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산업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혜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용 산업은 경영구조적인 특성상 기술과 서비스가 그 기둥이 되고 있다. 실제 미용기술과 서비스는 대부분의 ‘고객’이라는 사람과 ‘미용사’라는 사람이 만나서 이루어지는 인적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이므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미용 산업에서 가장 강조되어지는 부분이 우수한 미용전문 인력의 체계적인 확보와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로 서비스 질의 향상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 산업 종사자들의 구체적인 직무만족요인이 서비스 품질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미용 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업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준다는 관점에서 미용 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향후 미용 산업 종사자의 직무개선과 서비스 품질 향상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써 정보를 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하여 직무만족과 서비스 품질의 개념을 고찰하고, 미용 산업 종사자들에 적합한 직무만족과 서비스 품질의 요인을 도출,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검정하였다. 연구 대상 모집단은 2010년 11월 11일부터 26일까지 15일간 실시하였고, 서울시 강남지역 미용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으로 200부의 유효설문을 연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항목에 대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성분분석에 의한 직각회전을 사용하여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인 변수별 측정항목들의 내적일관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Cronbach' ɑ 계수를 사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평가하였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기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여줌으로써 연구결과의 신빙성을 높여주고 있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사회과학에서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되었다는 것은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보장해주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 산업 종사자의 직무 만족 요인 중 상사 관계는 5개의 모든 서비스 품질요인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보였으며, 직무 자체는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의 4개의 요인에, 승진 및 보상 체계는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의 3개의 요인에, 동료관계는 확신성과 공감성의 2개의 요인에 마지막으로 임금 및 보상체계는 유형성의 1개의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미용 산업은 대표적인 서비스 산업으로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향상 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그 중에서도 상사와의 관계 만족이 서비스 품질의 질을 가장 많이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사람과 사람이 직접 고객과 접촉하는 서비스 산업에서 상사와 동료 간의 관계는 직무만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고, 매우 중요하게 분석된 부분은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 하고 있다. 직무만족에서 인간관계가 매우 중요한 요인인 미용 산업 종사자들은 좋은 상사를 만났을 때 자신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느끼고 그로 인해 자신의 업무도 능동적이고 활동적으로 함으로써 좋은 서비스 품질을 이끌어 낸다고 보여 지며, 직무자체 또한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가 미래의 발전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을 때 만족이 높아지며, 서비스의 품질도 향상된다고 보여 진다.

      • 한국어 문장이해에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표상과 처리 : ERP연구

        정혜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는‘그녀는 잘 산다’(well-being 혹은 well-buying)와 같이 중의적인 표현이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중의적 표현은 하나의 어휘가 여러 의미를 지니는 어휘적 중의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며, 본 연구에서는 어휘적 중의성을 유발하는 중의어-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비교하고자 한다.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는 하나의 단어 형태가 여러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중의적 어휘(중의어)라는 하나의 범주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러나 다의어는 한 형태의 어휘가 둘 이상의 관련된 의미 자질을 지니는 반면에, 동음이의어는 한 형태의 어휘가 서로 무관한 둘 이상의 개별 의미들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장 이해 과정에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가 실시간으로 처리되는 과정을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실험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의미 표상 구조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에서는 문장 내 중의어(다의어 또는 동음이의어)가 선행 맥락에 따라 주요의미(가장 선호되는 의미), 부가의미(덜 선호되는 의미) 또는 중립의미(주요의미 또는 부가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의미)로 활성화되도록 조작하였다. 이 때 맥락에서 활성화되는 의미가 중의어의 여러 의미들 중에 가장 선호되는 의미(주요의미)일수록 맥락이 다음에 등장할 어휘에 대해 강한 어휘적 예측력을 지닐 것이라고 가정하였다(우세 효과).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 이어서 등장하는 동사의 의미가 기존 맥락에서 활성화된 의미와 자연스럽게 통합되기 어려울 수록 동사에서 관찰되는 의미 적합성 효과의 크기가 커질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며, 이러한 적합성 효과 크기는 어휘적 예측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N400과 전체 의미 통합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P600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실험 결과, 동음이의어 조건에서는 동사의 의미 적합성 효과가 어휘적 예측의 실패에 따른 N400과 전체 의미 통합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P600이 함께 나타나는 이항적(biphasic) ERP 패턴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의미 맥락 조건에서 강력한 N400과 P600이 함께 나타났으며, 부가의미 맥락 조건에서는 강한 P600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다의어에서는 동음이의어와 달리 모든 맥락 조건에서 N400이 발생하지 않았고, 주요의미맥락 조건에서만 P600이 나타났다. 이처럼 동사 의미 적합성 효과에 따라 검출되는 뇌파 패턴이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난 결과는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처리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he meanings of homonyms are activated separately. However, it is still controversial 1) whether multiple senses of polysemy are activated separately like those of homonyms or 2) whether only core and shared meanings of polysemy are activated underspecifically. But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rocessing of ambiguous words in the lexical level not in sentential level and how activated meanings of ambiguous words are integrated into sentences was given less attention. Thus I looked into the processing of ambiguous words in sentential level by taking advantage of relationship between ambiguous nouns and sentence-final verbs.