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기숙사 안전에 대한 학생 성별 인식 비교 : 전남교육청 고등학교 기숙사생 중심으로

        최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전남 고등학교의 기숙사 안전에 대한 거주 학생의 안전의식을 조사·분석하고자 2017년 7월 17일부터 2017년 8월 11일까지 12개 고등학교 기숙사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720부를 배포하여 50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기숙사생의 안전교육, 안전사고 경험, 안전의식 수준, 기숙사 생활의 위험요소 및 경험, 안전사고에 대한 위기대응 역량 정도를 문헌고찰과 선행연구 등을 통해 파악하여 설문 문항을 작성하고, 이를 검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기숙사 안전에 대한 학생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자료의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에 의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안전교육의 중요성, 안전의식 수준, 위기대응 역량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명목척도일 경우에는 -검증에 의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등간척도일 경우에는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p<.01, p<.001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숙사생 안전의식 수준 및 성별 격차 기숙사 생활의 안전성 인식은 성별로 남학생(M=3.92)과 여학생(M=3.79)이 비슷하며, 개인적 수준의 안전인식은 전반적으로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았으며, 기숙사 생활 중 위험요인이 있다고 생각 정도는 남학생(M=2.59)보다 여학생(M=2.81)이 더 많다고 생각하였다. 분야별 안전수준(생활안전, 폭력·신변안전, 약물·사이버중독, 재난안전, 보건안전)에 안심정도에 대해서도 남학생(M=3.86)이 여학생(M=3.46)보다 높았다. 2. 안전사고에 대한 위기대응 역량 및 성별 격차 안전관련 지식 및 대응 능력에 있어 폭력 및 신변안전(M=4.12) 사고에 대해 위기대응 역량이 가장 높았고, 위기 대응역량은 학교폭력의 유형 및 구체적 사례(M=4.15)를 알고 있다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생활안전 영역에서는 기호식품의 유해성(M=3.7), 재난안전에서는 완강기가 무엇인지(M=3.68), 약물·사이버중독에서는 약물과 마약의 정의(M=3.57), 응급처치에서는 자동제세동기 사용법(M=3.56)이 위기대응 역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험요소에 대한 지식수준은 흡연(M=4.11), 성폭력(M=4.08), 학교폭력(M=4.08), 음주(M=4.06), 화재위험(M=4.03) 역량이 높아 전반적으로 위험요소에 대한 지식수준은 높았다. 기숙사 안전사고에 대한 생활안전, 폭력·신변안전, 약물·사이버중독, 재난안전, 보건안전 분야별에서 모든 분야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기숙사 위험요소에 대해서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지식수준이 높았다. 기숙사 화재에 지식 및 위기대응 능력에 있어서도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역량이 높았다. 3. 안전교육의 중요성 및 성별 격차 기숙사에서 받은 안전교육 경험은 전체 평균 83.6%이고, 성별로는 남학생 79.6%, 여학생 87.6%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전교육 도움 정도는 그렇다 긍정적 평가보다 낮은 3.62점 이였다. 안전교육이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는 형식적(60%)이고 전문성(25.7%) 없음이 많았다. 기숙사에서 받은 안전교육 내용은 1순위는 화재위험(81%) 2순위는 전기·전자제품 사고(43.6%), 3순위는 흡연(24.6%) 순으로 많았다. 성별로 남학생 1순위는 화재위험(76%), 2순위는 전기·전자제품 사고(45.6%), 3순위는 흡연(31.2%)순으로 많았고, 여학생은 1순위(86%)와 2순위(41.6%)는 남학생과 같았으나 3순위는 자연재난(25.6%) 이였다. 본 연구를 종합한 결과, 기숙사생들의 안전인식과 위기대응능력, 안전교육 중요성에 대해서 성별 비교 결과,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위기 경험, 역량수준, 위기대응, 화재발생 대응 등에서 대부분 역량이 떨어져 기숙사 안전 대책에 있어서도 남녀 영향을 고려한 성인지적 접근이 필요하다.

