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담임교사와 학생의 친밀감이 담임교사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류성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담임교사와 학생의 친밀감이 담임교사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와 학생의 친밀감은 변인(성별, 학년별, 학교 규모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학생은 변인(성별, 학년별, 학교 규모별)에 따라 담임교사의 리더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담임교사와 학생의 친밀감과 담임교사의 리더십 유형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계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학생과 담임교사 간 친밀감을 알아보기 위해 이용남(1991)이 평정척도를 제작한 것을 기초로 하여 윤주(2001)가 수정․보완한 것 중 서광엽(2011)이 사용한 연구도구(16문항)를 사용하였고, 초등담임교사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미스미 쥬우지(1981)의 ‘초등학교 교사의 리더십 척도’를 기초로 하여 이승재가 수정‧보완한 검사도구(총 20문항)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충청남도 지역의 34개 초등학교에서 공부하는 531명의 학생에게 배부하여 531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Window용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량화를 통한 양적인 통계처리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각 변인별 기술 통계치(평균, 표준편차, 빈도)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에 따른 상관관계를 위해 t검증과 일원배치변량분석 그리고 교차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정적인 질문들은 통계 처리 시 역연산 처리하였으며,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통계 처리에 의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학생 간 정서적 ‧ 행위적 친밀감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은 남학생일 경우 교사에 대한 친밀감이 높았고 담임교사는 성별이 여자 선생님일 경우 남자 선생님보다 정서적 ‧ 행위적 친밀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담임교사의 리더십 유형은 초등학교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PM리더십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P <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학교 규모에 따라서는 모든 학교 규모의 초등학교 학생들은 담임교사의 리더십을 PM형 리더십 유형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사-학생의 친밀감에 따른 리더십 유형과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감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친밀감과 행위적 친밀감 모두 리더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of a class teacher on the intimacy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 For this study, several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Question 1] The degre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intimacy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sexes, grades, and the school scale? [Question 2] Teacher’s leading types noticed by the students make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sexes, grades, and the school scale? [Question 3]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degre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intimacy and leading types noticed by th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based on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and research study on using th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degre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intimacy, it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what Lee Yong- nam(1978) made and Yun-Ju(1998) modified and Soe Kwang-bum used. also, to measure elementary-school teacher’s leading types, it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what the item of questionnaire as saying of ‘elementary-schoolteachers' leadership scale’ made by Misumi Jyuuji(三隅二不二)(1981) and Leewith the similar research objective, into the item that elementary-school students can understand ,by Lee Seung-jae modified. This research was done by questionnaires for the degre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intimacy and leading types, on a total of 531 students - 274 male and 257 female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nam-do.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survey was computerized by SPSS program, which carried ou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s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intimacy which is statistically meaningful according to students' sexes and teachers’ sexes. the degre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students’ intimacy was indicated to be recognized more in boy students and female teachers than girl students and male teachers. Second, mo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 their teachers as 'PM-styled leadership', which is statistically meaningful according to students' sexes and school scale. Third, The effect of the leadership of a class teacher on the intimacy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 is statistically not meaningful.

      • 체육 전담 교사 및 담임 교사가 지도한 학생들의 운동 기능 비교 분석

        이태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체육 전담 교사와 담임 교사가 지도한 초등 학생들의 운동 기능을 측정하여 지도 교사에 따라 학생들의 운동 기능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6개 초등학교 담임 교사 중 교육 경력이 1년 이상 - 5년 미만인 여자 담임 교사 3명, 여자 체육 전담 교사 3명을 선발하였다. 그들이 지도한 학생 224명(남, 116명, 여, 108명)을 대상으로 운동 기능을 측정·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체육 전담 교사와 담임교사가 지도한 남·여학생들의 다리 벌려 뛰기, 지그재그드리블, 제자리멀리뛰기의 3가지 운동 기능 모두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남학생의 경우 다리 벌려 뛰기, 지그재그드리블, 제자리멀리뛰기 3종목 모두 담임 교사보다 체육 전담 교사가 지도한 학생들의 운동 기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여학생의 경우 다리 벌려 뛰기, 지그재그드리블, 제자리멀리뛰기 3종목 모두 담임 교사보다 체육 전담 교사가 지도한 학생들의 운동 기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 교사가 지도한 남·여학생의 다리 벌려 뛰기, 지그재그드리블, 제자리 멀리뛰기의 운동 기능 3항목은 사 전보다 사 후의 결과가 우수했고, 체육 전담 교사가 지도한 남·여학생의 다리 벌려 뛰기, 지그재그드리블, 제자리멀리뛰기의 운동 기능도 사 전보다 사 후의 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전담 교사와 담임 교사가 지도한 두 집단 간의 운동 기능에도 체육전담 교사가 지도한 집단의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체육 전담 교사가 지도한 학생들의 운동 기능이 담임 교사가 지도한 학생들의 운동 기능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초등 학생들의 운동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체육 교과 지도 시 체육 전담 교사의 활용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urposes to investigate physic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educated by specialists in physical edcation and non-specialists.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ascertain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kills depending on the instructors. To achieve this purpose, 3 female non-specialists and 3 female specialists were selected among 6 Seoul elementary schools, who have from 1 year to 5 years experiences in teach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24 students (male: 116, female: 108) who were instructed b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Both groups who were educated by the specialists and non-specialists showed better results than before being educated in 3 items such as jump with the legs spreaded, zig-zag dribble and standing broad jump. 2) Male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specialists achieved better results than those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non-specialists in all 3 items ; jump with the legs spreaded, zig-zag dribble and standing broad jump. 3) Female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specialists also achieved better results than those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non-specialists in 3 items ; jump with the legs spreaded, zig-zag dribble and standing broad jump.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non-specialists and specialists marked better records than before in jump with the legs spread, zig-zag dribble and standing broad jump. Those students who were educated by the specialists in physical education achieved excellent results in above three items,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by non-specialists. Through this study, the physical skills of a group who was guided by specialists in physical education demonstrated better results than the other group who was guided by non-specialists. As a result, in order to develop physic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hysical education by the specialists is far more desirable than that by the non- specialists.