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way of meanings of polysemy and homonym nouns are activated and integrated depending on context is similar or different during online sentence comprehension. The context was biased to be more preferred(dominant) meaning, less preferred(subdominant) meaning, or neutral meaning. When a specific sense of an ambiguous word (polysemy or homonym nouns) was activated by context, the difficulty in the integration of sentence-final verbs when the verbs were incongruent with prior context was compared to the difficulty in the integration of verbs when the verbs were congruent. This congruency effect was observed by using ERPs. The results of an ERP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congruency effect in the processing of homonyms emerged as the biphasic N400/P600 pattern in dominant meaning context and the P600 pattern in subdominant meaning context. On the other hand, the congruency effect in the processing of polysemy elicited as the P600 pattern only in the dominant meaning context. This dissimilar ERP patterns between polysemy and homonymy indicated that polysemy and homonym nouns were processed and integrated differently during online sentence comprehension. Furthermore, with the presence of P600 in the integration of both polysemy and homonymy, the absence of N400 in polysemy suggests that i) N400 reflects the difficulties of the retrieval of lexical features rather than semantic integration and thus ii) the core and shared meanings of polysemy are activated underspecifically in the mental lexicon. To conclud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ERP evidence for differences between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polysemy and homonym nouns in online sentence comprehension and support the view of shared core representation.

      • 가족 구성원의 죽음과 극복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정혜인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경험에 나타나는 현상이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살면서 누구나 겪는 가족과의 사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있다. 더불어 슬픔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이들을 치유할 수 있는 기본 연구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죽음으로 인한 가까운 사람과의 이별은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경험이다. 그 중에서도 가족 구성원의 죽음이라는 사건은 커다란 충격과 슬픔에 마주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심리적 반응이나 부정적 감정들은 일정한 기간 동안 애도의 과정을 거친 후에 서서히 치유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는 외할머니, 아버지와 큰 남동생, 할머니, 할아버지와의 사별을 겪으면서 다양한 형태의 슬픔과 상실 극복의 과정을 겪었다. 사랑하는 가족을 보냈다는 점에서 가장 먼저 슬픔의 감정에 당면했지만 죽음의 시기와 대상, 원인에 따라 슬픔의 유형과 정도가 달랐고, 그것을 이겨내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애 도의 시간은 나 스스로를 돌아보게 했으며, 삶의 주체로서 ‘어떻게 살 것인가’를 성찰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러한 성찰적 극복의 과정이 자문화기술지라는 연구방법을 선택한 동기가 되었다. 자문화기술지는 연구자 개인의 경험을 주요한 데이터로 사용하며,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려는 의도로 진행된다. 자문화기술지는 공동체 또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개인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는 질적 연구방법이다. 자문화 기술지는 사회와 문화 속에 존재하는 연구자 자신의 경험에 대해 반성적으로 이야기함으로써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한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일기와 메모, 다이어리(스케줄러), 주고받은 편지, 사진과 영상, 블로그의 글, 이메일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조직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 및 해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작업으로 Richardson(1994, 2000a)과 Duncan(2004)이 제시한 평가준거를 활용하여 검토했다. 나는 글쓰기의 시간을 통해 슬픔과 애도의 과정을 거쳤고, 치유의 단계에 이를 수 있었다. 살면서 당면하는 슬프거나, 고통스럽거나, 혼란스러운 일은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찾아냄으로써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태어나고 죽는다. 그러므로 그 필연성을 인식하고 존재하는 것의 가치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가족 구성원의 죽음이라는 상실을 경험한 독자들이 이 글을 읽음으로써 위로받을 수 있기를, 그리고 또 누군가는 앞으로 다가올 수많은 이별에 대해 준비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arting with family members by death, which can happen to anyone in life, by observing some signs and changes in personal experiences. Besides, it can be meaningful as a basic tool to cure people who suffer from grief. Parting with someone close by death happens to anyone. Above all, family member’s death throws people into a great shock and grief. In general, however, these psychological responses and negative emotions slowly disappear after a certain period of mourning time. Being parted from my maternal grandmother, father, one of younger brothers, grandmother and grandfather by death, Iexperienced many different feelings of grief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loss of my family members. When it comes to the loss of my loving family members, I first faced the feeling of grief,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forms and stages of grief among the times of death, the dead and the causes. There is a bit difference in the ways to overcome it as well. With this process, I could not only look back upon myself, but also take some time for reflecting on ‘how I would live in the future’ as an agent of life. Consequently, I have chosen this study method, called autoethnography, with the learning process. Autoethnography takes ‘Personal Experiences’ as major data for the study and trie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social phenomena. It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hich shows personal experiences in the community or the sociocultural contexts. Also it offers an critical insight into the personal experiences by describing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er himself in the society and culture with self-reflection. With materials from diaries, notes, a chart of daily schedules, personal correspondence, photos, videos, posts on blog, e-mails, this paper analyzes and interprets them after the systematization. In addition, in the work for ensuring validity, this paper takes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by Richardson in 1994, 2000a and Duncan in 2004. Spending time writing something, I had experienced feeling of grief and the process of mourning. Then I could be in the stage of healing myself. By seeking the meaning of life, we can overcome sorrow, pain and confusion which we face in our lives. We areborn, we die. So we should be able to see its inevitability and find value of beings. More than all, by reading this paper, I wish people who have an experience of the death of the family members could be comforted. I also wish people who will part with others times out of number could provide for the future.

