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음이의어 표현을 위한 한글 형태 디자인 연구

        김인성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말에서 동음이의어는 소리의 길고, 짧음으로 그 뜻을 구분하거나, 문장안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문장의 문맥을 통해서 그 뜻을 구분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장음 기호를 부수적으로 사용하여 단음과 구분하거나, 한자를 병용 또는 혼용하여 뜻을 전달 한다. 하지만 동음이의어가 단어만으로 사용되거나, 신문의 헤드라인처럼 짧게 함축해서 의미 전달을 하고자 할 때, 또는 한자 없이 사용 될 경우, 그 뜻을 구분 할 수 있는 시각적인 장치가 현재의 한글 형태에는 없기 때문에 동음이의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형태 분석을 바탕으로 한글이 시각적으로 음가 뿐만 아니라 음의 길이 표현도 가능해져 동음이의어를 구분 지을 수 있는 새로운 한글 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 제안 방법으로 동음이의어는 같은 음의 길이라도 한가지 뜻만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자음의 형태 분석을 통해 얻은 기본 형태를 가지고 그 뜻을 구분하고자 했으며, 동음이의어를 구분할때 기준이 되는 발음의 길고 짧음의 시각적 표현은 모음의 형태 변화를 통해 가능하게 하여 동음이의어를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한글 형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Homonyms in Korean language carry different meanings through longer or shorter sounds. When homonyms are used in sentences, their meanings are determined based on contexts. In some cases, additional symbols are used to represent long or short sounds. In other cases, Chinese characters are marked or mixed to deliver exact meanings of homonyms. When homonyms are used in single words or in headlines where their meanings are delivered with compact implications or when they are not mixed with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no visible forms or markers telling distinct meanings of homonyms in current Hangeul system, resulting in difficulties understanding exact meanings of homonym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Hangeul usage to distinguish homonyms through visual marking of phonetic values and lengths on the basis of analyses on consonants and vowels in Hangeul. Specifically, some homonyms have more than one meaning despite their phonetic lengths are same. In that case, this study analyzes consonants to get basic forms with which distinction of meanings in homonyms are possible. Further, by allowing visual marking of phonetic lengths through changes of vowel forms, which are the standard for telling different meanings of homonyms,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system for homonymous form distinction in Hangeul.

      • 공기 관계를 활용한 동음이의 한자어 교육 내용 연구

        Li Xueke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동음이의 한자어군(群)을 선정하고 말뭉치를 통해 각 동음이의 한자어의 공기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어휘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여 학습자들이 공기 관계를 통해 동음이의 한자어를 구분하고 이해하여 문맥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어휘는 어휘의미 관계에 따라 유의어, 다의어, 동음이의어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국어의 동음이의어 교육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수·학습의 국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고에서 조사한 결과,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동음이의어 교육에 대한 요구는 컸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교수·학습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언어생활 속에서 동음이의어를 혼동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는 특히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급 단계에서의 동음이의어 교육의 필요성을 잘 보여 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동음이의 한자어 교육 연구의 바탕이 된 이론적 배경 및 개념을 살펴보았다.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동음이의어의 개념과 유형부터 시작하여 이와 혼동하기 쉬운 다의어까지 함께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동음이의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교재 분석과 설문조사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동음이의어에 대한 학습자 및 교사의 태도, 그리고 고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동음이의어를 숙지한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로써 동음이의 한자어 교육의 위상을 확인하는 동시에 공기 관계 개념을 도입하여 동음이의 한자어를 구별·이해하고 실제적인 활용단계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공기 관계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공기 관계는 느슨한 연어 관계의 일종으로 문맥에서 가까운 어절 내에 두 단어가 자주 함께 나타나는 것을 가리킨다. 공기 관계, 연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정리하면서 이를 활용한 동음이의어 교육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동음이의 한자어군(群)을 선정하고 각 동음이의 한자어를 말뭉치에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교육용 동음이의 한자어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4단계>를 바탕으로 149조(354개)를 선정하였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이 네 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다. 첫째, 위자료를 가나다순으로 정렬한 후, 둘째 한글 표기가 동일한 어휘를 추출하였다. 셋째, 추출된 동음이의어를 한자를 병기하여 동음이의 한자어만 선정한 다음 마지막으로, 고급 동음이의 한자어가 포함된 동음이의 한자어군(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149조 중에서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것은 무엇인가', '동음이의 어휘수가 많은 것은 무엇인가',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는 무엇인가'와 같은 세 가지 기준을 통해 9조(33개)를 추출하여 자세하게 분석하였다. 말뭉치 빈도수와 명사/형용사/동사/관형사 등 공기 관계를 정리하여 분류어휘집을 구성하였는데, 말뭉치는 국립국어원의 '21세기 세종계획 현대문어 형태의미분석 말뭉치(2015)'를 사용하였으며 공기 관계 분석은 '한마루 2.0프로그램(국립국어원 언어 정보 나눔터)'을 이용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구축한 분류어휘집을 바탕으로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동음이의 한자어 교육을 모색하였다. 먼저 기존에 출판된 한국어 교재에서 동음이의 어휘 교육의 한계점을 살피어 본고의 분류어휘집이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보조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 다음에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살피기 위해 OHE모형과 TTT모형을 결합하여 언어 인식 향상을 위한 과제 중심 수업의 실제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에 학습 활동으로 꼬마 사전 제작에서의 활용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인 고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동음이의 한자어를 정확하게 구별하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앞선 장에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동음이의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말뭉치에서 추출된 공기 관계를 바탕으로 분류어휘집을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의 동음이의어 이해 특성

