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분석 :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혜경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의 변천, 목표, 내용을 일본의 교육과정과를 비교 연구 방법을 통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개정 시 펼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으로 한·일간의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에서 개정기간은 1981년까지 한일 양국은 약 10년 주기로 개정하였다. 그 이후 한국은 5년 주기로 7차례 개정되었고, 일본은 약 10년 주기로 8차례 개정되었다. 2.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의 비교 첫째, 체육과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양국은 국가 수준의 목적 아래 기본 방향이나 교과 목표를 진술하고 있으나, 한국은 총괄목표 아래 하위 목표를 진술하고 있으며, 일본은 교과 목표 아래 저·중·고학년별로 학년 목표를 진술하고 있다. 둘째, 체육과 교육과정의 내용에서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저·중·고학년으로 분리하여 양국은 운동영역에서 중학년의 활동내용 영역은 통합에서 고학년은 분화로, 일본이 한국에 비해 더 분화적이다. 한국은 필수 내용과 선택 내용을 채택하고, 저학년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한일 양국의 체육 영역별 내용의 동일한 기본 영역은 체조 활동, 게임 활동, 표현 활동, 체력 활동, 육상 활동, 보건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pply basic data for the revis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f it is revised,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with respect to changes, objectives, content, for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such a comparative analysis. 1) Transition characteristic of the curriculum revision Concerning changes both Korea and Japan revised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every 10 years up to 1981, and Korea revised it every 5 years thenceforth while Japan did it about every 10 years. 2) Comparison of the revised curriculum Korea and Japan. Firstly, objectives both countries of the basic aims and course objectives were described. In Korea subordinate aims were described under the general aims, while in Japan grade aims were stated for the lower, medium and the higher grades under the course objectives. Secondly, the course content was split into the lower, medium and the higher grades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s. As for the physical activity area, content was integrated for the medium grade, and the content for the higher grade was separately itemized in both countries. In Korea obligatory and optional courses were available and physical education was conducted in an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 while i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fundamental activities and games in Japan. Basic areas shared by the both countries included gymnastics, game, dance activity, physical fitness, track and field and health education. In Japan a ball game and swimming were included for the higher grade. and offered more diversified activities for physical education.

      • 2007 개정체육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문해훈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체육교과는 ‘신체 활동’을 통하여 자신 및 세계를 이해하며, 건강하고 활기찬 삶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고, 바람직한 품성과 사회성을 갖추며, 체육 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ㆍ발전시킬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하는 교과이다(교육인적자원부, 2007). 그러나 움직임을 통한 교육이 학교현장에서는 움직임만을 강조하는 교육으로 변질되어 움직임 속에 내포하고 있는 가치를 잃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학교 현장 또는 학교 교육과 관계가 있는 사람 그리고 학부모 심지어는 학생까지 체육교과에 대한 가치가 떨어져 가고 있어서 여러 교과 중에서도 비중이 떨어져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07 개정교육과정 중 체육교과 교육과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보인다. 그래서 신체활동의 효과보다는 신체 활동의 가치에 중점을 두고 가르쳐서 체육과목 자체의 가치를 인정받고 불필요한 과목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하고 나아가서는 지식 중심의 교과보다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중요한 시기에 교육과정이 개정이 되었는데 현장에서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적용하는 데 문제점은 무엇인지 평가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설문으로 분석하고 실제 교육과정을 2007 개정교육과정의 의도대로 적용하였는지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의 교사들은 2007 개정교육과정의 이해도가 높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경력이 높음에 따라 부정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2007 개정교육과정의 적용에서 교사들은 생소한 여가활동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하기를 원하며 지원을 바라고 있다. 셋째, 현장의 교사들은 근무학교의 평가계획은 잘 개정되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2007 개정교육과정에 맞는 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많은 수의 교사는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체육과 교육과정의 대부분은 2007 개정교육과정의 의도에 맞게 개정이 되지 않았으며 과거 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교육청의 적극지원과 자료의 통합, 교사의 적극성을 띈 학생지도를 통해 해결하여야 하며 후속적으로 더욱 광범위한 조사연구와 현장적용의 연구,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교 체육수업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실태 및 예방에 관한 연구