      • 미용특성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혜인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특성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미용특성화 고등학생들의 진로준비와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조사를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에 있는 미용특성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6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56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은 성별은 여자, 전공은 헤어가 많았으며 1학년과 3학년은 각각 280명씩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수준의 차원을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목표선택, 직업정보수진, 문제해결의 3요인이, 진로준비행동은 목표달성활동, 도구준비, 정보수집의 3가지 요인이, 진로결정수준은 진로미결정수준, 진로확신수준, 진로정보부족수준의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조사대상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학년과 3학년의 영향력에서 영향력의 우선순위와 영향력의 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의 진로미결정수준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확신수준 요인과 진로정보부족수준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학년과 3학년의 영향력에서 영향력의 정도와 요인에 대한 영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특성화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미용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년별로 세부 전공에 따른 영향력의 분석하여 상호 영향력의 검증을 실시하여 자기효능감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미용특성화 고등학생들의 진로준비와 결정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초등학생의 팀 프로젝트를 위한 협력적 자기조절 수업전략 개발

        정혜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생의 팀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협력적 자기조절 수업전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맺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팀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협력적 자기조절 수업전략 개발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에 패러다임에 맞추어 프로젝트 학습과 협력적 자기조절 전략을 접목하여 프로젝트 학습 속에서 협력적 자기조절을 습득할 수 있는 수업전략을 개발하였다. 개발 모형은 ADDIE 모형의 단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하여 설계하였다. 먼저 프로젝트 학습의 단계를 현 초등학교의 실정에 맞게 구성하여 개발한 연구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학습의 단계를 설정하였고, 각 프로젝트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조절이 필요한 자기조절 영역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협력적 자기조절 척도를 중심으로 인지적, 행동적, 동기적 영역 수행목표를 설정하였는데, 이를 프로젝트 각 단계에 조절이 필요한 자기조절 영역과 연결하여 배치하였다. 문제 해결 계획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나왔던 초등학생의 자기조절 발달 특성을 바탕으로 인지적, 동기적 영역의 전략이 배치되었고, 탐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문제 해결 단계에서는 행동적 조절이 배치되었다. 발표 및 성찰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끝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동기적 조절이 배치되었다. 배치한 수행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기반으로 협력적 자기조절 수업전략을 개발하였는데, 협력적 상황에서 자기조절을 하는 것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전략을 습득할 수 있는 수업전략들을 배치하였다. 특히 구체적 조작기인 초등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스로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볼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장을 개발하였으며, 자기 인식이 의사소통의 기초라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성격유형검사, 감정 인식 및 공유하기 등의 전략을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m project learning. Specific research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draft for the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m project learning. To this end, prior studies on project learning and cooperative self-regulation were reviewed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learners and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this analysis, the self-regulation areas that need to be adjusted at each stage of project learning were organized and cooperative self-regulation performance objectives were deployed based on this analysis. In addition, the draft was developed by extracting self-regulating learning strategies related to performance objectives. Secon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final draft for the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m project learning. The first draft of the instructional strategy was finalized after the revision, reflecting the opinions and evaluations of eight teachers with diverse experience in project learning operation and the opinions and evaluations of the students in the class taught by the researcher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am project learning. is based on th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ies of the cognitive, synchronous and behavioral areas necessary for each stage, so that students can control themselves in collaborative situations. Second, the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designed to achieve a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 by coordinating conflicts and differences in opinions among team members on their own as learners acquire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during the team project learning. Third, collaborative self-regul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organized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project learning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begin to develop meta-cognitive strategies.

