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통관련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

        한선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interest rate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used by patients with back pain is gradually increasing although prior studies on their effectiveness are not yet enoug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age statu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in adult males and females with back pain experiences (n=293). Among the respondents, 57.7% were female and 47.8%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back pain for less than 3 month. Overall, 58.4%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ir health as fair, but 80.2% of the respondents had mild functional disability related to back pain based on the level of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Most commonly u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were acupuncture (47.4%), massage/acupressure (33.4%), Korean ginseng/red ginseng (31.1%).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was fair. Only sex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p<.05). Among the respondents, 76.4% of acute back pain patients and 72.5% of chronic back pain patients u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Back pain patients with moderate or severe ODI level u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more than those with mild ODI level (89.7% vs 72.3%, p<.01). The most comm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used in acute back pain patients were natural products (71.3%), oriental medicine (64.4%), manipulative therapy (49.5%), and mind and body intervention (18.8%). Meanwhile, the most comm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used in chronic back pain patients were oriental medicine (72.0%), manipulative therapy (63.4%), natural products (60.2%), the other therapies (22.6%), and mind and body intervention (17.2%). In back pain patients with mild ODI level, the most comm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used were natural products (64.8%), oriental medicine (63.0%), manipulative therapy (51.9%), and mind and body intervention (20.4%). Meanwhile, in those with moderate or severe ODI level, the most comm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used were oriental medicine (88.5%), manipulative therapy (73.1%), natural products (63.5%), and mind and body intervention (11.5%). On average, the respondents have annually spent 143.61 million won(SD 223.06 million won)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and 97.7% of the respondents reported no side effects. The information abo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was gained from family and friends (44.7%), internet (24.9%), and the mass media (23.5%).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reason for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was expectations for symptom relief (41.9%). Meanwhil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reason for no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was no interest or no information available(49.3%). About 74% of the respondents had the intention to us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and 79.2% of those agreed to provid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This study suggests that back pain patients frequently us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to relieve pain.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된 보완대체요법은, 일반적으로 요통 환자들이 양방의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많이 이용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요통 환자들에 대한 보완대체요법의 효과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함에도 요통 환자들의 이용과 관심이 증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요통 경험이 있는 성인 남녀(n=293)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57.7%로 남성(41.0%)보다 더 많았고, 요통 경험 기간은 3개월 미만이 전체 응답자의 47.8%로 가장 많았다. 또한 응답자의 대부분이 요통으로인한 일상생활장애정도(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로는 경증장애를 가지고 있었다(80.2%). 주관적인 건강인식은 보통(58.4%)이라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요통 치료를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한 보완대체요법으로는 침(47.4%), 마사지/지압(33.4%), 인삼/홍삼(31.1%)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용 만족도에 관한 질문에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생활습관에 따라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만이 이용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p<.05). 요통관련 특성에 따라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이 다른지 분석한 결과 급성 요통 환자의 76.4%가, 만성 요통 환자의 72.5%가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요통 기간에 따른 이용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ODI에 따른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의 차이는 유의하였는데(p<.01), 중등도 이상의 장애를 가진 요통 환자의 이용률(89.7%)이 경증 장애를 가진 환자의 이용률(72.3%)보다 높게 나타났다. 급성 요통 조사대상자들이 이용한 보완대체요법은 ‘자연제품’ 71.3%, ‘한방의료’ 64.4%, ‘수기요법’ 49.5%, ‘심신중재’ 18.8% 순이며, 만성 요통 조사대상자들은 ‘한방의료’ 72.0%, ‘수기요법’ 63.4%, ‘자연제품’ 60.2%, ‘기타이용’ 22.6%, ‘심신중재’ 17.2% 순으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였다. ODI가 ‘경증’인 연구대상자들이 이용한 보완대체요법은 ‘자연제품’ 64.8%, ‘한방의료’ 63.0%, ‘수기요법’ 51.9%, ‘심신중재’ 20.4% 순이며, ODI가 ‘중등도이상’인 연구대상자들은 ‘한방의료’ 88.5%, ‘수기요법’ 73.1%, ‘자연제품’ 63.5%, ‘심신중재 11.5% 순이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연간 비용으로 평균 143.61만원(표준편차 223.06만원)을 사용하였고, 97.7%가 부작용 경험이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보완대체요법의 정보 습득 경로로는 ‘가족이나 지인’을 통해서라고 응답한 비율(44.7%)이 가장 높았으며, 그 밖에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24.9%, ‘신문, TV, 잡지’ 23.5% 순이었고,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증상이 완화될 것 같아서’ 41.9%, ‘병원치료로 완치가 안 되어서’ 14.4%, ‘심리적 정신적 안정감을 위해’ 13.1%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 경험이 없는 이유로는 ‘관심이 없거나 몰라서’ 49.3%, ‘효과가 없다고 생각해서’ 18.3%,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11.3%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보완대체요법 이용의향으로는 ‘있다’가 73.7%, 국민건강보험 적용에 대한 의견으로는 ‘예’ 79.2%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요통 환자들은 요통 발병시, 통증의 완화를 위해 건강제품, 침, 마사지/지압 등의 보완대체요법을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보완대체요법 이용과 불확실성이 유방암 환자의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

        이유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목적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Mishel(1981)의 불확실성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질병 심각성을 자극 변수로, 보완대체요법 이용과 사회적 지지를 구조제공 변수로, 그리고 불확실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이 변수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상관관계 연구 이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지역에 소재한 일종합병원에서 2010년 7월 26일부터 10월 15일까지 병원 치료를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 전체를 표적모집단으로 하여 150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질병 심각성은 Side-effect burden scale (Longman et al., 1999)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Sherbourne & Stewart(1991)가 미국의 Medical Outcomes Study(MOS)에서 의료기관 내 환자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한 MOS Social Support Survey, 불확실성은 Mishel(1981)이 개발한 33문항의 불확실성 척도(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를 사용하였다. 또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WHOQOL) 중 전반적 삶의 질과 건강을 다루는 4문항을 이용하였다(민성길, 김광일, 박일호, 2002).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고, 다중 회귀분석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보완대체요법의 전체 이용 빈도, 즉 비정기적으로든 정기적으로든 여러 번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79.1%이었다. 식이요법을 한번이라도 이용해 본적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84.0%로 가장 높았다. 