liken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ter, as described by Jacques Derrida. Derrida presents the specter as having ambivalent attributes, transcending binary concepts stemming from oppositions that are scientific, realistic, or objective, with a consistent method. To elucidate these attributes, the logic of the specter, namely "hauntology," was proposed, suggesting the ghostly features that enable duality based on deconstructive methodology. Drawing from the specter's traits—its connection to the mind, emergence from the gap of duality, ability to reappear from these gaps, and its variable nature—a conceptual similarity between the specter and the 'moment' was derived. The researcher defined and interpreted the nature of moments unique to themselves based on this exploration, further probing the concept of moments, the building blocks of Momentrium. In relation to this exploration, attention was given to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moments, exploring the recording-archiving method and examining the artistic worlds of On Kawara and Roman Opalka. The researcher's distinct project diverges from conventional artwork, initiating from the amalgamation of text and drawing into 'record images.' Evolving beyond the mere representation of witnessing a moment, these images advance towards the three-dimensional embodiment of actualizing a moment, manifested through painterly visual indices, three-dimensional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and concretization into virtual reality as a medium. This sequential process encapsulates the ultimat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researcher's 'Momentrium.' In this context, the main tasks of this dissert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task involves elucidating the essence of the theme and nature of the artwork concerning the sculptural embodiment of the moment.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will analyze and elaborate on how the moment is handled and realized through the artwork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second task focuses on exploring how the moment inherent with temporality is witnessed, recorded, and expressed.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ill introduce their method of recording moments and thoroughly analyze various mediums employed in their expression. The third task revolves around how to imbue eternality to the moment through sculptural means.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specific artworks created during the realization of 'Momentrium,' the researcher aims to explore how moments are sculpted and endowed with eternality transcending time. The series of creative processes undertaken by the researcher serve as an archive of the 'moment' itself. The pursuit of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Momentrium,' is explained as an aspiration toward an eternal moment, aiming to create a world where the archive of the moment can be replayed at any time. The direction of 'Momentrium,' which seeks to materialize the utopia of eternity in a virtual space, functions as a meaningful act that elicits artistic practice through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audience to reinterpret the researcher's life and reflect on the numerous moments they encounter in their own lives.

      • 바른자세 기억운동이 경부통증을 가진 근로자의 경부기능장애지수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정민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50301

        국문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경부통증을 가진 근로자들에게 적용한 바른자세 기억운동이 경부통증 및 경부기능장애지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한 반도체 회사에 근무하는 근로자 52명을 대상으로 바른자세 기억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주 3회씩 총 8주간 진행되었고, 운동 전후의 시각통증척도와 경부기능장애지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운동프로그램을 성실히 이행한 운동완료 집단 29명과 그렇지 못한 중도하차 집단 23명으로 구분 하였다. 집단 내 변화는 짝지은 t-검정, 집단간 변화는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시각통증척도와 경부기능장애지수를 각각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바른자세 기억운동이 경부통증 및 기능장애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시각통증척도는 운동완료 집단에서 운동 전후의 통증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p<0.05), 중도하차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p<0.001). 시각통증척도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운동프로그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경부기능장애지수에서도 운동완료 집단이 운동 전후의 장애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p<0.05), 중도하차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p<0.001). 경부기능장애지수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운동프로그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경부통증을 가진 근로자들에게 바른자세 기억운동 프로그램이 경부통증과 경부기능장애지수 감소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 BIM 도입과 적용수준 분석의 주요지표 도출 및 활용 기법 연구