      • 새내기의 조직 사회화에 대한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영향

        정혜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들이 새내기 신입사원의 이직률을 줄이는 방안 중 하나로 새내기 조직사회화를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신입사원의 조직사회화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수단이 있으나 특히 새내기들이 기존의 조직 구성원들과 효과적인 대인관계인 소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회사의 구성원으로서 보람과 긍지를 느끼며 직장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는 새내기의 조직사회화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기존의 조직사회화 연구에서의 네트워크 형성은 직접적인 만남, 이메일, 전화 등의 매체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상대와의 신뢰를 쌓는 데에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오늘날 스마트폰의 보급과 소셜미디어의 활성화로 인해 커뮤니케이션의 모습은 변화하였고 사람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의 이야기를 나누며 정보를 얻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같은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빠른 시간 안에 연결해주고 있으며 정보의 흐름 또한 빨라졌다. 이와 관련하여 조직 연구 분야에서 소셜 미디어를 주제로 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Morrison(2002)의 연구에 의하면 새로운 조직원이 조직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그가 보유한 네트워크의 크기가 크고 상대적으로 약하고 넓은 관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반면에 과업정보나 역할정보는 정보를 얻는 데는 소수의 강하고 긴밀한 관계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새로운 매체를 통해 늘어난 커뮤니케이션 양과 보다 넓어진 네트워크의 환경 속에서 새내기의 정보 네트워크의 규모, 밀도, 강도, 범위가 조직에 대한 지식, 과업에 관한 정보 학습에 미치는 관계와 친구관계 네트워크의 규모, 밀도, 강도, 범위가 새내기의 조직에 대한 사회적 통합, 조직적 몰입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았다.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새내기) 119명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람들이 다양할수록 조직에 관하여 폭넓은 지식을 지니게 됨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또한 소규모의 고밀도 정보 네트워크를 지닌 새내기는 대규모의 저밀도 정보 네트워크를 지닌 새내기에 비하여 과업 숙지와 역할 명확성의 학습에 더 유리하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내의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네트워크에 포함하고 있는 새내기가 그렇지 못한 새내기에 비하여 과업 숙지와 역할 명확성의 학습에 유리하였다. 그리고 소규모의 강력한 친교 네트워크를 지닌 새내기는 대규모의 느슨한 유대의 친교 네트워크를 지닌 새내기에 비하여 사회적 통합과 조직적 몰입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새내기가 구축하고 유지하는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은 새내기의 조직사회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과 사회적 동화(assimilation)에 관련이 있으며 새내기가 사회화의 과정에서 조직내 기존의 구성원들과 일정한 형태를 지닌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스스로 조직사회화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를 개발하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이 개인의 태도와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일부 알 수 있기 때문에 조직사회화의 연구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의 연구에도 다소나마 기여를 한 것으로 생각된다. 약한 유대를 지닌 저밀도 정보 네트워크는 새내기들이 다양한 정보의 원천(source)에 더 많이 접촉하여 조직 전반에 관하여 더 효과적인 학습을 하도록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네트워크 구조는 새내기가 과업과 역할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주기적이고 신뢰성 있는 정보 흐름을 제공하는 데는 취약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사람들과 친구관계를 맺은 넓은 친교 네트워크의 범위가 새내기의 조직적 몰입과 관련이 있었으나 작업집단에의 사회적 통합과는 무관함도 알 수가 있었다. 조직 및 인적자원의 관리를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우선 새내기에게 두 가지의 소셜 네트워크가 조직사회화를 위하여 필요하다는 것이다. 새내기는 자신이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획득하고 학습하기 위하여 정보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며, 조직에의 통합과 사회적 동화를 위하여 친교 네트워크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조직은 새내기의 조직사회화를 위하여 새내기들에게 조직사회화를 위한 효과적 네트워크 구축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새내기들은 소셜 미디어의 사용을 일상화하고 있으며 그것이 조직사회화에 유용하다고 평가하고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에 취업한 후에도 계속하여 활용할 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조직이 구성원들의 소셜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조직관리와 인적자원의 관리를 위하여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함을 시사해주고 있었다. To reduce turnover of new employees, companies put efforts into socialization of newcomers. There are many different measures of socializing newcomers in the organization, but especially connection with existing members and effe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a member of the company makes newcomers feel pride and rewarding in organization. Such social networks will affect greatly on newcomers' socialization in organization. Previous researches on socialization in organization were based on network media such as direct meetings, email and telephone contact, which took relatively long time to build trust with each other. Today, however, the prevalence of smartphones and social media communications changed people's communication. We can provide our stories and get informations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These changes made it possible for people to be connected with others with same interest faster and easier. And also, it made informations flow much faster. In this regard, research on the subject of organizations and social media is needed. According to Morrison (2002), newcomers with larger informational networks reported greater organizational knowledge, whereas those with denser and stronger informational networks indicated greater mastery of their jobs