        서희원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갈수록 체육수업에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안전사고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찾아 사전에 에방하고 일선 현장에서 교사들을 통해 안전사고에 대한 합리적인 지도 방범과 안전사고의 문제점 개선 방법을 찾아 제시함으로써 체육수업의 활성화 및 안전사고의 문제점 개선과 예방에 다소나마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300명을 무작위 표집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웅하여 분석하였고, 기본통계인 빈도수, 백분을, 평균을 산출한 후 각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간의 유의차는 X^(2)검증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사고의 실태면에서 안전사고 경험을 한 교사가 46.8%로 나타나 절반에 가까운 교사가 안전사고를 경험을 하고 있다. 둘째, 안전사고 발생률은 학생들의 학년이 높아질수록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대는 학생의 수업 집중력과 주의도가 낮아지는 오후시간대가 49.5%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지도 단계별로는 주 운동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주 운동의 만전사고 예방을 위한 준비 운동을 통한 단계적인 지도가 요구된다. 셋째, 안전사고 피해를 입은 아동을 살펴보면 체육실기 기능면에서는 기능이 높은 아동보다 낮은 아동의 사고을이 높았으며 성격면에서는 급한 아동의 사고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안전사고 발생 원인으로는 아동측면(87.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시설 측면(5.7%), 교사 측면(4.7%)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측면에서의 안전사고 요인은 아동의 부주의, 교사의 지시 불이행, 아동간의 장난 등이었으며 교사측면에서는 안전지도 미실시, 아동관리 미숙, 교사의 부주의로 나타났고, 시설측면에서는 안전사고 요인은 시설노후, 시설부족, 시설규격불량 등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안전사고 예방과 개선 실태면에서 교사들의 안전사고에 대한 관심도는 관심이 있다가 100.0%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수업 시 도입단계에서의 안전교육 실시 현황을 살펴보면 수시로 실시한다가 71.a%로 나타났으며 남교사 보다 여교사가 더 자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안전교육에 관한 연수 후 안전사고 예방 가능성에 대해 94.0%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으며 안전지도에 관한 교내 학습 자료 현황은 부족하다가 57.5%로 높게 나타났으며 심지어 전혀 없다도 10.4%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측면에서의 정기적인 연수와 지도자료 구비가 요구된다. 일곱째,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학교 시설 및 설비 점검에 대해 과반수가 되는 47.2%의 교사들이 가끔 한다고 하였고, 하지 않는다는 22.9%로 나타났으며 정기적 또는 수시로 한다는 각각 24.2%, 5.6%로 나타나 문제의 심각성을 알 수 있었다. 여덟째,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위원회 조직 편성 현황은 42.2%가 되어있지 않은 실정이있으며 교사 연수 현황은 하지 않는다가 34.1%로 나타났고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경우는 겨우 6.5%에 불과하여 학교측에서의 안전사고 예방 및 교육을 위한 노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아홉째, 안전사고에 대한 아동 교육 현황은 수시로 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만 지도하는 경우가 51.6%로 나타났고 실시하지 않음도 35.6%로 나타나 아동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행정기관의 안전사고에 대한여건 조성은 가끔 이루어지는 경우가 55.1%로 가장 많았고 조성하지 않는다도 20.8%로 나타나 행정기관이 예방활동이 적극적으로 조성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열째, 안전사고 예방의 활성화 방안으로 체육과 영역별 안전교육 내용 제시가 59.7%로 가장 많았으며 안전공제회 안전사고 사례를 교사 아동에게 홍보 30.1%로 나타나 이를 통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개선이 요구된다. These days, the older students the more frequent accidents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s research recommends preventative measures for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suggests a reasonable teaching metho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 improvement of school facilities by diagnosing the actual conditions of student acci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pply basic information for us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safety and the prevention of accidents. For this purpose, I made up a questionnaire after interviewing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were a random collection from the Geeing province, using the SUSS analysis program.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vealed half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46.8% student acci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the rate of occurrence increases as the grade goes up. For example the number of accidents in grade 1 is much lower than grade 6. In addition, 49.5% of these happen in afternoon classes.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degrees for concern and attention is low. As well the highest occurrence is in the middle part of the teaching sequences. Third, the rate of occurrence of accidents in terms of abilities of physical skill is higher in students who have a high quality of athletic function. Also, in terms of personality, the rate of occurrence of accidents is higher in students who try to complete the tasks too quickly. Fourth, the number of accidents is highest in students by 87.7% because of student's inattentiveness and negligence, a teacher's mibdirectionb. Next it appears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cause (5.7%) and the teacherb(4.7%). Fifth, the level of teacher's interest in accidents appears to be 100.0%. 71.2% of elementary teachers teach accident prevention of classes at the beginning of each school term. In addition, the number of female teachers teach preventive measure in RE classes is greater than that of male teachers. Sixth, 94.0% of elementary teachers responded that an accident prevention program focusing on safety measure is practical and meaningful. Seventh, 47.2%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ually check the school facilities. However, 22.9% of the teachers do nothing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The result is the school situation is serious. Eighth, 42.2% of committee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hadn't organized. The result is 34.1% of the teachers were not given the prevention program. So the effect of school authority is low leaving much room to improve the safety situation in P.E classes. Ninth, 51.6% of teachers introduce the prevention measures to students as they felt necessary for safety education. Research has revealed the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is not active in schools. Ten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responded that the best plan of action is a curriculum for prevention measures to be present. Next 30.1% of the teachers believe in video examples of the various types of accidents in unit of P.E.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신체활동 교육 실태 분석 연구

