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개신교 목회자의 이주민 대상 목회 경험과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이원기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 목회자를 대상으로 다문화수용성을 측정하여 어떠한 요인이 목회자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목회자의 이주민 대상 목회 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목회자의 다문화수용성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 개신교 목회자의 다문화 수용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한국 개신교 목회자의 다문화 수용성은 이주민 대상 목회 경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한국 개신교 목회자의 다문화 수용성은 이주민 대상 목회 기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대, 목회기간, 목회 유형을 가진 개신교 목회자 143명을 대상으로 다문화수용성 및 이주민, 다문화사회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도구는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에서 개발된 일반인용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KMCI)를 목회자 대상 설문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통한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의 연령대와 목회사역 유형이 다문화수용성 및 이주민, 다문화사회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에 있어서는 목회자가 젊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았으며, 목회사역 유형에 따라서는 다문화목회자가 일반목회자보다 다문화수용성이 높았다. 둘째, 일반목회를 하는 목회자 중에서는 이주민 대상 목회 경험이 있는 목회자가 경험이 없는 목회자에 비해 약 10점 정도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목회자라도 이주민을 대상으로 목회를 경험할 경우 이주민들과 만나고 교류하려는 의지가 높아지며, 다문화사회에 대해 더 개방적이어 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일방적 동화 기대 요인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이 낮게 나타나, 일반목회자는 대체로 이주민들에게 한국문화에 동화되기를 기대하는 경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이주민 대상 목회 경험이 있는 목회자는 대체로 이주민을 대상으로 목회 한 기간의 길이와 상관없이 높은 다문화수용성을 보였다. 연구 분석 결과, 이주민 대상 목회기간이 3년 미만일 경우에는 3년 이상일 때보다 다문화수용성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3년 이상부터는 이주민 대상 목회기간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가 건강한 다문화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한국교회가 다문화목회자를 더 많이 양성해야 한다. 한국교회는 이주민 사역에 더 관심을 갖고 다문화목회자들을 체계적으로 양성하여 한국교회 내에 긍정적인 다문화인식이 확산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목회자가 아닌 일반목회자들도 교회 주변에 살고 있는 이주민들을 목회의 대상으로 여기고 교회로 인도하여 돌보고 양육해야 한다. 일반목회자가 주변의 이주민, 다문화가정들을 교회 공동체로 받아들일 때 그 교회의 목회자와 한국인 교인 모두 이주민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되고 다문화사회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될 것이다. 셋째, 목회자는 교인들이 우리 사회의 이주민과 다문화현상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교육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목회자가 먼저 본을 보이면서 이주민, 다문화가정들도 우리가 더불어 살아가야할 이웃임을 가르칠 때 교인들은 이주민과 다문화사회에 대해 보다 열려진 인식을 갖게 될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이러한 개신교인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변화는 한국 사회 전체의 다문화 인식이 향상되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factors affect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pastors by measuring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Korean Protestant pastors, and to find a way to promote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pastors by analyzing the effect of pastoral experiences with immigrants on multi-cultural receptiv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is study set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Korean Protestant pastor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Korean Protestant pastors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pastoral experience with immigrants? Third,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Korean Protestant pastors according to the period of ministry for immigrant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43 Protestant pastors having various age, pastoral periods and pastoral type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s, Korean Multi-culturalism Inventory for Adults(KMCI) developed for the National Multi-cultural Receptivity Survey was used through a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crossover analysis through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stors’age group and type of pastoral ministry had an effect on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and attitudes toward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 younger the pastor, the higher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and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of pastors in immigrant ministr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pastors who minister to Koreans. Second, among general pastors who mainly minister to Koreans, it was found that the pastors having pastoral experience with some immigrants have higher multi-cultural receptivity than the pastors without the experience. This result shows that even general pastors will have more willingness to interact with immigrants and be more open to multi-cultural society if they have pastoral experience with immigra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unilateral assimilation expectation factor. So, it showed that general pastors tend to expect immigrants to be assimilated into Korean culture. Third, pastors with pastoral experience with immigrants showed high multi-cultural receptivity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ir pastoral ministry for immigran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receptivity according to the pastoral period for immigrant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Korean society to be a healthy multi-cultural society, Korean churches should train more pastors specializing in multi-cultural and immigrant ministry. By training more pastors for multi-cultural and immigrant ministry, the Korean churches should approach immigrants more actively and accept them as our neighbors. Second, general pastors who are not in the multi-cultural ministry should also consider immigrants around them as neighbors, invite them to church and give them pastoral care. It is because that if general pastors have pastoral experiences with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e pastor will understand immigrants better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about the multi-cultural society. Third, pastors must take the role of educating church members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about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society. When the pastors set a good example and teach that im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also our neighbors, church members will have a more open perception toward immigrants. And in the long term, this change among Christians will have an important effect on improving the perception toward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society in whole Korean society.

