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자립생활체력과 심장기능 및 동맥경화 유착분자에 미치는 영향

        정현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자립 생활체력과 심장기능 및 동맥경화 유착분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Self-reliance Fitness, Arteriosclerosis Adhesion Molecules, and Cardiac Function in Elderly Women. 태권도학과 정 현 훈 지도교수 박 상 갑 65세 이상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복합운동군 11명, 대조군 10명으로 분류하여 유산소 운동과 근 저항운동의 복합운동을 1회 80분, 주 4회, 12주간 실시하여 신체조성, 자립생활체력, 심장기능, 동맥경화 유착분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동맥경화 예방에 대한 복합운동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1. 고령여성에 있어서 복합운동은 체지방, 사지 근육량 등의 신체조성 변인과 심폐기능, 근력과 근지구력을 비롯한 자립생활체력의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2. 고령여성에 있어서 복합운동은 혈청지질,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염증인자의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심장의 구조적ㆍ기능적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3. 복합운동은 동맥경화 유착분자인 MCP-1, sVCAM-1과 sE-selectin을 유의하게 개선시켰다. 4. 사지 근육량과 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는 IL-1, TNF-α, CRP, MCP-1, sE-selectin, sVCAM-1의 변화와 유의한 부적관계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고령여성에게 있어서 12주간의 복합운동은 신체조성, 자립생활체력, 혈청지질을 비롯한 염증물질의 개선에 매우 효과적이고 또한, 동맥경화 유착분자의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획득된 복합운동의 효과는 운동이 고령여성들에 있어서 신체활동 부족과 노화에 기인하는 노인성 증후군과 동맥경화성 심질환의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고령여성, 복합운동, MCP-1, sVCAM-1, sE-selectin

      • 12주간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이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이주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12주간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이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노인들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S시에 소재한 S교회에 다니는 65세 이상의 노인 여성 23명을 대상으로 복합운동 참여집단(n=11)과 통제집단(n=12)으로 구분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설정된 변인들에 대한 측정은 사전검사, 사후검사 총 2회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의 측정 자료는 IBM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고 12주간 복합운동 전·후의 집단 및 시기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2×2) RG(Randomized Group)·RM(Repeated Measures) ANOVA]과 함께 사후검증(Bonferroni)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12주간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이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2주간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에 참여한 노인 여성은 신체조성의 골격근량과 체지방률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12주간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에 참여한 노인 여성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12주간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에 참여한 노인 여성은 혈액변인의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 및 혈당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복합운동이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혈액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신체활동 참여에 제약이 있는 사회적 현실을 고려할 때, 시간과 장소에 제약이 적은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방법은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다양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노화로 인한 부정적인 신체 변화에 직면한 노인들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를 직면한 현실을 고려할 때, 노인들의 건강관리는 향후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수 있는 바, 노인들의 건강관리 측면에서 건강을 증진 및 유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도입/적용해야 할 것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하여 노인들의 신체활동에 제한이 있는 바, 생활 속에서 비대면으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노인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함과 동시에 이를 체계적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이 구축되길 기대한다. 주제어 : 노인 여성, 복합운동, 신체조성, 혈압, 혈액변인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using step boxes and elastics bands on elderly wome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blood glucose. As a result,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promoting senior citizens' health in South Korea. Twenty-three elderly women from church ‘S’ from city ‘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group was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ombined exercise(n=11) and controlled group(n=12). The measurement of manipulated lipids, blood glucose was practic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combined exercise. Measurement data from each variable were then calculated using IBM SPSS 24.0, resulting in descriptive statistics.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effect of twelve weeks of combined exercise, compared by each group and the time of measurement, Two-way(2×2) RG(Randomized Group)·RM(Repeated Measures) ANOVA was practiced as well as Bonferroni.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came up with the following result by analyzing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using step boxes and elastics bands on elderly wome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blood glucose.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 result in those elderly women body composition; skeletal muscle mass and body fat rat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outcomes on their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outcomes in their blood lipids, blood glucose; triglyceride,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The overall results in this research show that combined exercise using step boxes and the elastics bands during twelve weeks indicate a positive effect 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blood glucose of elderly women. Considering that the elderly has limited physical activities these days via COVID-19, the step boxes and the elastic bands can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their exercise programs. It is assumed that practicing combined exercise with a step boxes and the elastic bands can positive effect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health of senior citizens. In addition, considering South Korea facing a super-aged society, senior citizens' health care can be a critical issue in society. As a result, various exercise programs that promote and maintain senior citizens' health need to be adopted. Especially, easy-access virtual exerci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social systems that can manage these programs are to be necessary due to restricted physical activities via COVID-19. Key Words: Elderly women, Combined Exercis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lipids, Blood glucose.