      • 擔任敎師의 리더십類型이 學級雰圍氣와 學生滿足度에 미치는 影響

        이진희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는 고도로 발달된 산업사회에 발맞추어 교육의 현장인 학교가 더욱 발전되어야 하는데, 현재 교육의 현장인 학교는 그렇지 못하다. 요즘 학교 교육의 현장은 ‘교단붕괴’, ‘교실붕괴’로 대표되며 문제투성이인 교육현실 속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힘겹게 교육을 주고 받는 현설이다. 담임교사와 학생과의 관계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다. 하지만 주로 담임 교사의 교육적 신념이나 인생관 가치관 인격적 특성과 학급의 경영자로서의 교사의 역할 내지 리더십은 학생들에게 학습이나 생활태도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타의에 의해, 우연히 또 일시적으로 만나는 담임교사의 역할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이 아주 크기 때문에 그 영향을 구체적으로 연구해 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에 관한 주요 이론을 토대로 담임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학생들의 교육 현장에서 학급분위기와 학생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담임교사의 리더십의 행동유형과 이틀간의 상관관계 및 유의성을 분석하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리더십이 어떤 것인지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담임교사의 리더십유형 중에서 인화지향적 리더십이 과업지향적 리더십보다 학생들의 학급분위기와 학생만족도에 크게 작용하였으며, 학급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리더십유형에 따라 학급분위기에 대한 학생들의 지각 정도가 다를 것이다. 둘째, 담임교사의 리더십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만족도가 다를 것이다. 위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설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여자실업계고등학교중 각 2개 학교씩 2, 3학년 각 3개학급의 총 24 학급 995명을 표본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SPSS/PC+에 의한 빈도분석, 요인분석, T-검정, 상관관계분석, 분산분석등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된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리더십유형에 따라 학급분위기에 대한 학생의 지각 정도가 다를 것이다. 학생이 지각하는 인화지향형 리더십의 담임교사의 경우 학급분위기에 대한 학생의 지각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이 지각하는 과업지향형 리더십의 담임교사의 경우 학급분위기는 낮게 나타났다. 담임 교사의 과업지향형 리더십과 인화지향형 리더십에 따른 학생들의 학급분위기에 대한 지각은 인화지향형일때 학급분위기에 대한 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담임교사의 리더십유형에 따라 학생의 만족도가 다를 것이다. 학생이 지각하는 인화지향형 리더십의 담임교사의 경우 학생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이 지각하는 과업지향형 리더십의 담임교사의 경우 학생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리더십유형이 인화지향형일 때 학생만족도에 대한 지각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담임교사의 리더십유형에 따라 학생만족도에 따른 교육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알아낸 결과는 10년전 김경숙(1990)의 “교사의 리더십, 학생성취도, 학급풍토가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결과에서 와 마찬가지로 효과적인 교사의 리더십 유형은 인화지향형임을 밝히고 있다. 앞에서 언급하였지만 교단붕괴, 교실붕괴의 교육적 환경이 열악하고 교사의 역할도 학생들과 학부모에게 많은 신뢰성을 잃고 있는 현시점에서 과연 학생들은 어떤 리더십유형을 선호할지 그리고 학급분위기와 학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유형을 알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결과 10년전의 교사의 리더십유형과 오늘날 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담임교사의 리더십유형이 인화지향형으로 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인성을 고려한 상호 신뢰 온정 등의 동기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학급분위기를 조성하는 리더십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담임교사의 리더십은 학급에서 교사와 학생이 친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며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The 21st century is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As the basis of the society, educational field, such as school, should be developed more than the society. It's not real. Our school is called as 'breaking school' or 'collapsed education'. In this problematic classroom, our teacher and students exchange learning forcefully. A class teacher and his student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ffect each other. The class teacher, however, with his belief in education, view of life, characteristics, roll and leadership as class teacher, has greater effects on his students. One chance meeting with one class teacher can become decisive experience of the student's whole life. The class teacher's influence has many aspects. It is meaningful to examine how can the teacher influence his student in detail. PURPOSE In this study, I intended to know what is the influence of the leadership style of the class teacher on the atmosphere of classroom and students' satisfaction of education. As a basis of my study, I referred many books, articles, theses, etc. especially theories on leadership as well as general education. I analyzed class teachers' behavioral types of leadership, correlation of these types and significancy. Conclusively, I considered about effective leadership style for students. HYPOTHESIS 1. According to the leadership style of a class teacher, students' cognition level of atmosphere of classroom will be varied. 2. According to the leadership style of a class teacher,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learning will be varied. METHOD The sample for this research was taken from 995 students of 24 classes, 3 classes of 2 and 3 grade respectively, of High Commercial Girls School in Seoul and Ky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examined through Frequency test of SPSS/PC+, Factor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Variance analysis. RESULT 1. According to the leadership style of a class teacher, students' cognition levels of classroom atmosphere were varied. In case of man-oriented style of teacher leadership, students showed higher cognitive level of classroom climate. In case of task-oriented style, students showed lower level. 2. According to the leadership style of a class teacher, students' satisfaction levels of learning were varied. With the class teacher, man-oriented leadership style, students more satisfied about learning. With the task-oriented teacher, students less satisfied about learning. From these data, I inferred that leadership style of a class teacher can influence on students' satisfaction about learning and education wholly. As the result, the class teacher with man-oriented leadership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classroom atmosphere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than task-oriented. These effects are direct and great power on classroom as educational field. These results are almost the same as the study of Kim, Kyung Sook(1990). In her study, A Study of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Leadership, The Maturity of Students, Classroom Climate and Educational Effect, she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leadership style of the class teacher is man-oriented. CONCLUSION I found that the class teacher's leadership style is almost same as ten years before. Students prefer man-oriented, warm and reliable teacher, considering each student'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changing the classroom mood. Effective leadership of the class teacher should be built and act on intimacy with his students.