      • 대학생 연합기숙사 사생실 거주 만족도 조사를 통한 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여용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연합기숙사 건립의 목적은 지방 출신 대학생들에게 학업기간동안 주거에 대한 과도한 경제적 부담 없이 안락한 공간에서 거주하면서 공부 할 수 있도록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기숙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는 만큼 그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여 실제 만족도는 얼마나 높은지를 조사하고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대학생들의 불편한 점은 없는지, 특히, 취침과 학습 개인위생 등 전반적인 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생실 공간에 대한 거주만족도는 어느 정도 인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을 통하여 이에 대한 사생실 공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정부 주도하에 건립되는 같은 기숙사에서도 사업시행 기관에 따라 기숙사별 사생실의 설계 면적에 큰 차이가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생실 내 화장실, 샤워실의 위치나 가구배치 형태는 또 별 반 차이점을 보이지 않는 모순된 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직접 건립 운영되고 있는 수도권의 연합기숙사 2곳인‘홍제동 행복연합기숙사’와 ‘대학생 연합생활관’의 사생실(2,4인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는 크게 다음 네 가지로 정리되었다. 첫째는 거주 대학생의 절반정도는 현재 사생실 공간에 대한 협소와 가구 사용에 대하여 불편을 느끼고 있으며, 2인실 보다는 4인실 거주자가 불편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둘째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가구배치유형 대비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협소한 사생실 공간의 거주자는 공간이용 효율이 좋은 2층 침대 타입의 가구배치 유형에 대한 선호도 높았고, 반대로 공간협소에 대한 불편을 적게 느끼고 있는 거주자의 경우는 1층 침대 타입의 가구배치 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왔다. 셋째 사생실 평면유형에 대한 선호도 결과 2인실에서는 개인공간에 대한 영역구분으로 프라이버시가 확보되어 있는 평면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왔고, 4인실의 경우는 반대로 현재 사생실과 같은 취침, 학습, 위생 등의 사용 용도별 영역으로 구분되어져 있는 평면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왔다. 넷째는 전체 기숙사 만족도 및 향후 연합기숙사 건립 방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서‘대학생 연합생활관’의 만족도가‘홍제동 연합기숙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연합기숙사 건립 방향에 대한 생각에서는 기숙사비 대비 현재 수준의 연합기숙사에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부분은 저렴한 기숙사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는 볼 수 없으며, 또 어느 정도의 불편은 감수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현재의 연합기숙사 사생실의 거주만족도 조사 결과는 거주자의 절반정도가 사생실생활에 불편을 느끼고 있으며, 공간 및 가구배치에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기숙사 사생실 선택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공간을 제공하고, 각자의 필요와 형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거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제5장 결론에서와 같이 [그림5.1.1]과 [그림5.1.2]의 다양한 사생실 평면계획안을 대학생 연합기숙사 사생실의 공간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끝으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좀 더 넓은 시각에서 대학생들을 바라볼 필요가 있으며, 그들이 좀 더 창의적이고 안락한 공간에서 편안하게 학업준비와 미래를 설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objective of the joint dormitory is to help college students from the country-sides to live and study comfortably with no excessive financial burden during their school days. Since the joint dormitory has some advantages, it was deemed necessary to survey its user students for their actual satisfaction with their dormitory life and thereby, examine whether the joint dormitory conform with its purpose and cause. Thu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bout students' inconvenienc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dormitory rooms affecting their sleeping, learning and personal hygiene, in order to suggest some reform measures for the spatial improvement of the dormitory rooms. At the dormitories constructed at government's initiative, the designed area of their rooms differ widely depending on the developers, but nevertheless, the dormitory rooms are not much differentiated in terms of rest rooms, shower stalls and furniture arrangements. This study sampled two joint dormitories in the capital region; 'Hongje-dong Haengbok Joint Dormitory' and 'College Students' Joint Dormitory, and thereb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ose students living in two-bedrooms or four-bedroom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bout half of the students felt inconvenient for the narrow rooms and poor furniture, and those living in the four-bedrooms felt more inconvenient than those living in the two-bedrooms.