      •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관계에서 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이현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 글로벌 경쟁 이후, 빠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적절하고 민첩한 기업의 대응이 점차 중요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다수의 기업이 변화에 성공하지 못하는데 조직변화에 대한 구성원 개개인의 변화수용성과 조직변화저항으로 인하여 구성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번영이 영향을 받고 이로 인해 업무수행과 몰입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즉, 구성원들이 변화를 직접적으로 수용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변화는 그 성공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조직변화를 겪은 개인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수용적 혹은 저항적 성향, 즉 변화를 대하는 태도가 선행변인으로서 직무스트레스 및 번영에 미치는 영향 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변화수용성, 조직변화저항, 직무스트레스, 번영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수용성은 번영감에 정(+)의 영향을,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주었고, 조직변화저항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번영에 부(-)의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번영감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매개변수인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간접효과를 분석하여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에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에 조직변화저항의 완전매개효과와 변화수용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에 조직변화저항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조직변화저항과 번영 간에 직무스트레스의 부분매개 및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에 직무스트레스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조직변화를 시행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the resistance and the job stress between the acceptance and the flourishing in organizational change. The survey has executed on employees in Seoul and Gyeonggi-do regarding the acceptance, the resistance to change, the job stress and the flourishing. 300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verify hypothe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ly, th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flourishing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resis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the job stress. The resis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job stress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flourishing. And the job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flourishing. Secondly, the meditating effect of the resistance to change and the job stress on the acceptance to change and the flourishing was studied by analyzing the indirect effect of the resistance to change and the job stress. The resis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was fully meditating the acceptance to change and the job stress as well as the acceptance to change and the flourishing. And there was the partial meditating effect of the job stress on the acceptance to change and the flourishing as well as on the resistance to change and the flourishing. The resistance to change and the job stress showed the double meditating effect on the acceptance to change and the flourish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受容性 觀點에서 새信者事役 硏究 : 毛羅中央敎會를 中心으로

        이병진 웨스트민스터神學大學院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는 21세기 목회현장에서 침체일로에 있는 한국교회가 회복하여 지속적으로 건강한 성장을 해가기 위한 방안을 수용성 관점에서의 새신자사역에 대한 연구에서 찾고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를 위한 문제제기와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표와 연구 방법, 연구의 의의와 연구 질문, 연구의 한계와 선행연구를 개괄적으로 설명하여 본 논문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로써 교회의 정의와 교회의 사명, 그리고 이 사명을 감당하기 위한 교회 성장의 필요성을 다루었으며, 교회성장의 종류와 바람직한 성장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또한 교회성장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새신자 사역의 개념과 신구약 성경의 근거들을 다루었으며 새신자와 수용성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새신자를 이해하기 위해서 또 그들에게 들리는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수용성과 커뮤니케이션을 다루었고 마지막으로 교회성장과 수용성원리를 다룸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고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서술했다. 