      •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의 관계

        엄순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담임교사의 이미지를 알아보고 이것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 변인(교사의 성별, 학년, 성별, 임원여부)에 따라 담임교사의 이미지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배경 변인(교사의 성별, 학년, 성별, 임원여부)에 따라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담임교사의 이미지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산 소재 4, 5, 6학년 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368부(98.5%)였다. 담임교사의 이미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조희숙(2003)과 김현애(2002) 그리고 임홍순(2000)의 연구를 바탕으로 김미래(2006)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항 구성 내용은 개인특성이미지(10문항), 학습지도이미지(10문항), 생활지도이미지(4문항), 인간관계 이미지(5문항) 총 29개의 문항이며 설문지 문항의 척도는 Likert식 5단계 척도를 이용하였다.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 설문지는 도미경(2001), 김현진(2006), 안대일(2002)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김정자(2008)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항구성내용은 흥미도(6문항), 자신감(5문항), 집중도(4문항) 총 15개의 문항이며, 설문지 문항의 척도는 Likert식 5단계 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코딩작업을 거쳐 SPSS/WIN 18.0을 이용하였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t검정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을 경우 Scheffé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담임교사의 이미지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이미지 측정에 대한 전체수준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인간관계가 다른 요인들에 비해 높게 나왔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의한 차이는 여자교사가 남자교사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별로는 생활지도, 인간관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배경변인에 의한 차이로는 4학년, 5학년, 6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임원학생의 경우 일반학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에 의한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에 대한 전체수준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 중 흥미도가 다른 요인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전반적인 체육수업태도 인식수준은 남자교사보다 여자교사인 경우에 더 높게 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에 따라서는 5학년, 4학년, 6학년 순으로 그리고 성별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임원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전반적인 체육수업태도와 흥미도, 자신감, 집중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의 관계를 보면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는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학습지도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간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초등학생의 집중도와 담임교사의 이미지간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즉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담임교사의 이미지는 학습지도였고, 담임교사의 이미지는 집중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긍정적인 체육수업태도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담임교사는 효율적인 학습지도 방법을 꾸준히 연구해야 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체육수업 방법과 체육프로그램개발이 더욱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

        김미래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은 어떠한가? 2. 학급집단 응집성은 어떠한가? 3.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지도성의 개념과 변천과정,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배경이론에 근거하여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요인을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학급집단응집성 분석을 위해 학급의 개념과 특징, 학급집단응집성의 개념, 학급집단응집성의 하위요인,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학급집단응집성의 하위요인을 상호작용, 일체감, 학생동기, 학급매력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서 두 변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 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질문지와 학급집단 응집성 질문지로 기존에 개발된 설문지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각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질문지의 경우 전체 문항의 Cronbach α 계수는 .85이었고, 학급집단응집성은 .89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프로그램 (Ver 10.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우선 각 요인별 측정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배경변인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F검증을 하였으며 각 집단 간 차이가 있는 부분에서는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 카리스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성별로는 여자교사, 교직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은 교사, 학교 급지별로는 나 급지, 직위에 따라서는 부장교사,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교사일 경우 학생들이 인식하는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급집단응집성에 대한 전체적인 경향은 상호작용, 학급매력, 일체감, 학생동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성별로는 여자교사, 교직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은 교사, 학교 급지별로는 나 급지, 직위에 따라서는 부장교사,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교사일 경우 학급집단응집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지적자극이 학급집단응집성과 상관이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의 전체 수준을 지금보다 높일 수 있는방안과 함께 남자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변혁적 지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남자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둘째, 학급집단응집성의 전체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함께 하위요인에 있어서 특히 일체감, 학생동기 요인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셋째,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급집단응집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 수준으로 학급집단응집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학급집단응집성을 높이기 위해 담임교사의 변혁적 지도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겠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 방법의 조사연구에 의한 것이므로 문화기술법(ethnography)과 같은 질적방법에 의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detailed matters to be studied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 What is the class group cohes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research study were done at the same time to solve the above matter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leadership and the theory of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ies were examined and the charisma, individual consideration along with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as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teac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ased on this background theory was grasped.