      • 유․무산소성 복합운동 순서가 대사율 및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권동일 대구대학교 산업행정대학원 운동처방학과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 유산소성 운동과 무산소성 저항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 프로그램 수행시 운동 목적에 따라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 순서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 건강한 여자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유․무산소성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운동순서에 따라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한 후 측정 시기별 대사율 및 호르몬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이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유무산소성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회복기 대사율 변화에 있어서 RA-E 집단이 AR-E집단 보다 측정변인 모두에서 낮은 대사율을 보였으며, 측정 시기별 집단 간 차이는 AR-E집단이 RA-E집단보다 회복기 60분에서 VE, EEm, EPOC 측정변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차이(p<.05)를 보였다. 회복기 호르몬 및 혈액 변화에 있어서 HGH은 운동직후 AR-E 집단이 RA-E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에 반해 FFA는 운동직후 RA-E집단이 AR-E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Lactic acid은 시기와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1, p<.001)를 보였으며, AR-E집단이 RA-E집단보다 높은 젖산을 수준을 유지하였다. 결론 : 운동 목적에 따라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복합운동 프로그램 순서는 AR-E 운동형태가 회복기 중 대사율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운동이 종료된 후에도 생리적 활성도가 높게 유지되어 총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비만 개선 및 예방과 체중감량관리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s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order of combined exercise to have the maximized result over the same time according to performance of complex program with aims. Methods : To suggest the order, I have implemented complex exercise program which contains aerobic exercise and anaerobic resistance exercise and did a comparative analysis on metabolic rate, hormone, the index of inflammation, and variables of blood by taking a blood sample during the stabilizing stage, right after the performance of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and the recovery stages which have been divided into 5, 10, 15, 20, 60, and 120 minutes. Results : On the metabolic rate. VE and EPOC have shown the difference only during the performance, and AR-E exercise have maintained the higher rate than RA-E till 60 minutes of the recovery stage. RER, HR and Total EEm have shown the difference only during the performance and also at the sequence of HR has shown the difference too. On the hormone, all change variables(HGH, insulin, norepinephrine, and epinephrine) have shown up during the performance, and Lactic Acid which is the variable of blood change has not only shown up during the performance and the sequences but also did an interplay reciprocal action. FFA has shown the variable during performance and did an interplay reciprocal action. Conclusions : As putting the following outcomes together, AR-E has shown the better effect on the metabolic rate of the recovery stage than RA-E. I have brought about these result by verifying reponses of hormones and changes of the metabolic rates through the change variables in blood. AR-E has shown and maintained the higher rate not only on the calories that have consumed during the exercise but also on physiological vitality after the performance than RA-E. Therefore, AR-E seems to have the positive effect on the weight management, improvement and prevention of obesity as the complex exercise.

      • 복합운동이 시각장애학생의 체력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

        문희경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ost basic human instinct is the desire of health, and everyone has the right to live healthy. The physical strength which relate with health is now recognized to important mediator for lead to independent life, not only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ut also improve the necessary skills for daily life.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re reduced the chance of physical activity from the rack of exercise and limitation of exercise experiences. Also, they lose their confidence in exercise, activity, and movement. Specially, people who have a sight disability, frequently meet maladjustment problems such as anxi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 combined exercise which provide various stimulation on entire body, can improved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is in growth period,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and analyze the anxiety state from the consequential visual limitation in anxiety symptom that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on the field where can apply. For this study, I carry out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with 32 people from B blind school students in B city and the elementary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attend the D school in D city during 12 weeks with three times every week. I divide people in two groups, one is 16 people of combined exercise group, and other are not exercise group (control group). The combined exercise is on the basis of balance exercise program from several advanced research set from characteristic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contents are consist of body composition, physical strength, State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AIC). I measured these items at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with the students. I used SPSS 17.0 for analyzing measured variable. I use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for measuring general characteristic and state anxiety. To verify difference in the group, I used paired sample t-test. And I used independent sample t-test to verify varianc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I didn’t find body composition (weight, WHR, BMI) change in the combined exercise group, but WHR of control group less decrease than before the training. Second, I found positive changes with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standing on one foot with close eyes, standing on one leg, standing on stick by width, standing on stick by length in combined exercise group. But could not find change with walking on balance beam. I found negative changes with flexibility, standing on stick by width, walking on balance beam in control group (Not exercise group). Third, I found positive changes with state anxiety in two groups. But it had difference in two groups after the training (p<.001). So I knew that combined exercise plays positive role in reducing state anxiety. I knew that combined exercise have positive effect in body composition, physical strength, state anxiety 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e should consider developing physical training program and finding solution for decreasing state anxiety with various age group and type of visual impairments through various studies. And then we sh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resource to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는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이며, 누구나 건강하게 살 권리가 있다. 