        이신호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 2, 3학년의 동음이의어 이해 특성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어휘 발달에 대한 정보를 제시할 것이며, 이를 통해 언어발달이 지연되는 아동의 언어중재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창원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 총 48명으로 부모나 학급 담임 교사로부터 지능, 사회·정서, 행동, 감각기관 등에 문제를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되었고, 주 양육자가 어머니인 아동이다. 이렇게 의뢰받은 아동 중에 학급 담임 교사에게서 받은 국어점수 정보에 따라 하위 15%미만, 상위 15%이상인 아동은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프로그램은 ‘변별하기 Ⅰ’, ‘변별하기 Ⅱ’과제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에게 변별하기 과제를 실시한 결과, 2학년, 3학년 아동이 1학년 아동에 비해 동음이의어의 수행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유형에 따른 동음이의어 수행력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읽기과제가 듣기과제에 비해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과 과제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의 경우에도 수행력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1학년 아동은 읽기과제와 듣기과제간의 점수차가 컸으나 2학년, 3학년 아동은 읽기과제와 듣기과제간의 점수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읽기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의 오류 양상 분포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우리’, ‘부자’, ‘사과’ 순으로 빈번한 오류가 발생하였으며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은 ‘다리’, ‘부자’에서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은 ‘부자’에서 오류를 보였다. 넷째, 듣기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1, 2, 3학년 아동의 오류 양상 분포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은 ‘밤’, ‘우리’, ‘벌’ 순으로 빈번한 오류를 나타내었으며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은 ‘밤’, ‘벌’, ‘우리’에서 오류를 보였다.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은 ‘우리’, ‘벌’에서 오류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monym understanding traits of 1st, 2nd and 3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suggest information of vocabulary development, and through this, it can provide an actual help to language arbitration of children who have verbal development problems. Subjects of this study are 54 1st, 2nd and 3rd gra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 in Changwon and it was reported by their parents or form masters that they do not have problems of intelligence, social emotions, behaviors, sensory organs, etc, and their main fosterers are mothers. Among these children, the children with less than 15% low rank and more than 15% high rank according to language grade information from their form masters are excluded from this study. Study programs include ‘secerning Ⅰ’ and ‘‘secerning Ⅱ’assig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conducting secerning assignment with elementary school 1st, 2nd and 3rd grades children, performance capability of homonym of 2nd grade and 3rd grade children seemed superior than the 1st grade children. Also,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homonym performance capability depending on the task type, and performance capability of reading task showed higher than listening assignment. Secondly, in case of grades and interaction effects of assignment type, there 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capability. For the 1st grade children, there was a significant score difference between reading task and listening assignment, but for 2nd grade and 3rd grade children, score difference between reading task and listening assignment was decreased. Thirdly, error pattern distribution of elementary school 1st, 2nd and 3rd grades children for reading task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for elementary school 1st grade children, there were frequent errors in order of ‘us’, ‘rich person’ and ‘apple’, and for elementary school 2nd grade children, in ‘legs’ and ‘rich person’, and for elementary school 3rd grade children, ‘rich person’ showed errors. Lastly, error pattern distribution of elementary school 1st, 2nd and 3rd grades children for listening assignment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for elementary school 1st grade children, there were frequent errors in order of ‘night’, ‘us’ and ‘bee’ and for elementary school 2nd grade children, in ‘night’, ‘bee’ and ‘us’, and for elementary school 3rd grade children, ‘us’ and ‘bee’ showed errors.

