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 연구

        윤미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교수-학습 모형과, 그에 바탕을 둔 논술 쓰기의 절차 및 전략을 구안하여 논술 지도의 한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과 교육은 미래의 정보화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고등 사고 능력을 키워 줄 의무가 있고, 논술이 그러한 고등 사고 능력을 키워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논술 교육은 중요하다. 논술 교육의 목표는 학생들이 당면한 문제를 깊고 넓게 바라보고, 그 문제에 대한 자신의 성찰 결과를 사고의 순서에 따라서 논리적 방식으로 표현해 내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논술 교육은 문제 해결 과정 중심, 학습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논술의 본질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술에 관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도 방법으로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논술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논술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Ⅱ장에서는 논술의 본질과 논술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 이 연구의 기반이 되는 과정 중심·대화 중심·장르 중심 쓰기 지도 이론, 학습자 중심·과정 중심 읽기 지도 이론, 그리고 독서와 작문의 통합 지도 이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논술 지도 모형과 절차를 제시하고, 구안된 논술 지도 모형을 적용한 학습 지도 과정과 지도 방법을 상세히 서술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이 연구의 효과와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끝으로 제Ⅴ장에서는 이 연구의 연구 과정을 요약하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가 전통적인 결과 위주의 논술 지도에 비해 학습자의 논술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수준별로는 상위 수준의 학생에 비해 중위와 하위 수준의 학생에게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가 학생들의 논술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 구안되고 적용된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 모형과 활동들이 논술 지도의 목적과 운영에 적절하고, 흥미 있고 유익하다는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과정과 결과를 분석해 볼 때, 이 연구는 논술 교육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독서와 작문의 통합을 논술문이라는 텍스트 유형을 중심으로 하여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독서와 작문을 통합하여 지도해야 한다는 통합 언어 교육의 관점을 수용하여 소설 텍스트 읽기와 논술문 쓰기의 통합을 논의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지도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논술 지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설 텍스트를 활용한 논술 지도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일선 교육 현장에서의 논술 교육의 방법적 개선과 논술 지도의 전문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teaching on writing essay through the exploration of teaching-learning models which make use of novel texts and the procedure and strategy of writing essay based on them.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 has the responsibility for enhancing students' higher thinking ability in the future and informed society so there exists the significance of writing essay for which could reinforce superior thinking power. The instruction of writing essay aims to build up students' capability to recognize problems at hand with profound and extensive point of view and manifest the product of their thought of them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thinking with logic.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eaching on writing essays should be practiced toward the process of problem-solving and learners. This thesis makes an attempt to offer a teaching technique which is taking advantage of novel texts as a more practical and concrete method considering the essence of writing essay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questions set for this goal are the following: first, does the teaching program using novel texts in relation to writing essay have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writing skills? second, does the program mentioned above affect students' writing attitude desirably?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econd chapter investigates the essence of writing essay and its advisable direction and examines such teaching theories, which would become the matrix of this study, as process, dialogue and genre-centered theory, learner and process-centered theory and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e third chapter shows a model of teaching on writing essay and its procedure and describes teaching process and methods in which the argued teaching model on writing essay is applied in detail. The fourth chapter corroborates the effect of this study and its educational usefulnes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ult from before and after-examin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ble one. Lastly,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whole process of studying and proposes conclusions. The conclusions generated from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teaching method which is exercised with novel texts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writing essay skill than traditional method which mainly put the weight on result. According to a general standard the method is more helpful for middle and low-level students than high-level ones. Second, students' attitude on writing essay has effectively changed into positive way due to the teaching method which is using novel texts. In addition, learners' reponses that teaching models and activities which are examined and applied in this study including using novel texts are right for the purpose and management of teaching on writing essay, interesting and beneficial could be approved. Followed the analysis of the procedure and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has meanings with regard to the education of writing essay like the following: First, it is significant that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writing essay is argued with focused on text type. This study embraces the view of unified language education, discusses the integration of reading novel texts and writing essays and offers the specific teaching methods.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develops teaching model which takes advantage of novel texts and that this study provides concrete materials so that they could be applied in actual teaching on writing essa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ethodological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of writing essay on educational spot and reconsideration of expertise on teaching on writing essay by showing the possibility of teaching which adopts novel text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Korean Language Education) in February, 2004.

      • 소설텍스트 수용 과정의 전략화 방안 연구 : 수용이론의 '빈자리 메우기'를 중심으로

        황성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습자의 주체적 수용능력 향상을 위한 소설지도 방법을 구안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를 위하여 수용이론을 부분적으로 원용하여 실제적 전략을 모색하였고, 그것을 실제 지도를 통해 검증하였다. 수용이론의 ‘빈자리’는 잉가르덴과 이저가 주장한 독서행위에 대한 핵심개념이며, 독자의 창조적 읽기를 가능하게 하는 텍스트 내의 공백이다. 독자는 텍스트 속에 나타난 ‘빈자리’를 효과적으로 메우는 작업을 통해 소설텍스트를 효율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제 2장에서는 수용이론과 문학교육이라는 큰 줄기에서 시작한다. 먼저, 수용이론은 독자의 주체적인 독서를 강조한다. 그리고 그러한 독자의 권한이 강화되는 것은 텍스트가 마련해 놓은 ‘빈자리’ 때문이다. 독자가 작품을 수용하는 과정은 문학교육에서 학습자가 텍스트에 있는 ‘빈자리’를 메우는 행위와 같다. 문학작품을 수용한다는 것은 수용하는 주체인 학습자의 기대, 경험, 지식, 선입관, 사고, 환경 등이 포괄적으로 개입되어 이루어진다. 작가나 텍스트에게 부여했던 절대적인 권위가 독자에게 주어짐으로써 독자는 작품에 대한 심미적인 감상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제 3장에서는 소설텍스트 수용의 원리와 전략화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텍스트의 수용은 ‘대화의 원리’와 ‘예상과 회상의 상호작용 원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소설텍스트의 수용은 독자와 텍스트의 대화에 의해 구체화되고, 그러한 독서 행위 속에서 독자는 끊임없는 예상과 기억을 하게 된다. 이 두 가지 원리를 기반으로 텍스트 수용과정을 전략화 하였다. 먼저 인지적 차원의 수용 전략은 예상-검증하기, 방해 제거하기로, 정의적 차원의 수용 전략은 생체험과 연결하기, 자기 생각 비교하기, 심적 영상 그리기와 같은 방법으로 채우게 된다. 독서를 하는 독자는 텍스트의 세부 국면에서 독자의 세계와 삶이라는 열린 국면으로 나아간다. 제 4장에서는 구현된 전략을 소설교육에 실제화 하였다. 연구자는 전략을 교수·학습에 적용하기 위해 ‘지평 형성→지평 전달→지평 전환→지평 확장→지평 확인’으로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먼저 지평 형성 단계는 학생의 초기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지평 전달 단계는 텍스트를 읽으면서 인지 전략에 따라 텍스트의 빈자리를 찾는 과정이며, 지평 전환 단계는 메우기 방법을 통해 빈자리를 스스로 메워보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지평 확장 단계는 수용자의 지평과 텍스트의 지평이 융해되어 한층 고양된 지평을 형성하는 과정을 말하며, 마지막으로 지평 확인 단계는 자신의 독서를 성찰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구안된 모형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남 예산군 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연구 집단과 비교 집단을 선정하여 연구 집단에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투입하였고, 비교 집단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분석적 수업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연구 절차에 따라 소설 읽기 능력 검사와 태도 검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결과 처리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교육의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의 소설 교육을 지향해야 하며, 빈자리 메우기를 통한 소설텍스트 수용 과정의 전략화가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소설 읽기 능력 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임으로써 빈자리 메우기를 통한 소설텍스트 수용 과정의 전략화 방안이 소설 읽기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소설 흥미도 검사와 학습 효능감 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임으로써 수용이론을 통한 소설텍스트 수용 과정의 전략화가 소설교육의 정의적 목표를 실현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자아 존중감 및 발표력 검사에서는 두 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자아 존중감이나 발표력이 단기간에 향상될 수 있는 학습 태도가 아니라고 판단되며, 학생들의 자유롭고 능동적인 학습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각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어느 한 가지 교수·학습 방법만으로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는 없으므로 소설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밝혀두고 싶은 것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을 이루고 있는 수용이론이 학습자들의 문학 감상능력 향상과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을 위해 절대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수용이론이 독자의 존재를 처음으로 발견하는 공적을 세웠지만 텍스트가 우수한 작품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 즉 텍스트의 질에 대한 문제를 제쳐두고 독자의 무한한 해석의 자유만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독자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작가의 존재가 무시된다. 그리고 작가에 의해 의미가 명백히 형성되어 있는 작품의 존재를 설명하기가 어렵게 된다. 필자는 이러한 이론적 불충분을 인정하면서도 문학작품 감상에 있어서 독자의 존재를 처음으로 발견한 그 공로를 높이 평가하며, 수용이론에 대한 연구가 한 때의 유행적인 모습으로서가 아니라 당연한 논리로서 조용하고 설득력 있게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to devise a strategy to help improve a student's independent reading ability. This strategy is based on the 'Reception Theory' and is verified through applying the theory to real teaching. 'The Blank of text' in 'Reception Theory,' advocated by Ingarden and Iser, is the central concept of reading activity. It is the blank of text which enables readers to read creatively. The reader effectively appreciates the literary production by fill up the blank of text in the work successfully.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Reception Theory in literary education. Reception Theory stresses on the reader's independent reading. Thanks to the 'The blank of text' method which uses rigorous testing, the reader can absorb the text in his own way. The reader absorbs the work by filling in the blank of text. To appreciate a literary work, the reader uses his or her anticipation, experience, knowledge, prejudice, thoughts, and environment. A reader can effectively appreciate a literary work by sharing the absolute authority given to the author or the text. The third chapter focuses on the principles of reception of a novel text and on a plan for how to make it a strategy. Reception of the text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dialogue and of mutual response. The reader's reception is embodied in the dialogue between a reader and a writer. In this act of reading, the reader constantly makes anticipation and retrospection. Materializing the strategy of the text reception is based on these two principles. First, a strategy of the reader's cognition requires anticipation-verification and obstruction removal. And the dimension of imagination is filled with strategies like connection with real experiences, comparing one's own thoughts, and drawing mental images. While reading the reader progresses from the detailed aspect of the text into the wide-open aspect of life and the whole world. In the 4th chapter, the devised strategy is realized in literary education. To apply the strategy to instruction and learning, a class model is designed using a sequence of forming a horizon of expectation → delivering a horizon of expectation → transforming a horizon of expectation → verifying a horizon of expectation. The first step is identifying the initial state of a learner. The next step is finding a 'Blank of text' in a text using a cognition strategy. In the transforming step, the reader employs the filling strategy by filling in the 'Blank of text' on his or her own. The process of enlarging a horizon of expectation involves seeking in the text and comparing what he find with what the reader has already established. Lastly, the verifying horizon of expectation is the process in which the reader exams his own reading. After building the model, we analyzed how the strategy was actually being applied in this model.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learner abandons the attitude of clinging only to the text. He or she readily applies his or her own experience and that of other people. They also have an aggressive problem-solving attitude through anticipation, and they try to deepen their aesthetic sense by breaking away from a simple appreciation and by approaching the matter of people's values and ideology more profoundly.

