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정혜선 창신대학교 특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43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정 혜 선 창신대학교 복지문화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지도교수 우미옥)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대학생의 취업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어 정부에 서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지만, 해결되기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실 질적으로 보면 2021년 대학생 취업률은 67.7%에 불과하다. 대학생은 교양과정과 전공 수업을 통하여 진로준비를 하면서 성숙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시기이므로 진로의 위 기와 이를 극복하는 문제는 그 중요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 상으로 진로를 가로막는 변인들이 진로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진로 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진로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 준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조사 기간은 2023년 9월 4일부터 2023년 9월 26일까지 부산, 경남 소재의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총 206부를 수집하여 SPSS27.0 통 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 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 본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며, 사후분석으로는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 다. 그리고 영향분석을 위해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분석 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별의 경우 여성이 84.5%, 학년 은 1학년이 53.4%, 학사과정은 전문학사과정이 82.5%, 전공은 헤어전공이 44.7%, 전공 만족도는 중이 54.9%, 한달 용돈은 30만원 이하가 39.39%, 아르바이트 경험은 없음이 5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 진로장 벽의 자기명확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학사과정에 따른 차이에서 진로준비행 동의 정보수집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전공분야에 따른 차이에서는 진로장 벽의 직업정보, 대인관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전공만족도에 따른 차이에서 는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장벽의 직업정보, 대인관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의 정보수집활동이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장벽의 자기명확성, 직업정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의 실천적노력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탄력성이 높을 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 보면, 진로탄력성은 부분 또는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탄 력성의 매개효과가 분명함을 확인하였으므로, 미용전공 대학생에게 진로탄력성을 높여 주면 진로장벽을 높게 인식하더라도 진로준비행동을 계속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진로탄력성은 경험과 학습에 의해 끌어올릴 수 있는 개인의 특성이므로 대학에서는 진 로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법이 요구된다. 주요어 : 미용전공 대학생,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Jung, Hye-sun Dept. of Cosmetology, Graduate School of Welfare Culture Changshi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Woo, Mi-ock) Research necessity and purpose: Recently, college students' employment problem has spread into a social problem, and the government is coming up with more diverse measures than ever before, but it is not easy to solve. In practical terms, the employment rate of college students in 2021 is only 67.7%. College students are at a time when they are growing into mature members of society while preparing for their careers through liberal arts courses and major classes, career crises and the issues of overcoming them are thus of great importanc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variables that hinder career paths affect career prepar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nd examine whether care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s meaningful in providing specific and practical information for career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Research content and methods: The survey period was from September 4, 2023 to September 26, 2023. A total of 20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in Busan and Gyeongnam and analyzed using the SPSS27.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ronbach's α value was checked to verify reliability, and the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d Scheffé test was conducted as a post hoc analysis. Furthermor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performed with a view to impact analysis. As for medi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Research results: First, with respect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84.5% of female, 53.4% ​of first-year students, 82.5% of associate degree students, 44.7% of hair majors, 54.9% of students who chose medium in major satisfaction, 39.39% of less than 300,000 won of their monthly allowance, and 54.9% of no part-time work experience. Second, the findings in examining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clarity of career barriers in gender, in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variation of academic courses, in job inform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areer barriers in the divergence of major fields, and i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resilience in the distinction of major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s of studying the impact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nd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perception of job inform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areer barriers, the higher the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also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self-clarity of career barriers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job information, the higher the practical effort behavior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 study of the impact of career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ighlighed that the higher career resilience, the hig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in respec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in terms of career barriers exerting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xplained career elasticity, i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or complete mediating effect. Conclusion: Sin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resilience is clear in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in case that the career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rises, increasing career resilience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would enable them to continue to engag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ven if they perceive career barriers to be high. Career resilience i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that could be rais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and thus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to promote career resilience. Key words: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resilience