      • 동음어가 브랜드 이름에서의 사용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규제와 브랜드 유의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HU KEXI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동음어를 읽는 것은 상호 보완적인 동음어의 의미를 활성화 할 수 있으며 이 는 평가와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이 연구에서 우리는 동음어 프라이밍 효과의 내재적인 메커니즘과 이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중국인 4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첫째,우리는 동음어의 존재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으며,이 영향은 자기 규제 및 브랜드 유의성에 따라 변화하다. 향상초점(에방초점)을 가진 사람들이 긍정적인 브랜드 이름에 노출될 때, 동음어를 사용하지 않은(사용하는) 것보다 동음어를 사용하는(사용하지 않은) 것에 대해 더 높은 구매의도를 보인다; 반대로,부정적인 브랜드 이름에 노출될 때, 동음 어를 사용하는(사용하지 않은) 것보다 동음어를 사용하지 않은(사용하는) 것에 대 해 더 높은 구매의도를 보인다. 결론적으로, 동음어 프라이밍은 소비자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그러한 효과는 자기 규제 및 브랜드 유의성에 의해 조절된다. 우리는 공공 정책 및 고객 유지 노력뿐만 아니라 마케팅 실무을 위해 유용한 팁을 제공하기 위해 이 발견의 의미를 논의한다. Reading homophones can activate meanings and associations of complementary homophones, which in turn may influence evaluations and behavior.In this research we conduct a survey among 400 individuals to identify the intrinsic mechanism and moderating factors on homophone priming effect.Five hypothesis were tested through analysis method such as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We identified homophone presence has impa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this impact alters along with self-regulatory and brand valence: for promotion focus aspect ( prevention focus aspect ) , the individuals exposed to positive brand name condition reflected higher purchase intention towards brand names with(without) homophone than those without(with) homophone; conversely, the individuals exposed to negative brand name condition reflected a higher purchase intention towards brand names without(with) homophone than those with(without) homophone. In conclusion, homophone priming effect is moderated by self-regulatory and brand valence.

      • 한국어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 교육 연구 : '타다'를 중심으로

        호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는 두 가지 목적이 있다. 하나는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의 등급별 교육 목록을 선정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동음이의어 각 표제어의 세부적인 의미를 등급화해서 효율적인 의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이 논문을 전개했다. 1장에서는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주로 학습자 요구 측면과 교육의 효율성 측면으로 나눠서 논의했다. 그리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동음이의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했다. 특히 선행 연구에서 제기된 동음이의어 교육 목록의 선정 방법, 수업 활동 등의 장·단점을 분석했다. 2장에서는 동음이의어 교육의 이론적인 배경을 정리했다. 동음이의어의 개념, 동음이의어의 생성 원인, 동음이의어의 분류,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구분, 이 4가지로 나눠서 정리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의 범위를 정했다. 3장에서는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의 교육 현황을 알아봤다. 학습자의 동음이의어 사용 양상도 조사하고 한국어 교재에서의 동음이의어 제시 상황도 분석했다. 4장에서는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의 교육 목록을 제시했다. 조남호(2003)의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를 기본 자료로 삼고, 『“한국어 교육 기초 어휘 의미 빈도 사전의 개발” 사업 보고서』, 홍윤기·서희정(2010)에서 추출한 교육용 고유어 용언 목록, 그리고 한국인의 의미 사용 양상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서 교육용 어휘를 제시했다. 5장에서는 ‘타다’를 예로 해서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의 각 표제어의 세부적인 의미를 등급화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리고 문화 요소를 도입한 교육용 그림을 구성하고. 이를 활용한 고급 의미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본고에서 제시한 고유어 동사 동음이의어의 학습 목록과 동음이의어의 세부적인 의미를 등급화하는 방법이 한국어 어휘 교육에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at selecting the list of educational homonym of each level focused on pure-korean verb, and leveling homonym's each meanings to come up with an efficient teaching plan. The first chapter is an argument on the necessity of pure-korean verb homonym education from the angles of learners’ needs and educational convenience. It also analyzes the merits and faults of the homonym list’s selected methods and lesson plans in the prior study about teaching homonym in a foreign language. The second chapter is a classification about the background of homonym education from 4 aspects: the definition, the generating reasons and the classes of homonym and the differences between homonym and polysemy. This chapter also prescribes a limit to the confines of the pure-korean verb homony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bove. In chapter 3, the study firstly analyzes the learners’ using situations in the form of a questionaire. Then the study analyzes the korean textbooks published recently to get a whole picture of the education situations in homonym teaching. Chapter 4 integrates the survey result about the using situations of word meanings among koreans with Jo namho(2003),Hong yoongi· Seo huijeong (2010)and designates the list of educational homonym of each level focused on pure-korean verb. Chapter 5 takes “tada” as an example to come up with an efficient method which level all the meanings. A lesson plan about using pictures to teach high level meanings is also presented in this chapter. This study expounds the importance of pure-korean verb education. I hope the pure-korean verb educational list and the leveling method put forwar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korean teaching.