      • 근대 소설의 형성과 삽화 연구

        공성수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2319

        This thesis studies the illustration(image) that depicts scenes of a serial of stories(text) in a newspaper. Particularly serial–story–illustrations in the formative years of the modern literature in Korea is focused in this study, because it could have influenced the establishing of the Korean modern novel and the modern readers. The illustration represents the event or the action of a story, or shows visual images of various effects that a narrative makes. Naturally these pictures have so-called a narrativity, and we can analyze them by applying the narrative theories. Moreover, the illustration assumes a special role in the narrative communication. The illustration(illustrator) is the first receiver(reader) of the message(story) from a writer, at the same time it becomes a new creative sender(painter). Therefore, if we study the representation mechanism of the illustration, we can understand what happens in the narrative communication between image and text. The illustration in the formative years of the modern literature has special functions in the narrative communication. First, it guides readers to the story by representing important plot-points. And its visual images can help the readers to enjoy the spectacle scenes and make them understand the progress of the story. The readers who are not accustomed to reading the modern novels can learn how to read them by the illustration. Besides, it shows concrete image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tory, and complement the narrative causality and reality. Therefore, the illustration has a conversation with the story in the newspape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m is very intertextual. The image reflects on the text, and the text refers to the image. The imag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text, but the text becomes incomplete without the image. This is why we have to study the illustration with the story. │Key words│ illustration, newspaper novel, modernity, image, text, narrativity, representation, narrative, communication, intertextuality, virtual reality. 한국 문학사, 더 나아가 한국 예술사의 공간에서, 소설 삽화는 여전히 미지의 것으로 남아있다. 삽화는 예술 장르라는 규범적이고 권위적인 장벽이 드리우는 그늘 속에 가려지거나, 혹은 그저 상업적이고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치부되기도 했으며, 또는 이도저도 아닌 잡종의 장르로 무시되곤 했다. 삽화는 거의 언제나 주류 장르의 연구를 위한 부수적인 자료로만 여겨져 왔고, 자료창고에 수집되어 축적되는 데이터 정도로만 간주되었다. 소설 삽화가 그 자체로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대우받았던 적은 지금까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소설 삽화를 대하는 이와 같은 연구 풍토가 실은 범주화와 제도화를 통해 권력을 재생산했던 근대 사회의 논리와 기묘하게 닮아있다는 점은 어딘지 씁쓸하다. 우리는, 끊임없이 나누고 분할하고 고립시키며, 때로는 배제하고 동경하게 만드는 이런 논리들이 근대적인 권력 유지의 중요한 장치로 사용되어 왔음을 목격해왔다. 더구나 지배적인 논리에 오래도록 노출된 소수자들과 그들의 예술이 스스로 열등감에 사로잡혀 주눅 들거나, 혹은 세계에 대한 막연한 적대감으로 고통 받는다는 점은 더 큰 문제다. 많은 삽화가들이 자신의 직업을 부끄러워하거나, 때로는 그것이 단지 일시적인 역할에 불과했음을 강조하면서 다른 일들을 찾아 떠나기도 했다. 하지만 바꿔 말하면, 삽화 생산자들의 이와 같은 자괴감은 근대적인 권력으로부터 배제되어 스스로부터 소외되어 왔던 근대인의 자화상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반동(反動)의 움직임이 여기저기에서 나타나고 있다. 문학이 자신의 성벽을 높이 쌓아올리고 의기양양해 하는 동안, 이미지는 대중들에게 친근하고 일상적인 매체로 자리 잡았다. 시각적인 매체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심각하고 긴 문장 대신 짧지만 직관적인 영상을 선호하게 되었다. 지하철 안에서 책 대신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소설 대신 짧은 웹카툰(web cartoon)을 다운로드 받는 사람들은 변화하는 시대의 매체 특징을 간명하게 보여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제는 오히려 소설의 죽음, 문학의 죽음을 걱정할 정도다. 짐짓 심각한 얼굴로 문학은 자신들의 종말을 걱정한다. 그러나 뒤집힌 세태를 탄식하는 요란한 호들갑이 이미지의 급작스러운 역습(逆襲)을 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 이미지는 언제나 늘 문자 옆에서 함께 존재해왔다. 그저 한동안 가려지고 폄하되어 왔을 뿐, 실제로 텍스트 공간에서 이미지가 완전하게 사라진 적은 없었다. 그림이 문자인 시대가 있었고, 도상이 신성(神聖)을 대신한 사회가 있었으며, 또 시서화(詩書畵)를 굳이 분리할 필요가 없었던 시기도 있었다. 물론 이미지 중심의 세계와 문자 중심의 세계는 서로 헤게모니를 쥐기 위해 대립하기도 했지만, 그러나 대부분 그것들은 성공적으로 타협하면서 서로 공존해왔다. 문자와 이미지가 서로 다른 미적 체제로 갈라진 채 소통 불가능한 상황까지 치달았던 것은 사실 그 시기가 얼마 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그동안 가려지고 소외되었던 타자로서의 ‘삽화’에 대한 정당한 복권을, 혹은 이미지와 문자 사이의 건강한 공존을 모색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고의 관점에서 소설 삽화는 자족적이며 완결된 텍스트로서 존재하며 그 자체로 미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소설 삽화의 내재적인 질서를 규명하고, 그것이 소설 서사와 관련 되는 외재적 맥락을 탐색하는 것은 본 연구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소설 삽화의 의미를 정의 한다면, 그것은 ‘소설 언술을 통해 드러나는 다양한 서사적 요소들과 효과에 대한 시각적 재현 텍스트’로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소설 삽화는 소설 속의 언술들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사건이나 행위가 발생하고 있는 시공간을 구체화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핵심은 소설 삽화에 나타나는 회화적 재현의 본질과 양상을 밝힘으로써 삽화의 미적 특질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삽화와 소설 사이의 특별한 관계를 찾는데 있다. 더 나아가, 삽화와 소설 사이의 관련을 탐색하는 이러한 연구가 궁극적으로는 그림 텍스트와 글 텍스트 사이의 상호소통적인 결합에 관한 이론적 ・ 개념적인 논의와 맞닿아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문자 언어와 비언어적 도상이라는 전혀 다른 언어 체계의 공존 방식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로 소설과 삽화를 이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미지와 문자가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 중에서도 특별히 글 텍스트에 대한 그림 텍스트의 재현과 형상화 원리를 밝히는 데 있어서, 소설 삽화는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언술이 그림을 뒤따르는 그림책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생산되는 소설 삽화는, 글 텍스트에 반응하는 그림 텍스트의 특별한 대화 방식을 보여주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서사적 소통의 구조 속에서 본다면, 소설 삽화는 소설과 삽화, 독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특별한 서사적 커뮤니케이션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테면, 메시지의 생산자와 수용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커뮤니케이션 과정 속에서 삽화를 바라볼 때, 소설 삽화는 대단히 특별한 지위를 얻게 된다. 소설 언술로 재현되는 서사적 메시지를 회화적 이미지를 통해 독자에게 재전달하는 점에서, 삽화(가)는 소설(가)이 생산한 메시지를 수용하는 최초의 독자인 동시에, 그것을 재해석해 새로운 형식으로 재현하는 제2의 작가로서의 위상을 부여받게 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관점에서라면, 소설 삽화는 단순히 독립적인 미적 체계로서만 아니라, 소설 서사에 대한 메타적 텍스트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소설 서사가 텍스트의 내부에서 서사적 요소를 구성하고 그것들을 특정한 법칙에 따라 조직하며, 텍스트가 상정하는 이상화된 독자들의 취향에 맞도록 이야기를 전달하는 방식들은 자연스럽게 메타텍스트로서의 삽화 이미지 속에 반영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삽화 연구는 근대적 서사문학 형성기의 한국 소설의 변화를 재구하는데 있어서도 긴요한 작업이 된다. 신소설, 번안소설, 그리고 근대소설과 함께 연재된 삽화들이 결국에는 당대 소설의 내적인 미美의 형식을 반영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소설 삽화의 사적史的 변천에 관한 끈기 있는 추적이 종국에는 근대적 독자의 탄생과 만난다는 점도 이 논문의 중요한 논의 대상이다. 소설 삽화의 등장이 실은 근대적 독서 텍스트에 대한 시대적 기획과 맞물려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보자. 그렇다면 근대적인 독자의 탄생, 요컨대 낭독의 습관에서 벗어나 묵독의 형식에 더욱 익숙해지고, 독서라는 행위가 단순히 누군가가 대신 읽어주는 이야기를 전해 듣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해 얻는 개인적인 체험을 향유하는 일임을 깨달은 새로운 독자층의 형성이 소설 삽화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드러날 것이다. 서사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소설 삽화는 그 자체로 이미 하나의 개별적인 독자라는 사실을, 그리고 동시에 그것은 자신에 대한 이상화된 독자를 가정하고 그들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텍스트를 생산하는 제2의 작가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결국, 소설 삽화란 근대적인 의미의 독자를 위한 독서 훈련의 교본이고, 대상 독자의 수준을 반영하는 척도이며, 또한 개별적인 실제 독자의 반응 그 자체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론 소설 삽화의 시대적 의미는 삽화가 다른 수많은 외부의 담론들과 관계하고 소통하는 방식을 바라봄으로써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는 사실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삽화가 매체와 담론, 자본의 성립과 예술 장르의 변천, 또는 미술사와 관련될 수 있는 여러 가능성들을 모색해볼 것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 본고는 1910년대 초반에서 1920년대 중반에 이르는 시기, 한국 소설 삽화의 도입과 전개의 시대를 대상으로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특히 이 시기는 다양한 가치들이 함께 충돌해 서로 헤게모니를 쥐기 위해 경쟁하거나, 혹은 공존을 모색했던 그러한 시기였다는 점에 주목해보자. 혁신적인 매체의 등장과 새로운 장르적 정체성이 형성되던 바로 그 시기, 소설과 삽화, 그리고 다른 연관관계에 있는 매체들을 함께 살펴보는 일은 새로운 탈脫장르의 예술사(藝術史)를 기획하고 있는 본 논문의 관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키워드│ 신문연재소설, 삽화, 신소설, 번안소설, 근대소설, 근대, 상호텍스트성, 은유, 환유, 교섭, 장르, 매체, 소통, 공간, 재현, 형상화, 상업예술, 허구적 리얼리티, 서사, 담화, 스토리, 서사적 소통 구조, 독자, 채트먼, 안석주.