        문효선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ㆍ중복장애학생 순회교육 신체활동 지도실태와 개선방안을 질적 연구기법을 이용하여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J특수학교 순회교육전담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여러 가지 자료를 이용하여 면담질문지를 작성하고 검토하였으며 모의 면담을 하였다. 모의 면담을 바탕으로 3차에 걸쳐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 분석 기법으로 분석 하였고, 연구 결과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검토, 동료 연구진의 검토 방법을 적용하였다. 순회교육 담당 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 순회교육 신체활동 지도의 실태를 알아보고 신체활동의 필요성, 목적, 교육효과, 중점적으로 교육하고 있는 영역, 교안 작성 시 고려하는 사항, 학습교재 및 자료, 평가 방법, 학교와 교육청에서의 지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중도·중복장애학생 순회교육 신체활동 지도 시 문제점과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순회교육 신체활동 지도 실태를 살펴 본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이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순회교육 신체활동 지도를 매우 강조하였고 신체활동의 목적은 다양한 신체활동 경험과 신체기능의 복귀라고 하였다. 신체 이환, 놀이 활동 등 다양한 신체활동이 이루어지고 있고 학생의 흥미, 신체 능력 등을 고려하여 교안을 작성하였다. 또한 학생을 평가할 때 교사의 관찰에 의한 서술평가가 이루어졌다. 학교에서는 재활 운동, 장애 이해 연수 등이 지원되고 있고 교육청에서의 지원은 치료 지원, 지체장애 체육 과목 개발 등이다. 문제점으로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 신체활동 또는 체육에 대한 교육과정의 부재, 시수 문제, 제한된 공간,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보조 인력의 부재 등이다.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안은 중도ㆍ중복장애학생 신체활동 지도에 대한 교육과정 수립, 교사 협력, 지도 횟수 확대, 단체 활동 등의 개선방안이 나왔다.

      •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한 초등학교 '안전한 생활' 교과서 내용 분석

        김지수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등학교 체육수업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관심도 높아져 2015 개정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내에 안전 영역이 새로이 편찬되었고, 체육교과가 통합교과로 운영되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는 《안전한 생활》이라는 안전교육 교과서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교육현장의 변화에 발맞추어 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안전한 생활》 교과서를 교육부에서 고시한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하여 분석하는 것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고, 현재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 《안전한 생활》 교과서 2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안전한 생활》교과서 2권을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학년특수성을 고려하여 표준안의 내용체계를 취사선택해 반영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시대변화에 따라 안전교육의 화두도 변화하므로 과거 빈번히 발생하는 안전문제에 대한 교육내용에 더해 최근 다루어지고 있는 안전문제들에 대한 주목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였다. 현대사회에는 안전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기에 시대에 발맞추어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되는 안전 교과서도 내적 측면과 외적 측면에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한 편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개발 시 교과서 구성 및 내용 체계와 교육부의 안전교육 표준안 간에 균형을 맞추고, 시대흐름에 맞는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차후에 안전교과서를 평가 및 개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체육수업 현장에서도 교사들이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교육에 대해 종합적이고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습자의 안전습관을 함양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Safety accidents that occur dur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increasing every year. As the social needs and interest in safety education increased, the safety domain was newly compiled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 the case of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ere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re operated as integrated subjects, a safety education textbook called 《Safe Living》 was created. In keeping with this trend of the times and changes in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set as the research problem to analyze the 《Safe Living》 textbook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Korean Seven Standards of Safety Education"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lso, the study analyzed two textbooks of 《Safe Living》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currently used at the school site. In the analysis of the two textbooks of "Safe Living"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Seven Standards for Safety Educ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ent system of the standard was selected and ref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specificity. However, since the issue of safety education changes with the change of the age, it is seem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safety issues recently discussed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contents about the safety problems that occur frequently in the pas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safety textbooks in the near future. And also, it is expected that teachers can be able to understand and utilize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in a comprehensive and multifaceted way, and ultimately it can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esson and improving the safety habits of learners.