건강에 관련된 체력은 장애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술들을 향상시켜 독립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인식되고 있다. 시각장애학생들의 운동량 부족과 운동경험의 제한은 운동하는 기회를 줄이고 운동, 활동, 움직임에 자신감마저 잃게 되며, 특히 시각적 결함을 가진 시각장애인은 불안과 같은 부적응 문제를 빈번히 경험하게 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신체전반에 다양한 자극을 제공하는 특성을 지닌 복합운동이 성장기에 있는 시각장애학생의 체력과 균형능력을 향상시키고, 시각적 제한에 따른 불안증상에 대한 상태불안을 분석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B광역시에 소재한 B맹학교와 D광역시에 소재한 D학교의 초등부에 재학 중인 시각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복합운동 집단 16명, 비운동집단 16명 총 32명으로 구성하여 주 3회씩 12주간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복합운동은 여러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밸런스 운동 프로그램을 토대로 시각장애학생들의 특성에 맞추어 이 연구의 연구자가 직접 재구성한 밸런스 운동과 체중부하 근력운동으로 구성하였다. 측정항목은 신체조성, 체력, 소아상태척도(SAIC) 항목이며, 운동 전․후 총 2회 측정하였다. 측정된 변인은 SPSS 17.0을 활용하여 일반적 특성, 상태불안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내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그룹 간 변인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운동을 실시한 운동집단의 신체조성 항목에서는 체중,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 체질량지수(BMI)가 모두 변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비운동집단에서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이 낮아졌다. 둘째, 복합운동을 실시한 운동집단의 체력요인 항목에서는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눈감고 한발서기, 외발서기, 막대기 위 가로서기, 막대기 위 세로서기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지만, 평균대 걷기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비운동집단에서는 유연성, 막대기 위 가로서기, 평균대 걷기에서 변화가 나타났지만, 이는 모두 부정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셋째, 복합운동을 실시한 운동집단에서의 상태불안이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비운동집단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하지만 운동 후 두 그룹간의 차이(P<.001)가 나타남으로써 복합운동이 상태불안의 해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이루어졌던 복합운동이 시각장애학생의 신체조성, 체력 그리고 상태불안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으리라 판단되며, 앞으로 다양한 연령대와 시각장애 유형에 따른 체력과 다양한 상태불안 해소방법 및 개선 방안이 더욱더 연구되어 시각장애인들에게 유용한 정보와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 중년여성 대사증후군 개선을 위한 국가관리 복합운동 프로그램 적용효과 : 생활양식과 식사습관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여창재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생활양식 및 식사습관에 따른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개선을 위한 국가관리 복합운동 프로그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생활양식 및 식사습관에 따른 대사증후군 판정요인인 허리둘레, HDL(high density lipoprotein), TG(triglyceride), FBS(fasting blood sugar), BP(blood pressure)의 변화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험 설계는 복합운동 프로그램 전/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프로그램 참여 전 생활양식과 식사습관을 확인 할 수 있는 설문과 대사증후군 판정요인 5가지를 검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12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설문지를 제외한 대사증후군 판정요인 5가지를 검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양식에 따른 중년여성 복합운동 프로그램 효과는 SBP, DBP, FBS, TG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양식에 따른 중년여성 복합운동 프로그램 조절검증효과는 고지혈증약 복용에 대한 대사증후군 5가지 판정요인 중 HDL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식사습관에 따른 중년여성 복합운동 프로그램 효과는 SBP, DBP, FBS, TG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사습관에 따른 중년여성 복합운동 프로그램 조절검증효과는 대사증후군 5가지 판정요인 중 SBP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년여성에게 12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대사증후군 판정요인 SBP, DBP, FBS, TG에 가장 크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연구결과 생활양식에 따른 중년여성 대상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대사증후군 판정요인 중 고지혈증약을 복용할 경우 HDL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요인들의 주효과를 확인해본 결과 SBP, DBP, FBS, TG에서 복합운동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연구결과 식사습관에 따른 중년여성 대상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대사증후군 판정요인 중 SBP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요인들의 주효과를 확인해본 결과 SBP, DBP, FBS, TG에서 복합운동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일반화 하기엔 표본이 부족하며 운동기간 부족, 일상생활을 통제 하지 못했지만,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 개선을 위한 기초정보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national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metabolic syndrome of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the lifestyle and dietary habit. Concretely, the purpose is to confirm the changes of the waist measurement,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TG(triglyceride), FBS(fasting blood sugar), and BP(blood pressure) that are the decisive variable of the metabolic syndrome from lifestyle and dietary habi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design i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Before the program,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urvey about lifestyle and dietary habit of every study participants, and the test of 5 decisive variables of metabolic syndrome. Except the survey, 5 decisive variables of metabolic syndrome were tested after applying 12 weeks of complex exercise program.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the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lifestyle gives the positive effect on SBP, DBP, FBS, and TG. Secondl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the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lifestyle h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HDL among 5 decisive variables of metabolic syndrome to whom take the medicine for the dyslipidemia. Thirdly,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dietary habit gives the positive effect on SBP, DBP, FBS, and TG. Fourthly, the moderating verification effect from the complex exercise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dietary habit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SBP among 5 decisive variables of metabolic syndrome. In conclusion, 12 weeks of complex exercise program has the major positive effects on DBP, FBS, and TG among the 5 decisive variables of metabolic syndrome for the middle-aged women. The first study shows that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the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lifestyle gives the moderating effect on HDL among the decisive variables of metabolic syndrome when taking medicine for the dyslipidemia. After looking into the main effect of the facts that did not show the moderating effect, the effect of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was found from SBP, DBP, FBS, and TG. On the second study result,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for the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the dietary habits shows SBP has the moderating effect among the decisive variables of the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main effect of the facts that did not show the moderating effect, the effect of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was found from SBP, FBS, and TG. There were not enough samples and the period of exercise, and not easy to control everyday life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 Bu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intake of medication to prevent the metabolic syndrome, the lifestyle of drinking, and for the eating pattern development.