그 외 보완대체요법 이용도는 낮았지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질병 심각성과 보완대체요법 만족도는 삶의 질에 대한 직접 효과와 불확실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는 불확실성을 매개로 한 간접 효과만 유의하고 삶의 질에 대한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와는 달리 보완대체요법 이용의 경우 삶의 질에 대한 직접 효과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다섯 개의 변수들이 삶의 질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43.1%이었다. 요약하면, 질병심각성이 심할수록, 보완대체요법 만족도가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불확실성은 높았다. 또한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삶의 질은 높았다. 반면에 보완대체요법 이용 자체가 불확실성을 낮추거나 높이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질병심각성 심할수록, 보완대체요법 이용도가 높을수록, 보완대체요법 만족도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입원 암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 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김순행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Cancer is still the major disease leading to death throughout the world, but its causes have not been correctly determined. Thus, in the process of diagnosing and treating the cancer,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suffer much from physical pain and mental conflicts, and some patients even give up treatment. Hence, a considerable number of cancer patients look for other therapies outside the authentic medical discipline, and such therapies are perceived as alternative and preservative treatments in addition to physician's treatment and thus, people are more and more concerned about the alternative therap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for their uses of such alternative therapies and relevant factors affecting their uses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development of the nursing intervention in the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 and the guidelines for their use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into conditions of the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 used by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and the relevant factors affecting their us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135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and treated at a hospital in Seoul and thereb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a month from February 20 through March 20, 2008.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ver. 12.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s, SDs, X2-test,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erms of patients' demographic variables, male patients accounted for 63.3%, and patients were aged 57.1 on average, and 67.4% of them were living in th capital areas. 79.3% of them were married, and 41.6% of them had no religion and 47.2% (n=60) had graduated from high schools. 74.1% of them had jobs, and 38.8% of their families were earning between 1.5 and 3.0 million won a month. 40.7% of them were paying for their treatment by themselves. Most of the patients had 4 family members (two children + couple). 2. In terms of patients' disease characteristics and uses of medical services, most (28.4%) of them were suffering from liver cancer, followed by colon/rectum cancer (20.9%), lung cancer (12.7%), stomach cancer (11.9%) and breast cancer (9.0%) in their order. 32.8% of them were diagnosed as cancer within a year, and 37.4% of them were treated with chemical therapies. 50.0% of them were diagnosed as secondary stage of cancer. 70.1% of them suffered some complications. The most prevailing complication was pneumonia (24.5%), and 31.6% of the patients were suffering high blood pressure together. 51.9% were more or less satisfied with the current treatment, and 48.8% had visited 2 hospitals after their diagnosis as cancer. 3. 71.4% of the patients had used a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 47.9% had used the therapy in the hope to benefit from every treatment including hospital treatment. 37.2% had used the therapy upon recommendation from their spouses, and 34.0% had relied on the therapy for themselves. 44.7% had paid for the therapy for themselves, while 28.7% had their spouses pay for the therapy. 45.2% of the patients had spent less than 500 thousand won for a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75.5% of the patients had continued to use the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 in the belief that they would not affect their hospital treatment negatively. On the other hand, 37.5% of the patients who had never used a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 answered that they had not relied on it because they wanted to follow their physicians' instructions. 37.5% of this patient group had no idea about use of a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 while 20.0% of them would decide through consulting their physicians. 4. 61.7% of the patients who had used a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had not consulted a medical person, and 74.5% of them had not consulted their present physicians about use of the sup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31.7% of them thought that the hospital treatment was separate from an alternative therapy. 48.6% of them answered that medical persons had advised them on uses of an alternative therapy.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using the alternative therapies depending on patients'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treatment cost payer and family structure. But in terms of disease characteristics and uses of medical treatments, such differences were only significant depending on type of cancer and satisfaction with hospital treatment. (p<0.05). 6. 37.2% of the patients had used a health dietary therapy, 20.4% mind and body training, and 19.3% had used herb therapies. Patients preferred such natural diets as minor cereals, mushrooms and fruits. 44.1% of them relied on the minor cereals which was perceived as the general food for health management rather than treatment of diseases. The therapies being used still were meditation, abdominal breathing and incense therapy. In all, less than 10% of the 41 therapies showed side-effects. 7. In terms of the period for using the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 they used meditation for 314 months, snake broth for 240 months, religious prayer for 190 months, massage and moxa for 173 months, in-bamboo salt for 84 months, yoga for 64 months and minor cereal for 54 months. Pati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such mind and body training therapies aimed a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cquiescence to reality rather than treatment as meditation (4.67), abdominal breathing (4.67) and religious pray (4.65). In conclusion, 71.4% of the cancer patients hospitalized were using a variety of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 expecting for improvement of their health and treatment of diseases in addition to the authentic medical treatment. However, because the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 have not been consistently defined, preceding studies on them have not suggested some consistent results about their uses and relevant factors. 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develop some standardized protocols and research into the scientific grounds and effects of them in a systematic way. On the other hand, as many patients are concerned about the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 medical people are required to advise their patients on the supplementary alternative therapies, being based on some objective theoretical grounds. 