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students' favored furniture arrangement, it was found that those living in the narrow rooms preferred the two-story beds because it allowed for more efficient use of the space. To the contrary, the students who felt less convenient for their rooms preferred the twin-beds. Thirdly, as a result of surveying students' preference of the floor plans, it was found that those living in the two-bedrooms preferred the types of the floor plans warranting their privacy, and that those living in the four-bedrooms preferred the floor plan dividing the space into bedrooms, learning space and personal hygiene life. Fourthly,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students abou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dormitory life and future joint dormitories, those living in the College Students' Joint Dormitor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dormitory life than those living in Hongje-dong Haengbok Dormitory.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were found to be satisfied more or less with their current joint dormitory life style. Such satisfaction may well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ower dormitory cost, and therefore, students seemed to accept the inconveniences to some degree. In conclusion, about half of the students felt inconvenient for their dormitory rooms, and therefore, it was deemed necessary to rearrange the room space and furniture. Thus, it was deemed desirable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room spaces of diverse forms and sizes, allowing them to select the rooms befitting their needs and conditions. As shown in Chapter V or the part of conclusion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wo floor plans (fig. 5.1.1 and fig. 5.1.2) for the spatial improvement of the joint dormitory rooms. Lastly, it is hoped that we would see the college students from a wider perspective and thereby, that the joint dormitory rooms would be designed to allow the students to live and learn in a more creative and comfortable space, preparing themselves for their future.

      • 고등학교 기숙사 운영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 전남지역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안혜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전남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기숙사의 운영 실태와 이용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남지역 11개교 일반계 고등학교 기숙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입사자격, ‘기숙사 시설과 공간’의 만족도에서는 대부분 ‘보통’이나 ‘만족’으로 응답하였다. 입사 후 가장 좋아진 점으로 ‘통학시간 단축’이며, 다음으로 ‘학습환경 개선’과 ‘학습능력 향상’, ‘생활 안정’순이었으나, ‘사교육비 절감’에는 낮은 응답을 보였다. 둘째, 기숙사 생활 수칙에 대한 만족도는 남자는 ‘만족’이 많은 반면 여학생은 ‘보통’이 가장 많고, 생활지도시 우선되어야 할 점으로 ‘친절, 관심과 고민 상담’, 그리고 ‘자율적인 생활지도’를 원하고 있다. 또 개인적인 상담 대상은 부모님이나 선생님보다 “친구“라는 응답이 많아 기숙사가 ‘교육에서 돌봄까지’라는 정책취지에 걸맞게 내실있는 상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조건 마련이 되어야겠다. 셋째, 운영 프로그램의 선호와 만족도에서는 ‘개인 특기적성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고 다음으로 ‘학습능력 강화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다. 프로그램과 강사진에 대하여는 참여자의 70%이상이 ‘만족’의 긍정적인 응답을 보이고 있으나, 참여율을 보면 학습능력 강화 프로그램(63%)을 제외하고는 50%미만에 그쳐,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맞춤형 모델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기숙사 입사 전·후를 비교하여 본 바 대부분의 학생들이 심리적,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기숙사 생활이 공동체 생활에 도움이 되고 있으며, 시간 관리와 자제력 향상, 공부량의 증가로 ‘학업성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기숙사 생활이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27%정도로 ‘식사 불만’과 함께 가정과 떨어져서 생활하는 청소년들에게 보건과 건강관리를 위한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 생활지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활지도 규정의 완비와 전교사와 기숙사생을 연결한 멘토링제, 사감교사의 밀착 생활지도와 상담, 지역인사와 학부모를 활용한 예절교육, 안전지도, 상담활동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자치회를 활성화하여 예방에 치중하고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둘째,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한다. 교과부나 시·도교육청에서는 다양한 모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희망학교에는 전문가의 컨설팅 도움으로 정착되기까지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고, 학력과 인성, 적성과 진로, 생활지도 프로그램 등이 학교 실정에 맞게 운영 되도록 한다. 셋째, 기숙사 전문 사감의 확충을 위해서는 각종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전담사감이나 부족한 여자 사감 인력 확충을 위해 계약직 사감에게도 현업대상자 지정을 위한 재원 충당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위의 재원 확보를 위해서 정부나 교육과학기술부차원에서는 지속적인 기숙사 운영비 지원책을 마련하고 시·도교육청 차원에서는 시설 관리 인력과 전문사감 배치로 사감교사의 근무 환경 개선, 사감의 전문적인 연수 실시, 지방자치단체의 기숙사 교육경비 지원 조례 제정이 되도록 노력하며, 학교차원에서는 사감업무 경감방안 마련, 전교사의 생활지도 참여, 학부모와 지역사회 인적자원 활용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한다.