      • 대학생의 창의적 특성, 창의적 성취 및 창의융합역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이가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인 대학생의 창의적 성취와 창의융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잠재변인으로 대학생의 창의적 특성을 선정하고, 창의적 특성에는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리더십을 측정변인으로 하여 이들 변인이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종속변인인 창의적 성취와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구조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750명의 대학생이었으며,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창의적 성격검사(이경화, 유경훈2012), 창의적 리더십검사(이경화, 박춘성, 2014), 창의적 가정환경검사(이가형, 이경화, 2019) 및 창의융합역량검사(김정연, 2017)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창의적 성취검사는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검사를 실시한 기간은 2019년 4월 20일부터 2019년 5월 20일까지였고, 750명의 데이터 중 불성실한 5부를 제외하고 최종 745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분석은 기술통계량, 왜도와 첨도,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상관관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창의적 특성(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 창의적 가정환경, 창의적 성취, 창의융합역량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나, 잠재변인, 매개변인과 종속변인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잠재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첫째 대학생의 창의적 특성(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은 창의적 성취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창의적 특성(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은 창의융합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창의적 가정환경은 창의적 성취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창의적 가정환경은 창의융합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다섯째, 대학생의 창의적 특성(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은 창의적 가정환경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여섯째, 대학생의 창의적 특성(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창의적 성취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일곱째, 대학생의 창의적 특성(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창의융합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한편 연구모형 1은 창의적 특성(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이 창의적 성취와 창의융합역량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연구모형이고, 연구모형 2는 창의적 가정환경이 창의적 성취와 창의융합역량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 연구모형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미래사회에서의 필요 역량인 점이 더 강조되고 있는 대학생의 창의적 성취와 창의융합역량에 창의적 성격과 창의적 리더십과 같은 창의적 특성이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이제 대학에서는 이러한 창의적 특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과, 비교과 과목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창의적 가정환경이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부모들은 자녀의 어린 시절부터 가정환경을 창의적으로 구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creative achievement and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which ar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Therefore, the creative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as potential variables, and creative traits and creative leadership were used as measurement variables.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and verified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on creative achievement and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e,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e mediating of home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50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universities. To measure each variable, creative personality checklist(Lee Kyung-hwa, 2012), creative leadership checklist(Lee Kyung-hwa, Park Chun-sung, 2014), creative home environment checklist(Lee Ka-hyung, Lee Kyung-hwa, 2019) and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checklist(Kim Jung-yeon, 2017) were used. The creative achievement tes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used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 2019 to May 20, 2019, and the final 745 data were analyzed except for 5 insincere data out of 750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nd the analysis calculated descriptive statistics, skewness, kurtosis, and reliability,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correl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traits(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creative home environment, creative achievement, and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otential variables, mediating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lso, the direct effect and mediating effect of lat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were confirmed.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the creative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achievement was adopted. Second, the hypothesis that creative traits(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was adopted. Third, the hypothesis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achievement was adopted. Fourth, the hypothesis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confluence capacity was adopted. Fifth, the hypothesis that creative traits(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home environment was adopted. Sixth, the hypothesis that creative traits(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achievemen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was adopted. Seventh, the hypothesis that creative traits(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confluence capabilit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was adopted. And research model 1 was a research model to verify the direct effect of creative traits(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on creative achievement and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e. Research model 2 was a research model to verify whether creative home environment has mediating effects on creative achievement and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creative traits such a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leadership are the factors that affect creative achievement and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ore emphasized in the future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he curriculum and comparison subjects to improve these creative traits in university. Also, since it was confirmed that creative home environment wan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it is necessary for parents to make efforts to creatively construct home environment from their childhood.