제3장에서는 전도의 의의와 개념 그리고 전도의 유형을 살펴보면서 2장에서 다룬 수용성과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이 전도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살피고 복음전도에 가장 유용한 수용곡선을 도출해 보았다. 그리고 예수님의 전도와 바울의 전도가 이런 수용성을 고려한 전도사역이었음을 고찰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오늘날의 전도가 단회적이며 사건지향적인 전도사역이 되므로 인해 전도가 요구하는 본래적인 목적에 이르지 못함을 안타까워하며 과정지향적 전도사역을 고찰해 보았다. 과정지향적 전도사역의 개념과 이해를 통해 수용자 중심의 과정지향적 전도를 돌아보고 전도대상자들의 유입과 정착에 관여하는 수용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으며 수용성을 높이는 데에는 문화의 기능과 동질 집단의 특성이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를 제안해 보았다. 제5장은 수용성 관점에서의 새신자 사역의 실제적인 부분을 다룬 것으로 모라중앙교회 안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새신자 사역들을 살펴보면서 효과적이었던 사역과 그렇지 못한 사역, 수용자 중심의 사역과 그렇지 못했던 사역을 대비해 보면서 앞에서 다룬 논고들의 결론으로서의 바람직한 수용자 중심의 사역들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앞에서 다룬 논고의 결론이 새신자 사역에 큰 영향을 미침을 다루어 보았다. 제6장은 먼저 논자가 상술한 연구를 요약하였고 논지 결론을 통해서 수용자 중심의 새신자 사역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논자는 21세기 급변하는 세상과 그곳에 살고 있는 전도 대상자들을 향한 효과적인 전도사역 및 새신자 사역의 방안이 복음전파의 좋은 커뮤니케이션과 수용성에 있음을 확신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actics with which Korean churches can recover and do healthy growth continuously in depressed ministry fields of the 21st century where they are changed day by day through a study on new-comer ministry in terms of receptivity.The first chapter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by explaining problem posing, purpose, objective, method, significance, questions, limits, and previous studies of the study generally. The second chapter is theoretic consideration of the study and covered definition and missions of church, necessity for church growth to cope with these missions, types of church growth and desirable church growth. It also covered a concept of new-comer ministry, biblical bases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which are cores of the church growth, and understandings of new-comer and receptivity. In order to understand new-comer and to preach the Gospel which they listen to, receptivity and communication were covered and lastly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theoretic consideration in this study is stated by covering the church growth and receptivity principle.The third chapter examined how the concepts of receptivity and communication in the previous chapter were concerned with evangelism, and drew a receptivity curve that will be the most useful to evangelism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definition, and types of evangelism. It also examined that the evangelism of Jesus and Paul were the evangelic works which considered the receptivity. The fourth chapter considered a process-oriented evangelic work. Because evangelism of the present day have become an one-time event and event-oriented evangelic works, it couldn’t reach to its original purpose that it demanded. Through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oriented evangelic work, the study examined a recipient-centered process-oriented evangelic work, considered the receptivity which is concerned with influx and settlement for target people of evangelism, and suggested a conclusion that functions of a culture and characters of a homogeneous group had effect on increasing the receptivity.The fifth chapter covered an actual part of new-comer ministry in the viewpoint of receptivity and searched desirable recipient-centered ministries as a conclusion of arguments as mentioned in previous chapters by examining various new-comer ministries which have been done in Mora Jungang Church an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between effective and not effective ministries, and between recipient-centered and not recipient-centered ministries. And it also covered that the conclusion of arguments as mentioned before had a great effect on new-comer ministry. The sixth chapter summarized the study first and suggested recipient-centered new-comer ministry. Through the study, it is sure that effective methods for an evangelic work and new-comer ministry to the rapidly changing world and the target people who live in there in the 21st century are in the good communication and receptivity of evangelism.