      • 기숙사 생활하는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연구 : 경기도에 있는 비인가 국제형 대안학교 중·고등학생 중심으로

        이민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studies the school satisfaction level of the boarding students who attend Unauthorized International Alternative schools. The specifics are as the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oarding students and commuting students? Second, how are the school satisfaction level different between the boarding students and commuting students? Third, how are the school satisfaction level of the boarding or commuting students depending on the gender, grade, and time length in alternative school? For this study, the sequential explanatory mixed methods research has been used. Questionnaire for qualitative study has been crea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study. The result of the quantitative study is as follows. First, observ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oarding and commuting students, those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nd those who had less than 1 year of alternative school education have shown the highest school satisfaction level. Second, the boarding students had higher satisfaction level for the overall school life, teacher and student relationship, curriculum and pedagogy, and school facility or surroundings, which all displayed meaningful results. The ratings for relationship with peers and school events did not deem to be significant values. Third, the observation was focused on the boarding and commuting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gender, grades, and time length in alternative school. The result illustrates that male students,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that had less than a year of alternative school education have high satisfaction level. The quantitative study results tell that the boarding students have high school satisfaction level. The average and T-test did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o explain the reasoning of boarding students having high school satisfaction level. Interviews, which are in the qualitative position, were conducted to provide additional analysis and explanation needed. The qualitative study’s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the dormitory living experience and suggestions for satisfaction improvement. After analyzing the results, the dormitory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Students’ sociality, independ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the positive elements of the experiences. Dormitory headmaster’s role, rules and regulations, and image management were the negative elements of the boarding experience. The dormitory surrounding, admission requirements, and free time and space were the factors with effect on the dormitory satisfaction level.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in school life, open class schedule, fairness of the school rules, and maintenance of quality educator were found to be the keys to satisfaction improvement. In conclus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 boarding students had high school satisfaction level. The plans to improve the school and dormitory satisfaction level have been drawn. This research discusses the implications in academic and political perspectives u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proposes for the follow-up research. 본 연구는 비인가 국제형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숙사 생활 하는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연구를 진행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숙 및 통학하는 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기숙사 생활하는 학생과 통학하는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기숙사 생활하는 학생과 통학하는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성별, 성적, 대안학교 학습기간에 따라 어떠한가? 이 연구를 위해 순차적 설명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질문지를 작성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양적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이다. 