      • 대학생의 부모화와 자아분화에 따른 군집별 차이 연구

        김희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화와 자아분화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별 인구통계학적 차이와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통해 그 특성을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설정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화와 자아분화에 따라 몇 개의 군집이 존재하는가? 둘째, 각 군집별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 전북, 대전·충청 소재의 대학생 484명을 대상으로 부모화척도, 자아분화척도, 대학생활적응척도로 구성된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2단계 군집분석,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사후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와 자아분화에 따라 4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1은 부모화가 모두 높고 자아분화가 모두 낮은 ‘고부모화-저분화형’, 군집2는 부모화가 모두 낮고 자아분화가 모두 높은 ‘저부모화-고분화형’, 군집3은 부모화와 자아분화 모두 평균수준인 ‘평균부모화-평균분화형’, 군집4는 정서적 부모화, 불공평, 자아통합은 높고 정서적 단절과 가족퇴행은 낮은 ‘파괴적 정서적 부모화-퇴행·단절형’이다. 둘째, 형성된 각 군집은 출생순위, 과거 가정형편, 현재 가정형편, 가족형태, 대학생활적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출생순위에 따른 차이에서 외동과 가운데 비율은 군집2(저부모화-고분화형)가 가장 높았고, 첫째 비율은 군집3(평균부모화-평균분화형)이, 막내 비율은 군집4(파괴적 정서적 부모화-퇴행·단절형)가 가장 높았다. 가정형편에 따른 차이의 경우 잘 사는 편이다의 비율은 군집2(저부모화-고분화형)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려운 편이다의 비율은 군집4(파괴적 정서적 부모화-퇴행·단절형)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족형태에 따른 차이의 경우 양부모가정 비율은 군집2(저부모화-고분화형)가 가장 높았고, 그 외 가족형태 비율은 군집4(파괴적 정서적 부모화-퇴행·단절형)가 가장 높았다. 대학생활적응에 따른 차이에서는 군집2(저부모화-고분화형)의 대학생활적응이 다른 군집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있어서 부모화와 자아분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시켰고, 부모화에 관한 연구에서 자아분화를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실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군집을 분류함으로써 대학상담에서 차별적 진단과 차별적 개입을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대상을 달리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군집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종속변인을 대학생활적응 외의 부모화와 자아분화와 관련된 다른 변인들로 설정하여 추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행정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중심으로

        윤성중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급격한 환경 변화와 내·외부 위협으로부터 대학조직의 유연한 대처와 조직경쟁력 제고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서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통해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직신뢰는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조직신뢰는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어떤 매개역할을 하는가? 연구 문제에 관한 결과 도출을 위해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에 관한 다양한 선행연구 및 이론들을 검토하고,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종속변수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신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조직성과로 구성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요인인 응답자 개인 특성의 경우는 통제변수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한편,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연구 가설로 설정하며, 실증적인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 주제에 맞게 전국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에 소속된 교원과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5개 대학(KAIST, GIST, DGIST, UNIST, POSTECH)의 총 253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그 가운데 1건의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52건의 유효한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e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 SPSS Process Macro Bootstrapping 등의 통계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부여)과 직무만족,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부여)과 조직몰입, 조직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와 직무만족, 조직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와 조직몰입의 상관분석 실시 결과 4건의 해당관계에서 모두 정(+)적의 유의한 영향임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변혁적 리더십의 개별적 배려와 조직신뢰의 인지적 신뢰가 조직성과에 가장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최종학력, 직종, 직책, 근무기간)을 통제변수로 하여 대학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신뢰,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주로 여성보다는 남성, 30세 미만보다는 50대 이상, 직원보다는 교원, 평교(직)원보다는 보직자(급), 30년 이상의 근무기간일 경우 해당 변인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통제변수) 가운데 유일하게 최종학력은 전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부여)과 조직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와의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검증되었는데,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에서도 개별적 배려와 카리스마가 높을수록 조직신뢰가 더욱 높아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부여)과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더욱이 변혁적 리더십 하위요인 가운데 개별적 배려와 지적자극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조직신뢰는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에서 정서적 신뢰보다 인지적 신뢰의 효과가 더 높다는 것이 나타났다. 관계 검증에서도 Durbin-Watson 통계량 및 분산팽창지수 모두 전혀 오류가 없었다. 여섯째, 조직신뢰가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로서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가설을 3단계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주목할 만한 것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모두 조직신뢰로부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받았지만, 직무만족의 경우는 완전 매개효과, 조직몰입에서는 부분 매개효과로 작용했다. 요컨대, 본 연구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을 중심으로 총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조절변수로서의 조직신뢰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검토·검증 하였다. 이를 통해, 리더십 관련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지지함은 물론, 대학 총장의 리더십 및 핵심 역량에 대한 중요성, 조직 및 소속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조직의 효과성을 제고하고 미래의 대학행정을 위한 정책적·연구적 제언을 하였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의 도래 및 공학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등 과학기술 분야의 새로운 전환점에서 국내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연구 배경과 그것의 견지에 기초하여 다양한 대학조직 간의 교류와 공동발전을 위한 논의 주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nsideri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university president as a key factor for bringing flexible coping and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despite the rapid interior and exterior changes and threats, this study researched how leadership could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mediat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by focusing on the cases of science and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ies. Specific research