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빛 내용의 변천에 관한 연구

        박유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제 1차 교육과정부터 제 7차 교육과정까지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빛 내용의 내용요소, 탐구활동 및 탐구과정의 변천을 분석하여, 과학교육의 역사적 자취를 고찰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 교육과정에 걸쳐서 빛 내용을 다룬 11개 단원을 대상으로 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내용요소, 탐구활동 및 탐구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내용요소는 각 교육과정마다 포함된 내용요소를 모두 추출한 후 교육과정별로 포함 여부를 분석하였고, 탐구활동은 내용요소 별 탐구활동의 수를 분석하고, 심규철의 탐구 유형 분류틀을 이용하여 생각해보기, 해보기, 실험하기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탐구과정은 SAPA의 탐구과정요소를 기준으로 종류와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요소의 변천은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었다. 제 1차 교육과정과 제 2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는 다양한 빛의 성질을 다루면서 빛의 속도, 우리들의 눈, 광학기계 등 단편적인 지식을 나열하였고, 제 3차 교육과정부터 제 6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과학적 개념과 원리 및 지식의 구조를 중시하여, 빛의 직진, 반사, 굴절 법칙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고,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서는 빛의 발생과 전파, 시각에 대한 일련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다루면서, 학생에게 친근한 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도입하여 과학적 원리에 접근하도록 하였다. 둘째, 탐구활동의 분석결과 내용요소 별 탐구활동의 수는 제 4차 교육과정부터 제 7차 교육과정까지 증가하였는데 제 3차 교육과정과 제 7차 교육과정에서 2~3개 이상, 이외의 교육과정에서는 1개 이상이었다. 탐구유형은 대부분의 교육과정에서 실험하기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해보기, 생각해보기 순서였으며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세 가지 탐구유형이 고르게 나타났다. 셋째, 탐구과정의 분석 결과 모든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관찰과 의사소통 탐구과정이 대부분이었고, 그 외의 탐구과정들은 교육과정별로 특색 있게 나타났다. 교육과정이 변천함에 따라 탐구과정의 전체적인 수는 줄어들었지만, 다양한 탐구과정들이 고르게 나타나 균형을 이루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초등 과학 교과서의 빛 내용은 실생활과 과학적 원리를 함께 조화시키며 점차 체계적으로 변천하여 왔으며, 내용요소의 학습을 위한 탐구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탐구유형과 탐구과정들을 균형 있게 구성하며 변천하여 왔다. 앞으로 과학 교과서 빛 내용도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실제적인 내용과 다양한 탐구활동을 통하여 과학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학습자가 다양한 탐구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탐구과정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cluding textbooks and also to consider historical vestig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the contents changes, since the inception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1st to the present 7th Curriculum, of light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signify. The analysis was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namely contents, inquiry activities, and inquiry processes on light dealt with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of each period in conjunction with the corresponding curriculum. Contents were analyzed by checking if they were included in each curriculum or not after extracting all contents from textbooks. For each contents,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were counted, and the types of the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experiments, hands-on activities, and minds-on activities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by Gyu-Cheol Shim(2002). And to analyze inquiry processes, their kinds and frequenci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SAP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anges of the category contents, it showed three phases. The 1st and 2nd curriculums included the wide range of various properties of light and isolated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speed of light, eyes and optical instruments. The curriculums from the 3rd to the 6th emphasize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straight propagation, reflection, and refraction of light. The 7th curriculum approached scientific principles utilizing familiar everyday items, while treating systematically generation, propagation and reception of light. Second, as for the area of inquiry activities,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increased ever since the 4th curriculum and culminated at the 7th curriculum. Among types of inquiry activities, experiments occupied the highest percentage. Hands-on activities and minds-on activities came next in order. In the 7th curriculums thre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were represented in balance. Third, as for the skills of inquiry processes, observing and communicating were almost all the skills represented in the textbooks from every curriculum. The other skills were found distinctively in each textbook according to the curriculums. While the instances of inquiry processes became fewer, varieties were added to inquiry processes in a balanced way. In conclusion, as the curriculums went through changes, the contents in the textbooks about light varied in a gradually more systematic way harmonizing everyday experiences and scientific. And inquiry activities for learning of contents became more varied, and types of inquiry activities and inquiry processes changed in a balanced way.