      • 게임규제정책 수용성 제고에 관한 연구 : 빅데이터 및 퍼지인지맵(FCM) 정책 시나리오 분석을 중심으로

        정기용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growth of the content culture, and the occurrence of pandemics. Therefore, our lifestyle is changing. As the way of life changes, new industries emerge and grow.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is caus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The government plays a role in protecting the people from unexpected dangers and encouraging the growth of new industries.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makes efforts to reconcile social problem solving and growth of new industries. There is a need for policy design that can promote innovation and effectively regulate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nswers to research questions. “What policy measures should the government use to increase acceptance of regulatory policy in a situation where value conflicts arise due to the growth of new industries?” Based on this research background, this study selected game regulation policy as an analysis ca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esenting policy alternatives to enhance the acceptance of game regulation policy, focusing on gaming disorder. In order to prevent gaming disorder and gambling problems, which are side effects of games, the game regulation policy prioritized control and regulation, not autonomy and activation. However, the policy environment surrounding the game is changing, such as the recent change in the environment for using games and the development of a culture for using games. Therefore, it is time to design a new game regulation polic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sed a mixed research methodology that combines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analysis model was completed by applying regulatory measures, behavioral economics, and game regulation policy issues based on the policy characteristics and policy actor identified by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 on policy acceptance. As for the analysis method, first, the issue of game regulation policy was identified by using big data such as media reports and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game regulation policy. Second,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game and game regulation policy experts, and as a result, the gaming disorder and factors influencing the game regulation policy were identified. Third, based on the effect of the game and the occurrence of conflict, an analysis of policy scenarios applicable to each situ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is analysis,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improve the acceptance of the game regulation policy was suggested, and simu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xpertise of the policy scenario.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cidents related to gaming disorders and gambling problems have occurred, leading to negative perceptions of game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However, with the growth of the gam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game culture, the perception of games is changing positively. Therefor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about games are causing social conflict. Second, as a result of experts perception survey, the effects of games are perceived positively or negatively. However, regardless of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effect of the game, all oppose the introduction of disease codes for gaming disorders.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effect of the game also affected the preferred policy measures. The peculiar thing is that the self-regulation implemented in many game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is not the best policy tool as a result of the perception survey. These results differ from those of many previous studies. Third, one policy measure cannot increase the policy acceptance of all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x various policy measures. The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strategically by disclosing game influence information, implementing a policy to expand game use education, and then combining various policy measur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people who use the game and the experts who design the policy. In particular, in the democratic part of the policy process. The cause of this result was the influence of past game regulation policies. The government unilaterally introduced regulation policies, resulting in reduced trust in the government, leading to social conflic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contents of regulatory means, behavioral economics, and policy environment that were not covered in the study of policy acceptance. As a result, the effects of mixing policy measures and factors influencing policy acceptance were empirically and concretely confirmed. In addition, an analysis of policy scenarios that were not conducted in the policy acceptance study was conducted. Therefore, the policy research methodology was expanded using a new analysis method.