        정우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01146

        세계 각 국에서는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도입 및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등을 펼치고 있다. 그에 따라 BIM 도입 및 적용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현황파악, 발전방향 설정 등을 위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고서나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표들은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BIM 도입율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표이나, 표본조사의 한계점과 실제 BIM 사용빈도를 표현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몇몇 지표들 또한 그 자체의 단순비교를 하고 있어서 종합적인 도입 및 적용현황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논문은 BIM 도입 및 적용수준을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 최소한의 지표들을 선정하고 종합적인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한 차트를 제안한다. 기술 인지, 도입 전에 행동, 도입, 사용의 과정 속에 기존에 BIM 도입과 적용에는 BIM 비사용자의 인지와 행동수준, BIM 도입율, BIM 적용깊이(프로젝트 중에서 BIM을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비율), BIM 사용년도, BIM 전문성, BIM 효과(ROI)의 지표를 지속적이고 널리 사용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M 도입 이후에 상황만을 고려하기 위하여 BIM 비사용자의 인지와 행동수준의 지표는 제외하였다. 그 후, 다섯 가지 지표를 대표성, 수집용이성, 일관성의 측면으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상대적으로 대표성이 떨어지고 수집이 어렵고,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결론이 나온 BIM 효과를 제외한 네 가지 지표를 slim BIM 지표로 선정하였다. 설문결과 BIM 도입율과 BIM 사용년도는 도입에, BIM 전문성과 BIM 적용깊이는 적용에 보다 대표성이 있었다. BIM 적용깊이, BIM 전문성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 또한 분석되었다. slim BIM 차트는 slim BIM 지표들 간의 대표성, 관계의 특성을 반영하여 BIM 도입과 적용을 시각적,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였다. 다이아몬드, 삼각형, 그리고 공의 세 가지 유형이 개발되었다. 다이아몬드 차트는 네 가지 모든 지표를 사용하며, 삼각형 차트는 BIM 사용년도, BIM 적용깊이, BIM 전문성 세 가지 지표를, 공 차트는 BIM 도입율과 BIM 적용깊이(또는 BIM 전문성)를 사용한다. 삼각형 차트의 경우에는 BIM 도입율 지표를 제외하여 BIM 사용자들의 적용수준만을 파악하는데 그 특징이 있으며 공 차트의 경우, 다이아몬드 모델을 간략화한 형태로써 개발되었다. 개발된 slim BIM 차트들을 사용하여 2009년, 2012년의 북미, 2012년의 한국, 2010년의 서유럽, 2014년 인도를 분석한 결과, BIM은 2012년 북미에 가장 넓게 적용되고 있다는 점, 서유럽은 가장 깊이 BIM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2012년의 한국의 경우, 북미와 대체적으로 비슷한 BIM의 도입율과 사용 년도가 적용 깊이나 전문성에 비해 높은 특징을 보였으나, 전체적인 수준은 낮았다. 2014년의 인도의 경우는 2010년의 서유럽과 유사한 BIM 도입보다 적용이 더 높았으나, 전체적인 수준은 낮았다. BIM Engagement Index와 slim BIM 차트의 정량적 결과를 비교한 결과, 그 결과는 유사하였다. 인도의 경우에만 slim BIM 차트의 쓰임에 따라 정량적인 점수의 변동이 컸으나, slim BIM 차트는 시각적인 결과 또한 제시하기에 적합하다고 검증하였다. slim BIM 차트의 활용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Global BIM Dashboard 웹사이트(globalbimdashboard.org)를 구축하였다. 이 사이트에서 slim BIM 지표와 차트는 BIM 도입 및 적용을 파악하는데 활용된다. 또, slim BIM 지표와 차트의 지속적인 자료 수집을 위해서도 활용될 예정이다. slim BIM 차트는 최소한의 지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추후 자료를 취득할 때 보다 유리하며 보유한 자료와 목적에 따라서 세 가지 차트를 취사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시각화된 결과 값으로 그 특징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정량화된 값으로 결과을 비교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다. 추후 지속적인 자료의 축적은 BIM 도입 및 적용의 변화추이와 올바른 방향설정 파악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BIM 도입과 적용수준을 파악함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의 파악 및 선정(slim BIM 지표), 지표 자체의 특성 분석, 지표 간의 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slim BIM 지표와 특성, 관계를 활용하여 slim BIM 차트를 제안하여, BIM 도입과 적용 수준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re have been proactive movements within many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to facilitate the use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Understanding the current adoption and implementation levels of BIM in organizations and even countries and determining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have therefor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Diverse reports and research about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have generally been ongoing; however, the indices that are most widely used have some limitations. For example, BIM adoption rate is criticized for the inherent inadequacies of sample surveys and the fact that it does not represent actual daily use, while other indices show the fragmentary results. For this study, we selected the most representative indices for understanding levels of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and proposed a chart to demonstrate the comprehensive levels of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Awareness of BIM (including the reviewing of BIM for adoption), BIM adoption rate, years of using BIM, level of BIM proficiency, depth of BIM implementation, and BIM effect(return on investment) are the indices that are widely used to report on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through the technology adoption process from awareness of the new technology to the actual use of the technology. This research focuses on BIM status after BIM adoption, so the BIM awareness index, including the reviewing of BIM for adoption, was excluded. An expert surve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representativeness, collectability, and consistency of BIM adoption, depth of BIM implementation, level of BIM proficiency, years of using BIM, and effects of using BIM. The BIM effects’ results were lower than the others, so it was also excluded; the other four indices were subsequently called the slim BIM indices. According to results, BIM adoption rate and years of using BIM represent adoption status more than implementation status, while level of BIM proficiency and depth of BIM implementation reflect implementation status more than adoption statu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years of using BIM, level of BIM proficiency, and depth of BIM implementation showed that level of BIM proficiency and depth of BIM implementation are highly correlated. The slim BIM charts reflect the representativeness and relations between the slim BIM indices and provide visual and quantitative representation of the levels of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Three types of slim BIM char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purposes. In the diamond chart, all four variables are used, while the triangle chart utilizes the depth of BIM implementation, level of BIM proficiency, and years of using BIM variables, and the ball chart employes the BIM adoption and depth of implementation(or level of proficiency) variables. The triangle chart excludes the BIM adoption rate variable to focus only on BIM users’ implementation and the ball chart was developed to simplify the diamond chart. We applied the slim BIM charts to three regions, namely North America(2009 and 2012), Western Europe(2010), South Korea(2012), and India (2014). BIM had been most widely adopted and implemented in North America in 2012 but most deeply in Western Europe in 2010. In 2012, South Kora had widely adopted BIM, but implementation had been shallow. India in 2014 shared a similar status with Western Europe in 2010, but the overall level was lower than in Western Europe.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slim BIM charts were compared with the BIM Engagement Index for its validation. Generally, the results were similar, but the Indian case revealed some fluctuations. Nevertheless, the slim BIM charts compensated for this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the results. To improve the slim BIM charts’ accessibility and use, a Global BIM Dash board website (globalbimdashboard.org) was established. On this website, the slim BIM charts represents the levels of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Additional surveys will be performed via the website as well. The slim BIM char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llect data due to the use of the smallest possible number of variables with three types of variables being utilized based on their purpose and the available data. The visualized results offer instinctive representation, and comparisons can be deliveredvia the quantified results. In the future, the accumulated data and results will provide tendencies toward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and will suggest appropriate strategies for implementing BIM. The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to comprehend and select representative indices (the slim BIM indices) to understand status of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slim BIM indices. The slim BIM charts enable a comprehensive, visual understadning of levels of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 Video quality assessment based on the human visual system