      • 코스웨어의 내용표현양식 및 학습 유형에 따른 CAI학습의 효과

        서석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CAI를 통한 학습에서 내용표현양식과 학습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학업 성취도를 밝혀보기 위하여 내용표현양식에 따른 CAI프로그램과 학습유형에 따른 CAI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험을 통하여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CAI에서 텍스트위주의 내용표현과 그림 위주의 내용표현, 그리고 내용과 관련 없는 그림이 삽입된 그림위주의 내용표현간에 학업성취도는 어떠한 차가 있는가? 2. CAI에서 텍스트위주의 내용표현과 그림 위주의 내용표현, 그리고 내용과 관련이 없는 그림이 삽입된 그림위주의 내용표현간에 나타난 학업성취도 차는 학습자의 사전지식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가 있는가? 3. CAI에서 단순 반복 학습유형과 상기연습 학습유형간에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차가 있는가? 4. CAI에서 단순 반복 학습유형과 상기연습 학습유형간에 나타난 학업 성취도차는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가 있는가? 5. CAI에서 텍스트위주의 내용표현과 그림 위주의 내용표현, 그리고 내용과 관련 없는 그림이 삽입된 그림위주의 내용표현간에 나타난 학업성취도 차는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가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D 초등학교 6학년 1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고, 그 결과는 t검증과 이원변량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내용표현 양식에 따른 학업 성취도는 text 위주의 프로그램, 관련그림 위주의 프로그램, 비관련 그림 위주의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의미 있는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내용표현양식 및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사전지식 수준에 높은 아동이 비관련 그림 프로그램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고, 낮은 수준의 아동은 비관련 그림 프로그램에서 가장 낮게 효과를 보이고 있다. 3. 학습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단순반복 보다 상기연습이 학업성취도에 더 효과적이었다. 4. 학습유형 및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학습자의 사전지식수준에 관계없이 상기연습이 단순반복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5. 학습유형에 따른 내용표현양식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내용표현양식에 관계없이 상기연습이 단순반복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vels of prior knowledge of children and the modes of presentation on the courseware in CAI. CAI program according to the modes of presentation and CAI program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ing had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sentation modes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sty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CAI. Research problems set up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What are the effects of text presentation and pictures presentation, meaningless picture presentation with th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2. What are effects of text presentation and pictures presentation, meaningless pictures presentation with th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n the levels of prior Knowledge of children? 3. What are effects of the types of simple repeating learning and recall practicing learning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4. What are effects of text presentation and pictures presentation, meaningless pictures presentation with the learning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n the levels of prior knowledge of children? 5. What are effects of text presentation and pictures presentation, meaningless pictures presentation with the teaming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n the types of children's learning? The subjects were 120 6th graders randomly sampled from one of elementary schools in Pusan. They had studied text presentation and pictures presentation, meaningless pictures presentation with the learning. The effects of text presentation and Pictures presentation, meaningless pictures presentation with the learning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verification and two-way repeated measures of ANCOVA.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discussions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effects of text presentation and pictures Presentation, meaningless pictures presentation with the teaming contents does not vary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presentation modes of contents in teaming text presentation as well as pictures presentation or meaningless pictures presentation. 2. The effects of presentation modes of contents and learning sty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CAI, the higher levels of prior knowledge of children showed higher in the meaningless picture presentation with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lower levels of prior knowledge of children showed lowermost in the meaningless picture presentation with the learning contents. 3. The effects of the types of recall practicing learning were higher than the simple repeating teaming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4. The effects of the types of recall practicing learning were higher than the simple repeating learning regard of the levels of prior knowledge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n the levels of prior knowledge of children and the modes of presentation teaming contents. 5. The effects of the types of recall practicing learning were higher than the simple repeating learning regard of the modes of presentation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n the modes of presentation learning contents.