inquiri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e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ole of a university president influence organizational trust? Second, how doe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ole of a university president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how does organizational trust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how does organizational trus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university presid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is to review various precedent researches and theorie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leade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designed by setting the independent variable, parameter, and dependent variable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and it set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respondents, which is the demographic factor, as a control variable. This study tests the research hypothe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n empirical online survey. According to the research topic, this study surveyed both the faculty and staff members at science and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ies nationwide, and received responses from 253 respondents from 5 universities (KAIST, GIST, DGIST, UNIST, POSTECH). This study utilized 252 responses excluding one unfaithful response, and it appli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including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e pos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Bootstrapp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verifi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the relations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trust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trust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this study found out that individual consideration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gnitive trust in organizational trus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as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t effects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university president,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al Type, Position, Work Period) as a control variable, this study found out that in case of gender the male respondents compared to the female respondents, in case of age respondents over the age of 50 compared to the respondents under the age of 30, in case of occupational type faculty respondents compared to the staff respondents, in case of position the respondents who hold a leadership position compared to the respondents who are not in a manager position, and in case of work period the respondents who worked 30 years are more influenced by the relevant variables. Amo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trol Variables), only the educational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is study verified meaningful results of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Then, this study identified that among many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more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charisma, the more credible organizational trust could get. Fourth, this study verified positive results of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it identified that among many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this study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trust has meaningful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oth case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cognitive trust is more effective than emotional trust. No error was detected in both the Durbin-Watson statistic and dispersion expansion index. Sixth, this study verified a hypothesis that organizational trust could have mediating effects to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using a three-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noteworthy that although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eived meaningfully positive influences from organizational trust, job satisfaction received fully completed mediating effects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eived partly mediating effects. In sum, focusing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ies, this study is to review and verify how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university president could influe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in it, and of how organizational trust could play as a moderating variable. In addition, this study supported results of existing precedent researches on leadership-related fields, and even it empirically analyzed the importance of a university president’s leadership and core competence and its effect to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t provided a political and research suggestion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future university administration. Furthermore, at the adv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 paradigm shift in engineering education, this study expects to discuss subject for various exchanges and co-development between colleges, based on research backgrounds of domestic science and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ies and their view point.