      • 소설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문화교육 방안 연구

        정원기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논문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반목적의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연구한 논문이다. 그동안 일반목적의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문화교육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교육의 도구이거나 그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예전과 다르게 일반목적의 외국인 학습자들도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한국어를 학습한다. 이러한 것을 고려할 때 일반목적의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 문화를 교육함에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외국인 학습자의 목적에 맞는 문화교육 목표를 설정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행 한국어교육에서 일반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문화교육과 차별성을 둔 한국 문화교육 방안을 연구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차별성이란 일반목적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등급에 맞는 문화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한 목표에 따라 단계(이해, 적용, 생산, 평가)를 적용하여 문화교육을 위한 제재로 한국 현대 소설을 활용하여 문화를 교육하는 것이다. 현행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문화를 교육할 때 사용되고 있는 교재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문화교육용 교재와 한국어교육용 통합 교재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문화교육용 교재의 경우 문화의 범주가 체계적이지 않고, 문화 항목에 대한 해석이 주관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고, 한국어교육용 통합 교재의 경우 각 기관의 교재마다 교수요목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화’의 명칭이 다르게 제시되어 있고 또한 제시된 문화가 해당 단원의 주제, 기능과 연관성이 없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제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해당 문화를 학습할 때 문화를 인지하는 것이 아닌 제시된 기능별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문화와 관련된 텍스트 자체만을 이해하는 차원에서 끝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일반목적 외국인 학습자들이 이해, 적용, 생산, 평가의 단계를 거쳐 스스로 해당 문화 항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당 문화가 잘 드러난 소설 텍스트와 그에 따른 의사소통 중심의 다양한 활동을 제시할 것이다. 이는 일반목적 외국인 학습자들이 해당 문화를 올바로 인지하여 의사소통 상황이나 담화 상황에서 올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위의 교육 방안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사를 통해 Beacco(2000)에서 제시하고 있는 여러 문화 개념 중 ‘문화적 개념’에 초점을 맞추고 그에 따른 문화 교육 목표로 외국인 학습자들의 모든 등급에서 적용되는 ‘공통적인 목표’와 외국인 학습자의 ‘등급별 세부 목표’ 두 가지로 나누었다. 본 논문에서 선정한 문화 항목의 경우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모형 2단계를 참고하여 성취문화, 행동문화, 정보문화 세 가지로 문화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세부 문화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문학 텍스트 선정 기준과 관련된 연구사를 참고하여 선정된 문화 항목 교육의 제재로 사용할 소설 텍스트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선정 기준 역시 문화 교육의 목표와 동일하게 두 가지로 제시하였는데, 하나는 모든 급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통 기준과 등급별 세부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위의 선정 기준에 맞게 각 등급에서 문화 교육의 제재로 활용할 소설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목적 외국인 학습자에게 문화를 교육할 때 단계를 적용하여 문화 교육의 제재로 소설 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문화 교육 방안과는 차별성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고, 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을 반영한 문화 교육 방안 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한국 문화 교육 연구와 한국 문학 교육의 연계를 모색하였다는 점에서도 또 다른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김승옥 소설의 중편소설화 과정 연구 : 1966-1969년을 중심으로