      • 방송내용규제와 시청자 참여 : 정책대안으로서 '조합주의적 자율규제' 모델 탐색

        현경보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공익'을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방송내용에 대한 규제방식이 규제관련 집단들의 상호불신으로 인해 실효성을 거두고 못하고 있는 현실에 주목함으로써, 그 원인을 분석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적 규제방식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공동이익이론의 시각에서 '공익' 개념에 접근함으로써, 기존의 공공규제방식이나 자율규제방식과는 다른 제 3의 대안으로서 '시청자 참여'를 통한 방송내용 규제방식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입장에서 한국사회의 현실에 보다 바람직한 규제모델의 대안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첫째, 이론적 차원에서 방송내용에 대한 규제모델은 어떠한 기준에 근거하여 어떠한 유형들로 분류해 볼 수 있는가? 둘째, 한국사회에서 현행 방송내용규제의 구조적 특성은 무엇이고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방송내용규제와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는 방송위원회(규제자), 시민단체(규제수혜자), 방송제작자(피규제자) 세 집단들은 한국사회의 규제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떠한 규제방식이 우리사회에 보다 바람직하다고 인식하는가? 이상의 문제들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실패'와 '시장실패'에 직면하고 있는 기존의 공공서비스 규제모델과 시장자유주의 규제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동체 규제 모델의 원리를 도입함으로써, 국가-시장-공동체라는 세 가지 규제원리들의 상호결합을 통해 규제모델들을 분류하였다. 자유주의적 규제모델, 다원주의적 규제모델, 가부장주의적 규제모델, 조합주의적 규제모델이 바로 이들이다. 둘째, 한국사회에서 방송내용규제는 방송위원회에 의한 직접규제에 의존하면서 시청자위원회, 방송사 자체심의 등 실효성 없이 사회적 비용만 초래하는 다중규제가 특징이다. 현행 방송내용 규제방식의 가장 큰 문제점은 규제기구인 방송위원회가 국가권력으로부터 자율성을 획득하지 못함으로써 시청자의 대표성과 규제의 효율성 측면에서 실패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방송위원회, 시민단체, 방송제작자 세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1) 이들 세 집단들은 모두가 우리사회에 있어서 방송내용이 공익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방송사들이 시청자의 이익보다는 방송사 조직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송위원회와 시민(시청자)단체들은 방송의 공공소유론이나 사회적 영향력 논리를 근거로 방송내용에 대한 타율규제가 정당화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방송제작자들은 어떠한 이유로든 방송내용에 대한 타율규제는 정당화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2) 한국사회에서 국가권력으로부터의 자율성을 갖지 못하는 집단은 시청자의 이익을 올바르게 대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대집단으로부터 불신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가권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방송위원회와 방송사 모두가 시청자의 이익을 올바르게 대변하지 못할 뿐 아니라 상대집단으로부터 불신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나마 국가권력으로부터 자유롭고 시청자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다고 인정받는 집단은 시민단체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위원회와 방송제작자 집단들은 서로에 대해서는 불신과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면서도, 시민단체에 대해서는 비교적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방송위원회, 시민단체, 방송제작자 세 집단 모두가 한국사회의 현행 방송내용 규제를 국가개입이 심하고 시청자의 참여가 배제된 가부장주의적 규제방식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방송내용규제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서는 서로 간에 상대적으로 커다란 입장 차이를 보이는 것을 나타났다. 방송위원회 직원들은 공공규제를 유지하면서 부분적으로 시청자들의 집단적 참여를 인정하는 '조합주의적 공공 규제' 모델에 가까운 입장을 보였으며, 시민(시청자)단체의 경우는 국가규제와 시장 규제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으면서 방송에 대한 시청자들의 집단적 권리행사나 참여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다원주의와 조합주의적 규제모델 사이의 중간적 입장을 보여 주었다. 한편, 방송제작자들은 방송에 대한 국가개입과 시청자들의 방송에 대한 집단적 권리행사나 조직적 참여에 대해 반대하는 자유주의적 규제모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서 볼 때, 한국사회에서 바람직한 규제방식의 대안으로는 네 가지 규제방식들 중에서 다원주의적 규제모델과 조합주의적 규제모델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국가와 방송사에 대한 불신이 매우 높은 우리사회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가부장주의적 규제모델이나 자유주의적 규제모델은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원주의적 모델과 조합주의적 규제모델 중에서는 조합주의적 모델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질서'라는 공공재를 산출하는데 있어서나 방송에 대한 국가개입이 심한 우리사회의 현실을 어느 정도 인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조합주의적 모델이 한국사회에서 바람직한 규제방식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한국사회에서 국가, 시민사회, 방송사의 역학관계를 구조적으로 재조정함으로써, 방송내용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규제질서가 가능할 것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방송에 대한 기존의 국가권력을 완화하는 대신 방송에 대한 시민사회의 개입권한을 강화하고, 방송사에 대해서는 시민단체의 대표들과 자율적으로 방송내용에 관한 규제문제를 공개적으로 협의할 수 있는 자율권을 부여하는 규제 질서가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규제질서가 반영된 방송내용 규제방식이 바로 이 논문이 제안하는 '조합주의적 자율규제' 모델이다.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examine the regulation system of broadcasting programs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regulation model to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Based on the common Interest theory in approaching public interest, this study explores a new approach for broadcasting regulation emphasizing on audience participation. In searching a new regulation model,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raised: First, how the theoretical models of broadcasting regulation in Korean broadcasting industry are classified and based on what standard can they be classified? Second, what a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broadcasting regulation particularly on the content of programs and the main problems of this regulation policy? Third, how do the three group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 KBC(Korean Broadcasting Commission), civil associations and broadcasting producers - perceive the current regulation and what kinds of regulation model do they prefer? The main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ur theoretical models of the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are classified based on how the state, market, and community (civil society) were structurally interrelated in organizing the social order : libertarian regulation model, pluralistic regulation model, paternalistic regulation model and corporatist regulation model. Such a classification is designed with a view in order to overcome state failure of the public service regulation model and market failure of the market liberalism model. Second, it is well known that KBC is the main regulator of programs in Korean broadcasting. This study, however, reveals that the current regulation system is characterized by multi-layered regulatory institutions such as the Audience Committee, and self-regulating of broadcasters, besides KBC. This multiple structure increases social costs resulting in inefficiency of program regulation. More importantly KJ3C does not have relative autonomy independent from the state power, consequently fails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audience and play its efficiency. Third, the survey shows that the three regulation-related parties - KBC, civil associations and broadcasting producers - view the current regulation system negatively.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three regulation-related parties believe that the programs in Korean broadcasting do not serve public interests sufficiently, and broadcasters tend to position the interest of organization before the interest of audience. For this reason, KBC and civil associations believe that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can be justified. The producers, however, objected to overtly any attempts of program regulation by such a third-party, for that reason it may intimidate the autonomy of producers. 2) All three regulation-related parties believe that KBC and broadcasters fail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audience in terms of regulation practices. They believe that regulators without relative autonomy from the state power can not possibly serve the interests of audience. In addition, both KBC and broadcasters see the activities of each others negatively. The survey, however, reveals that the both regard the positive role of civil associations in program regulation for the public interest as desirable. 3) According to the survey, all three regulation-related parties recognize excessive intervention of the state into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considering the current regulation system a paternalistic regulation model in which the civil participation is extremely negated. The survey, however, reveals that all three parties prefer different regulation systems. For example, members of KBC tend to propose the corporatist regulation model in which the public regulation as the main frame and the collective participation of audience are allowed. On the other hand the civil associations rather prefers a neutral position between the pluralistic and corporatist models where the state-dominated regulation and market-driven regulation are balanced out and the participation of audience is highlighted. The producers prefer libertarian model in which neither state intervention nor audience participation are allowed. As it has elucidated, this dissertation suggests the 'corporatist self-regulation model' out of four models discussed the above, as the most appropriate alternative which will serve the public interest considering the reality of Korea society where the state and broadcasting industry often become a target of blame, the paternalistic and libertarian models are not suitable. Between the plruralistic and corporatist model, particularly the latter considers not only the high level of state intervention in Korea broadcasting industry, but also attempts to produce 'collective goods' in which the idea of 'socially preferable order' is embedded. For this reason, the corporatist self-regulation' model is relatvely a desirable and appropriate alternative to Korean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To conclude, the new regulation model proposes to restructure of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state, civil society and broadcasters. In other words, the state control should be minim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in the process of broadcast content regul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is, however, does not mean the withdrawal of self-regulation of broadcasters. Rather, it is necessary for the broadcasters with the relative autonomy from the state and civil society take part in the process. New model requires the negotiated self-regulation system to allow a sphere in which broadcast content-related problems can be discussed and reconciled publicly between the representatives of civil associations and broadcasting producers, and this is what this dissertation is directed to.