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he concept of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class group cohesion and the effect of the class group cohesion as the theory of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studied. Based on this theory, the interaction, a sense of unity, student motive and the class attraction as the subordinate factor of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grasped. And the relation of the two changing factors through the preceding study was examined. To solve the study problem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the 6graders of 600 primary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questioned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questionnaire of the form master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questionnaire were used as the tool of the survey. The reliability of the used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the Cronbach'a coefficient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was .85, while that of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89.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statistically by the SPSSWIN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 program (Ver.10.0). To address the study problem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used, while t-test and F survey was done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background changing factor and the Scheffe verification was made as a posterior one.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mak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urveyed changing factor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know the relative contribution between the changing factors. The results acquired by using this kind of research method are asfollows. First, The overall trend abou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showed the recognition for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charisma in order, while the high recognition for the schoolmistress in gend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nging factor difference, long career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career, B clas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classification, head teacher according to the title and the married teachers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Second, the overall trend for the class group cohesion showed the recognition for the interaction, class attraction, a sense of unity and student motive in order, while the high recognition for the schoolmistress in gend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nging factor difference, the long career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career, B clas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classification, the head teachers according to the title and the married teachers according to the marital status. Thir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was interrelated with much meaning and especially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had much to do with the class group cohesion.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Along with the solution to upgrade the overall level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than now, the proper solution to upgrade the innovative leadership of the male teachers should be made since the male teachers showed the lower level of the innovative leadership than the female teachers. Second, Along with the solution to upgrade the overall level of the class group cohesion, the special solution to upgrade the sense of the unity and the student motive factor should be mad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 Third, Sinc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the class group cohesion turned out to be interrelated with much meaning, the class group cohesion can be estimated to be reaching to the level of th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and furthermore, the solution to upgrade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eachers should be made to level up the class group cohesion. Fourth, This study was made by the questionnaire research and therefore, the follow up research by the qualitative method like ethnography should be made.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생활지도에 관한 지각