        권상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고는 1966~1969년 사이에 창작 및 연재된 김승옥의 중편소설이 그의 초기 단편소설과 상호텍스트적인 맥락에서 탄생한 작품으로 보고, 김승옥 소설이 ‘중편소설화’되는 과정 속에서 상호텍스트성이 어떤 식으로 발현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까지 김승옥과 관련된 논의들에서 김승옥이 초기 단편소설 위주의 창작을 하다가 중편소설을 창작 및 연재로 전향하게 된 이유로 그 당시 김승옥의 생계가 어려웠다는 그의 회고에 의존하고 있어 충분한 설득력을 지니지 못했다. 거기에 한국문학사에서 중편소설은 단편소설과 장편소설의 중간자적 성질을 지닌 소설의 형식으로 이해되고 있어, 중편소설은 단편소설과 장편소설에 대한 논의에 비해 양적·질적으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로인해 김승옥과 그의 소설에 대한 논의가 초기 단편소설들에 치우쳐지거나 김승옥의 전체 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본다. 본고는 2000년대 이후 김승옥 연구에서도 발견되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2장에서는 김승옥 본인의 초기 단편소설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김승옥의 작가의 말, 수상소감, 인터뷰와 같은 그와 관련된 부차적인 자료들을 살펴보았다. 흥미롭게도 해당 자료들을 읽다 보면 하나의 공통된 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해당 언급들은 「내가 훔친 여름」(1967) 이전까지 써왔던 소설이 모두 단편소설이라는 김승옥 본인의 언급에서 출발한다는 점이다. 본고는 김승옥의 회고를 바탕으로 하여 그가 초기 단편소설에서 느낀 한계가 무엇이며, 그것이 「다산성」과 「빛의 무덤 속」을 창작 및 연재하게 된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규명을 시도하였다. 본고는 김승옥 소설의 주요한 개념이자, 등단작 「생명연습」의 주된 키워드인 ‘자기세계’가 김승옥이 느낀 초기 단편소설의 한계와 관련이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자기세계’가 다소 모호한 개념인 탓에 기존의 논의들에서 선택한 방법은 ‘자기세계’ 그 자체에 대한 면밀한 탐구보다 김승옥이 ‘자기세계’라는 개념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던 작가 혹은 인물의 출생이나 성장과정과 같은 자전적인 기록들에 주목하여 다소 우회적인 방법을 통해 ‘자기세계’의 의미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즉, 김승옥의 의도는 독자 혹은 논자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했으며, 김승옥은 이를 인지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다산성」과 「빛의 무덤 속」이 초기 단편소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소설적 실험이 처음으로 행해진 작품이자, 초기 단편소설과 중반기 이후 중편소설의 과도기적인 위치에 놓여있는 작품으로 보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산성」과 「빛의 무덤 속」은 김승옥이 처음으로 ‘에피소드식 구성’을 채택한 소설에 해당한다. ‘에피소드식 구성’은 단편소설에는 적합하지 않은 서사구성으로, 김승옥은 「다산성」과 「빛의 무덤 속」을 연재하며 초기 단편소설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를 함과 동시에 의도적으로 중편소설화를 꾀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김승옥의 의도는 「다산성」과 「빛의 무덤 속」의 연재를 중도에 포기하며 충분히 드러내는 데 실패하였다. 3장에서는 「내가 훔친 여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김승옥은 「다산성」과 「빛의 무덤 속」 연재를 중도에 포기하며, 초기 단편소설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비춰졌다. 그러나 김승옥은 곧바로 다음 해에 중앙일보 중편 5인 릴레이의 선두주자로서 「내가 훔친 여름」을 연재하기 시작하였다. 즉, 「내가 훔친 여름」은 「다산성」과 「빛의 무덤 속」의 실패로부터 재출발하기 위한 작품이었다고 볼 수 있어 주목을 요한다. 이때 김승옥이 「내가 훔친 여름」을 연재하며 새로운 대안으로서 가져온 방법이 바로 상호텍스트성이다. 상호텍스트성은 독창적인 텍스트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시각을 견지하는 것일 수 있지만, 본고에서 상호텍스트성이란 원 텍스트에 해당하는 김승옥의 초기 단편소설을 ‘보강’ 혹은 ‘보충’하기 위한 활용으로 보았다. 즉, 김승옥은 상호텍스트성을 도입하여 초기 단편소설에서 다소 미흡하게 다루어졌던 ‘자기세계’에 대하여 「내가 훔친 여름」에서 ‘보강’ 혹은 ‘보충’을 꾀했다고 볼 수 있다. 김승옥의 초기 단편소설과 「내가 훔친 여름」을 상호텍스트로 두고 비교분석하여 확인할 수 있는 상이한 부분 중 유독 두드러지는 부분은 ‘목적 없는 여행’이다. 김승옥 초기 단편소설의 경우, 작중 초반부에 여로 혹은 여행의 목적이나 목적지가 정해져 있으며, 목적을 달성하거나 목적지에 도착하면 대체로 소설은 끝이 난다. 반면, 「내가 훔친 여름」의 경우, 여로 혹은 여행의 목적이나 목적지가 정해져 있지 않은 ‘목적 없는 여행’의 형태를 띠고 있다. 즉, 「내가 훔친 여름」의 주인공은 여행의 과정에서 여로 혹은 여행을 지속해야 할 명분을 터득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명분을 획득하기 위한 과정을 얼마나 지속하게 만들 수 있느냐에 따라 소설의 결말은 무한히 유보시킬 수 있다. 위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김승옥 초기 단편소설의 주인공들은 타인의 ‘자기세계’를 관찰하는데서 그쳤다면, 「내가 훔친 여름」에 오면서 비로소 주인공이 ‘자기세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직접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초기 단편소설에서 ‘자기세계’를 추구했으나 관찰하는 데 그쳤던 김승옥 소설의 주인공이 「내가 훔친 여름」에서 직접 ‘자기세계’를 형성하러 여행을 떠나며 아이러니컬하게도 ‘자기세계’의 한계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의 ‘자기세계’는 나와 타인을 구별하는 경계로 작용하며, ‘자기세계’가 견고할수록 타인과의 소통이 점차 불가능해지게 된다. 그로인해 「내가 훔친 여름」의 주인공은 ‘목적 없는 여행’을 지속할수록, ‘자기세계’를 형성하는 것에 회의감을 가진다. 더욱이 흥미로운 점은 김승옥은 여러 차례 「내가 훔친 여름」과 관련한 언급들에서 「내가 훔친 여름」이 완성도적인 면에서 미완의 작품이라 언급한 것은 물론, 이를 장편으로 개작하겠다는 계획까지도 언급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김승옥의 「내가 훔친 여름」 장편화 계획은 그가 절필하기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뒤이어 4장에서 살펴볼 「동두천」의 연재와 「내가 훔친 여름」의 장편화 계획이 서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볼 여지가 있어 주목을 요한다. 4장에서는 김승옥의 소설 중에서 유독 연구가 미진한 미완소설 「동두천」과 장편 「60년대식」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본고는 「동두천」 분석을 통해 실제로 존재하는 지명인 동두천과 작중배경이 되고 있는 ‘동두천’의 위치가 괴리가 있다는 사실을 텍스트 내에 여러 정황을 통해 포착하였다. 김승옥은 「동두천」의 ‘동두천’처럼 실제로 존재하는 지명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로 존재하는 지명인 동두천과는 무관한 이야기하는 방식을 통해 ‘동두천’을 그의 소설만이 가진 독특한 공간인 ‘상호텍스트적 공간’으로 형상화하였다. 즉, 본고는 「내가 훔친 여름」의 여수, 「무진기행」의 무진, 「환상수첩」의 여수,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의 고향, 「서울 1964년 겨울」의 서울과 같이 작중공간을 특정 공간에 한정한다 할지라도, 김승옥 소설에서 해당 공간은 그 모든 공간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공간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김승옥의 소설을 ‘고향-서울’, ‘시골-도시’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도식화하여 이해하려는 기존의 논의와 결을 달리한다. 본고는 김승옥이 이러한 전략을 구사한 이유로 나와 타인의 경계 허물기를 시도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때의 경계는 출신에 따른 열등감으로 김승옥 소설에서는 고향을 떠나 서울로 상경한 인물들이 느끼는 감정으로 김승옥의 대부분의 텍스트에 드러난다. 그러나 해당 인물들이 머물고 있는 공간이 ‘상호텍스트적 공간’이라는 인식은 외지인 열등감이 의미를 잃으며 나와 타인을 동일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나와 타인을 구별하고 경계를 지으며 열등감을 느끼게 하는 ‘자기세계’가 불필요해졌음을 의미한다. 「60년대식」은 김승옥이 주인공 도인의 여정을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을 미시적으로 관찰하고 재구성한 소설이다. 김승옥은 초기 단편소설에서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을 “감정의 기교”만을 배우는 곳, “낙서를 하지 않고서는 배겨나지 못”했을 곳, “사람을 미워하는” 방법을 터득한 곳 등으로 묘사해왔다. 이는 김승옥이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뜻이 된다. 그 때문에 서울은 고향 혹은 시골과 대립되는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 설정되었으며, 그곳에 등장하는 인물들 역시 부정적으로 그려냈다. 그러나 「60년대식」에 오면서 김승옥은 서울이라는 도시공간을 소설 속에서 재구성하기 시도한다. 이를 위해 김승옥은 ‘결혼상담소’나 ‘포르노그래피’라는 기표를 통해 알 수 있듯 서울 중심지가 아닌 서울 변두리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세태에 관심을 가진다. 또 그곳에 살아가는 인물들에 대한 편견을 제거하고자 김승옥은 일을 그만두고, 아내와 바람을 피워 이혼을 하고, 자살을 준비하고 있는 주인공을 내세워 그들과 동일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60년대식」의 핵심이 되는 여정은 김도인의 여정으로, 고애경과 그의 아버지 고바우 영감을 만나 사과하는 것으로 당초의 목적을 달성했음에도 그의 여정은 끝나지 않고 한동안 지속된다. 그 과정에서 김도인은 여정을 계속해야할 명분을 획득해야만 했다. 이때 김도인의 시선에 보이는 건 고애경이나 고바우 영감이 아닌, 결혼상담소 장민, 화학기사 손명우, 황영감, 오야, 교장선생이었으며 나와는 무관하나 나와 똑같은 타인의 이야기이다. 김도인은 자기파멸의 수단인 자살을 계획하고 있어 ‘자기세계’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뿐더러, 소멸한 상태라 볼 수 있는데 도리어 이와 같은 도인의 상태가 나와 타인을 동일시하여 그들의 이야기에 공감해주고, 때로는 조언을 해줄 수 있게 된다. 이는 「60년대식」에 와서 비로소 타인과의 경계가 무너지고 소통이 가능해졌음을 의미한다. 본고의 논의는 김승옥의 중편소설들이 그의 전체 작품세계의 과도기적인 시기를 점유하고 있음에도 대부분 개별 작품연구에 그치거나 배제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양적·질적인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 김승옥이 초기 단편소설 위주의 창작을 하다가 급작스러운 중편소설 연재에 어떠한 의도나 맥락이 숨겨져 있는지 납득할만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본고의 이러한 시도가 최근 김승옥의 소설을 전면적으로 재독하는 과정에서 그의 중편소설을, 더 나아가 그의 작품세계를 새로이 의미화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This paper sees Kim Seung-ok's novella, created and serialized between 1966 and 1969, as a work born in an intertextual context with his early short story, and aims to examine how intertextuality was expressed in the process of Kim Seung-ok's novel becoming a "novella". Until recently, discussions related to Kim Seung-ok were not convincing enough as he relied on his retrospective that Kim Seung-ok had difficulty making a living at the time as a reason for turning his early short story-oriented creation into a series. In add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novella are understood as a form of novels with the ambivalent nature of short stories and feature novels, and the novella were not sufficiently discuss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compared to the discussion of short stories and feature novels.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the discussion of Kim Seung-ok and his novels is the main cause of the early short stories or the active discussion of Kim Seung-ok's entire work. This paper is part of an attempt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at have been found in Kim Seung-ok's research since the 2000s. Chapter 2 examines Kim Seung-ok's perception of early short storie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secondary materials related to it, such as Kim Seung-ok's author's words, acceptance speeches, and interviews. Interestingly, you can extract one common content by reading the materials. It is that these references start with Kim Seung-ok's own mention that all the novels he had written before "The Summer I Steal" (1967) are short stories. Based on Kim Seung-ok's retrospective,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out what limitations he felt in his early short stories and how they connected with the context of creating and serializing "Dasanseong" and "In the Tomb of Light.” This paper started with the premise that the "self-world," the main concept of Kim Seung-ok's novel and the main keyword of his short work "Life Practice," is related to the limitations of early short stories felt by Kim Seung-ok. In particular, because 'self-world' is a somewhat ambiguous concept, the method chosen in the existing discussions was to extract the meaning of 'self-world' through a somewhat bypassed method, focusing on autobiographical records such as the birth and growth process of the writer or character who had no choice but to use the concept of 'self-world' itself.