      • 내용교과 독서 지도 연구

        홍인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ontent Area Reading synthetically i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closely the research tasks as next. At first this study made the models and strategies of reading instruction and put it into practice. After that,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Content Area Reading in the field of accomplishment and attitude. And to understand the verified result in the multi-dimensions, this study made an analysis the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when the reading instruction was in progress. To achieve and verify this purpose, this study was to present three theoretical background. At first, this study presented that we have to teach content subject considering the feature of content area text when we instruct reading.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feature of content area text more concrete, and this study divided the instruction area of reading between the teacher of content area and Korean language one. And this study presented methods of reading instruction dividing general and unique strategies of content subject.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that content area reading process is a inter-textual procedure using and inferring other's senses, thought, language, conception, text. To accomplish abov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substantial methods as next. To verify the effects of Content Area Reading, this study continued for 2 years, and object of this study is student and teacher. Same period of time, this study researched the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subject of study was science, mathematics, society (history). And this study did pre-test and post-test at each content subject, and analyzed the results dividing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The reading instruction of Content Area carried out 20 times by using general and unique reading strategies at each subjects. And all data was recorded and copied and analyzed for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result of experiment, science and society (history) subjects showed meaningful effects in the field of accomplishment, except for mathematics. The reason is next. That is, the content connection of the each text of science and society (history) is more excellent compare to math. And instruction skill science and society (history) teacher have is more excellent compare to math too.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instruction method (mainly strategies) at a science and society (history) subject is more excellent than math.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math doesn't have any effects is the lack of content connection, and reading text of math is not good, at the same time instruction method go wrong. In the result of experiment, all subjects showed meaningful effects in the field of attitude. The reason is that all reading text is very interesting. As for the aspec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tent Area Reading, this study researched two fields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teacher about Content Area Reading and the practical use of instruction about Content Area Reading. At first, all teachers who take part in this experiment have a strong belief about the effects of Content Area Reading, and has a self-confidence for the instruction of Content Area Reading. In addition, all teacher try to give consideration for student. Next, as for the aspects of the practical use of instruction, all teacher have a experience of the lack of time for teaching about Content Area Reading, and they do a phrase explanation, and they use a direct instruction. Furthermore all teacher explain the reading method in advance, after that they use the reading metho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differences in aspects by each content subjects. For example, in case of science subject, teacher explains the content by using his experience after reading. And teacher not only uses pre-reading activities positively but also uses homework and practical experiment as a post-reading activity. In case of math subject, teacher indicate at first the student who have to read, and all members in the class read following the line-by-line only by using their eye when the student who selected as a reader read the reading text written content knowledge. And a math teacher uses note-book positively and uses practice from time to time as a post-reading activities. In case of society (history) subject, a teacher uses the up-down reading method approaching from the totality to a portion, and uses positive reading method such as making step and attempting a new teaching plan without compulsion. On the other hand, the cause math has no effect in the field of accomplishment is next. The first, reading text which teacher prepare does not suit instruction content. The second, the preparation of reading instruction does not sufficient. The third, teacher has frequently initiative to read without giving student's right and opportunity to read. At the end, this study presented the training program of reading instruction for Content Area teacher, and instruction program of Content Area Reading just for student, and the constitutional method of reading text on the grounds of intertextuality. I expect that more various Content Area Reading strategies and methods was developed and spread by a teacher who teaches Content Area Reading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내용교과 독서 지도의 효과를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각 내용교과별 독서 지도 모형과 전략을 마련하여 독서 지도를 실시한 후 그 효과를 성취도의 측면과 태도의 측면으로 나누어 검증했다. 또한 검증 결과에 대한 입체적 이해를 위해 각 내용교과 독서 지도가 진행되는 동안의 교수·학습 양상을 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 연구 내용을 규명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내용교과의 특성에 따른 독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밝히면서 독서 지도 자료로 활용되는 내용 텍스트의 특성을 세부적으로 알아보고 이어 내용교과 교사와 국어교사 간 독서 지도의 영역에 대해서 구분을 지어 보았다. 또 구체적인 독서 지도 방법을 일반적인 전략과 고유 전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상호 텍스트성의 개념을 받아들여 내용교과 독서 과정이 타인의 의식, 사고, 언어, 개념뿐만 아니라 다른 텍스트를 다각적으로 활용하고 참조하는 상호 텍스트적인 과정임을 밝혔다.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효과 검증을 위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2년간 과학, 수학, 사회(역사)교과별로 한 학기씩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같은 기간 효과 검증 연구에 맞추어 독서 지도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내용 교과별로 모두 검증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내용교과 독서 지도는 각 내용교과에 맞는 교과 고유의 독서 지도 전략과 일반적인 전략을 모두 활용하여 각각 20차시씩 실시하였으며 교수·학습 양상을 위하여 모든 자료는 전사하고 녹화하여 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실험 결과 성취도 검증의 측면에서는 수학 교과를 제외한 과학, 사회(역사) 교과에서 의미 있는 성취를 보였다. 이런 결과가 나온 이유는 두 과목에 제시된 짧은 글과 단행본 도서의 내용 ‘연결성’이 수학 교과에 비해 매우 우수했고 교사의 독서 지도 방법 운용이 탁월했으며 단원에 맞는 독서 지도 방법을 정확히 선택했기 때문이다. 한편 수학 교과 성취도에서 독서 지도에 효과가 없었던 이유는 자료의 내용 연결성이 부적절했고 선정된 읽기 보조 자료가 수학 교과 고유의 내용적 특수성에 다가가지 못했으며 독서 지도 방식이 각 단원의 내용과 맞지 않는 방식으로 지도되었기 때문이다. 실험 결과 태도의 측면에서는 전 교과에 독서 지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주어진 자료들이 모두 학습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읽기 자료였고 수업 교사가 제시하는 다양한 독서 지도 방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내용교과 독서 지도의 교수·학습 양상의 측면에서는 크게 교과 독서에 대한 교사의 이해 측면과 교과 수업에서의 독서 지도활용 양상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교과 독서에 대한 참여 교사의 견해로, 모든 참여 교사는 내용교과 독서 지도의 효과를 신뢰하고 있었으며 지도에 대한 자신감도 가지고 학생을 배려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교과 수업에서의 독서 지도 활용 양상을 살펴보면 모두 공통적으로 독서 지도 시간의 부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문맥별 구절풀이식 독해를 자주 하고 직접 교수 방식으로 지도한다. 또 매 차시마다 독서 방법을 먼저 설명한 후에야 실제 수업에 독서 방법을 활용하는 절차를 거친다. 한편 각 교과별로 양상에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과학 교과의 경우 독해 후에 자신의 경험을 관련시켜 내용을 설명해 나가는 방식을 취하며, 읽기 전 활동을 적극 도입할 뿐만 아니라 실제 실험을 동반한 독서 지도를 하고 있고 독후 활동으로 과제도 적극 활용한다. 수학 교과의 경우 읽기에서 지명식 공동 읽기 방식을 자주 사용하며 공책을 폭넓게 활용하고 글의 내용에 따라 실습을 가미하는 수학 독서 방식을 취한다. 사회(역사) 교과의 경우 전체에서 부분으로 접근하는 하향식 독서 접근 방식을 잘 사용하며 주어진 독서 방법 자체를 세분화하여 단계화시키는 적극성도 보이고 독서 방법에 대한 수업 설계도 시도하는 등 능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한편 수학 성취도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진 원인을 양상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교사가 준비한 읽기 자료가 수업 내용과 맞지 않는 경우가 몇 차례 있었고, 독서 지도 준비를 제대로 못한 경우도 여러 차례 있었으며, 독서 지도 방식도 학생에게 읽기 권한을 이양한 것이 아니라 교사 본인이 직접 읽어주는 방식을 자주 취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교과 교사에 대한 독서 지도 연수 프로그램과 학생에 대한 독서 지도 프로그램 그리고 상호 텍스트적 독서 자료 구성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내용교과 독서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앞으로 이 실험을 통해 나타난 내용교과 독서 지도의 효과를 바탕으로 더 다각적인 내용교과 독서 전략과 방법이 개발되고 이것이 현장 내용교과 독서 지도 교사에게 확산되길 기대한다.