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the acceptance of the game regulation policy, an alternative policy that can be applied to each situation was suggested, and problems with the current game regulation policy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Furthermore, while explain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future research plan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research were explain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a study to increase the policy acceptance of game regulatory policies and various new growth industry policies by conducting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과학 기술의 발전, 콘텐츠 문화의 성장, 팬데믹(pandemic) 발생 등 다양한 환경변화로 우리의 생활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삶의 방식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신산업이 등장하고 성장함에 따라 긍정적·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예상하지 못한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역할과 함께 신산업 성장 장려 및 사회 발전을 추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회문제 해결과 성장이라는 가치 갈등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혁신을 촉진하고 사회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정책설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산업 성장에 따른 가치갈등에 있어서 규제정책 수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부는 어떠한 정책 수단을 활용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해답을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최근 4차 산업혁명과 문화콘텐츠 산업의 성장에 따라 신성장 동력으로 여겨지는 게임산업의 규제정책을 분석사례로 선정하여 게임이용장애를 중심으로 게임규제정책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게임규제정책은 게임이용장애, 사행성 등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율과 활성화보다 통제와 규제가 우선시 되었으나, 최근 게임이용환경의 변화, 게임이용문화의 정착 등으로 새로운 규제정책 설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한 혼합연구방법론을 기초로 연구를 설계하였으며, 정책수용성 이론을 통한 정책 특성, 정책행위자 특성, 규제수단, 행동경제학, 게임규제정책 이슈를 활용하여 분석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게임규제정책과 관련된 언론보도, 신문기사 등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게임규제정책 이슈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게임 및 게임규제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를 수행하여, 게임이용장애를 중심으로 게임규제정책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이후, 정책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여 게임규제정책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 대안을 도출하였고, 시뮬레이션 분석을 거쳐 정책 시나리오의 전문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부터 지금까지 게임이용장애, 사행성과 관련된 사건 발생으로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이어지고 있으나, 현재는 게임산업의 성장, 게임문화의 정착 등으로 게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이므로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게임의 효과를 긍정적·부정적으로 상반되게 인식하고 있으나, 모두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에는 반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게임효과에 대한 인식차이는 선호하는 정책 수단의 차이로 이어지는데, 특이한 점은 게임선진국 및 국내에서 도입하고 있고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강조되는 자율규제가 최선의 대안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나의 정책 수단은 모든 집단의 정책수용성을 제고시킬 수 없으므로, 다양한 정책 수단의 조합이 필요하며, 게임영향력에 대한 정보공개, 게임교육 확대를 중심으로 게임효과에 따른 상황별 정책 수단을 전략적으로 도입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다만, 정책과정의 민주성에 대하여 게임을 이용하는 집단과 정책을 설계하고 집행하는 집단의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과거 게임규제정책 과정에서 정부의 일방적 규제정책 도입영향으로 정부신뢰 감소와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기존 정책수용성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규제 수단 및 행동경제학, 정책환경에 대한 내용을 조합하여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및 정책 수단 혼합의 효과를 실증적이고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방법론적 다각화로 국내 기존 선행연구에서 수행하지 않은 정책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한 점에서 정책연구 방법론을 확장한 함의를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게임규제정책 수용성 제고를 위한 상황별 구체적인 정책 대안 제시와 함께, 현 게임규제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여 정책적 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한계를 명시하면서 향후 연구과제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와 함께 후속 연구 제안을 통해 게임규제정책 및 신성장 산업에 대한 정책수용성 제고를 위한 연구의 확장을 이끌어 낸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원전부지 선정에 따른 원전수용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신규 원전부지 지역을 중심으로

        권택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8.8)에 따르면 정부는 원자력발전 비중을 점차적으로 확대하여 2030년까지 설비비중을 41%, 발전량비중을 59% 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원전은 이산화탄소 배출 문제나 발전원가 측면에서는 매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1979년 미국 TMI 원전사고, 1986년 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를 경험했다. 특히 2011.3.11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의 원전사고는 일본 국내 뿐 아니라 당시 신규원전부지 선정을 추진 중인 우리나라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으며 원전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원전에 대한 안전ㆍ정보신뢰도와 지역경제기여도란 독립변수요인과 홍보라는 조절변수 요인이 원전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원전건설 예정부지로 선정된 삼척시, 영덕군 두 지역에 대하여 원전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원전수용성에 대한 지각된 인식의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원전수용성 증진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원전안전ㆍ정보신뢰도와 지역경제기여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원전수용성을 종속변수로 채택하였으며 홍보라는 조절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만들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삼척시, 영덕군 주민 각각 147명, 130명에 대한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원전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타당성 검증결과 안전ㆍ정보신뢰도, 지역경제기여도 두 요인으로 수렴되었다. 