첫째, 기숙 및 통학 하는 학생의 일반적인 특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의 비율이 높았으며, 대안교육 받은 기간은 ‘1년 이하’에 속하는 학생이 학교생활 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둘째, 기숙사 생활하는 학생과 통학하는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학교생활만족도,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 학교교과내용 및 수업방법, 학교시설 및 주변 환경의 평균은 기숙사 생활 하는 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교우와의 관계와 학교 행사에 관한 평균은 유의미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기숙사 생활하는 학생과 통학하는 학생의 성별, 성적, 대안학교 학습기간에 따라 학교생활 만족도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별 차이에서 여학생 보다 남학생, 학업수준이 낮은 학생, 대안학교 재학기간이 1년 미만인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양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모든 측면에서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배경에 대한 결과를 평균과 T검정으로 설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양적연구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해석과 설명이 필요하여 질적 연구인 심층면담을 진행하게 되었다. 질적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숙사 생활 경험과 만족도 제고방안으로 분석을 하였다. 기숙사 생활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으로 나눌 수 있었고 긍정적인 경험에서는 학생들이 사회성, 독립성, 자기 주도 학습을 긍정적인 요소로 나타냈다. 기숙사 생활 중 사감교사의 역할, 규칙과 규제, 이미지 관리는 부정적인 요소로 나타났다. 기숙사 만족도 제고 방안으로는 환경, 입소기준, 자유시간과 자유공간 제공이 된다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에서 만족도 제고 방안을 살펴보면 수업 시간표의 자율화, 학교 규칙의 형평성, 좋은 교사 유지가 만족도 제고방안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숙사에서 생활 하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것을 경험을 했으며 기숙사 생활과 학교생활의 만족도를 올리기 위한 방안을 도출 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학문적인 영역과 정책적인 영역에서 시사점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 기숙형 고등학교 기숙사 생활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서동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육정책의 변환과 학습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립형, 자율형, 특수목적 고등학교 등의 기숙형 고등학교가 증가 추세에 있으며 더불어 농산어촌지역과 중소도시 및 도시 저소득층에는 기숙형 공립 고등학교 등의 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기숙형 고등학교 생활실의 이용실태와 공간구성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여 기숙사 계획시 요구되는 건축계획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나타난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생 개인생활과 관련된 생활실의 이용은 주로 4~6시간의 취침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었고, 학습은 단위공간인 생활실과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현재 기숙사의 생활실 형태는 침실형과 온돌형이며, 2층 침대를 주로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실 수용인원은 2명~4명을 가장 선호하였다. 2) 만족도 분석에서 학생들은 기숙사의 생활실에 대해 ‘보통이하’(2.8점)로 나타났고, 이는 기숙사 시설에서 가장 만족 혹은 불만족하는 시설로 생활실을 지적한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불만족한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생활실이 있는 기준층은 연결통로에 의한 동의 분리, 코어를 통한 공간분리, 형태에 의한 공간분리 등으로 성별, 학년별로 분리하여 기능적으로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생활실 거주 만족도는 기능적, 기술적, 행태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기능적 측면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주로 침실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보통이하’의 만족을 나타내고 있다. 선호하는 형태는 침실+화장실+발코니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생활실 평면형으로는 침실+화장실+발코니의 평면형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거주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학생요구에 따른 기숙사형 고등학교의 생활실 평면 계획방향을 제시하면 생활실에 ‘화장실+샤워실’ 공간이 설치된 유형, 학습지원용 책상이 구비된 유형, 발코니와 같이 생활실에 접하여 연계성을 가지면서 또 다른 독립된 공간이 설치된 유형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요구의 수용은 생활실 단위공간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지원하여 편리한 공간구성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의 효율성이 개선되면 기능적 만족이 높아지고 생활실의 거주 만족도 또한 관련이 있으므로 기숙사 개선시 이에 대한 우선적인 배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 시설의 물리적 실태와 만족도를 바탕으로 한 기숙사 평면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시설이 지역적으로 국한되었고, 기숙사의 단위공간인 생활실로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앞으로 기숙사의 거주성 만족, 공간의 효율성 측면에서 기숙사의 생활공간과 부속공간과의 행태적 측면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number of the boarding high school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changing of education policies and the increasing of the educational needs. Furthermore, the number of the public boarding high school is increasing not only in the farm villages and fishing villages but also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us, this study compare and analyze about the real condition of using and space composition in the existing boarding high school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on of the basic data in the architecture design data that is necessary in dormitory plan. The summary is as in following. 