      • 메타 분석을 통한 교과별 내용통합 영어교육의 효과 비교

        권태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세계화의 흐름과 함께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영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이해 가능한 입력을 충분히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영어를 외국어로 인식하는 EFL 국가로서 학생들은 학교현장을 떠나면 영어를 접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내용통합 영어교육은 학생들에게 교과의 내용을 영어로 가르침으로써 충분한 입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의 한 가지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영어 몰입교육 또는 내용통합 영어교육과 관련된 사전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진행된 내용통합 영어교육 관련 연구 중 주지교과와 영어교과의 내용통합 영어 수업과 기능교과와 영어교과의 내용통합 영어 수업을 경험적으로 연구한 연구물들을 수집하였고, 메타분석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평균효과크기의 비교를 통하여 어느 영역의 효과가 더 큰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과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전체 내용통합 영어수업의 평균효과크기는 중간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냄으로써 일반적인 영어수업보다 내용통합 영어수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주지교과 내용통합 학습과 기능교과 내용통합 학습으로 나누어 각각의 평균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기능교과 내용통합 수업이 주지교과 내용통합 수업보다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지교과 내용통합 수업과 기능교과 내용통합 수업이 학교급별로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두 가지 경우의 내용통합 수업 모두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효과크기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주지교과와 기능교과 내용통합 수업이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각각 어떠한 효과크기를 나타내는지 비교한 결과, 주지교과는 학습자의 인지적 영역에 더 큰 효과가 있었고, 기능교과는 정의적 영역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내용통합 영어교육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초등학생부터 내용통합 영어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주지교과를 바탕으로 내용통합 영어수업을 할 때 학습자들이 교과내용 그 자체에 많은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주지교과와 기능교과 내용통합 영어수업이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별로 효과가 큰 요소와 효과가 작은 요소를 바탕으로 보완적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에게 교과의 내용을 영어로 가르침으로써 충분한 입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의 한 가지로 정착해가고 있는 내용통합 영어수업이 어떤 특성의 교과가 어떤 학습자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지 그 특징을 구체적으로 알고 개선점을 찾아 보완해 간다면 단순히 영어 입력을 늘이는 것에서 나아가 내실 있고 효과적인 영어교육의 실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내용 요약하기를 활용한 수필 읽기 지도 연구