암은 아직까지 전세계적으로 사망원인의 주요 질환이며, 발병원인에 대한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암으로 진단되고 암을 치료하는 과정은 환자 및 보호자에게 육체적인 고통과 정신적인 갈등을 일으키며 도중에 암 치료를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치료의 어려움으로 인해 상당수 환자들은 정규 의료권 밖의 다른 치료법을 찾고 이러한 치료법은 의사의 처방이외의 대안적이며 보존적인 치료법으로 보완대체요법이라는 개념으로 이해되면서 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입원 암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 실태와 관련요인을 파악해 봄으로써 보완대체요법 간호 중재 개발과 보완대체요법 활용 지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입원한 암 환자들의 보안대체요법 이용 실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소재 일개 병원에서 암 진단을 받고 현재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135명의 환지를 대상으로 면담에 의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8년 2월 20일부터 2008년 3월 20일까지 1개월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12.0)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값, 표준편차를 구하고 카이제곱검정(X2-test) 및 T-검정(t-test), 분산분석(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은 남자가 63.0%, 평균 연령 57.1세였으며, 수도권 거주자가 67.4%로 가장 많았다. 전체의 79.3%가 기혼이었으며, 종교는 ‘없음’이 41.6%, 학력은 고졸(47.2%)이 가장 많았다. 현재 직업이 있는 경우가 74.1%였으며, 월 가구소득은 150만원∼300만원 미만이 38.8%로 가장 높았다. 치료비 부담자는 본인 40.7%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가족구성은 자녀 2명을 가진 부부+자녀 형태의 대상자가 많았다. 2.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 및 의료 이용 양상 특성은 간암(28.4%)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대장/직장암(20.9%), 폐암(12.7%), 위암(11.9%), 유방암(9.0%)의 순서였다. 최초 진단 시기는 ‘l년 미만’(32.8%), 치료의 종류로는 화학요법(37.4%)이 가장 많았고, 암의 단계는 ‘2기’가 50.0%였다. 응답자의 70.1%가 합병증이 있었고, 합병증의 종류로는 폐렴(24.5%)이 가장 많았다. 암 이외 다른 질환은 고혈압(31.6%)이 많았고, 암에 대한 현재의 병원 치료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51.9%)하였으며, 48.8%의 응답자가 암 진단 후 2곳의 병원을 방문하였다. 3. 대상자들 중 71.4%가 보완대체요법 이용경험이 있었으며, ‘병원치료를 비롯한 모든 치료법을 동원하기 위하여’ 47.9%가 보완대체요법을 경험했으며, 보완대체요법의 권유자로는 배우자 37.2%, 본인 34.0%의 순서였으며, 경비부담자도 본인 44.7%, 배우자 28.7%였다. 보완대체요법에 의한 지출비용은 ‘50만원 미만’이 45.2%였으며, 병원치료와의 병행여부에 대해서는 ‘병원치료에 영향을 줄 것 같지 않아 계속 사용함’이 75.5%였고, 보완대체요법 사용 경험이 없는 대상자들은 ‘의사지시대로 병원 치료만 하기 위하여’ 37.5%가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향후 보완대체요법 사용 의향에 대해 ‘모르겠다.’ 37.5%, ‘주치의와 일단 상의해서 결정 하겠다’ 20.0% 순서였다. 4. 대상자들은 보완대체요법 사용 시 의료인과의 상의여부에 대해 61.7%가 ‘상의한 적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또한 현재 입원 중 보완대체요법 사용에 관하여도 의료인과 ‘상의한 적이 없는 경우’가 74.5%였다. 이와 같이 의료인과 적극적인 상의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31.7%에서 ‘병원치료는 별개이므로 말할 필요 없다’로 응답하였다. 의료인과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상의시의 주된 반응은 48.6%에서 ‘사용판단과 결정에 조언’을 준다고 하였다. 5.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 경험의 차이는 결혼상태, 월소득, 치료비부담자, 동거가족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질환관련 특성 및 의료이용양상별 특성에서는 진단명과 병원치료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6. 대상자들의 보완대체요법 종류별 경험률은 건강 식이요법(37.2%), 심신수련(20.4%), 약제약 초요법(19.3%)의 순서였다. 암환자들은 ‘잡곡밥’, ‘버섯’, ‘과일류’ 등의 자연 식이를 선호하며, 질병의 치료법이라기보다는 건강관리를 위한 일반적인 식품으로 인식되는 ‘잡곡밥’(44.1%)이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현재 입원 중에도 계속 이용하는 요법으로는 ‘명상’, ‘단전호흡’, ‘향 요법’이었고, 41종류의 요법들은 10.0% 미만의 낮은 부작용을 나타내었다. 7. 대상자들의 보완대체요법 종류별 총 사용기간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던 요법들이 ‘명상’(314개월), ‘뱀탕’(240개월), ‘종교’(190개월), ‘수기 뜸’(173개월), ‘죽염’(84개월), ‘요가’(64개월), ‘잡곡’(54개월) 등의 순서였다. 치료보다는 심리적 안정 및 현실순응 등에 기인된 심신수련요법의 ‘명상’(4.67점), ‘단전호흡’(4.67점), ‘종교’(4.65점) 등의 만족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입원 암환자들의 71.4%가 자신의 병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보완대체요법에 관심을 갖고 건강유지 및 암의 치료 효과를 기대하며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보완대체요법의 정의에 대한 특수성과 일관성의 부족으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보완대체요법의 이용 및 관련요인에 관한 일관성 있는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암환자들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에 관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되며, 특히,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표준화된 프로토콜 개발로 그 효과성에 대한 검증과 함께 효율적인 이용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과학적 평가와 신뢰구축으로 의료진과 환자간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 뇌졸중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와 관련요인

        임경란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Abstract To research the current condi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use of cerebral stroke patients and the related factors, structured 27-question survey, 12 question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15 questions regarding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reatment, were taken by 300 cerebral stroke patients going to neurology and neurosurgery department in a teaching hospital in Daegu from March to April 2009. The rat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use was 46.3%(139 patients), patients in their 60s took up the highest rate of 38.8%, and the ones with the income of lower than 2,000,000 Won formed 79.1%. Also, the ones with middle standard of living in metropolitan area appeared to be approximately 58%, relatively higher use rate than that of rural and small urban areas; as for the treatment satisfaction rate, 68.3% are satisfied on the whole; and 62.6% of the decisions for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 use was made by patients, themselves. Among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s chosen by cerebral stroke patients, medicinal herbs took up the highest rate of 14.9%(70 patients), general acupuncture formed 14.3%(67 patients), blood circulation pill formed 5.5%(26 patients), moxibustion formed 5.1%(24 patients), and multivitamin formed 4.9%(23 patients). On the other side, the cases of consulting with medicine staffs formed 39.6% in the relationship with attending physician; and as for the reason not to consult, 50.0% 'do not feel the need to consult'. Observing the distribution of medicine staffs recognizing the fact of using alternative medicine treatment, 60% of doctors, 3.6% of hospital staffs and 9.1% of nurses appear to recognize the matter. About ninety four percent of patients 'did not' stop hospital treatment to us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lthough 62.6%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96.4% 'did not' experience side effect. As for the most worried matter when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doubt about efficacy' took up the highest rate of 29.5%; 'do not worry' formed 25.2%; 'lapse of sickness' or 'side effect' formed 15.1%; 'expenses' and 'the finding out of hospital staff' each took up low rates of 12.2% and 3.6% and the reason for not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do not think it is effective' took up the most rate of 44.7%(72 patients). It was analyzed that factors influenc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use are the ones in the age of 70s; bereavement regarding marriage status; and Buddhism regarding religion. 요 약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와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일 개 종합병원「신경과」와「신경외과」외래를 이용하는 뇌졸중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부터 4월까지 일반적 특성 12개 문항과 보완대체요법 사용과 관련된 15개 문항 등 총 27개 문항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은 46.3%(139명)이였으며, 60대 연령이 38.8%로 가장 이용률이 높았고 소득이 200만원 이하가 79.1%를 나타냈다. 아울러, 대도시지역의 생활수준이 ‘중’이 약 58%로 나타나 농어촌 및 소도시 지역보다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치료만족도는 68.3%가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보완대체요법 이용 결정에 본인이 62.6%로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뇌졸중 환자가 이용하는 보완대체요법 중 한약재가 14.9%(70명), 일반침 14.3%(67명)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혈액순환제 5.5%(26명), 뜸 5.1%(24명), 종합비타민 4.9%(23명)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치 의료진과의 관계에서는 의료진과 보완대체요법에 대하여 상의하는 경우는 39.6%였고, 상의하지 않는 이유는 50.0%가 ‘상의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였다. 보완대체요법 이용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의료진 분포를 살펴보면, 의사 60%, 병원직원 3.6%, 간호사 9.1% 순으로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위해 병원치료를 중단 한 적이 ‘없다’가 93.5%이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충분한 정보 획득(보유)은 62.6%가 ‘없다’임에도 불구하고 부작용 경험은 96.4%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 이용 시 가장 염려되는 사항은 ‘효과의심’이 29.5%로 가장 높고 ‘걱정하지 않음’ 25.2%, ‘질병의 악화 또는 부작용’이 15.1%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용부담’ 및 ‘의료진이 알게 될까봐’는 각각 12.2%, 3.6%로 낮게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효과가 없을 것 같아서’가 44.7%(72명)로 가장 많았으며, 보완대체요법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결과 연령대는 70대, 결혼 상태는 사별, 종교는 불교였다.