      •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렙틴과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이선익 신라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렙틴과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대상은 K도 P시에 소재하는 Y중학교 체지방률이 30%이상이고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지 않는 비만 여중생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복합운동집단, 통제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로 20명씩 배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모두 실험 전과 후에 신체조성 변인(체중, 신체질량지수, 제지방량, 체지방률), 혈중지질 변인(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렙틴과 인슐린에 대한 측정에 성실히 참여하였다. 복합운동은 일주일에 5회, 매회 80분씩 12주간 규칙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12주 복합운동 전․후에 대한 측정치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 간에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샤피로-윌크 검정 값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복합운동의 효과 검증을 위해 분석을 실시하기 전 복합운동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차이 검증을 위해 각 측정항목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변인들에서 집단 간에 평균의 차이가 없었다. 그런 다음 12주간 복합운동에 따른 전ㆍ후 변인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분석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으며, 이 실험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주 복합운동 처치 후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변화를 살펴보면 체중, 신체질량지수, 제지방량, 체지방률에 대한 복합운동집단의 사전ㆍ사후 평균값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12주 복합운동 처치 후 비만 여중생의 혈중지질 변화를 살펴보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에 대한 복합운동집단의 사전ㆍ사후 평균값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12주 복합운동 처치 후 비만 여중생의 렙틴 변화를 살펴보면 복합운동집단의 사전ㆍ사후 평균값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렙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12주 복합운동 처치 후 비만 여중생의 인슐린 변화를 살펴보면 복합운동집단의 사전ㆍ사후 평균값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인슐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렙틴과 인슐린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특히,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을 함께 병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비만과 관련 있는 변인에서 신체활동 부족과 학업에 지친 비만 여중생들에게 건강증진과 비만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복합운동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e middle school girls'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profiles, leptin and insulin. The subjects were 40 female obese students with more than 30% of % body fat who do not regularly exercise and attend Y middle school located in P city, K provinc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combined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0 student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All of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 sessions for body composition variables(body weight, body mass index, lean body mass and % body fat), body lipid variables(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ptin and insulin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combined exercises consisted of 5 sessions(80 minute) per week which lasted for 12 weeks(total 60 sessions). The measure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re submitted to SPSS 19.0 to calculate the means(M) and standard deviations(SD) for the study variables. The normality of the data was tested with the Shapiro-Wilk's test. In additi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combined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tested with an independent two-sample t-test with each measure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all variables.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and after-treatment, a paired t-test was administered. The significance level (α) for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set at .05 (α).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s for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among the female obese students after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and after-treatment in the means of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and body fat ratio within the exercise group,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me variables within the control group. 2) As for the change in blood lipid among the female obese students after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and after-treatment in the means of total cholesterol, neutral fat, HDL and LDL within the exercise group. On the contra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me variables within the control group. 3) As for the change in leptin among the female obese students after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and after-treatment in the means of leptin. On the contra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ptin within the control group. 4) As for the change in insulin among female obese students after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and after treatment within the exercise group. On the contra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control group. To conclude, the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leptin and insulin among the female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found that the combined exercises with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enhanced health and reduced the risk of obesity among those students who lacked of physical exercise and were tired of studying. This finding would be a positive implication of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future study on the combined exercise.