1) The room for student's private day life is used about 4~6 hours for sleeping. The room and the library is used for study. The room is a double-deck bed type or a floor heating system type. And the prefered number of persons to be accommodated is 2∼4. 2) The Evaluation of the student about their room condition is less than normal(2.8), it means the room is dissatisfaction space for students. 3) The typical floor that the room is placed provide the division of houses by vestibule, the space division by core and shape. And it works divided with gender and grade. 4) The satisfaction of the room has to consider with the function, technique, behavior of user. Normally, the room is a double-deck bed type, and it makes dissatisfaction to the students. Bed room+Rest room+Balcony is the prefer type of the student. So, plan of the room has to consider of Bed room+Rest room+Balcony type for increasing of the satisfaction for habitation. Based on this research, the suggestion of the boarding high school's room plan is that the 'Toilet +Shower booth' built-in type, 'Desk for study' built-in type, another private space like balcony which is connected with room. The accept of these needs is for making convenience by the support of the unit-space in the room. So, in the improving of the circumstance in dormitory, the efficiency of the space is improving has to be considered by priority,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room is very important for it. This study suggest the alternative plan based on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existing dormitory and research of the satisfaction. But the range of the research is limited by region and room of the dormitory. So, the study has to be researched different site like efficiency of the living room of dormitory and the attached space by behavior.

      • 웹을 기반으로 한 기숙사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병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회가 점차 정보화되어 감에 따라 각 분야에서도 기존의 체제와는 다른 업무를 처리하는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의 기숙사관리시스템은 기숙사생과 관리자들에게 원활한 정보의 전달과 활용을 위해 기숙사생들은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각 종 신청서를 제출하며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하고, 기숙사 관리자에게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관리, 감독할 수 있도록 Asp와 Visual Basic으로 기숙사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기숙사관리시스템은 MS Access 데이터베이스 관리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버용 컴퓨터에 Asp를 연동해 ODBC를 설정하여 기숙사 입사지원자나 관생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Visual Basic으로 구현된 데이터베이스는 웹서버의 MS Access 데이터베이스가 있는 폴더를 네트워크 Z드라이버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기숙사관리시스템을 설치하여 관리자가 언제든지 기숙사관리시스템을 관리하기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As the society is getting more and more information-oriented, every field is demanding different work environment compared with the past. This thesis about dormitory management system can help dormitory students and dormitory management staffs. The dormitory students can submit various application forms and search for different information through the Web service. The staffs can supervise the dormitory effectively by using the database information from the dormitory management system that is written in ASP and Visual Basic. The dormitory students or applicants can use the system through Microsoft Access database software since the management system connects ASP on the server computer by setting up ODBC. The database, which is written in Visual Basic software, make it possible to connect MS Access database folder on the Web server to the network z drive to easily manage the dormitory management system anytime that can be installed on personal computers.

      • 대학 기숙사 신축과 주민갈등에 관한연구 : 회기동을 중심으로