      • 한·중 사전의 동음어와 다의어에 대한 연구 : 동사를 중심으로

        호흥휘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동음어와 다의어는 하나의 형태에 여러 개의 의미가 대응되기 때문에 양자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나타난다. 특히 동음어와 다의어는 사전에서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 하는 데에 대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사전 간에는 물론이고 한 사전 내에서도 일관성이 없어 혼란을 일으킨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에서 출판된 한중사전은 『實用韓中辭典』과 『(엣센스)韓中辭典』, 중국에서 출판된 한중사전은 『韩汉大词典(한중대사전)』과 『龍朝韓中詞典』의 동사를 중심으로 동음어와 다의어의 처리양상을 비교하고 이것을 토대로 중국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중사전에서 동음어와 다의어의 처리 방안을 마련했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그리고 지금까지 선행 연구의 성과와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선정했던 『實用韓中辭典』,『(엣센스)韓中辭典』, 『韩汉大词典(한중대사전)』과 『龍朝韓中詞典』에서 동음어와 다의어의 처리 양상을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제3장은 제2장에서 수집한 내용을 바탕으로 앞에 찾아낸 문제점을 분석하고 한국어 학습자들이 쉽게 동음어와 다의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중사전에서 동음어와 다의어의 처리 방안을 제시한 단계이었다. 마지막으로 4장은 앞의 내용과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결론을 내렸다. 지금까지 동음어와 다의어의 처리 문제에 대한 혼란이 많이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시된 한중사전에서의 동음어와 다의어에 대한 처리방안을 통해서 앞으로 중국어권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Both of homonym and polysemy are one form with several meanings, so it's difficult to distinguish homonym and polysemy words. Especially, there was no standard in a dictionary about how to show homonym and polysemy, and there was no consistency between dictionaries, besides, there also was no consistency in a dictionary's inner part. Because of this many confusions are created. Therefore, this study center upon the verbs in 《Practical Korean-Chinese Dictionary》and 《(ESSENCE) Korean-Chinese Dictionary》 which published in Korea, and 《Korean-Chinese Dictionary》, 《LongChao Korean-Chinese Dictionary》 which published in China. Then compared the processing aspect of homonym and polysemy words and on the basis of this drew up measures for Korean advanced language learners of Chinese in Korean-Chines dictionary.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were been described, as well as at present the performance and the problem of preceding research was been reviewed. In Chapter 2, arranged the processing aspect of homonym and polysemy in 《Practical Korean-Chinese Dictionary》, 《(ESSENCE) Korean-Chinese Dictionary》, 《Korean-Chinese Dictionary》and 《LongChao Korean-Chinese Dictionary》. In Chapter 3, discussed the problems which founded in foregoing chapter based on the contents which collected in chapter 2. Then in order to make Korean advanced language learners of Chinese learning homonym and polysemy words more easily produced the homonym and polysemy words processing method of Korean-Chinese dictionary. Lastly, in chapter 4, the same as what is mentioned above were been sorted out and then drew to a conclusion. So far there is so many confusions about processing aspect of homonym and polysemy words, so hoped that the processing method mentioned in this study about homonym and polysemy in Korean-Chinese dictionary will be helpful for Korean advanced language learners of Chinese.