      • 체육수업과 싸이월드 클럽의 블렌디드 러닝이 신체활동 가치 함양에 미치는 영향

        전일권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은 신체활동 가치 중심 교육과정이다. 신체활동 가치 중심 교육과정은 신체 활동 가치의 내면화와 실천을 통한 전인 교육을 목표로 한다. 즉 신체 활동을 통하여 활기차고 건강한 삶에 필요한 지식과 실천 능력, 자신의 미래를 계발하는데 필요한 도전 능력과 창의적 사고력,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선의의 경쟁력과 협력하는 태도를 함양하는데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해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체육수업과 싸이월드 클럽을 접목시킨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실시하였다. 싸이월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로 이용자들은 이를 통해 웹상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자신을 표현하며 사회적 관계를 맺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네크워크 서비스의 국내 최대 규모인 싸이월드에 온라인 커뮤니티인 클럽을 만들어 체육수업에서 얻게 되는 신체활동의 가치를 표현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 환경을 조성하였다. 또한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중심이 되는 신체활동 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신체활동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체육수업과 신체활동의 가치를 표현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을 접목시킨 블렌디드 러닝을 통하여 신체활동 가치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여기서 블렌디드 러닝이란 두 가지 이상의 학습 방법이 결합한 학습 방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는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학습의 혼합을 의미한다. 블렌디드 러닝은 두 가지 이상의 학습 방법의 장점을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또한 면대면 수업의 시간적, 공간적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온라인 수업의 단점인 인간적인 접촉의 상실, 홀로 학습에 대한 두려움, 동기유발 저하 등을 보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블렌디드 러닝은 체육 수업의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극복하고 싸이월드 클럽 활동으로 체육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신체활동 가치 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하여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을 통하여 신체활동의 가치를 경험하고, 표현하며,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오프라인 체육수업에서는 신체활동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온라인 싸이월드 클럽에서는 신체활동의 가치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온라인 커뮤니티 환경을 조성하였다. 이와 같이 체육수업과 싸이월드 클럽을 접목시킨 결과, 블렌디드 러닝을 통하여 2009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신체활동 가치를 함양할 수 있었으며 체육과 교육과정의 중심을 운동 기능에서 신체활동 가치 중심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on 2009 is physical activity value oriented. The purpose of physical activity value curriculum is to provide a well-rounded education by internalizing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putting them into practice. In other words, physical education aims to build knowledge and capability of workout through physical activity for lively and healthy living, challenging mind-set and creative thinking for developing their own future, and competition in good faith and co-operational attitude for community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 have used a blended learning method that combines physical education class with a SNS cyworld club for this study. With 25 million members, as of January 2011, Cyworld is the largest social network service in Korea. Social network service, not only allows its users to make connections with others through internet, but also allows the users to express themselves as well as connect to the public. Hence, this study constructed an online community so-called Cyworld club, so the students can express and share physical activity values they have obtained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forming an online class environment. Also, in an off-line class, it designed classes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physical activity values, which is the core of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n developing physical activity values, this study has used a blended learning method by combining an off-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which students can experience the physical activity values, with an online class, which students can express those values they have experienced. Blended learning is a method of combining 2 or more study methods, usually combining online and off-line study. Because blended learning combines strong points of the 2 study methods, if used properly, it could maximize the effective level of learning. Also, it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ial problems of face-to-face class, as well as lack of human touch, fear of studying by oneself, and reduced motivation that can be found on online class. The purpose of this blended learning was to provoke students' interest level in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Cyworld club activity, which overcame time and spatial limitation of class time. Also, in order to put physical activity value oriented curriculum in use, as emphasiz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on 2009, I have formed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experience, express and share physical activity values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classes. In order to do this, I have developed and applied off-line classes where students can experience physical activity values, and formed an online community environment: the Cyworld club where students can express and share such values in various ways. Through the blended learning, the study regarding combined physical education class with a SNS cyworld club enabled students to acquire physical activity values emphasiz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on 2009. The study also allowed students to move the focu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rom physical functioning to physical activity values.