둘째, 독립변수요인인 안전ㆍ정보신뢰도와 지역경제기여도는 원전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홍보는 안전ㆍ정보신뢰도요인과 원전수용성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홍보는 지역경제기여도요인과 원전수용성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지역경제기여도에 대한 관심보다는 원전안전에 대한 관심이 절대적으로 크게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지역경제기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삼척, 영덕지역에 대한 수용성요인과 지각된 원전수용성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인식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덕지역이 삼척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삼척은 원전후보지로 지정되는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반발로 철회된 지역으로 뿌리 깊은 반 원전 정서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원전안전에 대한 불신이 확대되는 시기에 시행된 설문조사로 인해 연구결과가 왜곡되어 일반적인 상황과 상이할 수 있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어 향후 원전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 되었을 때 본 연구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원전수용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교육 등과 같은 요인에 대한 추가 연구분석이 필요하다. National Basic Energy Plan(August 2008) in Korea says the government will enlarge the portion of nuclear power plant gradually to 41% of facility ratio and to 59% of generation ratio. Nuclear energy has near-zero carbon emission and cheaper generation cost. However there are still negative feelings for nuclear power plant from the experience of the accidents of Three Mile Island nuclear power plant in U.S., 1979 and of Chernobyl in Ukraine, 1986. Especially,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March 11 2011 created a sense of panic for nuclear energy in Korea, which was in the process of siting new nuclear power plant, and had negative influence on public acceptance of nuclear power plant. This research studies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public acceptance of nuclear power plant -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f safety and information reli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 and of the contribution of nuclear power plant to local economy, and 'influence of moderating variable' of public relations. This research is aim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public acceptance of the planned nuclear power plants in Samcheok and Yeongdeok through analysis of perceived differences i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ublic acceptance and public acceptance. From the earlier researches, a study model was established. Hypothesis sets safety and information reli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 and the contribution of nuclear power plant to local econom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public relations as 'moderating variable'.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hypothesis. 147 residents in Samcheok and 130 residents in Yeongdeok participated in the survey.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safety and information reli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 and its contribution to local economy converge as the main factors of two influencing on public acceptance of nuclear power plant. Second, safety and information reli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 and its contribution to local economy are 'independent variables'. These two factors have meaningful influence on public acceptance of nuclear power plant. Third, public relations is shown to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safety and information reli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 and public acceptance of nuclea power plant. Fourth, public relations show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contribution of nuclear power plant to local economy and public acceptance. It can be inferred that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 has become of critical concern while its contribution to local economy has become of relatively trifle concern since Fukushima nuclear accident Finally, it is shown that there is defference in perception on the factors of public acceptance and actually perceived factors of acceptance both in Samcheok and in Yeongdeok. But it appears that Yeongdeok has less difference than Samcheok. The reason can be inferred that anti-nuclear emotion has deeply rooted when the residents in Samcheok deterred the trial of designation of future nuclear power plant site in the past. As the survey was conducted when distrust of nuclear safety was expanding after Fukushima nuclear accident, the study result might be distorted from that under normal conditions. This research needs being carried out again later when feeling for nuclear energy comes back to normal. Also, further research needs considering education and others as factors of increasing public acceptance of nuclear energy.

      • 원자력 정책에 대한 신뢰와 수용성에 대한 연구 :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중심으로

        오인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 중 탈원전 정책에 대한 수용성에 대한 연구이다. 탈원전 정책을 시행하는 정부에 대한 신뢰도와 원전을 운영하는 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에 대한 신뢰도가 인식된 혜택과 인식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인식된 혜택과 인식된 위험의 탈원전 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정부신뢰와 한수원 신뢰가 직접적으로 탈원전 정책에 대한 수용성에 영향을 얼마나 미치는지,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원자력의 수용성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인인 신뢰에 대한 종합적인 측정을 하고자 하였다. 성인 남녀 4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부신뢰, 한수원 신뢰, 위험인식, 혜택인식, 탈원전 정책 수용성의 5개 차원으로 구성된 요인 모형 간에 대한 적합도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비교 검증 한 후, 경로모형을 통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정부신뢰가 편익인식, 위험인식 그리고 탈원전 정책 수용성에는 유의적으로 영향력을 미치지만, 원자력 수용성에는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기반으로 하여, 정부신뢰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한수원에 대한 신뢰가 편익인식과 위험인식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원자력수용성과 탈원전 정책 수용성에는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한수원에 대한 신뢰가 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말하는 편익·위험 모델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편익인식과 위험인식에 따라 탈원전 정책 수용성과 원자력 수용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 안산시 성인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이춘숙 성결대학교 프라임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전국에서 외국인주민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안산시의 성인을 대상으로 다문화 관련 의식을 조사하여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다양한 민족·언어·문화적 배경을 지닌 이주민이 증가하면서 상호 이질적인 문화를 경험하는 기회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현 시점에 ‘다문화 1번지’ 안산시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들 중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관심을 가졌다. 