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Kim Seung-ok's intention was not properly conveyed to readers or commentators, and Kim Seung-ok was aware of this. This paper analyzed "Dasanseong" and "In the Grave of Light" as the first novel experiment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arly short stories, and considered them to be in a transitional position of early short stories and novella after the mid-century. "Dasanseong Fortress" and "In the Grave of Light" correspond to Kim Seung-ok's first novels to adopt "Episode-style composition." "Episode-style composition" is an unsuitable narrative composition for short stories, and Kim Seung-ok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arly short stories by serializing "Dasanseong" and "In the Grave of Light" and intentionally tried to make it novella. However, Kim Seung-ok's intention failed to fully reveal the series of "Dasanseong" and "In the Tomb of Light" by giving up halfway. Chapter 3 focuses on "Summer I Steal." Kim Seung-ok was seen as fail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arly short stories, giving up the series of "Dasanseong" and "In the Grave of Light" in the middle. However, Kim Seung-ok immediately began serializing "Summer I Steal" as the leader of the JoongAng Ilbo's five-member relay the following year. In other words, "Summer I Steal" is a work to restart from the failures of "Dasanseong" and "In the Grave of Light," which requires attention. At this time, Kim Seung-ok serialized "The Summer I Steal" and brought it as a new alternative is intertextuality. Intertextuality may maintain a negative view that original text does not exist, but in this paper, intertextuality was viewed as a use of Kim Seung-ok's early short story, which corresponds to the original text, to 'reinforce' or 'supplemen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Kim Seung-ok attempted to "reinforce" or "supplement" in "The Summer I Steal" about "his World," which was somewhat insufficiently dealt with in early short stories by introducing intertextuality. Among the different parts that can be confirm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Kim Seung-ok's early short story with "Summer I Steal" as a mutual text, "Travel Without Purpose" is a particularly prominent part. In the case of short stories in the early days of Kim Seung-ok, the purpose or destination of travel or travel is set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and the novel generally ends when the purpose is achieved or arrives at the destin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ummer I Steal," it takes the form of a "no purpose trip" in which the purpose or destination of travel or travel is not set. In other words, the protagonist of "Summer I Steal" needs to learn the reason for traveling or continuing the trip in the process of traveling. However, depending on how long the process of acquiring a cause can be made to last, the ending of the novel can be indefinitely reserved. W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bove analysis is that if the protagonists of Kim Seung-ok's early short stories stopped observing others' "self-world," the protagonist began to take direct actions to form "self-world" only when he came to "the summer I stole." However,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Kim Seung-ok, who pursued his own world in early short stories but only observed it, ironically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his own world as he travels to form his own world in "Summer I Steal." At this time, the "self-world" acts as a boundary that distinguishes me from others, and the stronger the "self-world", the more impossible it becomes to communicate with others. As a result, the main character of "Summer I Steal" continues to "travel without purpose," and the more skeptical he is about forming his own world. Moreover, what is interesting is that Kim Seung-ok mentioned several times that "I stole summer" was an incomplete work in terms of completeness, as well as a plan to adapt it into a feature film. However, Kim Seung-ok's plan to feature "Summer I Steal" was not even completed by him, and it is worth noting that the series of "Dongducheon" and the plan to feature "Summer I Steal" will be related to each other. Chapter 4 focuses on Kim Seung-ok's unfinished novel "Dongducheon," which has not been researched, and the long-length novel "60s Style." Through the analysis of Dongducheon, this paper captured the fact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location of Dongducheon, which actually exists, and the location of Dongducheon,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work, through various circumstances in the text. Kim Seung-ok uses a place name that actually exists like Dongducheon in Dongducheon, but he embodied Dongducheon as an "intertextual space," a unique space only his novel has, through a way of talking unrelated to Dongducheon, which actually exists. In other words, this paper confirmed that even if the work space is limited to a specific space, such as Yeosu in "My Stealing Summer," Mujin in "Mujin" in "Mujin," Yeosu in "Fantasy Notebook," and Seoul in "Winter 1964," the corresponding space is a total space that encompasses all of that space in Kim Seung-ok's novel. Thi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scussion to understand Kim Seung-ok's novel by schematizing it dichotomously, such as "Hometown-Seoul" and "Country-City." This paper found that Kim Seung-ok attempted to break the boundaries of others with me as the reason for using this strategy. The boundary at this time is an inferiority complex according to the origin, and in Kim Seung-ok's novel, it is revealed in most of Kim Seung-ok's texts as the feelings of characters who left their hometown and moved to Seoul. However, the perception that the space where the characters are staying is an "intertextual space" means that the sense of inferiority among outsiders loses meaning, allowing them to identify me and others on the same lin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self-world' that distinguishes, borders, and makes me feel inferior has become unnecessary. "60s Style" is a novel that Kim Seung-ok microscopically observed and reconstructed the urban space of Seoul through the journey of the main character Doin. In his early short stories, Kim Seung-ok has described the city space of Seoul as a place to learn only "emotional skills" a place that would not have been able to escape without writing, and a place where he learned how to "hate people." This means that Kim Seung-ok was negatively aware of the urban space of Seoul. For this reason, Seoul was set as a space with a personality that was in conflict with one's hometown or countryside, and the characters appearing there were also negatively drawn. However, Kim Seung-ok attempts to reconstruct the urban space of Seoul in the novel as it comes to the '60s style'. To this end, Kim Seung-ok is interested in the world of people living on the outskirts of Seoul, not in the center of Seoul, as can be seen through the signs of "Marriage Counseling Center" or "Pornography." In addition, in order to eliminate prejudice against the characters living there, Kim Seung-ok quit his job, cheated on his wife, divorced, and prepared to commit suicide, allowing him to look at them from the same perspective as them. The core journey of "60s Style" is Kim Do-in's journey, which continues for a while, even though he achieved his original purpose by meeting Ko Ae-kyung and apologizing to his father, old man Kobau. In the process, Kim Do-in had to acquire a justification to continue his journey. What Kim Do-in sees at this time is not Ko Ae-kyung or Gobau, but Jang Min, a chemical engineer, Son Myung-woo, Hwang Young-gam, Oh-ya, a principal, and the story of another person who has nothing to do with me. Kim Do-in plans to commit suicide, a means of self-destruction, so not only does his world not function properly, but such a state of the Taoist can be seen as extinct, but he can sympathize with others and sometimes give advice. This means that the boundaries with others collapsed and communication became possible only in the '60s style'. Although Kim Seung-ok's novella occupy the transitional period of his entire work, most of them are limited to individual research or excluded, and there is a lack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scussion about what intent or context Kim Seung-ok's sudden novella series is hidden. I believe that this attempt will help to make Kim Seung-ok's novella and furthermore, the world of his work meaningful in the process of rereading his novel in full.