      •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의료인, 입원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과 경험 및 수용태도

        박미경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research has been tried with a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design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using experience, receptive attitude of health care provider, patient and guardian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418 of health care provider who worke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Incheon and patient and guardian who were in hospital at that tim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1 to August, 2011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one way ANOVA by using SPSS 18. 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 rate of the subjects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as shown as 73.1%. In perception method, through media like newspaper, TV, or magazine was the most as 51.2%, through education was 25.1%, through family or acquaintance was 16.9%, and through experts was 5.1%.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can be applied to the chronic pain and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 33.8%, the chronically ill 28.7%, cancer 25.6%, mental illness 10.9%, et cetera 1.1%. and about the appropriate express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49.5% of the ancillary method of hospital treatment was the most and 3.2% of remedy which lack of scientific grounds was the least. The solution for applic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could be possible to identify the scientific effect, and investigation of the effect which covered 46.5%. 2.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has been used by 46% of the subjects. Among them, body training showed high rate of 61.4%, next oriental medicine 32.6%, and diet therapy 5.5%. The reason to have used was various as having experienced its effect 30.9%, one of the every treatment 21.2%, recommendation of company 17.9%, recommendation of family or acquaintance 9.9. evalu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as therapeutic effect and mental stability 48.2%, only mental stability 20.3%, therapeutic effect 19.4%, no effect 1.4%, not sure 10.8%. and reason to avoi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as unscientific 42.8%, not sur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27.4%, unpredictable of side effect 24.2%. 3. The useful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showed tha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contributes to complement measure of modern medicine, to apply is not bad.’ was the highest response, and ‘principle and application were unscientific.’ was the lowest response. 4. The difference analysis of recognition of health care provider, patient and guardian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zing term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nd appropriate express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est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he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use estimation, reason to avoi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6. In difference analysis of health care provider, patient and guardian toward the useful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questions 8; It is hard to explain exactly, bu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has effect, question 11;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patient become interesting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question 15;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should be introduced to medicine and science curriculum, question 16; who is qualified to conduc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n this research, study subjects including health care provider, patient and guardian showed high recognition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positive reaction to experience to use and receptive attitude despite there was no scientific verification and thought tha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s ancillary method of hospital treatment and gives mental stability and health enhancement, It is necessary to apply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s scientific medication of which side effect can be predicted within the range that doesn’t violate the basic purpose of medical care in hospital treatment, and research for this should be also held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의료인, 입원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과 경험 및 수용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의료인, 입원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과 경험 및 수용태도를 파악하여 보완대체요법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보아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1년 4월~8월에 인천지역 소재의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인과 그 당시 입원중인 환자와 보호자 4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일반적 특성 6문항,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연구는 손행미(2002)가 개발한 보완대체요법 태도 측정 도구와 최혜란(2002), 송지윤(2003)의 대체보완요법에 대한 인식정도 문항, 유용성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이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의료인과 환자, 보호자의 인식과 경험 및 수용태도는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분석 하였고, 인식과 경험 및 수용태도에 대해 의료인, 환자, 보호자의 차이는 -test로 분석하였고,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에대한 의료인, 환자, 보호자의 차이는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연령분포를 보면 41세 이상이 31.1%로 가장 많았다. 성별은 남성 21.8%, 여성 78.2%였고,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이 51.0%로 많았다. 학력은 대학교 이상이 56.7%, 로 많았고 초등학교졸업이 3.1%로 가장 적었다. 대상자의 구분은 의료인 50.0%, 입원환자 25.1%, 보호자 24.9%였고, 종교는 무교 41.6% 가 가장 많았다. 2.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대상자의 인식정도는 73.1%로 나타났다. 인지 경로는 신문이나 TV, 잡지 등의 매체가 51.2%로 가장 많았고, 교육을 통해서 25.1%, 가족이나 주변 사람16.9%, 대체요법 전문가 5.1%였다. 적용가능질환(복수응답)은 만성통증 및 근 골격계 질환 33.8%, 만성질환자 28.7%, 암환자 25.6%, 정신질환자 10.9%, 기타 1.1%였고, 보완대체요법의 적절한 표현에 대해서는 병원치료의 보조적 수단이 49.5%,로 가장 많았고 과학적 근거가 결여된 요법이 3.2%로 가장 적었다. 활용을 위한 해결책은 과학적 효능, 효과의 규명이 46.5%, 의료진의 공감 26.8%, 자격을 갖춘 인력의 확보 26.8%, 기타 0.7%였다. 3.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대상자의 경험 및 수용태도에서 이용경험 있다는 46%로 나타났으며 경험내용(중복응답)은 심신수련 61.4%, 한의학 32.6%, 건강식 요법 5.5% 기타 0.5%였다. 사용이유는 자신이 경험해 본 바 효능이 있다 30.9%, 모든 치료방법을 동원하는 측면 21.2%, 주위 동료의 소개, 권유가 17.9%, 가족 및 친지의 권유 9.9%로 나타났다. 