        강정화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생활지도의 실제 수행자인 학급담임교사들이 생활지도의 과제, 대상, 방법, 생활지도 수행 여건에 대해서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 면접과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생활지도의 활성화에 시사하는 바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은 자신들의 생활지도의 과제를 무엇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그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은 생활지도의 주요 대상으로 어떤 유형의 아동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지도하는가?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은 생활지도를 수행할 때 어떤 방법들을 선호하는가? 넷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은 생활지도 수행 여건에 대해서 어떻게 지각하는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하여 심층면접과 설문조사를 실하였는데, 심층면접은 2003년 4월 24일부터 5월 26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안양시 소재 S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와 고양시 M 초등학교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이를 내용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2003년 5월 29일부터 6월 5일까지 안양시와 파주시에 소재한 3개교의 교사 68(여교사 50, 남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초등학교 학급담임교사들은 학급담임교사의 생활지도의 과제로서 ① 대인 관계 예절과 관계 기술의 형성 및 유지, ② 학급 공동체의 유지 및 발전, ③ 학습 기초 행동 및 태도 형성 및 유지, ④ 시간 및 자원 관리, ⑤ 신체적 안녕 도모, ⑥ 자기조절 및 관리, ⑦ 문제행동 지도, ⑧ 식사예절 지도 ⑨ 기타 등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반면, 학급담임교사들은 생활지도의 과제 중에서 중요하다고 간주되어온 진로지도, 발달지도, 자기이해 및 수용에 관련된 지도는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초등학교담임교사에 의한 생활지도에서 이런 영역들이 보완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학급담임교사들은 주로 문제행동이 외현적으로 드러나는 문제아동, 사소한 규범을 위반하는 미성숙 아동, 문제행동이 외현적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어려움을 겪는 부적응 아동, 가정적인 어려움을 겪는 아동, 기타 특별한 지도를 요하는 아동들을 생활지도의 주요 대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학급담임교사들은 문제아동에 대해서 가장 많은 관심을 자기고 실제 지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타 특별한 지도를 요하는 반장 등 임원 아동, 전출 및 전입 아동, 가정적, 개인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아동에 대해서는 생활지도상의 관심을 가지나 실제로 지도는 부족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 의하면, 학급담임교사들은 생활지도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생활지도의 방법으로 훈화, 학급규칙, 수업중 훈계 등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 메일상담, 서신상담, 형식적 집단상담, 가정방문 등은 비교적 사용빈도가 적거나 없었다. 넷째, 학급담임교사들은 생활지도를 수행함에 있어서 시간의 부족, 학생들과의 접촉기회의 부족, 학부모와의 면대 및 학부모의 협조 부족 등이 문제점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 결과가 초등학교에서의 생활지도에 대한 연구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양시, 고양시, 파주시 지역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른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생활지도에 대해서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에 대해 지역을 확대하여 연구 될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과 연구자의 한계로 인하여 생활지도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의 관념의 이면을 충분히 탐색하지 못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생활지도의 제반 영역에 대해서 그와 같은 방식으로 지각하는 이유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what are needed in activating guidance. And,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classroom teachers who actually have performed guidance in an elementary school perceived the tasks, objects, methods and how they perceived performing conditions of guidance. For this, 17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the cities of Anyang and Goyang, Gyeonggi-do, twice from April 24 to May 26, 2003.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as analyzed a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And survey was performed with 68 teachers in three schools in the cities of Anyang and Paju from May 29 to June 5, 2003.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asks of life guidance for class teachers in an elementary school were teaching and maintaining the manners and skill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intaining and developing class community, teaching and maintaining basic behavior and attitude in learning, managing time and resources, promoting physical welfare, self-control and self-management, stopping problem behavior, guiding table-manners and so on. Secondly, class teachers were perceiving as the objects of guidance problem children whose problematic behavior appeared externally, immature children who violated trivial norms, maladaptive children who had internal difficulties, and children who had difficulties in their homes. Thirdly, for the methods of guidance, they used a moral discourse, class rules, admonition in class and the like, whereas they did not use or were rarely using counselling by e-mail, counselling by letters, formal group counselling and so on. Fourthly, for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guidance, there were lacking time, lacking opportunities for contact with students, lacking solidarity with parents and their lacking cooperation, and the like.

      • 初等學校 擔任敎師에 대한 學父母의 役割期待 硏究

        석순경 檀國大學校 199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각 직무 영역에 걸쳐 학부모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지, 이러한 기대는 학부모들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 담임교사의 역할 증진을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와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내의 도시(시이상)와 농촌(읍, 면이하)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담임교사의 개인특성,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학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의견을 알아보고 응답자의 변인인 지역별, 연령별, 성별에 따라 어떠한 의견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의 담임교사의 개인 특성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 조사 결과, 담임교사의 성별에 대한 선호도는 성별에 상관없고, 담임교사의 연령에 대한 선호도는 30대와 40대 담임교사를 선호하며, 50대 이상은 5%로 가장 낮은 반응을 보이며, 담임교사의 성격에 대한 선호도는 자상한 성격을 선호하는 반응이 47%로 가장 높고 다음이 이해성이다. 초등학교의 담임교사는 성별에 상관없고, 30대나 40대의 젊은 교사로 자상하고 이해성이 높은 교사를 선호하고 있다. 학습지도에 때한 학부모의 기대 조사 결과는 9개 항목 모두가 비교적 높은 기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높은 반응이 '수업에 대비한 교재연구 및 학습자료 준비'이며, 다음이 '의사표현 능력 신장'으로 나타났다. 철저한 교재연구와 학습자료 준비를 위하여 교단개혁이 요구 되는 반응이다. 생활지도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 조사 결과는 10개 항목 모두가 비교적 높은 기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높은 반응이 '어린이들이 매사에 자신감을 갖도록 격려하는 일'이고, 다음이 '사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어린이 상담'으로 지적되고 있다. 생활지도는 학습지도 보다 더 높은 반응을 보였다. 학급경영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 결과는 6개 항목 모두가 비교적 높은 기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높은 반응이 '학급의 위생 및 안전 관리'이고, 다음이 '깨끗하고 정서적인 학급 환경 조성'으로 나타났다.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 결과는 학습지도나 생활지도, 학급경영에 비해 전체 평균이 낮은 편으로 4개 항목 중에 '학급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참여'와 '지역사회 인사와의 협조'에 대한 반응이 가장 낮게 반응하였다. 교사와 학부모는 긴밀한 정보 교환을 통하여 많은 대화를 하여 어린 이들이 불편 없이 학교 생활을 하도록 도와 주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