      • 이인직 소설 연구 : 텍스트 및 작품 세계의 변화 양상 분석을 중심으로

        강현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2318

        이 논문의 1차적인 목적은 이인직 소설의 텍스트 계보 및 서지에 대한 실증적 고찰을 통해 그의 작품들이 매우 복잡다기한 변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다중적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텍스트 다중성의 관점에 입각하여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고 있는 변화의 국면들을 시기 및 텍스트별로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작품 세계 및 작가 의식의 역동적 전개 양상을 재조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인직의 소설이 한국근대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할 수 있으며, 이에 비례하여 그 동안 다양하면서도 수많은 연구 결과가 제출된 바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과 관련된 정보들은 결코 정확하게 제공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작품 연구를 위해 가장 기본적인 고찰의 대상이 되어야 할 서지조차도 여전히 불명확한 부분이 적지 않게 남아 있으며, 심지어 틀린 정보들이 여전히 수정되지 않은 채 사실인 것처럼 통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인직 소설의 종합적인 연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작업들을 보다 엄밀하면서도 정확하게 수행하고자 하였다. 먼저 일문으로 집필된 이인직의 첫 작품인 <과부의 꿈(寡婦の夢)>은 이인직 소설의 시원적 텍스트일 뿐만 아니라 근대단편소설의 미학적 요소들을 일정하게 구현하고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 발표된 첫 작품은『만세보』에 연재된 <단편>이 아닌,『국민신보』에 연재된 <백로주강상촌(白鷺洲江上村)>으로 보아야 한다. 비록 필사본만이 전할 뿐이지만 본 연구자의 고찰에 의하면 이인직이 창작한 것이 확실하며, 부속국문으로 표기되지 않은 작품이라는 점 또한 틀림없다. 다음으로 <혈의루>에 대한 서지적 고찰을 통해 우리는 이 작품을 지칭할 때 그 대상이 되는 텍스트가 최소한 5개에 이른다는 점을 알 수 있다.『만세보』연재 텍스트와 1차 개작본인 광학서포본, 그리고 1912년에 대폭 개작되어 발간된 <모란봉>이라는 표제의 동양서원본 등 3개의 상편 텍스트와, 1907년 광학서포본 초판의 발간 직후『제국신문』에 연재된 하편과 동양서원본의 발간 이후 집필된 1913년의『매일신보』연재 <모란봉> 등 2개의 하편 텍스트가 그것이다. 조사 결과 각각의 텍스트는 적지 않은 차이를 노정하고 있었고, 이는 발간 과정에서 매체 전환과 개작 등이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동양서원본의 개작은 이인직 소설의 결정적인 변화의 계기를 가장 예리하게 드러내고 있는 대표적인 텍스트로서 주목을 요한다. 이러한 복수의 텍스트 존재 및 텍스트 간 차이의 양상은 <귀의성>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귀의성>의 원문 텍스트는 새로 발굴된 중앙서관 발행 초판을 포함하여 총 4개의 텍스트가 현전한다.『만세보』연재 텍스트와 중앙서관본 상?하편의 초판, 그리고 재판인 동양서원본(상편)이 그것이다. 이 원문 텍스트들을 살펴보면 상편의 경우 중앙서관본은『만세보』연재 텍스트와 일정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사실상의 개작본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동양서원본은 개작의 폭은 크지 않지만 초판에서 발생한 적지 않은 오기들을 상당 부분 바로잡고 있는 개정판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치악산>과 <은세계> 역시『대한신문』에 연재된 후 단행본으로 발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새로 발견된 <은세계> 필사본은 두 작품의 신문 연재 사실을 뒷받침하는 자료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그런데 이 필사본이 동문사본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우리는 <은세계> 또한『만세보』연재 작품들과 유사한 텍스트 변화의 양상을 지닌 작품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치악산>은 신문 연재 텍스트의 부재로 인해 이 논문에서 다루지는 못했지만 이인직의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로 텍스트 변화의 가능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 서지적 고찰을 통해 이인직의 소설 중 국내에서 발표된 주요 신소설 작품은 예외 없이 신문 연재를 거친 후 단행본으로 출판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매체의 전환이라는 계기의 작용과 지속적인 개작 시도로 인해 각 텍스트 간의 차이 또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이인직의 소설은 어느 하나의 판본만을 결정적인 원문 텍스트로 확정하기 어려운 다중성을 내포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식민지화 이전, 즉 대한 제국 시기의 텍스트 변화는 작품의 미적 완성도를 향상시키고자 했던 작가의 의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어 보이는 데 비해 1912년의 개작은 한일합방이라는 정치적 지형의 변화와 검열 제도의 강화라는 직접적인 압력 요인이 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볼 수 있고, 그 결과 두 시기 사이에는 변화의 성격에 있어서도 적지 않은 차이점이 발견된다. 특히 이인직의 소설의 가장 중요한 변화의 계기로 지목될 수 있는 사건은 1912년에 이루어진 <혈의루>의 개작이라 할 수 있다. 이 동양서원본의 개작이 이인직 소설 변화의 가장 중요한 분기점이라는 판단 하에 합방 이전과 이후로 시기를 구분하여 텍스트 및 작품 세계 변화의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만세보』연재 <혈의루>의 특질을 고찰해보면 이 작품 또한 전래의 서사와도 뚜렷한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대의 다른 작품들과 구별되는 고유의 형식적 특질을 지니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나아가 이러한 소설적 혁신의 추구가 작가 자신에 의해서도 지속적으로 전개되었을 뿐만 아니라 후발 작가들의 창작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신소설이라는 문학사적 양식의 등장과 정착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혈의루>의 연재는 전래의 서사물들로부터 형성된 소설에 대한 통념을 깨는 새로운 소설, 즉 ‘신소설(新小說)’의 등장을 알리는 가장 분명한 계기적 사건으로 규정될 수 있다. 나아가 최초 연재 당시의 <혈의루>는 혁신적인 서사 문법의 창안을 통해 문학사적 양식의 등장을 견인한 동시에 전근대적이었던 기존 소설 텍스트의 생산?소비?유통 환경과 결별한 최초의 작품이라는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만세보』연재 <혈의루>는 단행본화 과정을 거치면서 적지 않은 변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 양상은 기본적으로는 개작을 통한 문장 표현상의 심미적 완성도 향상이라는 목표 의식의 추구로 요약될 수 있지만 그러한 목표가 성공적으로 달성되었다거나 일관되게 추구되었다고 보기 힘들게 만드는 측면 또한 존재한다. 이 외에도 우연적이고 외부적인 요인 즉 매체 전환의 물리적인 과정에서 발생한 교열상의 오기로 인해 애초의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결국 단행본 출판은 이인직 소설의 텍스트에 일정한 다중성을 형성하게 만든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대한 제국 시기의 이인직 소설의 텍스트 변화 유형은 크게 교열상의 오기와 개작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확실한 오기로 판단되는 사례들을 살펴보면 원문 텍스트 자체에서도 작가가 의도했던 작품의 본래적인 모습에 적지 않은 훼손이 가해진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고찰 결과 정확도만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대체로『만세보』연재 텍스트의 신뢰도가 가장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개작 부분을 포함하여 이인직 소설 전반에 걸친 개작의 양상을 작품별로 고찰한 결과 해당 사례들은 이인직이 어휘 및 문장 층위를 넘어 단락 층위에서도 광범위하면서도 대폭적인 형태로 개작에 임하였음이 확인된다. 여기에는 대체로 서술 분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문장 및 표현을 간결하게 다듬음으로써 수사적인 세련미를 추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작 시도는 주로 수사적인 측면에 집중되고 있으며 서사의 구조나 주제면에 있어 변화를 초래하는 수준에서 나타났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와 같은 축약 서술 경향은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표현 효과를 낳을 수 있는 측면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신문 연재 텍스트가 확보했던 장점을 반감시키는 쪽으로 귀결되었다고 보는 것이 좀 더 사실에 부합되는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한일합방 이후의 2차 개작본인 동양서원본 <혈의루>는 대한 제국 시기의 텍스트에 담지 되어 있던 정치적 주제 의식이 거세되는 방향으로 주요 장면의 삭제 및 대체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는 총독부의 검열에 의한 삭제의 강요라는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식민 지배 체제의 성립이라는 불가항력적인 현실의 변화에 맞춰 작품의 구성을 변경하려는 작가의 내적인 의도도 함께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양서원본에서는 언뜻 보기에 검열 압력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이는 개작의 특징들 즉 장식적 수사의 기능이 강화되고 고유어 표현을 이용하여 문장의 세련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흔적들이 적지 않게 포착된다. 이러한 개작의 경향성은 검열로 인해 정치적 담론의 표명이 봉쇄당한 현실에 대한 보상 심리의 발현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대한 제국 시기의 텍스트를 개작하는 과정에서 작가가 취해 오던 태도가 일관된 결과로도 볼 수도 있다. 한일합방 이후『매일신보』에 연재된 <모란봉>에 이르러서는 복고적 서사 문법으로의 회귀 및 통속화 현상이 보다 두드러지게 노정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작가는 자신의 고유의 창작의 원칙 혹은 방법론을 일정 부분 견지하고자 노력하기도 했고 그 흔적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작품의 개신(改新)보다는 굴절 및 퇴행적 변형으로 귀결된 측면이 더 크다고 판단된다. 이처럼 외적 요인들의 작용으로 인해 주제의식과 긴밀하게 연결되는 작품의 정치성이 탈각되는 한편 예술적 완성도를 향한 작가의 추구는 보다 엄격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기법적 세련미의 추구 과정에서도 그것이 반드시 참신성을 내포한 혁신의 차원으로 고양되지만은 않았다. 이는 고소설의 서사 문법으로의 회귀 현상이나 고소설의 관용적 어구들을 이용한 장식적 수사의 확대 현상을 통해 확인된다. 요컨대 정치적 상황의 변화가 이인직 소설에 미친 영향 또한 매우 엄중한 것이었으며 자신이 창안하고 형성해 낸 혁신성을 유지하기 위한 작가의 내적 노력이 없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문학적 성취의 전반적인 퇴색과 작가적 역량의 퇴행이라는 결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결국 이인직의 소설은 내외적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끊임없는 자가 발전과 굴절의 과정을 겪으면서 형성된 다중적 텍스트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은 <혈의루>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이인직 소설의 전반적인 변화 과정을 원전비평의 방법론과 통시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이인직 소설의 내적 변화의 과정 및 그 양상에 대한 고찰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이는 주로 <혈의루>에만 한정되어 있었고, 그의 작품 전반에 걸친 변화의 과정을 통시적인 관점에서 조망한 종합적인 검토 작업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한국근대소설사에서 이인직의 소설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이 논문이 추구하는 바이다.