사용평가는 치료적 효과와 심리적 안정 효과가 48.2%, 심리적 안정 효과만은 20.3%, 치료적 효과가 있음 19.4%, 효과 없음 1.4%, 잘 모르겠음 10.8%였고, 보완대체요법을 기피하는 이유로서는 비과학적 42.8%, 보완대체요법을 잘 모름 27.4% 부작용 예측 불가 24.2%로 나타났다. 4.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은 ‘보완대체요법은 현대의학을 보조하는 치료법, 적용해보는 것이 나쁘지 않다, 치료극대화 위해 사용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리와 적용이 비과학적이다’ 가장 낮게 나타났다. 5.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정도에 대한 의료인, 입원환자, 보호자의 차이 분석은 보완대체요법 용어 인지, 보완대체요법의 적절한 표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병원 내 활용방안 위해 가장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보완대체요법의 사용평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기피사유에서는 의료인, 환자, 보호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관심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보완대체요법 유용성 대한 의료진, 환자, 보호자의 차이 분석에서는 8번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보완대체요법은 효과가 있다, 11번 보완대체요법은 환자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15번 의과학 교과과정에 보완대체요법을 도입해야 한다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16번 보완대체요법을 누가 수행하는 것이 좋은가에서 물리치료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은 의료인, 환자, 보호자 모두 높고, 과학적 검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용경험과 수용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병원치료의 보조적 수단이 되며, 심리적 지지와 안위증진 효과를 주는 요법이라는 결과로 볼 때, 병원치료에서 의학적 치료의 기본 목적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의 보완대체요법을 과학적이고 부작용 예측이 가능한 중재법으로 활용하기위한 대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와 인지실태

        김섬이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와 인지실태를 파악하여 학부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보완대체요법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 충청권 소재 4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는 손행미(2002)가 개발하여 김영희(2004)가 수정 보완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였으며,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지실태는 NCCIH (2014)의 새로운 분류체계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한 22개 종류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경험해 보았던 보완대체요법, 타인에게 권유하고 싶은 보완대체요법, 교과목 개설을 희망하는 보완대체요법 및 알고 있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응답하도록 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 보완대체요법 관련 특성,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및 인지실태는 빈도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태도와 보완대체요법 관련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는 t-검증과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증은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 중 89.7%는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고, 그 경로는 교육 을 통해서가 53.9%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54.2%는 보완대체요법을 적용 한 경험이 있었으며, 59%는 보완대체요법이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보완대체 요법의 문제점으로 48.3%가 치료효과의 과학적 증거 부족을 들었으며, 대상 자의 49.8%가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육을 받을 의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76점으로 비교적 긍 정적이었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각 문항 중 과학적으로 검증된 요법 만을 사용해야 한다(4.1점), 환자에게 유용한 보완대체요법은 적용해 보겠다 (4.1점)에 강한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3)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지실태는 알고 있는 보완대체요법, 경험해 보았던 보완대체요법, 타인에게 권유하고 싶은 보완대체요법, 교과목 개설을 희망하는 보완대체요법 등으로 조사하였다. 학생 1인당 알고 있는 보완대체요법은 평균 13.7개였으며,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항목은 건강보조식품(92.5%), 마사지(91.8%), 요가(90.3%), 이완요법(89.3%), 명상(85.9%), 지압(85.3%) 등 이었다. 경험해 보았던 보완대체요법은 평균 7.0개였으며, 건강보조식품(비타민, 미네랄)이 79.3%로 가장 많았고, 마사지(60.2%), 지압(56.4%), 침술(5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타인에게 권유하고 싶은 보완대체요법 개수는 평균 6.5개였으며, 마사지(53.0%), 이완요법(50.2%), 요가(48.9%), 예술요법(44.8%), 명상(42.6%) 등의 순이었다. 교과목 개설을 희망하는 보완대체요법의 개수는 평균 2.3개였으며, 마사지(23.5%), 예술요법(22.6%), 요가(20.1%), 향기요법(18.5%), 이완요법(15.4%), 경락마사지(14.7%), 지압(1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보완대체요법 관련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들어 본 경험(t=2.50, p=.013),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들어본 경로(t=-4.43, p<.001),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F=48.63, p<.001), 보완대체요법의 역할(F=12.73, p<.001), 보완대체요법 적용경험(t=4.75, p<.001),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 수강여부(t=2.69, p=.007) 및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육받을 의도(t=8.2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5)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육받을 의도,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 교육받을 의도,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들어본 경로, 학년,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 수강여부, 보완대체요법 적용경험 등이었으며, 이들 변수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를 38.6%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고, 인지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학 교과과정에 보완대체요법 관련 교과목을 개설, 운영함으로써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이나 과학적 근거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대상자들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이 증가하고,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통로가 제한적이며, 관련 정보에 대한 만족도와 정확도가 그리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부 교과과정에 보완대체요법 관련교과목을 개설하여 교육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에게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지와 태도를 형성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은, 대상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보다 안전하고 과학적 근거가 확실한 보완대체요법의 활용을 안내하고 지지하기 위한 시작으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미래 간호사로서 사회화 과정에 있는 간호대학생의 보완

      • 체육시설 이용자들의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인식 및 이용실태

        김복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많은 스포츠센터와 헬스클럽들에서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들이 개설되고 있어, 체육시설 이용자들은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경험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통하여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스포츠센터 이용자 8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82.0%가 보완대체요법을 경험한 적이 있었으며,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학력이 높을수록, 또한 현재 보유 질환이 있는 경우에 높았다. 이용률이 높은 보완대체요법으로는 침, 마사지/지압, 뜸/부항, 요가, 식이요법, 필라테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용 만족도는 마사지/지압이 가장 높았고, 아로마 요법, 척추교정법, 요가, 필라테스 등의 순으로 높았다. 보완대체요법 이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보완대체요법을 민간요법으로 그리고 보조적 수단으로 보는 비율이 높았으나, 그 비율이 비용자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 이용 동기로 통증 등의 증상 완화를 위해서라고 한 응답자가 많았고, 장점을 비 수술ㆍ비 약물 치료로 보는 비율이 높았으며, 문제점을 홍보/교육 부족으로 보는 비율이 높았다.