        최상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아이들이 책을 왜 잘 읽지 않는 것인가?’, ‘국어 교과시간에 교과서를 읽고 배우지만 글을 왜 잘 읽지 못하는 것인가?’ 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학생들이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흥미가 있으며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수필 작품을 제재로 하여 읽기 전략 중 내용 요약하기 전략을 활용하여 글을 읽음으로써 정확하게 이해하고 깊고 넓게 감상함으로서 수필 감상 능력을 신장시키고 의미 있는 책 읽기 경험을 통해 책 읽기의 소중함과 즐거움을 인식하여 책 읽기 동기를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요약하기는 글 전체적인 짜임과 맥락 속에서 글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정리하는 행위로서 독자의 이해와 정보의 수용 정도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유용한 읽기 전략이다. 읽기 전략인 내용 요약하기를 수필 작품을 읽는 데 기능적으로 만 접근하고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읽기 능력은 어느 한계에 머물고 글을 지속적으로 읽으려고 하는 읽기 동기는 차츰 떨어지게 될 것이다. 글을 읽고 내용을 요약하는 전략과 함께 수필의 내용(주제)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글의 내용을 요약하는 과정을 통해 글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자신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의미를 파악하며 심화된 감상으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고 성장하며 살아가는 동안에 사람과 사물 또는 세계와 관계를 맺고 살아가게 되는데 대상과 어떤 관계를 맺느냐는 인생을 성공적으로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학생들이 성장하면서 관계를 맺게 되는 사람과 사물 및 세계를 바탕으로 수필 작품을 주제별로 ‘나와 자아 - 나와 가족 - 나와 이웃 - 나와 사회 - 나와 자연’의 만남이라는 5개의 범주로 나누고 각 범주별로 4개 작품, 총 20편을 선정하여 ‘준비 - 이해․감상 - 확장 단계’로 설정하여 읽기 과정에 따라 지도 단계를 설정하여 수필 감상 능력과 읽기 동기를 신장시키는 효과적인 수필 읽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읽기 전략인 내용 요약하기를 수필 읽기 과정에 활용하기 위해 독서 및 독서교육의 정의와 개념을 이해하고 독서와 문학의 공통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독서와 문학의 통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독서 능력의 발달에 따른 독서 지도의 방법과 요약하기의 정의와 규칙을 살펴보고 수필 읽기의 관계를 파악하여 내용 요약하기를 활용한 수필 읽기 지도 원리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내용 요약하기를 활용한 수필 읽기를 구체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고 실험을 설계하며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사전․사후 검사의 비교 분석을 통해 내용 요약하기를 활용한 수필 읽기 지도가 학생들의 수필 감상 능력, 회상 능력, 읽기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수필 읽기 과정에서 내용 요약하기를 활용하면 글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깊고 넓어지게 되어 수필 감상을 심화시킬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다. 또한, 글의 내용을 회상하고 기억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를 통해 내용 요약하기를 활용한 수필 읽기 지도는 학생들의 수필 감상 능력 및 읽기 동기를 신장시키는 데 효과적인 수필 읽기 지도 방안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s of why children hardly read a book and why they have difficulties with reading in spite of suffici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A couple of relatively easy and entertaining essays, which are likely to substantially affect students' formation of values, were selected and read by students on the exploitation of contents summarizing technique out of many reading strategies. It is designe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appreciate essay literature and have them experience extensive reading activities, to find great satisfaction in reading, and ultimately to boost their motivation to read a book. Summarizing, which refers to an act of analyzing, gathering, and arranging the contents in the overall context of a story, is an extremely useful reading strategy, where the degree of reader'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is visibly identifiable. Provided that the contents summarizing technique is only exploited functionally to read essay literature, students' ability to read shall reach the limit, with a gradual decrease in the motivation to read in a continued series. Thus, it is required to spell over the contents or theme of an essay, along with the strategy for summarizing the contents of a story, because students can efficiently figure out the meaning and arrange the contents in the process of summarizing, so as to reconstitute such story and understand the underlying meaning, to proceed to a more profound appreciation. Any human creature lives in a diversity of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objects, and the world, and accordingly, the question of what relationship a person enters into is a key to the successful life. This study classifies the essays, on the basis of the people, objects, and the world to which students get related, into 5 categories; 'Me and myself', 'Me and my family', 'Me and my neighbor', 'Me and society', and 'Me and nature', each of which is assigned with 4 different essays, 20 works in total. It set up the three stages of teaching in the order of 'preparation', 'understanding/appreciation', and 'expansion' in line with the reading procedure, in order to seek for an efficient measure for teaching how to read essay literature that may possibly improve the ability to appreciate such literature and boost the motivation to read. Chapter Ⅱ probes into the definition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apply contents summarizing technique to the process of reading essay literature and find out the common elements of reading and literature, for profound contemplation upon the probability of integrating reading and literature. It also deals with the method of reading guidance as well as the definition and rule of summarizing in accordance with the improvement of reading capabilities, and figures out its relation with essay reading, to ultimately set forth the principle of teaching how to read essay literature using contents summarizing technique. Chapter Ⅲ digs in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specifically teach how to read essay literature using contents summarizing technique, and conducts a series of classes for experimental group. In the meantime, Chapter Ⅳ analyzes and verifies the effect of teaching how to read essay literature using contents summarizing technique on students' ability to appreciate essay literature, remembrance, and lastly, motivation to rea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pre and post-test. In conclusion, contents summarizing in reading essay literature is likely to lay groundwork for profound appreciation of essay works, through deepened understanding of a story. It is also expected to help students to recollect the particulars of the story with long-lasting memory. In this respect, this method of teaching how to read essay literature using contents summarizing technique is going to be an efficient way to sharpen the ability to appreciate such essays and boost the motivation to read.

      • 수업 비평을 통한 체육내용교수지식의 변화 연구

        이민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교수 전문성의 근간인 체육내용교수지식 변화와 관련하여, 수업장학의 새로운 시도로 제기되고 있는 수업 비평에 대해 동료 장학의 형식을 빌려 수업을 바라봄으로써 수업 비평을 통해 체육교사의 내용교수지식이 어떻게 변화되고 형성되는지 이해하고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업 비평에 참여한 체육교사의 경험이라는 대범주 아래 초기갈등, 동기와 자극, 수업 비평의 장점 인식으로 수업 비평에 활동의 가치를 인식하였다. 교수지식 높이기, 학생 이해하기, 자기수업 형성으로 내용교수지식을 개발을 경험하였으며 실천적 지식을 가진 체육교사, 반성적 교육관, 체육수업 재개념화로 체육교사 정체성을 형성하는 경험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업 비평 초기학습의 계획, 실행, 평가에 이르기까지 학습의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교과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교수법에 대한 지식, 학습자의 이해에 대한 지식, 평가에 대한 지식, 교육환경 지식에 대한 배경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했지만 연구 참여자는 체육수업 실행을 위한 배경지식등과 같은 교과의 전문적 지식이 깊이 있지 못함을 인지하고 발전하려는 ‘변화를 모색’하는 단계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수업 비평의 실행 속에서 알게 된 사실이나 현상을 스스로의 틀 속에서 선택적 해석하고 본인만의 지식체계에서 수용하는 ‘선택과 수용'현상이 연구 참여자에게서 나타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가 수업을 실행함에 있어 새로운 지식을 재구성하고 구체적 적용가능방법에 대한 검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과 구체화하지 못한, 수업의 적용점을 시사하지 못하는 수업 비평이 아니라 수업상황에서 바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논의와 대화가 수업 비평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교수 전문성 발달과 수업개선을 위해 반성적 탐구를 통한 수업의 실행과 관련한 문제의 한계와 어려움을 극복함과 동시에 대안을 마련하고 실천하는 단계까지 발전할 수 있었으며 수업실행에서 드러나는 행위와 그 행위를 끌어내는 교사 사고의 고정관념을 바꾸어 나갔다. 수업 실행의 경험에서 배워나가며 교육현장과 수업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전반적인 문제를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해 실천적인 전문가인 교사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반성적 앎’의 단계로 나타났다. 결국, 수업 비평을 통해 체득한 수업 현상을 스스로 지식구조를 재구성하고 학생들의 특성과 능력에 맞게 개별화의 조정 과정이 보였으며 수업 비평의 내용을 조건 없이, 비판 없이 따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식과 정보들을 여러 가지 맥락에서 학생의 학습이 구현될 수 있게 학생들의 인지와 이해 내에서 변화 하도록 재구성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핵심 범주는 ‘수업비평을 통한 체육내용교수지식 형성’이며, 연구 참여자가 가진 6가지의 지식 즉 교과로서의 체육에 대한 지식,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체육과 교수법 지식, 신체활동에 대한 학생의 학습지식, 체육과 평가 지식, 체육과 교육 환경 지식은 전부 유기적으로 연계, 융합되어 다른 모습으로 구현됨을 알 수 있었고 수업의 내용과 주제에 따라 내용교수지식이 다시 구성되고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학습자에 대한 지식과 체육교육과정 내용지식에 조금 더 비중을 두고 수업을 의미 있게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과내용교수지식이 수업을 전개하고 계획하는 과정에서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인터넷내용규제정책에 관한 연구 : P. 부르디외의 장(champ)과 상징폭력(violence symboliqe)을 중심으로