      • 이청준의 액자소설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 서사 텍스트 해석주체 성립을 위한 시론

        정은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연구는 문학해석에 있어서 주-객관의 인식론적 이분법을 극복하고 "해석이란 무엇인가" 의 문제를 탐구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맥락을 리꾀르의 해석학에서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꾀르의 해석학에 기초해서 이청준의 액자소설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서사 텍스트를 해석한다는 것이 뜻하는 바를 규명하고자 한다. 리꾀르의 해석학은 텍스트 개념에 정위된 것으로서 텍스트 이론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리꾀르는 텍스트를 "씌어진 담화" 로 간주하고 담화 수준에서 발생하는 "겹 3뜻" 의 문제에 주목하며, 이 겹 뜻을 "상징" 이라고 명명하였다. 리꾀르에 의하면 상징이란 어떤 표현이 무엇을 뜻하면서 동시에 그와 다른 어떤 것을 뜻하는 일종의 의미효과이다. 요컨대 리꾀르의 해석학은 이 상징을 풀고 이해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작업은 "설명과 이해의 변증법" 을 통해서 수행된다. 설명과 이해의 변증법은 구조주의와 현상학을 변증법적으로 종합함으로써 구조주의의 객관주의 일변도성과 현상학의 주관주의 일변도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로 볼 수 있으며, 아울러 리꾀르가 주장한 "모든 이해는 텍스트 앞에서의 자기-이해이다" 라는 테제의 구체적 실현 방안으로서 주-객관의 인식론적 이분법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리꾀르는 자기-이해라는 이해의 존재론으로 자신의 논의를 곧바로 끌고 가지 않고, 해석에서 야기되는 순환에 대한 설명을 거치는데, 이것이 바로 설명과 이해의 변증법이다. 한편 리꾀르는 서사 텍스트는 그것이 지닌 구조적 성격 때문에 설명과 이해가 상호 관계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즉 서사 텍스트 해석에 있어서 설명과 이해는 서로 겹치며 침투하는데, 양자의 차이가 있다면 설명이 명제와 의미의 범위를 해명하는 데 대해서 이해는 하나의 종합행위 안에서 부분의미의 사슬을 전체로서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리꾀르의 해석학에 의거해서 이청준의 액자소설이 지닌 "겹 뜻" 에 주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이청준의 액자소설은 중층 결정적 서사구성으로 인해 "액자 이야기"와 "3내부 이야기" 라는 두 개의 의미sense가 각각 준거reference와 짝을 이루게 되면, 각기 다른 두 개의 의미two meaning로서 독자적인 의미효과를 생산해냄과 동시에 이 두 의미가 한 데 포개져서 겹 뜻double meaning을 생성해냄으로써 하나의 상징이 된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액자소설의 두 이야기가 각기 다른 의미효과를 생산해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상징으로 읽혀질 수 있는 요인은 두 이야기가 "해석적 상황" 을 연출하며 서로 교호하는 데서 찾을 수 있었다. 즉 액자 이야기는 "해석하는 이야기" 이고 내부 이야기는 "해석되는 이야기" 이며 이 두 이야기가 포개진 액자소설은 "해석하면서 해석되어지는 이야기" 인 것이다. 자세히 말해서 이청준의 액자소설은 액자 이야기에 위치한 주요 인물이 내부 이야기를 해석하면서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모습을 재현함으로써 "남의 말" 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자기 자신" 을 이해하는 "해석의 표본" 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액자소설의 각 이야기가 함축한 의미meaning는 한 데 포개져서 겹 뜻을 생성해내지만, 그것들이 지닌 의미효과는 소진되지 않고 대립되어 드러난다는 특징으로 미루어 볼 때, 그것들은 액자소설 텍스트가 지닌 상징의 양태aspect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상징의 양태는 각 이야기 세계의 의미를 표상하며 대립되어 드러나는데, 이때 드러나는 각 이야기 세계의 의미는 그 세계를 바라보는 주요인물의 해석에 의해서 유의미하게 기획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사실을 해석의 전제로 두고, 설명과 이해의 변증법에 입각해서 다음과 같은 해석의 단계를 설정하였다. 첫째, 이청준의 액자소설의 서사구조를 상징구조로 간주하고, 상징을 생성해내는 방식과, 그것이 존속되는 방식, 그리고 그 상징이 발휘하는 효과 등을 구조분석을 통해 설명하기 위해 서사학적 접근법을 따랐다. 둘째, 구조분석을 통해서 드러난 상징의 양태가 모두 각 이야기 세계를 표상하고, 이때 드러나는 각 이야기 세계의 의미는 그 세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인물의 해석에 의해서 기획된 것이며, 이 상징의 양태를 포괄하는 상징의 유형이 모두 꿈, 예술, 신경증 등과 같은 "꿈의 상징" 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정신분석학의 의미론적 접근법을 시도하였다. 끝으로 전술한 상징구조와 상징의 뜻에서 이해된 바를 각각 하나의 명제로 의미화signification 하는 종합행위를 통해 명제적 내용을 다시 한 번 환기하고, 독자지평과의 융합을 꾀하는 전유로서의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모든 이해는 텍스트 앞에서의 자기-이해이다" 라는 테제가 뜻하는 바를 구체화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interpretation" in the hermeneutical context of Paul Ricoeur, which helped overcome the dichotomy of either subjective or objective epistemology, in literature interpretation. An attempt to approach to a frame novel by Lee, Cheong-Jun hermeneutically was made on the base of the hermeneutics of Ricoeur, finally to examine into the interpretation of narrative text. The hermeneutics of Ricoeur starts with text theory, rooted in the text concepts. He considers the text as a "written discourse", observing the matter of "double meaning" which is produced at the level of discourse. This idea of "double meaning" is named the "symbol" by himself. The symbol, according to him, is a sort of meaning effect that a certain expression means a thing at the same time means another. In another word, the hermeneutics of Ricoeur is a work to decode and understand this symbol and this work is carried out through "dialectic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is dialectic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absolute objectivism of structuralism and another absolute subjectivism to phenomenology by integrating the structuralism and phenomenology through dialectic: an attempt to overcome the subjective/objective dichotomy of epistemology as a practical realization of the thesis of Ricoeur,"Every understanding is a self-understanding before the text." Ricoeur does not lead his idea directly to the oncology of understanding which is self-understanding. He explains beforehand about the circulation caused by interpretation: dialectic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He also pointed out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text does cause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verlap and infiltrate each other in the narrative text interpreta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at the explanation is to explain the sphere of thesis and meaning while the understanding is about grasping the chains of linked meaning as a whole in a complex performance. Looking into the "double meaning" contained by the frame novel by Lee, Cheong-Jun on the basis of hermeneutics of Ricoeur, I discovered following three facts. First of all, this novel was structured by double layered, determined narration: over-determinative narrative constitution, composed of a "frame story' and a "inside story". When the two of which senses match their references respectively, this produced a symbol by double meaning made of two senses overlapping as well as individual meaning effect by two respective meanings. Second, though two stories forming this frame novel produced respectively different meaning effect, the whole could be read as a symbol: two stories alternated with each other, presenting the "interpretational situation". The frame story was the story that interpret while inside story was the one interpreted. The novel overlapped by these two stories was the story interpreting at the same time interpreted. You could find the main character placed in the frame story interpreted the inside story, representing that he understood himself. This symbolized the paradigm of interpretation by which one is able to understand oneself through interpretation of other words. This aspects of symbol represented the meaning of each story world, standing opposite, the meaning of each story world was planned by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who understood and explained the worlds. Finally, meanings contained in each story of the frame novel overlapped to produce double meaning, yet the meaning effect of those stood opposite, instead of vanishing: it was the symbolic aspects of the text in frame novel. Following was interpretation stages on the base of dialectic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putting the above study as the premise of interpretation. First,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frame novel by Lee, Cheong-Jun taken for a symbolic structure, the way it produced and maintained the symbol and effect generated by symbols, were explained by structure analysis through narratological approach. Second, the aspects of symbol appeared through structure analysis represented each story world, the meaning of these story worlds were planned by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who understood and explained the worlds. The type of symbols comprehending the aspects of symbols lied in the "symbols of dream" such as dreams, arts, neurosis, etc. which drew a semantic approach in psychoanalysis. Finally, the symbolic structure and what was understood by symbols were integrated into signification as a thesis, which procedure recalled the contents of thesis. The attempt to the interpretation as an appropriation serving the amalgamation of area of reader was made and this materialized what the thesis,"Every unserstanding is self-understanding before the text" meant.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소설 텍스트 개선 방안 연구 : <소나기>와 <봄․봄>의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주재환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plan to improve novel text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ing intermediate· advanced level learners. First,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auxiliary to universities with intermediate·advance learners as targets in order to see how novel texts appear specifically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result, we could see that there is no particular relation in the selection of works for the different textbooks, and also in terms of structure,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a textbook to another. The level of vocabulary appearing in the texts is an especially crucial element that has a direct effect on deciding the difficulty of the text. In order to examine the vocabulary in the texts more specifically, we analyzed vocabularies used in Hwang Soon-won’s <Rain Shower>(소나기) and Kim Yu-jeong’s <Spring•Spring>(봄•봄) which are novels contained in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we drew vocabulary from novel texts, sorted them by their parts of speech according to the school grammar, and then examined the numbers and proportion of vocabulary. Next, we presented analyzed vocabulary in four grades of A, B, C, and Out of Rank according to significance based on the ‘Vocabulary List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2002)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vocabulary used in novel texts could be too difficult for the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is is the reason why literary texts including novels were not chosen in actu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cenes despite active discussions on the rightful reason of literary education so far. It is because the improvement in Korean proficiency using such methods is hard to expect with foreign learners having a difficult time with even the basic interpretations of the novel texts. Therefore, novel texts used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needs active reconstruction of altering difficult vocabulary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s. It is because when using novel texts as textbooks,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text must be put into consideration first. Moreover, we presented the numbers and difficulty of vocabulary appearing in the texts so that the learners can choose the textbooks appropriate for their level. In the novels, which are realistic texts, nonstandard colloquial speech, incorrectly spelled vocabulary, dialects, slangs, etc. appear, and these tend to be quite difficult to understand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refore, words used relatively frequently among these need to remain as intact as possible, but annotation or interpretation on the vocabulary must be presented, and parts with meanings hard to clarify need to be replaced with other vocabulary within the boundary in which the flow of the text is not broken.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we reconstructed original texts of <Rain Shower> and <Spring•Spring>. Moreover, definitions of advanced vocabulary were attached and nonstandard colloquial speech, dialects, slangs, etc. were annotated to help the learners’ understanding.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the plan for the improvement based on vocabulary analysis on novel texts used in current textbook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we proposed reconstruction of the texts in order to fix the difficulties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ace with vocabulary in novel texts. Reconstruction through selection of vocabulary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could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Korean literary texts overall including not only the novels but poems, essays, etc. as well.