      •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대학홍보 콘텐츠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해외 대학과 국내 대학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주승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SNS 확산과 모바일 환경 변화로 대학홍보 커뮤니케이션은 새로운 국면으로 진화하고 있다. 대학들은 구성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소통하기 위해 SNS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공유와 소통, 개방성의 특성이 있는 SNS를 통해 기존의 홍보 방식을 벗어나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SNS는 구성원들의 캠퍼스 공동체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공간이기에 전략적인 활용이 중요하다. 수험생 홍보뿐만 아니라 재학생의 애교심과 응집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끈끈한 졸업생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SNS 중에서도 최근 Z세대를 중심으로 이용률이 급증하고 있는 인스타그램에 주목해 대학들의 인스타그램 채널 운영 현황과 콘텐츠의 특성, 메시지 전략을 분석했다. 기업과는 달리 대학의 SNS 활용에 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대학이라는 특수한 기관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 인스타그램 콘텐츠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국내 대학뿐만 아니라 해외 대학평가에서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는 대학들의 활용현황과 특성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국내 대학들이 글로벌 시대에서 인스타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 연구는 국내 대학평가 상위 7개 대학과 해외 대학 평가 상위 7개 대학을 선정해 대학별로 업로드된 20개의 콘텐츠를 추려 총 280개의 콘텐츠를 내용 분석했다. 연구결과 국내 대학들의 경우 텍스트 결합이 없는 순수한 사진/그림보다는 텍스트를 합친 이미지가 많아 주로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데 주력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해외 대학의 경우 사진과 텍스트가 결합한 이미지보다는 대부분 포토그래퍼들이 전문적으로 촬영한 사진만으로 구성된 게시물이 훨씬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포스팅된 게시글의 형태는 국내 대학이 해외 대학보다 비공식적인 언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콘텐츠의 주제적 측면에서 국내 대학은 학교의 새로운 소식이나 행사 프로그램 안내 등 정보전달과 관련한 콘텐츠가 가장 많은 반면 해외 대학은 전반적인 대학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더 많았다. 셋째, 메시지 전략 측면에서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 모두 이성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 메시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해외 대학의 사회적 영역 메시지 사용 비율이 국내 대학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이용자 반응 측면에서 국내 대학의 경우 텍스트와 사진이 결합한 정보전달용 이미지보다는 텍스트가 없는 사진 자체의 이미지가 제시됐을 때 이용자들의 반응이 좀 더 활동적이었다. 게시물 텍스트 형식은 비공식적인 언어를 사용할 경우 더 반응이 좋았으며, 캠퍼스이벤트와 애교심과 관련한 주제에서 활발한 댓글 활동이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시지 전략의 경우 이성적 영역보다는 감성적, 사회적 영역 등 의례적 관점일 경우 더 많은 좋아요와 댓글을 받았다. 반면 해외 대학은 캠퍼스이벤트, 학생성과, 학생단체 등 내용적 측면에서만 유의미하게 이용자들의 반응이 나타났으며, 이미지 형식, 게시글 형식, 메시지 전략의 차별화에 따라 이용자의 반응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콘텐츠의 내용분석뿐만 아니라 좋아요와 댓글 등 이용자의 반응 지표까지 함께 알아냈다는 점에서 이용자들이 어떠한 콘텐츠에 활동적인지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 콘텐츠에 따른 이용자의 반응을 구분해 제시했다는 점에서 추후 진행될 실증연구에서 국내 및 해외별로 더 적합한 변인들을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용자들의 반응을 높게 나타나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이미지의 경우 텍스트가 없는 사진 혹은 그림을 사용하고, 게시글의 형태는 비공식적 언어를 사용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이다. 현재 국내 많은 대학에서는 직접적인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텍스트가 결합된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용자들의 반응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는 텍스트를 입히지 않은 좋은 퀄리티의 사진/그림과 함게 비공식적 언어를 사용한 경우였다. 내용 측면에서는 단순히 학교의 공지사항이나 행사 등을 알리는 정보전달 콘텐츠보다는 인스타그램 운영 채널 자체를 브랜딩 한다는 개념으로 학교 전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주제의 콘텐츠를 사용하는 경우 이용자들의 반응을 끌어내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또 메시지 전략 측면에서도 정보전달적 관점의 이성적 영역 메시지 전략을 활용하는 것 보다는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주제를 구성할 경우 더 높은 반응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입시 및 홍보전략에 관한 연구 : 수시 합격생을 중심으로

        권오승 仁濟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에서는 본교 2005학년도 수시 1학기 합격자 및 김해시 인근 6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대학입학 및 홍보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학에 진학하는 요인, 대학 및 학부(과)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준 사람, 대학 및 학부(과)를 선택하는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입시에 관한 정보를 어디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곳이 어디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대학입학제도에 대해 검토하고 홍보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해 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고등학교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가장 큰 이유는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반적으로 사회적 · 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아 청년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의 반영으로 판단된다. 대학은 수요자들이 목적하는 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래서 대학에서는 졸업생이 얼마나 좋은 직장에 취직을 했는지 학부(과)별로 취업률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에 진출해서도 꾸준히 관리하는 프로그램이(졸업생 재교육 프로그램 포함) 마련되어야 될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홍보 전략으로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할 것이다. 대학을 선택할 때는 학생들이 수능성적에 맞춰서 결정하지만 학과 선택 시는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현재 대학이라는 곳이 서열화 되어 있어 무조건 서울소재 대학 및 더 나은 대학에 입학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무한경쟁을 하여 고교 교육의 부실화를 초래하고 있다. 설문조사 학생들은 입시정보를 가장 많이 접하는 곳은 입학홈페이지 및 모집요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과 학과를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으로는 본인이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로는 학교 선생님보다는 부모 등 가족의 영향이 컸다. 이는 홍보에 있어 학부모에 대한 입시설명회, 박람회 등을 통하여 홍보 전략이 강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무엇보다 가장 효과적인 홍보는 대학자체의 내실화가 주효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why the students apply for, who effects the decisions for the departments, what effects the choice for university and department, where the students get the informations about the admission through the request papers submitted to would-be students who passed the early I entrance test and 6 high schools nearby. Based on this study, we intend to draw revising method for publicity work after examination of the college entrance system. The primary object for most students to enter the college is the to get the good job. That reflects the reality - the rising level of unemployment resulted from the bad social, economical situation. As a general rule, the college must endeavor to satisfy the needs of the customers-students. So the college should analysis employment rate - how many students get the good jobs and then must prepare the continual programs to administrate the alumni (reeducation programs for graduates). This should be included in the publicity activities strategy. We can see that the students choose the colle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ir own test and choose the departments to the their aptitude. The colleges are now ranked, so the students tend to enter the high ranked colleges or the colleges in Seoul area, this unlimited competition leads to the weak high school education. The students usually get the informations from the colleges' homepage and the brochures. They make choices for the colleges and departments through their own wills, and then the parents and family effect the choice for them rather than the teachers. This stresses the strategy of the publicity activities via entrance orientation and fairs for parents. First of all, the most effective publicity activities are the colleges' own substantiality.