      • 중학교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대인관계지향성 변화

        김동욱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참여가 학생들의 대인관계지향성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것이라는 국가차원의 인식 조사를 현장 활동의 주체 차원에서 확인하고, 그 변화 결과를 조사하여 학교폭력근절을 위한 학교스포츠클럽 도입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서울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에 소재한 중학교에 근무 중인 일반교사, 체육교사, 스포츠강사와 서초구에 소재한 S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대상 및 방법은 아래 두 가지로 진행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의 주체인 학생, 학부모, 일반교사, 체육교사, 스포츠강사에게 Likert 척도와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과 대인관계지향성 변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서초구에 소재한 S중학교 신입생 298명에게 대인관계지향성을 William C. Schutz(1958)가 개발한 FIRO-B(Fundamental Interpersonal Relation Orientation-Behavior)척도를 변용하여 사전·사후 검사한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의 활동 주체인 학생, 학부모, 교사, 스포츠강사는 스포츠클럽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대인관계지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신입생 2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전·후의 검사결과는 대인관계지향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지향성의 하위 변인별로 살펴보면, 소속-표출 욕구(t=-3.326, p=.001), 소속-요구 욕구(t=-3.995, p=.000), 통제-표출 욕구(t=-3.893, p=.000), 정서-표출요구(t=-2.105, p=.036)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통제-요구욕구(t=-1.492, p=.136)와 정서-요구욕구(t=-.222, p=.136)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학교폭력예방 근절 대책으로 2012년 2학기 중학교 현장에 도입된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은 지난 몇 년간 각 시·도 교육청과 학교 현장의 노력으로 안정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하여 학교폭력예방을 위하여 도입된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목적은 달성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과 결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양질의 프로그램과 활동을 제공하도록 연구하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 각 시·도 교육청은 현장에 시설, 장소, 연수 등을 지원하고, 활동이 파행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관리·감독하고, 시·도별 우수한 프로그램과 사례는 수집하여 전국의 단위 학교에 보급 및 전파할 필요가 있겠다. 나아가서는 현재 중학교에서만 제한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을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의 정규교육과정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firms at the subject level the national perception study, which says that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a induce positive change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of the students. It studies the results of such changes and aims to prove that they are effective for introducing school sports clubs for eliminating school violence. For such a purpose of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ordin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sports teachers in middle schools located Seocho-gu, Gangnam-gu, and Songpa-gu of Seoul, and among students and parents of middle school S in Seocho-gu. The subject and methodology of the survey are twofold as follows. First, for the subjects of the school sports clubs within the curricula—that is, students, parents, ordin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sports teachers—Likert scale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tudy and analyze the perceptions about the school sports clubs within the curricula and about the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Second, FIRO-B (Fundamental Interpersonal Relation Orientation-Behavior), first developed by William C. Schutz (1958), was modified to be applied to 298 freshmen in middle school S loated in Seocho-gu, and a match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before-and-after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confirmed. First, the subjects of the school sports clubs within the curricula—students, parents, teachers, sports instructors—perceive that sports club activities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orientation. Second,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the 298 freshmen participate in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within curricula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 orientation. At each lower 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 orient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affiliation-desire for expression (t=-3.326, p=.001), affiliation-desire for demand (t=-3.995, p=.000), control-desire for expression (t=-3.893, p=.000), and emotion-desire for expression (t=-2.105, p=.036). In contrast, control-desire for demand (t=-1.492, p=.136) and emotion-desire for demand (t=-.222, p=.136) did not exhibi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strategy for eliminating school violation, school sports clubs within curricula introduced to middle schools from fall semesters of 2012 are becoming stabilized thanks to the efforts of each city and district office and school. Based o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goal of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within curricula, introduc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is being achieved. In schools, efforts must be made to provide quality programs and activities so that these positive perceptions and results can be sustained. Each city and district office must support equipment, venue, and training in the fields, supervise so that the activities continue to take place, and collect cases of successful programs from each city and district to distribute and share with schools across the nation. Furthermore, th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within curricula, currently implemented limitedly in middle schools only, need to be expanded to become regular curricula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s.