즉, 이주배경을 지닌 구성원들과의 접촉 경험이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 및 다문화 관련 활동이 안산 시민들의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안산 시민들의 다문화와 관련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다문화와 관련하여 가지고 있는 어떤 요구들이 다문화수용성과 상관이 있는지를 살폈다. 그리하여 본 연구를 통하여 논의된 것이 향후 안산시가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에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산시 25개 동의 만 19세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관련 의식을 조사하였다. 외국인주민의 거주 비율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도 상이할 것으로 판단되어 외국인주민이 전체 주민의 4%미만인 지역(집단 1)과 4%이상인 지역(집단 2)으로 나누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외국인주민과의 접촉이 많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외국인주민을 많이 만나는 집단과 상대적으로 접촉이 적은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여 외국인주민의 수와 다문화수용성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두 집단 모두에서 다문화지향성이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밝혀졌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가질수록 다양성이 높아지며, 이주민과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맺기를 원하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다문화지향성의 향상을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각된 위협인식이 보편성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 높은 지각된 위협인식은 보편성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편견과 선입견에서 비롯되는 지각된 위협인식은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에 장애 요소로 작용하므로 이를 감소시키는 다각적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선주민의 다문화 경험과 관련한 요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문화교육이나 이주민과 함께하는 활동 등에 대한 요구는 관계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집단 1에 비해 집단 2에서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때 이주민과의 접촉이 많을수록 다문화 경험 관련 요구가 높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접촉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이주민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다문화적 경험을 더 필요로 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주제어: 다문화수용성, 접촉 경험, 다문화교육, 다문화지향성, 지각된 위협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exploring the awareness of multi-culture of adults living in Ansan, which ha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Whoever living in Ansan, ‘the most multi-cultural city’, should raise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t a time when it is predicted that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different culture would increase as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grown up, whose ethnic background, language and culture are differen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ollowing among many factors that influenc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people in Ansan: firstly, whether the experiences of contact with immigrants or of multi-cultural education, or multi-cultural activities affects positively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econdly,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s. thirdly, whether the needs relevant to multi-culture is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a policy suggestion for Ansan city to establish multi-culture policy for social integration. For these purposes, I carried out the survey of the awareness of multi-culture, targeting the adults aged 19 or over in 25 administrative towns in Ansan city. Because the ratio of foreign residents seems to influenc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wo different sections. One section was the area that the ratio of foreigners was under four percent (group 1), and another section was the area that the ratio was over four percent (group 2). With this survey, the following hypothesis is verified: as Korean people contact with foreign residents more often,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comes higher. Additionally,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thedifference analysis between one group of people contacting foreigners frequently and another group of people doing so occasionally. Based on these verification, the following results are produced: firstly, multicultural directivity is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 influencing diversity in both groups. It is identified that as people have a more positive view on the changes to multicultural society, diversity becomes higher and the people want to contact immigrants more actively.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how to increase multicultural directivity. Secondly, perceived awareness of intimidation has a serious impact on universality. Highly perceived awareness of intimidation affects negatively on universality. Because perceived awareness of intimidation originated from prejudice and preconception would be an obstacle to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multilateral effort is needed for reduction of such a thing. Thirdl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needs relating to the multicultural opportunities of Korean peopl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needs of the activities with foreigners impact on relationship significantly, which is more significant in group 2 than in group 1, which seems to mean that as people contact foreign residents more often, their needs of multicultural experience becomes higher. Based on this result, it is reasonable to infer that because they contact foreigners frequently, they need multicultural experience more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foreigners. Keyword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contact experience,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directivity, perceived intimidation