      • 작업관련성 요통환자를 위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적 기능회복과 우울 및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김용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이 작업관련성 요통환자의 건강체력, 측만도, 우울, 불안 및 요통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G광역시소재 K산업체 근로자 중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요양을 신청하여 운동 재활 프로그램 참여자로 인정된 작업관련성 요통환자 총 79명(남)을 대상으로 복합운동 프로그램과 교육을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주(5)회 진행하였으며 8주 동안의 복합운동 실시 전과 후의 건강체력 측만도, 우울 불안 및 요통장애지수의 차이변화를 살펴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1.1. 건강체력 1.1.1.1. 작업성 요통환자의 신체구성에 있어 체중의 변화는 1, 2, 3차 집단은 감소하였고 4차 집단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체지방의 변화에서도 1, 2, 3차 집단은 감소하였고 4차 집단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1.1.2. 순환기 및 심폐기능의 변화에서는 안정 시 심박수의 경우 1차 집단은 감소하였으나 2, 3, 4,차 집단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였고 폐활량의 경우 1, 2, 3차 집단은 감소하였으나 4차 집단은 크게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폐활량의 경우에서도 1, 2, 3차 집단은 감소하였고 4차 집단은 증가하였으나 전체적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2. 체력측정 변화 1.1.2.1. 심폐지구력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의 경우는 1차 집단은 감소하였으나 2, 3, 4,차 집단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36.07±1.78ml/kg/분에서 37.11±1.48ml/kg/분으로 증가하였다. 1.1.2.2. 근력에 있어서 배근력의 경우는 모든 집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1차 집단에서 크게 증가하여 나타났고 전체적으로는 92.93±5.77kg에서 113.88±14.99kg으로 크게 증가하여 나타났다. 악력의 경우 1, 2, 3차 집단은 증가하였으나 4차 집단은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45.70±2.01kg에서 47.10±2.08kg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1.2.3. 유연성에 있어서 앉아윗몸앞으로 굽히기의 경우 모든 집단이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7.34±8.73cm에서 13.00±6.32cm로 크게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2.4. 근지구력에 있어서 윗몸일으키기의 경우는 모든 집단이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14.50±1.38회에서 18.43±1.46회로 증가하였다. 엎드려팔굽혀펴기의 경우도 모든 집단이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21.69±1.24회에서 27.64±3.31회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2.5. 순발력에 있어서 제자리높이뛰기의 경우 모든 집단이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38.69±3.05cm에서 43.14±3.59cm로 증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1.2.6. 민첩성에 있어서 사이드스텝의 경우 모든 집단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30.62±1.19회에서 34.34±2.99회로 증가하였으며 전신반응의 경우는 1, 2, 4,차 집단은 감소하였으나 3차 집단은 증가하여 전체적으로는 257.32±10.75m/sec에서 232.96 ±17.82m/sec로 크게 증가하여 나타났다. 1.1.2.7. 평형성에 있어서 눈감고외발서기의 경우 모든 집단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2차 집단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으로 32.57±6.72초에서 53.79±19.97초로 크게 증가하였다. 1.1.3. 측만도 1.1.3.1. 작업성 요통환자의 복합운동 실시 후 측만도의 변화에서 경추부 만곡각도는 전체적으로 9.25±2.75도에서 5.35±4.54도로 감소되어 교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1.1.3.2. 작업성 요통환자의 복합운동 실시 후 측만도의 변화에서 흉추부 만곡각도는 전체적으로 7.37±0.41도에서 5.06±0.61도로 감소되어 교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1.1.3.3. 작업성 요통환자의 복합운동 실시 후 측만도의 변화에서 요추부 만곡각도는 전체적으로 6.62±1.04도에서 4.07±1.65도로 감소되어 교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1.1.4. 요통장애지수 작업성 요통환자의 복합운동 전과 후 요통장애 변화는 실험 후 진통제 사용, 들기, 앉기, 외출, 사회생활, 성생활, 거동, 통증지속시간, 통증발생빈도, 동작 작업에 따른 통증에서는 감소되어 나타났고 걷기, 수면, 서기에서는 증가되어 나타났다. 1.1.5. 우울 및 불안 1.1.5.1. 작업성 요통환자의 복합운동 실시 후 우울 점수는 1차 집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 3, 4차 집단은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1.1.5.2. 작업성 요통환자의 복합운동 실시 후 불안 점수의 경우 1, 2차 집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3, 4차 집단은 증가되어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관련성 산재요통 환자들에게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우울과 불안의 결과에서는 선행연구들과 일부 다르게 나타났고 건강 체력과 측만도에서는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고 요통정도도 감소되어 나타난 바 이와 같은 결과는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작업관련성 요통환자들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고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stamina, bodily measures, depression and anxiety of patients affected with work related back pain. In this study 79 male workers in K Industry in G City were programmed for a combined exercise program and education. They had applied for the medical treatments in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to be admitted as participants in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 because of work-related back pain. The exercise program was implemented three to five times a week and the changes in physical stamina, severity of scoliosis, depression, and anxiety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for eight week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tes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Physical Stamina 1) The body weights of the patients with work-related back pain was reduced in 1st, 2nd, and 3rd groups, but remained fairly consistent in 4th group. The body fat also was reduced in 1st, 2nd, and 3rd groups and remained consistent in 4th group. 