        이희랑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인터넷의 자율적 메커니즘과 충돌을 일으키며 사회적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현행 인터넷내용규제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나아가 인터넷의 사회적 속성에 부합하는 자율정화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인터넷은 사회 주체들의 ‘아비투스’(habitus)에 근거한 실천에 의해서 역동적으로 형성되는 하나 ‘장’(champ, field)이라 할 수 있다. 부르디외의 논의에 따르면 사회 공간의 모든 ‘장’은 주체들의 권력재생산과 전복이라는 상반된 입장들이 충돌을 일으키며 긴장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권력투쟁의 공간이다. 이러한 부르디외의 논의를 통해서 인터넷 장의 내용규제시스템을 분석하였는데, 특히 차이를 특수화시키고 위계화시키는 ‘형태화하기’로써의 법률의 문제와 주체들의 ‘집단적 오인’의 문제를 통해서 현행 인터넷내용 규제시스템의 지배 권력 재생산의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또한 인터넷장이 갖는 독특한 자율적 메커니즘에 의해서 생산되는 상징투쟁의 양상들을 제시함으로써 인터넷 장에 대한 국가 주도의 통제가 갖는 모순을 드러내고 인터넷 장의 자율적인 사회적 속성들에 근거한 자율정화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인터넷내용규제 시스템의 기본원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인터넷내용규제시스템을 통해서 발생하는 상징폭력과 상징투쟁의 특징들을 주요 연구문제로 상정하고 사례연구를 통해서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현행 인터넷내용규제시스템은 인터넷 장의 구조적 검열의 수단으로써 작용하고 있으며, 인터넷 장에서 행위 주체들은 이러한 시스템에 의거하여 말할 수 있도록 인가된 것만을 말하게 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인터넷 장으로부터 배제되어 의사소통에서 제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곧 부르디외가 제시하고 있는 권력의 지배의 한 유형으로써 상징폭력이라 할 수 있는데, 전기통신사업법등의 법률로 ‘형태화하기’와, 사회 주체들의 공모를 통해 발생하는 ‘집단적 오인’이 변증법적으로 연동하는 가운데 지배적인 권력과 문화의 재생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인터넷내용규제에 관련된 법률들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온 제도 및 법률들과 상동하며 금지의 메커니즘을 생산함으로써 지배적이고 정통적인 시각으로 인터넷 커뮤니티의 내용과 성격을 규정하고 있으며, 진리효과를 발휘해 정상과 비정상과 같은 이분화된 배제논리를 통해 구별짓기를 행하고 있다. 인터넷내용규제시스템을 둘러싸고 벌어진 인터넷 장의 상징투쟁은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집단적 실천이 가능하다는 점과 고정된 공간이 아닌 '여러 공간’에서, 그러면서도 ‘하나의 공간적 의미’를 발생시키는 미러링의 기능에서 알 수 있듯이 여타의 사회공간과는 다른 자율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인턴넷리터러시가 곧 창의력과 자발성을 전제하고 있는 만큼, 인터 넷 장은 어느 사회적 공간보다도 자발적이며 창조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고 있었다. 요컨대 인터넷 장에서 벌어지는 실천의 특이성들은 지배적인 권력의 재생산 의도와 부딪히며 갈등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국가라는 고정점으로 부터 시작되는 규제정책과는 융합될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발견된다. 결론적으로 인터넷 장의 실천의 특이성들을 통해서 제시 될 수 있는 인터넷장의 자율정화의 방향은 국가라는 고정점에 의해서 주도되는 통제방식이 아닌, 인터넷 장의 공론장 기능의 활성화를 통해서 행위자들 자체적으로 숙의 하는 과정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critically consider the current Internet content regulation policy that clashes with the self-imposed mechanism of the Internet and subsequently emerges as a social issue. Likewise, it aimed to recommend the direction of a self-imposed purge that satisfies the social attributes of the Internet. The Internet is a field that is dynamically formed by practices based on the social agents' 'habitus'. According to P. Bourdieu, all social spaces are the space of power struggle that is formed through tense relations arising from the agents conflicting positions of power reproduction and overthrowing. Based on this argument,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regulation system of the Internet field. In particular, it tried to approach the problems of reproduction of dominant power of the current Internet content regulation system through legal problems such as 'institutionalization' that specializes and ranks the differences and through the problems of agents' 'collective mis-recognition'. By suggesting aspects of symbolic struggle caused by the Internet fields unique and self-imposed mechanism,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contradictions of the state-controlled Internet field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self-purge based on the social attributes of the Internet field. Thus, this study sought to introduce characteristics of 'symbolic violence and struggle' that take place through the Internet content regulation system as major study issues. It also aimed to identify them through case studi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Internet content regulation system.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et content regulation system functions as a tool of structural censorship of the Internet field. Likewise, agents in the Internet field are supposed to say only the things that are authorized; otherwise, they are excluded from the Internet field and communication. This is the symbolic violence, one type of power dominance as Bourdieu suggested. With the dialectic combination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aws such as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Business Law and the 'collective mis-recognition' that occurs through social agents' complicity, the system influences dominant power and cultural reproduction. Laws related to the Internet content regulation are homologized with the long-existing social institutions and laws and produce the mechanism of banning the current institutions. This mechanism makes the contents and nature of the Internet community look dominant and orthodox. It also makes a distinction between the dichotomy of the norm and deviant through its truth effect. The symbolic struggle over the Internet content regulation system of the Internet field is free from time and spatial constraints. It can be carried out collectively, functioning as a 'Mirroring system' that generates the 'meaning of one space' in many spaces instead of one fixed space. As such, the Internet field has unique liberal characteristics unlike other social spaces. In addition, the Internet field is based heavily on voluntary and creative participation compared to any other social space, since Internet literacy requires creativity and initiative. The uniqueness of the practices that take place in the Internet field clashes with the generative intention of the dominant power. As a result, it is exposed to a fundamental problem that cannot harmonize with a regulatory policy, which starts from the fixed point of the nation. In conclusion, the uniqueness of practices of the Internet field can form the basis for the direction of the self-purge of the Internet field. Self-purge must take place in the direction wherein Internet users voluntarily discuss and deliberate using the Internet more activated function as an opinion forum, instead of the fixed point of nation control.