      • BSC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 제고 방안 연구 : 충청남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유희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교육청에 도입된 지 3~4년 경과된 BSC(Balanced Score Card)를 기반으로 하는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수용성(acceptance)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현재 BSC의 위치를 파악하고, 향후 제도가 연착륙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조사도구를 구성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공무원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BSC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은 Duncan(1981)의 도구를 중심으로 하여, 황성원(2007), 안재호(2007), 강영철(2008), 남창우ㆍ이명숙(2008), 고석호(2009), 이석환ㆍ조주연(2010) 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조사도구의 독립변인으로는 조직ㆍ직무특성변인(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문화, 리더십)과 제도적 변인(성과관리제도 정당성, 성과관리지표, 성과관리 정보시스템, 성과관리교육 및 경영층의 관심, 보상체계, 평가결과의 연계성)으로 구성하였다. 조절변인으로는 직급과 근무처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기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여 351부가 배포되어 341부가 회수되었으며, 이중 자료선별(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총 307부이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WIN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차이검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5% 이하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남성 168(54.7%), 여성 139(45.3%)명이었고, 연령은 35세 이하가 71명(23.1%), 36~40세, 41~45세가 각각 69명(22.5%)이었다. 직종은 일반직이 236명(76.9%)이었고, 학력은 대졸이 186명(60.6%), 근무년수는 16~20년 사이가 74명(24%)로 가장 많았다. 직급은 10~8급이 103명(33.6%), 7급이 79명(25.7%), 6급인 81명(26.4%)이었으며, 근무처는 학교가 107(34.9%)명, 지역교육청 93명(30.3%)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수용성 평균 수준은 3.31점, 조직ㆍ직무특성 변인군은 3.59~3.70점, 제도적 변인군은 2.95~3.69점으로 조사되었다. 하위변인 중에서는 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4.04점, 직무의 환경이 4.02점으로 높았고, 성과평가 결과의 인식이 2.83점,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BSC의 자발적 학습이 각각 2.98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셋째, 직급에 따라 조직몰입은 p<0.001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리더십은 p<0.05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근무처에 따라서는 직무만족과 성과관리지표는 p<0.05 수준에서, 성과관리교육 및 경영층의 관심은 p<0.01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과의 상관관계는 조직ㆍ직무특성군의 4개 변인(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문화, 리더십), 제도적 변인군 6개 변인(성과관리제도 정당성, 성과관리지표, 성과관리 정보시스템, 성과관리교육 및 경영층의 관심, 인센티브, 평가결과의 연계성)들과 모두 p<0.001의 수준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수용성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설명력을 규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결정계수 R2 값이 0.543(F값: 89.737, p=.000)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성과관리 정보시스템이 β 값 0.363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결과의 연계성(β=0.276), 성과관리제도 정당성(β=0.210), 인센티브(β=0.142)순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BSC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충청남도교육청 공무원들의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수용성 수준,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인식 및 직무 환경은 높게 나타났으나, 성과평가 결과의 인식, 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BSC의 자발적 학습은 아주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높은 수용성 수준에 부응하는 성과관리에 대한 교육과 자발적인 학습 분위기 조성, 정보시스템 개선 등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직급에 따라서는 조직몰입과 리더십이, 근무처에 따라서는 직무만족, 성과관리지표, 성과관리교육 및 경영층의 관심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므로,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지라도 직급별, 근무처별 처치를 달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조직ㆍ직무(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문화, 리더십)변인과 제도적(성과관리제도 정당성, 성과관리지표, 성과관리 정보시스템, 성과관리교육 및 경영층의 관심, 인센티브, 평가결과의 연계성) 변인들을 긍정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조사대상자들의 높은 수용성을 바탕으로 성과관리 시스템의 주기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시행착오와 불일치를 시정하고, 성과평가결과를 사업예산, 조직관리, 승진과 전보 등 인사제도, 성과상여금, 보수와의 연계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우수한 결과에 대한 실질적이고 과감한 인센티브제를 법ㆍ제도로서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

      • 수용성 고분자 담체를 이용한 식물성 스테롤의 수용화 연구

        이명선 수원대학교 공학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및 보습 효과 등의 다양한 생화학적 기능을 갖는 식물성 스테롤은 그 자체로 난용성 물질이기에 물리적 한계로 인하여 산업적으로의 이용에 제한을 받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물성 스테롤인 β-시토스테롤과 수용성 고분자 담체(Polyethyleneglycol, PEG)와의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물에 용해되는 수용성 스테롤 치환체(hydrophilic β-sitosterol derivatives, HPS)를 합성하였다. 또한, 반응 몰 비 및 Work-up 공정을 조절하여 수용성이 뛰어난 Mono 형태인 HPS를 합성하였다. 1H-NMR 및 MALDI-Tof를 이용하여 구조 및 평균 분자량, 분포도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분자량의 PEG(1000, 2000, 4000)에 따른 HPS의 용해도를 비교·분석하였고, 표면 활성 특성을 측정하여 계면활성제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Phytosterol is known to have various biochemical functions such as cholesterol lowering effect and moisturizing effect. However, insolubility of phytosterol has hindere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this study, the hydrophilic derivatives of β-sitosterol (HPS) were synthesized by the esterification reac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and β-sitosterol. In addition, HPS of mono type were synthesized by controlling molar ratio and work-up process. The chemical structure,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distribution of isomers in HPS were characterized by 1H-NMR and MALDI-T of. The water-solubility of various HPSs prepared from PEG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 were analyzed. Surface activities of HPSs were also investigated by measuring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surface tension and contact ang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