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 보완대체요법의 장점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나, 이용 동기와 문제점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자가 비용자에 비해 관심도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체육시설 이용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은 성별, 학력 및 질환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이용 경험이 있는 응답자와 없는 응답자 간에 보완대체요법을 보는 시각과 장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보완대체요법 이용 동기와 문제점에 관한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 활성화를 위하여 보완대체요법 전문가들은 체육시설 이용자들의 특성에 맞추어 체육시설과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체계적인 기획을 통한 홍보/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인식을 변화시키려는 지속적인 활동과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시술자에 대한 불신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전문인력 양성과 국가 자격제도를 추진을 위한 방안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any health clubs and sports centers recently offer a variety of programs associated wi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CAT) including yoga and pilates. Therefore, users of sports facilities are more likely to have a lot of experience of CA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se of CAT and determin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AT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CAT to find ways to enhance the use of CAT. Survey was conducted. among 804 adults who enrolled in sports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Overall, 82.0% of the total respondents had used CAT. CAT use was more prevalent among women, respondents with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respondents who had a disease. The therapies most commonly used were acupuncture, massage/acupressure, moxibustion/cupping, yoga, diet, and pilates. The most satisfied therapy was massage/acupressure followed by aroma therapy, spinal manipulation, yoga, and pilates. The highest proportions of respondents perceived CAT as 'fork remedies' and 'supplementary means' in both users and non-users of CAT. However, the proportions of respon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n-users compared to users. The highest proportions of respondents listed 'relief of symptom including pain' as a reason for use of CAT. The highest proportions of respondents perceived 'non-surgical and non-drug treatment' as an advantage of CAT and 'the lack of publicity and education' as a problem of CAT. User's perception of the advantage of CA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n-user's percep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regarding the reason for use and the problem of CAT between two groups. Users of CAT were more interested in CAT than non-users. In conclusion, use of CA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education level and disease status in users of sports fac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regarding CAT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CAT. In addition, facility users were more likely to use CAT when they are interested in CAT.

      • 직장인의 요통발생과 보완대체요법 이용 실태 조사

        권여진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As technology has developed, industrial assembly line workers have become limited in their responsibilities to simple and repeated work. For this reason, work related diseases started to develop on those workers. Many of these work related diseases occur on the skeletal muscles. Skeletal muscle disability and stress has developed into urgent industrial health problems. Of the muscle skeletal disease, Lumber Pain, was shown on 50% of the workers but only 15-20% seeked doctors for treatment. Lumber pain resulted in frequent medial office visits, low productivity, and mental decline effecting normal daily life. The benefit of alternative medicine is that is has a broad use for areas of treatment and prevention for worked related diseases addressing one's physical and and mental situation, daily life, environment, and personality. Recently, there has been active research on alternative medicine and increased interest in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of limitations of other unorthodox medical treatment. The main purpose in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usage, treatment,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rate of alternative medicine on the age group of 20 to 30 year old workers who had lumber pain. During 19 days from April 4, 2011 to April 22, 2011, researchers randomly selected workers from Youngdengpogu, Junggu, Seungdonggu, Kwangjingu and Gurogu Seoul to take a survey. By researching people who have suffered lumber pain within the last year, lumber pain was present in a surprisingly high percentage of those people. 73.3% of workers answered that they suffered lumber pain within one year. Categorizing workers by weight, over weighted and obese workers had more symptoms of lumber pain than those who had less weight or were normal weight. In addition, workers who frequently consume alcohol showe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consume less alcohol 81.8% of workers who had worked for 6-10 years had lumber pain, which was highest percentage of all, and this number fluctuated with the varying amounts working hours. Those who worked more than 11 hours per day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who worked for 8 hours. This statistic showed useful research results. Working position showed different comparisons in this research. Not only did workers who usually stood up during their works showed more lumber pain but also workers who's work was limited to repeated task had more lumber pain than those that had varied types of duties. Because a high percentage of workers who worked for longer hours answered that they had lumber pain every single day, there seems to be a connection between working hours and lumber pain. The 71% of workers answered 'yes' when asked if they had ever tried alternative medicine, and only 29 answered 'no' that they did not. When illness or pain occurred, the most used source of alternative medicine was yoga, hot pack, well-being food, and massage. When asked which illness they used alternative medicine for, lumber pain was a common reason for many workers. Most workers said that they just endured pain. However, for medical treatment seekers, there was a higher percentage of people that use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g with alternative medical treatment rather than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alone. When asked if their pain was reduced after treatment, more than half the people answered 'yes'. Most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when asked about their satisfaction level on a scale of 1-5 with 5 being very satisfied. In the research, almost half of the people preferred medical treatment while the other half preferred alternative medicine. There were no negative perceptions of alternative medicine by the survey respondents of workers between the age groups of 20 to 30 years old. Because alternative medicine does not use any chemical substances or drugs, it was very suitable for work and did not affect normal life. Although alternative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al treatment can be taken together, alternative medicine methods were not well known throughout the population. In addition, most people did not seek alternative medicine because they did not know which method to pursue.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to upgrade and develop alternative medicine. In addition, proactive advertising is needed on the facts that alternative medicine is a proven treatment on reducing side effect and also it's effectiveness. In order to maximize treatment, endless effort is needed to inform the public that medical treatment and alternative medicine can be used together to achieve the best results. Key words : Low Back Pain, Prevalenc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CAM)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작업의 형태가 점점 단순·반복화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작업성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이 많이 발생함에 따라 가장 시급한 산업보건과제의 하나로 근골격계 장애와 스트레스를 꼽을 수 있다.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중 하나인 요통은 노동 연령기 사람에게서 50%의 연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15-20%의 사람들이 치료를 위해 의사를 찾는다. 요통 문제는 잦은 의료진 방문, 낮은 생산성의 원인이 되며 또한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저해하여 비금전적 손실도 가져온다. 