        권미선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t teachers know how much th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is important in counseling and to let them notice that the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can be also an important element both of positive motivations for being engaged in counseling and of good effects coming from this kind of counseling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lass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xpectations of the students about counseling. The concret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What kind of differences are there among th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according to the teachers?? environmental conditions(working area, sex, age, position,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school) and the sex of students? B. What kind of differences are there among the students??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environmental conditions(working area, sex, age, position,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school) and the sex of students? C. What kind of differences are there among the students??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according to the class teachers?? communication types(acceptance-ordering type, non acceptance-ordering type, acceptance-urging type, non acceptance-urging type) perceived by the stud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mong the sixth grad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Chuncheon, Cheorwon county and Hwach??on county. And in case of the class teachers, their working area, sex, age, posi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school were investigated. Among the questionnaires of the selected 500 students who were the objects of the investigation, 482 copies were utilized for the analyses and then processed due to their reliabilities. The measurement tools used to measure the class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perceived by the students in the study were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20 questions that had two factors of acceptance-oriented dimension and urging-oriented dimension after having referred to the questionnaire on communication types that had been used by Kang Jae-won(1994) and Lee Hyo-jeong(2004). In case of the questionnaire on the students??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the version revised by Park Ae-seon(1985) was used. The original version of this questionnaire was that of Tinsely(1980) that was centering on the expectation about counseling(E.A.C. :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43 questions were used in the study following the researcher??s intention, excluding the dimensions of the counselee??s individuality and the peculiarities in counseling. The question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fter being adjusted to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collected data for the study has undergone frequency analysis through the SPSS WIN 11.0 and Cronbach α was calculated. The χ2 verification was practiced to know the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4 types) according to the teacher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sex of students. And the t-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were practic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sex of students and also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according to the teachers?? communication types(4 types). Besides, Scheffe??s test was practiced as post verification for the concrete comparison among the groups to know the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the class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eachers??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is, working area, sex, age, posi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The students tended to perceive the acceptance-urging type in case of the teachers?? environmental conditions : working area in county/town/myon(χ2=32.951, p<.001), the female sex(χ2=26.018, p<.001), those in their twenties(χ2=47.745, p<.001), the position of common teacher(χ2=8.187, p<.05) and the total classes less than 30 of the school(χ2=138.805, p<.001). No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the communication types according to the sex of students were noticed. Second,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the expectations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counseling provided by the class teachers according to the teachers?? environmental conditions, namely, the sex, age, posi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However, in case of the working area, there were remarkable differences only in the lower field. The study proved that the expectations about the counseling provided by the class teachers were higher in case of the teachers?? environmental conditions : the female sex(counselee??s behavior : t=-4.127, p<.001, counselor??s behavior : t=-3.838, p<.001, counselor??s individuality : t=-5.747, p<.001, effects of counseling : t=-5.359, p<.001), those in their twenties (counselee??s behavior : F=6.332, p<.01, counselor??s behavior : F=16.299, p<.001, counselor??s individuality : F=20.582, p<.001, effects of counseling : F=13.251, p<.001), the position of common teacher(counselor??s behavior : t=-2.178, p<.05, effects of counseling : t=-2.227, p<.05), and the total classes less than 30 of the school(counselee??s behavior: t=5.599, p<.001, counselor??s behavior : t=4.197, p<.001, counselor??s individuality : t=6.210, p<.001, effects of counseling : t=4.050, p<.001). In case of working area, the expectation level in lower field of the students living in county/town/my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living in the