and greater clarity with respect to their roles. Moreover, newcomers were more committed to the organization when their friendship networks contained individuals from various subunits and levels, and social integration was stronger when newcomers had relatively larger networks. In this study, I applied that logic to the domestic market with wider network of communication through development in social medi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formational and friendship network does effec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formational network with variety of people made it possible for the newcomers to have more extensive knowledge and "big picture" of the organization. And newcomers with high density of small-scale informational network appeared to have better task mastery and role clarity than those with low density of large-scale informational network. Having network with individuals in various levels helped newcomers to have greater mastery of their jobs and greater clarity of their roles. Moreover, newcomers with small friendship networks composed of strong ties had greater sense of social integr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ose with larger networks composed of weak ti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is related to learning and social assimilation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a newcomer. It is important for newcomers to establish and develop certain type of their social network with existi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soci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not only affective in the field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ut also in the fields of study in network. This study result shows how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network has affected individuals' attitudes and perceptions. Weak ties with a variety of low-density informational networks allowed newcomers to be in more frequent connection with the source of various information and learn efficiently about the organization. However, this type of network structure was not efficient in providing reliable information periodically for role clarity and task mastery. Wide range of social networks with variety of people had affects on newcom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had no relationship with social integration in job related groups. First implication of this study in organizational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that newcomers need two social networks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formational network and friendship network. Newcomers need informational network to acquire and learn various of necessary informations. And they would also need friendship network to have organizational integration and social assimilation. Organization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effective networking and support to newcomers for socialization in the organization for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Usage of social media has become daily routine to newcomers. And many young newcomers find it useful i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is willing to continue using social media at work after graduation as a method of establishing their network. This indicates the necessity for organizations to make full usage of communications by social media and importance of developing programs or polices fo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 치료사가 인식하는 언어발달지체 학생의 진단·평가와 교육과정 적용의 관계 연구

        정혜인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on Therapist’s Perception toward Relation between Diagnosis·Evaluation and Curriculum of Students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Jung, Hye-in Major :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gu University Directed by Prof. Choi, Sung-kyu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what the therapist’s perception toward relation between diagnosis·evaluation and curriculum of students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he semi-structural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hree therapists who were working for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ing center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herapist had a perception which individual educational program was more emphasized standard rather than curriculum; (b) the results of the diagnosis·evaluation was mere reference; (c) the therapist emphasized that the therapist activities had to focus to students center rather than curriculum; and (d) the therapist perceived that participation in community member, structure of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therapist and special educator, and development of diagnosis·evaluation materials were solved to support the students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therapist had a perception that students centered curriculum was more important rather than those of the school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