이와 관련하여 보완대체의학적 접근 방법은 개개인의 생활패턴과 주위환경, 또는 성격적, 정서적 상황을 고려하므로 치료와 예방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정통적 의학에 한계를 느낀 환자와 의료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전반적인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20․30대 직장인의 요통발생 실태와 요통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그 효과와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요통 치료에 있어 보완대체요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방법은 서울 영등포구, 중구, 광진구, 성동구, 구로구 일대의 직장 종사자들을 임의로 선정하여 2011년 4월 4일부터 4월 22일까지 19일간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최근 1년 이내에 허리의 통증발생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통증이 있었다는 응답자가 73.2%로 직장인들에게 요통 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체중이거나 표준체중인 사람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인에게서 요통의 발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음주를 하는 사람이나 가끔 하는 사람에 비하여 요통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기간 6-10년 경력자의 요통 발생은 8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근무 시간에 따라 11시간 이상 근무한 사람은 8시간 이하 근무한 사람에 비하여 요통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근무 자세에 따라서는 서서 근무 하는 대상자에게 요통발생이 높았고 근무시 신체 움직임이 반복되는 것이 반복되지 않은 것보다 요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요통빈도를 살펴보면 근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거의 매일 요통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빈도 또한 근무 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보완대체의학의 경험 여부를 물어보았을 때 전체 직장인의 71%가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경험해보지 않았다는 응답은 29%에 그쳤다. 질병이나 통증발생시 요가와 찜질요법, 건강보조식품, 마사지 요법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어떤 질병에 보완대체요법을 적용했는지 알아보는 항목에서는 요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요통 발생시 대처 방안으로 그냥 참는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병원치료만 받는다고 한 사람 보다 높았다. 요통 치료 후 효과에 대해 묻는 사항에 대해 절반이 넘는 사람이 통증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고 요통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긍적적으로 평가하였다. 앞으로 통증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치료하겠는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병원치료를 선택하겠다는 응답과 병원과 대체요법을 병행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20-30대 직장인들의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지 않았다. 보완대체요법은 수술이나 화학적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기에 직장에서의 작업과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치료법이다. 보완대체요법이 병원치료와 상호보완적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거나 어떤 것을 선택해야하는지 몰라서 찾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보완대체의학적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 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져야 하며,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과가 검증된 치료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요통발생시 병원치료의 적절한 병행과 함께 보완대체의학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요통, 이용실태, 보완대체요법

      • 보완대체요법의 법적 검토와 기능적 제한

        박새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의료법이 처음 제정된 이래부터 현재까지 논란이 된 보완대체요법과 의료행위 간의 모호한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법원 종합법률정보와 로앤비를 검색엔진으로 사용하여 판례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총 15편의 판례에서 의료행위에 대한 간접조항, 무면허 의료행위의 정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의료법에서 의료행위를 규정한 조항은 찾지 못했다는 점에서 의료행위와 보완대체요법의 경계가 불명확하다는 사실이 재확인되었다. 현대의학에 해당하는 일반적 의료행위를 제외한 시술행위를 보완대체요법으로 규정한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전 세계 유일무이한 이원적 의료체계를 갖고 있다. 일반적 의료행위와 더불어 한의학을 의료법상 의료행위로 규정하여 비의료행위에 해당하는 보완대체요법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한방 의료행위의 일부가 과학적인 검증 없이 이루어지고, 한의학으로는 도저히 치료 불가능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것처럼 부풀려져 표현되는 등을 이유로 이원적 의료체계를 반대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보완대체요법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제도적인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청소년, 대학생, 그리고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 이르기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이유로 경제적 빈곤, 학업 스트레스, 소외, 수면부족 등을 거론하고 있다. 특히 경제적 빈곤은 시장경제원리, 세계시장 등의 제도적인 이유를 개선하지 않는 한 해결하기 어렵다. 그러나 심리상담치료, 음악치료, 예술치료 등 사람의 생명, 신체나 공중위생에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없는 보완대체요법은 경제적인 빈곤에서 파생된 심리적인 질병(우울증 등)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논고에서 판례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에 따르면 소정의 의료행위란 의학적 전문지식을 기초로 하는 경험과 기능으로 진찰, 검안, 처방, 투약 또는 외과적 시술을 시행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행위를 말한다. 이 행위에는 의료인이 행하지 않으면 보건위생상 위해가 생길 우려가 있는 행위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비의료행위에 해당하는 무면허 의료행위란 의학적 전문지식이 있는 비의료인이 행한 질병의 예방, 치료행위가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 공중위생에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행위인 것이다. 미국의학협회지에 따르면 대체요법은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하며, 나아가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모든 치료법의 효능, 안전성 등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검증은 시술사와 피시술자로 하여금 안정성과 효율성, 그리고 향후 발전 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이다. 그러므로 국내에서 이용되는 보완대체요법과 현재까지도 명확한 매뉴얼이 정리되지 않은 한의학을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보완대체요법이 의료법상 법적 규제로부터 자유롭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문제화를 일으키고 있는 부분별한 시술을 제한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관련 규정의 정비 등)와 과학적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제도적인 장치에는 소비자의 생명, 신체에 위해를 가할 부분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것, 시술자로 하여금 시술 장소에 대한 위생상태 교육을 필수적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겠다. 과거에는 질병에 관한 지식이 전문직(의료인)에 편중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소비자는 의료행위에 대한 중요한 의사결정을 선택하기 어려웠다. 현재는 인터넷 보급을 통하여 일반인도 전문적인 지식을 간편하게 수집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과거보다 폭넓은 의사결정권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검증되지 않은 시술을 마치 검증 혹은 치료할 수 있는 것처럼 사용하는 것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과학적인 검증을 통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게 된다면 지금보다 더 다양한 보완대체요법이 이용되어 건강관련 종사자의 증가와 국민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clarify the vague boundary betwee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nd medical practice, which has been controversial since the enactment of the Medical Service Act to the present. For this purpose, judicial cases were collected using Legal Information Services of the Court of Korea and LAWnB as search engines. In a total of 15 cases, we could find indirect provisions on medical practice, definition of illicit medical practice, and the posit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By the fact that provisions defining medical practice were not found in the Medical Service Act, however, it was reconfirmed that the boundary between medical practice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as not clear. Different from foreign countries where all practices other than general practices of contemporary medicine are categorized in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Korea has a dual medical system unique throughout the world. This system is for distinguishing Oriental medicine from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hich is non?medical practice, by legalizing Oriental medicine as medical practice along with general medical practice in the Medical Service Act. However, some of Oriental medical procedures are executed without scientific verification and such procedures are often exaggerated to be effective for diseases incurable with Oriental medicine, and for these reasons the dual medical system is faced with opposition. Because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s increasing steadil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institutional changes are required. Korea shows the