city showing the results of acceptability(t=-2.917, p<.001), educational aspect(t=-2.182, p<.05), reliability(t=-2.820, p<.01). On the contrarily, at the level of motivation, the students living in the city showed higher result(t=2.165, p<.05). According to the sex of students, girl students were cherishing higher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counselee??s behavior : t=-4.359, p<.001, counselor??s behavior : t=-3.358, p<.01, counselor??s individuality : t=-2.644, p<.01)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remarkable. Third, when I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lass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perceived by the students, the general tendency in their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and the interrelation among all these aspects, I can conclude that most of the students think that their class teachers belong to the acceptance-urging communication type(63.7%). The study revealed also that the general expectation about counseling was not high. Especially, the motivation for counseling recorded 2.07 mark, a very low level considering that 100% was 5 out of 5. Moreover, if I analyze the expectation level according to the class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I must say that students were expecting most from counseling in case that the teachers belonged to the acceptance-urging communication type(counselee??s behavior : F=35.768, p<.001, counselor??s behavior : F=66.910, p<.001, counselor??s individuality : F=63.573, p<.001, effects of counseling : F=41.891, p<.001). These results of the study let us know that the class teachers?? communication types have influence on the expectations of students about counseling. Therefore, I think that the class teachers should take more students?? opinions into consideration in managing their classes and build warm and close relationship with them by appreciating and encouraging them. Now, there are not counseling teachers in most of our schools and the class teachers are in charge of the counselor??s role at the same time. Thus, I conclude that good communication should b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n order to resolve the students' problems and to instruct them effectively.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 사이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혀 현장의 교사들에게 상담에 있어서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상담에 대한 기대가 상담의 동기부여나 상담의 효과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는 시사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담임교사의 배경변인(근무 지역, 성별, 연령, 직위, 학교 규모) 및 학생의 성별에 따라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나. 담임교사의 배경변인(근무 지역, 성별, 연령, 직위, 학교 규모) 및 학생의 성별에 따라 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수용명령형, 비수용명령형, 수용촉구형, 비수용촉구형)에 따른 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춘천시, 철원군, 화천군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6학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담임교사에게는 근무 지역, 성, 연령, 직위, 학교 규모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인 표집 학생 500명의 설문지 가운데 성실히 응답한 482부만 실제 분석?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측정 도구로는 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강재원(1994), 이효정(2004)이 사용한 의사소통 유형 질문지를 참고로 하여 수용중심 차원과 촉구중심 차원의 2개 요인으로 구성된 20문항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 질문지는 Tinsely(1980)가 개발한 상담에 대한 기대감 질문지(E.A.C.; Expectation About Counseling)를 박애선(1985)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의도에 맞게 내담자의 특성 차원과 상담과정에서의 특징 차원을 빼고 총 43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질문으로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회수된 설문 자료는 SPSS WIN 11.0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변인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항 내적 신뢰도(Cronbach α)를 산출하였다. 교사의 배경변인 및 학생의 성별에 따른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4가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사의 배경변인 및 학생의 성별에 따른 상담에 대한 기대 차이와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4가지)에 따른 상담에 대한 기대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나타날 경우 집단 간의 구체적인 비교를 위하여 Scheff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은 교사의 배경변인인 근무 지역, 성별, 연령, 직위, 학교 규모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은 교사가 근무 지역이 군?읍?면 지역(χ2=32.951, p<.001), 성별이 여자(χ2=26.018, p<.001), 연령대가 20대(χ2=47.745, p<.001), 직위가 일반교사(χ2=8.187, p<.05), 학교 규모가 30학급 미만(χ2=138.805, p<.001)일 경우 수용촉구형 의사소통 유형으로 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학생의 성별에 따라서는 의사소통 유형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담임교사에 대한 상담에 대한 기대는 교사의 배경변인인 성별, 연령, 직위, 학교 규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지역에 따라서는 하위 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의 성별이 여자이고(내담자 태도 : t=-4.127, p<.001, 상담자 태도 : t=-3.838, p<.001, 상담자 특성 : t=-5.747, p<.001, 상담효과 : t=-5.359, p<.001), 연령대가 20대(내담자 태도 : F=6.332, p<.01, 상담자 태도 : F=16.299, p<.001, 상담자 특성 : F=20.582, p<.001, 상담효과 : F=13.251, p<.001), 직위가 일반교사(상담자 태도 : t=-2.178, p<.05, 상담효과 : t=-2.227, p<.05), 학교의 규모가 30학급 미만(내담자 태도 : t=5.599, p<.001, 상담자 태도 : t=4.197, p<.001, 상담자 특성 : t=6.210, p<.001, 상담효과 : t=4.050, p<.001)일 경우 담임교사에 대한 상담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지역에 있어서는 하위영역인 수용성(t=-2.917, p<.001) 훈육성(t=-2.182, p<.05), 신뢰성(t=-2.820, p<.01)에 대한 기대 수준이 군?읍?면 지역의 학생이 시 지역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동기 수준에서는 시 지역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t=2.165, p<.05). 학생의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상담에 대해 더 높은 기대를 보였으며(내담자 태도 : t=-4.359, p<.001, 상담자 태도 : t=-3.358, p<.01, 상담자 특성 : t=-2.644, p<.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상담에 대한 기대 수준의 전반적인 경향 및 관계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담임교사를 수용촉구형의 의사소통 유형(63.7%)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상담에 대한 기대 수준은 전체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담 동기 면에서 5점 만점 중 2.07점으로 매우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상담에 대한 기대 수준을 살펴보면,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중 수용촉구형의 담임교사에게 상담에 있어 기대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내담자 태도 : F=35.768, p<.001, 상담자 태도 : F=66.910, p<.001, 상담자 특성 : F=63.573, p<.001, 상담효과 : F=41.891, p<.001)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이 상담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교실에서의 담임교사는 학급경영에 학생들의 의견을 많이 수렴하고 칭찬이나 격려를 통해서 온정적이고 긴밀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상담교사가 배치되지 않은 학교가 대부분이고 담임교사와 상담교사를 병행하고 있는 학교 현실에서 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해주고 효과적인 생활지도를 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아동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고등학생이 기대하는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