      • 사전 편찬에서의 동음어와 다의어의 구별에 대한 연구 : 용언의 경우

        신희돈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고는 현대국어의 동음이의어 용언의 사전적 처리에 대한 태도를 고찰하기로 한다. 언어현실에서의 하나의 음성에 한 의미만이 일대일의 대응을 이루고 있지 않음에 문제제길를 하지만, 언어의 발달과 함께 동음이의어의 생성이 필연적임을 인식한다. 그러나 동음이의어는 일상생활의 의사소통에 있어 오해를 발생시키고 혼란을 가중시킨다. 이에 본고는 동음이의어로 인하여 초래되는 청자와 화자의 오해와 혼란을 방지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규범 사전의 기치를 내걸고 발간된 『표준국어대사전』과 순수 언어 사전의 기치를 걸고 발간된 『연세한국어사전』의 용언 300여 개를 비교 검토하여 동음이의어 용언의 분할 기재를 고찰한다. 먼저 기존 사전들의 편찬 태도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동음이의어 용언의 분할 기준에 대해 크게 나누어 첫째, 의미에 의한 분할과 둘째, 문법특성을 고려한 의미 외적인 요인의 분할 기재를 각각 고찰하여 보았다. 우선 의미에 의한 분할은 문법적 체계도 다르고 의미의 연관성을 찾기가 어려운 것들에 대해서 살펴본 후 사전 편찬자의 직관에 의한 의미의 연관성에 대한 부분을 살펴보았다. 또 비유적으로 전이되어 쓰이는 의미, 의미 분화의 오류 및 특정 의미에 사용되는 것을 표제어로 사용한 경우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의미 외적인 요인으로 문법특성을 그 기재로 삼을 것 인지와 관련하여 첫째,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문법특성이 같은 경우, 둘째 하나의 단어가 용언으로도 사용되고 접사로도 사용되는 경우, 셋째 하나의 단어가 동사로도 쓰이고 형용사로도 사용되는 경우를 살펴, 이러한 문법 특성을 결정적인 차이점인 것으로 인정하여 동음이의어로 분할하는 게 타당한지에 대한 고찰을 해보았다. 그 외에도 파생용언의 경우 그 어근의 형태로 인해 동음이의어가 생기는 것, 준말과 잘못된 쓰임 따위로 인한 동음이의어 설정 여부에 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국어 의미현상의 하나인 다의어와 언어의 발전과 같이 진행되어 온 동음이의어의 사전적 처리 태도는 각 사전마다 이견이 많다. 이는 언어 사용자로 하여금 오해의 소지를 제공하고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음이 현실이며 이러한 혼란을 조금이라도 줄인다는 게 결국 본고의 연구 결과라 할 수 있다. In this report J.will examine the declinable word of homograph. I will do this on the basis of two kinds of dictionaries, 『표준』 Korean dictionary and 『연세』 Korean dictionary. I any language. There are many words which identical pronunciation, but which have different meanings. This can lead to misunderstandings and confusion. Therefore a study of homograph a necessary this reasons I will compare and investigate three hundred words from two dictionaries. One is 『표준』Korean dictionary which has normative property the other is 『연세』 Korean dictionary that has practical property. Iwill research the basis of this division in the following manner. (A) I will codify former research done from those two dictionaries. (B) I will research the two different standards Namely (i) division by meaning,(ii) division by other facts based on grammar. Those standards will be organized through three or four paragraphs and the rationale of the two dietionaries which have different views will be examined. Thus we will discover how this can bring about an increase in mis understandings and confusion in the Korean language. The intention of this report is to decrease these misunderstandings and conusion.

      • 현대 국어 동음어의 설정기준에 대한 고찰 : 용언을 중심으로

        손유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고는 현대 국어의 동음어의 설정기준에 대한 태도를 고찰하기로 한다. 언어의 발달과 함께 동음어의 생성은 필연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동음어는 하나의 중대한 언어현상이며 인간의 언어생활을 윤택하고 폭넓게 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지만, 동음어는 또한 일상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오해와 혼란을 빚어내기는 등 상당한 저해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혼란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동음어에 대한 보다 넓은 지식과 ‘어휘에 대한 언어학적 기술’인 사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기회를 갖게 하는데 본고의 의의가 있다. In this report, I will examine the declinable word of homonym. In any language, There are many words which have identical pronunciation, but which have different meanings. This can lead to misunderstandings and confusion. Therefore a study of homonym a necessary part of language study.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reduce and clarify some of these misunderstandings. I will do this on the basis of two kinds of dictionaries, 『Pyojun(표준)』 Korean dictionary and 『Yonsei(연세)』 Korean dictionary. One is 『Pyojun』 Korean dictionary which has normative property, the other is 『Yonsei』 Korean dictionary that has practical property. I will research the basis of this division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I will codify former research done from those two dictionary. Second, I will research the two different standards Namely (ⅰ) division by meaning, (ⅱ) division by other facts based on grammar. We will discover how this can bring about an increase in misunderstandings and confusion in the Korean language. The intention of this report is to decrease these.