      • 중심내용 찾기 활동을 통한 설명문 읽기의 효과 연구

        김지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읽기 자료를 제시하고 단순히 글 전체의 주제만을 찾아 내는 활동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을 찾아 탐색해 가는 일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설명문 읽기 활동을 통해 핵심어 찾기, 중요한 문장과 그렇지 않은 문장 구별하기, 단락별 중심 내용찾기, 글 전체의 중심 내용 찾기로 그 단위를 점점 확대해 나가면서 학습자들이 정보를 습득해 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정한 학습 전략에 의존하기 보다는 다양한 설명문을 많이 읽는 활동을 통하여 읽기 능력과 읽기 태도를 신장시킬 수 있도록 설명문 읽기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실질적인 읽기 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심 내용 찾기 활동을 통한 설명문 읽기가 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심 내용 찾기 활동을 통한 설명문 읽기가 학생들의 읽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금촌중학교 학생 37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심내용 찾기 활동을 통한 설명문 읽기 프로그램에 따라 교수․학습 활동을 한 후 통제집단 학생 37명과 그 차이를 검증해 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심내용 찾기 활동을 통한 설명문 읽기 프로그램은 인지적 측면인 읽기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읽기 능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수준별 읽기 능력의 향상은 중, 하 집단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으나, 상 수준 집단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정의적 측면인 읽기 태도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읽기 활동이 습관화되어 읽기에 보다 많은 흥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설명문이라는 다소 건조한 텍스트는 학습자들에게 그다지 매력적인 읽기 자료가 되지 못하였다. 이런 연구 결과로 볼 때,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를 획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일에 중심내용 찾기 활동을 통한 설명문 읽기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보다 효과적이고 흥미로운 텍스트를 활용하여 오랜 기간을 두고 읽기 자료를 투입한다면, 학습자들이 글을 읽고 중심내용을 찾아내는 활동에는 분명 더 큰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단순한 문자 해독 수준의 글 읽기가 아닌, 글의 중요도 파악이나 전체적인 맥락을 찾아가는 활동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中·高等學校 道德 敎科書에 나타난 障碍關聯內容 分析

        위정미 全南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장애인이 학교와 지역사회에 통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의 인식과 태도가 긍정적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부정적이고 이로 인해 장애인의 통합에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기위해 학교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교과서에 장애관련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분석하고 제8차 교육과정이 나아갈 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중·고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장애관련내용의 주제에 따른 분류 및 빈도, 장애관련내용의 적합성, 장애이해교육의 체계성, 장애관련내용의 도덕 덕목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내용을 주제에 따라 분류한 결과,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과 보조도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장애인을 위한 봉사활동이었다. 그리고 장애관련내용의 빈도는 중학교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내용이 줄어들고,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한 교과 당 2~3편에 불과하였다. 둘째, 장애관련내용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수정되어야 할 용어가 있었고(예: 벙어리, 맹인, 지체장애1급) 장애관련 삽화 중 절반이 휠체어를 탄 장애인 삽화로 본문에 적합하지 않는 것은 수정되어야 하겠다. 또한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에는 장애관련내용이 집단이기주의의 문제점의 예로 다루어져 오히려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가지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장애이해교육의 체계성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상에 장애이해교육이라는 뚜렷한 학습목표를 가지고 체계적으로 장애이해교육을 할 수 있는 내용은 전무하였고, 도덕 교과의 목표달성을 위한 인간의 가치나 사회생활과 관련하여 장애인의 인권이나 가치,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데 필요한 예로 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넷째, 장애관련내용의 도덕과 주요가치·덕목과의 관련성을 살펴 본 결과, 생명존중, 타인배려, 공동체 의식과 관련이 많았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새로운 8차 교육과정에서는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장애이해교육 내용이 수록되어져야 하겠고 고등학교 과정에 보다 많은 장애관련내용이 포함되어야겠다.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한 적극적인 교육방법으로 장애이해교육을 위한 단원을 일정부분 교육과정으로 편성하여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인식이 높은 선진국 교과서에 장애관련내용이 어떻게 수록되어있는지 우리나라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우리나라의 경우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선진국에 비해 부정적이고 이로 인해 장애인의 통합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교과과정에서의 학습뿐만 아니라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일반교사, 학교경영자, 그리고 지역사회도 함께 장애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관심을 가지고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