        양종회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전세 및 월세 값 상승과 서울 및 수도권으로 대학이 편중되면서 서울에 있는 대학가 주변에 서민은 물론 대학생들의 집 또는 방구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면서 대학 신축기숙사는 대학 경쟁력 강화와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 각 대학이 주요핵심 건축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대학 신축기숙사로 인한 대학가 주변 주민갈등의 문제점이 제시되면서 대학기숙사 건축을 둘러싼 대학과 대학가 주민들의 갈등은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다. 대학 신축기숙사에 관한 건축자료 특히 대학가 주변갈등의 자료들이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숙사 신축 및 대학가 주변 주민들의 갈등이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기숙사 신축 및 주민갈등의 요인의 인식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대학 기숙사 신축으로 인하여 주변 주민갈등의 문제를 찾아 단계적으로 대학가 주변 공실률을 완화하고, 대학과 정부에서 공공기숙사 개발에 관한 재정 지원정책을 활용하여 기숙사비용 및 대학가 주변 공실률의 문제점을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분석을 한 결과 경희대 서울캠퍼스의 경우 신축 기숙사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으며, 기존 기숙사의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신축 기숙사 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축기숙사로 인해 대학과 대학가 주변간의 이해주체 간 발생하는 갈등의 해결을 위해서는 대학에서 학교 주변의 건물을 매입 혹은 직접 임차하여 기숙사로 해결하는 방안을 가장 유효한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다. 정부는 대학과 지역주민(임대사업자)과의 갈등발생시 갈등협의체 역할을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가 주변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안으로 대학 및 지역주민 이해관계자들이 상시 참여하는 협의기구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 Recently, as the house lease and monthly rental fees have risen and many colleges have been built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college students are having much difficulty in looking for a room or house, as well as neighborhood residents around colleges. Therefore, building a new college dormitory has become the main construction business of every college as a way of strengthening its college competitiveness and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It has, however, been noted that the newly-built dormitories brought a conflict with neighborhood residents and such a conflict seems not to easily end between colleges and their neighbors on the new dormitory construction. There is not much material about the new dormitory construction of colleges, especially, about the conflict around college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awareness of the factors of the new dormitory construction and the conflict with neighborhood resident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of those factors. In this study, it also suggests that the building vacancy rate around colleges can be lowered in stages by identifying the conflict with neighborhood residents owing to the new college dormitory construction and that colleges and the government might utilize the financial support policy about the public dormitory construction to solve the issues of high dormitory expenses and building vacancy around colleges. From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a survey, it is understood that the area around Seoul Campus of KyungHee Univ. has potential demand for a new dormitory and that a new dormitory should be built to solve the deterioration of the existing one. And it could be the most effective solution for colleges to purchase or directly lease the buildings around colleges as dormitories, in order to settle such a conflict between the interested parties by new dormitory 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government act as a go-between to settle the conflict between the colleges and community residents (renters) and that a conference group be organized in which the interested parties of a college and community residents regularly participate as a way to gather the opinions of residents around the college area.

      • 대학 고층 기숙사 시뮬레이션 평가를 통한 피난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이영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현대사회는 경제성장과 함께 산업의 발달로 사회 각 부분이 전문화,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고 성장 속도는 점점 빨라져 가고 있다. 건축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인간이 행하고자 하는 행위와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하고 여러 가지의 목적이 함께 어우러진 건축물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임대형 민자 사업(BTL)으로 대학교 기숙사들이 지어지면서 고층화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대학 고층기숙사에 대한 운영체제라던가 운영방식, 비상시 대처 방안들이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숙사는 공동주택으로 분류가 되어 공동주택의 방화기준을 따르고 있다. 기숙사는 공동주택과는 달리 사용행태나 동선의 행태가 다르고, 운영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기숙사를 공동주택의 기준에 맞추어 방화 및 화재안전성능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불합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층화 건축공간의 화재 시 피난안전에 관한 국가 간 기준을 비교 및 분석을 하고 이를 재실자의 피난 상황을 분석 평가하는 피난 전용 프로그램인 시뮬렉스를 통하여 대학 고층 기숙사에 대한 피난 성능을 검증 하고자 한다.