      • 한국어 문장이해에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표상과 처리 : ERP연구

        정혜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6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는‘그녀는 잘 산다’(well-being 혹은 well-buying)와 같이 중의적인 표현이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중의적 표현은 하나의 어휘가 여러 의미를 지니는 어휘적 중의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며, 본 연구에서는 어휘적 중의성을 유발하는 중의어-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비교하고자 한다.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는 하나의 단어 형태가 여러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중의적 어휘(중의어)라는 하나의 범주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러나 다의어는 한 형태의 어휘가 둘 이상의 관련된 의미 자질을 지니는 반면에, 동음이의어는 한 형태의 어휘가 서로 무관한 둘 이상의 개별 의미들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장 이해 과정에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가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과정을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실험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의미 표상 구조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에서는 문장 내 중의어(다의어 또는 동음이의어)가 선행 맥락에 따라 주요의미(가장 선호되는 의미), 부가의미(덜 선호되는 의미) 또는 중립의미(주요의미 또는 부가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의미)로 활성화되도록 조작하였다. 이 때 맥락에서 활성화되는 의미가 중의어의 여러 의미들 중에 가장 선호되는 의미(주요의미)일수록 맥락이 다음에 등장할 어휘에 대해 강한 어휘적 예측력을 지닐 것이라고 가정하였다(우세 효과).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 이어서 등장하는 동사의 의미가 기존 맥락에서 활성화된 의미와 자연스럽게 통합되기 어려울 수록 동사에서 관찰되는 의미 적합성 효과의 크기가 커질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며, 이러한 적합성 효과 크기는 어휘적 예측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N400과 전체 의미 통합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P600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실험 결과, 동음이의어 조건에서는 동사의 의미 적합성 효과가 어휘적 예측의 실패에 따른 N400과 전체 의미 통합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P600이 함께 나타나는 이항적(biphasic) ERP 패턴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의미 맥락 조건에서 강력한 N400과 P600이 함께 나타났으며, 부가의미 맥락 조건에서는 강한 P600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의어에서는 동음이의어와 달리 모든 맥락 조건에서 N400이 발생하지 않았고, 주요의미맥락 조건에서만 P600이 나타났다. 이처럼 동사 의미 적합성 효과에 따라 검출되는 뇌파 패턴이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난 결과는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처리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meanings of homonyms are activated separately. However, it is still controversial 1) whether multiple senses of polysemy are activated separately like those of homonyms or 2) whether only core and shared meanings of polysemy are activated underspecifically. But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rocessing of ambiguous words in the lexical level not in sentential level and how activated meanings of ambiguous words are integrated into sentences was given less attention. Thus I looked into the processing of ambiguous words in sentential level by taking advantage of relationship between ambiguous nouns and sentence-final verbs.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way of meanings of polysemy and homonym nouns are activated and integrated depending on context is similar or different during online sentence comprehension. The context was biased to be more preferred(dominant) meaning, less preferred(subdominant) meaning, or neutral meaning. When a specific sense of an ambiguous word (polysemy or homonym nouns) was activated by context, the difficulty in the integration of sentence-final verbs when the verbs were incongruent with prior context was compared to the difficulty in the integration of verbs when the verbs were congruent. This congruency effect was observed by using ERPs. The results of an ERP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congruency effect in the processing of homonyms emerged as the biphasic N400/P600 pattern in dominant meaning context and the P600 pattern in subdominant meaning context. On the other hand, the congruency effect in the processing of polysemy elicited as the P600 pattern only in the dominant meaning context. This dissimilar ERP patterns between polysemy and homonymy indicated that polysemy and homonym nouns were processed and integrated differently during online sentence comprehension. Furthermore, with the presence of P600 in the integration of both polysemy and homonymy, the absence of N400 in polysemy suggests that i) N400 reflects the difficulties of the retrieval of lexical features rather than semantic integration and thus ii) the core and shared meanings of polysemy are activated underspecifically in the mental lexicon. To conclud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ERP evidence for differences between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polysemy and homonym nouns in online sentence comprehension and support the view of shared core repres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