      • 바울의 기독교 교육이념에 따른 신체관 연구

        임명수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의 목적은 바울의 서신과 관련 자료를 토대로 바울의 기독교 교육이념에 따른 신체관을 연구하는데 있다. 체육문헌들에서는 중세 체육이 기독교 사상에 의해 침체되었다고 한다. 이에 중세에는 왜 신체활동이 침체 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초기 기독교 사도인 바울의 신체관에서 찾아 밝히며 또한 바울이 동시대의 이원론적 사상에 대립하여 신체의 중요성을 설파한 것을 인식하는 진정한 기독교의 신체관을 토대로 체육적 실천을 밝히려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울의 서신과 이 연구와 관계가 있는 문헌을 연구 자료로 삼았다. 특히 기독교회사에서 초기기독교, 중세기독교, 종교개혁시기의 신체관을 탐색해 보았으며 바울의 인간론적 용어인 '육'과 '몸'에서 나타난 신체이해를 밝혀 보았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Paul은 신체와 영혼(정신)의 분리를 뜻하는 헬라의 이원론 사상에 반대하였으며 신체와 영혼의 통일체성을 지향하였다. 이러한 바울의 일원론적 신체관에도 불구하고 종교개혁 이전까지의 중세체육의 침체는 초기 사도인 바울 신체관에 대한 해석의 부재와 이원론 사상을 가지고 극단적인 금욕주의를 추구하는 이교(異敎)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순수한 초기 기독교 사상에 의한 침체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둘째, Paul의 육(sarx)과 몸(soma)의 개념을 통해 본 인간론은 바울은 '육'을 인간 삶의 태도 및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육 자체가 악한 것은 아니며 '몸'을 전인적, 실존적, 인격적 의미로 보고 있으므로 체육교육의 목표가 전인교육임을 확증하고 있다. 그러므로 Paul은 신체를 물질적인 측면만 본 것이 아니라, 인격적·윤리적 실존으로 생명력 있는 신체적 측면까지 보았다. 셋째, 바울의 신체관은 종교개혁이후부터 드러나게 된 전인적 신체 발달의 필요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종교개혁자들은 체육의 가치에 호의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넷째, Paul이 신체적·정신적·영적·사회적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한 것은 WHO헌장의 건강의 개념과 일맥상통하는 개념이므로 현대 건강의 궁극 목적의 성취에 부합하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체육의 나아갈 방향에 보건영역에서 영적(靈的) 건강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에서 보듯 바울의 기독교 교육이념에 따른 신체관이 체육교육에 주는 개념적 의의는 체육이 신체의 교육(education of the physical)만 단련하는 교육이 아니라 신체를 통한 인간다운 교육(human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즉, 신체와 영혼, 그리고 인간이해의 전영역인 지·덕·체의 교육임을 다시 인식하는데 있으며 또한 체육이 인격(personality)의 교육임 깨달아야 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전인을 실현하기 위한 체육적 실천사항으로 학교현장에서의 시설과 공간확보, 다른 학과목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못지않게 단체정신 등 여가의 활용에서 전인적 교육과 관련되어 있는 것을 교육과정에 반영시켜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based on Paul's letters and other resources is to study his educational points of view on human body. According to the resources which are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the physical education stagnated because of Christianity. This paper will focus on 1) why the physical activities could not help stagnating during the Middle Ages on the found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of an Apostle, Paul in the beginning of Christianity. Moreover, it will reveal 2) the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by searching the genuine Christian perspective on "body."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Paul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human body against the dual concepts of body and soul in those times. To make this research completed, the Paul's letters and the related-resources were used. Especially, the Christian perspectives on human body were studied depending on the period of the early Christianity, the middle Christianity, and the Reformat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e understanding of human body which was shown in The Paul's humanistic terms, "Body" and "Soul" will be reveal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aul was against the dualism of Hellenism which means the separation of "soul" from "body." He also pursued the unity of soul and body. Second, the humanistic point of view from the Paul's definition of "sarx" and "soma" shows that Paul sees "sarx" as human being's attitudes and directions toward life. He also sees "sarx" as not being vicious in itself, and sees "soma"as existential, personal, holistic. His thought demonstrates that the aim of physical education is th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erefore Paul sees human body not only as a physical thing, but also as a living body, that is, a personal, ethical existence. Fourth, the Paul's point of view on human body had a tremendous effect on the necessity of the holistic human development which appeared after the Reformation. The reformer evaluates highly the value of physical education. Fifth, Paul'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spiritual, religious, social health i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health shown in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constitution. The Paul's thought accords with the ultimate goal of current healthy life. Therefore,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 religious health education is needed. As shown in the above, the conceptual meaning of physic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ul's Christianity is that physical education is not only for the physical training, but also human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In other words,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physical education is for the combination of body and soul, for the holistic approach toward people's "knowledge," "goodness," and "body." Therefore, to accomplish the concept of physical education for a "whole person," the following things are recommended: 1) more facilities and space for physical activities, 2) the combined education with other subjects and 3) more recreational activities for building up a group spirit. It is necessary that the suggestions should be reflected on the curriculum.