      •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공장기숙사 리모델링 기획 프로세스 제안 : user demand based planning process for plant dormitory remodeling projects

        김철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Because of rapid industrialization after 1980's, a lot of factories were planned and completed In korea. Accompanied by this situation, a rapid increase of residents in factory complex has needed more construction of new dormitories in a short time. A short period time of dormitory construction has resulted in a lot of problems and most dormitories has required to be remodelled earlier than their persisting period. The objective of this project is to improve the exciting process that carries forward skipping resident requirements and propose the new process in the beginning step to draw the optimized work scope and budget plan reflecting reasonably the opinions of facility department that understands exactly the resident needs and the deteriorated condition and the budget department that requires validity of the investment budget. Some problems resulted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existing process and some cases as below. First, activities of each step were not enough such as goal setting, preliminary survey, field survey, validity check and resident questioning. Second, the opinions of the persons in charge of facilit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who understands exactly the resident needs and the deteriorated condition of dormitory were not reflected Third, after the completion of remodeling, the dissatisfactions of all concerned were opened. To establish the procedure in the planning step and reflect the requirements of construction and budget department correctly, the improvement schem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of goal setting, preliminary survey, field survey, validity check and resident verification got stipulated and check list of each activities got clarified. Second, the phase of expert interview for a fundamental and rational improvement and mock-up construction for verification of resident requirements got suggested. Third, the five steps of planning process to draw the optimized work scope got suggested. In addition, the check sheet to reflect resident requirements in progress of a project and the verification phase to discuss the alternatives with all concerned got supplemented. Fourth, this thesis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suggestions to a real dormitory construction project and clarified through interview with residents and experts. I hope that this research paper can contribute to making remodeling projects more effective and satisfactory to residents and other concerned in construction or budget department and activating economical dormitory remodeling by applying the suggestions to others dormitories with similar condition in factory complex. Lastly, the check sheet has limits in reflecting all resident requirements and construction price per pyoung(3.3㎡) has lack of objectivity and validity because of analysing small parts of several completed dormitory remodeling cases. Therefore, more continuous research has to be performed. 198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많은 공장의 증가는 단기간의 공장기숙사 신축으로 이어졌고, 최근에 와서 내구연한이 도래한 기숙사 리모델링이 순차적으로 계획되고 있다. 그러나 공장기숙사의 특수성 때문에 사용자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일방적인 리모델링 추진이 준공 후 많은 민원과 불만사항의 표출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장기숙사 리모델링 초기 기획단계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생략하고 추진되어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기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실제 입주해서 사용할 임직원, 기숙사의 노후 상태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공사담당자 및 공사예산의 타당성을 문제 삼고 있는 예산 담당자의 요구가 합리적으로 반영된 리모델링 공사범위 및 예산을 도출할 수 있는 기획단계의 프로세스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기존의 기획단계 프로세스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공장 기숙사의 리모델링 추진에 있어 목표설정, 예비조사, 현장조사 및 진단, 타당성 평가, 거주자 사전검증 등의 단계별 세부 수행항목이 명쾌하지 못한 이유로 체계적인 리모델링 수행이 어려운 부분과 기획단계에서 리모델링 공사범위 및 항목 도출에 실 거주자 및 기숙사 노후상태를 잘 알고 있는 공사담당자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은 관계로 리모델링 완료 후 실질적인 불편사항을 해소하지 못한 실 거주자와 시설관리자의 민원증가 및 투입된 예산의 적정성에 상이한 의견을 보이는 예산담당자의 불만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리모델링 추진에서 목표설정, 예비조사, 현장조사 및 진단, 타당성 평가 및 거주자 사전검증 등 각 단계별 사전검토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노후 기숙사의 근본적인 개선을 위해 전문가의 면담 단계를 추가하였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검증할 수 있는 목업(Mock-up) 시공을 제안하였다. 셋째, 리모델링 기획단계에서 합리적인 공사범위 및 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기획 프로세스 5단계를 제안하였고, 프로세스 중간에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시트와 도출된 공사범위 및 항목에 대해 관련자가 대안을 선정 및 협의할 수 있는 검증단계를 삽입하였다. 넷째, 제안한 기숙사 리모델링 기획 프로세스와 제안시트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결과를 확인했으며, 사용자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하여 적합성과 효용성을 검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 거주자와 공사담당자 및 예산담당자의 의견이 반영되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공장기숙사의 리모델링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타 사업장의 동일한 조건의 공장기숙사의 리모델링 추진에 본 기획 프로세스와 제안시트를 적용하여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기숙사 리모델링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시트의 내용 중 기숙사 리모델링 공사부위 및 항목이 사용자의 요구사항 전체를 반영할 수 없었다는 부분과 공사예산 산출에 적용된 평단가의 경우 기 수행된 일부 자료만을 분석, 적용하여 단가의 타당성 및 객관성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