      • 사립대학 인문계열 학생의 학사경고 극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이현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사립대학 인문계열 학생의 학사경고 극복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사립대학 인문계열에 서 학사경고를 받게 되는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필요한 상담 및 지원 체제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사립대학 인문계열 학생들과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1개의 하위구성요소와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차선의 대학에 진학함’, ‘주어진 대학 환경을 받아들이지 못함’, ‘색안경 속 나의 대학’, ‘막막한 현실에 직면함’, ‘대학에 대한 인식의 전환점을 마주함’, ‘학업의 초점을 나에게 맞춤’, ‘삶에 능동적으로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사립대학 인문계열 학생들의 학사경고 극복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본질적 구조 및 과정을 밝히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상담센터, 지도교수 등 다양한 지원체제가 대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대학생활에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의 문제 해결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생활 적응 및 학사경고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 및 개입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대학생의 사회봉사활동의 지속경험과 관계 맺기의 의미에 관한 연구

        윤나래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대학생이 사회봉사활동을 통해 경험하는 관계 맺기와 지속경험의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기존 연구는 사회봉사활동의 인식 실태 및 활성화와 사회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초점을 두어 사회봉사활동을 포괄적으로 연구하였다. 그에 반해 본 연구는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독특한 경험을 중심으로 대학생이 맺는 관계와 사회봉사활동의 지속경험이 갖는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질적연구의 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사회봉사활동 경험의 의미생산 주체를 대학생 사회봉사자라는 경험의 당사자에게 맞추고 당사자의 관점에서 관계 맺기와 지속경험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대학교 휴학 혹은 재학 중인 학생이며 최소 6개월 이상 사회봉사활동을 정기적으로 참여한 학생 6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2020년 2월 10일부터 2월 21일까지 10차례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심층면접의 자료 분석결과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사회봉사활동의 시작경험이다. 먼저 대학생들은 학교의 졸업 이수조건인 사회봉사활동 시간 이수, 취업을 위한 경험 쌓기,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사회복지 경험과 진로의 적합성 파악을 위해 사회봉사활동을 시작하였다. 또한 기관의 접근의 편리성, 전문성, 희망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선호하는 사회봉사활동 기관을 선정하였으며 첫 감정은 의무적 참여, 새로운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막연함, 두려움 기대감 등의 감정을 경험하였다. 둘째,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서비스이용자, 관리자, 동료사회봉사자와의 어긋난 관계와 신뢰감 하락으로 인한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참여의지가 약화된 경험이었다. 셋째, 대학생 사회봉사자는 서비스이용자, 관리자, 동료사회봉사자와의 어긋난 관계와 잃어버린 신뢰감으로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의지가 약해졌지만, 이들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의지를 높이는 힘 또한 서비스이용자, 관리자, 동료사회봉사자와의 배려와, 관심, 전문성 등의 경험이었다. 넷째, 대학생 사회봉사자들은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고정관념과 부담스러운 활동에 대한 인식을 가졌으나 서비스이용자, 관리자, 동료사회봉사자와의 관계를 통해 책임감을 가지고 지속 참여에 대한 의지를 형성하였다. 특히 사회봉사활동이 갖는 가치를 깨닫고 사회의 일원으로써의 소속감을 가지고 일상생활에 대한 의미를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양적조사에서 밝혀내기 어려운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경험의 본질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였다. 대학생 사회봉사자 활동 경험을 통해 대학생 사회봉사자의 사회봉사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안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