      •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 교과의 신체적 활동 내용분석

        최형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즐거운 생활의 통합교육 활동에서 체육과 성격과 특성이 어떻게 제시되며, 신체움직임 활동의 음악적·조형적 활동과의 관련 요소를 찾아보고, 체육과의 내용과 특성 요소가 어느 정도 조직화하여 구성되었는가를 분석하여 교과 운영의 이해와 체육수업지도에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로, 통합교육과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내용을 탐색하였으며 둘째로, 즐거운 생활의 '관련 영역, 교과, 운동개념 분류표'를 기반으로 6가지의 통합적 내용분석 틀을 작성, 검토하였고, 셋째로는 신체적 활동의 구체적인 내용과 학습활동을 파악하고자 각 3가지의 내용 및 행동 특성 영역으로 구분·분류하여 시사점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즐거운 생활의 수업차시별 학습목표는 대부분 3개이고, 주제 관련 개별영역 구성에서는 이해를 바탕으로 한 놀이와 표현 및 감상활동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하여 통합 활동이 빈번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학습활동은 2가지 영역 이상 통합하여 전개되고 있어, 실제 해당영역에서 '놀이와 표현+이해'와 '놀이와 표현+이해+감상'이 전체의 약90%로 대부분을 차지한 반면, '놀이와 표현+감상'과 단독적 영역은 찾아보기 힘들고 '감상+이해'가 약5%인 것으로 보아 활동 중심의 교과 속성으로 파악된다. 학습 내용과 관련된 교과 빈도는 체육>음악>미술이고, 3개영역의 중복이 약 247%에 비해 교과별 중복은 약130%로 나타나 타 교과와의 통합은 그리 높지 않았다. 또한 차시별 주도적인 교과로 보면 음악>체육>미술로저 음악적 요소가 매우 높다. 이 결과는 체육과의 성격이 종합 교과라는 특성 요인 때문이다. 둘째, 학습내용 관련 단독적인 교과 빈도는 미술>음악>체육이고, 통합 교과로는 체육+음악>체육+미술>음악+미술, 체육+음악+미술인데, 양쪽을 합치면 체육>음악>미술이다. 또한 '음악+미술'은 2학기의 2차시뿐으로 2교과의 통합이 '체육+음악'이 대부분이고 3교과의 통합을 찾아보기 힘들며, 조형적 활동인 미술과가 단독교과 구성 빈도가 가장 많은 것에서 볼 때 체육, 음악이 미술교과와의 통합 활동을 전개하기는 어렵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활동 내용에서는 특성 영역 구성의 9개 요소를 전부 만족시킨 단원은 전체에서 단 1개이고, 1개 이상의 내용 영역 요소가 아예 없는 경우는 총 9개로 전체단원의 1/2를 차지한다. 또 체육 활동요소로만 구성된 단원은 4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서 편찬 방향인 무리한 통합을 지양한다는 점에서 일면 타당하지만, 단원 및 구성내웅의 통합 활동에서 음악적·조형적 활동요소가 많고 또한 지나치게 강조되어 체육 활동의 위축과 소홀로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것은 부문적 통합으로 통합 교과가 운영되고 있다는 단면을 보여준다. 즉 종합적인 활동과 활동중심 내용을 강조한 통합교육에서 '놀이', '신체적 표현', '움직임 이해하기'와 같이 체육과에서 흔하게 통용되는 말을 통합 학습활동의 주제 및 제재에 산입하여 전개함으로서, 타 교과와는 달리 체육과의 특성을 살리지 못한 채 그저 신체적 활동을 수행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앞의 분석 결과에 따라 체육과의 특성을 유지하고 적정의 수업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체육과의 특성을 고려한 통합 교과로서의 성격에 유의해야 하고, 단원, 주제, 제재를 선정 시 신체적·음악적·조형적 활동이 서로 유기적으로 구성되도록 해야 하며, 수업 시수를 조정하고 주제 및 제재의 적정화를 모색하여 통합으로 소홀한 체육 활동 요소를 증대시키거나 다른 형태의 활동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아울러 통합교육에서의 체육 활동은 많은 시·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에 분과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source material for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further understanding in teaching the subject by presenting suggestions on current developing points through analysis; I studied how characteristics and peculiarities of physical education are presented in the integral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ubject Leant life(Julgoun eenghwal) in elementary school; I looked how physical activities are related to musical/ plastic activities and how the contents are organized and foe niulated. To achieve the purpose mentioned above, I first examined the integral curriculum period and studied educational curriculum of Pleasant life. Second, I drew and examined 6 integral contents analysis frames based on the 'classified table of related domains, curriculum, and concepts for physical activities' of Pleasant life. Third, to understand concrete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of physical activities, I divided physical activities in 3 points such as contents, behaviours and nature in order to analyze them and to make out suggestions. The summary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there are three learning goals for each Pleaent life class, and integral activities are frequent as play and expression/ appreciation activities based on understanding are organically related in composition of subject-related individual domains (physical activities/ music/ plastic arts). Twofer because more than two of learning activities are integrated and developed, 'play and expression + understanding' and 'play and expression + understanding + appreciation' represent 90% in substantial relevant domain, while 'play and expression + appreciation' and independent domain are difficult to find out; 'appreciation + understanding' represents 5%. This i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subject, which gives the great deal of weight on practise. The subjects' frequency of practise in learning contents is in order of physical education> music> plastic arts, the overlap of all three domains is 247% while overlap by domain is 130%, which represents that there is not a high level of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Leading subject for each class is in order of music> physical education> plastic arts, showing that the music plays an important role. This result may imply that the physical education is an overall subject. Second, frequency of practise of any individual subject related to learning contents is in order of plastic arts> music> physical education while the order is physical education + music> physical education + plastic arts> music + plastic arts, physical education + music + plastic arts in integral curriculum. When I compute those two types of frequency, the result is physical education> music> plastic arts. This demonstrates that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are integrated into other activities while they do not utilize their characteristics as they are absorbed and deliquesced. Moreover, 'music + plastic arts' represents only two classes for the second semester, letting 'physical education + music' represent most part of two subjects integration. It is hard to find out three subjects integration, and I could draw out a result which implies that physical education and music can hardly be developed together with plastic arts activities as I could see that plastic arts are presented mostly solely in each class. Third, there is only one chapter which responds to all 9 factors of characteristic domain composition as for contents of physical activities; there were 9 chapters that do not even include contents domain factor, which represents 50% of the whole. There are 4 chapters which consist of solely physical activities factor. These facts demonstrate that physical education is reduced and neglected as musical/ plastic activities are emphasized in integral activities of chapters and contents. Though this is reasonable to not to force an unjustifiable integration of subjects, these facts show that the integration curriculum is run as a partial integration. In other words, teiins like 'play', 'physical expression', 'understanding movement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the domain of physical education are exploited in integrated education that focuses on synthesized activities and practise-centred contents, only to exercise physical activities. Fourth, I suggested that it is demanded that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as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in order to secure an adequate quantity of classes and to maintain peculiarities of physical education as physical activities; that all physical/ musical/ plastic activities must be combined organically when selecting chapters/ subjects/ materials; and, when regulating class repartition and selecting subjects and materials, it is required to increase number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or to establish alternative means to substitute physical education that is relatively neglected. In addition, it can be an alternative to separate physical education from other activities as it has space/ time restrictions.