      •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춘향전> 교육 연구

        정향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03

        This study is devised for the purpose of the methods how to make students get more interested in learning novels ,how to help them to understand the given texts actively, and how to advise them to read novels with intellectual interest. If students learn novels in an intertextuality method such as their various favorite texts, they will be able to approach them in much more interesting and more useful way getting out of the unilinear way only with school books. Intertextuality deals with the mutual relevances between the texts. It also implies that one text bears the marks of the others. The writers complete their works by making the most of the texts they have read during cre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eaders apply intertextuality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In novel education, intertextuality is often used because through that method our learners can expand the range of their understanding of novels and be changed into active participants. Novel teaching by means of intertextuality will help the learners not only to get out of schematized interpretation of literary works but also to find a new way of their interpretation ,to internalize the value of them and to maximize the meaning of novel teaching. Until now, <Chunhyangjeon> has been recreated by many writers from the course of its settlement for a long time. The intertextuality between newly-acculturated movies, poems, and novels on <Chunhyangjeon> has been looked all around here. Among the various texts, especially movies, which are familiar to my learners, are chosen as a genre of intertextual works, and this study shows you a method of novel education through intertextuality. Our 7th curriculum considers 'internalizing' as 'giving value to something', and recommends that it should be the final level among many different steps in the field of appreciating literary work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necessity of creative activities for value-internalizing in teaching <Chunhyangjeon> to students, and proposes you a new device of creating-together method . With regard to intertextuality, the writers often recreates <Chunhyangjeon> with their appreciative eyes as artists and the contemporary needs of their age. In the same way, my learners can recreate and internalize the work by appreciating it in various ways with their own literary capacities. With the base of a teaching method of <Chunhyangjeon>, this study proposes you a meaningful trial to help the learners to apply intertextuality fluently in understanding the literary works, and to make them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ir learning the works . 이 논문의 목적은 소설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주어진 텍스트를 능동적으로 이해하며, 소설을 즐겁게 읽는 태도를 기르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소설교육에서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면 교과서 중심의 단선적인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텍스트를 활용하여 흥미롭고 유익한 수업을 할 수 있다. 좀더 소설의 영역을 다양한 각도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소설 작품을 감상할 때 제시된 관련 자료들을 참고하여, 학습자는 다른 작가의 작품 이해의 폭과 자신의 주관적인 작품 이해 결과를 비교 · 대조하여 다른 작가의 작품 이해과정을 다양한 관점에서 폭넓게 수용하면서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 작가는 작품 창작과정에서 자신이 읽었던 텍스트를 활용하여 작품을 완성하고, 독자는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할 때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다. <춘향전>은 정착과정에서부터 현재까지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작가들에 의해 재창조된 작품이다. 본고는 <춘향전>의 상호텍스트 중에서 새롭게 변용된 영화, 시, 소설의 상호텍스트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중에서 학습자에게 친숙한 관련 영화를 상호텍스트로 활용한 소설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내면화’를 ‘가치화’라고 표현하고, 문학 감상 활동의 마지막 단계인 활동영역에 가치화 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춘향전> 교육에서 가치내면화를 위한 창작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토론과 공동창작 방법을 구안하였다. 작가가 <춘향전>을 상호텍스트로 삼아 예술가적 안목과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작품을 창작하였듯이, 학습자들도 <춘향전>에 대한 폭넓은 감상과 자신들의 문학적 역량을 발휘하여 작품의 가치내면화를 실천할 수 있다. 본고는 <춘향전> 교육방법을 근거로 학습자들이 상호텍스트성을 유연하게 활용하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