        박진철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석사

        RANK : 2842

        영상통신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비디오 품질 측정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이를 위해 많은 품질 기준들이 학계와 산업계를 통해 제안되었지만 아직 만족할만한 성능을 보여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최근 에러의 가시도을 측정하던 기존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structural similarity (SSIM) metric이 제안되어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SSIM은 기존에 활발히 연구되어오던 인간시각체계의 민감도에 대한 특성을 완전히 배제함으로써 새로운한계점을 노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포비에이션 포인트로 부터의 거리, 평균 휘도 값, DCT 계수, 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된 시각적 가중치를 정의하였고 이를 SSIM과 자연스럽게 결합함으로써 성능을 개선하였다. VQEG 멀티미디어 그룹의 테스트 플랜을 이용한 테스트를 통해 본 논문의 품질측정 기준이 기존의 SSIM 보다 주관적 화질평가의 결과와 연관도가 더 높음을 보임으로써 성능 향상을 증명하였다. Recently, the structural similarity (SSIM) index metric is proposed to overcome a lack of the paradigm that measures an error sensitivity, and it is superior to the previous works. However, the SSIM exposes new limitation to determine quality score merely by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calculation, ex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visual system (HVS) about sensitivity. In the present paper, a new framework, which is called visual SSIM (VSSIM), is proposed by incorporating crucial human factors into the SSIM. The human factors are foveation, luminance, frequencyand motion information. The performance of VSSIM is evaluated by subjective quality test compliant with the Video Quality Expert Group (VQEG) multimedia group test plan. It shows that the visual SSIM is more correlated with the subjective quality result than the conventional SSIM. In addition the test result shows that the VSSIM is particularly adequate to evaluate and optimize the perceptual schemes on wireless video trans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