2) The changes in circulatory organs and cardiopulmonary functions showed that the heart beat was decreased for 1st group, but increased for 2nd, 3rd, and 4th groups in tranquility and that the heart rate was decreased for 1st, 2nd, and 3rd groups, but increased greatly for 4th group. Also, heart rate percentage (%) was decreased in 1st, 2nd, and 3rd groups, but increased significantly for 4th group. B) Bodily Measures 1) In consistency with cardiopulmonary functions, the maximum oxygen intake was decreased in 1st group, but increased in 2nd, 3rd, and 4th groups, showing overall increase from 36.07±1.78ml/kg/min to 37.11±1.48ml/kg/min. 2) In muscular strengths, all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back muscle strength, but the improvement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1st group. Overall, the increase was from 92.93±5.77kg to 113.88±14.99kg. Grasping power was increased in 1st, 2nd, and 3rd groups, but was decreased in 4th group, showing overall increase from 45.70±2.01kg to 47.10±2.08kg. 3) In physical flexibility, all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doing stretching forward in seated position, showing a great overall increase from 7.34±8.73cm to 13.00±6.32cm. 4) In muscular consistency,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oing sit-ups, showing overall increase from 14.50±1.38times to 18.43±1.46 times. All groups also showed great improvement in doing push-ups, showing overall increase from 21.69±1.24times to 27.64±3.31times. 5) In instant speed, all groups showed great increase in high-jumping, showing overall increase from 38.69±3.05cm to 43.14±3.59cm. 6) In agility, all groups showed great improvement in side-stepping, showing overall increase from 30.62±1.19times to 34.34±2.99times. In whole-body reaction, all groups except for 3rd group showed decrease in performance. Overall, the decrease was from 257.32±10.75m/sec to 232.96±17.82m/sec. 7) In balance, all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standing with one foot with eyes closed. The 2nd group showed greatest increase and the overall increase was from 32.57±6.72sec to 53.79±19.97sec. C) Severity of Scoliosis 1) After the combined exercise, the cervical curvature was greatly corrected from 9.25±2.75degree to 5.35±4.54degree overall. 2) After the combined exercise, the thoracic curvature was greatly corrected from 7.37±0.41degree to 5.06±0.61degree overall. 3) After the combined exercise, the lumbar curvature was greatly corrected from 6.62±1.04degree to 4.07±1.65degree overall. D) Severity of Back Pain The changes in the severity of back pain after the combined exercise for the patients with work-related back pain revealed that the patients experienced less pain after taking pain killers and while lifting objects, sitting down, doing social activities, engaging in sexual activities, and performing various movements and that they saw decrease in the duration and frequency of pain and in the severity of pain during work. However, the severity of back pain was increased while walking, sleeping, and standing. The changes in the severity of back pain after the combined exercise for the patients with work-related back pain revealed that the patients experienced less pain after taking pain killers and while lifting objects, sitting down, doing social activities, engaging in sexual activities, and performing various movements and that they saw decrease in the duration, frequency and severity of pain during work. However, the severity of back pain was increased while walking, sleeping, and standing. E) Depression and Anxiety 1) After the combined exercise for the patients with work-related back pain, 1st group showed lower scores in the depression test, but 2nd, 3rd, and 4th groups did not see any progress. 2) After the combined exercise for the patients with work-related back pain, 1st and 2nd groups showed lower scores in the anxiety test, but 3rd and 4th groups showed higher scores. It was found that results of depression and anxiety tests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but the results of physical stamina and severity of scoliosis showed significant changes. As the severity of back pain showed great decrease in pain, we can conclude that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is satisfactorily effective and suitable as an exercise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work-related back pain.