        김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학급 담임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고등학생들은 어떤 생각이나 기대를 하고 있는가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급 담임 교사가 학생을 지도하고 학급을 경영하는데 있어 가장 바람직한 지도 방법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담임 교사에 대해 고등학생들은 어떤 기대와 관심을 갖는가? 학습 지도면, 생활 지도면, 학급 경영면, 진로 지도 면에 대한 담임교사의 자세를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는 것을 주요 한 연구의 문제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연구 활동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25개의 설문 문항을 작성하여 경기도 군포·의왕·안양 지역의 인문계와 실업계의 남녀 고등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배경 변인별 유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문항별로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기대하는 학급 담임 교사로서 필요한 요소는 교과 학습 지도 능력보다도 학생에게 모범을 보일 수 있는 인품이나 생활 지표 능력이었다. 또한, 학생의 일에는 사소한 것이라도 신경을 써 주면서도 해야 할 일은 말없이 실천하는 책임감이 강한 학급 담임을 기 대하고 있었다. 둘째, 학급 경영면에 대한 기대로서 학급 담임이 가장 관심을 갖고 지도해 주기를 바라는 분야는 올바른 인성에 대한 것이었다. 학생들은 담임 교사의 편애와 즉흥적이고 감정적인 지도 태도에 부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반장의 선출이나 파석 배치, 학급회의 의결 사항의 처리 등에 있어서도 권위적이고 강압적인 지도 태도보다는 학생들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해 주는 태도를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특별활동은 관심이 있는 분야에 참여하여 취미를 기를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다. 셋째, 생활 지도 면에 대한 기대로세 학생들은 담임 교사의 지시적이고 권위적인 지도보다는 인생의 선배로서 삶에 대한 안내자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고민을 의논할 유익한 대상으로는 교사보다도 친구를 가장 많이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우 관계, 성적, 진료 둥에 대하여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즘 더 관심을 갖고 지도해야 한다고 반응했으며, 상담은 필요에 따라 수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학부모와의 상담 방법은 전화를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었다. 그러고, 교사의 훈화는 삶에 있어 약간의 도움이 되며, 이성 교제는 적극적으로 금지하기보다는 자율성을 인정하면서도 건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학생이 잘못한 일에 있을 때는 교칙에 의한 처분이나 체벌보다도 잘 못된 점을 확실히 인식시키고 훈화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체벌은 가급적 피해야 하지만 꼭 필요한 경우에도 감정이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넷째, 학습 지도 면에 대한 기대로서 담임 교사는 학생들의 학력 향상을 위해 학습하는 요령을 일러주고 끊임없는 격려를 통하여 학습에 대한 의욕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학업평가 후에 이루어지는 성적 처리의 방법에 대해서는 학생 개인에게만 알려 지도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다섯째, 진로 지도에 있어서 학생들은 학급 담임과 부모님을 진로 상담의 대상으로 가장 많이 들고 있었다. 진로 지도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것을 원하였으며 학업 성적을 기준으로 한 지도보다는 적성과 소질을 고려한 지도를 바라고 있었다.

      • 담임교사에 대한 일반계고등학생들의 진로상담 실태와 요구 분석

        곽수효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반계고등학생의 진로상담 인식과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여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진로상담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양산시에 소재한 일반계고등학교 두 곳에 재학 중인 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계고등학생 절반 이상이 고등학교 입학 이후 진로 상담을 1회 이상 실시하였고,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상담은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며, 앞으로 학생들의 올바른 진로선택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진로상담을 실시하는 교사들의 진로상담가로서의 자질 향상을 요구하였다. 둘째,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은 내용, 횟수, 시간, 장소, 시기에서 실태와 요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계고등학교 담임교사의 진로상담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담임교사의 진로상담가로서의 자질 향상과 학생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충분한 상담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진로진학교사 연계를 통한 진로상담이 필요하며 학교 상담실의 효율적인 사용과 교무실 상담 환경의 개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demand on career counseling conducted by homeroom teachers at general high schools with a view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career counseling. To this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438 highschool students attending two high schools located in Yangsan-si.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career counseling at least once since they entered the high school, and most counseling services were provid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Homeroom teachers demonstrated a lack of career counselor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nonetheless, their services helped the majority of students, wh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career counseling with their homeroom teachers. Career counseling performed by homeroom teachers at general high schools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content, frequency, location, and time with respect to students’ perception and demand.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capacity of homeroom teachers as career counselors and simultaneously promote education for students in order to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career counseling. Furthermore, a sufficient amount of time should be allocated to career counseling, and the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 collaboration with career counsling teachers at schools. In addition, the efficient use of a school’s counseling offi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unseling environment in a teacher’s room would b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