highest suicide rate of adolescents, university students, and elders aged over 65 among the OECD countries, and economic poverty, academic stress, loneliness, lack of sleep, etc. are mentioned as possible reasons for the high suicide rate. In particular, it is hard to resolve economic poverty without correcting institutional problems in the principle of market economy, global market, etc. In contras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therapy, music therapy, and art therapy, which are hardly harmful to people’s lives, bodies, or public health, appear to mitigate psychological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induced by economic poverty to some degree. According to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view of judicial cases in this study, a medical practice is an experience and function based on medical expertise and indicates an 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 through examination, inspection, prescription, medication or surgical procedure. Some of such practices, if not carried out by medical professionals, are likely to pose a risk to health and hygiene. Illicit medical practice, which is non?medical practice, i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act by one who is not a medical professional but has medical expertise and likely to harm people’s lives, bodies, or public health. According to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lternative therapy must be scientifically verifiable, and its efficacy, safety, etc. should be proved by scientific methods. Such verification is required for promoting the stability, efficiency, and future development of alternative therapy among the practitioners and consum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used in Korea and Oriental medicine that has not been itemized clearly to the present. In ord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to be used freely from regulations under the Medical Service Act, there should be first scientific verification of such therapies and institutional measures (such as improvement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for regulating indiscreet practices causing social problems. Such measures may include minimizing potential harms to consumers’ lives and bodies and obligatory hygiene education for practitioners and places. In the past, knowledge about diseases was monopolized by specialists (medical professionals) and it was relatively hard for consumers to make critical decisions on medical practice. With the spread of the Internet these days, however, ordinary people can access expert knowledge easily and, as a result, they have higher decision?making power than before. This change is expected to reduce the use of unproved procedures as if they have been proved or effective. Furthermore, if safety and efficiency are secured through scientific verification, more divers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will become available and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ealth care workers and the promotion of people’s health.

      • 간호학과 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 일 간호대학을 중심으로

        안상희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nursing students’attitudes toward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nd thereb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nursing intervention.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year nursing students who did not take a formal education about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nd the third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who took that education. 190 nursing students of a college of nursing in Gyeonggi Province were studied. As a measure, a five-point Likert scale was employed. The most positive response was given five point. Concerning the reliability, Chronbach's alpha was 0.90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8.0 program. Chi-square 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ttitude toward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67.7 percent of the first group of respondents, the first and second-year nursing students, answered ‘neutral,’ ‘not very interested,’ or ‘not at all interested,’ whereas 67 percent of the other group of respondents, the third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nswered ‘somewhat intrested,’ and ‘very interested.’ This results imply that the education affects the degree of the interest. As to the recommendation of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for those who use that therapy, 27.4 percent of the first group answered that they will not care about using that therapy, lead them not to use it, or actively dissuade them from using it. To the contrary, only 5.7 percent of the other group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ill not care about using it, whereas 94.3 percent of them answered that they will actively recommend using it with offering related information or recommend using it after the consideration of it. Additionally, the score of a general attitude toward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as 3.74 for the second group and 3.45 for the first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was significant at 0.001 significance level (p<0.001).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curriculum that was implemen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third year has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and the interest in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I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scholarship of nursing should put considerable effort to the study of safety and efficacy of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n association with related experts. Second, a standardized curriculum about theory and practice of the therapy needs to be prepared. Finally,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applicable to practical situations is urgently required. 본 연구는 2013년 11월 경기도 소재 간호대학 재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규 교육을 받지 않은 간호학과 1·2학년 학생과 정규 교육을 받은 간호학과 3·4학년 학생의 인식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보완대체요법 사용에 대한 간호대학에서의 교육적 프로그램과 간호중재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인식 측정 도구는 Likert의 5점 척도를 사용하여 가장 긍정적인 응답을 5점으로 처리하였고,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 0.904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학과 학생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본인의 관심도를 알아본 결과, 간호 1·2학년은 보통이다, 별로 호응적이지 않다, 전혀 호응적이지 않다 에 67.7%가 답한 반면, 간호 3·4학년은 67%가 매우 호응적이다, 약간 호응적이다 에 답하여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과 교육을 받은 그룹이 대조적인 결과를 보여, 교육이 관심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한다.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하는 환자를 보았을 때 권유방법에 대해, 간호 1·2학년은 관여하지 않거나,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쪽으로 유도하거나, 부작용을 대비하여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겠다 에 27.4%가 답한 반면, 간호 3·4학년은 관여하지 않겠다 5.7%, 그 대신 알고 있는 정보를 알려주고 사용하도록 적극 권장하거나, 사용은 권장하되 검토 후 사용토록 하겠다 에 94.3%가 답하였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점수도 3·4학년이 3.74점으로 간호 1·2학년의 3.45점보다 높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01). 3학년 2학기에 시행된 교육과정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과 관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교육에서도 보완대체요법 전문가 등과의 연구를 통하여 안전성, 효능을 입증하고 이론, 실기에 대한 표준화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이 시급하다고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