      •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성, 문제행동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신홍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children with autism by applying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to children with autis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5 experimental group and 15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or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16 weeks three times a week.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ity, problem behavior and physical fitnes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ifically,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improved self-control, self-assertion and cooper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ity. And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reduced externalization, internalization and hyperac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problem behavior. Finally,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improved cardiopulmonary function, muscle function, flexibility and quickness, which are sub-factors of physical streng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is a major factor in positively changing sociality, problem behavior and physical fitness of children with autism. And it suggests that continuous complex exercise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relationship as a member of society along with the healthy life of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was confirmed to be a major factor in driving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of children with autism disabilities.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lex exercise program was confirmed to be a major factor in reduc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disabilities. Thir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was confirmed to be a major factor in driving the improvement of physical strength of children with autism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on sociality, problem behavior and physical fitness of children with autism and providing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children with autism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자폐성 장애아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폐성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3회 16주 동안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성, 문제행동 및 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자아통제, 자기주장 및 협력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복합운동프로그램은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인 외재화, 내재화 및 과잉행동을 감소시켰다. 마지막으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체력의 하위요인인 심폐기능, 근기능, 유연성 및 순발력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성, 문제행동 및 체력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폐성 장애아동의 건강한 삶의 지속과 함께 사회구성원으로 관계성의 향상을 위해서 지속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실시는 자폐성 장애아동 사회성의 향상을 견인하는 주요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실시는 자폐성 장애아동 문제행동의 감소를 견인하는 주요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실시는 자폐성 장애아동 체력의 향상을 견인하는 주요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복합운동프로그램과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성, 문제행동 및 체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자폐성 장애아동과 관련한 연구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운동 효과에 근거한 야외운동기구 배치디자인에 관한 연구

        최진섭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Study on layout design of outdoor sports equipment based on exercise effect Choi, Jin seop Public Design for Urban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Design The University of Seoul Currently, the death rate from adult diseases rapidly increases in Korea. As it is known to be due to lack of exercise, more number of people are exercising to improve their health. According to the 2016 survey on the people’s participation in daily sports, the percentage of regularly exercising people twice a week for more than 30 minutes per each time increased from 19.4% in 1986 to 49.3% in 2016, which showed growing trend every year. With this trend, the number of outdoor sports equipment has been also increased. In particular, as professional sports equipment which used to be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indoor fitness center expanded to outdoor space, the quality of people's daily sports has been improved and it is now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enjoy the equipment. However, while each equipment provides superior functionality by function and shape-driven development, there is no information for comprehensive exercise method with consideration of connectivity between those sports equipment. That is why users take exercise without information about capabilities of the equipment or proper warming up, which may lead to improper exercise habits. Improper exercise habits can counter the effect no matter how motivated you are. It even causes side effects rather than having exercise effect, which can be a main reason to stop taking exercise.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layout design of outdoor sports equipment to increase exercise effect by introducing the right exercise order. The physical range of the study was set up as Seoul Han River Park with outdoor sports equipment installed. Han River Park is one of the most popular leisure parks in Seoul with over 40 million visitors a year, and it is always open to everyone. The park is divided into 11 districts. There are 79 places where outdoor sports equipment is available and the total number of the sports equipment is 966. The subjects of study were the elderly aged 65 and older who used outdoor sports equipment in Han River Park most often. This was based on the result of preliminary survey on the use of outdoor sports equipment. More than 48 percent out of 93 people surveyed were over 65 years old,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This study presented the combined exercise including stretching, aerobic, and muscle training exercise, designed to help the elderly exercising with outdoor equipment in a more effective way. After applying this exercise program to the elderly aged over 65 for 8 weeks, a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xercise effects on functional physical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The size of test group was 24, which was divided into 2 sub-groups; 12 people for experimental group and 12 for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take 50 minute-long combined exercise 3 times a week. The control group was asked to exercise based on same exercising time and period as the experimental group, but with the sports equipment as usual, making a difference in exercise methods. It showed a significant result throug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0.0)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a combined exercise improved functional physical strength. Based on observation on the sports equipment user’s movement pattern, more than 62 percent of 37 people showed behavior patterns, beginning their exercises with the equipment adjacent to the entrance then moving to another equipment nearby. In consideration of this pattern of user behavior, it is suggested to lay out the equipment in order to match with a combined exercise program, starting from the entrance. This will lead to a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xercise. If the layout design standard suggested by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actual layout of outdoor sports equipment, i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elderly’s life by directing them to a combined exercise and strengthening their health.