      • 초등체육 구기활동의 효율적인 실천방안 연구

        황병만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초등학교 체육은 아동의 움직임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신체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초등학교 체육에서 강조될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학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기초 단계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특히 초등학교 고학년의 게임활동에서 공운동 또는 구기활동의 중요성은 자라나는 학생들의 성장 및 발달과 나아가서는 전인교육의 측면과 개인적 인 삶의 질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체육교과인 게임활동 중 구기활동의 효율적인 실천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이의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방범에 의해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과제로서 미래 체육교육의 변화와 방향 분석, 초등학교 구기운동의 필요성 및 운영 실태 분석, 초등학교 구기 운동의 실제 분석,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쟁점과 활성화 방안 분석을 통해 그 연구내웅으로 구성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체육과 구기활동은 학생들에게 사회성 함양, 협동심 극대화, 단결력 강화, 왕따 예방 등의 교육의 순기능의 필요성과 함께 학생들의 욕구와 흥미유발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연구개발의 입체적인 노력과 협조가 필요할 것이다. 2) 초등학교 체육과 구기활동은 아직까지 다양성과 흥미성 등에서 매우 미흡한 실정이며, 아울러 방과후 학교의 경우 체육 및 스포츠활동의 학생들의 참여 또는 프로그램 개설은 거의 없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연계적인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개선의 여지가 많이 필요하다. 특히, 여성교사의 비율이 많음에 따라 구기활동 전개를 위한 기초적이고 단계적인 세부교육과정 운영이 요구되며, 멀티적인 학습모형 전재를 통해 학습효과 상승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3) 초등학교 교육에서의 이해중심 게임수업의 모형은 그 장점을 최대한 살려야 하는 과제해결과 함께 시대에 부응하는 다른 수업모형의 현장 적용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유치원에서 중등학교 교육과정단계의 중간인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체육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 제8차 교육과정 개정 준비를 위한 현장의 소리를 폭넓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4) 교육인적자원부는 작년부터 방과후 학교의 활동을 학년과 학교 특성에 맞게 추진하도록 지침을 하달했으며, 이에 대한 체육담당 교사들의 인식변화와 노력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방과후 학교 추진 속에서 구기운동 또는 팀 스포츠의 다양한 프로그램 전개가 필요하다고 보며, 아울러 지역 생활 체육과 연계하는 특성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hysical education during primary education lays the basic foundation for active participation in various sports activities emphasized during primary school by satisfying the child's desire for physical activity and inducing interest in it. Activities involving balls utilized in the upper levels of primary education in particular stimulate growth and development and are critical elements to a well-rounded education. As such, one could go as far as to say that ball activities improve one's quality of life. In recognition of the benefits of ball activities, documents and written materials related to the topic were analyzed to formulate methods which would increase effectiveness of ball sports and activities utilized in the upper levels of primary school. I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nges and future goals of physical education, the need for ball activities in primary education and the methodology of utilization, the current state of ball activity programs in primary school, as well as the issues and challenges faced by primary schools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1) Prim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ball activities cultivate social skills, cooperation, unity, and even discourage social outcasting behavior. In order to maximize such positiv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and stimulate student interest, government funding, R&D in various programs, and cooperation among different organizations are essential. 2) The current state of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nd ball activities in primary schools is poor. The programs lack in variety and fail to arouse much interest among the students. As a result, very few students participate in after school sports programs and in some cases, non-participation has made it difficult to even initiate an after school sports program. There is a great need for programs to link physical education classes during school to after school sports activities. In addition, the high ratio of female teachers to male teachers in primary schools today necessitates basic step-by-step training programs to be made available to teachers. A multi-media training model can also contribute greatly to enhanced learning for students. 3) Educators are faced with the challenge of maximizing understanding skills, which are the focus of games utilized in prim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ile trying to adapt and apply physical education programs to modernized class models. Above all, in recognizing the important role of primary education as a bridge between kindergarten and secondary education, educators must be able to deal with the many changes in physical education today and be ready to accommodate the varied opinions and changes resulting from the eighth educational program revision. 4)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OE) announced last year that after school programs should accommodate the special needs particular to the grade level and school. Changes in thinking and great efforts from educators in charge of physical education are critical now more than ever. Schools should develop and support various ball sports and team sports, especially programs which can be integrated into the community's sport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