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a comprehensive signboard for outdoor sports exercise to provide mutual information between sports equipment. It will play a role as a fitness trainer who can help with more systematic exercises. Keywords: elderly, combined exercise, outdoor sports equipment, layout ▮ 국문 초록 운동효과에 근거한 야외운동기구 배치디자인에 관한 연구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성인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 원인이 운동 부족이라는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자신의 건강 증진을 위해 스스로 운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점차 늘어가고 있다. 2016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주 2회, 회당 30분 이상을 기준으로 규칙적인 체육활동을 하는 비율은 1986년 19.4%에서 2016년 49.3%로 매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야외 운동기구가 증가했다. 특히 실내 헬스클럽의 전유물이었던 전문화된 운동기구가 야외 공간으로 확대되면서 시민 생활 체육활동의 질 또한 높아졌으며, 더욱 쉽고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기능과 형태 중심의 기구개발로 개별적 기구가 지니는 기능성은 뛰어나지만, 야외운동기구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통합적인 운동방법에 대해서는 안내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야외운동기구의 활용성에 대한 정보와 운동방법에 대한 사전준비 없이 운동을 진행하며, 이러한 운동방식은 잘못된 운동 습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잘못된 운동 프로그램의 수행은 운동에 대한 의욕이 앞선다 하더라도 운동 효과를 반감시키며 부작용을 초래한다. 심지어 운동 효과를 얻기보다는 오히려 부작용을 초래하여 운동을 중단하는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올바른 운동순서를 제시하여 운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야외운동기구 배치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물리적 범위는 야외운동기구가 설치된 서울 한강공원으로 설정하였다. 한강공원은 연간 4천만 명 이상이 찾는 서울시민의 대표적인 휴식공원으로 이용을 원하는 사용자는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개방성을 갖추고 있다. 한강공원은 11개의 지구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야외운동기구가 배치된 장소는 79개소이며, 설치된 야외운동기구의 총 수량은 966개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강공원 내 야외운동기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65세 이상 고령자로 설정하였다. 이는 야외운동기구 사용자 사용실태에 대한 사전설문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설문 인원 93명 중 48% 이상이 65세 이상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고령자들이 야외운동기구를 이용하는 데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스트레칭운동과 유산소운동, 근력운동을 포함한 복합운동을 제시하였다. 또한, 8주 동안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적용한 뒤 기능 체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인원은 24명으로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12명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주 3회당 50분씩 복합운동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운동 기간과 시간을 실험군과 같게 진행하되, 평상시처럼 야외운동기구를 사용하도록 하여 운동방식에 대해서는 차이를 주었다. 실험결과 복합운동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기능체력 향상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가 있음을 통계프로그램(SPSS 20.0)을 통해 검정하였다. 야외운동기구 사용자 이동패턴을 관찰한 결과 37명 중 62% 이상이 진입구에 인접한 야외운동기구를 시작으로 주변에 있는 또 다른 운동기구로 사용을 확산해 나가는 행동 패턴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사용자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야외운동기구 배치 시 진입구를 시작으로 복합운동 프로그램의 운동순서에 맞게 순서대로 배치하고자 한다. 이로인해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운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료의 야외운동기구 배치디자인 기준을 활용하여 야외운동기구 설치계획에 적용한다면, 복합운동을 유도하여 고령자들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어 삶의 질을 높여 줄 것이다. 또한, 야외운동기구 종합안내판 설치를 통하여 안내판과 야외운동기구 간의 상호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해 준다면, 안내판이 헬스트레이너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보다 체계적인 운동 진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주제어 : 고령자, 복합운동, 야외운동기구, 배치

      •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아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세덕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비만학생에게 운동에 대한 흥미도를 유발함으로써 12주 복합운동프로그램에의 참여가 초등학교 비만 학생의 기초 체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서울○○초등학교 5학년 남자 비만학생 30명을 대상으로 비교집단은 자유 놀이 활동을 실시하고 실험집단은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직 통계치를 산출하고 t 검증 방법을 이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평균치 간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순발력은 12주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 참여 한 학생들에게서만 a=.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유놀이 참여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근지구력은 12주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 참여 한 학생들에게서 a=.002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유놀이 참여 집단에서도 a=.OE9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연성은 12주간의 북합 운동프로그램 참여 한 학생들에게서만 a=.001로 통계적으로 유적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유놀이 참여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심폐지구력은 12주간의 복합 운동프로그램 참여 한 학생들에게서 a=.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유놀이 참여 집단에서도 a=.023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자유놀이 운동을 한 집단은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12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집단은 순발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페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자유놀이 활동보다는 저항성운동 요소가 포함된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교 비만 학생의 기초 체력 향상에 더 많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the twelve-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e children's enhancement in basic physical strength through stimulating their interest with the physical activity. To fulfil that purpose, I selected 30 obese children who were fifth graders at Seoul ○○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ingham Area, Seoul,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r the comparison group, free playing activity was executed and for the controlled group, twelve-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was executed. I processed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program and calculated descriptive values. Using T-test, I testified the level of significance regarding the gap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Means. Reviewing the results; First, the pow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participants of twelve-week composite program at the a=.001 level of significance. And the participants of free playing activity group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muscular endurance revealed significant disparity in the participants of twelve-week combined bodily program at the a=.001 level of significance, and in the participants of liberal playing activity group at the a=.029 level of significance showed meaningful disparity. Third, the flexibility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participants of twelve-week combined bodily program at the a=.001 level of significance. And in the participants of free amusement activity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Fourth, the cardiovascular endurance revealed significant gap in the participants of twelve-week combined athletic program at the a=.001 level of significance, and in the participant of liberal amusement activity group at the a=.023 level of significance showed significant disparity. Reviewing the above results, while the group carried out free playing activity program indicated meaningful significance in the muscular endurance and the cardiovascular endurance, the group carried out complex athletic activity program showed meaningful significance in the power, the muscular endurance, the flexibility, and the cardiovascular endurance. Therefore, participating in the composite athletic program including the resistance exercise turned out to have more effects on the enhancement of physical strength in elementary pupils with obesity than participating in the free playing activity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